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425B1 -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이씨씨 블록동기 검출장치,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이씨씨 블록동기 검출장치,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425B1
KR100554425B1 KR1020027001771A KR20027001771A KR100554425B1 KR 100554425 B1 KR100554425 B1 KR 100554425B1 KR 1020027001771 A KR1020027001771 A KR 1020027001771A KR 20027001771 A KR20027001771 A KR 20027001771A KR 100554425 B1 KR100554425 B1 KR 10055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tor
address information
addre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536A (ko
Inventor
오카자키마코토
우에다야스시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76Interpolating metho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62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 G11B2020/1075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0796Data buffering arrangements, e.g. recording or playback buffers the usage of the buffer being restricted to a specific kind of data 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frame, i.e. a subunit of a sector containing user data, e.g. a sync fram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sector, i.e. the minimal addressable physical data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7Synchronisation pattern, e.g. VCO fiel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각종 동기의 이상 발생이나 결함섹터의 재생에 있어서, 재생능력이 높은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2), 하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3), 가감산기(204), 상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5), 가산기(206)를 이용하여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정보를 기억매체의 절대적인 저장 어드레스로 변환함으로써 재생능력이 높은 데이터를 기억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광디스크 재생장치, 결함섹터, 기억매체

Description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이씨씨 블록동기 검출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BUFFER MEMORY ADDRESS CONVERTER, SECTOR ADDRESS INFORMATION RELIABILITY JUDGING DEVICE, DEFECTIVE SECTOR JUDGING DEVICE, ECC BLOCK SYNCHRONIZATION DETECTOR, OPTICAL DISK REPRODUCING DEVICE, MEDIUM, AND PROGRAM}
본 발명은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오류정정처리나 호스트 컴퓨터로의 데이터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버퍼메모리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섹터어드레스정보를 처리하는 섹터어드레스 신뢰성 판정장치, 광디스크의 결함섹터를 판정하는 결함섹터 판정장치,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ECC 블록의 동기를 검출하는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정보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광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오류정정처리나 호스트 컴퓨터로의 데이터전송을 위한 기억수단인 버퍼메모리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의 발생은 일본 특개평 10-302402호 및 일본 특개평 11-162105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행해지고 있었다.
즉, 데이터 구성의 선두를 나타내는 각종 동기패턴(ECC 블록동기, 섹터동기, 프레임동기)의 검출 및 보간을 행하여, 상술한 각종 동기검출 ·보간신호에 따라 버퍼메모리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를 제어한다.
즉, 각종 동기검출 ·보간신호의 수가 그대로 버퍼메모리로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에 반영되는 어드레스생성이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버퍼메모리로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의 이상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동기신호의 검출 및 보간의 강화가 행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각종 동기검출 ·보간신호의 수가 그대로 버퍼메모리로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는,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상기 각종 동기의 검출이탈, 오검출, 이상보간 등의 각종 동기검출 ·보간신호의 이상에 의해 각종 동기신호의 이상이 발생하는 전후에서 버퍼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의 대응이 붕괴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요인으로 동기검출 ·보간신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버퍼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의 대응이 붕괴된다는 과제(제 1의 과제)가 있다.
또한, 상기 요인으로 버퍼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의 대응이 붕괴된 경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는 오류정정수단을 이용해도 정확하게 재생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요인으로 버퍼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의 대응이 붕괴된 경우, 광디 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는 오류정정수단을 이용해도 정확하게 재생하기가 곤란하다는 과제(제 2의 과제)가 있다.
또한, 결함섹터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매체에 있어서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결함섹터정보를 취득하고, 결함섹터를 지시하는 제어를 하지 않으면,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결함섹터정보를 취득하고, 결함섹터를 지시하는 제어를 하지 않으면,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가 곤란하다는 과제(제 3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의 과제를 고려하여, 지문이나 상처 등의 요인으로 동기검출 ·보간신호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버퍼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의 대응이 붕괴되지 않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의 과제를 고려하여, 버퍼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의 대응이 붕괴되지 않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3의 과제를 고려하여,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결함 섹터정보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버 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청구항 1에 대응)은,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패턴과,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과,
상기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판독된 데이터는 상기 버퍼메모리의 상기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2 발명(청구항 2에 대응)은, 상기 위치데이터란 섹터어드레스정보인 제 1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3 발명(청구항 3에 대응)은, 상기 위치데이터란 프레임동기 코드인 제 1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4 발명(청구항 4에 대응)은, 상기 해석수단은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섹터어드레스정보를 판독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이 얻어지지 않은 섹터에 대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보간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보간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판독수단에서 판독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보간수단에서 보간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선택수단을 갖고,
상기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선택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제 2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5 발명(청구항 5에 대응)은,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는 오류검출부호가 부가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신뢰성을 판정한다는 것은 상기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출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함으로써 판정하는 것인 제 4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6 발명(청구항 6에 대응)은, 상기 신뢰성을 판정한다는 것은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것인 제 4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7 발명(청구항 7에 대응)은, 상기 소정의 기준이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요구되는 신뢰성의 기준이고,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선택수단은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요구되는 신뢰성의 기준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수단에서 판정된 상기 판정결과 를 해석하여 2개의 섹터어드레스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 4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8 발명(청구항 8에 대응)은,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동기코드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된 프레임동기코드를 부호화하여 차례로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부호의 나열로부터 프레임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가 연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 중 상기 연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계수된 연속하는 프레임위치의 개수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 가능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에서 수치화된 값을 프레임위치라고 판단하는 프레임위치 판단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판단수단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이전에 조건을 만족한 프레임위치를 기초로 보간하여 프레임위치로 하는 프레임위치 보간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보간수단에서 구한 상기 프레임위치 또는 상기 프레임위치판단수단에서 판단한 프레임위치로부터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판독된 데이터는 상기 버퍼메모리의 상기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또한, 제 9 발명(청구항 29에 대응)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에는 오류검출부호가 부가되어 있고, 상기 해석수단은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연속성 판정수단과,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의 소정의 설정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결과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의 판정결과로부터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화장치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 17 발명(청구항 30에 대응)은,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n섹터(n=정수)에 걸쳐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고, 오류정정부호가 연속하는 n섹터에 들어있는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오류검출수단에서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없었던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를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로 나눈 몫을 구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제산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오류검출수단이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상기 몫과, 하나 앞에 구해진 상기 몫을 비교하여, 그 결과가 불일치하면 ECC 블록동기를 검출한 것으로 하는 ECC 블록 검출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화장치이다.
삭제
또한, 제 18 발명(청구항 31에 대응)은,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수단과,
외부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판독된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일시 기억한 후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 1∼9, 제 17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를 탑재하고 있는 광디스크 재생장치이다.
또한, 제 19 발명(청구항 19에 대응)은, 제 1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패턴과,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과,
상기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버퍼메모리로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매체이다.
또한, 제 20 발명(청구항 20에 대응)은, 제 8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동기코드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된 프레임동기코드를 부호화하여 차례로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부호의 나열로부터 프레임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가 연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 중 상기 연속하고 있다고 판정된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계수된 연속하는 프레임위치의 개수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 가능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에서 수치화된 값을 프레임위치라고 판단하는 프레임위치 판단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판단수단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이전에 조건을 만족한 프레임위치를 기초로 보간하여 프레임위치로 하는 프레임위치 보간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보간수단에서 구한 상기 프레임위치 또는 상기 프레임위치판단수단에서 판단한 프레임위치로부터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매체이다.
또한, 제 21 발명(청구항 32에 대응)은, 제 9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의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의 소정의 설정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결과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의 판정결과로부터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 판정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매체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 23 발명(청구항 33에 대응)은, 제 17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상기 광디스크 매체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n섹터(n=정수)에 걸쳐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고, 오류정정부호가 연속하는 n섹터에 들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오류검출수단에서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없었던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를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로 나눈 몫을 구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제산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오류검출수단이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상기 몫과, 하나 앞에 구해진 상기 몫을 비교하여, 그 결과가 불일치하면 ECC 블록동기를 검출한 것으로 하는 ECC 블록 검출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매체이다.
