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650B1 -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650B1
KR100544650B1 KR1020010042168A KR20010042168A KR100544650B1 KR 100544650 B1 KR100544650 B1 KR 100544650B1 KR 1020010042168 A KR1020010042168 A KR 1020010042168A KR 20010042168 A KR20010042168 A KR 20010042168A KR 100544650 B1 KR100544650 B1 KR 100544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ub
sleeve
fixed
l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6441A (ko
Inventor
신기철
김승곤
정경웅
박성희
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우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2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6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6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06Lances or inj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73Measuring and samp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aterials By Characteristic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브가 장착되는 서브랜스의 특정부위에 지금이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측온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서브랜스에 장착되어 전로에 수강된 용강의 성분, 산소 및 탄소농도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프로브에 있어서, 프로브가 결합되는 서브랜스의 홀더 고정부위를 포함한 상기 서브랜스의 지금 부착 취약부에 이탈가능한 원통형상의 서브슬리브가 장착되어 구성된 프로브 및 이러한 서브슬리브를 원활하게 장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프로브의 직경보다는 크고 서브슬리브의 직경보다는 작은 안내블럭을 승하강가능하게 구비하여 서브슬리브만을 서브랜스측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장착장치와, 측정이 완료된 프로브 및 서브슬리브를 서브랜스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프로브 및 서브슬리브 각각을 별도로 클램핑하되 서브슬리브를 클램핑하는 수단을 별도의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가능하고 프로브를 클램핑하는 수단은 별도의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가능토록 하여 서브슬리브와의 간섭없이 사용된 서브슬리브를 원활하게 노내부로 낙하시켜 폐기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착된 지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작업공수의 절감, 서브랜스의 수명연장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SUB-SLEEVE TYPE PROBE}
도 1은 서브랜스를 이용한 개략적인 프로브의 사용상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금 제거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의 설치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b는 정면도,
도 4c 및 도 4d는 요부를 확대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에 따른 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이탈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6b는 그 정면도,
도 6c 내지 도 6e는 그 요부를 확대한 각부의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이탈에 따른 과정을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로 4 : 서브랜스
10 : 서브슬리브 12 : 홀더
14 : 프로브 100 : 홀더가이드부
200 : 프로브클램프부 300 : 프로브인서트부
400 : 서브슬리브장착부 500 : 이탈 프로브 클램프부
600 ; 서브슬리브 클램프부 700 : 서브슬리브 슈트부
본 발명은 용강의 성분분석을 위한 샘플채취, 용강 온도측정, 산소 및 탄소 농도 등을 검출하는 부재이며 지금 고착 방지수단을 갖는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원활한 측온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장착에 관한 것이다.
전로의 서브랜스(SUB-LANCE) 설비는 취련중 및 취련 종료후 서브랜스 본체의 선단에 측정용 프로브(PROBE)를 장착한 후 고온의 용강속에 하강 침적하여 용강의 온도와 성분을 확인하는 설비로서, 프로브의 공급, 장착, 측정, 회수 등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된 설비이다.
그런데, 이러한 서브랜스를 전로에 침적할 때 도 1의 도시와 같이, 고온의 용강(2) 및 슬래그(3)의 스플래쉬(SPLASH)에 의해 서브랜스(4)의 취약부(A)에 집중적으로 지금(SKULL)이 부착되어 상기 서브랜스(4)의 밴딩(BENDING)을 초래하였고, 또한 부착된 지금이 냉각되어 낙하될 때에는 하부의 설비 및 작업대 등을 소손시킴은 물론 전로(1)의 인접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커다란 문제 를 양산하였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랜스(4)의 취약부(A)에 노즐(5)을 통해 윤활유(6)를 도포하는 방법이 모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윤활유 도포방식은 전로(1) 상부의 노즐(5) 설치위치가 용이치 않음은 물론 분진, 고열에 의한 노즐 막힘현상이 유발되어 윤활유(6)의 도포작업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여 지금 부착방지 효과가 미미하였다.
다른 방편으로,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이프(7)를 클램프(8)로 고정하여 용강에 프로브가 침적된 후 상승하는 서브랜스(4)의 취약부(A)를 상기 나이프(7)가 스크래핑하도록 한 방법이 모색되었다.
