KR102412944B1 -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 Google Patents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44B1
KR102412944B1 KR1020200145201A KR20200145201A KR102412944B1 KR 102412944 B1 KR102412944 B1 KR 102412944B1 KR 1020200145201 A KR1020200145201 A KR 1020200145201A KR 20200145201 A KR20200145201 A KR 20200145201A KR 102412944 B1 KR102412944 B1 KR 10241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water
ground
well
filter beads
device cap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9699A (ko
Inventor
최진오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이피에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145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4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9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9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는 지하 구조물의 지반 하부에 설치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이송하는 이송관; 및 일측 개방부가 지표에 드러나도록 지반에 삽입되며, 상기 이송관이 연결되는 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A GROUNDWATER LEVEL RESTORATION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CLOGGING}
본 발명은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하 구조물로 인한 지층의 건천화를 방지하기 위해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함양정를 거쳐 해당 지반으로의 배수가 가능 하도록 하여 지하 건축물 주변 지반의 안정화를 유지시켜 지반 침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역의 깊은 지하공간(대심도) 개발시 가장 큰 지하 환경의 변화는 지하수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낮아진 지하수위는 땅이 내려앉는 지반 침하로도 연결된다.
이러한 지반 침하는 지하수위 하에서의 배수 터널 형식의 굴착에 따른 터널로의 지하수 유입에 의해 발생된다.
즉, 지하수 유입에 의한 수두 차이는 지하수 유동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포화 상태가 된 지반의 간극수가 빠져 나가면서 지반 내 간극 수압의 감소로 지하수위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증가된 유효 응력은 지반 내 간극률의 변화를 발생시켜 지반 변형을 초래한다.
따라서, 지하수위 아래에서의 터널 시공 시에는 지하수 저하로 인한 지표침하의 문제를 고려하여 진행하여야 하며 지하수위가 높은 지역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침하 발생의 우려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유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최근에는 지하 구조물의 기초 구조체에 배수관을 설치하여 집수(集水)된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배수시키는 공법을 적용하여 지하수위를 조절하여 지반의 건천화 및 지반 침하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법은 대부분 집수된 지하수가 버려지도록 구성되어 지하수를 버리거나 처리하는데 많은 노력과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집수정에는 지하수의 이물질이 여재의 공극을 통과하면서 물리적으로 걸리지고, 이러한 여과과정이 지속되어 걸러진 이물질들이 쌓여 여재의 공극이 막히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폐색 즉, 클로깅(Clogging) 현상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는 우물과 하부 펌핑 시스템을 통과하면서 압력 변화, 온도 변화, 대기와 노출 등을 통해서 클로깅(Clogging)을 유발하는 이상적인 조건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클로깅은 집수정에서 자연적으로 물에 철과 탄산염 성분에 의해 발생하거나, 박테리아 클로니의 성장으로 지하수에 용해된 물질과 합성하여 바이오 매스가 배출되는 부영양화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산성의 환경에서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클로깅 현상은 유체 흐름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펌핑에 필요한 에너지를 증가시켜 최종적으로 펌프의 고장 또는 시스템 중단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지하 구조물의 지하 기반 하부에 지하수가 집수되는 집수정을 구비하고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가 일정 수위를 넘어서는 경우 지표에 구비된 함양정으로 지하수를 이송시켜 재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뿐 아니라 여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의 클로깅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지하 구조물 주변 토양의 건천화를 방지하여 지반의 안정화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클로깅 현상을 방지하여 유체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하수위 복원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KR 10-2014-0112849호 (공개일자 2014년 09월 24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 구조물의 지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정 및 상기 집수정에 유입되는 지하수를 펌핑하여 일정 수위로 함양하는 함양정을 구비하고, 상기 함양정 하측 외주면에 세라믹 코팅된 알칼리성 필터비즈가 충전되도록 구비함으로써, 함양정으로 지하수를 이송시켜 지반으로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뿐 아니라 여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의 