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162B1 -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 Google Patents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162B1
KR100549162B1 KR1020050093922A KR20050093922A KR100549162B1 KR 100549162 B1 KR100549162 B1 KR 100549162B1 KR 1020050093922 A KR1020050093922 A KR 1020050093922A KR 20050093922 A KR20050093922 A KR 20050093922A KR 100549162 B1 KR100549162 B1 KR 100549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road
longitudinal direction
entranc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커브길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량의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브길의 사면(100)의 전방에 설치된 옹벽(200)에 볼트(111a)로 고정되도록 측홀(111b')이 형성된 윙부(111b)가 구비되는 한편, 전방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11c)가 형성된 후방플레이트(11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11)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12a)와 다수의 고정홈(112b)이 형성된 전방플레이트(1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2)와 후방플레이트(111)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 끝단부가 슬라이딩홈부(111c,112a)에 삽입되는 한편, 상부에는 공기출입구(113a)가 구비되어 있는 신축자바라(113)를 포함하는 2개가 1조인 완충부재(11)와, 상기 한쌍의 완충부재(11)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옹벽(200)의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이동홀(201)에 삽입설치되는 한편, 후방의 일측에 끼움홈(121a)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체결홀(121b)이 구비된 슬라이딩앵커(121)와,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끼움홈(121a)에 체결되며 ㄷ형상으로 상하부에 다수의 볼트홀(122a)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체결홀(121b)과 고정볼트(122b)로 체결되는 한편, 내측에 폐타이어(123)가 안착되는 거치대(12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재(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2)의 고정홈(112b)에 장볼트(131)로 체결되도록 양측의 종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132)이 형성되며, 중앙의 상하부에는 상기 폐타이어(123)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부출입구(133)와 하부출입구(134)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상부출입구(133)와 하부출입구(134)의 양측 에는 롤러(135a)와 회전축(135b) 및 압축스프링(135c)이 내장된 롤러고정체(135)가 내설되는 탄성체(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완충부재, 슬라이딩부재, 탄성체

Description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Apparatus of impact suction using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가 도로의 커브길에 설치된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에 차량이 충돌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3의 b-b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부분절개도
도 8은 도6의 a-a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도로의 커브길에 설치된 본 발명에 차량이 충돌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도로의 커브길에 설치된 본 발명에 차량이 충돌한 후의 상황을 도시한 작동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격흡수대 11 : 완충부재
12 : 슬라이딩부재 13 : 탄성체
100 : 사면 111 : 후방플레이트
111a,122b : 고정볼트 111b : 윙부
111b' : 측홀 111c,112a : 슬라이딩홈부
112 : 전방플레이트 112b : 고정홈
113 : 신축자바라 113a : 공기출입구
121 : 슬라이딩앵커 121a : 끼움홈
121b : 체결홀 121c : 쐐기
122 : 거치대 122a : 볼트홀
123 : 폐타이어 131 : 장볼트
132 : 관통홀 133 : 상부출입구
134 : 하부출입구 135 : 롤러고정체
135a : 롤러 135b : 회전축
135c : 압축스프링 200 : 옹벽
201 : 이동홀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커브 길과 고속으로 주행하는 내리막길등에 설치하여 차량이 도로에서 이탈함을 방지하고, 이탈된 차량에 의한 인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폐타이어가 내부에 수용된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로의 경우에는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 양쪽이나 중앙분리대에 방호책인 가드레일을 설치한다.
상기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격시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도로 밖으로 차량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드레일은 주로 산길 ·굴곡로에서 자동차가 도로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치되며, 차량과의 충돌시에도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동시에 도시에서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 설치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난간은 육교 , 다리 및 건물의 테라스나 발코니 등에 설치되어 이용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견고함과 더불어 안전성을 고려하여 설치되게 된다.
