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385B1 -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385B1
KR100507385B1 KR10-2002-0026211A KR20020026211A KR100507385B1 KR 100507385 B1 KR100507385 B1 KR 100507385B1 KR 20020026211 A KR20020026211 A KR 20020026211A KR 100507385 B1 KR100507385 B1 KR 100507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flooring material
protrusion
ondo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555A (ko
Inventor
손삼수
권지현
윤채규
Original Assignee
손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삼수 filed Critical 손삼수
Priority to KR10-2002-002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385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시멘트 대신 실내공간의 습도조절기능과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가장 적합한 쾌적도를 얻고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수의 바닥재의 각각은 한 쌍의 긴 변과 짧은 변을 각각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2∼3㎜의 단위로 파쇄된 왕겨 50∼65중량%, 2∼3㎜의 단위로 파쇄된 폐지 5∼20중량%, 3㎜ 이내의 입자로 이루어진 황토 12∼15중량%, 2∼3㎜의 단위로 파쇄된 폐합성수지 15∼18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180℃∼220℃로 가열 용해시켜 이루어지며, 바닥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하나의 긴 변과 짧은 변에서 바깥쪽으로 각각 돌출 하는 제1 및 제2의 돌출부와 바닥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다른 하나의 긴 변과 짧은 변에서 안쪽으로 각각 들어가는 제1 및 제2의 오목부가 마련되고, 바닥재의 상면, 하면, 제1 및 제2의 돌출부와 제1 및 제2의 오목부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온돌 바닥의 시공이 매우 용이하게 되며, 또한 황토에서의 원적외선의 방사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The board of the floor for a hot-floored room}
본 발명은 온돌 바닥이나 온돌 보료 등에 사용되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멘트 대신 실내공간의 습도조절기능과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 내장재의 가구재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자재들의 대부분은 폐합성수지를 재생한 재활용품이 아니라 신품인 합성수지를 용융하여 압축성형 하거나 사출 성형함으로서 제조된 것이다. 또한 재활용품이라 하여도 폐합성수지만으로 재생한 것이 아니라 폐합성수지에 상당량의 신품인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생산하는 것으로 재활용의 의미가 별로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건축 내장재와 가구재용 플라스틱 자재들은 신품인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므로 자원을 낭비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선진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그 사용범위가 억제 및 축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합성수지의 혼합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각종 유해 물질이 발생되고 사용자의 건강 및 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며 그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재로서 원적외선 효과를 얻기 위해 세라믹 타일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라믹 타일은 표면기공이 작아 습도조절능력이 없으므로 습도가 높은 실내에서는 타일유약 표면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벽면에 곰팡이가 생기게 되어 인체의 호흡기에 질환을 일으키는 등 불결한 실내 환경의 주요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시공을 하기 위해 먼저 시멘트를 투입한 후 타일을 부착시키므로 시공이 번잡하고, 시멘트와 타일의 무게에 의해 하중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가습기 등을 이용하여 실내의 습도를 높이게 되는데, 이 경우 실내 공기 중에 날아다니는 먼지 등이 가습기의 노즐 주변에 누적 부착되어 오히려 실내 공기를 혼탁하게 만들게 되므로 인체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황토를 온돌 바닥면에 시공할 경우 단열, 열량보존 효과에 의한 자체 온도 조절능력이 뛰어나고 원적외선을 방출해 각종 해독 효과 및 방취, 방균과 습도조절기능이 뛰어나 인체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진 이후, 황토에 대한 응용분야는 공범위한 범위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실내 건축재료의 이용부분 중 방바닥 시공용으로 황토성분과 한약재 그리고 여러 가지 보강재를 혼합하여 시공용 원료로 사용하거나 열, 압력에 의해 소성시킨 후 매트형식으로 하여 조립 시공하거나 또는 시공시 시멘트 대용으로 온돌 바닥 모르타르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일반적으로 원적외선 복사체로서 요구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그 물질에 대한 복사특성이다. 거의 모든 물질과 물체는 5∼20㎛파장영역에서는 강한 적외선 흡수 파장대를 나타내고 있고, 실제 실생활에 원적외선을 이용함에 있어서도 복사체의 복사특성과 피사체의 흡수파장대를 상호간 일치시켜야 가장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전파장 영역에 걸쳐 높은 복사율을 나타내는 실내장식 건축소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각종 재료에 있어서 원적외선 복사특성은 원료의 성상, 표면상태, 입자의 크기 등에 따라 동일 측정조건에서도 각각 다르게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폐합성수지 등에 왕겨를 사용하여 고강도 복합판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즉, 폴리올레핀 수지에 충진재로 섬유질 목분, 펄프, 종이, 왕겨 등을 사용한 벽체, 창틀재 및 건자재 등의 판상 제품이나 그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상기 섬유질 목분, 펄프, 종이 등을 충진재로 사용하여 판상제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성형시 혼합성이 떨어지고 흡습성이 커서 성형체가 장시간 수분이 노출될 경우 물성저하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혼합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물성보강의 목적으로 충진재로서 왕겨를 사용한 판재가 개발된 바 있다.