그러나, 이또한 부착된 지금의 탈거효과는 상당하나 융착된 지금은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지금의 육성(성장)이 이루어지므로 이를 방지키 위해서는 지금이 융착된 서브랜스(4)를 선회시켜 별도의 설비를 통해 연마하여 취약부(A)에 융착된 지금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므로 작업공수의 가중은 물론 생산성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지금제거를 위한 개선된 구조의 프로브가 요청되기에 이르렀고 자동제어되는 여건에 비추어 그러한 프로브를 자동적으로 장착시켜 작업의 원활성과 신속성을 유지키 위한 설비의 개선이 요청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용강의 성분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브의 사용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효율적으로 개선된 구조의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전로의 상측에서 전로의 노구측을 향해 이동가능하고 그 상면에 순차로 서브 및 보조프레임이 고정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조프레임에 고정되고 서브랜스에 고정된 홀더를 안내하는 홀더가이드부와; 상기 홀더가이드부의 직하방 위치의 서브프레임 상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와 결합되는 프로브의 상단을 클램핑하는 프로브클램프부와; 상기 프로브클램프부와 이격된 직하방 위치에서 상기 프로브의 하단을 견고히 지지고정하여 홀더와 프로브 간의 결합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고정된 프로브인서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브 장착장치에서, 상기 프로브인서트부의 인접상측에 위치되고 프로브의 외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개재된 서브슬리브만을 상향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에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서브슬리브장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금 고착 방지수단을 갖는 프로브의 장착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구조를 보인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서브랜스(4)의 홀더(12)에 연결된 프로브(14)의 외측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원통형상의 서브슬리브(10)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슬리브(10)는 프로브(14)와 서브랜스(4)가 연결되는 부위를 포함하여 서브랜스(4)의 지금 부착 취약부(A)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랜스(4)를 전로 내부로 하강시켜 상기 프로브(14)를 용강에 침적시킨 후 측온작업을 실시할 때 용강 스플래쉬에 의해 슬래그 및 용강이 비산되어 서브랜스(4)의 취약부(A)에 고착되는 경우 주로 서브랜스(4)의 외측면에 커버링된 서브슬리브(10)에 고착되게 되므로 측온작업이 종료된 후에 서브랜스(4)를 상승시키면서 서브슬리브(10)를 이탈시킴으로써 고착된 지금을 서브랜스(4)로부터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어, 또다시 측온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서브랜스(4)를 하강시키기 전에 새로운 서브슬리브를 동일 위치에 삽입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며, 도 4c 및 도 4d는 요부를 확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따르면, 본 발명의 장착장치는 서브랜스에 고정된 홀더(12)를 안내하는 홀더가이드부(100)와; 상기 홀더(12)와 결합되는 프로브(14)의 상단을 클램핑하는 프로브클램프부(200)와; 상기 프로브(14)의 하단을 견고히 지지고정하여 홀더(12)와 프로브(14) 간의 결합을 원활하게 유도하는 프로브인서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브 장착장치에서, 상기 프로브인서트부(300)의 인접상측에 위치되고 프로브(14)의 외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개재된 서브슬리브(SUB SLEEVE)(10)를 상향이동시키는 서브슬리브장착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 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레일(20)을 따라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된 메인프레임(30)상에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선단부 상하측에는 각각 구동스프라켓(410)과 종동스프라켓(420)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이들 구동 및 종동스프라켓(410,420)은 체인(430)에 의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특히 상기 구동스프라켓(410)의 인접위치에는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인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0)의 상면에는 서브프레임(32)이 고정되고, 상기 서브프레임(32)의 상면에는 보조프레임(34)이 고정된다.