또한, 제 24 발명(청구항 24에 대응)은, 제 1 발명에 기재된 버퍼 메모리 어 드레스 변환장치의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 패턴과,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위치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과,
상기 해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버퍼메모리로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제 25 발명(청구항 25에 대응)은, 제 8 발명에 기재된 버퍼 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동기코드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된 프레임동기코드를 부호화하여 차례로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부호의 나열로부터 프레임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가 연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 중 상기 연속하고 있다고 판정된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계수된 연속하는 프레임위치의 개수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 가능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에서 수치화된 값을 프레임위치라고 판단하는 프레임위치 판단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판단수단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이전에 조건을 만족한 프레임위치를 기초로 보간하여 프레임위치로 하는 프레임위치 보간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보간수단에서 구한 상기 프레임위치 또는 상기 프레임위치판단수단에서 판단한 프레임위치로부터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또한, 제 26 발명(청구항 34에 대응)은, 제 9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광디스크 매체에서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의 소정의 설정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결과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의 판정결과로부터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 판정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제 28 발명(청구항 35에 대응)은, 제 17 발명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상기 광디스크 매체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n섹터(n=정수)에 걸쳐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고, 오류정정부호가 연속하는 n섹터에 들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오류검출수단에서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없었던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를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로 나눈 몫을 구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제산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오류검출수단이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상기 몫과, 하나 앞에 구해진 상기 몫을 비교하여, 그 결과가 불일치하면 ECC 블록동기를 검출한 것으로 하는 ECC 블록 검출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다음에, 이러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포함되는 동기패턴 및 데이터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정확히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요인으로 발생하는 상기 각종 동기검출 ·보간신호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버퍼메모리로의 정확한 데이터저장 어드레스를 발생할 수 있고, 결함섹터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 디스크 매체의 데이터를 판독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전에 결함섹터정보를 취득하는 일 없이, 버퍼메모리로의 신뢰성이 높은 데이터저장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버퍼메모리로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생성에 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처리 및 섹터처리에 관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ECC 블록처리에 관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위치 검출블록 및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에 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ID 신뢰성 판정블록에 관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DVD의 데이터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동기코드에 대한 프레임동기신호의 대응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프레임에 대한 어드레스 디코드값의 대응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섹터에 대한 어드레스 디코드값의 대응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ECC 블록에 대한 어드레스 디코드값의 대응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결함섹터만을 스킵하는 결함관리방법으로 기입된 디스크의 섹터구성도
(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결함섹터를 포함하는 ECC 블록을 스킵하는 결함섹터 관리방법으로 기입된 ECC 블록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결함섹터 검출수단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광디스크(DVD) 102 : 스핀들모터
103 : 광픽업 104 : RF 신호처리블록
105 : 서보블록 106 : 버퍼메모리
107 : 컨트롤러블록 108 : 제어 마이크로컴퓨터
109 : 호스트 111 : 조사광 및 반사광
112 : 스핀들모터 제어신호 113 : RF 신호
114 : 광픽업 제어신호
115 : RF 신호처리블록과 서보블록간 신호
116 : RF 신호처리블록과 컨트롤러블록간 신호
117 : 서보블록과 컨트롤러블록간 신호
118 : 버퍼메모리와 컨트롤러블록간 신호
119 : 제어 마이크로컴퓨터와 컨트롤러블록간 신호
120 : 호스트와 컨트롤러블록간 신호
121 : 제어 마이크로컴퓨터와 RF 신호처리블록간 신호
122 : 제어 마이크로컴퓨터와 서보블록간 신호
201 : 바이트 카운터
202 : 프레임 동기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디코더
203 : 하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
204 : 가감산기
205 : 상위 ID 비트 어드레스 변환디코더
206 : 가산기
211 : 호스트(109)로부터 요구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ID 정보
212 : 버퍼메모리(106)로 저장개시하는 위치정보
213 : 프레임내 어드레스 214 : ECC 블록위치정보
215 : 버퍼메모리 저장어드레스 301 : 채널데이터 병렬화 블록
302 : 프레임동기신호 생성블록 303 :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블록
304 : 데이터 복조블록 305 : 섹터동기 검출블록
306 : 섹터동기 보간블록 307 :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
308 : 프레임위치 검출블록 309 :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
310 :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
311 :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블록
321 : 채널데이터 322 : 병렬데이터
323 : 프레임동기신호 324 : 프레임동기 코드신호
325, 331 : 섹터동기신호 326 : 섹터동기 보간신호
327 : 절대프레임 위치신호 328 :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
329 : 프레임위치신호 330 :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
332 : 프레임 어드레스 333 : 복조데이터
334 : 바이트클록 401 : ID 재생블록
402 : ECC 블록동기 검출블록 403 : ECC 블록동기 보간블록
404 : 섹터동기 카운터블록 405 : ID 신뢰성 판정블록
406 : ECC 블록동기신호 생성블록 407 : ID 정보어드레스 변환블록
411 : ID 취득신호 412 : ECC 블록동기 검출신호
413 : ECC 블록동기 보간신호 414 : 절대섹터 어드레스신호
415 :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 416 : 상위어드레스 판정결과신호
417 : 현재의 ID 정보신호 418 : ECC 블록동기신호
419 : 섹터어드레스 420 : ECC 블록 어드레스
501 :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
502 :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B
503 : 프레임 위치검출 디코더
505 :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카운터
506 :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판정회로
511 : (n-1) 프레임동기 코드신호
512 : (n-2) 프레임동기 코드신호
513 : 프레임위치 판정조건
521 :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계수신호
601 : 어드레스 비교기 A 602 : 어드레스 비교기 B
603 : 어드레스 신뢰성 조건판정 디코더
604 : 선택기 605 : 증분기(incrementer)
606, 1105 : ID 보존 레지스터
611 :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
612 :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오류검출결과성분
613 : 어드레스 신뢰성 판정조건 614 : 어드레스 연속성 판정신호
618 : 어드레스 기대값 신호 619 : 현재의 어드레스 선택신호
1101 :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A 1102 :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
1103 : 증분기 A 1104 : 감산기
1106 : 증분기 B 1107 : 비교기
1108 : 결함섹터 검출기 1111 : ID 재생신호
1112, 1114 : 물리 ID 신호 1113 : 물리 ID 취득신호
1115 : 물리 ID 기대값 신호 1116 : 결함섹터수
1117 : ID 신호 1118 : ID 기대값 신호
1119 : ID 연속성 신호 1120 : 결함섹터 검출신호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정확히 버퍼메모리로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데이터단위의 선두를 나타내는 각종 동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해석하고,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와 이전에 버퍼메모리로 저장한 데이터와의 위치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정확히 버퍼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의 해석수단이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섹터식별정보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광디스크 재생장치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의 해석수단이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프레임동기코드를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섹터어드레스정보를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이 얻어지지 않은 섹터에 대하여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보간하는 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판독하는 수단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상기 섹터어드레스를 보간 하는 수단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선택한 정보로부터 버퍼메모리로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데이터단위의 선두를 나타내는 각종 동기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신뢰성이 높은 섹터어드레스정보를 이용하여 버퍼메모리로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함으로써,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정확히 버퍼메모리에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섹터어드레스정보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에서의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은, 섹터어드레스정보에 부가된 오류검출부호를 이용하여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섹터어드레스정보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에서의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수단은, 현재의 섹터어드레스정보와 하나 앞의 섹터어드레스정보에 1을 가산한 값이 일치함으로써 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섹터어드레스정보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에서의 섹터어드레스정보를 판독하는 수단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섹터어드레스를 보간하는 수단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선택하는 수단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요구되는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 조건과 섹터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한 결과를 해석하여, 선택해야 할 섹터어드레스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는 광디스크 매체로 부터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과, 현재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와의 비교결과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의 설정조건을 기초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의 설정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있었던 경우라도,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결과와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이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되는 