왕겨는 화본과 식물종자의 외피로서 흔한 합성수지 충진재 중의 하나이지만, 목재와 비슷한 조성을 갖고 있으며 약산 및 약염기 등에 의해 쉽게 분해되거나 용출 되는 리그닌이 20%이상 함유되어 있고, 열에 매우 취약하여 성형가공 중에 쉽게 변색되고, 바인더수지를 사용한 판재를 제조할 경우 판재의 결합력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시도되었는데 그 예로서 열 안정제 또는 산화 방지제를 투입하여 내열성을 보강하거나 충진재, 유리섬유, 목모, 목분 및 폐플라스틱 등을 첨가하는 방법 등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 역시 제품 색상의 변화나 성형성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으나, 수지의 결합력 증대로까지 이어지지는 못하여 강도 향상에는 효과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비용이 과다하여 실용화되지는 못했으며, 열대우림목 수준의 높은 고강도와 복원력의 제품은 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왕겨는 다량이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단지 함유의 경우뿐만 아니라 결합수로 작용하고 있어 단순한 온도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아 단순히 발포제를 사용하여 성형할 경우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와 같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 나라 및 동양권에서 많이 발생되어 대부분이 소각 및 방치되고 있는 우리 주위의 가장 흔한 부산물인 왕겨를 이용하여 제품을 만들고자 하는 선행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물성향상을 위한 접근방법이 너무 까다롭거나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대부분 고부가가치의 제품을 창출해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01-35535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건축 내장재와 가구재를 구성하는 기능성 플라스틱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합성수지 분말 47중량%와 옥분말 10중량%와 황토분말 5중량%와 맥반석분말 10중량%와 동분말 5중량%와 숯분말 7중량%와 폐목재분말 15중량%와 안정제 1중량%를 혼합하여 150∼300℃의 온도로 용융하고 플라스틱을 성형하는 구조에 대해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제안된 기술은 수맥 등을 차단하기 위해 동분말, 옥분말 등을 사용하므로,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고가로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황토를 함유한 조립식 바닥재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1998-24931호에 개시된 기술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바닥재 부재(10)와 이 단위부재(10)를 상호 연결해 주는 T형상의 연결부재(20)로 구성되며, 각 단위부재(10)는 최상단의 원목 또는 압축 종이 등으로 된 표피층, 표피층의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일정 두께의 황토층, 이 황토층 내부에 설치되어 황토입자의 부스러짐을 방지하는 보강망 및 황토층 하부에 부착되어 황토층을 둘러싸는 동판층으로 이루어지며, 단위부재(10)를 연결부재(20)에 의하여 짜 맞추도록 되는 구조이다.