먼저, 종래 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은 강도보강용의 굴곡부를 가지는 가드플레이트와, 상기 가드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체결수단으로 결합하여 지면에 타설되는 지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드레일은 차량의 충격시 충격굽힘강도가 약하여 도로 밖으로 사고차량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드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차량의 이탈은 방지하지만 충격흡수를 받아들이지 못하여 운전자의 안전사고에 중대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 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커브길이나 산간의 내리막길등의 측면에 설치하여 차량이 본 발명의 탄성체에 충돌하여도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도록 하여 운전자와 동승자의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격흡수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로의 커브길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량의 충격흡수방지장치에 있어서, 커브길의 사면의 전방에 설치된 옹벽에 볼트로 고정되도록 측홀이 형성된 윙부가 구비되는 한편, 전방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가 형성된 후방플레이트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와 다수의 고정홈이 형성된 전방플레이트와, 상기 전방플레이트와 후방플레이트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 끝단부가 슬라이딩홈부에 삽입되는 한편, 상부에는 공기출입구가 구비되어 있는 신축자바라를 포함하는 2개가 1조인 완충부재와, 상기 한쌍의 완충부재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옹벽의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이동홀에 삽입설치되는 한편, 후방의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체결홀이 구비된 슬라이딩앵커와, 상기 슬라이딩앵커의 끼움홈에 체결되며 ㄷ형상으로 상하부에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앵커의 체결홀과 고정볼트로 체결되는 한편, 내측에 폐타이어가 안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전방플레이트의 고정홈에 장볼트로 체결되도록 양측의 종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상하부에는 상기 폐타이어가 출입할 수 있 도록 상부출입구와 하부출입구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상부출입구와 하부출입구의 양측에는 롤러와 회전축 및 압축스프링이 내장된 롤러고정체가 내설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커브길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량의 충격흡수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가 도로의 커브길에 설치된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에 차량이 충돌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3의 b-b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구조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대의 부분절개도이고, 도 8은 도6의 a-a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도로의 커브길에 설치된 본 발명에 차량이 충돌하는 상황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로의 커브길에 설치된 본 발명에 차량이 충돌한 후의 상황을 도시한 작동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커브길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량의 충격흡수대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구성요소로는 완충부재(11)와, 슬라이딩부재(12) 및 탄성체(13)로 구성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완충부재(11)는 커브길의 사면(100)의 전방에 설치된 옹벽 (200)에 볼트(111a)로 고정되도록 측홀(111b')이 형성된 윙부(111b)가 구비되는 한편, 전방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11c)가 형성된 후방플레이트(11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11)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12a)와 다수의 고정홈(112b)이 형성된 전방플레이트(1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2)와 후방플레이트(111)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 끝단부가 슬라이딩홈부(111c,112a)에 삽입되는 한편, 상부에는 공기출입구(113a)가 구비되어 있는 신축자바라(113)를 포함하는 2개가 1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신축자바라(113)의 상부에 다수의 공기출입구(113a)를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이 탄성체(13)에 충돌되었을 경우 신축자바라(113)가 수축된 후 공기가 신축자바라(113)에 재충전이 서서히 되도록 하여 차량이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슬라이딩부재(12)는 상기 한쌍의 완충부재(11)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옹벽(200)의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이동홀(201)에 삽입설치되는 한편, 후방의 일측에 끼움홈(121a)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체결홀(121b)이 구비된 슬라이딩앵커(121)와,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끼움홈(121a)에 체결되며 ㄷ형상으로 상하부에 다수의 볼트홀(122a)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체결홀(121b)과 고정볼트(122b)로 체결되는 한편, 내측에 폐타이어(123)가 안착되는 거치대(122)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의 슬라이딩앵커(121)는 스틸이나 에프알피등을 재질로 사용할 수 있게 되며, 거치대(122)는 스틸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체(13)는 상기 전방플레이트(112)의 고정홈(112b)에 장볼트(131)로 체결되도록 양측의 종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132)이 형성되며, 중앙의 상하부에는 상기 폐타이어(123)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부출입구(133)와 하부출입구(134)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상부출입구(133)와 하부출입구(134)의 양측에는 롤러(135a)와 회전축(135b) 및 압축스프링(135c)이 내장된 롤러고정체(135)가 내설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완충부재(11)의 재질은 스펀지나 고무 또는 피브씨(PVC)를 사용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단부는 사면의 내부와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쐐기(121c)가 외주면에 다수 형성되게 된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10을 살펴보면, 차량이 본 발명의 탄성체(13)에 충돌할 경우 1차적으로 상기 탄성체(13)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신축자바라(113)에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상기 탄성체(13)가 충격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완충부재(11)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딩부재(12)의 폐타이어(123)에서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여분의 충격이 있을 경우에 상기 쐐기(121c)가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앵커(121)가 사면에 침투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앵커(121)는 사면의 토사의 저항을 받아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로의 커브길이나 산악지대의 내리막길 등에 설 치하여 차량이 충돌시 충격을 다단계로 흡수함으로써 도로에서 차량이 이탈함을 방지하고, 이탈된 차량에 의한 인사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을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2)

