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7053B1 -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7053B1
KR100547053B1 KR1019990019364A KR19990019364A KR100547053B1 KR 100547053 B1 KR100547053 B1 KR 100547053B1 KR 1019990019364 A KR1019990019364 A KR 1019990019364A KR 19990019364 A KR19990019364 A KR 19990019364A KR 100547053 B1 KR100547053 B1 KR 100547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ata
recording medium
area
recordabl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9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8622A (ko
Inventor
아라마끼주니찌
사이또나쯔미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88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7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4Arrangements for preventing, inhibiting, or warning against double recording on the same blank or against other recording or reproducing mal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11B2220/91Helical scan format, wherein tracks are slightly tilted with respect to tape direction, e.g. VHS, DAT, DVC, AIT or exabyte
    • G11B2220/913Digital audio tape [DAT] forma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기록/재생 장치는 적어도 두 개의 기록/재생부를 포함한다. 기록/재생부 중 기록 동작이 선행되고 있는 기록/재생부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 내에 남아있는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가 선정된 값 이하로 된 것이 검출되면, 다른 기록/재생부에서 기록 동작이 개시되어, 기록 매체의 교체로 인한 정보의 상실이 발생하지 않은 기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심리스 기록 동작, 심리스 재생 동작, 복수의 기록 매체, 기록 가능 영역, 트랙 구획 문자

Description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편집 장치의 기능을 하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미니 디스크 시스템의 U-TOC 섹터 0에 채용되는 링크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미니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구조 및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기록 상태의 U-TOC 내의 파트 기술자 포인터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기록 상태의 U-TOC 내의 파트 기술자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는 실시예에 따라 A 디스크 상에 수행된 심리스 기록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실시예에 따라 B 디스크 상에 수행된 심리스 기록 동작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a는 실시예에 따라 A 디스크 상에 수행된 심리스 기록 동작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b는 실시예에 따라 B 디스크 상에 수행된 심리스 기록 동작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심리스 기록 동작을 완료한 A 디스크에 대한 U-TOC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심리스 기록 동작을 완료한 B 디스크에 대한 U-TOC의 세부 사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심리스 기록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은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심리스 재생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의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심리스 기록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0, 0A : A 데크부
1 : 디스크
2, 102 : 스핀들 모터
3a, 130a : 대물 렌즈
3, 103 : 광학 렌즈
4, 104 : 이축 기구
5, 105 : 슬레드 기구
6a, 106a : 자기 헤드
6, 106 : 자기 헤드 구동 회로
7, 107 : RF 증폭기
8, 108 : 엔코더/디코더부
9, 109 : 서보 회로
10, 110 : 어드레스 디코더
11, 111 : 시스템 제어기
12, 112 : 메모리 제어기
13, 113 : 버퍼 메모리
14, 114 : 엔코더/디코더부
15 : D/A 컨버터
16 : 오디오 출력 단자
17 : A/D 컨버터
18 : 오디오 입력 단자
20 : 주 제어기
21 : 조작부
22 : 표시부
23 : 데이터 인터페이스
24 : 디지탈 입력 단자
25 : 디지탈 출력 단자
26 : 시스템 클럭 발생 회로
27 : 저레벨 신호 검출부
30 : 데이터 제어 회로
본 발명은, 기록 동작 동안 기록 매체 중 하나가 다른 기록 매체로 교체된 경우에도, 데이터를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스프레딩되도록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장치 및 그 기록 장치 내에서 이용되는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형적으로 프로그램의 음성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시스템이 보편화되어 왔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로는,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뿐만 아니라 DAT(Digital Audio Tape) 시스템 및 MD(Mini Disc: trademark)가 있다.
이러한 기록/재생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기록 매체는, 다른 것으로 교체될 수 있는 소위 분리 가능한 매체이다. 따라서, 에어 체크(air check)로 칭해지는 방송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동작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길이가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록 매체를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현재 기록/재생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기록 영역이 모 두 사용되면, 사용자는 기록 동작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고, 장치로부터 기록 매체를 분리한 후 다음의 기록 매체를 새롭게 장착하고 기록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그러나, 기록 매체가 다른 것으로 교체되는 동안에는 기록 매체 상에 데이터가 기록될 수 없기 때문에, 기록 매체가 다른 것으로 교체되는 동안 기록되어야 하는 정보가 상실된다. 결과적으로, 실제로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된 정보는 연속적이지 않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에서, 기록 동작시 기록 매체가 다른 것으로 교체되는 동안 상실된 데이터는 당연히 재생될 수 없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볼 때, 기록된 정보의 연속성이 상실되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소위 더블-데크 시스템, 즉 2개의 기계적 데크부를 가지는 기록/재생 장치로서, 다양한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 및 MD 시스템이 고안되어 있다. 이러한 더블-데크 기록/재생 장치의 경우, 제1 기계적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종료시에 제2 기계적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로 장치가 스위칭됨으로써, 사용자는 기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서는, 하나의 기계적 데크부에서 다른 기계적 데크부로 스위칭하기 위한 기간 동안 정보가 상실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도 기록 정보가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더블-데크 기록/재생 시스템에 채용되는 기술적 사상으로서, 제1 기계적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의 종료시 제2 기계적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 상의 기록 동작을 자동적으로 개시하는 동작이 있다. 이러한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제1 기계적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 상의 기록된 데이터의 종료부는, 제2 기계적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개시부에 의해 연속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실된 부분이 없는 기록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데이터가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 엄격한 의미에서 연속적으로 스프레딩되도록 하기 위해, 특히 하나의 데크부에서 다른 데크부로의 기록 데이터 전송의 스위칭과 데이터 처리 타이밍을 동기화시키는 것이 극히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하나의 기계적 데크부에서 다른 기계적 데크부로 기록 동작이 스위칭되는 시점이 데이터 열 내의 어느 위치인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중단없이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 연속적으로 스프레딩된 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다소 복잡한 재생 신호 처리 기능을 제공하여, 직전의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최종 데이터를 후속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최초 데이터에 잘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열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록 주기 동안 기록되어야 하는 정보를 상실하지 않고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능 및 재생 동작 동안 재생되어야 하는 정보를 상실하지 않고 복수의 기록 매체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능한 한 단순한 구성의 제어 처리를 이용하 여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기록 동작시, 복수의 기록 매체 중 하나의 기록 매체에서 다른 기록 매체로 기록 동작이 스위칭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서, 적어도 두 개의 기록 수단, 즉 제1 기록 수단 및 제2 기록 수단; 상기 기록 수단들에 기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스위칭 수단; 및 현재 선행 기록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탑재된 제1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 영역의 종료점에 근접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기록 수단의 상기 선행 기록 동작이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도달하기 전에,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기 제2 기록 수단의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 종료 수단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기록 동작시, 복수의 기록 매체 중 하나의 기록 매체에서 다른 기록 매체로 기록 동작이 스위칭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방법에서, 현재 선행 기록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제1 기록 수단에 탑재된 제1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 영역의 종료점에 근접한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록 수단의 상기 선행 기록 동작이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도달하기 전에,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제2 기록 수단의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로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더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은, 기록 매체로서 사용되는 광자기 디스크의 일종인 미니 디스크 상에서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 장치를 각각 구현한다. 실시예들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는, 각각 광자기 디스크 상에서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2개의 기계적 데크부가 제공된 더블 데크형 장치이다.
본 발명이 다음의 순서로 설명될 것이다.
1. 기록/재생 장치를 구현하는 제1 실시예의 구성.
2. U-TOC (User-Table of Contents) 섹터
3. 디스크 상의 전형적인 기록 상태
4. 심리스 기록 동작(Seamless Recording Operation)
5. 심리스 기록 동작의 처리
6. 심리스 재생 동작의 처리
7. 제2 실시예
8. 제3 실시예
< 1. 기록/재생 장치를 구현하는 제1 실시예의 구성 >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재생 장치는, 각각 탑재되어 있는 미니 디스크 상에서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데 사용되는 2개의 기계적 데크부, 즉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를 구비한다. 우선, A 데크부(0)가 설명된다.
A 데크부(0)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광자기 디스크(1)가 스핀들 모터(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아래에서, 광자기 디스크(1)는 "디스크"로도 칭해짐에 유의한다. 기록 및 재생 동작에서, 레이저 빔이 광학 헤드(3)에 의해 디스크(1)에 조사된다. 편의상, A 데크부(0)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크(1)는 이하에서 A 디스크로 칭한다.
기록 동작에서, 광학 헤드(3)는 기록 트랙을 퀴리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 레이저 빔을 출력한다. 반면에, 재생 동작에서는, 광학 헤드(3)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레이저 빔을 출력하고, 자기 커 효과(magnetic Kerr effect)에 의해 반사되는 레이저 빔으로부터 데이터가 검출된다.
따라서, 레이저 생성 수단의 역할을 하는 광학 시스템 및 반사빔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기가 광학 헤드(3) 상에 장착된다. 광학 시스템은 편광빔 분할기 및 대물 렌즈(3a)를 포함한다. 대물 렌즈(3a)는 2축 기구(4)에 의해 지지되어, 렌즈(3a)가 디스크(1)의 반경 방향과 디스크(1)로 접근하는 방향 및 디스크(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디스크(1)의 반대 측에서 광학 헤드(3)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기 헤드(6a)가 설치된다. 기록 동작에서, 자기 헤드(6a)는 기록될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자기장을 디스크(1)에 공급한다.
전체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a)는 슬레드 기구(5)에 의해 디스크(1)의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재생 동작에서, 광학 헤드(3)에 의해 디스크(1)로부터 검출된 정보가 RF(Radio Frequency) 증폭기(7)에 공급된다. RF 증폭기(7)는 공급된 정보를 처리하여, 재생 RF 신호, 트래킹 에러 신호 TE, 초점 에러 신호 FE, 및 디스크(1) 상에 형성된 프리그루브 형태의 워블링 그루브로서 기록되어 있는 절대 위치 정보인 그루브 정보 GFM을 추출한다.
추출된 재생 RF 신호는 엔코더 & 디코더부(8)에 공급되고, 트래킹 에러 신호 TE 및 초점 에러 신호 FE는 서보 회로(9)에 공급된다. 그루브 정보 GFM는 어드레스 디코더(10)에 공급된다.
서보 회로(9)는 트래킹 에러 신호 TE, 초점 에러 신호 FE, 트랙 점프 명령, 액세스 명령, 및 스핀들 모터(2)의 회전 속도를 나타내는 검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양한 서보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트랙 점프 명령 및 액세스 명령은 전형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발행된다. 서보 구동 신호는 2축 기구(4) 및 슬레드 기구(5)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어 초점 및 트래킹 제어를 수행하는 동시에, 스핀들 모터(2)가 일정 선속도(CLV)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어드레스 디코더(10)는 공급된 그루브 정보 GFM을 디코딩하여, 다양한 제어 동작에서 사용되기 위해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될 어드레스를 생성한다.
엔코더 & 디코더부(8)에서, 재생 RF 신호는 EFM(Eight-to-Fourteen Modulation) 및 CIRC(Cross Interleave Reed Solomon Code)와 같은 디코딩 처리되어, 재생 RF 신호 내에 데이터로서 포함되어 있는 어드레스 및 서브 코드가 추출된 다. 추출된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기(11)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코더 & 디코더부(8) 내에서 EFM 변조 및 CIRC 등의 디코딩 처리가 수행된 섹터 데이터, 즉 오디오 데이터가,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부(13)에 기입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재생 데이터가 광학 헤드(3)에 의해 디스크(1)로부터 훼치되어, 시스템을 통해 광학 헤드(3)로부터 버퍼 메모리부(13)로 1.41Mbit/초의 속도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훼치하여 전송하는 동작은 간헐적으로 수행된다.