홀더가이드부(100)는 상기 보조프레임(34)에 고정된 홀더작동실린더(110)의 동작에 따라 클램프형상의 가이드부재(120)가 전후진되면서 서브랜스에 고정된 홀더(12)를 유동시켜 프로브(14)의 내경 중심과 센터링되도록 안내하게 되며, 안내가 완료된 후에는 개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20)를 이용하여 상기 홀더(12)의 수직중심을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프로브클램프부(200)는 도 4c와 같이, 서브프레임(32)에 고정된 클램프작동실린더(210)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작동실린더(210)에는 동력전달부재(220)의 길이방향 중심이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220)의 양단에는 연결로드(230)가 고정핀(222)에 의해 핀고정되고, 상기 연결로드(230)의 타단에는 작동로드(240)가 고정핀(232)에 의해 핀고정되어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작동로드(240)의 일단에는 상기 프로브(14)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클램프(24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246)가 형성되며, 그 절곡된 부위가 회전축(244)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클램프작동실린더(21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240)의 클램프(242)가 개폐되면서 프로브(14)를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프로브인서트부(300)는 도 4d의 도시와 같이, 메인프레임(30)에 고정된 프로브작동실린더(310)와, 상기 프로브작동실린더(310)의 실린더로드(320)에 유동가능하게 핀고정된 한쌍의 연결간(330)과, 상기 연결간(330)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340)과, 상기 회전축(34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상기 연결간(330)의 단부로부터 예각을 이루도록 절곡연장되어 형성된 작동부재(350)와, 상기 작동부재(350)의 단부 내측면에 부착된 받침대(370)와, 상기 받침대(370) 및 작동부재(350)의 내측면 적소에 고정된 쿠션지지대(360)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프로브작동실린더(310)가 신호를 받아 하강하게 되면 한쌍의 연결간(330)은 벌어지게 되고 동시에 회전축(34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서로 대 응되게 설치된 한쌍의 작동부재(350)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며, 상기 프로브작동실린더(310)가 상승하게 되면 작동부재(350)는 프로브(14) 측으로 모아지면서 쿠션지지대(360)가 프로브(14)의 외주면 일부를 접촉지지하게 되고 프로브(14)의 하단부에는 이와 약간의 유격을 갖고 프로브(14)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을 유지하는 한쌍의 받침대(370)가 위치되게 된다.
서브슬리브장착부(400)는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프로브인서트부(300)의 인접 상측에 위치되며 체인(430)을 따라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상기 체인(430)에는 프로브(14) 보다는 큰 곡률반경을 갖되 서브슬리브(10)는 걸림될 수 있는 "⊂"형상의 안내블럭(440)이 고정핀(450)에 의해 체인(430)에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서브슬리브장착부(400)의 원활한 승하강 동작을 위해 차륜(460)이 부설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지금 고착 방지수단을 갖는 프로브의 장착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서브슬리브(10)가 삽입된 프로브(14)의 하단 및 상단부를 각각 프로브클램프부(200)의 클램프(242)를 갖는 작동로드(240) 및 프로브인서트부(300)의 쿠션지지대(360)를 갖는 작동부재(350)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서브슬리브(10)의 하단은 서브슬리브장착부(400)의 안내블럭(440) 상단면에 거치된 상태이다.
이어, 홀더가이드부(100)의 가이드부재(120)를 통해 서브랜스(4)에 고정된 홀더(12)의 수직중심과 프로브(14)의 수직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서브랜스(4)를 하강시켜 홀더(12)와 프로브(14) 간의 결합이 수행되고 전기적인 통전상태에 이르면 홀더, 클램프 및 프로브의 각 작동실린더(110,210,310)가 동작하여 가이드부재(120), 작동로드(240) 및 작동부재(350)를 개방시킴으로써 이들의 구속력이 제거되게 된다.
이 상태에 이르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터가 작동하여 구동스프라켓(410)을 회전시키게 되고 체인(430)이 회전되면서 안내블럭(440)을 상향이동시키게 된다.
