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3913A - 황토 판넬 보드 - Google Patents

황토 판넬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3913A
KR20030073913A KR1020020013680A KR20020013680A KR20030073913A KR 20030073913 A KR20030073913 A KR 20030073913A KR 1020020013680 A KR1020020013680 A KR 1020020013680A KR 20020013680 A KR20020013680 A KR 20020013680A KR 20030073913 A KR20030073913 A KR 20030073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board
glutinous rice
mix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3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만
Original Assignee
박선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만 filed Critical 박선만
Priority to KR1020020013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3913A/ko
Publication of KR2003007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39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26Carbonates
    • C04B14/28Carbonates of cal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6Wood, e.g. sawdust, wood shav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8Poly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12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one or more layers of a layered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특허는 황토와 농촌에서 대량생산하여 버려지는 왕겨와 톱밥 생석회로 배합하여 만든 제품으로서 건축용 천장마감재, 벽면마감재, 바닥마감재로 사용이가능하며 분쇄된 왕겨와 톱밥은 황토와 혼합 되여 황토제품 내에서 습도를 조절한다.
본 개발제품은 실내가 건조할 때에는 황토제품내 왕겨와 톱밥은 수축하여 황토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게 도와주며 실내에 공기를 정화하게 하는 것이다.
본 특허 개발제품은 공해물질은 첨가하지 않고 순수식물성 쌀가루와, 감자전분과, 톱밥, 왕겨, 황토로, 혼합하여 생산된 제품으로써 본 제품을 사용후 폐기처분시 농촌에서 퇴비로 사용하거나 폐기처분 하여도 3개월이면 완전히 분해 되어 황토만 남는 특허개발품인 황토보드 제품이다.