버퍼 메모리부(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재생 데이터가 적절한 타이밍으로 판독되어, 0.3Mbit/초의 속도로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그 후, 버퍼 메모리부(13)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 및 D/A 컨버터(디지탈/아날로그 컨버터)(15)에 오디오 데이터로서 공급되기 전에, 디코딩의 일종인 오디오 압축 해제 등의 재생 신호 처리된다. 오디오 압축 해제는, 아래에 설명되는 기록 동작에서 수행된 오디오 압축의 역 처리로서 수행됨을 알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의해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에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디지탈 출력 단자(25)를 통해 외부 기기로 출력된다. 반면, D/A 컨버터(15)에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오디오 출력 단자(16)를 통해 스테레오 기기의 좌우 채널에 오디오 신호로서 공급된다. 또한, D/A 컨버터(15)에 의해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스피커 또는 헤드폰 단자와 같은 다른 기기로 출력될 수도 있다. 외부 기 기, 스테레오 기기 및 다른 기기 중 어느 것도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몇몇 응용에서는, A 데크부(0)의 버퍼 메모리부(13)와 B 데크부(100)의 버퍼 메모리부(113) 사이에 데이터 전송선이 제공되어, 오디오 데이터가 A 데크부(0)와 B 데크부(100) 사이에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디스크(1)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에서, 디지탈 신호를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가 디지탈 입력 단자(24)로부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입력 단자(18)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A/D 컨버터(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17)를 통해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 또는 A/D 컨버터(17)로부터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FM(주파수 변조) 튜너 또는 위성 방송 튜너에 의해 수신된 프로그램의 오디오 신호로부터 기원할 수 있다. 튜너와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된 기록/재생 장치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결합되는 경우, 이들은 일체형으로 조립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조립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압축 엔코딩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공급된다.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의해 수행된 오디오 압축 엔코딩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기록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버퍼 메모리부(13)에 기입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그 후,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이 선정된 값을 초과하는 시점에서, 데이터는 선정된 데이터 단위로 판독되고, 엔코더 & 디코더부(8)에 전송된다. 엔코더 & 디코더부(8)에서, 기록 데이터는, 자기 헤드 구동 회로(6)에 공급되기 전에, CIRC 엔코딩 처리 및 8-14 복조 등의 엔코딩 처리된다. 8-14 복조는 상술한 재생 동작에서 수행된 EFM의 역처리임을 알아야 한다.
자기 헤드 구동 회로(6)는, 엔코딩 처리 및 8-14 복조가 수행된 기록 데이터에 따라, 자기 헤드(6a)에 자기 헤드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더 상세하게는, 기록 데이터는, 자기 헤드(6a)에 의해 생성된 N 또는 S극의 자기장이 디스크(1)에 공급되게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기(11)는 제어 신호를 광학 헤드(3)에 출력하여, 기록 레벨의 레이저 빔을 생성하게 한다.
기록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부(13)에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스크(1)에 기록하는 동작이 중단 없이 수행될 수 있다.
B 데크부(100)는, 스핀들 모터(102) 내지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14)에 이르는 기능 회로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A 데크부(0)에서 이용된 스핀들 모터(2) 내지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이르는 기능 회로들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 디지탈 입력 단자(24) 및 디지탈 출력 단자(25)를 포함하는 디지탈 신호 입출력 시스템뿐만 아니라, D/A 컨버터(15) 및 오디오 출력 단자(16)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 출력 시스템, 오디오 입력 단자(18) 및 A/D 컨버터(17)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 입력 시스템은,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 에 공통이다.
B 데크부(100)의 경우에서도, B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15)를 통해 오디오 출력 단자(16)로 출력되거나, 또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디지탈 출력 단자(25)로 출력된다.
반면에, B 디스크에 기록될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입력 단자(8)로부터 A/D 컨버터(17)를 통해 입력되거나, 디지탈 입력 단자(24)로부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입력된다.
전형적으로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주 제어기(20)는,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이다. 반면에, 시스템 제어기(11 및 111)는, A 데크부(0)와 B 데크부(10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회로 부재의 역할을 한다.
주 제어기(20)를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에 접속시킴으로써, 전형적으로 주 제어기(20)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서브 코드를 추출하고, 필요한 제어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조작부(21) 및 표시부(22)가 주 제어기(20)에 접속된다.
조작부(2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다양한 키를 가지고 있다. 조작부(21)의 키는, 기록키, 재생키, 중단키, AMS(Auto Music Sense)키, 고속 재생키 및 역재생 키를 포함한다. 키가 조작될 때 생성되는 정보가 주 제어기(20)에 공급된다.
기록/재생 장치는, A 데크부(0) 또는 B 데크부(100)에 탑재되어 있는 A 디스크 또는 B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각각 편집할 수 있는 편집 모드를 가진다. 편집 모드는, 트랙을 분할하기 위한 분할 모드, 디스크 상의 트랙 번호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 모드 및 트랙을 링크하기 위한 결합 모드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편집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의 소위 심리스(seamless) 기록 및 재생 동작은 총괄적으로 제어되어, 데이터가 복수의 디스크에 걸쳐 스프레딩됨으로써 기록되거나 또는 복수의 디스크에 걸쳐 스프레딩된 데이터가 정보의 상실없이 재생될 수 있게 한다. 필요하다면, 심리스 기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심리스 기록 모드 설정용 키 및 심리스 재생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심리스 재생 모드 설정용 키가 조작부(21)에 제공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해 구현되는 표시부(22)는,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의 동작 상태, 트랙 번호 및 시간과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주 제어기(20)에 의해 제어된다.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26)는, 요구되는 안정된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액정 발진기와 같은 소자를 포함한다. 이 신호는, 신호 처리 타이밍의 기준 역할을 하는 시스템 클럭 신호로서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에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는 저레벨 신호 검출 회로(27)를 포함한다. 저레벨 신호 검출 회로(27)는, A/D 컨버터(17) 또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기록/재생 장치에 공급되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록/재생 장치에 공급되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적어도 선정된 기간 동 안 연속적으로 선정된 값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저레벨 신호인 경우, 저레벨 신호 검출부(27)는 저레벨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저레벨 신호는 일반적으로 트랙들 간의 갭에서 발생되므로, 저레벨 신호 상태를 나타내는 검출 신호는 전형적으로 트랙 구획 문자(track delimeter)를 나타내는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검출 신호는 주 제어기(20)에 공급된다.
A 데크부(0) 또는 B 데크부(100) 내의 디스크(1)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동작에서는, 디스크(1)로부터 제어 정보, 즉 P-TOC(pre-mastered TOC) 및 U-TOC(user TOC)를 판독할 필요가 있다.
A 데크부(0)를 예로 들어 동작을 설명한다. 이들 제어 정보의 부분들을 참조하여,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스크(1) 상에서 데이터가 기록 또는 재생되는 어드레스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 정보도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되므로, 버퍼 메모리부(13)는 기록 및 재생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 영역과 제어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으로 분할되어야 한다.
A 데크부(0)에 디스크(1)가 탑재되는 경우, 제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디스크(1)의 가장 안쪽의 원주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제어 정보들을 판독하고, 그 정보를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한다. 그 후, 디스크(1)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동작에서, 그 제어 정보가 참조된다.
디스크(1) 상에서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또는 소거될 때, U-TOC가 편집되거나 또는 재기입된다. 실질적으로,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스크(1) 상에서 데이터가 기록 또는 소거될 때마다, 버퍼 메모리부(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U-TOC 정보를 편 집 또는 재기입한다. 그 후, 편집 및 재기입된 U-TOC 정보는, 선정된 타이밍에 버퍼 메모리부(13)로부터 디스크(1) 상의 U-TOC 영역으로 전송된다.
동일한 이유로, 시스템 제어기(111)는 B 데크부(100)에 탑재되어 있는 B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제어 정보를 버퍼 메모리부(113)에 저장하고, 상술한 것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소위 더블 데크 시스템에서, 본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에는 예를 들어 더빙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데크부 중 하나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크(1)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동안, 다른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크(1)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동작이 수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1) 중 하나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다른 디스크(1)에 기록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A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B 디스크에 더빙하는 동작에서, 예를 들어, A 디스크로부터 판독되고 엔코더 & 디코더부(8)에 의해 디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는 전형적으로 버퍼 메모리부(13)에서 B 데크부(100) 내에 채용된 버퍼 메모리부(113)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클러스터로 알려진 데이터 단위가 기록 동작에서의 최소 단위로 사용된다. 클러스터는 32 섹터의 주 데이터 영역과 4 섹터의 링크 영역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1 클러스터의 오디오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부(113)에 저장되는 경우, 데이터는 섹터 단위로 판독되고 엔코더 & 디코더부(108)에 공급되어, 거기에 서 수행되는 엔코딩 처리에 의해 EFM 신호로 변환된다. 그 후, 자기 헤드 구동 회로(106)는, 상기와 같이 엔코딩 처리된 EFM 신호에 따라 자기 헤드(106a)에 자기 헤드 구동 신호(106)를 공급한다. 더 상세하게는, EFM 신호는, 자기 헤드(6a)에 의해 생성된 N 또는 S 극의 자기장이 B 디스크에 공급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록/재생 장치는 A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B 디스크에 기록하기 위한 더빙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것과 동일한 동작에 의해, 역으로 B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A 디스크에 더빙하기 위한 동작도 수행될 수 있다. 두 경우에서, 주 제어기(20)는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의 총괄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더빙 동작에서도, 버퍼 메모리(13 또는 11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즉 A 또는 B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 또는 114)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출력 단자(25)로 출력될 수 있다.
더빙 동작은, 정상 더빙 속도 또는 고속 더빙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정상 속도의 더빙 동작에서, 재생 데크부는 정상 재생 동작과 동일한 속도로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기록 데크부에서, 데이터는, 기록 데크부에 채용된 버퍼 메모리부에 집적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전형적으로 클러스터 단위로 디스크에 기록된다. 이 때, 재생 데크부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부(13 또는 113)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그 오디오 데이터는 정상 재생 동작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출력될 수 있다.
반면에, 고속 더빙 동작에서, 데이터는, 정상 속도 재생 동작에서보다 고속으로 재생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판독되어 버퍼 메모리부(13 또는 113)에 저장된다. 정상 속도 더빙 동작에서와 거의 유사하게, 기록 데크부에서, 데이터는 기록 데크부에 채용된 버퍼 메모리부에 집적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전형적으로 클러스터 단위로 디스크에 기록된다. 그러나, 데이터가 높은 전송 속도로 버퍼 메모리부(13 또는 113)에서 재생 데크부로 전송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데이터는 기록 데크부에 탑재되어 있는 디스크에 정상 기록 동작보다 높은 속도에서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더빙 동작, 즉 하나의 디스크에서 다른 디스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은 선정된 높은 속도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속도로 수행된다. 하나의 디스크에서 다른 디스크로 데이터를 고속 전송함으로써, 편집 능률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복수의 데크부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탈 위성 방송 또는 FM 방송의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소위 에어 체크에서, 예를 들어, 하나의 디스크에 기록될 수 있는 것보다 긴 프로그램을 연속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은 A 데크부(0)에 탑재되어 있는 A 디스크에 먼저 기록되고, A 디스크 상의 모든 기록 가능 영역이 사용되면, 기록 동작은 B 데크부(100)에 탑재되어 있는 B 디스크로 계속된다. 즉, B 디스크 상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동작이 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심리스 기록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와 다른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사이의 정보를 적어도 보 유할 수 있고, 에어 체크의 정보가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리스 재생 동작을 수행하여, 심리스 기록 동작에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 복수의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심리스 재생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 2. U-TOC 섹터 >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1)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동작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디스크(1) 상에 제어 정보로서 기록되어 있는 P-TOC(pre-masterd TOC) 및 U-TOC(user TOC)를 판독한다.
