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162B1 -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 Google Patents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162B1
KR100599162B1 KR1020040075005A KR20040075005A KR100599162B1 KR 100599162 B1 KR100599162 B1 KR 100599162B1 KR 1020040075005 A KR1020040075005 A KR 1020040075005A KR 20040075005 A KR20040075005 A KR 20040075005A KR 100599162 B1 KR100599162 B1 KR 100599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time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dium
recor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6175A (ko
Inventor
김진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5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162B1/ko
Priority to US11/211,572 priority patent/US20060062545A1/en
Priority to EP05255720A priority patent/EP1638103A1/en
Publication of KR2006002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11B2220/45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said record carriers being in one device and being used as primary and secondary/backup media, e.g. HDD-DVD combo device, or as source and target media, e.g. PC and portable p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이 제공된다. 제1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1 녹화기기 및 제2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2 녹화기기가 통합된 복합녹화기기는, 제1 녹화기기에 마련되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1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제1 산출부, 녹화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 및 녹화시간이 제1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면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제1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초과시간동안에는 제2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녹화시간이 어느 하나의 녹화기기에 장착된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시간에 대해서는 다른 녹화기기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녹화되도록 자동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설정된 녹화시간이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녹화수행중에 사용자가 직접 기록매체를 교체해 줄 필요가 없어진다.
복합녹화, OTR, 녹화시간, 녹화가능시간

Description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Combination recording apparatus for setting complex-record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인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DVDR/VCR 복합기기의 블럭도,
도 2는, DVDR/VCR 복합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g는, OSD처리된 정보가 표시된 TV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DVDR 110 : DVDR 녹화부
120 : DVDR 산출부 130 : DVDR 제어부
200 : VCR 210 : VCR 녹화부
220 : VCR 산출부 230 : VCR 제어부
240 : 조작부 245 : 녹화버튼
260 : OSD처리부
본 발명은 녹화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영상을 기록매체에 녹화하는 녹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녹화기기란 입력되는 영상을 장착된 기록매체에 녹화하는 기기이며, 녹화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서 VCR(Video Cassette Recorder)을 들 수 있다.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VCR은 OTR(One Touch Record)방식에 의한 녹화기능을 채택하고 있다. OTR방식이란, 사용자가 녹화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녹화시간동안 녹화가 수행되도록 하며, 녹화시간을 설정하지 않으면 계속녹화가 수행되도록 하는 녹화방식을 말한다.
OTR방식에서, 녹화시간 설정과 계속녹화 설정(즉, 녹화시간 미설정)은 VCR에 마련된 '녹화(Record)버튼' 하나만을 이용하여 가능하다. 즉, VCR이 정지상태에 있을때 '녹화버튼'을 입력하면 '계속녹화'가 설정된다. 이때, '녹화버튼'을 한번 더 입력하면 '30분동안 녹화'(이하, '0:30 녹화'로 표기한다.)가 설정된다. 그리고, '녹화버튼'을 한번 더 입력하면 '1:00 녹화'가 설정되된다. 이후에, '녹화버튼'을 계속 입력하면 '1:30 녹화' → '2:00 녹화' → '2:30 녹화' → ... → '6:00 녹화' → '계속녹화' → '0:30 녹화' → ... 로 순환설정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OTR방식에 의한 녹화기능에 따르면, '녹화버튼' 하나만을 이용하여 원하는 녹화시간이나 계속녹화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많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녹화시간동안 녹화가 수행되려면, 기록매체(VCR 테이프)에는 그에 상당하는 녹화공간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만약, 기록매체에 녹화시간에 상당하는 녹화공간이 확보되어 있지 않으면, 설정된 녹화시간동안의 입력영상이 모두 녹화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원하는 영상이 모두 녹화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로 나타나게 된다.