조건을 만족하고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결함섹터 판정장치는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섹터어드레스정보와는 별도로 물리섹터에 부가되어 있는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를 갖는 개서 가능한 광디스크 매체의 판독시에,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과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에 차가 생기는 개소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과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차가 생긴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연속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리섹터수를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검출 및 기억한 것을 외부제어수단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결함섹터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매체에 있어서, 사전에 결함섹터정보를 취득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섹터어드레스정보와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사이에 발생하는 어드레스정보의 차를 검토함으로써 결함섹터를 판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결함섹터 판정장치는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를 판독하 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판독한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에서 신뢰성이 얻어진 하나 앞의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한 하나 앞의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와 현재의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에서 신뢰성이 얻어진 물리섹터어드레스에 대하여 물리섹터어드레스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결함섹터 판정장치는 섹터어드레스정보를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에서 신뢰성이 얻어진 하나 앞의 섹터어드레스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한 하나 앞의 섹터어드레스정보와 현재의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에서 신뢰성이 얻어진 섹터어드레스에 대하여 섹터어드레스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과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에 차가 생기는 개소를 검출하는 수단은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연속성이 있다고 판단된 2개의 연속하는 섹터 사이에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에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물리섹터가 복수 섹터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여,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물리섹터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과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차가 생긴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를 기억하는 수단은, 상기 본 발명의 섹터어드레스 정보가 연속성이 얻어지지 않은 물리섹터의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연속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사이에 존재하는 물리 섹터수를 검출하는 수단은,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연속성이 있다고 판단된 2개의 연속하는 섹터 사이에 물리섹터어드레스정보에 연속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물리섹터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는 n섹터(n=정수)에 걸쳐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고, 오류정정부호가 연속하는 n섹터에 들어 있는 광디스크 매체에 있어서,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오류검출수단에서 구한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없었던 경우,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의 몫을 구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구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몫을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수단에서 구한 현재의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없는 경우, 상기 수단에서 저장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몫과 현재의 몫을 비교하여, 그 결과가 불일치하면 ECC 블록동기를 검출하였다고 인식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ECC 블록동기가 붕괴된 경우라도,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의 몫을 이용함으로써 ECC 블록동기를 검출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로서의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동기코드를 판독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판독한 프레임동기코드를 부호화하여 차례로 저장하는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저장개수를 설정 가능한 기억수단과, 상술한 기억수단에 저장한 부호의 나열로부터 프레임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프레임의 위치를 수치화한 값이 연속하는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판단한 연속하는 프레임위치의 개수를 계수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계수된 연속하는 프레임위치의 개수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 가능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수단에서 프레임위치를 수치화한 값을 프레임위치라고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이전에 조건을 만족한 프레임위치를 기초로 보간하여 프레임위치로 하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서 판단한 프레임위치로부터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이며, 광디스크 매체 상에 지문이나 상처 등의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프레임동기가 붕괴된 경우라도, 프레임동기코드를 이용함으로써 디스크로부터 판독한 데이터의 프레임위치를 인식하여 데이터의 손실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본 실시예의 광디스크 재생장치(1201)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101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매체, 102는 광디스크 매체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 103은 광디스크 매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그 반 사광의 강도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광픽업, 104는 광픽업(103)에 의해서 전압으로 변환된 신호를 2치화하여, 2치화신호에 동기한 클록을 생성하는 RF 신호처리블록, 105는 스핀들모터(102)의 회전을 제어하거나 광픽업(103)의 위치를 제어하는 서보블록, 106은 여러가지 정보를 보존하는 버퍼메모리, 107은 상기 RF 신호처리블록(104)에서 2치화한 신호의 기억매체(이후 버퍼메모리라 한다)(106)로의 보존, 오류정정처리, 호스트(109)와의 데이터전송,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로부터의 명령해석 등을 수행하는 컨트롤러블록, 108은 RF 신호처리블록(l04), 서보블록(105), 컨트롤러블록(107)을 제어하는 제어 마이크로컴퓨터, 109는 광디스크 매체(101)의 데이터 재생요구 등을 발행하는 호스트이다. 이들 102, 103, 104, 105, 106, 107, 108에 의해 광디스크 재생장치를 구성하여, 호스트(109)로부터 발행되는 광디스크 매체(101)의 재생요구를 실행할 수 있는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호스트(109)로부터 광디스크 매체(101)의 재생요구가 발행되었을 때의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호스트(109)는 컨트롤러블록(107)에 대하여 광디스크 매체(101)가 재생하고 싶은 데이터의 위치 및 양을 요구한다. 컨트롤러블록(107)은 호스트(109)로부터의 요구를 수취하면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에 대하여 호스트(109)로부터의 요구내용을 전한다.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는 호스트(109)로부터의 요구를 해석하고, 서보블록(105)에 대하여 광디스크 매체(101)의 회전제어나 호스트(109)로부터 요구가 있었던 재생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부근으로 광픽업(103)을 이동시키는 명령을 발행하는 동시에, 컨트롤러블록(107)에 대하여 호스트(109)로부터 요구가 있었던 재생데이터를 호스트(109)로 전송하도록 명령한다.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로부터 명령을 받은 서보블록(105)은 명령에 따라서 스핀들모터(102)를 소정의 스피드로 회전시키는 동시에, 광픽업(103)을 이동시킨다.
광디스크 매체(101)는 스핀들모터(102)에 의해 회전이 가해진다. 광디스크 매체(101)는 광디스크 매체(101)의 트랙 상에 피트가 형성됨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있다.
서보블록(105)에 의해 이동한 광픽업(103)은 회전이 가해진 광디스크 매체(101)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여, 광디스크 매체(101)로부터의 반사광을 수취한다. 여기서, 광디스크 매체(101)로부터의 반사광은 광디스크 매체(101)에 형성된 피트의 영향을 받아 강약이 발생한다. 반사광을 수취한 광픽업(103)은 반사광의 강약을 전압으로 변환한 RF 신호(113)를 RF 신호처리블록(104)으로 출력하는 동시에, 반사광의 형상이나 위치를 서보블록(105)으로 출력한다.
반사광의 형상이나 위치를 수취한 서보블록(105)은 광디스크 매체(101)로 조사하는 광의 초점이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디스크 매체(101)의 트랙위치를 검지하여 광픽업(103)을 상하좌우로 이동시켜, 광디스크 매체(10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위치로 조정한다.
광픽업(103)으로부터의 RF 신호(113)를 수취한 RF 신호처리블록(104)은 이 신호를 2치화하는 동시에, 2치화한 신호에 동기하는 클록을 생성하여, 컨트롤러블록(107)에 출력한다. 또, 이후 상기의 2치화신호를 채널데이터, 2치화한 신호에 동 기하는 클록을 채널클록이라고 한다.
RF 신호처리블록(104)으로부터 채널데이터 및 채널클록을 수취한 컨트롤러블록(107)은 채널데이터를 채널클록에서 샘플링하고, 채널데이터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동시에, 변환 후의 데이터로부터 어드레스정보를 취득한다. 어드레스정보를 취득한 컨트롤러블록(107)은 취득한 어드레스정보를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에 통지하는 동시에, 제어 마이크로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소정의 포맷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06)에 저장한다. 또한, 컨트롤러블록(107)은 버퍼메모리(106)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하여 오류정정처리나 오류검출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에 통지하는 동시에,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의 명령에 따라 버퍼메모리(106)에 저장한 데이터를 호스트(109)에 대하여 전송한다.
컨트롤러블록(107)으로부터 어드레스정보나 오류정정처리 및 오류검출처리의 결과를 수취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는 수취한 정보를 해석하여, 컨트롤러 블록(107)이 호스트(109)에 대하여 호스트(109)로부터 요구가 있었던 데이터를 전송할 때까지, 특정횟수 상기 처리를 반복하도록 서보블록(105) 및 컨트롤러블록(107)에 명령한다. 또, 특정횟수 상기 처리를 반복했음에도 불구하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는 컨트롤러블록(107)을 통해 요구가 있었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이유를 호스트(109)에 통지한다.
다음에, 광디스크 매체(101)가 DVD인 경우에, 컨트롤러블록(107)이 RF 신호처리블록(104)으로부터 수취한 채널데이터를 도 7에 나타내는 구조로 변환하여, 버 퍼메모리(106)에 저장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후, 광디스크 매체(101)를 DVD(101)라 한다.
도 7은 DVD(101)의 데이터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DVD(101)는 프레임, 섹터, ECC 블록이라는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은 2바이트의 프레임동기 및 프레임동기코드와, 그것에 이어서 91바이트의 데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동기코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배치로, SY0에서 SY7까지의 8종류의 코드가 있다. 섹터는 SY0코드를 갖는 프레임을 선두로 한 26프레임으로 구성된다. SY0 코드를 갖는 프레임의 선두, 즉 섹터의 선두에는 ID라고 하는 디스크정보나 섹터의 어드레스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이 있다. ECC 블록은 ID의 하위 4비트가 "0000b"인 섹터를 선두로 16섹터로 구성된다. 또한, ID 정보는 16진수로 나타내고, 섹터가 하나 진행할 때마다 ID에 포함되는 섹터의 어드레스정보도 하나 진행한다. 따라서, ECC 블록의 선두 섹터가 되는 ID의 하위 4비트는 반드시 "0000b"가 된다.
RF 신호처리블록(104)으로부터 컨트롤러블록(107)으로 입력된 채널데이터는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복조처리가 행해진다. 즉, 도 3은 본 실시예의 복조처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301은 채널데이터 병렬화 블록, 302는 프레임동기신호 생성블록, 303은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블록, 304는 데이터 복조블록, 305는 섹터동기 검출블록, 306은 섹터동기 보간블록, 307은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 308은 프레임위치 검출블록, 309는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 310은 프레임동기위치 신뢰성 판정블록, 311은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블록이다.