본 단락에서는, 디스크(1) 상의 트랙에서 데이터를 기록 및 판독하는 동작에 대한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U-TOC 섹터를 설명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U-TOC 및 P-TOC가 TOC 정보로서 제공된다. P-TOC는 디스크(1)의 가장 안쪽의 원주 상의 피트 영역에 기록된다. P-TOC는, 여러 가지 목적 중, 디스크(1) 상의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리드 아웃 영역(lead-out area) 및 U-TOC 영역의 위치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판독 전용 메모리이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모든 데이터가 피트 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재생 전용 디스크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재생 전용 디스크의 경우에서, 미리 ROM 내에 저장되어 있던 프로그램은 P-TOC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U-TOC는 불필요하다.
P-TOC의 세부 사항들은 설명되지 않는다. 기록 가능한 디스크(1) 상에 제공되는 U-TOC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는 U-TOC 섹터(0)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섹터(0 내지 4)가 각각 U-TOC 섹터로 정의된다. 섹터(1 및 4)는 캐릭터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영역인 반면, 섹터(2)는 기록 데이터 및 기록 시간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영역이다. 아래에서는, 디스크(1) 상에서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동작에 항상 필요한 U-TOC 섹터(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U-TOC 섹터(0)는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영역 및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자유 영역의 제어 정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영역이다.
디스크(1) 상에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동작에서, 예를 들어, 시스템 제어기(11)는 영역 내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전에, U-TOC 섹터(0)에서 디스크(1) 상의 자유 영역 상의 정보를 탐색한다. 반면에, 디스크(1)로부터 프로그램을 재생하는 동작에서는, 영역을 액세스하고 프로그램을 재생하기 전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영역 상의 정보가 U-TOC 섹터(0)에서 탐색된다.
U-TOC 섹터(0)는 도 2에 도시된 2,352 바이트(4×588 바이트) 크기의 데이터 영역이다. 섹터의 개시부에 동기화 패턴이 저장된다. 동기화 패턴은 모두 0 또는 1인 데이터 바이트 열이다.
"클러스터 H", "클러스터 L", 및 "섹터"의 세 개의 어드레스 바이트가 동기화 패턴에 후속한다. "클러스터 H" 및 "클러스터 L"은 클러스터 어드레스이고, "섹터"는 섹터 어드레스이다. 섹터 어드레스 다음으로는, 모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모드" 바이트가 후속한다. 동기화 패턴 및 그 다음의 4 바이트가 헤더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섹터는 2,352 바이트 크기의 데이터 단위이다. 36 섹터가 하나의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동기화 패턴 및 어드레스는 U-TOC 섹터(0)뿐만 아니라, 실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각각의 P-TOC 섹터 및 각각의 데이터 섹터에 대해서도 판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클러스터 어드레스는 2 바이트, 즉 고차 바이트 "클러스터 H"와 저차 바이트 "클러스터 L"을 포함하는 반면, 섹터 어드레스는 1 "섹터" 바이트이다.
제작자 코드, 모델 코드, 제1 트랙 번호 "제1 TNO", 최종 트랙 번호 "최종 TNO", 섹터 이용 상태 "사용된 섹터", 디스크 일련 번호 및 디스크 ID(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모드" 바이트 이후의 선정된 바이트 위치에서 기록된다.
디스크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록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 영역, 자유 영역 및 다른 영역은,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U-TOC 섹터(0)의 종료부에 있는 파트 기술자 테이블에서 기술되는 파트 기술자(part-descriptor)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파트 기술자 테이블에 앞서, 파트 기술자들을 지시하는 각종 파트 기술자 포인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U-TOC 섹터(0)에 파트 기술자 포인터 테이블로서 제공된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들은, P-DFA 손상 영역에 대한 포인터), P-EMPTY(빈 슬롯에 대한 포인터), P-FRA(자유롭게 기록할 수 있는 영역에 대한 포인터) 및 P-TNO01 내지 P-TNO225(트랙 번호에 대한 포인터)이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테이블에 후속하여, 총 255개의 파트 기술자, 즉 파트 기술자(01h 내지 FFh)가 U-TOC 섹터(0) 내에 파트 기술자 테이블로서 제공된다. 파트 기술자들은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DA 내지 P-TNO255에 의해 지시된다. 각각의 파트 기술자는 파트의 원점 역할을 하는 개시 어드레스, 파트의 종점 역할을 하는 중단 어드레스 및 파트의 트랙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다. 파트는, 시간축을 따라 연속적인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물리적으로 인접해 있는 트랙부이다. U-TOC 섹터(0) 내에서 특정 파트 기술자에 의해 기술되는 파트는, 그 특정 파트 기술자를 다른 파트 기술자로 링크함으로써 다른 파트 기술자로 연속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파트 기술자는 다른 연속 파트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를 기술하는 다른 파트 기술자를 나타내는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번호에 접미사로서 추가된 기호 "h"는, 그 번호가 16진법으로 표시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기록/재생 장치에서, 물리적으로 인접하지 않은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지만, 즉 복수의 파트에 걸쳐 데이터를 스프레딩함으로써 데이터가 기록되지만, 순차적으로 파트들을 액세스함으로써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 재생 동작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사용자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 목적 중,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파트에 걸쳐 프로그램을 스프레딩함으로써 기록된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제공된 링크 정보는 01h 내지 FFh 범위의 파트 기술자의 번호이다. 따라서, 특정 파트 기술자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는, 특정 파트 기술자 내에서 기술되는 파트에 연속될 다른 파트를 기술하는 다른 파트의 번호를 지정한다.
따라서, U-TOC 섹터(0) 내의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의 파트 기술자는 파트를 나타낸다. 3개의 링크된 파트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예를 들어 3 파트의 위치는 파트 기술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들에 의해 서로 링크된 3 개의 파트 기술자에 의해 제어된다.
실제에 있어서, 링크 정보는 U-TOC 섹터(0) 내의 바이트 위치를 찾기 위해 선정된 처리에서 사용되는 번호이다. 따라서, 링크 정보는 (304 + 번호 × 8)로 나타나는 바이트 위치에서 파트 기술자를 지시한다 (번호는 링크 정보를 나타냄).
U-TOC 섹터(0)의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에 있는 파트 기술자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파트 내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유형은, 파트 기술자 포인터 테이블 내의 파트 기술자 포인터 P-DFA, P-EMPTY, P-FRA, 및 P-TNO01 내지 P-TNO255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정된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P-DFA를 예로 든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P-DFA는, 손상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를 기술하는 단일 파트 기술자 또는 동일한 복수의 결함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를 기술하는 복수의 파트 기술자의 헤드에 있는 파트 기술자를 지시함으로써, 전형적으로 디스크(1) 상의 결함에 의해 유발되는 손상 영역을 지정한다. 즉, 디스크 상에 존재하는 손상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가 파트 기술자 01h 내지 FFh 중에서 선택된 특정 파트 기술자 내에 표시되고, 특정 파트 기술자는 파트 기술자 포인터 P-DFA에 의해 지시된다. 디스크 상에 다른 손상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다른 손상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는 특정 파트 기술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에 의해 특정 파트 기술자에 링크된 다른 파트 기술자에 의해 표시된다. 손상 영역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다른 파트 기술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는 전형적으로 00h로 설정되어, 이러한 다른 파트 기술자가 손상 영역을 나타내는 최종 기술자임을 나타낸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P-EMPTY은, 파트 기술자 포인터 테이블 내에서, 미사용 파트 기술자 또는 복수의 미사용 기술자의 헤드에 있는 파트 기술자를 지정한다. 즉, 파트 기술자 포인터 P-EMPTY은 01h 내지 FFh 내의 범위 내에서 미사용 파트 기술자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다.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에 복수의 미사용 파트 기술자가 존재하는 경우, 파트 기술자 포인터 P-EMPTY은 01h 내지 FFh의 범위에서 미사용 파트 기술자의 헤드에 있는 파트 기술자를 나타내는 값으로 설정된다. 나머지 파트 기술자는, 파트 기술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의 일부를 이용하여 헤드 파트 기술자에 링크되어, 리스트의 개시부에 위치하는 헤드 파트 기술자와 링크된 리스트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의 미사용 파트 기술자가 제어된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는, 디스크(1) 상의 자유 영역을 나타내며, 그 자유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를 기술하는 단일 파트 기술자, 또는 동일한 복수의 자유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를 기술하는 복수의 파트 기술자의 헤드에 있는 파트 기술자를 지시함으로써, 이러한 자유 영역에 데이터가 기입될 수 있다. 또한, 자유 영역은 데이터가 소거된 영역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디스크 상에 존재하는 자유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는 파트 기술자 01h 내지 FFh 중 선택된 특정 파트 기술자 내에 표시되고, 단일 파트 기술자가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에 의해 지시된다. 디스크 상에 자유 영역의 역할을 하는 다른 파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른 자유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는 특정 파트 기술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에 의해 특정 파트 기술자에 링크되어 있는 다른 파트 기술자 내에 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유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가, 파트 기술자 내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특정 파트 기술자에 링크된 파트 기술자 내에 표시됨으로써, 특정 파트 기술자가 리스트의 헤드에 있는 링크 리스트를 형성한다. 리스트의 종료부에 있는 파트 기술자는 전형적으로 00h로 설정된 링크 정보를 포함하여, 이러한 파트 기술자가 자유 영역을 나타내는 최종의 파트 기술자가 되게 한다.
도 3은, 자유 영역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파트 기술자를 포함하는 링크 리스트의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시 어드레스가 S03h이고 종료 어드레스가 E03h인 파트, 개시 어드레스가 S18h이고 종료 어드레스가 E18h인 파트, 개시 어드레스가 S1Fh이고 종료 어드레스가 E1Fh인 파트, 개시 어드레스가 S2Bh이고 종료 어드레스가 E2Bh인 파트, 및 개시 어드레스가 SE3h이고 종료 어드레스가 EE3h인 파트가 각각 자유 영역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서, S03h 내지 E03h의 파트, S18h 내지 E18h의 파트, S1Fh 내지 E1Fh의 파트, S2Bh 내지 E2Bh의 파트, 및 SE3h 내지 EE3h의 파트가, 파트 기술자 03h, 18h, 1Fh, 2Bh 및 E3h에 의해 각각 기술되도록 하자. 이러한 경우에서, 파트 기술자 03h, 18h, 1Fh, 2Bh 및 E3h는 파트 기술자 03h, 18h, 1Fh 및 2Bh 내에 각각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 18h, 1Fh, 2Bh 및 E3h에 의해 링크되어, 리스트의 헤드에 있는 파트 기술자 03h가 파트 기술자 포인터 테이블 내의 자유 영역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에 의해 지시되고 리스트의 종료에 있는 파트 기술자 E3h의 링크 정보가 00h로 설정된 링크 리스트를 형성한다.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에서 손상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파트 기술자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링크 리스트를 형성함을 알아야 한다. 동일한 이유로, 미사용 파트 기술자도 도 3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리스트를 형성한다.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지 않고 손상 영역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광자기 디스크의 경우, 자유 영역 파트 기술자 P-FRA은 파트 기술자 01h를 지시하도록 설정되어,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이 모두 자유 영역임을 나타낸다. 나머지 파트 기술자 02h 내지 FFh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미사용 영역 파트 기술자 포인터 P-EMPTY는 파트 식별자 02h를 지시하도록 설정되고, 다른 파트 기술자 03h 내지 FFh는, 파트 기술자02h 내지 FFh 내에 포함된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파트 기술자 02h에 링크되어, 리스트의 개시부에 파트 기술자 02h가 위치된 링크 리스트를 형성한다. 더 상세하게는, 파트 기술자 02h 내에 포함되는 링크 정보는 03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3h를 지시하고, 파트 기술자 03h 내에 포함되는 링크 정보는 04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4h를 지시하는 방식으로 계속된다. 최종적으로, 파트 기술자 FEh 내에 포함되는 링크 정보는 FF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FFh를 지시한다. 파트 기술자 FFh 내에 포함된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에 미사용 기술자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및 리드 아웃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바로 앞의 어드레스가, 파트 기술자 01h 내에서 개시 어드레스 및 종료 어드레스로서 각각 표시된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1 내지 P-TNO255는, 파트 기술자를 지시함으로써 디스크(1) 상에서 사용자 프로그램과 같은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트랙을 지시한다. 더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1가, 제1 트랙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단일 파트 또는 복수의 파트 중 최초 파트를 기술하는 파트 기술자를 지시함으로써 제1 트랙의 데이터를 지정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1 트랙 프로그램이 예를 들어 단일 파트에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1 트랙 상의 기록 영역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는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1에 의해 지시되는 파트 기술자 내에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로서 각각 표시된다.
