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575B1 -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 Google Patents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575B1
KR102142575B1 KR1020200054061A KR20200054061A KR102142575B1 KR 102142575 B1 KR102142575 B1 KR 102142575B1 KR 1020200054061 A KR1020200054061 A KR 1020200054061A KR 20200054061 A KR20200054061 A KR 20200054061A KR 102142575 B1 KR102142575 B1 KR 102142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ynthetic wood
tensile strength
flame retardancy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기령
권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임성
권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임성, 권숙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임성
Priority to KR102020005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5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4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16In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27M3/0066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or tap hol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9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raised panels, i.e. panels having a profil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06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ctro-positively bound hydrogen, e.g. water, acids, bases, ammonia, with inorganic reduc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8Shale, s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4Minerals of vulcanic origin
    • C04B14/18Per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4Heat treatment
    • C04B20/06Expanding clay, perlite, vermiculite or like gran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23Polyvinylalcohols; Polyvinylacet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2Polyurethanes;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87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C09K21/04In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01C11/265Embedd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20Removing fungi, molds or ins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30Fireproof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27Silicates other than clay, e.g. water glass
    • C04B2235/3463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mullite
    • C04B2235/3472Alkali metal 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spodumene, alkali feldspars such as albite or orthoclase, micas such as muscovite, zeolites such as natr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27Silicates other than clay, e.g. water glass
    • C04B2235/3463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mullite
    • C04B2235/3481Alkaline earth metal alumino-silicates other than clay, e.g. cordierite, beryl, micas such as margarite, plagioclase feldspars such as anorthite, zeolites such as chabaz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5/00, C10M2209/00, C10M2213/00, C10M2217/00, C10M2221/00 or C10M2225/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9/02Unspecified siloxanes; Silic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 보강심재; 및 내부의 공간부에 상기 보강심재가 인서트된 합성목재 바디; 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난연성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가 향상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Wood Plas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Flame Retardant}
본 발명은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연성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합성목재(WPC : wood plastic composites)는 목재섬유(목분)와 열가소성 고분자(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등)를 혼합, 개개의 목재섬유가 용융된 고분자에 의해 완전히 캡슐화된 상태로 최종 압출 혹은 사출하여 성형된 재료를 말한다.
선진국의 경우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점, 그리고 우리 일상생활에 필요한 의식주와 관련된 제품들이 나오는 사례들을 볼 때 합성목재의 사용은 플라스틱만을 사용한 제품이나, 나무만을 사용한 제품보다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목분에 플라스틱이 용융 침투하여 치밀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더 강한 물성을 가지게 하고, 플라스틱이 물 흡수 및 곰팡이와 곤충의 공격으로부터 강한 점과, 재활용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여러 가지 모양과 색상을 낼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바닥재, 창틀과 문틀, 방음벽, 울타리, 자동차 내장재, 식기용품, 핸드폰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목재에 비하여 제품의 무게, 미학, 수명 등의 많은 이점으로 여러 분야에 쓰이고, 특히 경제성이 있는 생산과 가공이라는 이유로 우리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합성목재는 목재와 플라스틱의 단점을 보완한 소재이다. 즉 내수, 내습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습기에 의한 팽창, 수축 및 뒤틀림이 없다. 또한 포름알데히드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 volatile organic compound) 방산이 거의 없어 친환경적이며 별도의 방부처리 없이도 내후성과 내충성이 우수하여 외장재로서는 가장 이상적인 소재이며, 생산된 품목은 바닥재, 난간재, 자동차 내장재, 외장 마감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합성목재 산업은 이미 일부 용도에서 천연목재의 점유율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다. 1990년대 초 북미에서 유행하였고, 21세기에는 인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중국, 일본 등 점차 확산되고 있다. 또한, 향후 10년 동안 유럽에서는 건축과 인프라 구축, 자동차, 가구 등에 더욱 적용될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방부 목재를 포함한 건축 외장 재료와 비교하여 색상, 내구성, 친환경성 등의 여러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친수성이 있는 목분과 햇빛에 취약한 수지를 주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옥외 환경에서 수분이나 자외선, 온도 변화 등의 환경적 영향에 따른 변색이나 뒤틀림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되고 있고, 목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난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153834호(2012.06.07.)에는 목분에 나노복합수지 및 난연제를 첨가하여, 난연성을 향상시킨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14446호(2013.10.07.)에는 목분을 포함하는 합성목재에 팽창성 흑연을 첨가하거나, 공압출 공법을 이용함으로써, 발화시 차르(Char) 보호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합성목재의 난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팽창성 흑연을 포함하여 우수한 난연성능을 갖는 합성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0938호(2014.02.21.)에는 목분 및 합성수지가 혼합된 합성목재 조성물에 플라이 애시(Fly ash)을 포함시킴으로써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피톤치드가 함유된 편백나무 목분이 포함될 수 있어, 항균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사람에게 이로운 물질을 발산하는 효과를 갖는 우수한 난연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친환경 합성목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16517호(2014.07.09.)에는 외부 온도에 따른 길이 변화가 적으면서 충격이나 마모에 의해 잘 깨지지 않고 우수한 난연성을 갖는,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고강도 난연성 합성목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50764호(2014.10.17.)에는 내수성, 충격강도, 휨강도의 물성성능이 강화되고, 미끄럼 방지 효과 및 난연 성능이 개선된, 미끄럼 방지 및 물성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난연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지만, 인장강도가 미흡한 단점이 있다.
