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4565B1 - 황토타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토타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4565B1
KR100544565B1 KR1020020066288A KR20020066288A KR100544565B1 KR 100544565 B1 KR100544565 B1 KR 100544565B1 KR 1020020066288 A KR1020020066288 A KR 1020020066288A KR 20020066288 A KR20020066288 A KR 20020066288A KR 100544565 B1 KR100544565 B1 KR 100544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tile
clay
fiber gauze
cotton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7703A (ko
Inventor
이익규
Original Assignee
이익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규 filed Critical 이익규
Priority to KR102002006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5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37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7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28B1/1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for producing laye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7Controlling the humidity during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8Supports for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95Treating the surface of the fed layer, e.g. removing material or equalization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9/00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 B28B19/0092Machines or methods for applying the material to surfaces to form a permanent layer thereon to webs, sheets or the like, e.g. of pape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1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 B28B3/123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one or more rollers exert pressure on the material on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moving continuously underneath or between the rollers, e.g. on an endless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타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점토와 황토 및 기타 참숯가루나 맥반석가루가 적절하게 배합되어 점착성 및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 시공시 해당 구조물에 곧바로 편리하게 부착 마감할 수 있어 건강에 좋으면서도 실내의 습기 조절 및 소음 억제와 단열에 우수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황토타일 제조방법은 점토와 황토를 점착성 및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배합되는 기본제재 배합공정과, 기본 제재가 합성섬유 위에 도포되는 합성섬유 도포공정과, 기본 제재위로 면섬유거즈가 부착되는 섬유거즈 부착공정과, 면섬유거즈 위로 점토및 황토와 함께 참숯가루를 일정비율로 배합시킨 부가 제재가 도포되는 부가제재 도포공정과, 부가 제재 위로 면섬유거즈가 도포되면서 표면 평탄되는 황토타일 롤링공정과, 표면 평탄된 황토타일이 살균 및 건조되는 스팀살균 건조공정과, 황토타일의 면섬유거즈 위로 풀이 칠해지면서 접착롤러를 통해 풀칠상태가 평탄해지는 황토타일 풀칠공정과, 면섬유거즈 위로 한지가 도포되는 한지마감 부착공정과, 일정 두께의 황토타일이 해당 규격대로 절단 처리되는 제품규격 절단공정를 포함하여 제품 구성된다.

Description

황토타일 제조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Yellow Soil Tile}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황토타일이 제품 형성되는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품 형성되는 황토타일 공정단계도.
본 발명은 건강에 유익하면서 손쉽게 제품 시공할 수 있는 황토타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토와 황토를 일정형태의 타일 또는 판넬형태로서 점착성 및 성형성을 유지할 수 있게 적절하게 배합시켜 일면을 접착기능을 부여시킴으로서 해당 구조물에 곧바로 편리하게 부착 마감시킬 수 있어 통상의 시멘트 벽체에 비해 제품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건강에도 유익한 황토타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내장판넬이나 건축부재는 시멘트 석고 등을 주성분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멘트를 사용한 내장판넬이나 건축부재는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가공성이 좋지 못한데도 불구하고 가격이 비싸며, 그 성분 중에 