또 다른 예로서, 프로그램이 기록된 시간을 따른 순서대로 위치를 표시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된 파트 기술자들에 의해 기술되는 복수의 개별 파트 내에, 제1 트랙 프로그램이 기록되는 것으로 가정하자. 상세하게는, 제2 트랙 프로그램은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2에 의해 지시되는 제1 파트 기술자에 의해 기술되는 최초 파트로부터 개시하여, 시간축을 따른 순차적인 파트들을 통해 계속된다. 순차적인 파트들은, 링크 정보들에 의해 제1 파트 기술자에 링크된 파트 기술자들에 의해 기술되어, 제1 파트 기술자가 링크 리스트의 헤드에 위치하고, 00h로 설정된 링크 정보를 포함하는 파트 기술자에서 종료하는 링크 리스트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U-TOC 섹터(0) 내에서 링크 리스트를 형성하는 파트 기술자를 이용하여 제2 트랙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모든 개별 파트들을 기술함으로써, 제2 트랙 프로그램 영역에서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동작에서, 광학 헤드(3) 및 자기 헤드(6)는 U-TOC 섹터(0) 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따라 개별적인 파트들에 액세스하도록 구동되어, 기록 동작에서 기록 영역이 높은 효율로 이용되고, 재생 동작에서 연속적인 프로그램 정보가 개별 파트들로부터 재생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입 가능 디스크(1) 상의 영역의 관리는 P-TOC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반면, 손상 영역, 빈 영역, 자유 영역, 및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은 U-TOC를 이용하여 제어된다.
< 3. 디스크 상의 전형적인 기록 상태 >
디스크(1)의 영역 구조 및 P-TOC와 U-TOC를 이용하여 제어된 전형적인 기록 상태가 설명된다.
도 4는 디스크(1)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자기 디스크의 경우, 기록 가능 영역은 두 개의 큰 영역, 즉 도 4에 도시된 피트 영역 및 그루브 영역으로 분할된다. 피트 영역은 엠보스 피트에 의해 데이터가 기록되는 영역이고, 그루브 영역은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광자기 영역이다.
피트 영역에서, P-TOC는 반복적으로 기록된다. P-TOC에서, U-TOC의 위치는 U-TOC 개시 어드레스(USTA)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P-TOC는 리드 아웃 개시 어드레스(LOA),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개시 어드레스(RSTA) 및 전력 보정 영역 개시 어드레스(PCA)와 같은, 도 4에 도시된 위치들의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그루브 영역은, 디스크(1) 가장 안쪽의 원주 상에 피트 영역 뒤에 형성된다. 그루브 영역에서부터 P-TOC 내에 기록된 리드 아웃 개시 어드레스(LOA)까지의 영역이,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는 기록 가능 구간이다. 나머지는 리드 아웃 영역이다.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개시 어드레스(RSTA)로부터 리드 아웃 개시 어드레스(LOA) 바로 앞의 위치까지의 기록 가능 영역 내의 구간이, 프로그램 데이터가 실제로 기록될 수 있는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이다.
그루브 영역 내에서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개시 어드레스(RSTA) 이전의 구간이, 기록 및 재생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 영역이다. 상술한 U-TOC는 이 제어 영역에 기록된다. 제어 영역 내에서 전력 보정 영역으로부터 시작하는 1 클러스터 크기의 구간이, 레이저 빔의 전력을 보정하기 위한 영역이다.
U-TOC는, 제어 영역 내에서 U-TOC 개시 어드레스(USTA)로부터 시작하는 3 클러스터 크기의 인접 구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1 클러스터는 36 섹터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프로그램 데이터는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에 기록된다. 본 예시에서, 4 트랙 M1 내지 M4이 기록된다.
제1 트랙 M1은 어드레스 A0 내지 A1에 있는 파트에 기록된다. 제2 트랙 M2는 두 파트에 기록된다. 더 상세하게는, 제2 트랙 M2의 초반부 M2-1는 어드레스 A2 내지 A3에 있는 파트 중 하나에 기록되고, 후반부 M2-2는 어드레스 A6 내지 A7에 있는 다른 파트에 기록된다. 제3 트랙 M3은 어드레스 A4 내지 A5에 있는 파트에 기록되고, 제4 트랙 M4은 어드레스 A8 내지 A9에 있는 파트에 기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자유 영역은 어드레스 A10 내지 A11에 있는 파트에 대응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상태에 있는 U-TOC의 전형적인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하이픈 "-"은 파트 기술자 포인터 내에 설정된 1바이트 데이터 00h 또는 파트 기술자 내의 링크 정보, 및 U-TOC 내의 파트 기술자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에 설정된 3 바이트 데이터 000000h를 나타낸다.
본 예시에서, 디스크(1) 상에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손상 영역 파트 기술자 포인터 P-DFA는 00h로 설정된다.
도 4에 도시된 기록 상태에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알은 자유 영역을 제어하기 위한 파트 기술자를 지시한다. 본 예시에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 06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6h를 지시한다. 도 5b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 어드레스 A10과 종료 어드레스 A11을 가지는 자유 영역의 역할을 하는 파트 상의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5a에 의해 도시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에 의해 지시된 파트 기술자 06h는 개시 어드레스 A10 및 종료 어드레스 A11를 포함한다.
제1 트랙 M1의 개시 어드레스 A0 및 종료 어드레스 A1는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1에 의해 지시되는 파트 기술자 01h 내에 기술된다. 제1 트랙 M1은 단 하나의 파트에서 기록되기 때문에, 파트 기술자 01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된다.
제2 트랙 M2의 개시 어드레스 A2 및 종료 어드레스 A3는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2에 의해 지시되는 파트 기술자 02h 내에 기술된다. 그러나, 제2 트랙 M2는 두 개의 파트 M2-1 및 M2-2 내에 기록되기 때문에, 제2 트랙 M2의 초반부를 기록하기 위한 파트 M2-1의 개시 및 종료 어드레스는 A2 및 A3이다. 파트 기술자 02h의 링크 정보는 예를 들어 04h로 설정되어, 제2 트랙 M2의 후반부를 기록하기 위한 제2 파트 M2-2를 기술하는 파트 기술자 04h를 지시한다. 제2 파트 M2-2의 개시 어드레스 A6 및 종료 어드레스 A7는 파트 기술자 04h 내에서 기술된다. 제2 트랙을 기록하기 위한 파트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므로, 파트 기술자 04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더 이상의 링크가 불필요함을 나타낸다.
제3 트랙 M3 및 제4 트랙 M4를 기록하기 위한 파트들의 위치는, 제1 트랙 M1과 동일한 방식으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3 및 P-TNO4에 의해 지시되는 파트 기술자 내에 기술된다. 4개의 프로그램만이 기록되기 때문에,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5 내지 P-TNO255는 사용되지 않으므로, 각각 00h로 설정됨을 알아야 한다.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에서 복수의 미사용 파트 기술자 중 제1 파트 기술자를 지시하는 파트 기술자 포인터 P-EMPTY은, 이 경우 파트 기술자 07h인 제1 미사용 파트 기술자를 지시하도록 설정된다. 파트 기술자 07h 내지 FFh는 모두 사용되지 않는다. 파트 기술자 08h 내지 FFh는 파트 기술자 07h에 순차적으로 링크되어, 파트 기술자 07h 내지 FEh에 기록되어 있는 링크 정보들을 이용하여, 파트 기술자 07h가 링크 리스트의 헤드에 위치하는 링크 리스트를 형성한다.
< 4. 심리스 기록 동작 >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는 정보가 상실되지 않도록 복수의 디스크들에 걸 쳐 스프레딩되어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심리스 기록 동작의 개념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a는 A 데크부(0)에 탑재된 A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의 진행을 시간축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와 매우 유사하게, 도 6b는 B 데크부(100)에 탑재된 B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의 진행을 시간축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를 이용하여 심리스 기록을 수행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적어도 A 데크부(0)에 A 디스크를 탑재하고, 프로그램의 기록을 개시하는 조작 이전에 선정된 조작을 수행하여, 장치를 심리스 기록 모드로 설정한다.
B 디스크는 A 디스크와 동시에, 또는 A 디스크가 탑재된 후 아래 설명된 중복 기록 기간이 경과되기 전에 B 데크부(100)에 탑재될 수 있다. 중복 기록 기간은 이하 중복 기록 시간 T로 칭한다.
전형적으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심리스 기록 동작은 기록/재생 장치의 A 데크부(0)에 A 디스크를 탑재한 상태로 개시된다. 기록/재생 장치는, A 데크부(0) 또는 B 데크부(100) 중 하나에서 항상 개시하는 심리스 기록 동작을 수행하도록 공장에서 미리 설정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가 선정된 조작을 수행함으로써 A 데크부(0) 또는 B 데크부(100) 중 하나에서 임의로 심리스 기록 동작이 개시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6a에 도시된 포인트에 의해 나타나는 시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심리스 기록 동작이 A 데크부(0)에 탑재되어 있는 A 디스크부터 개시된 후, 기록 시간 길이에 대응하는 선정된 값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기록 가능 영역이 A 디스크 상에 남게 된다. 이 시점에서, 도 6a에 도시된 A 디스크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동작과 함께, 도 6b에 도시된 B 디스크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한 동작이 B 데크부(100)에 의해 개시된다. 즉, 포인트 a에 의해 표시되는 시점에서, 기록/재생 장치는 소위 중복 기록 시간 T에 들어가며, 이 때 동일한 데이터가 A 디스크 및 B 디스크 둘 다에 기록된다.
포인트 b에 의해 표시되는 시점에서, A 데크부(0)에 탑재된 A 디스크 상의 기록 영역이 모두 사용된다. 따라서, A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동작은 이 시점에서 종료된다. B 디스크 상의 기록 영역이 모두 사용될 때까지, 또는 사용자가 기록 중단을 위한 조작을 수행할 때까지, B 데크부(100)에 탑재되어 있는 B 디스크에만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기록 동작이 계속된다.
이러한 기록 동작에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디스크의 종료부에 있는 선정된 데이터 세그먼트와 B 디스크의 개시부에 있는 선정된 데이터 세그먼트에 동일한 데이터가 기록된다. 세그먼트에 동일한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간이 중복 기록 시간 T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A 및 B 디스크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정보는 상실되지 않는다.
중복 기록 시간 T의 주기는 임의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T는 수 분 정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복 기록 시간 T 내의 한 시점에 대응하는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에 포인트 c를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트랙 구획 문자가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랙 단위로 제어된다. 그러나, 정상적으로 하나의 트랙이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한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하나가 수 분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중복 기록 시간 T는, 트랙 구획 문자에 대응하는 시점이 항상 T에 포함되게 하는 길이로 설정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복 기록 시간 T 내의 한 시점에 대응하는 포인트 c에 의해 표시되는 데이터 위치가, 기록된 데이터의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인 것으로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포인트 c는 기록 데이터 열 내에서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로서 설정된다. 포인트 c는 심리스 재생 동작이 A 디스크에서 B 디스크로 스위칭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포인트 c는 다음과 같은 전형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검출된다.
