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3856B1 -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3856B1
KR100553856B1 KR1020017003701A KR20017003701A KR100553856B1 KR 100553856 B1 KR100553856 B1 KR 100553856B1 KR 1020017003701 A KR1020017003701 A KR 1020017003701A KR 20017003701 A KR20017003701 A KR 20017003701A KR 100553856 B1 KR100553856 B1 KR 100553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magnetic tape
pallet
holding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5305A (ko
Inventor
하야시요이치
미쯔타아키라
Original Assignee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5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5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10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one reel or core, one end of the record carrier coming out of the magazine or casset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11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magazines or cassettes, e.g. initial loading into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28Progressively advancing of work assembly station or assembled portion of work
    • Y10T29/49829Advancing work to successive stations [i.e., assembly l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 Y10T29/49901Sequentially associating parts on stationary align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98Work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313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 Y10T29/5337Means to interrelatedly feed plural work parts from plural sources without manual intervention including assembly pal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35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including assembly pal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465Film or tape cartridge

Landscapes

  • Automatic Assembly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 복수의 조립 스테이션은 각각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의 각 부분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로봇(130)을 포함하고, 각각 상부 케이스(2a)가 배치되는 팔레트(200)를 순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팔레트 전달 기구(135)를 포함한다. 팔레트(200)는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가 릴(3) 형성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법으로 브레이크 스프링(12, 13)의 구동력에 대항하여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를 각각 유지할 수 있는 전·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 리드 결합부(15a)가 리드(30)와 맞물리지 않는 방법으로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를 유지할 수 있는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230), 릴 스프링(8)의 구동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 상에 릴(3)을 유지할 수 있는 릴 유지 기구(240) 및 상부 케이스(2a) 측 상에 하부 케이스(2b)를 유지할 수 있는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를 포함한다. 따라서, 뛰어난 조립 정확도를 가지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다.
리드, 유지 기구, 맞물림부

Description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MAGNETIC TAPE CARTRIDGE}
본 발명은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주위에 자기 테이프가 감긴 단일 릴을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컴퓨터 등에서 외부 저장 용도의 기록 매체로 사용되고, 단일 릴 주위에 자기 테이프가 감긴 타입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컴퓨터 등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내에 중요한 정보가 저장된 이후에, 테이프의 잼(jam) 현상 등과 예측 불가능한 자기 테이프의 인출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3은 DLT(digital linear tape)로 공지되어 있는 상술한 타입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참조하면, 자기 테이프(1)는 초음파에 의해 용접된 상부 릴(4)과 하부 릴(5)을 조합하여 구성된 단일 릴(3) 주위에 감겨 있으며, 이 단일 릴(3)은 나사(19) 등과 같은 것에 의해 고정된 상부 케이스(2a)와 하부 케이스(2b)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케이스(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된다.
상부 릴(4)은 외주연(外周緣) 상에 자기 테이프(20)를 감을 수 있도록 하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릴 허브(hub)(42)와, 릴 허브(42) 상단의 외주연으로부터 상부 릴(4)의 원주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43)를 포함하며, 상기 릴 허브(42)와 플랜지부(43)는 합성 수지로 일체 형성된다. 그리고 릴 허브(42)의 하저부 외측면에는, 상부 릴(4)을 구동 회전시키는 맞물림 기구로 기능하는 고정 톱니가 절삭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플랜지부(43)의 외주연에는 사용되지 않는 동안 상부 릴(4)의 회전을 제한할때 결합되는 한 쌍의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를 갖는 제한 기어(43a)가 절삭 형성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허브(42)의 하저 오목부는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반면, 하부 릴(5)은 릴 허브(42)의 하저부의 외면(outer surface)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중심부를 갖는 디스크로 형성되며, 하부 릴(5)은 초음파에 의해 상부 릴(4)과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용접되는 상부 릴(4)과 하부 릴(5)을 포함하는 릴(3)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자면, 카트리지 케이스(2) 내에 릴(3)을 조립할 때, 베어링(6)은 릴 허브(42)의 하저 오목부에 압력을 받아 삽입 고정되고, 스프링 플러그(7)는 베어링(6)의 중심부에 형성된 홀에 압력을 받아 삽입 고정된다. 그리고 릴 스프링(8)은 스프링 플러그(7)에 장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릴(3)이 하부로 향하도록 가압력을 가하며, 릴(3)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릴(3)이 예측 불가능하게 회전하지 못하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구성하는 브레이크 스프링(12), (13)에 의해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 제한 기어(43a)와 맞물리는 전·후방 릴 기어 브레이크(50), (51)로 릴(3)을 고정한다. 또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릴(3)의 주위에 자기 테이프(20)를 완전히 감은 상태로 되어 있으며, 선단 테이프(21)(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사용하는 기록·재생 장치가 기록·재생 장치 내에 제공된 소정의 테이프 이동 경로로 자기 테이프(20)를 시작하도록 하는 기구(mechanism))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의 측면에 근접하게 위치된 부분에 결합된 후크(hook)(18)의 선단 끝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상호 협동하여 카트리지 케이스(2)를 형성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소정 측벽(2a), (2b)에는, 자기 테이프(20)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카트리지 케이스(2)의 자기 테이프 배출 개구(24)를 형성하도록 상호 협동하는 노치부(24a), (24b)가 형성된다. 그리고 자기 테이프(20) 인출 개구(24)에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의 평면 방향에서 개폐 가능한 리드(lid)(30)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리드(30)는 리드 지지축(14)에 자유롭게 개폐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형성하는 리드 스프링(15)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진다. 또한 리드(30)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리드(3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리드 스프링(16)에 의해 적절한 힘을 받는 리드 록킹부(40)로 고정된다. 또한, 리드(30)와 반대되는 카트리지 케이스(2)의 반대편 상의 위치에는 쓰기 방지부(17)가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외부 저장 매체 등과 같은 대응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세팅하면, 장치 측면에 형성된 회전 구동 기구(mechanism)는 릴 스프링(8)의 구동력과 반대 방향으로 하부 케이스(2b)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2c)로 노출된 릴(3)의 고정 톱니와 맞물린다. 동시에 장치의 측면상에 제공된 테이프 인출 기구에 의해 리드(30)가 열리고, 테이프 이동 경로 내의 소정 위치로 선단 테이프(21)가 당겨지게 되므로, 자기 테이프(2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다수의 부품을 포함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조립할 때, 가능한 한 많은 부품을 단위 시간 내에 조립하면서 동시에 비용을 절감하고 조립 결함을 피하기 위해서 자동 조립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동 조립 장치에는, 직선형으로 배치된 작업장에서 많은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해서, 각각 벨트 컨베이어 등과 같은 전달 장치에 의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워크(work)를 수납하고 다양한 부품을 상기 워크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 로봇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조립 스테이션이 직선형으로 배치된 조립 라인을 이용한다. 즉 현재의 조립 라인은 다목적 자동 조립 장치로, 여기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 내의 조립 로봇의 조종기(manipulator) 선단부에 탑재되는 지그(jig)를 적절히 바꿔줌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부품을 순차적으로 조립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자동 조립 장치를 이용하여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조립할 때는 먼저 워크로 취급되는 상부 케이스(2a)는 상하로 전도되거나 또는 뒤집어진 상태로 벨트 컨베이어에 위치한 팔레트에 놓여지게 된다.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에서는 이렇게 전도된 상부 케이스(2a)에 다양한 부품, 예를 들어 릴 스프링(8), 브레이크 스프링(12), (13),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 리드 스프링(15), 리드(30), 후크(18) 및 쓰기 방지부(17) 등을 미리 조립한다. 다음에 상부 케이스(2a)에 릴(3)을 조립하며, 이후 상부 케이스(2a)에 하부 케이스(2b)를 조립한다.