RF 신호처리블록(104)으로부터 수취한 채널데이터(321)는 채널클록마다 시프트 레지스터로 되어 있는 채널데이터 병렬화 블록(301)에 도입되고,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은 병렬데이터(322)로서 프레임동기신호 생성블록(302),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블록(303) 및 데이터 복조화 블록(304)으로 출력한다.
병렬데이터(322)를 수취한 프레임동기신호 생성블록(302)은 채널데이터(321)가 입력될 때마다 병렬데이터(322)에 포함되는 프레임동기를 검출한다. 프레임동기를 검출한 프레임동기신호 생성블록(302)은 검출한 프레임동기를 기준으로 채널데이터(321)가 입력되는 수를 계수하여, 다음 프레임동기가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근 이외에서 검출되는 프레임동기를 제거하는 작업과, 다음 프레임동기가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부근에서 프레임동기가 검출되지 않을 때, 입력되는 채널데이터의 수로부터 프레임동기를 보간하는 작업을 행하며, 검출 또는 보간한 프레임동기를 프레임동기신호(323)로서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블록(303), 데이터 복조블록(304), 섹터동기 검출블록(305), 섹터동기 보간블록(306),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 및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에 대하여 출력한다.
병렬데이터(322) 및 프레임동기신호(323)를 수취한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블록(303)은 프레임동기신호(323)를 수취한 때, 프레임동기에 부가되어 있는 14비트의 프레임동기코드를 병렬데이터(322)로부터 추출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종류의 프레임동기코드 SY0에서 SY7까지를 8비트로 나타내는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한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는 섹터동기 검출블록(305) 및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으로 출력한다.
병렬데이터(322) 및 프레임동기신호(323)를 수취한 데이터 복조블록(304)은 프레임동기신호(302)를 기준으로 병렬데이터(322)로부터 복조데이터(333)를 생성하는 동시에, 복조데이터를 생성할 때마다 바이트클록(334)을 생성한다. 바이트클록(334)은 복조데이터(333)를 수취하는 타이밍이거나, 복조데이터 수를 계수하기 위해 이용된다.
프레임동기신호(323) 및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를 수취한 섹터동기 검출 블록(305)은 프레임동기신호마다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와 "00000001b"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면 섹터동기를 검출한 것으로 판단한다. 섹터동기를 인식한 것으로 판단한 섹터동기 검출블록(305)은 섹터동기신호(325)를 생성하여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309)으로 출력한다.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은 프레임동기신호(323),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를 수취하면 섹터 내의 몇 번째의 프레임인지를 나타내는 프레임 위치신호(329)를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에 출력하는 동시에,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로부터 프레임위치를 검출할 수 있었던 경우에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로서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으로 출력한다.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은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를 감시하고 있고,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로부터 검출된 프레임위치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328)를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으로 출력한다.
이하에,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 및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의 동작을 도 5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서, 501은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 502는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B, 503은 프레임위치 검출디코더, 505는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카운터, 506은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판정회로이다. 여기서,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은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501),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B(502) 및 프레임위치 검출디코더(503)로 구성하고,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은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카운터(505) 및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판정회로(506)로 구성하고 있다.
프레임동기신호(323) 및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를 수취한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은 프레임동기신호(323)마다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501)의 값을 (n-1) 프레임동기 코드신호(511)로서, 그리고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B(502)의 값을 (n-2) 프레임동기 코드신호(512)로서 프레임위치 검출디코더 (503)로 출력한다.
그리고, 프레임동기신호(323)마다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501)의 값을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B(502)로 저장하고,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를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501)로 저장한다.
여기서,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501)와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B(502)는 시프트 레지스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 위치검출 디코더(503)는 프레임동기 코드신호(324), (n-1) 프레임동기 코드신호(511) 및 (n-2) 프레임동기 코드신호(512)에 저장된 값을 프레임동기신호(323)마다 도입한다. 여기서, 프레임 위치검출 디코더(503)에 도입된 3개의 값은 현재의 프레임의 프레임동기코드, 하나 앞의 프레임의 프레임동기코드, 2개 앞의 프레임의 프레임동기코드로 된다.
이들 3개의 프레임동기코드의 값을 도입한 프레임 위치검출 디코더(503)는 도 7에 나타내는 프레임동기코드의 배열과 대조확인하여, 섹터 내의 몇 번째의 프레임인지를 프레임 위치신호(329)로서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에 출력하는 동시에, 프레임동기 코드배열을 대조확인한 결과, 적합한 배열이 있는 경우에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로서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으로 출력한다.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를 수취한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은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카운터(505)에 있어서, 프레임동기신호(323)마다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를 감시한다. 이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카운터(505)는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가 있는 경우는 계수값을 업(up)하고,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신호(330)가 없는 경우는 계수값을 클리어(clear)하는 카운터로, 계수값을 배열 OK 계수신호(521)로서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판정회로(506)로 출력한다.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계수신호(52l)를 수취한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판정회로(506)는 미리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로부터 설정된 프레임위치 판정조건(513)과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계수신호(521)를 비교하여,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계수신호(521) 쪽이 크면,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328)를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으로 출력한다.
예컨대, 프레임위치 판정조건(513)이 5라고 하면,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 판정회로(506)는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계수신호(521)가 6 이상의 값일 때에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328)를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으로 출력한다.
즉,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328)는 프레임위치 판정조건(513)에서 지정된 횟수보다 많은 횟수만큼 연속하여 프레임위치가 검출된 경우에 출력된다. 즉,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은 프레임위치가 연속하여 검출되어 있는 경우, 검출한 프레임위치를 신뢰할 수 있다고 판정하여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328)를 출력하고, 프레임위치가 연속하여 검출되지 않은 경우, 검출한 프레임위치를 신뢰할 수 없다고 판정하여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328)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상,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3으로 되돌아가,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은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309)으로부터 출력되는 섹터동기신호(331)에서 계수값을 클리어하고, 프레임동기신호(323)에서 계수값을 업(up)함으로써 섹터 내의 프레임수를 계수하는 카운터이다.
또한,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은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으로부터 수취하는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신호(328)가 유효한 경우,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으로부터 수취하는 프레임 위치신호(329)를 계수값으로 도입하는 보정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프레임동기신호(323)에 이상이 생기는 등, 섹터 내의 프레임수의 카 운터값이 잘못되어도 상기 보정기능에 의해 카운터값을 정상적인 값으로 되돌릴 수 있다.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의 계수값은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로서 섹터동기 보간블록(306) 및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블록(311)으로 출력한다.
이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는 섹터 내의 프레임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로, 0에서 25의 26종류의 값으로 변화한다. 또한,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와 섹터 내의 프레임위치의 대응은 0이 첫번째의 프레임, 1이 두번째의 프레임이라는 식으로, 25가 26번째의 프레임이 된다.
섹터동기 보간블록(306)은 프레임동기신호(323)마다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를 감시하고,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가 26프레임째를 나타내고 있을 때, 다음 프레임동기가 섹터의 선두라고 판단한다.
다음 프레임동기가 섹터의 선두라고 판단한 섹터동기 보간블록(306)은 다음 프레임동기신호(323)를 수취할 때 섹터동기 보간신호(326)를 생성하여,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309)으로 출력한다.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309)은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섹터동기 검출신호(325)와 섹터동기 보간신호(326)를 선택함으로써 섹터동기신호(331)를 생성하고,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 및 후술하는 ECC 블록동기를 제어하는 블록으로 출력한다.
즉,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309)은 섹터동기 검출신호(325)와 섹터동기 보간 신호(326) 중에서 신뢰할 수 있는 쪽의 신호를 선택하여 섹터동기신호(331)를 생성한다. 예컨대, 섹터동기 검출신호(325)를 신뢰할 수 없는 경우, 섹터동기 보간신호(326)를 선택한다. 따라서, 섹터동기 검출블록(305)에서 섹터동기 검출신호(325)의 검출누락이나 검출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섹터동기 보간신호(326)를 선택하므로 신뢰성이 있는 섹터동기신호(331)를 출력할 수 있다.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블록(311)은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를 디코드하여, 그 프레임을 저장하는 버퍼메모리의 기준 어드레스인 프레임 어드레스(332)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프레임동기처리 및 섹터동기처리에 이어지는 ECC 블록동기처리에 대하여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즉, 도 4는 본 실시예의 ECC 블록처리수단(1204)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401은 ID 재생블록, 402는 ECC 블록동기 검출블록, 403은 ECC 블록동기 보간블록, 404는 섹터동기 카운터블록, 405는 ID 신뢰성 판정블록, 406은 ECC 블록동기신호 생성블록, 407은 ID 정보어드레스 변환블록이다.
