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5623B1 -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5623B1
KR100545623B1 KR1020040020957A KR20040020957A KR100545623B1 KR 100545623 B1 KR100545623 B1 KR 100545623B1 KR 1020040020957 A KR1020040020957 A KR 1020040020957A KR 20040020957 A KR20040020957 A KR 20040020957A KR 100545623 B1 KR100545623 B1 KR 10054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room
unit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6591A (ko
Inventor
사이또나오또
아끼야마신이찌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자기 실내기를 조작하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하고, 조작성을 높여 사용성이 우수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1대의 실외기와, 이 실외기에 각각 접속되는 동시에, 복수의 운전 모드가 선택 가능한 복수대의 실내기와, 이들 각 실내기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실내기를 원격 조작 가능하게 한 복수대의 리모콘을 구비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이다. 그리고, 리모콘 및 실내기에는 제어 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 및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이 각각 마련되고, 리모콘은 실외기에 접속된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실외기, 실내기, 리모콘, 신호 배선, 실내 제어부, 실외 제어부

Description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MULTIPLE-TYPE 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2는 각 실내기의 제어부와 실외기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블록도.
도3은 각 리모콘에 있어서의 리모콘 제어부의 주요부 블록도.
도4는 자실내기 및 타실내기의 정지 상태를 나타내는 리모콘 정면도.
도5는 자실내기가 정지 중이고 타실내기가 운전 중 자실 리모콘의 정면도.
도6은 자실내기와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가 다른 상태에 있어서의 자실 리모콘의 정면도.
도7은 주요부의 운전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10 : 실외기
20a : 실내기(A실)
20b : 실내기(B실)
22a : 리모콘(A실)
22b : 리모콘(B실)
24a : 신호 배선
24b : 신호 배선
30a : 실내 제어부(A실)
30b : 실내 제어부(B실)
32a : 실내 마이크로 컴퓨터(A실)
32b : 실내 마이크로 컴퓨터(B실)
34a : 실내 신호 수신 수단(A실)
34b : 실내 신호 수신 수단(B실)
36a : 실내 신호 송신 수단(A실)
36b : 실내 신호 송신 수단(B실)
40 : 실외 제어부
42 : 실외 마이크로 컴퓨터
50a : 리모콘 제어부(A실)
50b : 리모콘 제어부(B실)
52a : 리모콘 입력 수단(A실)
52b : 리모콘 입력 수단(B실)
54a : 리모콘 표시 수단(A실)
54b : 리모콘 표시 수단(B실)
56a : 리모콘 마이크로 컴퓨터(A실)
56b : 리모콘 마이크로 컴퓨터(B실)
58a : 리모콘 신호 송신 수단(A실)
58b : 리모콘 신호 송신 수단(B실)
60a :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A실)
60b :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B실)
62a : 리모콘 경보 출력 수단(A실)
62b : 리모콘 경보 출력 수단(B실)
90a : 문자 표시
92a : 문자 표시
94a : 캐릭터 표시
본 발명은, 1대의 실외기에 복수대의 실내기가 접속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는 제어부를 갖는 1대의 실외기와, 각각 제어부를 갖는 복수의 실내기를 구비하고, 실외기의 제어부와 각 실내기의 제어부를 신호 배선으로 접속하고, 각 실내기에는 다른 실내기(이하, 타실내기라 함)가 운전 중인가 정지 중인가의 운전 상황을 표시하는 운전 상황 표시 수단(이하, 타실 운전 램프라 함)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타실 운전 램프는 타실내기가 운전 중일 때에는 점등되고, 정지 중일 때에는 소등되어 있다. 그리고, 이제부터 운전하고자 하는 실내기(이하, 자실내기라 함)가 타실내기와 다른 운전 모드(예를 들어, 타실내기가 냉방 운전 중에 자실내기를 난방 운전하고자 하는 경우)로 운전하고자 하면, 상기 타실 운전 램프가 점멸되어 자실내기가 운전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7-248147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 구성의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로는, 각 실내기는 타실내기가 운전 중인가 정지 중인가의 운전 상황을 확인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냉방, 난방, 제습)까지는 표시되지 않으므로, 자실내기에 의해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파악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특히 히트 펌프식의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인 경우, 일반적으로 다른 운전 모드에서의 실내기의 동시 운전은 할 수 없으므로, 타실내기가 자실내기에 앞서 운전을 행하고 있던 경우, 사용자는 자실내기의 운전 조작을 행하고, 자실내기의 타실 운전 램프가 점멸되어 자실내기가 운전하지 않음으로써, 타실내기와 자실내기와의 운전 모드가 다른 것을 인식한다는 것이었다.