발암물질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습도나 보온효과가 거 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주거용 주택의 실내 벽체나 천장의 시공에 있어서, 기존에는 콘크리트 슬래브 밑에 천장판을 고정하기 위해 콘크리트못 등을 이용하여 목재를 고정한 다음, 고정된 목재에 각목을 합판규격에 맞도록 고정하고 고정된 각목에 합판을 대고 못을 박아 시공한 후, 최종적으로 벽지 등으로 마감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구조는 천장 위의 미세 먼지는 물론 콘크리트에서 나오는 라돈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화학적으로 인체에 크게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윗층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진동이 콘크리트를 통하여 시끄러운 소리가 그대로 천정판에 전달되면서 울리는 소음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아울러 합판에서 나오는 본드의 유해한 화학성분으로 인해 눈이 맵거나 호흡기 질환이 발생되기 쉬웠으며, 특히 화재 발생시 발화성이 높아 안전상으로도 매우 위험하다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요즘 많이 사용하는 비닐벽지 역시 풀을 사용해서는 접착이 잘 되지 않는 관계로 벽지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화학본드를 사용함에 따라 인체에 유해할 수밖에 없었으며, 아울러 실내에 습도 조절이 되지 않아 벽체에 결로가 발생하고 곰팡이가 생기는 등 인체에 유해한 것은 물론, 실내에 음성 조절, 소리 울림 등이 심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는 윗층과 아래층간의 원활한 단열이 불량하여 열 손실이 큰 관계로 난방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특히 수입에 의존하는 목재 등 합판재 등의 필요 이상의 사용은 외화의 낭비는 물론 시공 인건비의 낭비도 초래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강한 알칼리성 독성의 시멘트 대신에 환경 친화적인 점토와 황토를 기본으로 참숫가루나 맥반석 등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일정형태의 타일 또는 판넬형태로서 점착성 및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 시공시 해당 구조물에 곧바로 편리하게 부착 마감할 수 있어, 살균 및 정화효능과 실내의 습기 조절 및 소음 억제와 같은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단열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황토타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황토타일 제조방법은 점토와 황토를 점착성 및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죽처럼 배합되는 기본제재 배합공정과, 점토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배합된 기본 제재가 합성섬유 위에 도포되는 합성섬유 도포공정과, 합성섬유에 도포된 기본 제재 위로 면섬유거즈가 부착되는 섬유거즈 부착공정과, 면섬유거즈 위로 점토 및 황토와 함께 참숯가루를 일정비율로 배합시킨 부가 제재가 도포되는 부가제재 도포공정과, 부가 제재 위로 다시 면섬유거즈가 도포되면서 압지롤러를 통해 표면 평탄되는 황토타일 롤링공정과, 표면 평탄된 일정 두께의 황토타일이 살균 및 건조되는 스팀살균 건조공정과, 황토타일의 면섬유거즈 위로 풀이 칠해지면서 접착롤러를 통해 풀칠상태가 평탄해지는 황토타일 풀칠공정과, 풀칠된 면섬유거즈 위로 한지가 도포되어 압지롤러로 통과되는 한지마감 부착공정과, 한지가 마감 처리된 일정 두께의 황토타일이 해당 규격대로 폭방향 및 길 이방향으로 절단 처리되는 제품규격 절단공정를 포함하여 제품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한지마감 부착고정에서 풀칠된 면섬유거즈 위로 한지가 도포되면서 반대쪽 합성섬유의 표면으로는 양면테입이 부착되어 압지롤러로 통과되는 한편, 부가제제 도포공정에서 면섬유거즈 위로 도포되는 부가 제재는 점토와 황토가 30-70wt% : 70-30wt%의 혼합비율로 배합되는 기본 제재와는 달리 점토와 황토 및 참숯가루가 45wt% : 45wt% : 10wt%의 혼합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황토타일 제조방법의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품 형성되는 황토타일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강한 알칼리성 독성의 시멘트 대신에 환경친화적인 점토와 황토를 기본으로 참숫가루나 맥반석 등이 적절하게 배합되어 일정형태의 타일 또는 판넬형태로서 점착성 및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으면서, 일면에 구성되는 접착구조에 의해 시공시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해당구조물에 곧바로 부착 마감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우선, 환경 친화적으로 진흙인 점토와 황토를 적절하게 배합하여 일정형태의 타일 또는 판넬형태로서 점착성 및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죽처럼 배합되는 기본제재 배합공정(S1)을 거치게 되는데, 특히 이들 점토와 황토는 합성섬유(10)인 부직포에 흡수되어 적당한 점착성 및 성형성을 갖게 된다.
진흙인 이들 점토와 황토는 자연 친화적인 제재로서 황토만 사용될 경우 일 정한 형태로의 점착성 및 성형성을 유지하기 곤란하므로, 점토와 황토를 30-70wt% : 70-30wt%의 비율로 혼합하여 배합할 때 즉, 상대적으로 점착성보다는 성형성이 우수한 황토를 점토에 비해 조금 더 혼합시킬 때에 제품 특성상 바람직한 것을 여러 차례의 실험결과 알 수 있었으나 절대적이라기 보다는 시공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배합해도 무방하다고 본다.
