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75B1 -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75B1
KR100553875B1 KR1019990006288A KR19990006288A KR100553875B1 KR 100553875 B1 KR100553875 B1 KR 100553875B1 KR 1019990006288 A KR1019990006288 A KR 1019990006288A KR 19990006288 A KR19990006288 A KR 19990006288A KR 100553875 B1 KR100553875 B1 KR 10055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lutch
registration
pick
t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713A (ko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0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387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05Curl smoothing, i.e. smoothing down corrugated printing material, e.g. by pressing means acting on wrinkled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45Guides for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4Detents, brakes, or couplings for feed rollers o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Landscapes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인쇄용지 급지수단과;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급지수단에 놓인 용지를 픽업할 수 있도록 픽업클러치와,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픽업수단과;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단속하는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와, 용지선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지스트레이션센서와,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의 동력 단속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선단정렬롤러를 포함한 레지스트레이션수단;을 구비한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은 구동원을 구동하는 단계와; 픽업클러치를 온(ON)시켜 급지수단에 놓인 용지를 픽업하는 단계와; 픽업클러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와; 용지에 의한 레지스트레이션센서의 온(ON) 이후 소정시간 동안 픽업된 용지를 진행시킨후 구동원을 정지시켜 선단정렬롤러에 막힌 용지의 컬량이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감광매체에 현상된 화상에 용지가 매칭된 후, 구동원을 재 구동하고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를 온(ON)시켜 용지를 전사유니트에 급지하는 단계와; 레지스트레이셔 클러치를 오프(OFF)시키고 및 구동원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apacity of curl for printing paper of paper feeding apparatus for printer}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용 급지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은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급지수단 11...급지부 13...급지센서
20...구동원 30...픽업수단 31...픽업롤러
35...픽업클러치 37...캠부재 40...가이드수단
41...가이드플레이트 43...중계기어 45...가이드롤러
47...잼감지센서 50...레지스트레이션수단
51...레지스트레이션센서 53...선단정렬롤러
55...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 60...프레임
70...감광매체 80...전사유니트
본 발명은 인쇄기용 급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쇄용지의 선단 스큐 및 접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인쇄기용 급지장치는 인쇄용지 급지수단(10)과, 구동원(20)과, 이 구동원(20)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급지수단(10)에 놓인 인쇄용지(P)를 픽업하는 픽업수단(30)과, 상기 픽업수단(30)을 통해 픽업된 용지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40) 및, 상기 구동원(10)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구동되어 감광매체(70)에 현상된 화상에 맞추어 용지가 공급되도록 하는 레지스트레이션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지수단(10)은 급지부(11)와, 이 급지부(11) 상에 인쇄용지(P)의 유무를 감지하는 급지센서(13)를 포함한다. 상기 급지부(11)는 인쇄기 프레임(60)에 대해 일단이 힌지결합되며, 일 회전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어 있다. 이 급지부(11)는 수동급지를 하는 곳으로 별도의 용지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는다. 상기 급지센서(13)는 급지된 인쇄용지(P)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급지부(11) 내에 용지 유무를 감지한다. 상기 픽업수단(30)은 픽업롤러(31)와, 중계기어들(33)을 통해 전달된 상기 구동원(20)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픽업롤러(31)에 전달하는 픽업클러치(35)와, 일단이 상기 픽업롤러(31)의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픽업롤러(31)의 회전위치 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급지부(11)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캠부재(37)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상기 픽업롤러(31)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수단(50)쪽으로 이송하는 가이드플레이트(41)와, 상기 구동원(20)과 맞물려 회전되는 다수의 중계기어(43)에 맞물려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에 가이드된 용지의 진행을 가이드롤러(45)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수단(40)은 상기 픽업수단(30)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되어, 픽업된 용지의 잼(jam)여부를 판단하는 잼감지센서(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수단(50)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를 통해 가이드된 용지 선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를 통과한 인쇄용지의 선단스큐 조절 및 전사유니트(80)를 통해 전사된 화상과 용지를 매칭하기 위한 선단정렬롤러(53)와, 상기 구동원(20)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상기 선단정렬롤러(53)에 전달하는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급지부(11)에 인쇄용지(P)가 급지된 상태에서 수동급지모드에서 인쇄가 시작되면 구동원(20)이 구동하게 된다. 