위와 같은 경우, 원하는 영상이 모두 녹화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녹화수행중에 사용자가 직접 기록매체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OTR방식에 의한 녹화기능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요인이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둘 이상의 녹화기기가 통합되며, 설정된 녹화시간이 어느 하나의 녹화기기에 장착된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시간에 대해서는 다른 녹화기기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녹화되도록 하는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1 녹화기기 및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2 녹화기기가 통합된 복합녹화기기는, 상기 제1 녹화기기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1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제1 산출부; 녹화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녹화가 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복합녹화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OSD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상기 OSD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작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OSD처리부는, 상기 제1 녹화기기 및 상기 제2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녹화기기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2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제2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은 미설정된 것으로 변경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복합녹화기기는, 소정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OSD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이 미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상기 OSD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산출부는, 상 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녹화시간은 OTR(One Touch Record)방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녹화기기는, 현재 동작중인 녹화기기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현재 미동작중인 녹화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Compact Disk Recorder), DVDR(Digital Video Disk Recorder), HDD(Hard Disk Drive) 녹화기기, VCR(Video Cassette Recorde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 DVDR, HDD 녹화기기, VC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1 녹화기기 및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2 녹화기기가 통합된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은, a)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1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b) 녹화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 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은, 상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2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은 미설정된 것으로 변경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경처리단게는,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이 미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은,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은, 상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녹화시간은 OTR(One Touch Record)방식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녹화기기는, 현재 동작중인 녹화기기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현재 미동작중인 녹화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Compact Disk Recorder), DVDR(Digital Video Disk Recorder), HDD(Hard Disk Drive) 녹화기기, VCR(Video Cassette Recorde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 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 DVDR, HDD 녹화기기, VC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DVDR/VCR 복합기기의 블럭도이다. 복합녹화기기는 둘 이상의 녹화기기가 통합되어 구현된 복합기기의 일종이며, DVDR/VCR 복합기기는 DVDR(Digital Video Disk Recorder)(100)과 VCR(Video Cassette Recorder)(200)이 통합되어 구현된 복합녹화기기의 일종이다.
DVDR(100)은 입력되는 영상(이하, '입력영상'으로 약칭한다.)을 DVD(미도시)에 녹화하는 녹화기기이다. DVDR(100)은 DVDR 녹화부(110), DVDR 산출부(120), 및 DVDR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DVDR 녹화부(110)는 후술할 스위칭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영상을 장착된 DVD에 녹화한다.
DVDR 산출부(120)는 DVDR 녹화부(110)에 장착된 DVD의 녹화가능시간(이하, 'DVD 녹화가능시간'으로 표기한다.)을 산출한다. 녹화가능시간이란 DVD에 녹화가능한 입력영상의 길이를 시간단위로 환산한 것이다. DVDR 산출부(120)는 DVD의 녹화가능공간과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DVD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녹화가능공간이 변함없더라도 녹화속도가 변경된다면, DVDR 산출부(120)가 산출하는 DVD 녹화가능시간은 달라지게 된다. 한편, DVDR 산출부(120)의 산출기능을 후술할 DVDR 제어부(130)가 담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DVDR 산출 부(120)는 생략할 수 있다.
DVDR 제어부(130)는 DVDR 녹화부(110)의 녹화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DVDR 제어부(130)는 후술할 VCR 제어부(230)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DVDR 제어부(130)는 DVDR 산출부(120)에서 산출된 DVD 녹화가능시간에 대한 정보를 VCR 제어부(2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VCR 제어부(23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VCR(200)은 입력영상을 VCR테이프에 녹화하는 녹화기기이다. VCR(200)은 VCR 녹화부(210), VCR 산출부(220), VCR 제어부(230), 조작부(240), 스위칭부(250), OSD처리부(260), 및 입/출력단자(270)를 구비한다.
VCR 녹화부(210)는 스위칭부(250)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영상을 장착된 VCR테이프에 녹화한다.
VCR 산출부(220)는 VCR 녹화부(210)에 장착된 'VCR테이프의 녹화가능시간'('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으로 표기한다.)을 산출한다. VCR 산출부(220)는 VCR테이프의 녹화가능공간과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한다. 한편, VCR 산출부(220)의 산출기능을 후술할 VCR 제어부(230)가 담당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VCR 산출부(220)는 생략할 수 있다.
스위칭부(250)는 외부기기의 일종인 TV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이 DVDR 녹화부(110) 또는 VCR 녹화부(210)에 인가되도록 스위칭동작한다. 스위칭부(250)의 스위칭동작은 VCR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른다.
OSD처리부(260)는 문자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문자정보를 OSD처리함으로서, TV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입/출력단자(270)에는 TV와 같은 외부기기가 연결된다.