즉, 콘크리트 바닥층 C의 상부에 압축된 단열층 D를 깔고, 이 단열층 D에 연결용 홈(d)(d')를 거쳐 난방관 E가 배치되고, 그 위에 단위부재(10)가 연결부재(20)에 짜 맞춰진 후 단위부재(10)사이에 마감테이프T를 붙이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황토층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망을 마련해야하므로, 단위부재의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단위 부재(1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T형상의 연결부재(20)가 마련되어야 하고, 이 연결부재(20)에 단위부재(10)를 결합시켜야 하므로, 시공 과정이 번잡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공을 위한 바닥재의 조립이 용이하고, 주거 공간에 있어서 인체에 가장 적합한 쾌적도를 얻고 원적외선 방사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자재를 완전 활용하여 환경친화성이 우수하고, 바닥재의 보온 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는 온돌용 바닥을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수의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바닥재의 각각은 한 쌍의 긴 변과 짧은 변을 각각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2∼3㎜의 단위로 파쇄된 왕겨 50∼65중량%, 2∼3㎜의 단위로 파쇄된 폐지 5∼20중량%, 3㎜ 이내의 입자로 이루어진 황토 12∼15중량%, 2∼3㎜의 단위로 파쇄된 폐합성수지 15∼18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180℃∼220℃로 가열 용해시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하나의 긴 변과 짧은 변에서 바깥쪽으로 각각 돌출 하는 제1 및 제2의 돌출부와 상기 바닥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다른 하나의 긴 변과 짧은 변에서 안쪽으로 각각 들어가는 제1 및 제2의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재의 상면, 하면, 제1 및 제2의 돌출부와 제1 및 제2의 오목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폐합성수지는 경질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제1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2의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제2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바닥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제1의 돌출부와 제2의 돌출부의 연결부분과 상기 제1의 돌출부 및 제2의 돌출부 각 단부에 테이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바닥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A-B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의 B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의 C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바닥재의 제조 과정을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왕겨를 완전 건조시키고 2∼3㎜의 단위로 파쇄시켜 마련해 둔다, 또, 건조된 폐지도 2∼3㎜의 단위로 파쇄시켜 별도로 마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2∼3㎜의 단위라는 것을 가로, 세로 및 높이의 각각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 폐기물로 처리되는 폐합성수지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다. 이렇게 건조된 폐합성수지를 2∼3㎜의 단위로 파쇄하여 별도로 마련해 둔다(스텝 S10).
다음에 메쉬망을 통해 황토 입자가 3㎜ 이내인 것만 걸러내서 별도로 마련해 둔다(스텝 S11).
상기 스텝 S10과 스텝 S11의 각각의 공정에서 마련된 왕겨를 50∼65중량%, 폐지를 5∼20중량%, 황토를 12∼15중량%, 폐합성수지를 15∼18중량%의 비율로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시킨다(스텝 S12).
다음에 스텝 S12의 공정에서 혼합된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180℃∼220℃로 가열하여 폐합성수지를 용해시킨다(스텝 S13). 본 발명에 있어서 가열 온도를 180℃∼220℃의 범위로 한정시키는 이유는 용해 온도가 180℃ 미만이면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용해가 부분적으로 일어나 각 혼합물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220℃ 이상으로 되면 혼합물에 포함된 폐합성수지, 폐지 또는 왕겨에 열화현상이 일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가열 공정에서 용해된 혼합물을 안정화하고 성형시 혼합된 재료들 사이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안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용해된 조성물을 금형에 투입하고 300톤의 압력을 구비한 유압프레스로 압축시킨다(스텝 S14). 그 후 압축된 조성물을 금형에서 이형 시켜 상온에서 냉각(스텝 S15)시키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조립식 바닥재(120)가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제조된 조립식 바닥재(120)의 구조에 대해 도 3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130)은 바닥재(120)의 상면이고, (140)은 바닥재(120)의 하면이며, (150)은 상면(130)과 하면(140)의 사이에서 외부 측으로 돌출한 바닥재(120)의 돌출면이다. 이 바닥재의 상면(130), 하면(140) 및 돌출면(150)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금형에 의해 일체로 마련된다.
또, 도 3에 있어서, (151)은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재(120)의 긴 변(도 3에 있어서 A측)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한 제1의 돌출부이고, (152)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재(120)의 짧은 변(도 3에 있어서 D측)에 있어서 외부로 돌출한 제2의 돌출부이며, (153)은 제1의 돌출부(151)와 제2의 돌출부(152)의 연결부분에 마련된 테이퍼부이다. 페이퍼부(153)는 제1의 돌출부(151)와 제2의 돌출부(152)의 연결부뿐만 아니라 제1의 돌출부(151)와 제2의 돌출부(152)의 각 단부에도 마련된다.
또한, 제1의 돌출부(151)와 제2의 돌출부(152)도 상술한 바와 같은 금형에 의해 일체로 마련된다.