이 구동원(20)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가이드롤러(45), 픽업클러치(35) 및,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롤러(45)는 상기 구동원(20)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원(20)의 구동시 항상 구동되며, 상기 픽업클러치(35) 및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는 구동원(20)의 구동시 그 자체의 온(ON)/오프(OFF)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인쇄기의 현상유니트에서 전달된 신호에 의해 상기 픽업클러치(35)가 온(ON)되고, 이에 따라 픽업롤러(31)가 동작하여 상기 급지부(11)에 장착된 용지가 급지된다. 한편,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는 상기 픽업클러치(35)의 온 상태 이후, 소정 시간 예컨대 3.33초 후에 온 되어 선단정렬롤러(53)를 구동하여 용지를 전사유니트(80) 쪽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시간차를 두고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를 구동하는 이유는 급지된 용지의 선단이 소정 곡면으로 굽어진 형상의 컬(curl)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단정렬을 위함이다. 상기 잼감지센서(47) 및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는 급지된 용지의 잼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지장치를 동작하는 경우에는 인쇄용지의 컬량이 일정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용지선단이 급지부(11)의 정렬위치에 대해 앞선 경우는 상기 선단정렬롤러(53)에서 컬이 과도하게 발생하여 용지의 잼이나 접힘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픽업롤러(31)에 대한 용지의 미끌림등에 의해 용지선단이 밀린 경우, 선단정렬롤러(53)에서의 컬이 적게 발생하거나 발생되지 않음으로 용지선단의 스큐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쇄용지 컬량을 조절하여 인쇄용지의 선단 스큐 및 접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쇄용지 급지수단과;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급지수단에 놓인 용지를 픽업할 수 있도록 픽업클러치와,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픽업수단과; 픽업된 용지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단속하는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와,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가이드된 용지선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지스트레이션센서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의 동력 단속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전사유니트를 통해 전사된 화상과 용지를 매칭하기 위한 선단정렬롤러를 포함하는 레지스트레이션수단;을 구비한 인쇄기용 용지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을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클러치를 온(ON)시켜 상기 급지수단에 놓인 용지를 픽업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클러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와; 용지에 의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센서의 온(ON) 이후 소정시간 동안 픽업된 용지를 진행시킨후 상기 구동원을 정지시켜 상기 선단정렬롤러에 막힌 용지의 컬량이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감광매체에 현상된 화상에 용지가 매칭된 후, 상기 구동원을 재 구동하고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를 온(ON)시켜 용지를 전사유니트에 급지하는 단계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를 오프(OFF)시키고 및 상기 구동원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 명된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를 따른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을 설명한다.
초기에는 픽업클러치(35)와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는 오프(OFF) 되어 있어서 동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급지부(11)에 인쇄용지(P)가 급지된 상태에서 구동원을 구동한다(S10). 이 구동원(20)에서 제공되는 동력은 가이드롤러(45), 픽업클러치(35) 및,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에 전달된다. 이후, 픽업클러치(35)를 온(0N)시켜 픽업롤러(31)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급지수단(10)에 놓인 용지를 픽업한다(S20). 여기서, 상기 픽업클러치(35)의 온 시점은 인쇄기의 감광매체 노광 시기로부터 소정 시간 이후로 설정된다.
이어서, 픽업된 용지가 상기 가이드롤러(45)에 맞물린 후 상기 픽업클러치(35)를 오프시킨다(S40). 이에 따라 상기 픽업롤러(31)는 급지되는 용지에 종동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급지경로 상에 잼감지센서(47)가 더 구비된 경우는 상기 픽업클러치(35) 온 단계(S20)와 오프 단계(S40) 사이에 잼여부를 감지하는 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픽업클러치(35) 온 이후 소정시간 T1 이내에 잼감지센서(47)가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잼감지센서(47)가 온 된 경우는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잼처리한다.
이후, 상기 픽업클러치(35) 온 이후 소정시간 T2 이내에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가 온 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온 된 경우는 정상적으로 다음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잼처리한다.
이어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의 온(ON) 이후 소정시간 T3 동안 픽업된 용지를 진행시킨후(S60) 상기 구동원(20)을 정지시킨다(S70). 상기 구동원(20)의 정지에 의해 용지를 전달하는 가이드롤러(45)가 정지되어 용지의 진행을 멈추게 된다. 한편, T3 시간동안 용지의 진행시, 용지의 선단이 상기 선단정렬롤러(53)에 막힌 상태로 소정 시간 경과되므로 용지 선단에 컬이 발생되며,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와 선단정렬롤러(53) 사이의 간격 및 용지 이송속도가 일정하므로 시간 제어를 통해 용지선단의 컬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속도, 거리 및 시간 사이의 관계식(속도= 거리/시간)에 의하여, 용지 이송속도가 일정한 경우는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와 선단정렬롤러(53) 사이의 간격과 컬량의 합인 거리는 용지의 이동시간에 비례한다. 또한,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와 선단정렬롤러(53)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다. 그러므로, 시간제어를 통하여 비례 관계에 있는 컬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감광매체(70)에 현상된 화상에 용지가 매칭되었는지 여부를 시간을 통해 판단한 후(S80), 화상과 용지가 매칭된 경우 용지를 전사유니트(80)에 급지한다. 용지의 급지는 상기 구동원(20)을 재 구동하고(S90),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를 온(ON) 시킴으로써(S100) 선단정렬롤러(53)를 구동하여 용지를 전사유니트(80)에 급지한다. 마지막으로 급지완료후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55)를 오프시키고(S130) 및 상기 구동원(20)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급지완료는 용지의 통과에 의한 레지스트레이션센서(51)의 오프 여부를 판별한 후(S110), 오프된 후 소정시간 T4 경과후의 시간으로 판별한다(S120).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지선단의 컬량을 조절함으로써, 용지선단이 급지부의 정렬위치에 대해 앞선 경우 또는 픽업롤러에 대한 용지의 미끌림등에 의해 용지선단이 밀린 경우에도 선단정렬롤러의 전단에서 형성되는 용지선단의 컬량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지의 컬량 과다에 따른 용지 잼 및 접힘 과, 컬량 부족에 따른 용지선단의 스큐 에러 발생을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Claims (1)