우선, ID 재생블록(401)은 데이터 복조블록(304)으로부터 복조데이터(333)와 바이트클록(334) 및 섹터동기신호 생성블록(309)으로부터 섹터동기신호(331)를 수취하고, 섹터동기신호(331)가 입력된 직후에 복조데이터(333)로부터 4바이트의 ID 정보와 2바이트의 ID 정보의 EDC 패리티를 바이트클록(334)을 수취할 때 취득한다. ID 정보와 ID 정보의 EDC 패리티를 취득한 ID 재생블록(401)은 취득한 ID 정보의 오류검출을 행하고,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 24비트와 ID 정보의 오류검출결과성분 1비트를 ID 취득신호(411)로서 ECC 블록동기 검출블록(402), 섹터동기 카운터블록(404) 및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으로 출력한다.
ECC 블록동기 검출블록(402)은 섹터동기신호(331)마다 ID 취득신호(411)를 수취하고,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오류검출결과성분이 취득한 lD 정보를 정확한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 하위 4비트와 "0000b"를 비교한다. 비교결과가 일치하거나 후술하는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에서 생성되는 상위 어드레스 판정결과신호(416)가 입력된 경우, ECC 블록동기 검출블록(402)은 ECC 블록동기 검출신호(4l2)를 생성하여, ECC 블록 동기신호 생성블록(406)으로 출력한다.
섹터동기신호(331), ID 취득신호(411) 및 후술하는 ECC 블록동기신호(418)를 수취한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은 ID 취득신호(411)가 신뢰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신뢰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섹터동기 카운터블록(404)에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415)를 출력한다. 또한, ECC 블록이 바뀐 것을 검출하면, 상위 어드레스 판정결과신호(416)를 ECC 블록 동기검출블록에 출력한다. 또, ID 취득신호(411)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ID 정보신호(417)로서 ID 정보어드레스 변환블록(407)으로 출력한다.
이하에,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의 동작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서, 601은 어드레스 비교기 A, 602는 어드레스 비교기 B, 603은 어드레스 신뢰성 조건판정 디코더, 604는 선택기, 605는 증분기, 606은 ID 보존 레지스터이다.
ID 취득신호(411)를 수취한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은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오류검출결과성분(612)이 취득한 ID를 정확한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611)과 후술하는 어드레스 기대값신호(618)를 어드레스 비교기 A(601)에서 비교하여, 어드레스의 연속성을 판정한다. 이것은, 어드레스 기대값신호(618)가 다음에 입력되는 ID 취득신호(411)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양자가 일치함으로써 어드레스가 연속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어드레스의 연속성 판정결과는 어드레스 연속성 판정신호(614)로서 어드레스 신뢰성 조건판정 디코더(603)로 출력한다.
어드레스 비교기 B(602)는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611)의 상위 20비트와 후술하는 현재의 ID 정보신호(417)의 어드레스성분 상위 20비트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가 불일치하면 상위 어드레스 판정결과신호(416)로서 ECC 블록 동기검출블록(402)으로 출력한다. 여기서, 섹터동기신호(331)를 수취할 때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611)과 후술하는 현재의 ID 정보신호(417)의 어드레스성분의 관계는 2개의 연속하는 어드레스가 된다. 또한, DVD(101)의 ECC 블록은 16진수로 표시된 ID 정보에 포함되는 어드레스의 하위 4 비트가 "0000b"로부터 시작되는 16섹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위 어드레스 판정결과신호(416)는 연속하는 2개의 섹터의 "(판독한 섹터어드레스정보)/(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의 몫을 비교하게 되어, ECC 블록이 바뀐 것을 나타내게 된다.
어드레스 신뢰성 조건판정 디코더(603)는 미리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로 부터 설정된 어드레스 신뢰성 판정조건(613)에 따라서, ID 취득신호(411)의 ID 정보의 오류검출결과성분(612)과 어드레스 연속성 판정신호(614)를 디코드하고, 어드레스 신뢰성 판정조건(613)을 만족하고 있으면,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415)를 생성한다. 이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415)를 선택기(604) 및 섹터동기 카운터블록(404)으로 출력한다.
선택기(604)는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415)가 ID 취득신호(411)를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ID 취득신호(411)를 선택하고,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415)가 ID 취득신호(411)를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후술하는 어드레스 기대값신호(618)를 선택하는 선택기에서 선택한 어드레스정보를 현재의 어드레스 선택신호(619)로서 ID 보존 레지스터(606)에 출력한다. ·
ID 보존 레지스터(606)는 섹터동기신호(331)마다 현재의 어드레스 선택신호(619)를 저장하여, 저장한 값을 현재의 ID 정보신호(417)로서 증분기(605) 및 ID 정보어드레스 변환블록(407)으로 출력한다.
증분기(605)는 현재의 ID 정보신호(417)의 값에 1을 가산하는 회로로, 가산결과를 어드레스 기대값신호(616)로서 선택기(604), 어드레스 비교기 A(601)로 출력한다. 가산결과가 어드레스 기대값 신호(616)로 되는 것은, DVD(101)의 ID 정보에 포함되는 어드레스성분에는 섹터가 하나 진행할 때마다 어드레스성분도 하나 진행한다는 규칙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상,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도 4로 되돌아가, 섹터동기신호(331), ID 정보취득신호(411), 어드레스 신뢰 성 OK 신호(415) 및 후술하는 ECC 블록동기신호(418)를 수취한 섹터동기 카운터 블록(404)은 섹터동기신호(331)마다 동작하고,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415)가 ID 취득신호(411)를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ID 취득신호(411)의 어드레스 성분 하위 4비트를 카운터값으로서 도입하고, 어드레스 신뢰성 OK 신호(415)가 ID 취득신호(411)를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계수를 업하고, ECC 블록동기신호(418)에서 클리어되는 카운터이다. 따라서, 섹터동기 카운터블록(404)은 신뢰성이 있는 ID 정보라고 판단한 경우, 그 ID 정보에 의해 카운터값이 보정된다. 이 카운터값은 절대섹터 어드레스신호(414)로서 ECC 블록동기 보간블록(403)으로 출력된다.
ECC 블록동기 보간블록(403)은 섹터동기신호(331)마다 절대섹터 어드레스신호(414)를 감시하고, 절대섹터 어드레스신호(414)가 15를 나타내고 있을 때, 즉, ECC 블록의 최종 섹터를 나타내고 있을 때의 섹터동기신호(331)의 수취시에 ECC 블록동기 보간신호(413)를 생성한다.
ECC 블록동기신호 생성블록(406)은 ECC 블록동기 검출신호(412) 및 ECC 블록동기 보간신호(413)를 미리 제어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설정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선택하고, ECC 블록동기신호(418)를 생성한다. 이 ECC 블록동기신호(418)는 섹터동기 카운터블록(404) 및 ID 정보어드레스 변환블록(407)으로 출력된다.
ID 정보어드레스 변환블록(407)은 ECC 블록동기신호(418)마다 현재의 ID 정보신호(417)를 도입하고, 섹터 및 ECC 블록을 저장하는 버퍼메모리의 기준 어드레스인 섹터어드레스(419) 및 ECC 블록 어드레스(420)를 생성한다. 여기서, 섹터어드 레스(419)는 상기 프레임을 저장하는 영역을 26영역 이상 포함하도록 설정해야 하고, ECC 블록 어드레스(420)는 상기 섹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16영역 이상 포함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인 버퍼메모리(106)로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생성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생성수단(12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201은 바이트 카운터, 202는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디코더, 203은 하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 204는 가감산기, 205는 상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 206은 가산기이다. 여기서, 도 3의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블록(311)은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2)와 등가이며, 도 4의 ID 정보어드레스 변환블록(407)은 하위 ID 어드레스변환디코더(203), 가감산기(204) 및 상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5)로 구성하고 있다.
바이트 카운터(201)는 프레임동기신호(323)로 클리어되고, 바이트클록(334)을 계수하는 카운터이다. 즉, 바이트카운터(201)는 프레임의 선두에서 클리어되고, 복조데이터 수를 계수하게 되고, 카운터값은 그대로 프레임 내의 91바이트를 저장하는 버퍼메모리(106)의 어드레스가 된다. 바이트 카운터(201)의 카운터값은 프레임 내 어드레스(213)로서 가산기(206)로 출력한다.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2)는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를 프레임동기신호(323)에서 도입하고, 절대프레임 위치신호(327)의 입력에 대하여 도 9의 (a)에 나타내는 출력을 얻는 디코더이고, 이 디코드 결과를 프레임 어드레 스(332)로서 가산기(206)로 출력한다.