이러한 기술에 따르면, 기록 데이터 중 검출된 저레벨 신호 부분은, 두 개의 연속적인 트랙 간의 구획 문자 위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로 간주된다. 포인트 c는 이러한 위치에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트랙이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하기 때문에, 저레벨 신호는 프로그램의 개시부 및 종료부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검출된 저레벨 신호는 두 개의 연속적인 트랙 간의 구획 문자 위치에서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기록/재생 장치 내에서 상기 저레벨 신호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처리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저레벨 신호 검출부(27)로부터 신호를 얻는 주 제어기(20)에 의해 수행된다.
기록될 데이터는 A/D 컨버터(17) 또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디지 탈 오디오 신호로서 입력된다. 저레벨 신호 검출부(27)는 입력된 디지탈 오디로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저레벨 신호 검출부(27)가, 신호로서 모니터링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가 선정된 기간동안 연속적으로 저레벨 신호의 레벨로서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인 상태를 검출하면, 저레벨 신호 검출부(27)는 주 제어기(20)에 검출 신호를 출력하여, 저레벨 신호 부분이 데이터로 검출되었음을 통지한다.
주 제어기(20)가 심리스 기록 동작의 중복 기록 시간 T 동안 저레벨 신호 검출부(27)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주 제어기(20)는 검출 레벨이 기록 데이터의 저레벨 신호 주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정하고, 전형적으로 저레벨 신호 주기의 중앙에 포인트 c를 설정한다.
기록될 데이터가, 디지탈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사양과 일치하는 구조이며 디지탈 인터페이스(23)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예를 들어 저레벨 신호부를 검출하는 대신에,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검출된다.
이러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의 경우, 트랙 번호 및 실행 시간과 같은 정보는 서브 코드 영역에 기록된다. 주 제어기(20)는, 데이터 내에서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검출하여 포인트 c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급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의 서브 코드를 디코딩한다.
주 제어기(20)는, 상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설정된 포인트 c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A 데크부(0)에 채용된 시스템 제어기(11) 및 B 데크부(100)에 채용된 시스템 제어기(111)에 전송한다. 시스템 제어기(11 및 111)는, 디스크(1) 상에서 포인트 c의 위치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를 각각 저장한다. 즉, 디스크(1) 상의 어드레스 는 중복 기록 시간 T에 대응하는 영역 내의 구획 문자 위치를 지정한다. 아래에 설명될 바와 같이, A 디스크 상에서 포인트 c에 후속하는 데이터 및 디스크 B 상에서 포인트 c에 선행하는 데이터는, 시스템 제어기(11 및 111)에 의해 각각 저장된 어드레스를 참조하여 소거된다.
기록 데이터 내의 트랙 구획 문자는 기록 동작 동안 자동적으로 검출될 필요가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트 c를 설정하는 데 요구되는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은 대부분의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채용된다. 즉, 본 실시예는 종래의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던 구성을 이용하여 포인트 c를 설정할 수 있다.
A 디스크 및 B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이 종료되는 스테이지에서, 디스크의 U-TOC의 내용은 기록 동작의 결과에 따라 갱신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6a에서 포인트 c 이후에 기록된 데이터(사선으로 표시된 블록)와 관련된 정보는 A 디스크의 U-TOC로부터 소거된다. 즉, U-TOC는, 포인트 c 이후에 기록되어 있었으나 A 디스크로부터 소거된 데이터에 의해 점유되는 데 사용된 영역을 자유 영역으로 취급하도록 갱신된다. 동일한 이유로, 도 6b에서 포인트 c 이전에 기록된 데이터(사선으로 표시된 블록)와 관련된 정보는 B 디스크의 U-TOC로부터 소거된다. 즉, U-TOC는, 포인트 c 이전에 기록되어 있었으나 B 디스크로부터 소거된 데이터에 의해 점유되는 데 사용된 영역을 자유 영역으로 취급하도록 갱신된다.
상기와 같이 수행된 동작은, A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트랙의 종료부에서 중단되고, B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트랙의 개시부에서 개시되게 한다.
A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와 B 디스크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 간에 정보가 상실되지 않으며, 또한 A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트랙의 중앙에서 종료되지 않고, B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트랙의 중앙에서 개시되지도 않는다. 결과적으로, A 및 B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스크들의 라이브러리는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될 심리스 재생 동작에서, 데크부의 재생 동작이 A 디스크에서 B 디스크로 스위칭되는 시점에서 트랙 중앙의 데이터 부분들을 정교하게 일치시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일부러 제공하지 않고서도, 일반적으로 두 개의 연속적인 트랙 간에 존재하는 갭이 어느 정도 지속하는 시간 동안 저레벨 신호 부분에 대응한다는 이점을 이용하면, 예를 들어 사운드가 용이하게 연속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심리스 기록 동작은 A 데크부(0)에 탑재되어 있는 A 디스크에서 개시하여, B 데크부(100)에 탑재되어 있는 B 디스크에서 종료된다. B 데크의 종료시 심리스 기록 동작을 계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B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에서 또 다른 중복 기록 시간 T에 도달하기 전에 새로운 A 디스크가 A 데크부(0)에 탑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다른 중복 기록 시간 T를 설정함으로써 심리스 기록 동작이 계속될 수 있다. 그 후, 심리스 기록 동작은, 상기와 같은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크에서 다른 디스크로 스위칭될 수 있다.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서 A 디스크 및 B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되므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개별 파트에 트랙이 기록되는 체계에서도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된 심리스 기록 동작의 전형적인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기록 시간의 경과에 따라 A 디스크 및 B 디스크 상에서 각각 발생하는 기록 상태의 변화를 트랙의 관점에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7a 및 도 7b는 A 및 B 디스크 내의 트랙에서 각각 발생하는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의 기록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편의상, 도 4에 도시된 어드레스 A0 및 리드 아웃 어드레스 LOA는, 도 7a 및 도 7b에서 각각 어드레스 000 및 400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의 실질적인 범위는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 개시 어드레스 RSTA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000부터 어드레스 400 바로 앞의 어드레스 399까지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예시에서, 심리스 기록 동작은 A 데크부(0)에 탑재된 A 디스크에서 개시하여, B 데크부(100)에 탑재된 B 디스크로 계속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A 및 B 디스크가 모두 새 디스크라고 하자. 데이터가 A 및 B 디스크 상의 물리적으로 연속적인 트랙들 상에 기록될 수 있어서, 데이터가 분리된 개별 파트로 분리되는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자.
도 7a에 도시된 상태에서, 기록 동작은 A 디스크 상에서 개시되어, 트랙 M1, M2, M3 및 M4를 시간 경과에 따라 각각 어드레스 000, 100, 200 및 350에서 시작하 고, 099, 199, 349, 3999에서 종료하는 파트 열에 기록한다.
중복 기록 시간으로 사용되는 기록 잔여 시간이 100 어드레스 단위로 설정된다고 가정하자. 더 상세하게는, 트랙 M3를 기록하기 위한 파트 내에서 어드레스 299의 바로 뒤에 있는 데이터 위치에 포인트 a가 설정된다. B 디스크 상에서 포인트 a에 대응하는 데이터 위치에 후속하는 트랙 M3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은, 포인트 a에 의해 지정되는 시점에서 개시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디스크의 기록 동작은, 트랙 M3, M4, M5 및 M6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각각 어드레스 000, 050, 125 및 275에서 개시하고 어드레스 049, 124, 274 및 399에서 종료하는 순차적인 파트들에 기록하도록 수행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디스크 상의 기록 동작은 트랙 M4의 중앙에서 종료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 디스크 상의 기록 동작은 트랙 M6에서 종료한다.
전술한 기록 동작의 결과로서, 중복 기록 시간 T 동안 A 및 B 디스크 둘 다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50 어드레스 단위의 크기를 가지는 트랙 M3의 후반부, 및 트랙 M3의 후반부에 후속하며 50 어드레스 단위의 크기를 가지는 트랙 M4의 초반부이다.
이러한 경우, 중복 기록 시간 T의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트 c는, 트랙 M3와 트랙 M4 사이에 설정된다. 트랙 구획 문자는 A 디스크 상의 어드레스 349 또는 B 디스크 상의 어드레스 049에 위치한다.
전술한 기록 동작이 완료된 후,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A 디스크 상의 트랙 M1, M2 및 M3는 트랙 #1, #2 및 #3로서 각각 등록되며, 실질적으로 트랙 M3에 후속하는 트랙 M4의 후반부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영역으로 사용된 파트는 자유 영역으로 취급된다. 즉, 이 파트에 기록된 데이터는 소거된다.
한편, B 디스크에서는, 트랙 M3의 후반부의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B 디스크의 개시부에 있는 파트가 소거되어 자유 영역으로 간주된다. 트랙 M3에 후속하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트랙 M4, M5 및 M6가 트랙 #1, #2 및 #3으로서 각각 등록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트랙 단위의 데이터 제어는, 각각의 디스크의 U-TOC를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심리스 기록 동작에 의해 초래된 A 및 B 디스크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A 및 B 디스크의 U-TOC의 내용이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디스크의 기록 상태를 반영하도록 A 디스크의 U-TOC 내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디스크의 U-TOC에 기록된 데이터는, 01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1h를 지시하는 트랙 #1에 대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1를 포함한다. 파트 기술자 01h는, 트랙 M1을 저장하기 위한 파트의 개시 어드레스 000와 종료 어드레스 099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파트 기술자 01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1h가 아무 것에도 링크되지 않게 한다.
트랙 #2를 위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2는 02h로 설정되어, 트랙 M2를 저장하기 위한 파트의 개시 어드레스 100 및 종료 어드레스 199를 표시하는 데 사용 되는 파트 기술자 02h를 지시한다. 파트 기술자 02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2h가 아무 것에도 링크되지 않게 한다.
트랙 #3을 위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3는 03h로 설정되어, 트랙 M3를 저장하기 위한 파트의 개시 어드레스 200 및 종료 어드레스 349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파트 기술자 03h를 지시한다. 파트 기술자 03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3h가 아무 것에도 링크되지 않게 한다.
파트에 기록된 트랙 M4의 데이터는 소거되고, 그 파트는 자유 영역으로 취급된다. 자유 영역으로 취급되는 파트는, 04h로 설정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에 의해 지시되는 파트 기술자 04h에 의해 기술된다. 자유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350 및 종료 어드레스 399는 파트 기술자 04h에 표시된다. 자유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350의 바로 앞에 있는 어드레스 349에서 종료하는 전체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파트 기술자 04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4h에 의해 기술되는 파트가 유일한 자유 영역임을 나타낸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P-EMPTY은 05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5h가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파트 기술자 06h 내지 FFH는, 파트 기술자 05h 내지 FEh에 포함되어 있는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파트 기술자 05h에 링크되어, 파트 기술자 테이블 내에서 파트 기술자 05h가 헤드에 위치하는 미사용 파트 기술자들의 링크 리스트를 형성한다. 파트 기술자 FF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FFH에 의해 기술되는 파트가 링크 리스트 상의 최종 미사용 파트 기술자임을 나타낸다.
도 9는 디스크의 기록 상태를 반영하도록 B 디스크의 U-TOC에 기록된 데이터 의 세부 사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B 디스크의 개시부에 있는 파트에 기록된 트랙 M3의 데이터는 소거되고, 그 파트는 자유 영역으로 취급된다. 자유 영역으로 취급되는 파트는, 01h로 설정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FRA에 의해 지시되는 파트 기술자 01h에 의해 기술된다. 자유 영역의 개시 어드레스 000 및 종료 어드레스 049는 파트 기술자 01h에 표시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 050에서 시작하여 어드레스 399에서 종료하는 전체 기록 가능 사용자 영역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며, 파트 기술자 01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1h에 의해 기술되는 파트가 유일한 자유 영역임을 나타낸다.