또,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154)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재(120)의 긴 변(도 3의 B측)에 있어서 상면(130)과 하면(140)사이에 마련된 제1의 오목부이고, (154)는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재(120)의 짧은 변(도 3에 있어서 C측)에 있어서 상면(130)과 하면(140)사이에 마련된 제2의 오목부이다. 이 제1의 오목부(154)의 깊이는 제1의 돌출부(151)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깊고, 제2의 오목부(155)의 깊이는 제2의 돌출부(152)의 돌출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깊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 3,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및 제2의 돌출부(151, 152), 테이퍼부(153)와 제1 및 제2의 오목부(154, 155)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시공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20)의 조립을 위한 시공시, 첫 번째의 바닥재의 제1의 돌출부(151)를 긴 변 방향으로 두 번째의 바닥재의 제1의 오목부(154)에 삽입하고, 첫 번째의 바닥재의 제2의 돌출부(152)를 짧은 변 방향으로 세 번째의 바닥재의 제2의 오목부(155)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돌출부(151, 152)의 연결부 및 각 단부에 테이퍼부(153)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의 돌출부(151, 152)를 제1 및 제2의 오목부에 삽입할 때, 바닥재(120)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20)의 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합성수지(121)의 용융에 의해 폐합성수지(121)의 사이사이에 왕겨(122), 폐지(123) 및 황토(124)가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닥재(120)의 재료인 폐합성수지로서 폐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폐경질 폴리에틸렌(PE), 폐폴리프로필렌(PP), 폐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폐폴리스틸렌(PS), 폐폴리우레탄(PU) 또는 ABS 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폐경질 폴리에틸렌(PE) 또는 폐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다.
또한, 폐경질 폴리에틸렌(PE) 또는 폐폴리프로필렌(PP) 수지 대신에 신품의 합성수지 분말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왕겨, 폐지, 폐합성수지를 각각 2∼3㎜의 단위로 파쇄시켜 사용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동일 파쇄기에 의해 동일 크기로 파쇄시켜 사용하는 것이 제조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바닥재의 표면에 천연 무늬목이나 표면 보호지를 코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의하면, 온돌용 바닥재의 시공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온돌바닥에서 올라오는 열에 의해 황토에서의 원적외선의 방사를 극대화하며, 외부의 온도와 온돌파이프 내에 충만된 물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습기를 흡수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의하면, 폐지 및 폐합성수지를 활용하여 바닥재를 조성하므로, 자원을 절약할 수 있어 환경친화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에 의하면, 파쇄시킨 왕겨 및 황토를 이용하므로 바닥재의 외관에 자연미를 부가할 수 있으므로, 완성된 바닥재의 외관이 수려하게 되고 보온 및 보냉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돌용 바닥재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A-B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의 B측에서 본 측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의 C측에서 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 바닥재 121 … 폐합성수지
122 … 왕겨 123 … 폐지
124 … 황토 130 … 바닥재의 상면
140 … 바닥재의 하면 150 … 바닥재의 돌출면
151, 152 … 제1 및 제2의 돌출부 153 … 테이퍼부
154, 155 … 제1 및 제2의 오목부

Claims (4)

  1. 온돌용 바닥을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수의 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바닥재의 각각은 한 쌍의 긴 변과 짧은 변을 각각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고, 2∼3㎜의 단위로 파쇄된 왕겨 50∼65중량%, 2∼3㎜의 단위로 파쇄된 폐지 5∼20중량%, 3㎜ 이내의 입자로 이루어진 황토 12∼15중량%, 2∼3㎜의 단위로 파쇄된 폐합성수지 15∼18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압출기에서 180℃∼220℃로 가열 용해시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하나의 긴 변과 짧은 변에서 바깥쪽으로 각각 돌출 하는 제1 및 제2의 돌출부와 상기 바닥재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다른 하나의 긴 변과 짧은 변에서 안쪽으로 각각 들어가는 제1 및 제2의 오목부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재의 상면, 하면, 제1 및 제2의 돌출부와 제1 및 제2의 오목부는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합성수지는 경질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제1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이상이고, 상기 제2의 오목부의 깊이는 상기 제2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바닥재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상기 제1의 돌출부와 제2의 돌출부의 연결 부분과 상기 제1의 돌출부 및 제2의 돌출부 각 단부에 테이퍼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KR10-2002-0026211A 2002-05-13 2002-05-13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KR100507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11A KR100507385B1 (ko) 2002-05-13 2002-05-13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211A KR100507385B1 (ko) 2002-05-13 2002-05-13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555A KR20030088555A (ko) 2003-11-20