동시에, 서브슬리브(10)는 안내블럭(440)을 따라 상향이동되다가 서브랜스(4)의 외측면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서브슬리브(10)는 상기 서브랜스(4)의 외측면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고정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후크형 고정구조 및 전자석형 고정구조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슬리브(10)의 삽입위치는 서브랜스(4)의 지금 고착 취약부(A)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체인(430)에 고정된 안내블럭(440)의 상승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서브슬리브(10)의 삽입동작이 완료되면 안내블럭(440)은 최초 위치로 복귀되며, 동시에 작동실린더(36)가 동작하여 안내블럭(440)으로부터 프로브(14) 및 서브슬리브(10)가 장착된 서브랜스(4)를 이탈시키도록 메인프레임(30)을 후퇴시킨 후 서브랜스(4)를 하강시켜 전로의 용강속에 프로브(14)가 침적되도록 하여 소정의 측온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브 이탈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b는 그 정면도이며, 도 6c 내지 도 6e는 그 요부를 확대한 각부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따르면, 본 발명의 프로브 이탈장치는 레일(22)을 따라 이동가능한 베이스프레임(6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60)에 수직하게 세워설치된 보조프레임(6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60)에 고정된 전후진실린더(510)에 의해 전후진가능하고 프로브(14)의 하단을 고정하는 이탈 프로브 클램프부(500)와, 상기 보조프레임(62)에 고정된 승하강실린더(610)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고 서브슬리브(10)를 고정하는 서브슬리브 클램프부(600)와, 상기 이탈 프로브 클램프부(500)와 서브슬리브 클램프부(600)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60)의 상면에 고정된 슈트구동실린더(71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서브슬리브 슈트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탈 프로브 클램프부(500)는 도 6c의 도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60)의 일부에는 한쌍의 가이드레일(532)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532)을 따라 이동가능한 구동휠(530)을 갖는 작동판(520)의 일단측이 전후진실린더(510)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판(520)의 타단측에는 고정브라켓(540)이 연결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40)에는 서로 간격을 둔 한쌍의 안내부재(550)가 설치된다.
상기 안내부재(550)의 일측에는 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그 외측에 작동실린더(56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실린더(560)에는 작동봉(564)이 전후진가능하게 설 치되며, 상기 작동봉(564)은 상기 안내부재(550)를 관통하여 배치된 안내편(562) 내부를 관통하여 전후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봉(564)의 단부에는 상기 안내부재(550)의 관통된 내면에 부착되고 타측 안내부재를 향해 이동가능한 판상의 쿠션지지대(568)가 고정되며, 상기 작동봉(564)과 안내편(562) 사이에는 탄성스프링(566)이 개재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동실린더(560) 및 이와 연결되어 작동가능한 쿠션지지대(568)가 설치된 안내부재(550)의 대향측 안내부재에는 이를 관통하여 에어공급원과 연결된 다수의 파이프라인(570)이 배열설치된다.
그리하여, 서브랜스가 상승하여 프로브(14)가 적절히 위치되면 전후진실린더(510)의 전진작동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550) 사이로 상기 프로브(14)의 하단이 삽입되게 되고, 이어 작동실린더(560)가 동작하여 쿠션지지대(568)가 전진하면서 탄성적으로 상기 프로브(14)를 가압하여 밀착고정함과 동시에 대향측 안내부재에서는 파이프라인(570)을 통해 고압으로 흡입함으로써 상기 프로브(14)의 하단을 견고히 지지고정할 수 있게 된다.
서브슬리브 클램프부(600)는 도 6d와 같이, 보조프레임(62)에 고정된 승하강실린더(610)가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실린더(610)에는 다수의 구동휠(640)을 갖는 승하강작동판(650)이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작동판(650)의 구동휠(640)은 상기 보조프레임(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63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하강작동판(650)의 일단측에는 전후진실린더(620)가 고정되어 상기 승하강작동판(650)과 함께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후진실린더(620)의 실린더로드에는 동력전달부재(652)의 길이방향 중심이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652)의 양단에는 연결로드(654)가 고정핀(656)에 의해 핀고정되고, 상기 연결로드(654)의 타단에는 작동로드(660)가 고정핀(658)에 의해 핀고정된다.
특히, 상기 작동로드(660)는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고 그 절곡된 부위가 회전축(670)에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어 구성되며, 그 절곡된 일단에는 집게형상을 갖는 한쌍의 작동집게(680)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진실린더(620)의 전후진동작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660)와 연결된 작동집게(680)가 개폐되면서 서브슬리브(1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서브슬리브 슈트부(700)는 도 6e의 도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60)의 상면에 슈트구동실린더(710)가 고정되고, 상기 슈트구동실린더(710)에는 동력전달부재(720), 연결로드(730) 및 작동로드(740)가 상술한 서브슬리브 클램프부(600)와 유사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작동로드(740)의 일부는 대략 'ㄱ'형상으로 절곡된 후 그 절곡된 부위가 회전축(750)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며, 상기 연결로드(730)와 연결된 단부의 대향단은 연장되어 반원형상의 내주연을 갖는 슈트브라켓(760)과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6b의 도시와 같이, 상기 슈트브라켓(760)은 반원통상의 긴 슈트가이드(770)의 외측면 일부에 연결고정됨으로써 상기 슈트가이드(770)를 개폐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프로브 이탈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6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로의 용강속에 침적되어 소정의 측정작업 및 샘플 채취작업이 완료된 프로브(14)를 서브랜스(4)가 상승하면서 전로 상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a의 구동수단(800)이 작동되어 베이스프레임(60)이 프로브(14) 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에는 안내부재(550), 작동집게(680) 및 슈트가이드(770) 모두가 개방된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60)이 적정위치에 멈추어 고정되게 되면, 전후진실린더(510,620)가 동작하여 안내부재(550) 내부에 구비된 쿠션지지대(568) 및 작동집게(680)가 폐쇄되어 각각 프로브(14) 및 서브슬리브(10)를 클램핑하게 된다.