트랙 #1을 위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1는 02h로 설정되어, 트랙 M4를 저장하기 위한 파트의 개시 어드레스 050 및 종료 어드레스 124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파트 기술자 02h를 지시한다. 파트 기술자 02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2h가 아무 것에도 링크되지 않게 한다.
트랙 #2을 위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2는 03h로 설정되어, 트랙 M5를 저장하기 위한 파트의 개시 어드레스 125 및 종료 어드레스 274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파트 기술자 03h를 지시한다. 파트 기술자 03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어, 파트 기술자 03h가 아무 것에도 링크되지 않게 한다.
트랙 #3을 위한 파트 기술자 포인터 P-TNO3는 04h로 설정되어, 트랙 M6를 저장하기 위한 파트의 개시 어드레스 275 및 종료 어드레스 399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파트 기술자 04h를 지시한다. 파트 기술자 04h의 링크 정보는 00h로 설정되 어, 파트 기술자 04h가 아무 것에도 링크되지 않게 한다.
파트 기술자 포인터 P-EMPTY 및 파트 기술자 05h 내지 FFH는 도 8에 도시된 A 디스크의 U-TOC에 대한 것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 5. 심리스 기록 동작 처리 >
심리스 기록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가 도 10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는, 주 제어기(20) 자체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고, A 데크부(0)의 시스템 제어기(11) 및 B 데크부(100)의 시스템 제어기(111)에 대한 처리를 주 제어기(20)를 통해 적절하게 수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본 예시에서, 심리스 기록 동작은 A 데크부(0) 내에서의 데이터 기록으로 개시하여, B 데크부(100) 내에서의 데이터 기록으로 계속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B 데크부(100)의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면 심리스 기록 동작이 종료되는 것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록/재생 장치를 심리스 동작 모드로 설정하여 심리스 기록 동작을 개시하는 단계 S101에서부터 순서도가 시작된다. 단계 S101에서, A 데크부(0)는 A 데크부(0)에 탑재된 A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단계 S101에서, B 데크부(100)는 A 데크부(0)와 동기화된 더미 동작(dummy oper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이 때,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26)는, 신호 처리를 위해 동일한 시스템 클럭 을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 둘 다에 공급한다.
그 후, A 데크부(0)는, 시스템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A 디스크 상에 실질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반면에, B 데크부(100)는 A 데크부(0)에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공유하고 훼치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지만, B 디스크 상에는 실질적으로 아무런 데이터도 기록되지 않는다. B 데크부(100)에 의해 수행되는 신호 처리는 더미 동작으로 공지되어 있다.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가 동일한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동일한 입력 데이터의 신호 처리를 각각 수행하기 때문에, 처리들은 동기화된 신호 처리 타이밍에서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 데크부(0)는 데이터를 A 디스크 상에 기록하고, B 데크부(100)는 더미 동작을 수행하므로, B 데크부(100)는, 도 6b의 포인트에 동기화된 도 6a의 포인트에 의해 나타나는 시점에서 데이터 기록을 개시하도록 용이하게 구동될 수 있다.
데크부에서의 더미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그 데크부에 탑재된 디스크는 아무런 문제 없이 교체될 수 있다.
단계 S101에 후속하는 단계 S102에서, A 데크부(0)는 기록 잔여 시간 Trm(A)이 선정된 중복 기록 시간 T 이하가 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들어간다. 기록 잔여 시간 Trm(A)은, A 디스크 상에 남아있는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기간으로 변환함으로써 얻어진다.
단계 S102에서, 기록 잔여 시간 Trm(A)이 중복 기록 시단 T 이하인 것으로 판정되면, 이제까지 더미 동작을 수행해오던 B 데크부(100)는 B 디스크 상에서 실질적인 데이터 기록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B 데크부(100)에서의 기록 동작의 개시 시에, 주 제어기(20), 시스템 제어기(11) 및 시스템 제어기(111)는 전형적으로 B 데크부(100)의 버퍼 메모리부(113)에 데이터 기입 포인터를 A 데크부(0)의 메모리 제어기(12)에 의해 지정된 버퍼 메모리부(13) 내의 데이터 기입 포인터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데이터 기입 포인터는 버퍼 메모리부(13 또는 113) 내의 어드레스 위치이며, 데이터는 이러한 데이터 기입 포인터에서부터 디스크(1)로 전송된다. 결과적으로, 데이터는 도 6a에 도시된 포인터에 의해 지정되는 데이터 위치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B 디스크 상에 기록될 수 있다.
A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아래에 설명될 단계 S102 내지 단계 S108의 처리를 완료하기 위한 기간이,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된 중복 처리 기간 T이다.
다음 단계 S104에서는, 상술한 기술을 이용하여 트랙 구획 문자를 검출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진다. 트랙 구획 문자가 검출되지 않으면, 처리는 단계 S107로 진행한다. 반면에, 트랙 구획 문자가 검출되면, 처리는 단계 S105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검출된 트랙 구획 문자가 체크되어, 그 트랙 구획 문자가 단계 S104에서 중복 기록 시간 T 내에서 최초로 검출된 트랙 구획 문자인지에 대한 판정을 내린다. 상기 트랙 구획 문자가 중복 기록 시간 T 내에서 최초로 검출된 트랙 구획 문자가 아닌 경우, 아무런 동작 없이 처리는 단계 S107로 이동한다. 반면에, 트랙 구획 문자가 중복 기록 시간 T 내에서 최초로 검출된 트랙 구획 문자인 경우, 도 6a를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포인트 c로 간주하고, A 및 B 디스크에서 포인트 c에 대응하는 기록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저장되는 단계 S106으로 진행한다.
더 상세하게는, 어드레스는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이 저장된다. A 데크부(0)에서, 시스템 제어기(11)는, A 디스크 상에서 포인트 c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어드레스 디코더(10)로부터 엔코더 & 디코더부(8)를 통해 기록되는 어드레스를 입력하고, 전형적으로 내부 RAM에 그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B 데크부(100)에서, 시스템 제어기(111)는, B 디스크 상에서 포인트 c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어드레스 디코더(10)로부터 엔코더 & 디코더부(108)를 통해 기록되는 어드레스를 입력하고, 전형적으로 내부 RAM에 그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단계 S106이 완료된 후, 처리는 단계 S107로 진행한다.
단계 S105에서 수행된 처리에 따라, 중복 기록 시간 T동안 검출된 제2 및 그 이후의 트랙 구획 문자들은 무시되고, 이러한 트랙 구획 문자에 대해서는 포인트 c가 설정되지 않는다. 도 6a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포인트 c는, 심리스 기록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두 개의 디스크 중 하나의 디스크에서 다른 디스크로 재생 동작을 스위칭하기 위한 위치에 대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복 기록 시간 T 내에서 단 하나의 포인트 c만 설정되면 된다. 즉, 두 개 이상의 포인트 c가 설정될 필요는 없다. 단계 S105의 처리는, 중복 기록 시간 T 내에서 단 하나의 포인트 c 만이 설정되도록 수행된다.
단계 S107에서, A 디스크의 기록 잔여 시간 Trm(A)이 조사되어, Trm(A)이 00과 동일한지, 즉 A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영역 전체가 데이터 기록을 위해 모두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A 디스크의 기록 잔여 시간 Trm(A)이 00과 동일해지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104로 복귀한다. 반면에, A 디스크의 기록 잔여 시간 Trm(A)이 00과 동일한 경우, 단계 S108로 처리가 진행하여, A 데크부(0)에 의해 수행되는 A 디스크로의 데이터 기록이 종료된다. 아래에 설명되는 처리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포인트 c 이후에 수행된다. 즉, 기록 동작은 B 데크부(100)에 의해 수행되는 B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동작으로 계속된다.
단계 S109에서, B 데크부(100)는 B 디스크의 기록 잔여 시간 Trm(B)이 00과동일해지기를, 즉 B 디스크 상의 기록 가능 영역 전체가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들어간다.
단계 S109에서, B 디스크의 기록 잔여 시간 Trm(B)이 0과 동일한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110으로 처리가 진행하여, B 데크부(100)에 의해 수행되는 B 디스크로의 데이터 기록 동작을 종료하기 위한 제어 처리가 수행된다.
사용자가 B 데크부(100)에 의해 수행되는 B 디스크로의 데이터 기록 동작을 종료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단계 S110로 처리가 진행하여, B 데크부(100)에 의해 수행되는 B 디스크로의 데이터 기록을 종료하기 위한 제어 처리가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태는 도 10에 도시된 순서도로 국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다음 단계 S111에서, A 디스크의 U-TOC는 이제까지 수행된 기록 동작의 결과에 따라 갱신된다. 마찬가지로, 다음 단계 S112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나타난 루틴의 개시 전에, B 디스크의 U-TOC가 이제까지 수행된 기록 동작의 결과에 따라 갱신된다. 단계 S111 및 S112에서 수행된 처리들은, A 및 B 디스크의 U-TOC가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상태에 각각 들어가게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트랙들을 순서대로 제어하기 위해, 이제까지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 사용된 트랙들에 오름 차순의 트랙 번호가 할당된다. 또한, A 디스크 상에서 포인트 c에 후속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 및 B 디스크 상에서 포인트 c에 선행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은 각각 자유 영역으로 취급된다.
전술한 처리 순서도에 따르면, 단계 S104에서 시작하여 단계 S105 및 S106은 제외하고 단계 S107을 거쳐 단계 S108까지 처리가 계속될 수 있다.
상기와 처리 순서는, 전형적으로 매우 긴 프로그램으로 인해 중복 기록 시간 T이 시작되기 때문에, 트랙 구획 문자를 검출하지 않고 A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이 종료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단계 S108의 처리들 및 연속적인 단계들은 포인트 c를 설정하지 않고 진행된다. 따라서, 단계 S111에서 A 디스크의 U-TOC를 갱신하여 중복 기록 시간 T의 후반부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자유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특정 처리는 수행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단계 S112에서 B 디스크의 U-TOC를 갱신하여 중복 기록 시간 T의 초반부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록 영역을 자유 영역으로 설정하기 위한 특정 처리들은 수행되지 않는다. 즉, 도 6a 및 도 6b 또는 도 7a 및 도 7b에 사선으로 표시된 블록으로 나타낸 데이터 기록 영역에 데이터가 잔류하여 재생될 수 있게 하는 동작을 수행되지 않는다.
또한, 3개 이상의 디스크를 이용하여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에 의해 심리스 기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술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는, 도 10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처리에 기초하여 설계될 수 있다.
< 6. 심리스 재생 동작의 처리 >
심리스 재생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가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설명된다. 심리스 재생 동작에서, 데이터는 심리스 기록 동작이 완료되어 있는 디스크로부터 정보의 상실없이 재생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는, 주 제어기(20) 자체의 제어 처리를 수행하고, 주 제어기(20)의 제어 수행을 통해 A 데크부(0)의 시스템 제어기(11) 및 B 데크부(100)의 시스템 제어기(111)에 대한 적절한 제어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본 예시에서, 심리스 재생 동작은 A 데크부(0) 내의 데이터 재생 동작에서 시작하여, B 데크부(100) 내의 데이터 재생으로 계속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B 데크부(100) 내에서의 데이터 재생이 완료되면, 심리스 재생 동작은 종료된다.
전형적으로, 사용자는 심리스 재생 모드의 재생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기 전에,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에 심리스 기록 동작을 완료한 A 디스크 및 B 디스크를 각각 탑재시킨다.
A 디스크가 재생 중인 동안에도, B 디스크가 B 데크부(100)에 탑재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데크부(0)가 A 데크부(0)에 탑재된 A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S201에서 순서도가 시작된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재생 동작은, A 디스크 및 B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고, 버퍼 메모리부(13 및 113)에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고,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14 및 114)에 데이터를 각각 전송하는 처리를 의미한다.