그리고 제조공정이 시작되는 콘베어벨트(20) 위의 배합통(22)을 통해 배합된 이들 진흙 혼합재는 상기 배합통(22) 아래쪽의 갓틀(24)로 투입되면서 상기 콘베어벨트(20)를 타고 이송되는 합성섬유(10) 위에 덮어 씌어지게 되는 합성섬유 도포공정(S2)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황토타일의 기본 제재로 사용되는 황토는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아주 가는 모래가 모여 만들어진 흙으로 탄산칼슘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부서지지 않으며, 그 크기는 0.02-0.05mm이고 석영,장석,운모,방해석 등의 광물입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황토 한 스푼에는 약 2억 마리의 미생물이 들어 있어 흔히들 살아있는 생명체라고 한다.
이러한 황토의 효소성분에는 카탈라이제,디페놀 옥시디아제,사카라제,프로테아제의 4가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 효소들은 독소 제거,분해력,비료 요소,정화작용의 역할을 하며, 특히 황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은 황토에서 파장되는 원적외선으로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히 하고,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점토는 점착성을 가지며 0.005mm 이하의 미세한 광물입자의 집합체로 서 암석 또는 광물이 분해하여 하천이나 강변 및 해변에 퇴적되면서 생긴 천연 찰흙을 말하며, 통상 장석 등이 분해하여 생긴 점토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흡수성과 팽창성도 작고 안정된 점토인 카올리나이트와, 응회암 등이 풍화하여 생긴 백색의 점토광물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물을 함유하면 불안정하게 되어 팽창하는 성질이 있고 벤토나이크액으로서 기초공사 등에 사용되는 몬로릴로나이트 및 그밖에 몬모릴나이트에 비해 팽창성이 낮고 마찰저항이 일라이트 등으로 구별되고 있다.
한편, 위의 합성섬유 도포공정(S2)을 거친 진흙 혼합제는 갓틀(24)에 의해 밖으로 흘러 나가지 않고 합성섬유(10) 위로 깔리면서 회전되는 콘베어벨트(20)를 따라 이송되며, 계속해서 합성섬유(10)에 도포된 진흙 혼합제가 말라 트지 않도록 면섬유거즈(12)가 그 위로 깔리면서 부착되는 섬유거즈 부착공정(S3)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진흙 혼합제를 기본 제재로 한 본 발명의 황토타일에 대해 세균 발생의 억제과 탈취기능은 물론 습기 제거 및 전자파 차단 등의 주거환경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부착된 면섬유거즈(12) 위로 다시 한번 점토 및 황토와 함께 참숯가루 및 맥반석가루를 적당하게 배합시킨 부가 혼합제를 덮어 씌우는 부가제재 도포공정(S4)를 거치게 된다.
특히 부가제재로 혼합되는 참숯가루는 기본 제재로서 통상 50 : 50의 동일비율로 혼합되는 처음의 진흙 혼합제와는 달리 10wt% 정도로서, 즉 점토 : 황토 : 참숯가루의 조성비를 45wt% : 45wt% : 10wt% 정도의 혼합비율로 배합됨이 바람직하며, 맥반석가루는 참숯가루와 함께 또는 별도로 혼합시킬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외시켜도 크게 무리가 없다.
통상 친환경 제재인 참숯가루는 주거환경 어느 곳에서도 적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냄새 및 습기제거, 음이온 발생, 원적외선 방출, 전자파 차단, 음식의 부패 및 균 발생 억제, 미네랄 발생, 신경 자율조정 작용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며, 맥반석가루 역시 참숯가루와 같이 원적외선 방출, 탈취작용, 유해균 억제, 미네랄 용출기능, 수질 조절작용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한편, 위의 부가제재 도포공정(S4)에서는 처음의 기본제재 배합공정(S1)에서와 같이 콘베어벨트(20) 위의 배합통(26)을 통해 적정 비율로 배합된 부가 제재가 면섬유거즈(12) 위로 투입되어 덧 씌어지게 되고, 계속해서 앞의 섬유거즈 부착공정(S3)과 같이 다시 한번 면섬유거즈(14)가 도포된 부가 제재 위로 덧 씌어지면서 압지롤러(28)를 통과하여 타일 표면이 고르게되는 황토타일 롤링공정(S5)을 거치게 된다.