그러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는 릴 스프링(8), 브레이크 스프링(12), (13), 리드 스프링(15) 등과 같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탄성 가압력을 받는 상태로 미리 조립되는 많은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순차적으로 상부 케이스(2a)를 제공될 때, 각각의 부품이 떨어지거나 낙하하기가 쉽게 된다. 이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에 있어서, 벨트 컨베이어 등과 같은 전달 기구를 사용하여 워크를 전달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는, 릴(3)을 상부 케이스(2a)에 조립할 때, 각각의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의 록킹 기어부가 릴(3) 설치 영역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유지해야 했거나, 상부 케이스(2a)에 하부 케이스(2b)를 조립하기 전까지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에 릴(3)을 유지해야만 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조립 스테이션이 직선형으로 배열되는 조립 라인에서 상술한 부품을 조립할 때,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에는 상술한 방식으로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 및 릴(3)을 고정할 수 있는 유지 기구가 제공되어야 하였으며, 이는 조립 스테이션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였다.
또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는 엄격한 조립 정확성이 요구되므로, 벨트 컨베이어로 전달되는 워크(work)의 거동이 정확하게 제어되어져야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 조립 장치의 기구는 엄격한 조립 정확성을 충족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제공하지 못하였으며, 조립 공정에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수율을 저하시켰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조립 장치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생산성으로 우수한 조립 정확도를 갖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개선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으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으로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자기 테이프가 감기는 릴 허브(hub) 하부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고, 자기 테이프를 구동하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결합 기구(mechanism)와 릴 허브의 상단부의 외주(外周)로부터 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의 외연부에 배치된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기어를 포함하는 릴과,
하부에 회전 구동 결합 기구를 노출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 개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중첩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릴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측으로 향해서 릴을 가압하기 위해서 상부 케이스와 릴 사이에 개재된 릴 스프링과,
릴의 제한 기어와 맞물리고, 브레이크 스프링에 의해서 맞물림 방향으로 가압되는 록킹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릴 브레이크와,
자기 테이프에서 인출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형성된 자기 테이프 인출 개구 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드(lid) 스프링에 의해서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는 리드를 포함하며,
각각 직선 방식으로 배치되고, 각각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로봇을 구비하는 복수의 조립 스테이션은 각각 상부에 놓여진 상부 케이스와 함께 팔레트를 순차적으로 운반할 수 있고, 또한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는 릴 브레이크가 릴의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 브레이크의 록킹 기어부를 유지할 수 있고,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는 리드 결합부가 리드와 결합되지 않는 방식으로 리드 스프링의 리드 결합부를 유지할 수 있고, 릴 유지 기구는 조립 스테이션에 배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 측에 릴을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각각의 부품이 조립 로봇에 의해서 상부 케이스에 조립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자기 테이프 조립 장치로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자기 테이프가 감기는 릴 허브(hub) 하부의 외측면 상에 형성되고, 자기 테이프를 구동하거나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 결합 기구(mechanism)와 릴 허브의 상단부의 외주(外周)로부터 릴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의 외연부에 배치된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 기어를 포함하는 릴과,
하부에 회전 구동 결합 기구를 노출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 개구를 구비하는 하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중첩된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릴을 회전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릴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카트리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측으로 향해서 릴을 가압하기 위해서 상부 케이스와 릴 사이에 개재된 릴 스프링과,
릴의 제한 기어와 맞물리고, 브레이크 스프링에 의해서 맞물림 방향으로 가압되는 록킹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부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릴 브레이크와,
자기 테이프에서 인출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형성된 자기 테이프 인출 개구 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드(lid) 스프링에 의해서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는 리드를 포함하며,
각각 직선 방식으로 배치되고, 각각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로봇을 구비하는 복수의 조립 스테이션은 각각 상부에 놓여진 상부 케이스와 함께 팔레트를 순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팔레트 운반 기구(mechanism)를 포함하며, 또한 팔레트는 릴 브레이크가 릴의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식으로 브레이크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 브레이크를 유지할 수 있는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와, 리드 결합부가 리드와 결합되지 않는 방식으로 리드 스프링의 리드 결합부를 유지할 수 있는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와, 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 측에 릴을 유지할 수 있는 릴 유지 기구를 포함하며,
또한 각각의 유지 기구는 조립 스테이션에 각각 배치된 구동 기구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자기 테이프 조립 장치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의 록킹 기어부가 릴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식으로 팔레트 내에 각각 배치된 유지 기구에 의해 지지되면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의 소정 조립 위치로 순차적으로 운반된 팔레트 상에 놓여진 상부 케이스에 릴이 조립된다. 또한 동시에, 리드 스프링의 리드 결합부가 리드와 결합되지 않는 방식으로 상술한 유지 기구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리드도 상부 케이스에 조립된다. 이는 릴과 리드의 조립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 측에 릴을 유지한 상태로 다음 조립 스테이션으로 릴을 운반하기 때문에, 팔레트를 운반할 때 릴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분리될 염려는 없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유지 기구가 각각의 팔레트 내에 배치되므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 내에는,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유지 기구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 기구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유지 기구는 자유로이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암 부재와, 유지 위치와 비유지 위치 사이에서 암 부재를 클릭(click)할 수 있는 탄성 가압 기구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 기구에 가압력에 의해서 소정 위치로 향한 방향으로 요동되어지는 암 부재의 요동 단부측에 상술한 각각의 부품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구성에서, 구동 기구(mechanism)는, 구성이 간단한 압력 부재를 암 부재의 접촉부에 대해서 전진 및 후퇴시키면서, 압력 부재를 구동하여 전진 및 후퇴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간단하게 암 부재를 유지 위치와 비유지 위치 사이에서 클릭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스테이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피치 컨베이어에 배치되는 팔레트에 상부 케이스를 전달하기 위한 전달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에 사용되는 전달 기구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전달 기구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의 개략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팔레트 전달 기구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팔레트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팔레트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 7에 나타낸 팔레트의 평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낸 팔레트상에 놓여지는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10의 우측은 도 7에 나타낸 팔레트에 놓여진 릴 유지 기구의 부분 단면 설명도이고, 좌측은 마찬가지로 도 7에 나타낸 팔레트에 놓여진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의 부분 단면 설명도.
도 11은 도 10에 각각 나타낸 팔레트의 릴 유지 기구와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 공급 장치의 주요 부분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도 10에 각각 나타낸 팔레트의 릴 유지 기구와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 공급 장치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술한 종래의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언급은 생략하기로 한다.
삭제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카세트 조립 라인(101)과 릴 조립 라인(102)으로 구성된다.
릴 조립 라인(102)은 부품 컨테이너부(103)로부터 벨트 컨베이어(104)로 상부 릴(4)을 공급하기 위한 상부 릴 공급 스테이션(105)과, 상부 릴(4)의 상부(上部)에 하부 릴(5)을 중첩시키고 초음파로 서로 용접하는 하부 릴 공급/용접 스테이션(106)과, 상부 릴(4)과 하부 릴(5)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용접 검사 스테이션(107) 및 베어링(6)과 스프링 플러그(7)를 가압하여 릴(3)에 삽입 고정시키는 베어링/플러그 탑재 스테이션(108)을 포함하며, 릴 조립 라인(102)은 벨트 컨베이어(109)를 통하여 후술하는 카세트 조립 라인(101)에 포함되는 릴 조립 스테이션(117)으로 릴(3)을 공급한다.
카세트 조립 라인(101)은 카트리지 공급 스테이션(110), 핫 프린트(hot print) 스테이션(111), 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2),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3), 후크 및 리드 스프링 조립 스테이션(114), 리드 조립 스테이션(115), 쓰기 방지부와 릴 스프링 조립 스테이션(116), 릴 조립 스테이션(117), 하부 케이스 조립 스테이션(118), 카트리지 검사 스테이션(119) 및 카트리지 수집 스테이션(120)을 포함한다.