조작부(24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후술할 VCR 제어부(230)로 전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으로, DVDR/VCR 복합기기의 전면부에 마련된 조작패널 및 원격조작이 가능한 리모콘으로 구현하다.
특히, 조작부(240)는 원하는 녹화시간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조작부(240)에 마련된 녹화버튼(245)은 OTR(One Touch Record)방식에 따라 원하는 녹화시간이나 계속녹화를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VCR 제어부(230)는 VCR 녹화부(210)의 녹화동작, 스위칭부(250)의 스위칭동작, 및 OSD처리부(260)의 OSD처리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VCR 제어부(230)는 DVDR 제어부(130)와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VCR 제어부(230)는 DVDR 제어부(130)로부터 DVD 녹화가능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DVDR 제어부(130)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VCR 제어부(230)는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복합녹화란, 조작부(240)를 통해 설정된 녹화시간이 DVD(또는, 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시간에 대해서는 VCR테이프(또는, DVD)에 녹화되도록 하는 녹화방식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DVDR/VCR 복합기기가 DVDR 녹화모드(DVDR(100)에 의해 녹화가 수행되는 모드)로 설정된 경우에는, DVD에 먼저 녹화가 수행된 후 VCR테이프에 녹화가 수행된다. 하지만, DVDR/VCR 복합기기가 VCR 녹화모드(VCR(200)에 의해 녹화가 수행되는 모드)인 경우에는, VCR테이프에 먼저 녹화 가 수행된 후 DVD에 녹화가 수행된다.
이하에서, VCR 제어부(230)가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DVDR/VCR 복합기기가 DVDR 녹화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상정하기로 한다. 도 2는, DVDR/VCR 복합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먼저, DVDR 산출부(120)는 DVD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한다(S305). 산출된 DVD 녹화가능시간은 DVDR 제어부(130)를 통해 VCR 제어부(230)로 인가된다.
VCR 산출부(220)는 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한다(S310). 산출된 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은 VCR 제어부(230)로 인가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작부(240)에 마련된 녹화버튼(245)을 이용하여, OTR방식에 따라 원하는 녹화시간을 설정한다(S315). 설정된 녹화시간은 VCR 제어부(230)로 인가된다.
VCR 제어부(230)는 녹화시간과 DVD 녹화가능시간을 상호 비교한다(S320). S320단계에서 녹화시간이 DVD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25), VCR 제어부(230)는 녹화시간과 'DVD 녹화가능시간과 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의 합'(이하, 'DVD+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으로 표기한다.)을 상호 비교한다(S330).
S330단계에서 녹화시간이 DVD+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S335), VCR 제어부(230)는 복합녹화를 설정한다(S340). 구체적으로, VCR 제어부(230)는, DVD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DVD에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초과시간(녹화시간 - DVD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VCR테이프에 입력영상이 녹화 되는 것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VCR 제어부(230)는 S340단계에서 설정된 복합녹화(즉, DVD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DVD에, 초과시간동안에는 VCR테이프에, 입력영상이 녹화)에 대한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OSD처리부(260)를 제어한다(S345). OSD처리된 상기 정보는 TV화면상에 표시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S315단계에서 설정한 녹화시간동안의 입력영상을 모두 DVD에 녹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DVD와 VCR테이프에 나누어 녹화하는 것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게 되며, DVD 녹화가능시간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330단계에서 녹화시간이 DVD+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35), VCR 제어부(230)는 녹화시간이 미설정된 것으로(즉, 계속녹화가 설정된 것으로) 변경처리한다(S350). 이는, S315단계에서 설정된 녹화시간동안의 입력영상을 DVD와 VCR테이프에 나누어 녹화하는 것조차도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VCR 제어부(230)는 녹화시간이 미설정되었음(즉, 계속녹화가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OSD처리부(260)를 제어한다(S355). OSD처리된 상기 정보는 TV화면상에 표시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S315단계에서 설정한 녹화시간동안의 입력영상은 DVD와 VCR테이프에 나누어 녹화하는 것조차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게 되며, DVD+VCR테이프의 녹화가능시간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S320단계에서 녹화시간이 DVD 녹화가능시간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S325), VCR 제어부(230)는 복합녹화를 설정하지 않으며, S315단계에서 설정된 녹화시간에 대한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OSD처리부(260)를 제어한다(S360).