  1. 인쇄용지 급지수단과;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이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으로부터 상기 급지수단에 놓인 용지를 픽업할 수 있도록 픽업클러치와,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픽업수단과; 픽업된 용지의 진행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 및, 상기 구동원에서 제공된 동력을 단속하는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와, 상기 가이드수단을 통해 가이드된 용지선단의 위치를 감지하는 레지스트레이션센서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의 동력 단속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전사유니트를 통해 전사된 화상과 용지를 매칭하기 위한 선단정렬롤러를 포함하는 레지스트레이션수단;을 구비한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을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클러치를 온(ON)시켜 상기 급지수단에서 용지를 픽업하는 단계와;
    상기 픽업클러치를 오프(OFF)시키는 단계와;
    용지에 의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센서의 온(ON) 이후 소정시간 동안 픽업된 용지를 진행시킨후 상기 구동원을 정지시켜 상기 선단정렬롤러에 막힌 용지의 컬량이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단계와;
    감광매체에 현상된 화상에 용지가 매칭된 후, 상기 구동원을 재 구동하고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를 온(ON)시켜 용지를 전사유니트에 급지하는 단계와; 상기 레지스트레이션클러치를 오프시키고 및 상기 구동원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량 조절방법.
KR1019990006288A 1999-02-25 1999-02-25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 KR10055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288A KR100553875B1 (ko) 1999-02-25 1999-02-25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288A KR100553875B1 (ko) 1999-02-25 1999-02-25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713A KR20000056713A (ko) 2000-09-15
KR100553875B1 true KR100553875B1 (ko) 2006-02-24

Family

ID=19575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288A KR100553875B1 (ko) 1999-02-25 1999-02-25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38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144B1 (ko) 2004-09-11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원고 급지장치의 급지제어방법
KR100620308B1 (ko) 2004-11-03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인쇄매체 톱 마진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3076A (ja) * 1988-10-31 1990-05-10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H04303350A (ja) * 1991-03-29 1992-10-27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給紙装置の搬送機構
JPH07157147A (ja) * 1993-12-03 1995-06-20 Ricoh Co Ltd 用紙搬送装置
JPH10147443A (ja) * 1996-11-18 1998-06-02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5848789A (en) * 1995-04-07 1998-12-15 Juki Corporation Medium supply apparatus with error detection
JPH1129245A (ja) * 1997-07-10 1999-02-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3076A (ja) * 1988-10-31 1990-05-10 Canon Inc 画像記録装置
JPH04303350A (ja) * 1991-03-29 1992-10-27 Fuji Photo Film Co Ltd 自動給紙装置の搬送機構
JPH07157147A (ja) * 1993-12-03 1995-06-20 Ricoh Co Ltd 用紙搬送装置
US5848789A (en) * 1995-04-07 1998-12-15 Juki Corporation Medium supply apparatus with error detection
JPH10147443A (ja) * 1996-11-18 1998-06-02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H1129245A (ja) * 1997-07-10 1999-02-0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713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48756B1 (en) Sheet bundle folding apparatus
US7308853B2 (en) Bulk paper feeding device with intermediate conveyor for image forming device
JPS61226424A (ja) 給送装置
US7003257B2 (en) Hole-punching proces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960013675A (ko) 용지 운송장치
JP4517926B2 (ja) プリンタの記録紙ローディング方法
US7207559B2 (en) Sheet treating apparatus
KR100553875B1 (ko) 인쇄기용 급지장치의 인쇄용지 컬(curl)량 조절방법
JP4920882B2 (ja) 搬送部材解除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KR20060063202A (ko) 레지스트레이션장치 및 이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
JP3455370B2 (ja) プリンタにおける連続紙の搬送制御方式
JP2004175501A (ja) 画像露光装置
JP3319180B2 (ja) シート搬送装置
KR100565085B1 (ko)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H0540026Y2 (ko)
US5893021A (en) Sheet feeding system including leading edge detection
KR100717039B1 (ko) 급지 정렬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와, 용지의급지 정렬 방법
KR100268134B1 (ko) 자동 급지장치
KR100290174B1 (ko) 사무기기의 용지 급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769957B2 (ja) 印字装置
JP381508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04678A (ja) 給紙装置及び記録装置
KR100189157B1 (ko) 프린터의 픽업로울러 위치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H0622678Y2 (ja) 複写機の原稿自動送り装置
KR100465239B1 (ko) 사무기기의 수동급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