프로브(14) 및 서브슬리브(10)의 고정이 완료되면 서브랜스(4)가 상승하면서 홀더(12)와 프로브(14) 및 서브랜스(4)와 서브슬리브(10) 간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이르면 서브슬리브(10)는 작동집게(680)에 의해 전로 상부에 클램핑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프로브(14)는 그 상단 일부가 상기 서브슬리브(10) 내부에 잔류된 채 상기 쿠션지지대(568)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 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승하강실린더(610)가 작동하여 상기 서브슬리브(10)를 고정하고 있던 작동집게(680)를 상승시키게 되면 서브슬리브(10)와 프로브(14)가 서로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이격되게 된다.
이격이 완료되면, 이탈 프로브 클램프부(500)가 전후진실린더(510)에 의해 후퇴되면서 서브슬리브(10)의 낙하방향과 간섭되지 않게 되고, 동시에 슈트구동실린더(710)가 작동하여 슈트가이드(770)를 폐쇄시켜 원통상의 긴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슈트가이드(770)에 의해 형성된 통로는 상기 서브슬리브(10)가 낙하될 때 정확하게 전로 내부로 낙하되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수단이다.
낙하준비가 완료되면 전후진실린더(620)가 작동하여 작동집게(680)의 구속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서브슬리브(10)는 낙하되며 상기 슈트가이드(770)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정확하게 전로 내부로 낙하되어 전로 내부에서 폐기 처리되게 된다.
분리된 프로브(14)는 후속공정으로 이송되어 채취된 샘플을 분리하여 성분분석에 사용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폐기가 용이한 별도의 부재인 서브슬리브를 프로브 상측인 서브랜스의 취약부에 취부시킴으로써 고착된 지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지금 제거 효율이 우수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작업공수의 절감, 서브랜스의 수명연장의 효과가 유발된다.
세째, 서브랜스에 서브슬리브를 자동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서브슬리브의 장착에 따른 작업공수를 줄여 작업성을 극대화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삭제

Claims (5)

  1. 삭제
  2. 전로(1)의 상측에서 전로(1)의 노구측을 향해 이동가능하고 그 상면에 순차로 서브 및 보조프레임(34)이 고정된 메인프레임(30)과; 상기 보조프레임(34)에 고정되고 서브랜스(4)에 고정된 홀더(12)를 안내하는 홀더가이드부(100)와; 상기 홀더가이드부(100)의 직하방 위치의 서브프레임(32) 상에 구비되고 상기 홀더(12)와 결합되는 프로브(14)의 상단을 클램핑하는 프로브클램프부(200)와; 상기 프로브클램프부(200)와 이격된 직하방 위치에서 상기 프로브(14)의 하단을 견고히 지지고정하여 홀더(12)와 프로브(14) 간의 결합을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에 고정된 프로브인서트부(300)와; 상기 프로브인서트부(300)의 인접상측에 위치되고 프로브(14)의 외측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개재된 서브슬리브(10)만을 상향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0)에 승하강가능하게 설치된 서브슬리브장착부(400)를 포함하는 프로브의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슬리브장착부(400)는 메인프레인(30)의 선단부 상하측에는 각각 구동스프라켓(410)과 종동스프라켓(420)이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구동 및 종동스프라켓(410,420)은 체인(430)에 의해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프로브인서트부(300)의 인접 상측에 위치되며 체인(430)을 따라 승하강가능하도록 상기 체인(430)에 프로브(14) 보다는 큰 곡률반경을 갖고 서브슬리브(10)와 걸림되는 "⊂"형상의 안내블럭(440)이 체인(430)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금 고착 방지수단을 갖는 프로브의 장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10042168A 2001-07-12 2001-07-12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 KR100544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168A KR100544650B1 (ko) 2001-07-12 2001-07-12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168A KR100544650B1 (ko) 2001-07-12 2001-07-12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441A KR20030006441A (ko) 2003-01-23