다음의 단계 S202에서, A 데크부(0)는 A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하는 동작이 완료되기를 기다리는 상태에 들어간다. A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하는 동작이 완료된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 S203으로 처리가 진행하여, B 데크부(100)가 B 데크부(100)에 탑재된 B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고 버퍼 메모리부(113)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제어 처리가 수행된다. 이러한 동작이 개시되는 시점에서, A 데크부(0)는 버퍼 메모리부(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잔여 데이터를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로 전송하는 동작을 계속한다.
A 데크부(0)에 의해 버퍼 메모리부(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잔여 데이터를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전송하는 동작이 완료되는 것과 동시에, B 데크부(100)는 버퍼 메모리부(113) 내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전송하는 동작을 개시한다.
다음과 같이, B 데크부(100) 내에서의 재생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타이밍은 A 데크부(0) 내에서의 재생 동작을 종료하는 타이밍과 동기화된다. 우선,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26)에 의해, 동일한 클럭 신호가 A 데크부(0) 및 B 데크부(100)에 공급된다. 그 다음, 선정된 워드수의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부(13)로부터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로 전송될 시간 간격이 선정된다. 그 다음, 버퍼 메모리부(13)로부터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로의 데이터 전송 동작이 완료되면, 이러한 전송 타이밍과 동기하여, 버퍼 메모리부(113)로부터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14)로의 데이터 전송이 B 데크부(100)에서 개시된다. 시스템 제어기(11)가 시스템 제어기(111)과 협력하여 필요한 제어 처리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타이밍 제어가 수행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재생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였는지에 대한 판정을 내리기 위한 단계 S204로 처리가 진행된다. 사용자가 재생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행한 경우, 지금까지 수행된 B 디스크로부터의 데이터 재생 동작은 종료되고,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의 루틴은 종료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재생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205로 진행한다.
B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를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하는 동작 및 버 퍼 메모리부(113)로부터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14)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재생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한 단계 S205로 처리가 진행한다.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204로 복귀한다. 반면에, 재생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나타난 루틴이 개시되기 전에 재생 처리가 종료된다.
심리스 재생 동작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A 데크부(0)에서 B 데크부(100)로 재생 처리를 스위칭함으로써, 3개 이상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심리스 재생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에 기초하여 재생 동작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 7. 제2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의해 구현되는 기록/재생 장치에서 채용된 것과 동일한 소자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며, 그들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A 데크부(0A) 및 B 데크부(100A)는, 데이터 제어 회로(30), 메모리 제어기(12), 버퍼 메모리부(13),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 및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서 아날로그 정보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소자를 공유한다. 입출력 소자는, D/A 컨버터(15), 오디오 출력 단자(16), A/D 컨버터(19) 및 오디오 입력 단자(18)이다. 기록/재생 장치의 전체 제어를 포함하여 제1 실시예의 주 제어기(20)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제어기(11), 및 시스템 제어기(11)에서 디지탈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디지탈 입출력 소자도, A 데크부(0A) 및 B 데크부(100A)에 공통이다. 디지탈 입출력 소자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 디지탈 입력 단자(24) 및 디지탈 출력 단자(25)이다.
이러한 구성에서,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기(12) 및 데이터 제어 회로(30)를 경유하여, A 데크부(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8) 및 B 데크부(10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108)로 전송될 수 있다.
기록 또는 재생 동작에서, 예를 들어 데이터 제어 회로(30)는 메모리 제어기(12)와 A 데크부(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8) 또는 B 데크부(10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108) 사이에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한다. 특히, 기록 동작에서, 데이터 제어 회로(30)는, 메모리 제어기(12)로부터 A 데크부(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8) 및 B 데크부(10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108)로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는 기능 회로 소자이다. 데이터 제어 회로(30)의 동작은 시스템 제어기(11)에 의해 제어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공통 기능 회로 부재, 즉 기록/재생 신호 처리 시스템은 A 데크부(0A)와 B 데크부(100A)에 의해 공유된다.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기입 및 판독하기 위한 기능 회로 부재와는 별도로 공통 기능 회로 부재가 제공되기 때문에, A 데크부(0A) 및 B 데크부(100A)에 공통으로 클럭 신호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따 라서,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채용된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26)는 제거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에서, 압축 전 또는 압축 후에 오디오 압축 엔코더 & 오디오 압축 해제 디코더부(14)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저레벨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저레벨 신호 검출부(27)가 제공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A/D 컨버터(19) 또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23)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저레벨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 저레벨 신호 검출부(27)가 제공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이러한 구성의 기록/재생 장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에 기초하여 심리스 기록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구성에서, 판정에 대한 승인 출력이 얻어지는 단계 S102에 후속하여, B 디스크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작이 단계 S103에서 개시되면, 이제까지 버퍼 메모리부(13)로부터 판독되어 A 데크부(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8)로만 전송되던 데이터가, B 데크부(100A) 내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108)에도 전송되도록 데이터 제어 회로(30)의 동작이 제어된다.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러한 구성의 기록/재생 장치에서, 도 11에 도시된 순서도에 의해 나타나는 처리에 기초하여 심리스 재생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 제어 회로(30)는 A 데크부(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8)로부터 메모리 제어기(12)로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며, A 디스크로부 터 판독된 재생 데이터가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된다. A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데이터 제어 회로(30)는 B 데크부(100A)에 채용된 엔코더 & 디코더부(108)로부터 메모리 제어기(12)로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형성하고, B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작이 개시되며, B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는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된다.
이와 동시에, 버퍼 메모리부(13)로의 포인터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B 디스크로부터 판독되어 버퍼 메모리부(13)에 저장된 데이터가 A 디스크로부터 미리 판독된 재생 데이터와 정확하게 연결되게 한다. 더 상세하게는, B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재생 데이터의 개시부는, A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재생 데이터의 종료부의 바로 다음에 온다. 결과적으로, 재생 프로그램은 중단없이 출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A 및 B 디스크의 U-TOC는 자동적으로 갱신되어, A 디스크 상에서 포인트 c 뒤에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 및 B 디스크 상의 포인트 c 앞에 있는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각각 자유 영역으로 취급되게 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갱신된 U-TOC를 가지는 대신에 동일한 기록 상태를 생성하는 편집 동작도 수행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A 디스크 상의 포인트 c 뒤에 있는 데이터 기록 영역 및 B 디스크 상의 포인트 c 앞에 있는 데이터 기록 영역은 각각 자유 영역 대신 재생 가능 영역으로 취급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서는, 중복 처리에서 이러한 영역들의 데이터가 재생되지 않는 심리스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예시에서, 사선으로 표시된 블록에 의해 각각 나타 나는 영역들은 각각 재생 가능 영역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 A 디스크 상에서 트랙 M4를 기록하기 위한 파트는 트랙 #4로 취급된다. B 디스크 상에서 트랙 M3, M4, M5 및 M6를 기록하기 위한 파트는 각각 트랙 #1, #2, #3 및 #4로 취급된다.
특히 심리스 재생 모드에서, A 디스크 상에서 트랙 M4의 바로 앞에 있는 트랙인 M3를 기록하기 위한 트랙 #3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이 완료되면, M4를 기록하기 위한 트랙 #4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지 않고 A 디스크의 재생 동작이 종료된다. A 디스크의 재생 동작 완료시, B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이 개시되면, 제1 트랙 또는 트랙 #1인 M3를 기록하기 위한 파트의 데이터는 재생되지 않는다. 그 대신, 엠4 또는 트랙 #2를 기록하기 위한 파트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이 개시된다.
< 8. 제3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심리스 기록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순서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며, 그들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는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 단계 S104에서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가 검출되면, 처리는 단계 S105로 진행하여,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트 c가 임시적으로 결정되고, A 디스크 및 B 디스크 상의 포인트 c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가 내부 RAM 내에 각각 임시 정보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어드레스들은, 단계 S104에서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가 검출될 때마다 저장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113에서 단계 S107로 진행한다.
단계 S108과 단계 S109 사이에 단계 S114가 삽입된다. 단계 S114에서, 단계 S113에서 임시적으로 결정된 포인트 c가 트랙 구획 문자의 정식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트 c로서 결정된다. 또한, a 및 B 디스크 상에서 정식 포인트 c에 대응하는 데이터 기록 어드레스가 각각 정식 어드레스 정보로서 저장된다.
그 다음, 처리는 단계 S114에서 단계 S109로 진행한다.
제3 실시예의 경우, 실질적으로 결정된 정식 포인트 c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중복 기록 시간 T의 주기 동안 최종적으로 검출된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중복 기록 시간 T의 주기 동안 2개 이상의 트랙 구획 문자가 검출된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서, 포인트 c는 최종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심리스 기록 동작에서 기록될 수 있는 최대량의 데이터를 A 디스크 상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복 기록 시간 T의 주기 동안, 단 하나의 트랙 구획 문자가 검출되거나, 트랙 구획 문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기록 효과를 제공할 것이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미니 디스크 시스템에 적용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미니 디스크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 이외의 다른 기록 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테이프형 기록 매체 또는 고체 상태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를 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데크부가 제공된 기록/재생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심리스 기록 동작에서, 데크부 중 기록 처리가 선행되는 데크부에 탑재된 기록 매체 상에 남아있는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가 선정된 값 이하로 되면, 심리스 기록 동작은 다른 데크부로 계속된다. 따라서, 심리스 기록 동작에서, 기록 처리가 선행되는 데크부의 종료부에 있는 선정된 세그먼트는 다른 데크부의 개시부에 있는 선정된 세그먼트와 중첩되어, 기록 데이터가 중복되는 중복 세그먼트가 된다.
결과적으로, 심리스 기록 동작에서, 두 개의 기록 매체에 걸쳐 스프레딩되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정보가 상실되지 않는다.
두 개의 기록 매체 상에 중복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중복 세그먼트 내의 특정 위치를 지시하기 위해 포인터가 설정될 수 있다. 심리스 재생 동작에서, 이러한 포인터는 재생 처리가 선행되는 기록 매체의 재생 종료점, 및 연속적인 재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기록 매체의 개시점을 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심리스 재생 동작에서, 재생 처리가 선행되는 기록 매체 상의 데이터 기록이 완료될 때, 연속적인 재생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의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적어도 기록된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상실하지 않고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심리스 재생 동작에서, 재생 처리를 선행하는 기록 매체의 재생 처리 를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데이터 위치에서 종료시키고, 동일한 포인터에 의해 지 시되는 데이터 위치에서 연속적인 재생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재생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출력되어, 사용자가 재생된 프로그램의 불연속을 느끼지 못하게 한다.