상호 협동하여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를 형성하는 상부 및 하부 케이스(2a), (2b)는, 다수의 가늘고 긴 핀과 다른 복잡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부 및 하부 케이스(2a), (2b)가 변형하기 쉽다. 즉 이와 같이 쉽게 변형될 수 있는 특성의 측면 뿐만 아니라 공간적 효율성과 처리의 효율성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2a), (2b)는 미리 하나의 쌍을 이루어 컨테이너(132) 내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공급 스테이션(110) 내에, 부품 컨테이너부(132)에 한 쌍으로 저장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2a), (2b)는 부품 컨테이너부(132)로부터 인출되어 서로 따로 분리되며, 그 후 이렇게 분리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2a), (2b)는 각각의 벨트 컨베이어(121), (122)로 전달된다. 상부 케이스(2a)는 벨트 컨베이어(121)로 전달되어져, 하류측에 위치한 핫 프린트 스테이션(111)으로 전달되고, 반면 벨트 컨베이어(122)로 전달된 하부 케이스(2b)는 각 스테이션을 통과하여 하류측의 하부 케이스 조립 스테이션(118)으로 전달된다.
핫 프린트 스테이션(111) 내에서, 벨트 컨베이어 상의 상부 케이스(2a)는 피치 컨베이어(123)에도 위치한 팔레트(200)에 놓여지며, 이후에 핫 스탬프 장치(124)에 의해 상부 케이스(2a)에 쓰기 방지용의 식별 표시가 형성된다.
한편 피치 컨베이어(123) 상의 팔레트(200) 위로 상부 케이스(2a)를 배치시킬 때, 위치 결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팔레트(200)의 위치 결정 결합부에 대한 상부 케이스(2a)와의 간격을 감소시킨다면, 상기 팔레트(200)의 위치 결정 결합부가 아주 조금만 정(正)위치에서 이동하여도 상부 케이스(2a)가 위치 결정 결합부와 결합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팔레트(200)의 위치 결정 결합부에 대한 상부 케이스(2a)와의 간격을 좀 더 크게 한다면, 상부 케이스(2a)가 흔들리게 되고, 따라서 상부 케이스(2a)의 위치를 결정했을 때, 상기 큰 간격에 따라서 상부 케이스의 위치 이동은 더욱 커지게 된다. 팔레트(200)에 대한 상부 케이스(2a)의 위치 이동이 큰 경우에는, 하류측에 배치된 조립 장치에 대해 상부 케이스(2a)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21)와 피치 컨베이어(123) 사이에는, 상부 케이스(2a)가 느슨하게 결합되는 위치 결정 오목부(128a)를 포함하는 임시 스탠드(128)가 위치한다. 상부 케이스(2a)와 팔레트(200)의 위치 결정 결합부 사이의 간격을 비교하면, 상부 케이스(2a)와 임시 스탠드(128)의 위치 결정 오목부(128a) 사이의 간격이 크게 설정되며, 따라서 이때 상부 케이스(2a)는 임시 스탠드(128)의 위치 결정 오목부(128a)에 결합되는 식으로 전달 장치(125) 내에 놓여진 흡입 기구(126)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21)로부터 임시 스탠드(128) 위로 전달되지만, 상부 케이스(2a)는 정위치에서 크게 이동하지 않고 임시 스탠드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상부 케이스(2a)는 다른 흡입 기구(127)에 의해 임시 스탠드(128)로부터 팔레트(200)로 전달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a)의 위치 결정이 대략 정해지기 때문에 임시 스탠드(128)에 의해 팔레트(200)의 위치 결정 결합부와 상부 케이스(2a) 사이의 간격을 작게 설정하여 위치 결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면, 임시 스탠드(128) 내의 탑재 위치에 기초하여 팔레트(200) 상에 상부 케이스(2a)를 장착하기 때문에 팔레트(200)의 위치 결정 결합부에 상부 케이스(2a)가 전달되어 정확하게 장착되어질 수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임시 스탠드(128)에 의한 위치 결정 동작을 통해 팔레트(200)의 위치 결정 결합부에 상부 케이스(2a)가 탑재되므로, 전달 장치(125) 자체는 고정밀도의 위치 결정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다목적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달 기구(123)의 팔레트(200)에 탑재된 상부 케이스(2a)측에는, 각각 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2),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3), 후크와 리드 스프링 조립 스테이션(114), 리드 조립 스테이션(115), 쓰기 방지부와 릴 스프링 조립 스테이션(116), 릴 조립 스테이션(117), 및 하부 케이스 조립 스테이션(118)에서 다양한 구성 부품, 예를 들어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 리드(30), 릴(3), 하부 케이스(2b) 등이 조립된다.
여기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에서는 1 내지 3 개의 부품이 조립될 뿐만 아니라, 이들 부품들을 검사하기도 한다. 즉 하나의 스테이션 내에서 조립되어지는 부품의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테이션에서는 제품의 변경에 대응하는게 어려워지지만, 스테이션에서의 비용은 감소된다. 따라서 각 조립 스테이션에서 조립되는 부품의 숫자는 제품의 변경 가능성에 따라 결정된다.
직선형 조립 라인에 배치되는 각 조립 스테이션은 다양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로봇(130)과, 조립 로봇(130)으로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기(131)와, 상부 케이스(2a)를 위에 탑재한 팔레트(200)을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팔레트 전달 기구(135)와, 하부 케이스(2b)를 전달하기 위한 벨트 컨베이어(122), 및 상류측으로 빈 팔레트(200)를 전달하기 위한 리턴 컨베이어(160)를 포함한다. 즉 각 조립 스테이션은 독립된 조립 스테이션 유니트(unit)를 형성한다. 한편 각 조립 스테이션에서 팔레트 전달 기구(135), 벨트 컨베이어(122) 및 리턴 컨베이어(160)는 실제로는 상세한 측면에서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3)과 같이, 각 조립 스테이션의 폭방향의 두 측면에는 유지 보수용의 개/폐 도어(312)로 덮혀 있으며, 각 조립 스테이션의 전면(前面)에는 제어 패널(310)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조립 스테이션에는 전달 기구 제어 유니트(313), 조립 로봇 제어 유니트(314) 등의 다양한 제어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각 조립 스테이션의 팔레트 전달 기구(135)는,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3)과 마찬가지로 전달 컨베이어(136)와 피치 컨베이어(137)를 포함하고 있다. 즉 팔레트 전달 기구(135)는 팔레트(200)를 순차적으로 전달하면서 하류측 조립 스테이션에 팔레트(200)를 전달할 수 있다.
전달 컨베이어(136)는 인버터(inverter) 모터 등과 같은 가변 속도 모터(141)를 사용하는 한 쌍의 무한 벨트(140)를 구동하여 2 단계로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제어된다. 각 무한 벨트(140)는 복수의 벨트 풀리(142, 143)에 감겨 있으며, 회전축(144)에 고정된 벨트 풀리(143)의 회전에 따라 도 3에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구동 벨트(145)를 통해 속도 가변 모터(141)로 구동된다.
삭제
그리고 상류측(도 3의 좌측) 피치 컨베이어(137)로부터 하류측(도 3의 우측) 피치 컨베이어(137)로 소정의 전달 방향(도 3에 나타낸 화살표 A)을 따라 각각의 무한 벨트(141)에 배치된 팔레트(200)를 전달할 때, 피치 컨베이어(137)와 겹치는 영역 B에서, 전달 벨트(136)는 무한 벨트(140)의 이동 속도를 피치 컨베이어(137)의 속도 변화에 따라 제 1 속도에서 제 2 속도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피치 컨베이어(137)는 외주연에 복수의 클로(claw) 부재(146a)를 포함하는 무한 벨트(146)를 서보 모터 등과 같은 구동 모터(147)에 의해 간헐적으로 구동한다. 무한 벨트(146)는 한 쌍의 풀리(149), (150)에 감겨져 있으며, 구동 모터(147)가 구동 풀리(150)를 회전시키면, 무한 벨트(146)는 피구동 풀리(149)를 회전시키면서 도 3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 풀리(150)는 구동 벨트(148)를 통해 구동 모터(147)에 연결되어 있다.