Description

황토 판넬 보드 {Hwang to Panel Board }
현재 사용하고 있는 건축용 석고보드는 인체에 유해물질인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다고 수차례 보도된바있다. 이것을 황토 흙으로 교체하여 쾌적한 환경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개발특허는 황토보드로서 건축용 천장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환경오염이 되는 화공약품은 사용하지 않고 우리나라에 지하자원으로 무한정 매장되어 있는 광물질과 농촌에서 대량생산 하고있는 식물성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제품을 사용후 폐기처분 할 때에는 농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퇴비로 사용할수 있으며 3개월이면 완전히 분해 되어 황토 흙만 남게 되어 건축폐기물 및 쓰레기는 전혀 발생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황토보드 관한 것으로 건축용 천장 마감재와,벽면마감재로서, 황토의 무게를 가볍게 개발하여 건축용 천장재로 사용할 수 있게 관한 것이다.
황토 흙은 무게가 무거워 건축용 천장재로 사용하기가 어려웠었다.
본 황토(1) 발명품은 황토(1)과 분쇄왕겨(2)를 배합하여 무게가 가볍고 찹쌀분말풀(5)을혼합하여 질기고 단단하며 탄력이 있어 건축용 내장마감재로서 황토보드용으로 못을박아도 깨지지 않으며 찹쌀분말 풀(5)의 점성에 의해 제품건조시 황토(1)발명품을 손으로 만져도 분진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서 건축용 실내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벽지종이를 붙혀도 떨어지지 않는 것이 본 발명품에 개발인 것이다.
기존 황토(1)은 건조시 잔금이 발생되며 황토(1)에서 분진이 발생되며 벽지를 붙혀도 벽지가 잘 붙지 않는 것이 단점 이었다 또한 건축용 못을 박으면 황토(1)이 충격에 의해 분쇄 되여 작업하기가 어려웠다 황토(1)은 무게가 무거워 건축용 자재로 사용하기 어려웠던 것이 단점인 것이다
기존 석고보드는 발암물질이 함유 되어 있어 인체에 유해물질이 발생되고 있고 또한 석고보드 폐기처분시 쓰레기가 발생되어 환경오염이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품은 이모든 단점을 보안하여 개발하였으며 본 발명 황토제품을 폐기처분시에 농촌에서 퇴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 본 개발에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황토보드 제품 내에서 왕겨(2)와 톱밥(3)을 찹쌀분말풀(5)로 배합되어 압착 되었으므로 찹쌀분말풀(5)는 건조시에나 습도가 크게 있을 때에도 점성은 그대로 유지되며 왕겨(2)와 톱밥(3)은 건조시에는 섬유질에서 수축이 되며 습도가 많을 때에는 팽창되어 자동적으로 공기를 흡수하고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실내에 공기를 정화기능 및 황토 흙에서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자동 방출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품은 황토(1)과 찹쌀분말풀(5)와 감자전분풀(7)이 폐지(8)종이를 혼합하여 배합함으로서 황토(1)를 접착재로 사용할 수 있어 발명품 제품 설명한 도면 5도에서 (1)과같이 제품외부에 접착을 시켜 줌으로서 제품 황토보드 외부에 강도를 더해준다 따라서 벽지나 종이를 부착시키거나 붙혀도 떨어지지 않는 것이 본 발명에 황토판넬 보드 제품인 것이다.
도 1 은 황토흙 정재과정 설명한 간단한 도면
도 2 은 본 제품의 재료을 배합과정 설명한 간단한 도면
도 3 은 황토 접착제 재료를 배합과정 설명한 간단한 도면
도 4 은 본 제품의 혼합된 원료를 설명한 간단한 도면
도 5 은 본 제품의 생산과정 설명한 간단한 도면
도 6 은 본 특허개발제품 압축공정 설명한 간단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설명한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황토 2 : 분쇄왕겨 3 : 톱밥 5 : 찹쌀분말 풀
6 : 소금 7 : 감자전분 풀 8 : 폐지 9 : 물
15 : 배합원료 13 : 접착원료 33 : 생석회 32 : 분쇄한볏집
본 발명은 도면1에서 황토(1)를 정재과정을 나열한 것과 같이 A쪽 용기(17)에서와 같이 물(9)과 황토(1-1)를 배합하여 고운 미세 가루가 발생할 때 까지 수시간 분쇄시킨다
도면 1 도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B쪽에서 분쇄시킨 황토(1-1)를 수시간 동안 그대로두면 왕사(12)는 아래쪽으로 가라않고 황토분말(1)은 왕사(12) 위에 가라 않는 것이 미세한 황토분말(1)인 것이며 황토분말(1)위에는 물(9)가 발생되는데 물(9)을 버린후 C쪽 용기(17)에 미세한 황토분말(1)만 따로 분리하여 저장하게 되는데 이것이 정재시킨 미세한 황토분말(1)인 것이다
도면 2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황토(1)분말은 물 속내에서 점성을 이루고있지만 건조 시에는 점성은 없고 충격에도 잘 깨지는 것이 단점 이였다. 이것을 보안하여 찹쌀분말풀(5)을 첨가하고 감자전분풀(7)을 혼합하면 황토(1)은 건조 시에도 점성이 크게 되며 이 때 물(9)와 분쇄왕겨(2)와 분쇄한볏집(32)를 톱밥(3)과 폐지(8)를 분쇄하여 함께 황토(1)과 배합을 한다.
이 때 변색을 막기 위해 소금(6)염분을 합께 첩가 하며 수분에 의해 열을 방출하며 황토의 강도가 시간이 흐를수록 강하게 하기 위해 생석회(31)를 미량 혼합한다.
혼합된 배합원료(15)를 도 2 면에 도시된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 데로 F용기에서 배합을 하여 혼합한다.
이것이 황토보드 배합원료(15)이다.
혼합된 배합원료(15)는 도 4 면과 F용기에 저장한다.
도3면에서 도시된바 와 같이 E 쪽 화살표 방향대로 정재된 황토(1)분말과 찹쌀분말풀(5) 감자전분풀(7)을 혼합하여 폐지(8)를 미세하게 분세하여 폐지(8)에 섬유질이 황토(1)분말과 엉기도록 혼합을 한다. 이때 변색을 막기 위해 소금(6)염분을 함께 첨가한다 이것이 황토 접착원료(13)인 것이고 도면 4 도에서 E용기 접착원료(13)을 저장한다 .
이것이 본 발명의 황토보드 제품 외면에 접착원료인 것이다.
도면 4도에서 F용기에 배합원료(15)를 도면 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합원료(15)을 본 발명품 황토보드 내부에 나열하고 발명품 황토보드 외부에 접착원료(13)을 접착한다
본 발명품은 황토보드 내부에 배합원료(15)가 삽입되고 황토보드 외부에 접착원료(13)가 접착 되여 배합원료(15)를 밀착 밀봉하게 된다.
도 6 면에서 도시 된바와 같이 K 압축장치에 본 발명품인 황토보드를 나열한 것과 같이 황토보드를 압축하면 단단하고 질긴 본 발명품 황토보드의 완제품인 것이다.
현대 건축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시멘트는 우리 인체에 유해한 알칼리성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본 발명품인 황토보드는 이러한 유해물질을 탈피하고 알칼리성 시멘트 문화를 중화시키며 우리 전통의 난방 시스템인 온돌의 특성을 재현할수 있으며, 방바닥, 및 천장마감재, 벽면마감재로 사용시 실내가 전체적으로 따뜻하고 습기가 차지 않으며, 탁월한 흡착력으로 냄새를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성으로 곰팡이등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우리의 주거환경에 적합하고 쾌적한 생활공간을 제공합니다.
또한 본 발명품 황토보드 제품은 폐기 처분시 농촌에 농업용 퇴비로 사용할수있어 공해물질은 발생되지 않아 일석이조의 효과를 발생하는 본 발명에 황토보드인것이다.