클로깅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주변 토양의 건천화 및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여 지반의 안정화를 유지시킬 수 있으면서도 클로깅 현상을 방지하여 유체의 원활한 흐름이 가능하도록 하는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는 지하 구조물의 지반 하부에 설치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이송하는 이송관; 및 일측 개방부가 지표에 드러나도록 지반에 삽입되며, 상기 이송관이 연결되는 함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함양부은 지하에 매설되는 함양정; 상기 함양관의 기준 높이 이상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차수재를 그라우팅한 차수벽체; 및 상기 차수벽체 하부에 상기 함양정을 커버하도록 충진되는 다수개의 필터비즈;를 포함하고, 상기 함양정은 상기 함양정의 기준 높이 이하에 다수개의 슬릿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비즈는 알칼리성 결합재가 함유되고, 세라믹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비즈는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함양부는 상기 차수벽체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기준 높이 이하에 배치되고 타단이 지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비즈를 석션하는 길이 방향의 석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준 높이는 이웃하는 지하수의 수위를 기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는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펌핑하는 펌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 수위 복원장치에 의하면,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펌핑하여 함양정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지하수를 주변 지반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지하 구조물에 의한 주변 토양의 건천화 및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여 지반의 안정화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함양정은 기준 높이 이하에 다수개의 슬릿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함양정에 유입된 지하수가 지반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함양정의 기준 높이 이하 외주면 둘레에 세라믹 코팅된 알칼리성 필터비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필터비즈를 통과하는 지하수의 산성 물질을 중성화하여 산성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는 슬릿공의 클로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함양부에 필터비즈을 석션하기 위한 석션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필터비즈의 표면에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흡착되거나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발생한 필터비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함양부로 이송시켜 지반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버리거나 처리하는데 소모되었던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의 함양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의 직경이 상이한 필터비즈의 3가지 타입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비즈에 지하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정(100), 이송관(200), 함양부(300) 및 펌핑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수정(100)은 지하 구조물 지반 하부에 설치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수정(100)은 지하터널 또는 지하수로와 같은 지하 구조물의 설립에 의해 지하수위 하에서의 아치형 터널(2)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는 지하수를 받을 수 있도록 건축물의 지하 기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유입된 지하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집수되는 경우 상기 펌핑부재(400)에 의해 상기 함양부(300)로 지하수를 이송시키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수정(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2)의 아치형 측벽과 지반이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터널(2)의 측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지하수를 받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정(10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이송관(200)이 수용되는 중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수정(100)은 상기 펌핑수단(400)으로 부터 펌핑되는 지하수를 상기 이송관(200)을 통해 배출하는 것으로, 압력감지수단(110), 수량계(120), 조절밸브(130) 및 체크밸브(140)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수단(110)은 상기 이송관(200) 내에서 형성되는 수압을 감지하여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신호(110)는 일정 상태의 수압에서 급격한 수압이 감지될 때 상기 펌핑부재(400)가 구동되고 물흐름을 감지하는 물흐름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조절밸브(130)는 상기 이송관(200)을 따라 공급되는 지하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지하수의 흐름을 계폐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140)는 이송관(200)을 따라 흐르는 지하수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으로, 지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집수정(100)은 