하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3)는 현재의 ID 정보신호(417)의 하위 4비트를 섹터동기신호(331)에서 도입하고, 현재의 ID 정보신호(417)의 하위 4비트의 입력에 대하여 도 9의 (b)에 나타내는 출력을 얻는 디코더이고, 이 디코드 결과를 섹터어드레스(419)로서 가산기(206)로 출력한다.
가감산기(204)는 현재의 ID 정보신호(417)의 상위 20비트로부터, 미리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가 설정하는 호스트(109)로부터 요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ID 정보(221)의 상위 20비트를 감산한다. 이 때, 각각의 하위 4비트는 버린다. 상기 계산결과에 버퍼메모리(106)로 저장개시하는 위치정보(212)를 가산하여, 그 결과를 ECC 블록위치정보(214)로서 상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5)로 출력한다.
상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5)는 ECC 블록동기신호(418)마다 ECC 블록위치정보(214)를 도입하고, 제산(ECC 블록위치정보(214))/(버퍼메모리(106)에 저장 가능한 ECC 블록수)의 나머지를 절대 ECC 블록 어드레스로서 입력하면, 도 9의 (c)와 같은 출력을 얻는 디코더이고, 이 디코드 결과를 ECC 블록 어드레스(223)로서 가산기(206)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9의 (c)의 예는 버퍼메모리(106)에 저장 가능한 ECC 블록을 4개로 한 것이다.
가산기(206)는 프레임 내 어드레스(213), 프레임 어드레스(332), 섹터어드레스(419) 및 ECC 블록 어드레스(420)를 가산하는 가산기로, 이 가산결과가 버퍼메모리 저장어드레스(215)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프레임동기를 검출할 수 없거나 지나치게 검출한 경 우, 프레임동기가 정상으로 검출되기 시작하면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이 프레임위치를 검출하고,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에서 검출한 프레임위치를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확인하는 수단을 가지므로, 정확도가 높은 프레임 동기위치를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에 판독시킬 수 있어,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2)에 의해, 버퍼메모리(106)에 저장되는 섹터 내의 절대적인 프레임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섹터동기를 검출할 수 없거나 지나치게 검출한 경우, 섹터동기가 정상으로 검출되기 시작하면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에서 신뢰성이 높은 ID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이 ID 정보를 하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3) 및 상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5)에 입력함으로써 버퍼메모리(106)에 저장되는 ECC 블록 내의 절대적인 섹터위치 및 버퍼메모리(106) 내의 절대적인 ECC 블록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또, 도 10의 (a)와 같이 결함섹터만을 스킵하는 DVD-RAM의 결함섹터 관리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입된 디스크재생이나, 도 10의 (b)와 같이 결함섹터를 포함하는 ECC 블록을 스킵하는 DVD-RAM의 결함섹터 관리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입된 디스크재생에 있어서, 결함섹터의 위치정보가 주어지지 않고, 결함섹터의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06)에 저장하였다고 해도 결함섹터 전후의 ID 정보의 어드레스는 연속하고 있고,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에서 신뢰성이 높은 ID 정보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함섹터의 데이터를 저장한 버퍼메모리(106)의 영역에 정확한 데이터를 덧쓰기할 수 있어, 결함섹터를 의식하지 않고 상기 결함섹터를 포함하는 디스크재생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DVD(101)로부터 판독한 데이터를 버퍼메모리(106)로 저장할 수 없게 되더라도, 프레임위치 검출블록(308), 프레임위치 신뢰성 판정블록(310),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에서 각 데이터구성에서의 절대적인 데이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2), 하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3) 및 상위 ID 어드레스 변환디코더(205)에서 어드레스로 변환함으로써 버퍼메모리(106)로의 데이터저장 어드레스가 정상으로 보정되어, 재생능력이 높은 광디스크 재생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어서,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의 결함섹터 검출수단(1205)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상기 실시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있어서, 1101은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A, 1102는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 1103은 증분기 A, 1104는 감산기, 1105는 ID 보존 레지스터, 1106은 증분기 B, 1107은 비교기, 1108은 결함섹터 검출기이다.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A(1101)는 물리 ID 신호(1112)마다 ID 재생신호(1 111)의 ID 정보의 오류검출성분을 감시하고, 취득한 물리 ID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ID 재생신호(11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을 도입하고, 물리 ID 취득신호(1113)로서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1102) 및 감산기(1104)로 출력한다. 여기서, 물리 ID 신호(1112)는 프레임동기 생성신호블록(302)에서 프레임동기 뿐만 아니라 물리 ID의 동기인 AM도 검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생성 가능하고, 물리 ID 신호(1112)를 데이터 복조블록(304)에 공급함으로써, ID 재생블록(401)에서 물리 ID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ID 재생신호(1111)는 ID 재생블록(401)의 출력과 등가이다. 또, AM이란 DVD-RAM 포맷으로 기술되어 있는 것이고, AM 뒤에 물리 ID가 기술되어 있다.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1102)와 ID 보존 레지스터(1105)는 섹터동기신호(331)마다 ID 재생신호(1111)의 ID 정보의 오류검출성분을 감시하고, 취득한 ID에 오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1102)에는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A(1101)를 도입하고, 물리 ID 신호(1114)로서 증분기 A(1103)로 출력하며, ID 보존 레지스터(1105)에는 ID 재생신호(11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을 도입하고, ID 신호(1117)로서 증분기 B(1106)로 출력한다.
즉, 섹터동기신호(331)가 입력되더라도 ID 재생신호(1111)가 취득한 ID에 오류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A(1101)를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1102)에 도입하지 않고, 물리 ID 신호(1114)를 증분기 A(1103)에 출력하지 않는다. 또한, ID 보존 레지스터(1105)에는 ID 재생신호(11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을 도입하지 않고, ID 신호(1117)를 증분기 B(1106)에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1102)에는 오류가 없는 것으로 신뢰할 수 있는 물리 ID만이 저장되고, 증분기 A(1103)에는 오류가 없는 것으로 신뢰할 수 있는 물리 ID의 물리 ID 신호(1114)만 증분기 A(1103)에 출력된다. 또한, ID 보존 레지스터(1105)에는 오류가 없는 것으로 신뢰할 수 있는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만이 저장되고, 증분기 B(1106)에는 오류가 없는 것으로 신뢰할 수 있는 ID 신호(1117)가 출력된다.
증분기 A(1103)는 물리 ID 신호(1114)를 1 가산하고, 물리 ID 기대값 신호(1115)로서 감산기(1104)로 출력한다.
증분기 B(1106)는 ID 신호(1117)를 1 가산하고, ID 기대값 신호(1118)로서 비교기(1107)로 출력한다.
감산기(1104)는 물리 ID 취득신호(1113)로부터 물리 ID 기대값(1115)을 감산하고, 결함섹터수(1116)를 생성한다. 결함섹터수(1116)는 결함섹터 검출기(1108)로 출력한다.
비교기(1107)는 ID 정보신호(1111)의 ID 정보의 오류검출결과성분이 취득한 ID 정보를 정확한 것으로 나타내는 경우, ID 정보신호(1111)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과 ID 기대값신호(1118)를 비교하여 2개의 신호가 일치한 경우 ID 연속성 신호(1119)로서 결함섹터 검출기로 출력한다.
결함섹터 검출기(1108)는 ID 연속성 신호(1119)가 입력되고, 결함섹터수(1116)가 0이 아닌 경우, 결함섹터를 검출한 것으로 하여, 결함섹터 검출신호(1120)를 출력한다. 결함섹터 검출신호(1120)가 출력된 경우, 결함섹터수(1116)에 나타낸 값이 유효하게 된다. 또한, 물리 ID 기대값 신호(1115)는 결함섹터의 개시를 나타낸다.