이후에, 녹화시간이 설정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S365), VCR 제어부(230)는 i) S315단계에서 설정된 녹화시간, ii) S340단계에서 설정된 복합녹화, 및 iii) S350단계에서 변경처리된 녹화시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입력영상이 녹화되도록 한다(S370). 녹화시간 설정완료는, 소정시간 이내에 조작부(240)에 마련된 녹화버튼(245)의 입력이 없는 경우로 상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70단계에서 'i)'의 경우는, VCR 제어부(230)로부터 녹화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DVDR 제어부(130)가 녹화시간동안 입력영상의 녹화가 수행되도록 DVDR 녹화부(110)의 녹화동작을 제어함에 의한다. 그리고, S370단계에서 'ii)'의 경우는, VCR 제어부(230)로부터 DVD 녹화가능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DVDR 제어부(130)가 DVD 녹화가능시간동안 입력영상의 녹화가 수행되도록 DVDR 녹화부(110)의 녹화동작을 제어한 후, VCR 제어부(230)가 초과시간동안 입력영상의 녹화가 수행되도록 VCR 녹화부(210)의 녹화동작을 제어함에 의한다. 끝으로, S370단계에서 'iii)'의 경우는, VCR 제어부(230)로부터 계속녹화명령을 수신한 DVDR 제어부(130)가 입력영상의 계속녹화가 수행되도록 DVDR 녹화부(110)의 녹화동작을 제어함에 의한다.
한편, 녹화시간이 설정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365), S315단계 내지 S360단계를 반복수행한다. 녹화시간 설정 미완료는, 소정시간 이내에 조작부(240)에 마련된 녹화버튼(245)의 입력이 있는 경우로 상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 DVDR/VCR 복합기기가 DVDR 녹화모드로 설정된 경우를 상정하여, DVDR/VCR 복합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DVDR/VCR 복합기기가 VCR 녹화모드로 설정된 경우는, 복합녹화시 VCR테이프에 먼저 녹화가 수행된 후 DVD에 녹화가 수행된다는 것만이 차이가 있을 뿐이며, DVDR 녹화모드로 설정된 경우로부터 유추가능하기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DVDR/VCR 복합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에 대해, 도 3a 내지 도 3g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g에는, S305단계에서 산출된 DVD 녹화가능시간이 1시간 30분이고 S310단계에서 산출된 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이 1시간인 경우, 사용자가 녹화버튼(245)을 이용하여 OTR방식에 따라 녹화시간을 순차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중에, TV화면에 표시되는 'OSD처리된 정보'(이하, 'OSD정보'로 약칭한다.)를 순차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a 내지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화면에 표시되는 OSD정보는 각각 "녹화시간⇒0:30 / to DVD 0:30"(도 3a 참조) → "녹화시간⇒1:00 / to DVD 1:00"(도 3b 참조) → "녹화시간⇒1:30 / to DVD 1:30"(도 3c 참조) → "녹화시간⇒2:00 / to DVD 1:30 / to VCR테이프 0:30"(도 3d 참조) → "녹화시간⇒2:30 / to DVD 1:30 / to VCR테이프 1:00"(도 3e 참조) → "계속녹화"(도 3f 참조) → "녹화시간⇒0:30 / to DVD 0:30"(도 3g 참조)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원래, 도 3d에 도시된 TV화면에 표시되는 OSD정보는 "녹화시간⇒2:00 / to DVD 2:00"이 되어야 함이 원칙이다. 하지만, OSD정보가 "녹화시간⇒2:00 / to DVD 1:30 / to VCR테이프 0:30"로 된 이유는, 녹화시간(2:00)이 DVD 녹화가능시간(1:30)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어(도 2의 S325단계 참조), VCR 제어부(230)가 복합녹화(즉, DVD 녹화가능시간(1:30)동안에는 DVD에, 초과시간(0:30)동안에는 VCR테이프에, 입력영상이 녹화)를 설정하고(도 2의 S340단계 참조), 복합녹화에 대한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OSD처리부(260)를 제어(도 2의 S345단계 참조)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도 3f에 도시된 TV화면에 표시되는 OSD정보는 "녹화시간⇒3:00 / to DVD 1:30 / to VCR테이프 1:30"이 되어야 함이 원칙이다. 하지만, OSD정보가 "계속녹화"로 된 이유는, 녹화시간(3:00)이 DVD+VCR테이프 녹화가능시간(2:30)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어(도 2의 S335단계 참조), VCR 제어부(230)가 녹화시간이 미설정된 것으로(즉, 계속녹화가 설정된 것으로) 변경처리(도 2의 S350단계 참조)하고, 이를 나타내는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OSD처리부(260)를 제어(도 2의 S355단계 참조)하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DVDR과 VCR이 통합된 복합녹화기기가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복합녹화기기에 통합되는 녹화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복합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등을 선택적으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광기록매체 녹화기기에는 CDR(Compact Disk Recorder), DVDR 등이 있고,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에는 HDD(Hard Disk Drive) 녹화기기, VCR 등이 있으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에는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등이 있다.