전달 컨베이어(136)의 무한 벨트(140)의 동작을 살펴보면, 구동되는 무한 벨트(140) 상에 위치한 팔레트(200)가 피치 컨베이어(137)의 전면 클로 부재(146a)와 접촉하여 피치 컨베이어(137)의 구동이 개시되면, 무한 벨트(140)의 속도는 피치 컨베이어(137)의 후방 클로 부재(146a)가 팔레트(200)와 접하기 전에 제 1 속도에서 제 2 속도로 증가된다. 즉 피치 컨베이어(137)의 후방 클로 부재(146a)가 팔레트(200)와 접하게 되면 전달 컨베이어(136)의 무한 벨트(140)의 제 2 속도는 피치 컨베이어(137)의 무한 벨트(146)의 속도보다 빠르게 된다.
즉 팔레트(200)의 전달 방향 전방 끝단이 피치 컨베이어(137)의 후방 클로 부재(146a)와 접촉한 상태에서, 피치 컨베이어(137)의 후방 클로 부재(146a)는 피구동 풀리(149) 주위를 이동하면서 상승한다. 따라서 팔레트(200)의 전달 방향 후방 끝단은 피치 컨베이어(137)의 후방 클로 부재(146a)로부터 거의 충격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팔레트(200)에 배치된 상부 케이스(2a)에 조립되는 각각의 구성 부품은 피치 컨베이어(137)의 후방 클로 부재(146a)에 의한 충격이 원인이 되는 위치 이탈이나 부품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 스테이션 사이에서 팔레트(200)를 안정된 상태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에서 피치 컨베이어(137) 상에 배치된 팔레트(200)는 각각 무한 벨트(146)의 양 측면상에 형성된 2 개의 가이드부(151a), (151b)에 의해 안내 지지되고, 피치 컨베이어(137)의 후방 클로 부재(146a)에 의해 눌려서 간헐적으로 구동되며, 각 조립 로봇(130)의 부품 조립부로 전달된다. 이후에 팔레트(200)는 팔레트 위치 결정 기구(후술함)에 의해 정확한 부품 조립 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조립 로봇(130)은 팔레트(200) 상에 위치한 상부 케이스(2a)에 소정의 부품을 조립한다.
벨트 컨베이어(122)는, 도 5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레트 전달 기구(135)의 팔레트의 전달 방향을 따라 측면에 배치되며, 구동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폭이 넓은 무한 벨트(152) 상에 배치된 하부 케이스(2b)와 상부 케이스(2a)를 함께 나란히 하류의 하부 케이스 조립 스테이션(118) 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리턴 컨베이어(160)는 전달 방향을 따라서 팔레트 전달 기구(135)의 아래쪽 방향에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무한 벨트(161)를 구동 모터(미도시)로 구동하면, 리턴 컨베이어(160)는 완전하게 조립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가 카트리지 수집 스테이션(120)으로 제거된 빈 팔레트(200)를 상류측에 위치한 핫 프린트 스테이션(111)으로 전달하거나 복귀시킨다.
또한 팔레트(200)는, 리프트 장치(미도시)에 의해 피치 컨베이어(137)로부터 리턴 컨베이어(160) 상으로 전달되거나 또는 각 카트리지 수집 스테이션(120)과 핫 프린트 스테이션(111)에 배치되는 리턴 컨베이어(160)로부터 피치 컨베이어(123)로 전달된다.
그러므로 팔레트(200)는 카세트 조립 라인(101) 내에서 카트리지 수거 스테이션(120)과 핫 프린트 스테이션(111) 사이에서 순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 전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제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당연히 다양한 공지의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팔레트 전달 장치(135)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달되는 팔레트(2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팔레트(200)는, 도 7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실질적으로 사각형상 베이스 기판(201)의 네 개의 코너부에 형성되고 상부 케이스(2a)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네 개의 위치 결정 결합부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브레이킹 스프링(1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3) 설치 영역(도 8에서 가상선으로 표시한 영역)으로부터 록킹 기어부(50a)가 후퇴할 수 있도록 전방 릴 브레이크(50)의 록킹 기어부(50a)를 유지할 수 있는 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브레이킹 스프링(13)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3) 설치 영역으로부터 록킹 기어부(51a)가 후퇴할 수 있도록 후방 릴 브레이크(51)의 록킹 기어부(51a)를 유지할 수 있는 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20)와, 리드 결합부(15a)가 리드(30)와 결합하지 않도록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를 유지할 수 있는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230)와,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 상에 릴(3)을 유지할 수 있는 릴 유지 기구(240)와, 나사(19)에 의해 연결되기 전에 릴 스프링(8)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 상에 하부 케이스(2b)를 유지할 수 있는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 및, 턱부(265a)(jaw portion)에 의해서 쓰기 방지부(17)를 일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정 핀(265)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케이스(2a)의 위치 결정용의 4 개의 위치 결정 결합부는 지지벽 (202a), (203a), (204a), (205a)과, 지지벽(202b), (203b), (204b), (205b)을 포함하고, 이 지지벽은 각각 베이스 기판(210)의 4 모서리 부분에 상부 케이스(2a)와 상부 케이스(2a)를 그 수직 방향 내에서 위치 결정하도록 하는 상부 끝면을 각각 갖는 4 개의 원통 형상의 지지 부재(206)의 전달 방향 뿐만 아니라 상부 케이스(2a)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수평 표면의 범위 내에서 상부 케이스(2a)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팔레트(200) 상에 배치된 상부 케이스(2a)의 위치 결정에 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4 개의 원통 형상의 지지 부재(206) 각각의 상부 단부면 상에 상부 케이스(2a)의 상부면이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부 케이스(2a)의 수직 방향이 위치 결정되며, 동시에 상부 케이스(2a)의 4 개의 코너 중에서 외부 가장자리부는 지지벽(202a), (203a), (204a), (205a)과, 지지벽(202b), (203b), (204b), 205b)에 둘러싸여 상술한 수평면 내에 상부 케이스(2a)의 위치가 결정된다.
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는 베이스 기판(201)에 수직으로 배치된 지지축(212)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암 부재(211)와, 암 부재(211)를 가압하여 전방 릴 브레이크 유지 위치(도 8에 나타낸 위치)와 전방 릴 브레이크 비유지 위치(도 7에 나타낸 위치) 사이에서 클릭(click) 동작하도록 이용되는 탄성 가압 기구(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가압 기구는 2 개의 단부 사이에 지지축(212)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그 한쪽 단부는 암 부재(211)에 수직으로 제공된 지지핀 상에 놓여 있는 반면, 다른쪽 단부는 소정의 위치에 제공된 지지핀 상에 놓여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지지축(212)과 한 쌍의 지지핀은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고, 암 부재(211)는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이 중립 상태로 유지된 위치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되며, 탄성 가압 기구는 요동 방향에 있는 암 부재(211)를 가압하여 암 부재(211)가 클릭 동작을 하도록 한다.
한편 암 부재(211)의 요동 범위는 스토퍼 핀(216) 또는 (218)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서 제한된다.
암 부재(211)의 팔레트 내측 요동 단부에는, 브레이크 스프링(1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전방 릴 브레이크(50)의 해제 암 부분(50b)의 상부 끝단을 유지하는데 이용되는 유지부(211a)가 형성된다. 특히 유지부(211a)는 브레이크 스프링(12)의 가압력에 기인하는 전방 릴 브레이크(50)의 회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지부(211a)의 단차부 또는 테이퍼면이 전방 릴 브레이크(50)가 부상(float)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20)는 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를 바라보는 대각선 상에 위치하고, 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특히 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20)는 베이스 기판(201) 상에 수직으로 놓여진 지지축(222) 상에서 요동 가능하기 축 지지된 암 부재(221)와, 암 부재(211)를 가압하여 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위치(도 8에 나타낸 위치)와 후방 릴 브레이크 비유지 위치(도 7에 나타낸 위치) 사이에서 클릭 동작하도록 하는 탄성 가압 기구(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탄성 가압 기구는 두 단부 사이에 지지축(222)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한쪽 단부는 암 부재(221)에 수직으로 제공된 지지 핀에 놓인 반면에 다른쪽 단부는 소정의 위치에 제공된 지지 핀에 놓여져 있다. 그리고 지지축(222)과 한 쌍의 지지핀이, 예를 들어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면 암 부재(221)는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이 중립 상태로 유지된 위치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고, 이후에 탄성 가압 기구는 요동 방향으로 암 부재(221)를 가압하여 암 부재(221)가 클릭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암 부재(221)의 요동 범위는 스토퍼 핀 (226) 또는 (228)과 접촉하게 됨에 따라서 제한된다.