KR100544650B1 true KR100544650B1 (ko) 2006-01-23

Family

ID=27714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168A KR100544650B1 (ko) 2001-07-12 2001-07-12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6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340B1 (ko) * 2008-08-19 2011-01-28 주식회사 우진 서브랜스의 프로브 장착 예비장치
KR101257390B1 (ko) * 2011-03-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서브랜스용 이송장치
KR102046495B1 (ko) * 2017-12-22 2019-11-19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운반용기 내의 용선 온도 측정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7104A (en) * 1976-11-04 1978-05-24 Nippon Steel Corp Automatic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for probe of converter sublance
JPS54155906U (ko) * 1978-04-21 1979-10-30
JPS5564768U (ko) * 1978-10-27 1980-05-02
JPH07218155A (ja) * 1994-01-28 1995-08-18 Nkk Corp スリーブ付き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交換装置
JPH07294512A (ja) * 1994-04-25 1995-11-10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測温試料採取装置
KR20010065417A (ko) * 1999-12-29 2001-07-11 이구택 측온 샘플링 장치의 프로브 자동 장착 및 탈착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57104A (en) * 1976-11-04 1978-05-24 Nippon Steel Corp Automatic attaching and detaching device for probe of converter sublance
JPS54155906U (ko) * 1978-04-21 1979-10-30
JPS5564768U (ko) * 1978-10-27 1980-05-02
JPH07218155A (ja) * 1994-01-28 1995-08-18 Nkk Corp スリーブ付き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交換装置
JPH07294512A (ja) * 1994-04-25 1995-11-10 Nippon Steel Corp 溶融金属測温試料採取装置
KR20010065417A (ko) * 1999-12-29 2001-07-11 이구택 측온 샘플링 장치의 프로브 자동 장착 및 탈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6441A (ko) 2003-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62139C (en) Arrangement for the maintenance of a sliding closure mounted on the spout of a container for molten metal
KR100544650B1 (ko) 서브슬리브형 프로브의 장착장치
JPH07294512A (ja) 溶融金属測温試料採取装置
US1960366A (en) Apparatus for freeing and removing hollow castings from flasks
JP2995038B2 (ja) プローブ装着装置
JP3176006B2 (ja) スリーブ付きプローブおよびプローブ交換装置
CN115466917A (zh) 一种热镀锌设备
KR101256509B1 (ko) 전기로의 리멜트 샘플 자동 채취 장치
CN111793732B (zh) 一种转炉炉口清渣导向装置及其导向方法
KR101347599B1 (ko) 전기로용 자동측온장치
CN109676478B (zh) 一种集除尘、通孔、探伤于一体的铸造件用装置
CN108340153B (zh) 刮板链装配装置及装配方法
US4226407A (en) Metallurgical lance deskuller
JP3007261B2 (ja) 大樋カバー脱着装置
KR100902823B1 (ko) 래들 상부의 부착 지금 제거장치
KR101584147B1 (ko) 고로 탕도의 커버 실링 장치
CN219484429U (zh) 一种适用于钢水试样的毛边清除装置
KR100879741B1 (ko) 지관 착탈장치
KR100851175B1 (ko) 전로 취련용 란스의 지금 제거장치
KR200222938Y1 (ko) 슬래브의 회전장치
JP4117724B2 (ja) 遠心鋳造機における中子砂処理装置
JP3086604B2 (ja) 電気炉用測温サンプリング装置
KR100985247B1 (ko) 소둔로 인너커버의 실 장착장치
JP2000351140A (ja) 竪型射出成形機の可塑化ユニット脱着ガイド機構及び脱着ガイド方法
JP3767223B2 (ja) 高炉の補修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炉内耐火物の吹き付け方法と高炉ステーブの回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