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5067A -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5067A
KR20000025067A KR1019980041987A KR19980041987A KR20000025067A KR 20000025067 A KR20000025067 A KR 20000025067A KR 1019980041987 A KR1019980041987 A KR 1019980041987A KR 19980041987 A KR19980041987 A KR 19980041987A KR 20000025067 A KR20000025067 A KR 2000002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interior material
layer
wallboar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1253B1 (ko
Inventor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이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배 filed Critical 이상배
Priority to KR1998004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253B1/ko
Publication of KR2000002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2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burning-out added substances by burning natural expanding materials or by sublimating or melting out added substances
    • C04B38/063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8/0635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8/0645Burnable, meltable, sublimable materials
    • C04B38/068Carbonaceous materials, e.g. coal, carbon, graphite,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3Setting, e.g. drying, dehydrating or firing ceram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B28B17/026Conditioning ceram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22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Wallboard and manufacturing process having humidity control function)에 관한 것으로, 재질특성과 구성에 의한 습기의 흡,출기능과 곰팡이의 서식방지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황토에 다공성부재(숫가루, 활성탄, 나아코석분 등)를 혼합 교반하여 임의형상모양으로 압축 성형된 것으로 그 표면은 열처리에 의해 내부에 미세흡습공(30)이 구비된 열경화층(10)이 구비되고, 그 후방은 이어서 습기가 축적되는 습기축적층(20)이 형성되고, 상기 열경화층(10)과 습기축적층(20)사이에는 형유지와 파손을 방지하는 철재망판(40)을 매설할 수 있고, 내장재 사방 모서리에 설치를 위한 못구멍(50)에는 못질을 하거나 나사조임을 할 때 그 압력이 내장재에 직접 전달되어 파손을 방지하는 관체(60)를 설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내장재는 열경화층(10)에 구비된 미세흡습공(30)과 습기축적층(20)에 의해 실내습도가 높을 때에는 미세흡습공(30)을 통하여 습기축적층(20)에 습기가 흡습되어 축적되어 있다가 실내습도가 낮을 때 즉, 건조할 때는 습기축적층(20)의 축적된 습기가 미세흡습공(30)을 통하여 방출됨으로서 실내습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게 되며, 이때 황토와숫가루, 활성탄 등은 자체 살균력에 의해 곰팡이의 서식을 억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재질특성과 구성에 의한 습기의 흡,출기능과 곰팡이의 서식방지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내장재는 타일, 판재, 블록 또는 벽돌 등과 같은 내장재가 소계되고 있는데 그 재질은 목재, 철재, 석재, 도자기,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내장재 중 철재, 석재, 도자기,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은 그 특성상 견고성, 성형성, 내구성면에서는 우수하나, 습기의 흡,출성이 없어 실내의 습도조절에는 도움을 주지못하므로 별도의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었다.
목재의 경우는 습기의 흡,출성은 있으나 습기와의 접촉으로 곰팡이가 서식하여 실내공기의 오염은 물론 내장재의 부식 및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건물의 실내용 내장재는 견고성과 성형성이 양호하면서도 습기의 흡,출에 의해 실내의 습도조절기능과 습기의 흡,출과정에서 내장재에 곰팡이의 서식이 억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과 필요성에 따라 흡습성과 성형성이 감한된 황토에 미세기공의 조성을 도와주며 살균작용을 하는 숫가루를 혼합하여 압축성형 및 소성에 의해 습기의 흡,출기능과 곰팡이의 서식 억제기능을 가지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예시도.
도 2 는 도 1 중 A-A 선 확대단면도를 겸한 설치 상태 예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열경화층 20; 습기축적층
30; 미세흡습공 40; 철재망판
50; 못구멍 60; 관체
본 발명 내장재 제조방법과 내장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1 공정.
습도 10-20% 로 건조한 황토를 롤러분쇄기에서 분쇄하여 황토중에 입자가 큰 모래를 분쇄한 황토에 숫가루, 활성탄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포함된 나아코석분과 같이 연소성에 의해 다공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다공성부재를 황토체적에 대하여 10-40% 혼합 교반한다.
제 2 공정.
상기 공정에서 얻은 혼합물을 압축 성형기의 형틀에 넣고 100∼200㎏/㎠ 압력으로 가압하여 판상 또는 블록형태로 성형한다.
이때 성형물 내부에는 철재망판을 매입시켜 형유지 및 파초를 방지하며 사방 모서리에는 못구멍이 구비되도록 형성하여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제 3 공정.
상기 공정에서 성형된 성형물 표면을 600-800℃로 5∼20분동안 가열하여 표층에 혼입되어 있는 다공성부재(숫가루, 활성탄 또는 아나코석불 중의 탄산수소나트륨)가 연소되면서 생긴 미세공과 이때 가스분출로 이루어지는 미세통로를 포함하는 미세흡습공이 조성되도록 하면서 습기에 잘 견딜 수 있는 열경화층을 조성한다.
이상과 같이 만들어지는 본 발명 내장재는 황토에 다공성부재(숫가루, 활성탄, 나아코석분 등)를 혼합 교반하여 임의형상모양으로 압축 성형된 것으로 그 표면은 열처리에 의해 내부에 미세흡습공(30)이 구비된 열경화층(10)이 구비되고, 그 후방은 이어서 습기가 축적되는 습기축적층(20)이 형성된다.
본 발명 실시에 있어서 상기 열경화층(10)과 습기축적층(20)사이에는 형유지와 파손을 방지하는 철재망판(40)을 매설할 수 있고 내장재 사방 모서리에 설치를 위한 못구멍(50)에는 못질을 하거나 나사조임을 할 때 그 압력이 내장재에 직접 전달되어 파손을 방지하는 관체(60)를 설치한다.