삭제
암 부재(221)의 팔레트 내측 요동 단부에는, 브레이크 스프링(13)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술한 록킹 기어부(51a)가 형성된 후방 릴 브레이크(51)의 결합 암(arm) 부분의 상단을 유지하는 유지부(221a)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유지부(221a)는 브레이크 스프링(13)의 구동력에 기인하여 후방 릴 브레이크(51)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유지부(221a)의 단차부 또는 테이퍼면이 후방 릴 브레이크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50), (51)에 대한 암 부재(211), (221)의 각각의 릴 브레이크 유지력(도 8에 나타낸, 각각의 화살표 X1, X2로 표시)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상부 케이스(2a)를 움직이도록 하는 힘(도 8의 화살표 Y1, Y2로 표시)으로 작용하므로, 릴 브레이크 유지력은 지지벽(204a), (204b)에 상부 케이스(2a)가 항상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이러한 상태로 상부 케이스(2a)를 유지하는 동안에, 전방 및 후방 릴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는 팔레트(200)에 상부 케이스(2a)를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뿐만 아니라 예압(preload)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후속 단계에서 부품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팔레트(200)가 전달되는 동안 진동으로 초래되는 부품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삭제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230)는 베이스 기판(201)에 수직으로 놓여진 지지축(232)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암 부재(231)와, 암 부재(231)를 가압하여 리드 스프링 유지 위치(도 9에 나타낸 위치)와 리드 스프링 비유지 위치(도 7과 도 8에 나타낸 위치) 사이에서 클릭 동작하도록 하는 탄성 가압 기구(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탄성 가압 기구는 두 단부 사이에 지지축(232)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한쪽 단부는 암 부재(231)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 핀에 놓인 반면에, 다른쪽 단부는 소정 위치에 형성된 지지핀에 놓여진다. 그리고, 예를 들어 지지축(232)과 한 쌍의 지지핀을 동일한 직선 라인에 배치하고, 암 부재(231)가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이 중립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하면, 탄성 가압 기구는 요동 방향으로 암 부재(231)를 가압하여 암 부재(231)가 클릭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암 부재(231)의 요동 범위는 스토퍼부(236) 또는 (238)와 접함에 따라 제한된다. 또는 상술한 지지핀은 스포터 핀과 같은 역할을 하며 암 부재(231)의 요동 운동을 정지시킨다.
암 부재(231)의 팔레트 내측 요동 단부 내에는, 리드 스프링(1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를 유지하는 V형 단면의 홈을 구성하는 유지부(23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a)의 주변 테두리부와 면하는 암 부재(231)의 요동 단부 하단 가장자리에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드 스프링 유지 위치에 유지된 암 부재(231)의 하측면과 상부 케이스(2a)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상부 케이스(2a)의 부상(浮上)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릴 유지 기구(240)는, 팔레트의 전달 방향을 따라 각각 쌍을 이루지만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기판(201)에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지지벽(249), (249)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특히 릴 유지 기구(240)는 수평 지지축(242)이 팔레트 전달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베이스 기판(20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 쌍의 지지벽(249), (249)에 걸쳐서 배치되면서 수평 지지축(242) 상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암 부재(241)와, 암 부재(241)를 가합하여 릴 유지 위치(도 10에서 우측위치)와 릴 비유지 위치(도 11 참조) 사이에서 클릭 동작하도록 하는 탄성 가압 기구(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즉 탄성 가압 기구는 두 단부 사이에 수평 지지축(242)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한쪽 단부는 암 부재(241)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 핀 상에 놓여지는 반면에, 다른쪽 단부는 임의의 위치에 형성된 지지 핀 상에 놓여진다. 또한 수평 지지축(242)과 한 쌍의 지지 핀이, 예를 들어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고, 암 부재(241)가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이 중립 상태를 유지하는 위치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요동하면, 탄성 가압 기구는 암 부재(241)를 요동 방향으로 가압하여 암 부재(241)가 클릭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암 부재(241)의 요동 범위는 암 부재(241)가 스토퍼 축(246) 또는 스토퍼부(248)와 접촉함에 따라서 제한된다.
암 부재(241)의 팔레트 내측 요동 단부에는, 릴(3)의 플랜지부(43)를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3a) 상에 유지할 수 있는 유지부(241a)가 형성된다. 한편 유지부(241a)는 바람직하게 테이프가 감기는 영역에서 외측으로 위치한 플랜지부(43)의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는 한 쌍의 지지벽(249)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릴 유지 기구(240)의 옆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는 수평 지지축(242) 상에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암 부재(251)와, 암 부재(251)를 가압하여 하부 케이스 유지 위치(도 10에서 좌측 위치)와 하부 케이스 비유지 위치(도 11을 참조) 사이에서 클릭 동작하도록 하는 탄성 가압 기구(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즉 탄성 가압 기구는 2 개의 단부 사이에 수평 지지축(242)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한쪽 단부는 암 부재(251)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지 핀 상에 놓여져 있는 반면에, 다른쪽 단부는 임의의 위치에 제공된 지지 핀에 놓여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수평 지지축(242)과 한 쌍의 지지핀이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고, 암 부재(251)는 탄성 가압 기구가 중립 상태로 유지된 위치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배치되며, 탄성 가압 기구는 요동 방향에 있는 암 부재(251)를 가압하여 암 부재(251)가 클릭 동작을 하도록 한다. 한편 암 부재(251)의 요동 범위는, 릴 유지 기구(240)의 암 부재(241)와 유사하게, 스토퍼 축(246) 또는 스토퍼부(248)와 접촉하게 됨에 따라서 제한된다.
삭제
암 부재(251)의 팔레트 내측 요동 단부에는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 상의 하부 케이스(2b)의 케이스 저면을 유지하는 유지부(251a)가 형성된다. 한편 하부 케이스(2b)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지부(241a)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조립 스테이션의 소정 조립 위치에 팔레트(200)를 위치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팔레트 위치 결정 기구를 형성하기 위해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팔레트(200)에는 위치 결정 롤러(26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 롤러(260)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가이드부(151a)의 대향측면 상에 위치하는 베이스 기판(201)의 측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가이드부(151a)의 측면벽과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베이스 기판(201)의 측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의 가이드 롤러(261, 261)가 장착된다.
즉,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의 소정 조립 위치에는 가이드부(151a)와 대향하고, 가이드부(151a)에 대해서 전진 및 후퇴하도록 에어 실린더 등에 의해서 구동되는 압력 부재(270)가 배치되어 있다. 특히 압력 부재(270)가 가이드부(151a) 측으로 전진하도록 구동되어지고, 이에 의해서 압력 부재(270)의 선단 내에 형성된 V형 홈이 위치 결정 롤러(260)와 결합하게 되면, 팔레트(200)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261, 261)가 가이드부(151a)의 측벽면과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하여 폭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전달 방향으로도 위치 결정될 수 있도록 가압되어, 팔레트(200)는 각 조립 스테이션의 소정 조립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반면에 압력 부재(270)가 가이드부(151a) 측으로부터 후퇴하도록 구동되고, 선단부의 V형 홈과 위치 결정 롤러(260)의 결합이 해제되면, 팔레트(200)는 팔레트 전달 장치(135)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상태로 다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팔레트(200)의 중앙부에 배치된 원통형의 케이스(266) 내에는 상부 케이스(2a)의 내측벽면 상에 돌출 형성된 축두(boss)와 같은 축(shaft) 상에 릴 스프링(8)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릴 스프링(8)을 끌어 당기기(attract)위한 자석(도 10 참조)이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어 팔레트(200)가 리턴 컨베이어(160)에 의해 전달될 때 상호 인접하는 팔레트(200) 사이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전달 방향 내의 각 팔레트(200)의 전방 단면부에는 오일 실린더나 스프링, 및 2 이상의 탄성 돌출부(263)로 형성되는 완충 장치(262)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카세트 조립 라인(101)에서의 팔레트(2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처음에, 상부 케이스(2a)가 팔레트(200)에 놓여지기 전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20),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230), 릴 유지 기구(240) 및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는 모두 각각의 비유지 위치로 각각의 스프링에 의해서 가압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2a)가 핫 프린트 스테이션(111) 내의 팔레트(200)에 위치되고 나서, 팔레트(200)는 팔레트 전달 기구(135)에 의해 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2)으로 전달된다.