KR100507385B1 true KR100507385B1 (ko) 2005-08-17

Family

ID=3238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211A KR100507385B1 (ko) 2002-05-13 2002-05-13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8191B2 (en) * 2005-12-29 2008-12-02 Tru Woods Limited Floor tile
WO2009157597A1 (en) * 2008-06-24 2009-12-30 Kwang Chae Ko An assembly type panel for floor and a manufacturing method
KR101538831B1 (ko) * 2012-09-03 2015-07-24 장기운 통풍구조가 구비된 황토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88A (ko) * 1999-06-08 2001-01-05 강달원 흡음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035535A (ko) * 2001-02-27 2001-05-07 홍기범 기능성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KR200222609Y1 (ko) * 2000-06-08 2001-05-15 강영주 황토타일과 구조
KR20010099082A (ko) * 2001-08-27 2001-11-09 이상우 황토 미장재
KR20020052154A (ko) * 2002-05-10 2002-07-02 한종수 건강주택을 위한 황토패널 제조 및 황토바닥과 천장, 벽의시공방법
KR20030073913A (ko) * 2002-03-13 2003-09-19 박선만 황토 판넬 보드
KR20030084122A (ko) * 2002-04-25 2003-11-01 민흥규 황토와 왕겨 및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한 합판 및 그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688A (ko) * 1999-06-08 2001-01-05 강달원 흡음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22609Y1 (ko) * 2000-06-08 2001-05-15 강영주 황토타일과 구조
KR20010035535A (ko) * 2001-02-27 2001-05-07 홍기범 기능성 플라스틱의 제조 방법
KR20010099082A (ko) * 2001-08-27 2001-11-09 이상우 황토 미장재
KR20030073913A (ko) * 2002-03-13 2003-09-19 박선만 황토 판넬 보드
KR20030084122A (ko) * 2002-04-25 2003-11-01 민흥규 황토와 왕겨 및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한 합판 및 그제조장치
KR20020052154A (ko) * 2002-05-10 2002-07-02 한종수 건강주택을 위한 황토패널 제조 및 황토바닥과 천장, 벽의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555A (ko) 200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736B1 (ko) 다공성 건축자재 및 제조방법
KR100507385B1 (ko)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KR20110099468A (ko)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507384B1 (ko) 온돌용 바닥재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846304B1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KR102147815B1 (ko) 내구성과 지지강도가 향상된 친환경 합성 목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2668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372149B1 (ko) 흙벽돌의 제조방법 및 동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흙벽돌
KR100758736B1 (ko) 천매암 분말을 함유한 합성수지 조성물 및 패널과 이의제조방법
KR101214079B1 (ko) 난방배관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금형
DE10229984A1 (de) Saunaelemente mit einer Kernschicht aus Polypropylen-Schaumstoff
KR102142575B1 (ko)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KR101688782B1 (ko) 조립식 황토벽돌과 그 제조방법
KR100663173B1 (ko) 탄소마루판의 제조방법 및 탄소마루판
KR100948942B1 (ko) 황토 패널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및 그 마감 구조물
KR200373630Y1 (ko) 발포폴리스티렌을 이용한 건축물바닥재
KR200439412Y1 (ko) 조립식 목재블록
KR200308520Y1 (ko)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KR102342964B1 (ko)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KR100408920B1 (ko) 건축물의 황토 복합 통기패널 구조물
KR100682471B1 (ko) 마감 판재
KR100598868B1 (ko) 고강도 황토판넬, 그 제조방법 및 그 판넬을 이용한건축자재.
KR200373631Y1 (ko) 발포폴리스티렌을 이용한 마루바닥재
KR100937026B1 (ko) 황토보드 및 이를 이용한 황토구들침대
KR20190139370A (ko) 난연성 세라믹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