그로 인해, 자실내기에 앞서 타실내기가 운전되어 타실내기와 자실내기와의 운전 모드가 다른 경우에는, 자실내기의 운전 조작이 무의미한 것으로 되어 버려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조작을 하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자실내기를 조작하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용 이하게 인식 가능하게 하고, 조작성을 높여 사용성이 우수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이 갖는 과제를 해소하여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1대의 실외기와, 이 실외기에 각각 접속되는 동시에, 복수의 운전 모드가 선택 가능한 복수대의 실내기와, 이들 각 실내기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를 원격 조작 가능하게 복수대의 리모콘을 구비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및 상기 실내기에 접속된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멀티형 공기 조화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은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서 색을 바꿔 표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와 다른 운전 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에의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1대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복수대 접속되어 복수의 운전 모드가 선택 가능한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원격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실내기 1대에 대해, 1대씩 설치되는 복수대의 리모콘에 의해 구성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대의 상기 실내기와 적어도 1대의 상기 실내기의 원격 조작 가능한 상기 리모콘에는 제어 신호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각각에 제어 신호 송신 수단과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리모콘은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에 의해 색을 바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와 다른 운전 모드를 상기 리모콘에 입력하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실내기에의 제어 신호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정지시에는 상기 리모콘이 송신 정지 중인 경보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문자 또는 캐릭터 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 력 수단은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발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상기 리모콘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문자 또는 캐릭터 표시, 음성 신호, 발광 신호, 상기 리모콘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조합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2는 각 실내기의 제어부와 실외기의 제어부를 도시하는 주요부 블록도, 도3은 각 리모콘에 있어서의 리모콘 제어부의 주요부 블록도, 도4는 자실내기 및 타실내기의 정지 상태시를 나타내는 리모콘의 정면도, 도5는 자실내기가 정지 중이고 타실내기가 운전 중의 자실 리모콘의 정면도, 도6은 자실내기와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가 다른 상태에 있어서의 자실 리모콘의 정면도, 도7은 주요부의 운전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에 있어서, 부호 1은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로, 이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1)는, 예를 들어 A실에 설치되는 실내기(20a)와, 예를 들어 B실에 설치되는 실내기(20b)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1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실내기(20a, 20b)는, 각각 신호 배선(24a, 24b)을 통해 실외기(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20a)에는 리모콘(22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리모콘(22a)에 의해 A실(자실)의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운전 모드 및 실온 등의 설정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B실에 설치되는 실내기(20b)에 설치된 리모콘(22b)도, 상기 리모콘(22a)과 마찬가지로 냉방 운전이나 난방 운전 등의 운전 모드 및 실온 등의 설정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1에 있어서는 상기 실내기(20a, 20b)와 상기 실외기(10)를 연결하는 냉매 배관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2에 있어서, A실의 상기 실내기(20a)(도1 참조)의 내부에는 실내 제어부(30a)가 설치되고, 이 상기 실내 제어부(30a)는 상기 실내기(20a)의 제어 전반을 담당하는 실내 마이크로 컴퓨터(32a)와, 상기 리모콘(22a)(도1 참조)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실내 신호 수신 수단(34a)과, 상기 실내기(20a)로부터 상기 리모콘(22a)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실내 신호 송신 수단(36a)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B실의 상기 실내기(20b)(도1 참조)의 내부에는 실내 제어부(30b)가 설치되고, 이 상기 실내 제어부(30b)는 상기 실내기(20b)의 제어 전반을 담당하는 실내 마이크로 컴퓨터(32b)와, 상기 리모콘(22b)(도1 참조)으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실내 신호 수신 수단(34b)과, 상기 실내기(20b)로부터 상기 리모콘(22b)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실내 신호 송신 수단(36b)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0)(도1 참조)의 내부에는 실외 제어부(40)가 설치되어 이 상기 실외 제어부(40)는 상기 실외기(10)의 제어 전반을 담당하는 실외 마이크로 컴퓨터(42)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신호 배선(24a, 24b)을 통해 상기 각 실내기(20a, 20b)의 실내 제어부(30a, 30b)와 제어 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행한다.