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2)에서, 처음에는 브레이크 스프링(12)이 상류측 조립 로봇(130)에 의해 상부 케이스(2a)의 브레이크 지지축(2d) 상에 탑재된다. 이후에 하류측 조립 로봇(130)이 브레이크 지지축(2d)에 전방 릴 브레이크(50)를 결합하고, 따라서 전방 릴 브레이크(50)의 록킹 기어부(50a)의 배면에 브레이크 스프링(12)의 다리부(leg portion)가 고정된다. 다음에 전방 릴 브레이크(50)를 유지하면서, 조립 로봇(130)은 록킹 기어부(50a)가 브레이킹 스프링(1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3)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위치까지 전방 릴 브레이크(50)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압력 부재(271)는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관련된 구동 기구(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에, 암 부재(211)의 접촉부(215)를 가압하여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에 대항하여 유지 위치 방향에 있는 암 부재(211)를 요동시키도록 암 부재(211)의 접촉부(215)에 대해서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조립 로봇(130)은 전방 릴 부레이크(50)의 유지 상태를 해제하므로, 전방 릴 브레이크(50)가 초기 위치로 돌아오게 되면, 전방 릴 브레이크(50)의 해제 암 부분(50b)의 상단부는 암 부재(211)의 유지부(211a)에 유지된다.
삭제
다음에 팔레트(200)는 팔레트 전달 기구(135)에 의해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3)으로 전달된다.
후방 릴 브레이크 조립 스테이션(113)에서는, 처음에, 브레이크 스프링(13)이 상류측 조립 로봇(130)에 의해 상부 케이스(2a)의 브레이크 지지축(2e) 상에 장착된다. 이후, 하류측 조립 로봇(130)은 브레이크 지지축(2e)에 후방 릴 브레이크(51)를 결합시키고, 따라서 브레이크 스프링(13)의 다리부는 후방 릴 브레이크(51)의 록킹 기어부(51a)의 배면측에 고정된다. 다음에, 후측 릴 브레이크(51)를 유지한 상태에서, 조립 로봇(130)은 록킹 기어 부(51a)가 브레이크 스프링(13)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3)의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위치까지 후방 릴 브레이크(51)를 회전시킨다.
삭제
삭제
이에 의해, 압력 부재(272)는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 기구(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되는 경우에, 암 부재(221)의 접촉부(225)를 가압하여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에 대항하여 유지 위치 방향에 있는 암 부재(221)를 요동가능시키도록 암 부재(221)의 접촉부(225)에 대해서 전진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조립 로봇(130)이 후방 릴 부레이크(51)의 유지 상태를 해제하므로, 후방 릴 브레이크(51)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 록킹 기어부(51a)가 형성되어 있는 후방 릴 브레이크(51)의 결합 암(arm)부의 상단부는 암 부재(221)의 유지부(221a)에 의해서 유지된다.
삭제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술한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는 각각의 암 부재(211), (221)가 각각의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50), (51)를 유지할 때 도 8에서 실질적으로 팔레트(200)의 하부 우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지지력(support force)이 2 개의 암 부재(211), (221)의 각각의 유지부(211a), (221a)에 가해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설정되면, 상부 케이스(2a)는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50, 51) 및 브레이크 지지축(2d, 2e)을 통해서 상부 케이스(2a)에 가해지는 반발력(reactive force)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도 8의 팔레트(200)의 하부 우측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상부 케이스(2a)의 하부 우측 코너부는 지지벽(204a), (204b)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삭제
즉 수평면 내에서 팔레트(200)에 대한 상부 케이스(2a)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2a)의 4 코너부 각각의 외주연(外周緣)을 각각 둘러싸는 지지벽(202a), (203a), (204a), (205a) 및 지지벽(202b), (203b), (204b), (205b)은 상부 케이스(2a)의 형성 정확도에서의 변동을 고려하여 각각 상부 케이스(2a)의 4 코너부의 외주연에 대해서 간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과 같이 상부 케이스(2a)의 하부 우측 코너부가 지지벽(204a), (204b)에 대항하여 가압되므로, 상술한 평면 내에서 팔레트(200)에 대한 상부 케이스(2a)의 위치는 항상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압력 부재(271), (272) 및 암 부재(211), (221)는 다음의 방식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접촉부(215), (225)가 압력 부재(271, 272)에 의해서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이 중립 상태로 유지된 특정 위치로부터 유지 위치로 약간 가압되면, 암 부재(211), (221)는 상기 탄성 가압 기구 자체의 가압 회전력에 의해서 유지 위치 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 부재(271), (272)를 전·후퇴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의 전· 후퇴 스트로크(stroke)가 클 필요가 없으므로, 이러한 구동 기구로는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저렴하고 단순한 구조의 구동 기구를 채택할 수 있다.
다음에 팔레트(200)는 팔레트 전달 기구(135)에 의해 후크와 리드(lid) 스프링 조립 스테이션(114)으로 전달된다.
후크와 리드 스프링 조립 스테이션(114)에서는, 먼저 상류측 조립 로봇(130)이 후크(18)를 조립한 후, 하류측 조립 로봇(130)이 상부 케이스(2a)의 리드 지지축(14)에 리드 스프링(15)을 장착한다(도 8 참조). 그리고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는 압력 핀(미도시)에 의해 리드 고정 위치까지 가압 회전된다.
이에 따라,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은 관련 구동 기구(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때 암 부재(231)의 접촉부(235)에 대해 전진과 후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압력 부재(273)는 접촉부(235)를 가압하여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에 대항하는 유지 위치 방향으로서 암 부재(231)를 요동시킨다(도 9참조). 그리고, 이 상태에서, 조립 로봇(130)의 압력 핀은 리드 결합부(15a)의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따라서, 리드 스프링(15)이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는 암 부재(231)의 유지부(231a)에 의해 유지된다.
삭제
그리고, 팔레트(200)는 팔레트 전달 기구(135)에 의해 리드 조립 스테이션(115)으로 전달되어진다.
리드 조립 스테이션(115)에서는, 사전에 리드 록(lock)이 조립되어 있는 리드(30)가 상부 케이스(2a)의 리드 지지축(14)에 장착되고,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는 리드(30)의 결합 오목부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가 암 부재(231)에 의해 리드(30)와 맞물리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리드 지지축(14) 상으로부터 리드(30)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 이후에 암 부재(231)의 접촉부(235)가 관련 압력 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에 대항하여 비유지 위치 방향으로 암 부재(231)를 요동시키면, 암 부재(231)의 유지부(231a)와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 사이의 상호 결합이 해제되므로,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는 리드(30)의 결합 오목부에 고정된다. 이는 리드 지지축(14)에 리드(30)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한다.
다음에 팔레트(200)는 쓰기 방지부 편(piece) 및 릴 스프링 조립 스테이션(116)으로 전달되고, 쓰기 방지부 편(17)은 상부 케이스(2a)에 조립되고, 또한 릴 스프링(8)은 상부 케이스(2a)의 내측벽면에 형성되고, 돌출된 축두(boss)에 장착된다.