즉, 신뢰할 수 있는 2개의 ID 정보의 어드레스성분이 연속하고 있고, 그 2개의 물리 ID가 연속이 아닌 경우, 상기 2개의 1D 정보에 대응하는 섹터의 사이에 결 함섹터가 존재한다. 결함섹터 검출기(1108)는 이렇게 하여 결함섹터를 검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1O의 (a)와 같은 결함섹터만을 스킵하는 DVD-RAM의 결함섹터 관리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입된 디스크재생이나, 도 10의 (b)와 같은 결함섹터를 포함하는 ECC 블록을 스킵하는 DVD-RAM의 결함섹터 관리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가 기입된 디스크재생에 있어서, 감산기(1104)가 0이 아니라는 조건과 비교기(1107)에 의한 ID 정보의 연속성으로부터 결함섹터의 존재, 결함섹터의 개시 어드레스, 결함섹터의 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산기(1104)가 0이 아니라는 조건과 비교기(1107)에 의한 ID 정보의 연속성으로부터 결함섹터의 존재, 결함섹터의 개시 어드레스, 결함섹터의 수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로부터 결함섹터정보를 수취하여 결함섹터처리를 수행하는 수동적인 동작 뿐만아니라, 결함섹터를 검출하여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08)에 지시할 수 있는 능동적인 결함섹터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광디스크 재생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디스크의 재생데이터 중의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하여 얻은 정보에 맞추어 버퍼메모리의 절대적인 어드레스로 변환하기 때문에 광디스크로부터 재생데이터를 버퍼메모리의 정확한 영역으로 저장할 수 있고, 또한 해석하여 얻은 정보의 유무, 결함섹터수 및 결함섹터의 어드레스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능동적인 결함섹터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처나 지문 등이 있는 광디스크의 데이터재생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재생데이터를 버퍼메모리로 저장하는 것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고, 또 한, 결함섹터가 있는 광디스크재생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결함섹터 관리처리에 관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 결과, 상처나 지문 등이 존재하거나 결함섹터가 존재하는 광디스크의 데이터를 버퍼메모리로 정확하게 저장할 수 있고, 결함섹터 관리처리에 관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우수한 광디스크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컨트롤러블록(118)을 구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1202), 복조처리수단(1203), ECC 블록처리수단(1204)은 본 발명의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ECC 블록처리수단(1204)은 본 발명의 섹터어드레스신뢰성 판정장치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결함섹터 검출수단(1205)은 본 발명의 결함섹터 판정장치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ECC 블록처리수단(1204)은 본 발명의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의 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복조처리수단(1203), ECC 블록처리수단(1204)은 본 발명의 해석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생성수단(1202)은 본 발명의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ID 재생블록(401)은 본 발명의 섹터어드레스정보 판독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ECC 블록동기 보간블록(403), 섹터동기 카운터블록(404)은 본 실시예의 섹터어드레스 보간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ID 신뢰성 판정블록(405)은 본 발명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신뢰성 판정조건(613)은 본 발명의 소정의 기준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ID 정보는 본 발명의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블록(303)은 본 발명의 프레임동기코드 판독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A(501), 프레임동기 코드부호화 레지스터 B(502)는 본 발명의 기억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프레임위치 검출디코더(503)는 본 발명의 연속성 판정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프레임동기 코드배열 OK 카운터(505)는 본 발명의 계수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프레임위치 검출결과 채용판정회로(506)는 본 발명의 프레임위치 판단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프레임위치 판정조건(513)은 본 발명의 소정의 조건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프레임동기 카운터블록(307)은 본 발명의 프레임위치 보간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프레임동기 카운터값 어드레스 변환블록(311)은 본 발명의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ID 재생블록(401)은 본 발명의 오류검출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비교기 A(601)는 본 발명의 섹터어드레스 연속성 판정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신뢰성 판정조건(613)은 본 발명의 소정의 설정조건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신뢰성 조건판정 디코더(603)는 본 발명의 신뢰성 판정수단의 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A(1101),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1102), 증분기 A(1103), 감산기(1104), ID 보존 레지스터(1105), 증분기 B(1106)는 본 발명의 연속성 검출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결함섹터 검출기(1108)는 본 발명의 결함섹터 검출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감산기(1104), 결함섹터 검출기(1108)는 본 발명의 통지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물리 ID 정보는 본 발 명의 섹터 물리어드레스정보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ID 신호는 본 발명의 섹터 논리어드레스정보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A(1101)는 본 발명의 섹터 물리어드레스정보 판독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물리 ID 보존 레지스터 B(1102)는 본 발명의 섹터 물리어드레스정보 오류검출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증분기 A(1103), 감산기(1104)는 본 발명의 섹터 물리어드레스정보 비교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ID 보존 레지스터(1105)는 본 발명의 섹터 논리어드레스정보 판독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ID 보존 레지스터(1105)는 본 발명의 섹터 논리어드레스정보 오류검출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증분기 B(1106), 비교기(1107)는 본 발명의 섹터 논리어드레스정보 비교수단의 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ID 재생 블록(401)은 본 발명의 오류검출수단의 예이고,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비교기 B(602)는 본 발명의 섹터어드레스 제산수단의 예이며, 본 실시예의 어드레스 신뢰성 조건판정 디코더(603), 선택기(604), ID 보존 레지스터(606), 어드레스 비교기 B(602)는 본 발명의 ECC 블록 검출수단의 예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또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또는 결함섹터 판정장치 또는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의 수단(또는, 장치, 소자, 회로, 부 등)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의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또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또는 결함섹터 판정장치 또는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의 수단(또는, 장치, 소자, 회로, 부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이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면서, 판독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컴퓨터와 협동하여 상기 기능을 실행하는 매체이다.
또, 본 발명의 일부의 수단(또는, 장치, 소자, 회로, 부 등), 본 발명의 일부의 단계(또는, 공정, 동작, 작용 등)란 그들의 복수의 수단 또는 단계 내의 몇가지 수단 또는 단계를 의미하고, 또는 하나의 수단 또는 단계 내의 일부의 기능 또는 일부의 동작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이용형태는 전송매체 내를 전송하고,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며, 컴퓨터와 협동하여 동작하는 형태라도 된다.
또한, 기록매체로서는 ROM 등이 포함되고, 전송매체로서는 인터넷 등의 전송매체, 광 ·전파 ·음파 등이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컴퓨터는 CPU 등의 순수한 하드웨어에 한하지 않고, 펌웨어나, OS, 또한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되고, 하드웨어적으로 실현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문이나 상처 등의 요인으로 동기검출 ·보간신호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버퍼메모리에 저장한 데이터의 대응이 붕괴되지 않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결함섹터정보를 취득하지 않더라도,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ECC 블록동기 검출장치, 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5)

  1. 동기패턴 및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 바이트의 데이터인 제 1 데이터 군과, 그 제 1 데이터 군이 복수 개 모여서 구성되는 제 2 데이터 군과, 그 제 2 데이터 군이 복수 개 모여서 구성되는 제 3 데이터 군을 갖는 데이터구조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패턴 및,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과,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제 1 데이터 군의 동기패턴 및 상기 제 1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1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1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제 1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2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2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제 2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3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3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버퍼링을 개시한 버퍼메모리의 버퍼메모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 3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4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4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상기 제 1 어드레스와 상기 제 2 어드레스와 상기 제 3 어드레스와 상기 제 4 어드레스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버퍼메모리의 절대적인 버퍼메모리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판독된 데이터는 상기 버퍼메모리의 상기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데이터란 섹터어드레스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데이터란 프레임동기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수단은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섹터 어드레스정보를 판독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이 얻어지지 않은 섹터에 대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보간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보간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판독수단에서 판독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보간수단에서 보간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선택수단을 갖고,
    상기 어드레스 생성수단은 상기 선택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버퍼메모리로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는 오류검출부호가 부가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신뢰성을 판정한다는 것은 상기 부가되어 있는 오류검출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함으로써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뢰성을 판정한다는 것은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판 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이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요구되는 신뢰성의 기준이고,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선택수단은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요구되는 신뢰성의 기준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 판정수단에서 판정된 상기 판정결과를 해석하여 2개의 섹터어드레스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이다.