즉, 합성섬유(10) 위로 기본 제재와 부가 제재가 도포되면서 이들 기본 제재와 부가 제재 위로 면섬유거즈(12)(14)가 순차 부착된 본 발명의 황토타일을 콘베어벨트(20)에 설치된 압지롤러(28)로 통과되도록 함으로서 타일의 표면이 고르게 되면서 일정 두께로 조정될 수 있도록 하며, 계속해서 표면이 고르게 된 일정 두께의 황토타일은 스팀살균건조기(30)을 통과하면서 분사되는 스팀에 의해 살균 및 건조되는 스팀살균 건조공정(S6)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살균 및 건조된 본 발명의 황토타일은 일면이 한지로 마감 처리되면서 반대쪽 타면은 접착제 또는 양면테입으로 마감 처리되는데, 우선 황토타일의 일 면에 한지가 부착될 수 있도록 컨베어벨트(20)에 설치된 풀통(32)을 통해 통상의 풀이 투여되며, 상기 컨베어벨트(20)의 접착롤러(34)를 통과하는 황토타일의 면섬유거즈(14) 위로 풀이 칠해지면서 동시에 상기 접착롤러(34)에 의해 상기 면섬유거즈(14)의 풀칠상태가 평탄해지는 황토타일풀칠공정(S7)를 거치게 된다.
또한 일면에 풀이 도포된 본 발명의 황토타일에 대해 시공시 벽체 또는 천장 밖으로 노출되는 상대적으로 타면인 타일 표면이 한지(16)로 마감 처리될 수 있도록 풀칠된 면섬유거즈(14) 위로 한지(16)가 덧 씌워지면서 압지롤러(36)를 통과하게 되며, 동시에 한지(16)가 부착되는 상기 면섬유거즈(14) 반대쪽의 타면인 합성섬유(10)의 표면으로는 양면테입(38)이 부착되면서 상기 한지(16)와 함께 압지롤러(36)를 통과하는 한지마감 부착공정(S8)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풀이 붙은 황토타일의 면섬유거즈(14) 위로 한지(16)를 부착시킴으로서 황토타일의 표면이 트지 않고 도포된 기본 제재및 부가 제재가 묻지 않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한지(16)와 함께 본 발명의 황토타일(40)에 부착되는 양면테입(38)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황토타일 시공시에 상기 양면테입(38)을 이용하여 벽체 또는 천장에 직접 부착시키지 않고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여 황토타일을 부착 시공할 수도 있으며, 이는 타일 자체에 양면테입(38)이 일체 구조화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양면테입(38)의 적용 없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제품 형태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압지롤러(36)를 통해 한지(16)가 마감 처리되면서 일정 두께로 유지된 본 발명의 황토타일(40)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절단커터(42)(44)에 의해 정해진 제품규격에 맞게 절단 처리되는 제품규격 절단공정(S9)을 거치며, 계속해서 규격별로 제품 완성된 본 발명의 황토타일(40)은 깨끗하게 포장됨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황토타일이 완성된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생산된 본 발명의 황토타일(40)은 시멘트 콘크리트벽, 목조벽, 조립식 패널벽, 아파트 등의 실내인테리어 황토방으로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데, 우선 황토타일(40)의 뒷면에 부착된 양면테입(38)의 이면지를 분리시켜 해당 벽체 또는 천장에 맞추어 접착함으로서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황토타일(40)은 타일 표면을 평면으로 마감할 수도 있고 규격별로 십자무늬, 완자무늬 등으로 모양를 내서 시공 마감할 수 있으며, 특히 합성섬유에 사용되는 부직포는 혼합 진흙(점토 및 황토)를 흡수하면서 진흙이 본드 역할을 하여 참숫가루나 맥반석가루를 배합하여 발라도 건조시에 갈라지거나 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황토타일은 신축이 아닌 기존 건물이라도 시공은 가능하며, 시공자가 1공정(1분야)으로 단열과 황토벽과 벽지까지 마감할 수 있어 아이들이 머리 등으로 벽에 충격을 주어도 완충작용이 되므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황토타일을 실내 벽체나 천장에 시공함으로서 실내환경이 개선되어 호흡기 질병을 없애고 눈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등의 건강에 좋으며, 실내의 습기 조절과 반사음을 없애줌으로서 청각에도 도움이 된다 할 수 있다.