또한, 복합녹화기기에 통합되는 녹화기기들은 동종이어도 무방하다. 즉, 복합녹화기기가 2개의 DVDR로 구현된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복합녹화기기에 통합되는 녹화기기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즉, 3개 이상의 녹화기기가 복합녹화기기로 통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DVDR, VCR, HDD 녹화기기가 하나로 통합된 경우, 3개의 녹화기기를 이용한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하여 쉽게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복합녹화기기에 입력영상을 제공하는 외부기기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외부기기의 예로, TV, 셋탑박스, 디지털캠코더, 디지털카메라 등을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녹화시간이 어느 하나의 녹화기기에 장착된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초과시간에 대해서는 다른 녹화기기에 장착된 기록매체에 녹화되도록 자동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설정된 녹화시간이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녹화수행중에 사용자가 직접 기록매체를 교체해 줄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사용자는 제공되는 OSD정보를 통해, 자신이 설정한 녹화시간동안의 입력영상을 하나의 기록매체에 녹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두개의 기록매체에 나누어 녹화하는 것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으며, 두개의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7)

  1. 제1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1 녹화기기 및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2 녹화기기가 통합된 복합녹화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녹화기기에 마련되며,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1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제1 산출부;
    상기 제2 녹화기기에 마련되며, 상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2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제2 산출부;
    녹화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며,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은 미설정된 것으로 변경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소정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OSD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상기 OSD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OSD처리부는,
    상기 제1 녹화기기 및 상기 제2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소정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OSD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이 미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OSD처리되도록 상기 OSD처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산출부는,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제2 산출부는, 상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시간은 OTR(One Touch Record)방식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녹화기기는, 현재 동작중인 녹화기기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현재 미동작중인 녹화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Compact Disk Recorder), DVDR(Digital Video Disk Recorder), HDD(Hard Disk Drive) 녹화기기, VCR(Video Cassette Recorde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 DVDR, HDD 녹화기기, VC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
  10. 제1 기록매체에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1 녹화기기 및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을 녹화하는 제2 녹화기기가 통합된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1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시간인 제2 녹화가능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c) 녹화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d)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고,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은 미설정된 것으로 변경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동안에는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초과시간동안에는 상기 제2 기록매체에, 상기 입력영상이 녹화되는 것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
  12. 삭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처리단게는,
    상기 녹화시간이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과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의 합을 초과하면, 상기 녹화시간이 미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OSD(On Screen Display)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녹화가능시간은, 상기 제1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산출하고,
    상기 제2 녹화가능시간은, 상기 제2 기록매체의 녹화가능공간 및 기설정된 녹화속도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녹화시간은 OTR(One Touch Record)방식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녹화기기는, 현재 동작중인 녹화기기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현재 미동작중인 녹화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Compact Disk Recorder), DVDR(Digital Video Disk Recorder), HDD(Hard Disk Drive) 녹화기기, VCR(Video Cassette Recorde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녹화기기는, 광기록매체 녹화기기, 자기기록매체 녹화기기, 반도체기록매체 녹화기기, CDR, DVDR, HDD 녹화기기, VCR, 및 메모리카드 녹화기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녹화기기의 복합녹화 자동설정방법.