  8.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동기코드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된 프레임동기코드를 부호화하여 차례로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부호의 나열로부터 프레임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가 연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 중 상기 연속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된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계수된 연속하는 프레임위치의 개수와 외부제어수단으로 부터 설정 가능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에서 수치화된 값을 프레임위치라고 판단하는 프레임위치 판단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판단수단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이전에 조건을 만족한 프레임위치를 기초로 보간하여 프레임위치로 하는 프레임위치 보간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보간수단에서 구한 상기 프레임위치 또는 상기 프레임위치판단수단에서 판단한 프레임위치로부터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판독된 데이터는 상기 버퍼메모리의 상기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항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동기패턴 및 데이터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수 바이트의 데이터인 제 1 데이터 군과, 그 제 1 데이터 군이 복수 개 모여서 구성되는 제 2 데이터 군과, 그 제 2 데이터 군이 복수 개 모여서 구성되는 제 3 데이터 군을 갖는 데이터구조에 의거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동기패턴 및,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위치데이터를 해석하는 해석수단과,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제 1 데이터 군의 동기패턴 및 상기 제 1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1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1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제 1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2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2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제 2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3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3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버퍼링을 개시한 버퍼메모리의 버퍼메모리 어드레스와 상기 제 3 데이터 군의 위치데이터로부터 제 4 어드레스를 작성하는 제 4 어드레스 작성수단과,
    상기 제 1 어드레스와 상기 제 2 어드레스와 상기 제 3 어드레스와 상기 제 4 어드레스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버퍼메모리의 절대적인 버퍼메모리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20. 제 8항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부가되어 있는 프레임동기코드를 판독하는 판독수단과,
    상기 판독된 프레임동기코드를 부호화하여 차례로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부호의 나열로부터 프레임의 위치를 수치화하는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가 연속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수치화된 프레임위치 중 상기 연속하고 있다고 판정된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수단과,
    상기 계수수단에서 계수된 프레임위치의 연속개수와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 설정 가능한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한 결과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한 경우에 상기 프레임위치 수치화수단에서 수치화된 값을 프레임위치라고 판단하는 프레임위치 판단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판단수단에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이전에 조건을 만족한 프레임위치를 기초로 보간하여 프레임위치로 하는 프레임위치 보간수단과,
    상기 프레임위치 보간수단에서 구한 상기 프레임위치 또는 상기 프레임위치판단수단에서 판단한 프레임위치로부터 버퍼메모리에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어드레스 생성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에는 오류검출부호가 부가되어 있고, 상기 해석수단은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연속성 판정수단과,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의 소정의 설정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결과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의 판정결과로부터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 판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3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가, n섹터(n=정수)에 걸쳐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고, 오류정정부호가 연속하는 n섹터에 들어있는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오류검출수단에서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없었던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를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로 나눈 몫을 구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제산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오류검출수단이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상기 몫과, 하나 앞에 구해진 상기 몫을 비교하여, 그 결과가 불일치하면 ECC 블록동기를 검출한 것으로 하는 ECC 블록 검출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31.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데이터 판독수단과,
    외부기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판독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판독된 데이터를 버퍼메모리에 일시 기억한 후 상기 외부기기에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 1항 내지 제 8항, 제 29항 내지 제 3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를 탑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재생장치.
  32. 제 29항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광디스크 매체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판독된 데이터로부터 현재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와 이전에 추출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을 판정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연속성 판정수단과,
    상기 외부제어수단으로부터의 소정의 설정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검출결과와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연속성의 판정결과로부터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신뢰성을 판정하는 신뢰성 판정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33. 제 30항에 기재된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의, 상기 광디스크 매체에서 판독된 데이터가, n섹터(n=정수)에 걸쳐 오류정정부호가 부가되고, 오류정정부호가 연속하는 n섹터에 들어 있는 데이터인 경우에, 상기 해석수단에 의해 해석된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검출수단과,
    상기 오류검출수단에서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에 오류가 없었던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를 ECC 블록을 구성하고 있는 섹터수로 나눈 몫을 구하는 섹터어드레스정보 제산수단과,
    상기 섹터어드레스정보 오류검출수단이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오류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독된 섹터어드레스정보의 상기 몫과, 하나 앞에 구해진 상기 몫을 비교하여, 그 결과가 불일치하면 ECC 블록동기를 검출한 것으로 하는 ECC 블록 검출수단의 전부 또는 일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한 매체로서,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34. 삭제
  35. 삭제
KR1020027001771A 2000-06-08 2001-06-06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이씨씨 블록동기 검출장치,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 KR100554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72540A JP3459225B2 (ja) 2000-06-08 2000-06-08 バッファメモリアドレス変換装置、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媒体
JPJP-P-2000-00172540 2000-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536A KR20020027536A (ko) 2002-04-13
KR100554425B1 true KR100554425B1 (ko) 2006-02-22

Family

ID=1867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1771A KR100554425B1 (ko) 2000-06-08 2001-06-06 버퍼메모리 어드레스 변환장치, 섹터어드레스정보 신뢰성판정장치, 결함섹터 판정장치, 이씨씨 블록동기 검출장치,광디스크 재생장치, 매체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6618B2 (ko)
JP (1) JP3459225B2 (ko)
KR (1) KR100554425B1 (ko)
CN (2) CN1560865B (ko)
TW (1) TWI224773B (ko)
WO (1) WO2001095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7674A (ja) 2004-03-16 2005-09-29 Ricoh Co Ltd 情報記録方法と情報記録装置
EP1739672A1 (en) * 2005-07-01 2007-01-0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mory accesses in an AV decoder
JP2007193876A (ja) * 2006-01-18 2007-08-02 Hitachi Global Storage Technologies Netherlands Bv 記録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その欠陥領域管理方法
JP4910807B2 (ja) * 2006-03-23 2012-04-04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8077767A (ja) * 2006-09-21 2008-04-03 Sanyo Electric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プログラム
US8316273B2 (en) * 2009-05-18 2012-11-20 Mediatek Inc. Driving circuit for driving reading operation of optical drive and method for reading information from optical data storage medium
JP2010287271A (ja) 2009-06-10 2010-12-24 Panasonic Corp 誤り訂正方法、及びデータ再生装置
JP2016146225A (ja) * 2015-02-09 2016-08-12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ディスク装置、ライブラリ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1869A (ja) * 1990-10-01 1992-05-15 N T T Data Tsushin Kk 光ディスク媒体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
JPH06275032A (ja) * 1993-03-24 1994-09-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JPH08111075A (ja) * 1994-10-11 1996-04-30 Sony Corp 補間アドレス生成装置及び補間アドレス生成方法
TW318240B (ko) * 1996-01-22 1997-10-21 Sony Co Ltd
KR100238412B1 (ko) 1997-04-19 2000-01-15 김영환 Dvd용 블럭 동기문자 신호 생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30630B2 (ja) 1997-09-25 2006-10-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誤記録検出方法及び装置並びに情報記録方法及び装置
JPH11149705A (ja) * 1997-11-17 1999-06-02 Sony Corp 再生装置及びデータ蓄積方法
US5978954A (en) * 1997-11-25 1999-11-02 Palmchip Corporation On-the-fly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buffer processor
JPH11162105A (ja) 1997-11-28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データ転送回路
JP4224875B2 (ja) * 1998-07-17 2009-02-18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JP3376297B2 (ja) * 1998-09-30 2003-02-10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上の欠陥領域に対する代替領域設定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60865B (zh) 2010-05-12
CN1560865A (zh) 2005-01-05
JP2001351318A (ja) 2001-12-21
TWI224773B (en) 2004-12-01
US7116618B2 (en) 2006-10-03
WO2001095328A1 (fr) 2001-12-13
CN1383556A (zh) 2002-12-04
KR20020027536A (ko) 2002-04-13
US20050226115A1 (en) 2005-10-13
JP3459225B2 (ja) 2003-10-20
CN1197076C (zh) 2005-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892B1 (ko)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 관리를 위한 결함 검출회로를 구비한 광디스크 재생/기록 시스템 및 그 방법
US7116618B2 (en) Defective sector determination device and optical disk drive
US7058875B2 (en) Method of correcting data on a high-density recording medium
US7974168B2 (en) Data storage medium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storage medium
US7079458B2 (en) Buffer memory address translation device
JP3724168B2 (ja) 状態検出装置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6975570B1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using optical disk and method therefor and information recording syste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4145024B2 (ja)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媒体再生システム
KR100615418B1 (ko) 디지털 데이터 복조장치, 디지털 데이터 변조장치, 및디지털 데이터 변복조장치
US7110333B2 (en) Disk player
US7106667B2 (en) Data recording device capable of restarting after an interruption
US20030081524A1 (en) Bi-phase mark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k drive device with the same
JP2003228853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197814A (ja) 欠陥セクタ判定装置、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媒体
JP2731395B2 (ja)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のアドレス検出装置
JP3697333B2 (ja) 光ディスク駆動装置
US20100110855A1 (en) Robust position detection for incremental recording
JP3495005B2 (ja) ディスク再生方法、及びディスク再生装置
JP3719680B2 (ja) 同期生成方法及び同期生成回路
US20090103411A1 (en) Decode device,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JP3906125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288310A (ja)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KR19990055443A (ko) 프레임 싱크 기록 및 검출방법
JP2000187858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2283472A (ja) アドレス信号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