도3의 (a)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22a)(도1 참조)에는 리모콘 제어부(50a)가 설치되고, 이 리모콘 제어부(50a)는 상기 실내기(20a)(도1 참조)의 운전/정지나 운전 절환이나 실온 설정 등의 입력을 행하는 리모콘 입력 수단(52a)과, 이 리모콘 입력 수단(52a)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실내기(20a)의 설정 상황을 표시하는 리모콘 표시 수단(54a)과, 상기 리모콘(22a)의 제어 전반을 담당하는 리모콘 마이크로 컴퓨터(56a)와, 상기 실내기(22a)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 수단(58a)과, 상기 실내기(22a)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60a)과, A실의 실내기(20a)의 운전 모드와 B실의 실내기(20b)의 운전 모드가 서로 다른 경우에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리모콘 경보 출력 수단(62a)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3의 (b)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22b)(도1 참조)은, 상기 리모콘(22a)과 마찬가지인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4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22a)은 상기 실내기(20a)의 운전/정지를 행하는 운전/정지 스위치(70a), 상기 실내기(20a)의 운전 모드(냉방, 난방, 제습)의 절환을 행하는 운전 절환 스위치(72a), 1 시간 후에 상기 실내기(20a)의 운전을 자동적으로 정지하는 1 시간 오프 타이머 스위치(74a), 상기 실내기(20a)의 설정 온도를 올리는 스위치(76a) 및 설정 온도를 내리는 스위치(78a)로 이루어지는 상기 리모콘 입력 수단(52a)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실내기(20a)의 설정 상황을 표시하는 리모콘 표시 수단(54a), 상기 실내기(20a)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리모콘 신호 송신 수단(58a), 상기 실내기(20a)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 수단(60a) 및 A실에 있어서의 상기 리모콘(22a)의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리모콘 온도 센서(80a)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5에 있어서, A실의 실내기(20a)는 운전 정지 중이고, 또한 B실의 실내기(20b)(도1 참조)는 냉방 운전 중이므로, 상기 리모콘(22a)에 있어서의 리모콘 표시 수단(54a)에는 타실(B실)의 실내기(20b)(도1 참조)가 냉방 운전인 것을 나타내는「타실」 및「냉방」의 문자 표시(90a)가 표시된다.
도6에 있어서, 상기 B실의 실내기(20b)는 냉방 운전이며, 상기 A실의 실내기(20a)(도1 참조)는 제습 운전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때, 상기 리모콘(22a)에 있어서의 리모콘 표시 수단(54a)으로는 제습 운전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제습」의 문자 표시(92a)가 표시되는 동시에, 상기 타실(B실)의 상기 실내기(20b)(도1 참조)가 냉방 운전 중인 것을 나타내는「타실」및「냉방」의 문자 표시(90a)가 표시된다. 그리고, 이 리모콘 표시 수단(54a)에는 상기 A실의 상기 실내기(20a)의 운전 모드가 먼저 운전되어 있는 B실의 실내기(20b)의 운전 모드와는 다르게 되어 있는 경우에, 리모콘(22a)이 송신 정지 모드 중인 것을 나타내는 캐릭터 표시(94a)가 표시된다.
다음에, 도7의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주요부의 운전 처리 절차를 설명하면, 상기 자실내기(20a)(A실)가 정지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 상기 자실내 기(20a)(A실)가 정지 중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타실내기(20b)(B실)가 운전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
한편, 상기 스텝 S1에 있어서 상기 자실내기(20a)(A실)가 정지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실내 제어부(30a)(도2 참조)로부터 상기 신호 배선(24a), 상기 실외 제어부(40), 상기 신호 배선(24b), 상기 실내 제어부(30b) 내의 상기 실내 송신 수단(36b), 상기 리모콘(22b)(도1 참조) 내의 리모콘 수신 수단(60b)[도3의 (b) 참조] 및 리모콘 마이크로 컴퓨터(56b)를 통해 상기 리모콘 표시 수단(54b)에 상기 자실내기(20a)(A실)의 운전 모드가 표시된다(스텝 S2).
다음에, 상기 스텝 S3에 있어서 상기 타실내기(20b)(B실)가 운전 중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실내 제어부(30b)(도2 참조)로부터 상기 신호 배선(24b), 상기 실외 제어부(40), 상기 신호 배선(24a), 상기 실내 제어부(30a) 내의 상기 실내 송신 수단(36a), 상기 리모콘(22a)(도1 참조) 내의 리모콘 수신 수단(60a)[도3의 (a) 참조] 및 리모콘 마이크로 컴퓨터(56a)를 통해 상기 리모콘 표시 수단(54a)에 상기 문자 표시(90a)(도5 참조)의 운전 모드(B실)가 표시된다(스텝 S5).