특히 완벽한 단열이 제공되는 등 시멘트 벽체나 천장에 시공하는 통상의 벽지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자연 친화적이면서 건강에 유익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한 본 발명은 제품화된 황토타일(판넬)형태가 아니라 콘크리트 벽체에 기본제재 배합공정(S1)서부터 한지마감 부착공정(S8)까지의 제조공정대로 현장에서 시공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신축건물 시공시에는 일반적으로 건물구조 콘크리트벽(옹벽)에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서 벽면(몰탈)에 미장을 한 다음 그 위에 벽지 등 페인트 마감을 하였는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옹벽에 미장을 하지 않고 거친 면을 그라인더로 갈아낸 다음 시멘트 접착제를 바르고 부직포(10)를 접착하였으며, 이때 부직포(10) 한쪽 면이 흡수가 잘되는 합성섬유로 털이 길게 형성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직포(10) 위에 상술한 기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배합비율로 점토와 황토를 기본으로 참숯가루 및 맥반석가루 등을 적당하게 혼합한 죽형태의 진흙 혼합제를 콤프레샤를 이용하여 분사시키고, 진흙 혼합제가 분사 도포된 부직포(10) 위에 면섬유거즈(12)를 부착하고 흙손을 이용하여 고르게 문지르며, 계속해 굴곡이 깊은 면에는 진흙 혼합제를 되풀이 분사하여 면을 고르고 반듯하게 문지른 다음, 그 위에 다시 한번 면섬유거즈(14)를 부착하여 건조시킨 후에 최종적으로 한지(16)를 부착시킨다.
특히 진흙 혼합제를 분사하여 흙손으로 문질러주면서 분사를 반복할 때 1회 두께를 5mm 내외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진흙 혼합제가 트거나 갈러지지 않아 떨어지지 않게 하며, 평면으로 마감할 수도 있고 줄무늬 또는 십자무늬, 곡선, 도투 락, 곰보 등 다양한 모양을 내서 시공 마감하게 된다.
또한 합성섬유인 부직포는 진흙 혼합제를 흡수하면서 진흙 혼합제가 접착제 역할을 하여 참숯가루, 맥반석가루 등를 배합하여 발라도 건조시 갈라지거나 떨어지지 않는 제품 특성을 갖게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따른 시공방법의 응용 실시예 역시 통상의 시멘트 바닥이나 벽면에 시공하는 통상의 벽지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세균 발생의 억제 및 탈취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장시공이 생략됨으로서 시멘트, 미장공임, 물류비용 등이 절약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실시예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토타일 제조방법은 통상의 시멘트 바닥이나 벽면에 시공하는 통상의 벽지에서는 기대할 수 없었던 세균 발생의 억제 및 탈취기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황토타일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환경 친화적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황토타일을 벽체나 천장에 적용 시공할 경우, 실내공간을 장식하여 각종 현대인에게 나타나는 질병을 치유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될 뿐만 아니라, 한국 고유의 자연미까지도 부여될 수 있어 그 장식적 마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점토와 황토를 점착성 및 성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죽처럼 배합되는 기본제재 배합공정(S1)과,
    점토와 황토가 일정비율로 배합된 기본 제재가 합성섬유(10) 위에 도포되는 합성섬유 도포공정(S2)과,
    합성섬유에 도포된 기본 제재 위로 면섬유거즈가 부착되는 섬유거즈 부착공정(S3)과,
    면섬유거즈 위로 점토 및 황토와 함께 참숯가루를 일정비율로 배합시킨 부가 제재가 도포되되, 면섬유거즈 위로 도포되는 상기 부가 제재는 점토와 황토가 30-70wt% : 70-30wt%의 혼합비율로 배합되는 기본 제재와는 달리 점토와 황토 및 참숯가루가 45wt% : 45wt% : 10wt%의 혼합비율로 배합되는 부가제재 도포공정(S4)과,
    부가 제재 위로 다시 면섬유거즈가 도포되면서 압지롤러를 통해 표면 평탄되는 황토타일 롤링공정(S5)과,
    표면 평탄된 일정 두께의 황토타일이 살균 및 건조되는 스팀살균 건조공정(S6)과,
    황토타일의 면섬유거즈 위로 풀이 칠해지면서 접착롤러를 통해 풀칠상태가 평탄해지는 황토타일 풀칠공정(S7)과,
    풀칠된 면섬유거즈 위로 한지가 도포되어 압지롤러로 통과되되, 풀칠된 면섬유거즈(14) 위로 한지(16)가 도포되면서 반대쪽 합성섬유(10)의 표면으로는 양면테입(38)이 부착되어 압지롤러(36)로 통과되는 한지마감 부착공정(S8)과,
    한지가 마감 처리된 일정 두께의 황토타일이 해당 규격대로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절단 처리되는 제품규격 절단공정(S9)를 포함하여 제품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타일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20066288A 2002-10-29 2002-10-29 황토타일 제조방법 KR100544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288A KR100544565B1 (ko) 2002-10-29 2002-10-29 황토타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6288A KR100544565B1 (ko) 2002-10-29 2002-10-29 황토타일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703A KR20040037703A (ko) 2004-05-07