Claims (4)

  1. 도면 2도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황토(1)과 분쇄왕겨(2)와 톱밥(3)을 찹쌀분말풀(5)과 소금(6) 감자전분풀(7) 폐지(8) 생석회(31)를 혼합하여 배합원료(15)를 압축하여 제품을 생산한 본 발명품인 황토판넬보드 것이다.
  2. 분쇄한볏집(32)을 배합원료(15)에 혼합한 황토판넬보드
  3. 황토(1)분말과 찹쌀분말풀(5) 감자전분풀(7)을 혼합하여 폐지(8)를 미세하게 분쇄하여 폐지(8)의 섬유질이 황토(1)분말과 엉기도록 혼합하며.변색을 막기 위해 소금(6)을 첨가한 황토 접착원료(13)인것이다.
  4. 배합원료(15)를 압착하여 판넬로 제작생산을 하되 크게 제작을 하면 황토판넬이며 작게 제작 생산을 하면 본발명의 황토보드 인 것이다.
KR1020020013680A 2002-03-13 2002-03-13 황토 판넬 보드 KR20030073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80A KR20030073913A (ko) 2002-03-13 2002-03-13 황토 판넬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3680A KR20030073913A (ko) 2002-03-13 2002-03-13 황토 판넬 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3913A true KR20030073913A (ko) 2003-09-19

Family

ID=3222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3680A KR20030073913A (ko) 2002-03-13 2002-03-13 황토 판넬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391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384B1 (ko) * 2002-05-13 2005-08-09 손삼수 온돌용 바닥재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7385B1 (ko) * 2002-05-13 2005-08-17 손삼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KR200459096Y1 (ko) * 2009-12-18 2012-03-15 변종민 왕겨가 내장된 다용도 보드
KR101312864B1 (ko) * 2011-11-10 2013-09-30 한천석 건축용 미장재
KR200486240Y1 (ko) * 2017-08-25 2018-04-19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CN110746142A (zh) * 2019-10-11 2020-02-04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古旧砌体修复的纤维增强型灰浆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18A (ko) * 1998-06-29 2000-01-15 양승용 황토등을 소재로한 간이 칸막이용 패널 제조방법
KR20000017930A (ko) * 1999-12-29 2000-04-06 이찬숙 산업폐기물 오니(펄프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용 황토 몰탈제조 방법
KR200189740Y1 (ko) * 2000-02-26 2000-07-15 권용인 황토 판재
KR20000066902A (ko) * 1999-04-21 2000-11-15 이경호 흙벽돌
KR20010007954A (ko) * 2000-10-28 2001-02-05 전창국 흙벽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518A (ko) * 1998-06-29 2000-01-15 양승용 황토등을 소재로한 간이 칸막이용 패널 제조방법
KR20000066902A (ko) * 1999-04-21 2000-11-15 이경호 흙벽돌
KR20000017930A (ko) * 1999-12-29 2000-04-06 이찬숙 산업폐기물 오니(펄프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용 황토 몰탈제조 방법
KR200189740Y1 (ko) * 2000-02-26 2000-07-15 권용인 황토 판재
KR20010007954A (ko) * 2000-10-28 2001-02-05 전창국 흙벽돌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384B1 (ko) * 2002-05-13 2005-08-09 손삼수 온돌용 바닥재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507385B1 (ko) * 2002-05-13 2005-08-17 손삼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KR200459096Y1 (ko) * 2009-12-18 2012-03-15 변종민 왕겨가 내장된 다용도 보드
KR101312864B1 (ko) * 2011-11-10 2013-09-30 한천석 건축용 미장재
KR200486240Y1 (ko) * 2017-08-25 2018-04-19 우일종합건설주식회사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황토패널의 제조장치
CN110746142A (zh) * 2019-10-11 2020-02-04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古旧砌体修复的纤维增强型灰浆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105789B1 (ro) Inlocuitor de lemn, procedeu de obtinere si utilizare a acesteia
KR20000036357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12864B1 (ko) 건축용 미장재
CN101293371A (zh) 环保防火植物纤维密度板的生产方法
KR20030073913A (ko) 황토 판넬 보드
CN1218818C (zh) 利用草木粉碎物和粘土的板材和板材组合物及其制造方法
KR20000018032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10011101B2 (en) Biomass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20110075338A (ko) 불연성 보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JP2007039674A (ja) 成形用材
CA2178572A1 (en) Compound for treating animal excrement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20010007860A (ko) 자연소재 건축자재
KR100907151B1 (ko) 황토 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20050088962A (ko) 황토를 이용한 방수 분말 제조방법
KR100479787B1 (ko) 황토판재 제조방법
KR200234846Y1 (ko) 황토보드
ITMI970710A1 (it) Materiale assorbente vegetale utile come lettiera in campo zootecnico
KR102581879B1 (ko) 패각과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110204290A (zh) 除甲醛植物蛋白胶砂浆
KR100342197B1 (ko) 난연성 결로방지용 조성물
KR100577676B1 (ko) 향목재와 황토로 되는 벽보드
KR100821961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55186B1 (ko) 건축용 황토판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6568B1 (ko)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