그리고, 릴 조립 스테이션(117)에서, 릴 공급 장치(미도시)에 의해 팔레트(200) 상에 놓여진 상부 케이스(2a)에 릴(3)이 조립된다. 한편, 동시에, 릴 스프링(8)의 탑재 상태를 검사하고, 릴 스프링(8)이 정상적으로 조립되지 않은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발견되면, 카세트 조립 라인(101)에서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방출한다.
이후에 릴 유지 기구(240)의 접촉부(245)가 관련 압력 부재(미도시)에 의해 가압되어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에 대항하는 릴 유지 위치 방향으로 암 부재(241)를 요동시키면, 도 10의 우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241a)는 릴 스프링(8)의 구동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의 릴(3)의 플랜지부(43)를 유지한다. 따라서, 릴 공급 장치가 원래 위치로 돌아온 뒤에도, 릴(3)은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에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삭제
다음에 팔레트(200)는 하부 케이스 조립 스테이션(118)으로 전달된다. 하부 케이스 조립 스테이션(118)에서는 먼저 팔레트(200)에 놓여진 상부 케이스(2a)에 하부 케이스(2b)를 조립한다.
그리고 나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3)의 릴 허브(42)가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릴 압하(壓下) 부재(280)에 의해 상부 케이스(2a) 측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하부 케이스(2b)를 유지하고 있는 상기 상부 케이스 공급 장치는 척(chuck) 기구(미도시)에 의해 팔레트(200) 측으로 하강 이동한다.
또한, 상술한 상부 케이스 공급 장치는 팔레트(200) 측으로 하강 이동하여 릴 유지 기구(240)의 접촉부(245)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서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에 대항하여 비유지 위치 방향으로 암 부재(241)를 요동시키는 구동 기구로서의 압력 부재(281)와,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의 접촉부(225)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서 상술한 탄성 가압 기구의 가압 회전력에 대항하여 하부 케이스 유지 방향으로 암 부재(251)를 요동시키는 또 다른 구동 기구로서의 다른 압력 부재(282)를 포함하고 있다.
이제 상부 케이스 공급 장치가 소정의 거리 또는 그 이상 하강 이동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 부재(241)의 유지부(241a)는 비유지 위치 방향으로 요동하게 되어 하부 케이스(2b)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 공급 장치가 더 이상 하강 이동하고, 동시에 하부 케이스(2b)가 상부 케이스(2a)의 상부와 거의 겹쳐지는 경우, 암 부재(251)의 유지부(251a)는, 도 10의 좌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스프링(8)의 구동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에 하부 케이스(2b)의 케이스 저면을 유지한다. 따라서 릴 압하 부재(280)가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가더라도, 하부 케이스(2b)는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에 대한 중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케이스(2a, 2b)와 상호 중첩된 카트리지 케이스(2)는, 그 상태로, 하류측에 배치된 나사 죔 장치로 전달되고, 여기서 나사를 조인다.
이렇게 하여 조립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는 카트리지 검사 스테이션(115)으로 전달되며, 여기서 카트리지 케이스(2)의 나사 죔 상태를 검사하고,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50, 51)의 요동 운동을 검사하고, 릴 스프링(8)의 스프링력을 검사하고, 쓰기 방지부(17)의 요동 운동을 검사하고, 리드 록(lock)의 요동 운동을 검사하고, 리드(30)의 개폐 운동을 검사한다. 그리고 결점이 발견되면 불량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는 카세트 조립 라인(101)에서 방출된다.
최종적으로, 완전히 조립된 제품으로 확인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1)는 카트리지 수집 장소(120) 내의 각각의 팔레트(200)로부터 저장 콘테이너(300)로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즉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각 조립 스테이션의 소정 조립 위치로 순차적으로 운반되는 팔레트(200) 상에 위치하는 상부 케이스(2a)에, 릴(3)을 조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50), (51)들의 록킹 기어부(50a, 51b)의 각각이 릴(3)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도록 팔레트(200)에 각각 형성된 전·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에 의해 유지될 뿐만 아니라, 상부 케이스(2a)가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에 의해 위치 결정되도록 릴(3)을 상부 케이스(2a)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는 리드 결합부(15a)가 리드(30)와 결합되지 않는 방식으로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23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즉, 리드(3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이는 릴(3)과 리드(30)의 각각의 조립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릴 유지 기구(240)에 의해서 릴 스프링(8)의 구동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에 릴(3)을 유지하면서, 릴(3)을 다음 조립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때문에, 팔레트(200)를 운반할 때 소정의 위치에서 릴(3)이 분리될 염려가 없다.
또한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에 의해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부 케이스(2a) 측에 하부 케이스(2b)를 유지하면서, 하부 케이스(2b)를 다음 조립 스테이션으로 운반하기 때문에, 팔레트(200)를 운반할 때 소정의 위치에서 하부 케이스(2b)가 분리될 염려가 없다.
또한 상술한 각각의 유지 기구(210), (220), (230), (240) 및 (250)가 각각의 팔레트(200) 내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 내에는, 이들 유지 기구(210), (220), (230), (240) 및 (250)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로서, 에어 실린더 등과 같이 각각 저렴하고 구조가 간단한 구동 기구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각 조립 스테이션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한편 관련 구동 기구가 접촉하게 되는 각각의 유지 기구(210), (220), (230), (240) 및 (250)의 각각의 접촉부(215), (225), (235), (245) 및 (255)에는 구동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전 베어링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팔레트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팔레트(200) 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각각의 유지 기구와 팔레트 위치 결정 기구의 구성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각각의 암(arm) 부재를 클릭하는데 사용되는 탄성 가압 기구는 코일 스프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방법 및 장치에서는, 전방 및 후방 릴 브레이크의 록킹 기어부가 릴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식으로 팔레트 내에 각각 배치된 유지 기구에 의해 지지되면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의 소정 조립 위치로 순차적으로 운반된 팔레트 상에 놓여진 상부 케이스에 릴이 조립된다. 또한 동시에, 리드 스프링의 리드 결합부가 리드와 결합되지 않는 방식으로 상술한 유지 기구에 의해서 지지되면서 리드도 상부 케이스에 조립된다. 이는 릴과 리드의 조립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릴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 측에 릴을 유지한 상태로 다음 조립 스테이션으로 릴을 운반하기 때문에, 팔레트를 운반할 때 릴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분리될 염려는 없다.
삭제
또한 상술한 각각의 유지 기구가 각각의 팔레트 내에 배치되므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 내에는, 구조가 간단하고 상기 유지 기구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 기구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 정확도가 뛰어난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높은 생산성으로 얻을 수 있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를 조립하는 향상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연계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도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을 행할 수 있음 명백하며, 따라서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상술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을 보호받고자 한다.