KR100544565B1 true KR100544565B1 (ko) 2006-01-24

Family

ID=3733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6288A KR100544565B1 (ko) 2002-10-29 2002-10-29 황토타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56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832A (ko) * 1997-11-19 1998-03-30 서세영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및 동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토보드
KR980008481A (ko) * 1996-07-02 1998-04-30 기승철 불연성보드에 황토 흙이 내장된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980008480A (ko) * 1996-07-02 1998-04-30 기승철 목질계보드에 황토 흙이 내장된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1092A (ko) * 1997-10-08 1999-05-06 이창용 황토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25067A (ko) * 1998-10-08 2000-05-06 이상배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KR20000032001A (ko) * 1998-11-12 2000-06-05 강경석 황토 패널의 제조방법
KR20010036379A (ko) * 1999-10-08 2001-05-07 최현주 침대용 황토 보드 제작방법 및 그 물품
KR20010068856A (ko) * 2000-01-10 2001-07-23 김명옥 건축용 황토판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14115B1 (ko) * 1999-05-18 2001-11-30 이정덕 건축용 내장 판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481A (ko) * 1996-07-02 1998-04-30 기승철 불연성보드에 황토 흙이 내장된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980008480A (ko) * 1996-07-02 1998-04-30 기승철 목질계보드에 황토 흙이 내장된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1092A (ko) * 1997-10-08 1999-05-06 이창용 황토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980000832A (ko) * 1997-11-19 1998-03-30 서세영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및 동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황토보드
KR20000025067A (ko) * 1998-10-08 2000-05-06 이상배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KR20000032001A (ko) * 1998-11-12 2000-06-05 강경석 황토 패널의 제조방법
KR100314115B1 (ko) * 1999-05-18 2001-11-30 이정덕 건축용 내장 판넬 제조방법
KR20010036379A (ko) * 1999-10-08 2001-05-07 최현주 침대용 황토 보드 제작방법 및 그 물품
KR20010068856A (ko) * 2000-01-10 2001-07-23 김명옥 건축용 황토판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7703A (ko) 200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58B1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KR100844845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951322B1 (ko) 황토석파우더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없는 건물의바닥과 벽면 및 천정면 시공방법
KR100544565B1 (ko) 황토타일 제조방법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20090072338A (ko) 바닥부나 벽면에 부착되는 황토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315461B1 (ko) 건축용내장재의패널
KR20120043186A (ko) 내균열성이 우수한 황토몰탈 조성물
KR101859442B1 (ko) 친환경 황토 보드의 제조방법
KR20060070742A (ko) 황토 숯 보드의 제조 방법
KR100403198B1 (ko) 콘크리트 표면처리 및 도배용 조성물
KR200408914Y1 (ko) 숯을 이용한 건축자재
KR100972090B1 (ko) 숯을 이용한 실내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3913A (ko) 황토 판넬 보드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KR100342197B1 (ko) 난연성 결로방지용 조성물
KR200272323Y1 (ko) 건축용 황토판넬
JP5960788B2 (ja) 塗り壁材
KR100685713B1 (ko) 황토 미장방법
KR100685711B1 (ko) 황토 미장방법
JP2004100412A (ja) 室内の消臭方法及びこの消臭方法に用いられる消臭性接着剤等
KR20130012600A (ko) 백토와 천연 소재를 이용한 건강 모르타르와 건강 모르타르 패널의 제조방법
KR100854128B1 (ko) 보도용 또는 지압용 자연석을 부착한 황토블럭 및 그의제조방법
KR200380254Y1 (ko) 기능성 지류
KR20090109696A (ko) 엠보싱 부직포를 이용한 기능성 벽지 및 그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