한편, 상기 스텝 3에 있어서 상기 타실내기(20b)(B실)가 운전 중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리모콘(22a)은 통상의 리모콘 스위치 조작을 접수하고(스텝 S4), 스텝 1로 복귀하여 다시 스텝 1의 판단을 반복한다.
다음에, 상기 타실내기(20b)(B실)와 상기 자실내기(20a)(A실)의 운전 모드가 다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6), 상기 타실내기(20b)(B실)와 상기 자실내기(20a)(A실)의 운전 모드가 다르다고 판단하면, 상기 리모콘(22a)은 송신 정지 모드가 되어 상기 리모콘 입력 수단(52a)으로의 입력을 캔슬하고, 상기 리모콘 표시 수단(54a)에 송신 정지 모드 중인 것을 나타내는 상기 캐릭터 표시(94a)(도6 참조)를 표시한다(스텝 S8).
한편, 상기 스텝 S6에 있어서 상기 타실내기(20b)(B실)와 상기 자실내기(20a)(A실)의 운전 모드가 다르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송신 정지 모드 및 상기 캐릭터 표시(94a)를 클리어한 후(스텝 S7), 상기 스텝 4로 이행하여 상기 리모콘(22a)은 통상의 리모콘 스위치 조작을 접수한다.
다음에, 상기 리모콘 입력 수단(52a)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9), 상기 리모콘 입력 수단(52a)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리모콘 경보 출력 수단(62a)에 의해 경보(예를 들어, 음성 신호)가 5초간 출력된다(스텝 S10).
한편, 상기 스텝 S9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입력 수단(52a)이 조작되지 않는 동안은, 상기 스텝 S6으로 복귀하여 상기 타실내기(20b)(B실)와 상기 자실내기(20a)(A실)의 운전 모드가 다른지의 여부의 판단을 반복한다.
다음에, 경보 출력은 리셋되고(스텝 S11), 상기 스텝 S6으로 복귀하여 상기 타실내기(20b)(B실)와 상기 자실내기(20a)(A실)의 운전 모드가 다른지의 여부의 판단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먼저 상기 타실내기(20b)(B실)가 운전되어 있으면, 상기 리모콘(22a)의 리모콘 표시 수단(54a)에는「타실」의 표시와, 냉방이나 난방을 포함하는 타실(B실)에 있어서의 실내기의 운전 모드가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실의 실내기에 대해 용이하면서 적절한 운전 모드를 선택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임시로 타실내기(B실)의 상기 운전 모드 표시를 사용자가 알아차리지 못하고 다른 운전 모드에서 상기 자실내기(A실)를 운전하고자 상기 입력 수단(52a)을 조작하면, 상기 리모콘(22a)의 상기 리모콘 표시 수단(54a)으로 송신 정지 모드를 나타내는 상기 캐릭터 표시(94a)가 표시되는 동시에, 상기 리모콘(22a)은 송신 정지 모드로 이행하고, 상기 리모콘(22a)으로부터는 상기 경보 출력 수단(62a)에 의해 경보 출력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용이하면서 적절한 운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일실시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5에 있어서의 타실(B실)의 운전 모드 표시는 컬러 액정을 이용하여 B실의 운전 모드에 의해 색을 변화시켜 표시해도 좋다.
또한, 도7에 있어서의 스텝 S10에서는, 5초간 경보 출력을 설정하고 있지만 사용자로의 통지 확실성을 늘리기 위해, 예를 들어 10초로 설정해도 좋다.