심리스 기록 동작에서, 기록 처리가 선행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포인터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 뒤에 있는 데이터를 소거하고, 연속적인 기록 처리가 수행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동일한 포인터에 의해 지정되는 위치 앞에 있는 데이터를 소거함으로써, 심리스 기록 동작의 결과로서 얻어진 기록 데이터에서, 기록 처리가 선행된 기록 매체 상에 기록된 데이터의 종료부는, 연속적인 기록 처리가 수행되는 기록 매체의 개시부에 의해 계속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 기록 매체들로부터 재생되는 프로그램을 청취함으로써, 두 개의 디스크가 서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형적인 라이브러리 관리를 통해 디스크들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에서, 포인터가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지시하도록 설정함으로써, 심리스 기록 동작에서 디스크 상에 기록된 데이터는 절대로 트랙 중앙에서 개시하거나 종료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라이브러리 관리를 수행하고, 원하는 대로 디스크를 이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심리스 재생 동작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2개의 연속적인 트랙 사이에 존재하는 갭이 저레벨 신호의 부분에 대응한다는 이점을 이용하여, 음향의 중단을 막기 위해 트랙의 중앙에 있는 오디오 데이터들을 잘 연결시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일부러 제공하지 않고서도, 심리스 기록 동작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인터가 트랙 구획 문자의 위치를 지시하도록 설정하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데이터 내의 서브 코드를 참조하여 프로그램 구획 문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프로그램 포인터의 위치에 포인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그램 구획 문자가 정상적으로 프로그램들 간에 존재하는 저레벨 신호의 데이터 세그먼트에 대응한다는 이점을 이용하여, 검출된 저레벨 신호의 데이터 세그먼트에 포인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은, 전형적으로 기록 동작에서의 자동 트랙 분할과 같은 목적으로 시작된 저레벨 신호의 데이터 세그먼트를 검출하는 기능이 제공되는 구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데크부 각각에 대해 신호 처리 회로 시스템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기록/재생 장치에서, 동일한 클록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기록/재생 처리가 선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 시스템이 연속적인 기록/재생 처리가 수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신호 처리 시스템과 동기화된다. 기록 처리가 선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신호 처리 시스템이 그 기록 매체 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동안, 연속적인 기록 처리가 수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신호 처리 시스템은 더미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속적인 기록 처리가 수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 시스템은, 기록 처리가 선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신호 처리 회로 시스템의 기록 포인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기록 포인터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서부터 연속 기록 처리를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심리스 동작이 용이하게 시작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데크부가 공통 신호 처리 회로 시스템을 공유하는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에서는, 연속적인 기록 처리가 수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데크부에 의해 수행되는 연속적인 기록 처리가 개시될 때, 이제까지 공통 신호 처리 회로 시스템에 의해 기록 처리가 선행되는 기록 매체를 위한 데크부로만 공급되던 데이터가, 연속적인 기록 처리가 수행될 기록 매체를 위한 데크부에도 전송되도록 제어 처리가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심리스 기록 동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Claims (20)

  1. 기록 동작시, 복수의 기록 매체 중 하나의 기록 매체에서 다른 기록 매체로 기록 동작이 스위칭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기록 수단, 즉 제1 기록 수단 및 제2 기록 수단;
    상기 기록 수단들에 기록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스위칭 수단; 및
    현재 선행 기록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탑재된 제1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 영역의 종료점에 근접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기록 수단의 상기 선행 기록 동작이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도달하기 전에,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기 제2 기록 수단의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 종료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탑재된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구간 내에 기록된 데이터가,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탑재된 상기 제2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 영역의 개시점에 근접한 구간 내에 기록된 데이터와 동일해지게 하는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 종료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잔여 크기 계산 수단;
    상기 잔여 크기 계산 수단에 의해 출력된 계산 결과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위치를 나타내는 선정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제1 기록 수단의 상기 선행 기록 동작이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종료점 근접 검출 수단; 및
    상기 종료점 근접 검출 수단에 의해 출력된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기 제2 기록 수단의 상기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는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길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가지고,
    상기 잔여 크기 계산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제어 영역 내에 이미 기록된 기록 데이터의 상기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기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점 근접 검출 수단은, 상기 잔여 크기 계산 수단에 의해 출력된 계산 결과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선정된 값을 비교하고, 상기 잔여 크기 계산 수단에 의해 출력된 상기 계산 결과가 상기 선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 사이에서 상기 기록 데이터의 구획 문자(delimiter)의 역할을 하는 부분을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구획 문자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획 문자 검출 수단은, 상기 기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레벨이 적어도 선정된 기간동안 연속적으로 선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기록 데이터의 구획 문자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검출된 것으로 판정하는 기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는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2 기록 매체는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 사이의 제1 구간, 또는 상기 제2 기록 매체의 상기 개시점에 근접하며 상기 제1 구간과 동일한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의 제2 구간 내에서, 상기 데이터 구획 문자 검출 수단이 상기 기록 데이터 내의 데이터 구획 문자를 검출할 때마다,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위치의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위치의 제2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어드레스 저장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어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어 정보를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 어드레스에 근접한 영역 내의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제1 데이터 소거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어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제어 정보를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2 어드레스에 근접한 영역 내의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한 제2 데이터 소거 수단이 제공되는 기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가 선정된 값과 동일해지면 동작을 중단하는 기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상태 종료 수단은,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기 위한 잔여 크기 계산 수단;
    상기 데이터 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기록 데이터에 첨부된 데이터 길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수단; 및
    상기 잔여 크기 계산 수단에 의해 출력된 계산 결과 및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기록 프로그램의 데이터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기 제2 기록 수단의 상기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기 위한 개시 수단
    을 포함하는 기록 장치.
  11. 기록 동작시, 복수의 기록 매체 중 하나의 기록 매체에서 다른 기록 매체로 기록 동작이 스위칭되는 경우에도, 복수의 기록 매체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기록된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방법에 있어서,
    현재 선행 기록 동작이 수행되고 있는 제1 기록 수단에 탑재된 제1 기록 매체의 기록 가능 영역의 종료점에 근접한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록 수단의 상기 선행 기록 동작이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도달하기 전에,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제2 기록 수단의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수단에 탑재된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구간에 기록된 데이터는, 상기 제2 기록 수단에 탑재된 상기 제2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개시점에 근접한 구간에 기록된 데이터와 동일해지는 기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선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제1 기록 수단의 상기 선행 기록 동작이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도달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록 수단의 상기 선행 기록 동작이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도달했는지에 대한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기 제2 기록 수단의 상기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는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길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영 역을 가지고,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상기 단계에서, 상기 크기는,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제어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기록 데이터의 길이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기록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상기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계산 결과는,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선정된 값과 비교되며,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출력된 상기 계산 결과가 상기 선정된 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가 검출된 것으로 판정되는 기록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상기 위치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 사이에서, 상기 기록 데이터의 구획 문자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검출되는 기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데이터를 나타내는 신호의 레벨이 적어도 선정된 주기동안 연속적으로 선정된 레벨 이하이면, 상기 기록 데이터의 구획 문자의 역할을 하는 부분이 검출된 것으로 판정되는 기록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는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가지고,
    상기 제2 기록 매체는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제어 영역을 가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에 근접한 위치와 상기 제1 기록 매체의 상기 기록 가능 영역의 상기 종료점 사이의 제1 구간, 또는 상기 제2 기록 매체의 상기 개시점에 근접하며 상기 제1 구간과 동일한 기록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의 제2 구간 내에서, 상기 기록 데이터 내의 데이터 구획 문자가 검출될 때마다,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위치의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의 기록 데이터의 기록 위치의 제2 어드레스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어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어 정보를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1 어드레스에 근접한 영역 내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록 매체 상의 상기 제어 영역에 기록된 상기 제어 정보를 편집함으로써, 상기 제2 어드레스에 근접한 영역 내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기록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가능 영역의 크기가 선정된 값과 동일해지면, 상기 제1 기록 수단은 동작을 중단하는 기록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 매체 상의 기록 영역의 크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기록 데이터에 첨부된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상기 기록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추출된 기록 데이터의 길이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행 기록 동작이 개시되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기 제2 기록 수단의 후행 기록 동작을 개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록 방법.
KR1019990019364A 1998-05-29 1999-05-28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KR100547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149589 1998-05-29
JP10149589A JPH11339447A (ja) 1998-05-29 1998-05-29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622A KR19990088622A (ko) 1999-12-27
KR100547053B1 true KR100547053B1 (ko) 2006-02-01

Family

ID=1547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9364A KR100547053B1 (ko) 1998-05-29 1999-05-28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272088B1 (ko)
JP (1) JPH11339447A (ko)
KR (1) KR100547053B1 (ko)
CN (2) CN17583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656B1 (en) 1999-04-13 2002-09-03 Ricoh Company, Ltd. Optical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storage media
EP1103973A3 (en) * 1999-11-18 2002-02-06 Pioneer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information
JP4304796B2 (ja) * 1999-11-30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ダビング装置
JP2003518315A (ja) * 1999-12-21 2003-06-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演奏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3589152B2 (ja) * 2000-05-02 2004-11-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3677205B2 (ja) 2000-11-08 2005-07-27 株式会社東芝 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装置及び複数記録面対応の情報記録方法
JP3607630B2 (ja) * 2001-03-16 2005-01-05 株式会社東芝 複数の記録メディアの映像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TW566041B (en) * 2001-07-06 2003-12-11 Hitachi Ltd Digital data recording device and output device
US7480441B2 (en) * 2001-12-20 2009-01-20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seamless real-time splitting and concatenating of a data stream
EP1508862A1 (en) * 2003-08-21 2005-02-2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for seamless real-time splitting and concatenating of a data stream
US8041183B2 (en) * 2001-12-27 2011-10-18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stream data
JP2004014084A (ja) * 2002-06-11 2004-01-15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記録システム、情報再生記録方法、情報再生記録処理プログラム
KR100892976B1 (ko) * 2002-11-27 2009-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광디스크의 멀티 경로 데이터 스트림 재생방법
JP4100340B2 (ja) * 2003-12-22 2008-06-11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8355617B2 (en) * 2003-12-26 2013-01-1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2006004503A (ja) * 2004-06-16 2006-01-05 Funai Electric Co Ltd データ記録再生装置
KR100629512B1 (ko) * 2004-09-20 2006-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설정가능한 녹화시간을 자동으로 제한할 수 있는 녹화기기및 설정가능한 녹화시간 자동제한방법
KR100599162B1 (ko) * 2004-09-20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US20070234623A1 (en) * 2004-12-22 2007-10-11 Carney Sean R Apparatus for securing a device to a weapon
JP4419850B2 (ja) * 2005-01-14 2010-02-24 船井電機株式会社 録画再生装置
KR20060088419A (ko) * 2005-02-01 2006-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교환시기 표시방법
JP2006302052A (ja) * 2005-04-22 2006-11-02 Hitachi Ltd ストレージシステムおよび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CN1731827A (zh) * 2005-08-04 2006-02-08 北京华傲精创科技开发有限公司 录像装置、摄录一体装置和音视频编辑系统
US7676192B1 (en) * 2005-12-21 2010-03-09 Radio Shack, Corp. Radio scanner programmed from frequency database and method
JP5755035B2 (ja) * 2011-06-08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ITRM20130728A1 (it) * 2013-12-31 2015-07-01 Prb S R L Metodo di scambio comandi tramite disco usb e relativi dispositivi che ne permettono l¿implementazio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3521A (en) * 1991-02-08 1999-10-05 Sony Corporatio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dubbing mode
JP3557721B2 (ja) * 1995-05-11 2004-08-25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
JP3541535B2 (ja) * 1995-11-27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
JPH10199213A (ja) * 1996-12-27 1998-07-31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622A (ko) 1999-12-27
CN1237764A (zh) 1999-12-08
US6272088B1 (en) 2001-08-07
JPH11339447A (ja) 1999-12-10
CN1255808C (zh) 2006-05-10
CN1758365A (zh)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7053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KR100329099B1 (ko) 기록매체의 기록방법
KR100342118B1 (ko) 기록매체용기록방법및장치
JP3435703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
JPH06162671A (ja) ディスク記録方法及びオーディオデータの区切り位置調整装置
KR100377282B1 (ko) 디스크형기록매체용기록및/또는재생장치와그장치용메모리제어디바이스
US6567349B2 (en) Recording medium, editing method and editing apparatus
JP3431030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100373945B1 (ko) 기록매체의재생장치및재생방법
KR100638773B1 (ko) 기록 및 재생 장치, 재생 장치, 기록 및 재생 방법, 및재생 방법
KR20020086654A (ko) 더빙 장치
US6631100B2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dubbing apparatus for recording or dubbing programs and character data
KR100711685B1 (ko) 기록 장치 및 기록 방법
US5859815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inimizing non-recordable areas and numbers of parts per track on a digital recording medium
JP2002343062A (ja) 追加記録制御方法及び追加記録制御装置
JP3171395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518593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541785B2 (ja)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
JP3452205B2 (ja) 記録装置
JP3297936B2 (ja) 再生装置
JP3433829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高速再生方法
JP3584551B2 (ja) 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JP3431072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およびディスク再生方法
JPH0757437A (ja) 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JPH06309121A (ja) メモリ制御装置及びアドレス発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