Claims (4)

  1.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릴(reel)(3)과 카트리지 케이스(2)를 포함하며,
    상기 릴은 주위에 자기 테이프가 감겨져 있고, 하부에 상기 릴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와 맞물리는 구동 맞물림부가 형성된 릴 허브(42)와, 상기 릴 허브의 상부의 바깥 둘레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깥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기어(43a)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43)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릴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릴 허브의 구동 맞물림부가 상기 구동 기구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동 개구부(2c)를 하부에 갖는 하부 케이스(2b)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겹쳐 놓인 상부 케이스(2a)와,
    상기 릴을 상기 하부 케이스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릴 사이에 삽입된 릴 스프링(8)과,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릴의 상기 제한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록킹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기어부는 브레이크 스프링(12, 13)에 의해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릴 브레이크(50, 51) 및
    상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형성된 자기 테이프 인출 개구부 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드 결합부(15a)를 갖는 리드 스프링(15)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는 리드(lid)(30)를 구비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에 있어서,
    각각 직선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로봇(130)을 포함하는 복수의 조립 스테이션 내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가 올려 놓여진 팔레트(200)를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단계로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릴 브레이크가 상기 릴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식으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릴 브레이크(50, 51)의 상기 록킹 기어부를 유지할 수 있는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와, 상기 리드 결합부(15a)가 상기 리드(30)와 결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를 유지할 수 있는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230) 및 상기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상기 릴(3)을 유지할 수 있는 릴 유지 기구(240)를 포함하는 팔레트를 순차적으로 운반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조립 스테이션에 설치되어, 상기 조립 로봇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각 부품을 조립하도록 상기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 상기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 및 상기 릴 유지 기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2.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장치로서,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는 릴(3)과 카트리지 케이스(2)를 포함하며,
    상기 릴은 주위에 자기 테이프가 감겨져 있고, 하부에 상기 릴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구와 맞물리는 구동 맞물림부가 형성된 릴 허브(42)와, 상기 릴 허브의 상부의 바깥 둘레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바깥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릴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기어(43a)가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부(43)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는 상기 릴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릴 허브의 구동 맞물림부가 상기 구동 기구와 결합되도록 하는 구동 개구부(2c)를 하부에 갖는 하부 케이스(2b)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에 겹쳐 놓인 상부 케이스(2a)와,
    상기 릴을 상기 하부 케이스 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릴 사이에 삽입된 릴 스프링(8)과,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상기 릴의 상기 제한 기어와 맞물림 가능한 록킹 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기어부는 브레이크 스프링(12, 13)에 의해 맞물리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릴 브레이크(50, 51) 및
    상기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 내에 형성된 자기 테이프 인출 개구부 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리드 결합부(15a)를 갖는 리드 스프링(15)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는 리드(lid)(30)를 구비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가 배치되고, 복수의 조립 스테이션 내에서 연속하여 운반되는 팔레트(200)로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릴 브레이크(50, 51)가 상기 릴 설치 영역으로부터 후퇴하는 방식으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릴 브레이크(50, 51)의 상기 록킹 기어부를 유지할 수 있는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와,
    상기 리드 결합부(15a)가 상기 리드(30)와 맞물리지 않는 방식으로 상기 리드 스프링(15)의 리드 결합부(15a)를 유지할 수 있는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230), 및
    상기 릴 스프링(8)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릴(3)을 유지할 수 있는 릴 유지 기구(240)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 스테이션은 각각 직선 방식으로 배열되며, 각각의 조립 스테이션은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각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 로봇(130), 및
    상기 각 조립 로봇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 상에 상기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각 부품을 조립하도록 상기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 상기 리드 스프링 유지 기구 및 상기 릴 유지 기구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의 상기 릴 브레이크는 전·후방 릴 브레이크(50, 51)를 포함하고, 상기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는 전·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210, 220)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 릴 브레이크 유지 기구의 릴 브레이크 유지력은 상기 팔레트 상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를 실질적으로 공통인 방향(Y1)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는 상기 릴 유지 기구 부근에 위치한 하부 케이스 유지 기구(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장치.
KR1020017003701A 1998-09-22 1999-09-21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 KR100553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268265A JP2000100117A (ja) 1998-09-22 1998-09-22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及び組立装置
JP10-268265 1998-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5305A KR20010075305A (ko) 2001-08-09
KR100553856B1 true KR100553856B1 (ko) 2006-02-24

Family

ID=1745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701A KR100553856B1 (ko) 1998-09-22 1999-09-21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19827B1 (ko)
EP (1) EP1125296B1 (ko)
JP (1) JP2000100117A (ko)
KR (1) KR100553856B1 (ko)
CN (1) CN1179360C (ko)
DE (1) DE69916307T2 (ko)
WO (1) WO20000178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62792B2 (en) * 2003-03-10 2005-03-0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assembling a developing apparatus
CN100399470C (zh) * 2005-10-19 2008-07-02 深圳易拓科技有限公司 硬盘顶盖螺钉安装机
US7946030B2 (en) * 2005-10-26 2011-05-24 Hirata Corporation Apparatus for assembling components on a target object utilizing a slider for movement of a pallet
US8402628B2 (en) * 2010-07-22 2013-03-26 Primestar Solar, Inc. Apparatus, carrier, and method for securing an article for coating processes
ITUB20154638A1 (it) * 2015-10-13 2017-04-13 Perini Fabio Spa Sistema di controllo dell'accesso a macchinari di lavorazione
CN111637809B (zh) * 2020-04-30 2022-07-05 四川航天川南火工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螺纹通止检测设备中快换装置的夹爪机构
CN111558909B (zh) * 2020-07-16 2020-10-09 常熟昆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主板一键式快速固定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1694A (en) * 1991-07-03 1993-03-09 Shape Inc. Cassette assembly line
JPH09147527A (ja) * 1995-11-21 1997-06-06 Kao Corp テープカセット組立用治具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55755C3 (de) * 1974-11-26 1978-06-08 Basf Ag, 6700 Ludwigshafen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Magnetbandkassetten, insbesondere Kompaktkassetten, und Werkstückträger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US4168040A (en) * 1974-11-26 1979-09-18 Basf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manufacturing and loading magnetic tape cassettes, particularly compact cassettes, and support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4035899A (en) * 1975-03-10 1977-07-19 Olympus Optical Co., Ltd. Automatic tape cassette-assembling system
JPS6019591B2 (ja) 1979-04-02 1985-05-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可撓性帯状記録媒体の自動装填方法及び装置
JPS578047A (en) * 1980-06-18 1982-01-16 Hitachi Ltd Working or assembling equipment
GB2212468B (en) * 1987-11-20 1992-06-10 Sony Corp Automatic assembly apparatus
US5136778A (en) * 1991-03-08 1992-08-11 Pelika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uffing a snailed endless ribbon into a ribbon cartridge
JP3075305B2 (ja) * 1991-10-18 2000-08-14 ソニー株式会社 組立て装置
JPH09147257A (ja) 1995-11-27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復帰機能を備えた防排煙連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1694A (en) * 1991-07-03 1993-03-09 Shape Inc. Cassette assembly line
JPH09147527A (ja) * 1995-11-21 1997-06-06 Kao Corp テープカセット組立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9360C (zh) 2004-12-08
JP2000100117A (ja) 2000-04-07
CN1324484A (zh) 2001-11-28
EP1125296B1 (en) 2004-04-07
WO2000017879A1 (en) 2000-03-30
EP1125296A1 (en) 2001-08-22
DE69916307T2 (de) 2004-08-05
US6519827B1 (en) 2003-02-18
DE69916307D1 (de) 2004-05-13
KR20010075305A (ko) 200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063B1 (ko) 디스크 플레이어
GB2159317A (en) Disc loading apparatus for use in disc players
JP2010206232A (ja) 部品供給用プレート収容体及び部品供給装置
KR100553856B1 (ko) 자기 테이프 카트리지 조립 방법 및 조립 장치
US7870570B2 (en) Disk elevator system
JP3777990B2 (ja) ディスク作製システム
US6804080B1 (en) Media carousel changer for data systems
JPH0627017Y2 (ja) ディスクロ−ディング装置
US7185347B2 (en) Shutter device
JP3555864B2 (ja) 核燃料集合体用スペーサ自動組立装置
JPH0222855Y2 (ko)
JP3016171B2 (ja) センターコアの移載方法及び装置
JP3834149B2 (ja) 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H0458086B2 (ko)
JP2599245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付ディスクプレーヤ
JPH0278053A (ja) メモリディスクのカセット自動交換装置
JP3791560B2 (ja) ディスクケースのストック方法及びその装置
JPH0719835U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21758Y2 (ko)
JP2000195219A (ja) シャッタ部材の取付け装置
JPH0648602Y2 (ja) ディスク装着装置
JP2802444B2 (ja) 光磁気デイスク駆動装置のドア開閉機構
KR0125241B1 (ko) 다중 미니 디스크 구동장치
JP2908900B2 (ja) 情報記録媒体搬送装置
KR200172034Y1 (ko) 자판기용 컴팩트디스크 핸들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