또한, 도7의 스텝 S10에 있어서의 경보 출력은 문자 또는 캐릭터 표시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7의 스텝 S10에 있어서의 경보 출력은 발광 신호에 의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7의 스텝 S10에 있어서의 경보 출력은 상기 리모콘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도7의 스텝 S10에 있어서의 경보 출력은 문자 또는 캐릭터 표시, 발광 신호, 상기 리모콘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실의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3실 이상에 대응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라도 좋으며 적절하게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따르면, 자실내기를 조작하는 리모콘에 의해, 냉방이나 난방 등의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높아져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용이하게 인식 가능하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대의 실외기와, 이 실외기에 각각 접속되는 동시에, 복수의 운전 모드가 선택 가능한 복수대의 실내기와, 이들 각 실내기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실내기를 원격 조작 가능하게 한 복수대의 리모콘을 구비한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및 상기 실내기에는 제어 신호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 신호 송신 수단 및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리모콘은 상기 실외기에 접속된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은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에 따라서 색을 바꿔 표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은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와 다른 운전 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실내기에의 제어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1대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복수대 접속되어 복수의 운전 모드가 선택 가능한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의 원격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실내기 1대에 대해, 1대씩 설치되는 복수대의 리모콘에 의해 구성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1대의 상기 실내기와 적어도 1대의 상기 실내기의 원격 조작 가능한 상기 리모콘에는 제어 신호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각각에 제어 신호 송신 수단과 제어 신호 수신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리모콘은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에 의해 색을 바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된 다른 실내기의 운전 모드와 다른 운전 모드를 상기 리모콘에 입력하면,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상기 실내기에의 제어 신호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 송신 정지시에는 상기 리모콘이 송신 정지 중인 경보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문자 또는 캐릭터 표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음성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발광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상기 리모콘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출력 수단은 문자 또는 캐릭터 표시, 음성 신호, 발광 신호, 상기 리모콘의 진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조합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KR1020040020957A 2003-03-27 2004-03-27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KR100545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87539 2003-03-27
JP2003087539 2003-03-27
JP2004064641A JP2004309121A (ja) 2003-03-27 2004-03-08 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
JPJP-P-2004-00064641 2004-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591A KR20040086591A (ko) 2004-10-11
KR100545623B1 true KR100545623B1 (ko) 2006-01-24

Family

ID=33478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957A KR100545623B1 (ko) 2003-03-27 2004-03-27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309121A (ko)
KR (1) KR100545623B1 (ko)
CN (1) CN12605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165B1 (ko) 2006-07-18 200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
JP5168926B2 (ja) * 2007-02-13 2013-03-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
JP2011190963A (ja) * 2010-03-12 2011-09-2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16556B2 (ja) * 2011-12-05 2014-06-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005980B2 (ja) * 2012-04-27 2016-10-1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システム
CN103438549B (zh) * 2013-08-06 2015-12-23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基于图形界面的中央空调集中控制系统和控制方法
JP2015169386A (ja) * 2014-03-07 2015-09-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4165437B (zh) * 2014-07-30 2017-02-08 广东美的集团芜湖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运行参数调整方法和系统
CN104165436B (zh) * 2014-07-30 2016-10-12 广东美的集团芜湖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运行参数调整方法和系统
CN104896621B (zh) * 2015-06-09 2017-08-29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多联机空调系统及多联机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05258298B (zh) * 2015-10-30 2018-09-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空调的方法、装置和系统
AU2017302766B2 (en) * 2016-07-28 2019-09-12 Daikin Industries, Ltd. Multi air conditioner
WO2020054055A1 (ja) * 2018-09-14 2020-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EP3862641A1 (en) * 2020-02-05 2021-08-11 Daikin Industries, Ltd. Heat-pump system, indicator, usage-side unit, and information output method
CN115067216A (zh) * 2022-05-26 2022-09-20 重庆海尔空调器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591A (ko) 2004-10-11
JP2004309121A (ja) 2004-11-04
CN1534249A (zh) 2004-10-06
CN1260530C (zh)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5623B1 (ko)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
JP200008832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2009008074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H0912653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32975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3785871B2 (ja) 空気調和機
JP5611101B2 (ja) 空気調和機
JPH028646A (ja) 空気調和装置
JP2970393B2 (ja) マルチ型空気調和機
KR20040092448A (ko) 멀티형 공기 조화기
KR100489960B1 (ko) 리모트 콘트롤을 이용한 보일러의 난방/온수 선택장치 및그 방법
JP3482684B2 (ja) 空気調和機
JP2658516B2 (ja) 空調機
JPH0367946A (ja) 空気調和機
KR200199582Y1 (ko) 객실 시설물 유무선 통합 제어장치
JP2967695B2 (ja) 多室型空気調和機
JP2003185236A (ja) 空気調和機
JPH06257820A (ja) 空気調和機
JPH07113477B2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装置
JPH09297559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H022953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921559A (ja) 空気調和機
KR19990001054A (ko) 패키지 에어컨의 콘트롤패널
JPH02194799A (ja) 遠隔制御装置
JPH085224A (ja) 多機能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