KR1020040075005A 2004-09-20 2004-09-20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KR100599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05A KR100599162B1 (ko) 2004-09-20 2004-09-20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US11/211,572 US20060062545A1 (en) 2004-09-20 2005-08-26 Combination recording apparatus to automatically set relay recording and method thereof
EP05255720A EP1638103A1 (en) 2004-09-20 2005-09-15 Combination recording apparatus to automatically set relay recording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5005A KR100599162B1 (ko) 2004-09-20 2004-09-20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175A KR20060026175A (ko) 2006-03-23
KR100599162B1 true KR100599162B1 (ko) 2006-07-12

Family

ID=3607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005A KR100599162B1 (ko) 2004-09-20 2004-09-20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60062545A1 (ko)
EP (1) EP1638103A1 (ko)
KR (1) KR100599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7593B2 (en) * 2016-08-30 2021-0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tape video data splitter
US10277876B2 (en) * 2017-08-01 2019-04-30 N3N Co., Ltd. Recording duplex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vide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500A (ko) * 1995-12-29 1997-07-29 배순훈 광디스크 채인저/브이 씨 알 복합 시스템의 녹화 방법
KR970071591A (ko) * 1996-04-29 1997-11-07 김광호 더블데크 브이씨알의 테이프 연속 기록장치 및 방법
KR20040075238A (ko) * 2003-02-20 2004-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복합기기에서의 연결 녹화 및 재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551C (zh) * 1998-03-10 2004-03-1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装置及记录方法
JPH11339447A (ja) * 1998-05-29 1999-12-10 Sony Corp 記録再生装置
JP2002074839A (ja) * 2000-09-01 2002-03-15 Hitachi Ltd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JP2003009049A (ja) * 2001-06-26 2003-01-10 Toshiba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EP1326246A3 (en) * 2001-12-27 2010-09-15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stream data
JP3569272B2 (ja) * 2002-05-31 2004-09-22 株式会社東芝 記録装置
JP2004334967A (ja) * 2003-05-07 2004-11-25 Orion Denki Kk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0500A (ko) * 1995-12-29 1997-07-29 배순훈 광디스크 채인저/브이 씨 알 복합 시스템의 녹화 방법
KR970071591A (ko) * 1996-04-29 1997-11-07 김광호 더블데크 브이씨알의 테이프 연속 기록장치 및 방법
KR20040075238A (ko) * 2003-02-20 2004-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복합기기에서의 연결 녹화 및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175A (ko) 2006-03-23
EP1638103A1 (en) 2006-03-22
US20060062545A1 (en)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3253B2 (ja) フレームレート制御装置とフレームレート制御方法および記録装置と撮像装置
JP2006303896A (ja) 画像拡大再生時に縮小ガイド画像の表示を切り替え可能なカメラ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450823B2 (en) Hard disk recorder and video record apparatus
KR101020520B1 (ko)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의 시간-기반 네비게이션 기능을 위한유저가 특정시킨 시간 값
KR100599162B1 (ko) 복합녹화를 자동설정할 수 있는 복합녹화기기 및 복합녹화자동설정방법
US20140178039A1 (en)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65245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コンポーネント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687939B2 (en) Recording/reproducing system,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6221697A (ja) 光ディスク記録装置及び光ディスク記録方法
KR100629512B1 (ko) 설정가능한 녹화시간을 자동으로 제한할 수 있는 녹화기기및 설정가능한 녹화시간 자동제한방법
KR100571751B1 (ko) 동시녹화가 가능한 복합기록기기 및 그의 동시녹화방법
JP2005167742A (ja) Dvdレコーダおよび映像信号記録装置
KR100662905B1 (ko) 기기사용실태에 따라 녹화를 수행할 녹화기기를자동선택하는 복합녹화기기 및 그의 녹화기기 자동선택방법
EP2394430B1 (en) Manual playback overshoot correction
JP4591125B2 (ja) 映像信号録画表示装置
KR100713973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멀티 검색 방법
JP4120933B2 (ja) Gui制御装置
JP2000253390A (ja) 監視記録装置
KR10069827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시연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JP5643568B2 (ja) 録再装置及び録再装置のタグリスト生成方法及び録再装置の制御装置
JP2006172227A (ja) 電気機器
JP2005318186A (ja) 映像記録装置
JP2006033332A (ja) 録画再生装置
JP2005175661A (ja) プログラムの記録予約操作を簡略化した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機器
KR20060009495A (ko) 캠코더 영상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