이때 관체(60)는 철재, 비철금속,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못구멍(50)의 깊이와 같거나, 약간 긴 것을 끼워준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00은 나사못, 101은 내장재 부착골격, 102 는 건물벽의 예시이다.
본 발명 내장재는 열경화층(10)에 구비된 미세흡습공(30)과 습기축적층(20)에 의해 실내습도가 높을 때에는 미세흡습공(30)을 통하여 습기축적층(20)에 습기가 흡습되어 축적되어 있다가 실내습도가 낮을 때 즉, 건조할 때는 습기축적층(20)의 축적된 습기가 미세흡습공(30)을 통하여 방출됨으로서 실내습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게 되며, 이때 황토와숫가루, 활성탄 등은 자체 살균력에 의해 곰팡이의 서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는 표층은 열처리에 의해 강도가 강화된 열경화층(10)과 내부에 매설되는 철재망판(40)에 의해 형유지와 견고성이 우수하게 되며 파손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황토(습도 10-20%)에 숫가루, 활성탄 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포함된 석분과 같이 연소에 의해 다공성을 부여하는 다공성부재를 10-40% 혼합교반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공정에 얻은 혼합조성물을 압축성형(압력 100∼200㎏/㎠)하여 판상, 블록으로 성형하는 제 2 공정과,
    상기 공정에서 성형된 성형물 표면을 600-800℃로 5∼20분 가열하여 표층 내부에 혼입된 다공성 부재가 연소되어 미세흡습공을 조성하고 표면이 강화되도록 하는 제 3 공정의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 기능을 갖는 내장재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공정에서 혼합 조성물 압축 성형시 내부에 철재망판을 개입시켜 압축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의 제조방법.
  3. 황토와 다공성부재를 혼합 교반하여 임의 형상모양으로 압축 성형한 성형물의 표면은 열처리하여 내부에 미세흡습공(30)이 구비된 열경화층(10)이 형성되고, 그 후방은 이어서 흡기가 축적되는 습기축적층(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열경화층(10)과 습기축적층(20)사이에 형유지와 파손을 방지하는 철재망판(40)이 매입되고 못구멍(50)내에 나사조입시 조임압력이 내장재에 직접 전달됨을 방지하는 관체(6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
KR19980041987A 1998-10-08 1998-10-08 습도조절기능을갖는내장재와그제조방법 KR100301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41987A KR100301253B1 (ko) 1998-10-08 1998-10-08 습도조절기능을갖는내장재와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41987A KR100301253B1 (ko) 1998-10-08 1998-10-08 습도조절기능을갖는내장재와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5067A true KR20000025067A (ko) 2000-05-06
KR100301253B1 KR100301253B1 (ko) 2001-12-28

Family

ID=19553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80041987A KR100301253B1 (ko) 1998-10-08 1998-10-08 습도조절기능을갖는내장재와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2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65B1 (ko) * 2002-10-29 2006-01-24 이익규 황토타일 제조방법
JP2011507783A (ja) * 2007-08-28 2011-03-10 エルジー ハウシス リミテッド フォルムアルデヒド吸着性能を有する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76B1 (ko) 2006-11-10 2008-02-11 김진숙 불연성의 뿜칠재, 흡음재와 그 제조방법 및 뿜칠재를이용한 흡음벽면 시공방법
KR101094813B1 (ko) 2009-06-25 2011-12-16 안도영 해수산물 신선도 증대용 블록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65B1 (ko) * 2002-10-29 2006-01-24 이익규 황토타일 제조방법
JP2011507783A (ja) * 2007-08-28 2011-03-10 エルジー ハウシス リミテッド フォルムアルデヒド吸着性能を有するタ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8980429B2 (en) 2007-08-28 2015-03-17 Lg Hausys, Ltd. Tile for removing formaldehyd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1253B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7215B2 (ja) Mdf廃材の再利用方法及びmdf炭化物内蔵建築用パネル材
CN1962554A (zh) 多孔陶瓷及其制造方法
KR20070121147A (ko) 다기능 난연 발포폴리스티렌 폼 제조용 난연액 조성물
KR20000025067A (ko) 습도 조절기능을 갖는 내장재와 그 제조방법
KR100969308B1 (ko) 숯이 함유된 석고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석고보드
KR100760690B1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0695488B1 (ko) 재활용 소재를 이용한 건축용 숯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846304B1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KR100468083B1 (ko) 내화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 내화액을 사용한 내화재,내화건재와 내화성 접착제
HU211191B (en) Process for producing ceramic shaped-bodies
KR20070121148A (ko) 다기능 난연 발포폴리스티렌 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29636A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벽돌 및 비석, 경계석 제조방법
KR101768513B1 (ko) 천연 탄화 왕겨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KR1011408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KR19990080602A (ko)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66508B1 (ko) 폐목재를 이용한 건설재료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건설재료
KR100937777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KR1009377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KR102062047B1 (ko) 건축 내외장재 및 액자 제조에 사용되는 친환경 조성물
JP2006001794A (ja) 吸放湿性建築材料及び吸放湿性建築材料の製造方法
KR100331122B1 (ko) 황토타일 제조방법
KR100985136B1 (ko) 건축용 세라믹 성형체
KR20010105067A (ko) 건축 내장재용 다공성 판넬과 그 제조 방법
KR100479787B1 (ko) 황토판재 제조방법
KR200336938Y1 (ko) 목조주택용 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