상기 압력감지수단(110), 수량계(120), 조절밸브(130) 및 체크밸브(140)와 감지 신호를 송수신하고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감지수단(110), 수량계(120), 조절밸브(130) 및 체크밸브(140)는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지의 것을 제한없이 적용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200)은 상기 집수정(100)에 유입된 지하수를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송관(200)은 상기 집수정(100)과 상기 함양부(300)를 연결하는 길이 방향의 관으로써, 상기 펌핑부재(400)와 연결되어 상기 펌핑부재(400)에 의해 펌핑된 지하수가 상기 함양부(300)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200)은 지하에 매설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관(200)의 타단은 상기 함양정(300)에 지하수를 유입시키기 위해 지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200)은 상기 함양부(300)로 이송되는 지하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개폐수단(210)이 장착되고, 상기 개폐수단(210)은 상기 이송관(200)을 개폐하는 개폐구(211)와 상기 개폐구(21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의 함양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기 함양부(3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개방구가 지표에 드러나도록 지반에 삽입되며 상기 이송관(200)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양부(300)는 상기 펌핑부재(400)의 구동에 의해 상방으로 펌핑되어 이송된 지하수가 함양되는 저장 수단으로, 함양된 지하수를 주변 지반으로 다시 배수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배수되는 지하수의 클로깅을 방지하도록 지하수의 여과 즉,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함양부(300)는 함양정(310), 차수벽체(320), 필터비즈(330) 및 석션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양정(310)은 지하에 매설되어 상기 이송관(200)으로 이송된 지하수를 저장하고 배수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양정(310)은 개방구가 지표로 드러나도록 지반에 매설되며 상기 이송관(200)의 타단과 연결되어 이송관(200)을 통해 이송된 지하수를 받아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송되는 지하수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부피를 갖는 함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양정(310)은 주변 지반의 건천화 및 지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해 유입된 지하수를 다시 배수하도록 다수개의 슬릿공(3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릿공(311)은 상기 함양정(310)의 기준 높이 이하에 다수개가 산발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지하수의 배수가 구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준 높이는 이웃하는 지하수의 수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릿공(311)은 상기한 기준 높이 이하로 배치됨으로써, 주변 지하수의 수위가 일정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지하수의 수위가 적정 범위로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릿공(311)은 길이 방향의 슬릿 형상일 수 있으며, 원형의 통공 형성일 수도 있다.
상기 차수벽체(320)는 상기 함양정(310)의 외주면 상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차수재를 그라우팅하여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수벽체(320)는 상기 함양정(310)의 기준 높이 이상 부터 상기 함양정(310)의 개방구까지의 함양정(310) 외주면 둘레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벽체로써, 용수의 방지를 위해 함양정(310)과 지반의 공극에 인공의 혼합토로 만든 물막이용 재료를 압입하여 설치된 벽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벽체(320)는 추후에 인발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의 직경이 상이한 필터비즈의 3가지 타입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비즈에 지하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비즈(3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수벽체(320) 하부에 다수개가 충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필터비즈(330)는 알칼리성 결합재가 함유되고, 세라믹으로 코팅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비즈(330)는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필터비즈(330)는 상기 슬릿공(311)을 통해 지반으로 배수되는 지하수가 통과되면서 지하수 내의 이물질을 여과시킬 뿐 아니라 산성의 환경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클로깅(Clogging) 현상 즉, 폐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을 중성화시킬 수 있도록 알칼리성을 띠도록 구성된 필터용 비즈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비즈(330)는 상기 차수벽체(320) 하단부에서 저면까지의 공간을 충진하도록 배치되고, 이는 기준 높이 이하 즉, 주변 지하수의 수위 이하로 배치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비즈(330)는 지하수에 함유된 불순물이나 이물질들이 상기 필터비즈(330)의 표면에 흡착되어 통과하면서 지하수가 여과 및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비즈(330)는 상기 필터비즈(330) 표면에 흡착된 이물질 이나 불순물들이 축척될 경우 필터비즈(330)의 여과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필터비즈(330)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기적으로 