  1. 도로의 커브길의 측면에 설치되는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커브길의 사면(100)의 전방에 설치된 옹벽(200)에 볼트(111a)로 고정되도록 측홀(111b')이 형성된 윙부(111b)가 구비되는 한편, 전방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11c)가 형성된 후방플레이트(111) 및 상기 후방플레이트(111)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마찬가지로 종방향으로 슬라이딩홈부(112a)와 다수의 고정홈(112b)이 형성된 전방플레이트(1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2)와 후방플레이트(111)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 끝단부가 슬라이딩홈부(111c,112a)에 삽입되는 한편, 상부에는 공기출입구(113a)가 구비되어 있는 신축자바라(113)를 포함하는 2개가 1조인 완충부재(11)와;
    상기 한쌍의 완충부재(11) 사이에 설치되게 되며 옹벽(200)의 종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이동홀(201)에 삽입설치되는 한편, 후방의 일측에 끼움홈(121a)이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체결홀(121b)이 구비된 슬라이딩앵커(121)와,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끼움홈(121a)에 체결되며 ㄷ형상으로 상하부에 다수의 볼트홀(122a)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체결홀(121b)과 고정볼트(122b)로 체결되는 한편, 내측에 폐타이어(123)가 안착되는 거치대(12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부재(12)와;
    상기 전방플레이트(112)의 고정홈(112b)에 장볼트(131)로 체결되도록 양측의 종방향으로 다수의 관통홀(132)이 형성되며, 중앙의 상하부에는 상기 폐타이어 (123)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부출입구(133)와 하부출입구(134)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상부출입구(133)와 하부출입구(134)의 양측에는 롤러(135a)와 회전축(135b) 및 압축스프링(135c)이 내장된 롤러고정체(135)가 내설되는 탄성체(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앵커(121)의 단부는 사면의 내부와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쐐기(121c)가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KR1020050093922A 2005-10-06 2005-10-06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KR10054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922A KR100549162B1 (ko) 2005-10-06 2005-10-06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3922A KR100549162B1 (ko) 2005-10-06 2005-10-06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162B1 true KR100549162B1 (ko) 2006-02-03

Family

ID=3717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3922A KR100549162B1 (ko) 2005-10-06 2005-10-06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16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655B1 (ko) * 2012-11-14 2014-07-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충격흡수구조
CN110106784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桥梁防护栏结构
CN110106812A (zh) * 2019-05-26 2019-08-09 宁波市晶杰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马路护栏及其制造工艺
CN111560884A (zh) * 2020-05-27 2020-08-21 蚌埠龙淮建筑科技有限公司 用于路桥中央防撞隔断护栏
CN111996957A (zh) * 2020-08-31 2020-11-27 济南金宇公路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公路交通安全设施减速防撞护栏设备
CN112647458A (zh) * 2020-09-23 2021-04-13 重庆市城投路桥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bim市政桥梁桥墩防撞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655B1 (ko) * 2012-11-14 2014-07-21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충격흡수구조
CN110106812A (zh) * 2019-05-26 2019-08-09 宁波市晶杰国际物流有限公司 一种马路护栏及其制造工艺
CN110106784A (zh) * 2019-06-13 2019-08-09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桥梁防护栏结构
CN110106784B (zh) * 2019-06-13 2021-03-05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桥梁防护栏结构
CN111560884A (zh) * 2020-05-27 2020-08-21 蚌埠龙淮建筑科技有限公司 用于路桥中央防撞隔断护栏
CN111560884B (zh) * 2020-05-27 2021-11-05 金珍珍 用于路桥中央防撞隔断护栏
CN111996957A (zh) * 2020-08-31 2020-11-27 济南金宇公路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公路交通安全设施减速防撞护栏设备
CN112647458A (zh) * 2020-09-23 2021-04-13 重庆市城投路桥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bim市政桥梁桥墩防撞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9162B1 (ko) 도로의 커브길 설치용 충격흡수대
KR100386376B1 (ko) 도로용 충격 흡수대
US7794174B2 (en) Crash impact attenuator systems and methods
KR101022533B1 (ko) 확산형 충격흡수장치
US6926461B1 (en) High-impact, energy-absorbing vehicle barrier system
KR100777774B1 (ko) 도로 난간용 충격 흡수 장치
KR200300015Y1 (ko) 도로용 가이드 레일
KR101791997B1 (ko)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KR100893323B1 (ko) 차량 방호용 목재 난간
KR20120014525A (ko) 단부용 충격흡수시설물
JP3639954B2 (ja) 緩衝式防護柵とその上部躯体
KR100903214B1 (ko) 가드레일
KR200199750Y1 (ko) 포스트용지지구조체
KR200289967Y1 (ko) 교량 중앙 분리대용 충격흡수 안전장치
KR200283318Y1 (ko) 충격흡수형 피.이 주름블록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
KR100711965B1 (ko) 충격흡수용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AU764084B2 (en) Improved removable barrier construction
KR100655457B1 (ko) 탄성고무를 이용한 차량의 충격흡수 가드레일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JP3531101B2 (ja) 緩衝式防護柵とそれのためのクッション材
KR200316363Y1 (ko) 가드레일용 충격완충장치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175483Y1 (ko) 방호책용 보강 파이프
KR200313288Y1 (ko) 도로의 2중 충격흡수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