교체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필터비즈(330)는 구비된 상기 석션관(3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터재는 고운 모래를 충전하여 필터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박테리아의 부영양화 현상에 의한 생물학적인 클로깅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클로깅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 함유정(310)의 슬릿이 막히게 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물이나 핫 에어(hot air)를 서징(surging)하는 역세척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공정은 과정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비용적이 면에서도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비즈(330)는 상기한 클로깅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역세척을 수행하지 않고도 상기 함양부(300)의 작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필터비즈(330)는 알칼리 성분의 결합재와 흙을 결합하여 형성된 알칼리성을 띠는 비즈로 구성되어, 산성의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는 클로깅 현상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비즈(330)는 직경이 상이한 다양한 타입이 혼합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필터비즈(330)의 직경이 작은 것으로만 충전되었을 경우에는 여과나 정화 효율이 상승하게 되기는 하나 지하수가 통과하는데 많은 부하가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필터비즈(330)의 직경이 큰 것으로만 충전되었을 경우에는 여과물이 통과하는데 부하가 적게 걸리는 장점을 갖게 되기는 하나, 여과 및 정화 효율은 감소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비즈(330)는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타입으로 상기 필터비즈(330)를 구비함으로써, 동일한 직경의 필터비즈(330)로 충전되었을 경우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 필터비즈(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3가지 타입으로 구성됨이 바림직 할 수 있으나, 상기 필터비즈(330)의 타입은 상기한 3개의 타입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갯수의 타입으로 적용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부재(330)는 부하가 작게 걸리면서도 여과 정화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비즈(330)는 상기 석션관(340)에 의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석션관(340)은 상기 차수벽체(320)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기준 높이 이하에 배치되고 타단이 지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비즈(330)를 석션하는 길이 방향의 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션관(34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필터비즈(330)의 석션을 구현하는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입장치(미도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블로워의 작동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필터비즈를 석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진공 상태의 본체와 상기 석션관이 연결되어 상기 본체와의 개폐를 제어하여 상기 필터비즈를 석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석션관(340)은 필터비즈(330)가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션관(3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비즈(330)와 지상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하나의 관일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펌핑부재(400)는 상기 집수정(100)에 유입된 지하수를 펌핑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펌핑부재(400)는 지하의 집수정(100)에서 지하수를 펌핑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중에 설치되지만 지형적인 상황이나 위치적인 상황에 따라 지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펌핑부재(400)는 모터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지하수를 상부로 펌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 수위 복원장치에 의하면,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펌핑하여 함양정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지하수를 주변 지반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지하 구조물에 의한 주변 토양의 건천화 및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여 지반의 안정화를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함양정은 기준 높이 이하에 다수개의 슬릿공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함양정에 유입된 지하수가 지반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양정의 기준 높이 이하 외주면 둘레에 세라믹 코팅된 알칼리성 필터비즈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필터비즈를 통과하는 지하수의 산성물질을 중성화하여 산성 환경에서 많이 발생하는 슬릿공의 클로깅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함양정에 필터비즈을 석션하기 위한 석션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필터비즈의 표면에 이물질이나 불순물이 흡착되거나 외력에 의한 파손이 발생한 필터비즈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함양정으로 이송시켜 지반으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버리거나 처리하는데 소모되었던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2 : 터널 100 : 집수정
110 : 압력감지수단 120 : 수량계
130 : 조절밸브 140 : 체크밸브
200 : 이송관 210 : 개폐수단
211 : 개폐구 212 : 구동부재
300 : 함양부 310 : 함양정
311 : 슬릿공 320 : 차수벽체
330 : 필터비즈 340 : 석션관
400 : 펌핑부재 h : 기준 높이

Claims (7)

  1. 지하 구조물의 지반 하부에 설치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집수정;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이송하는 이송관; 및
    일측 개방부가 지표에 드러나도록 지반에 삽입되며, 상기 이송관이 연결되는 함양부;를 포함하고,
    상기 함양부은,
    지하에 매설되는 함양정;
    상기 함양정의 기준 높이 이상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고, 차수재를 그라우팅한 차수벽체; 및
    상기 차수벽체 하부에 상기 함양정을 커버하도록 충진되고, 알칼리성 결합재가 함유되고, 세라믹으로 코팅된 다수개의 필터비즈;를 포함하며,
    상기 함양정은,
    상기 함양정의 기준 높이 이하에 다수개의 슬릿공;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높이는 이웃하는 지하수의 수위를 기준하여 배치되어,
    상기 함양정에 유입된 지하수가 상기 필터비즈를 통과하여 여과, 정화 및 중성화한 후 지반으로 재배수되도록 구성되어, 주변 환경을 중성화하여 클로깅(Clogging)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비즈는,
    직경이 상이한 다수개의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양부는,
    상기 차수벽체와 이웃하는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기준 높이 이하에 배치되고 타단이 지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비즈를 석션하는 길이 방향의 석션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에 유입된 지하수를 펌핑하는 펌핑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KR1020200145201A 2020-11-03 2020-11-03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KR10241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01A KR102412944B1 (ko) 2020-11-03 2020-11-03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01A KR102412944B1 (ko) 2020-11-03 2020-11-03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99A KR20220059699A (ko) 2022-05-10
KR102412944B1 true KR102412944B1 (ko) 2022-06-27

Family

ID=8159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201A KR102412944B1 (ko) 2020-11-03 2020-11-03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0786A (ja) * 2004-03-24 2005-10-06 Arai Gumi Ltd 水平井戸による地下水循環型汚染土壌浄化方法及び装置
KR100554477B1 (ko) * 2001-12-07 2006-03-03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KR200411862Y1 (ko) * 2006-01-10 2006-03-17 육춘예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221A (ko) * 2003-10-15 2005-04-20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빗물의 저류 및 저감용 맨홀설비장치
KR101492010B1 (ko) 2013-03-14 2015-02-10 김현태 지하수위 저하용 배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477B1 (ko) * 2001-12-07 2006-03-03 니뽄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세라믹 다공체 및 그 결합재로 사용하는 유리의 제조방법과 세라믹 필터의 제조방법
JP2005270786A (ja) * 2004-03-24 2005-10-06 Arai Gumi Ltd 水平井戸による地下水循環型汚染土壌浄化方法及び装置
KR200411862Y1 (ko) * 2006-01-10 2006-03-17 육춘예 수중 침전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9699A (ko) 202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580B1 (ko) 불순물 제거 관리 구조물
JP4252218B2 (ja) 液体を含有する地盤区域を部分的に乾燥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5724222B2 (ja) 揚水ユニット、軟弱土壌改良工法、地盤掘削工法、汚染土壌浄化工法、及び復水工法
CN107866102A (zh) 浮动式水质净化系统
KR101731949B1 (ko) 자연 유하식 역세 기능이 구비된 정수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KR200460536Y1 (ko) 굴삭 공사에 수반되는 지하 수위 저하용 진공 펌프 배수 장치
JP2002371596A (ja) 雨水の有効利用システム
KR102412944B1 (ko) 클로깅 방지가 가능한 지하수위 복원 장치
CN109610489B (zh) 防止淤泥堵塞抽水泵的降水井
CN210917658U (zh) 一种垂直式深层雨水调蓄收集结构
KR101089024B1 (ko) 조수 간만의 차가 있는 해안환경에 적용되는 해수 취수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1303821B1 (ko) 돌적층형 수중보를 갖는 해수 취수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CN208415328U (zh) 一种降低地下室外侧水压的装置
JP3570807B2 (ja) 揚排水装置
CN201284283Y (zh) 具有低位强排水功能的干化池
CN213709595U (zh) 一种基坑降排水系统
KR101967287B1 (ko) 파형관 구조의 집수관과 자가 역세척장치가 설치된 집수매거
CN219732050U (zh) 一种基坑局部浅层自吸泵降水装置
JP3720470B2 (ja) 水処理装置
CN211646435U (zh) 管道盲沟降水装置及强夯施工系统
CN217734076U (zh) 基坑地下水汇集结构
US11365538B2 (en) Cesspool and liner
CN213358580U (zh) 一种基坑壁渗水排水装置
CN209227569U (zh) 一种深井降水装置
CN207111408U (zh) 一种水泵的吸水口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