KR 10-1153834 B1 2012.06.07. KR 10-1314446 B1 2013.10.07. KR 10-1360938 B1 2014.02.21. KR 10-1416517 B1 2014.07.09. KR 10-1450764 B1 2014.10.17.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난연성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목재의 상면 좌우 대칭 또는 상하면의 대각선 대칭으로 취성을 보강하도록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심재를 삽입 설치하여 목재의 인장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좋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목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강심재의 내측으로 LED등이나 열선을 설치하여 주변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하거나 열을 발생시켜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심재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고강도 코팅제를 피복하여 합성목재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심미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목재 상부면에 구비되는 보강심재의 표면을 슬립 방지용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심재(150); 및 내부의 공간부에 상기 보강심재(150)가 인서트된 합성목재 바디(100a); 를 포함하되,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합성목재 바디(100a)는 합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며; 상기 합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은, 목분 50~65중량%, 합성수지 20~35중량%, 결합제 1.5~4중량%, 윤활제 0.8~1.5중량%, 난연제 5~10중량%, 황토복합물 5~20중량% 및 카본블랙 0.5~1.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윤활제는 실리콘계 윤활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난연제는 적인(Red Phosphorus) 50~60중량%, 규산칼륨 10~20중량%, 팽창흑연 10~20중량%, 퍼라이트 1~5중량%, 규조토 1~5중량%, 고령토 1~5중량% 및 붕산 1~5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황토복합물은 황토 65~75중량%, 소성진주석 5~10중량%, 소성적색셰일 5~1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1~5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5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소성진주석은 진주석분말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5~10중량부를 혼합하고 1,000~1,100℃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10~20중량부를 넣고 24~26시간 동안 방치하며,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제오라이트 40~50중량%, 견운모 25~35중량% 및 벤토나이트 20~3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숙성시킨 다음, 1,300~1,40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소성시키며, 상기 소성적색셰일은 적색셰일 100중량부에 복합소금물 5~10중량부를 혼합하고 800~900℃에서 12~14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복합소금물은 물 70중량%, 자염 15중량%, 죽염 10중량% 및 함초소금 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자염은 해수를 가마솥에 넣고 220~240℃에서 2~3일 동안 가열농축하여 석출하며, 상기 죽염은 한쪽이 막힌 대나무 통 속에 천일염을 넣고 입구를 황토로 밀봉한 후 1,300~1,400℃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함초소금은 천일염수 100중량부에 함초 5~10중량부를 넣고 95~100℃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천일염수의 염도는 20~25중량% 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바디(100a)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양측면부에 연결구로 연이어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요홈(110)과,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요철부(120),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요철부(130),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홈(140)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심재(150)는 상기 설치홈(140)에 삽입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설치홈(140)은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면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요철부(130)들 사이의 간격(d1)과 상기 상부요철부(120)들 사이의 간격(d2)이 서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심재(150)는 중공형상이되 상하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보강심재(150)의 내측에는 몰딩바(153)가 삽입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몰딩바(153)는 그 내부에 LED등이 삽입되는 LED몰딩바(153a)와 그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용 널링부가 형성되는 논슬립바(153b)로 구분되며, 상기 LED몰딩바(153a)와 상기 논슬립바(153b)는 상기 바디(100a)의 상기 보강심재(150)에 교호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몰딩바(153)는 그 내부에 열선이 삽입되는 열선몰딩바와 LED등이 삽입되는 LED몰딩바로 구분되며, 상기 열선몰딩바와 상기 LED몰딩바는 상기 바디(100a)의 상기 보강심재(150)에 교호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삽입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바디(100a)는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의 측면부에 'ㄷ'자 형상의 측면마감몰딩바(160)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는 상측지지부(160a)와 하측지지부(160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세로연결부(160c)로 되며, 상기 상측지지부(160a)는 합성목재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기 하측지지부(160b)는 절곡부(162)를 두어 상기 절곡부(162)가 장선(170)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세로연결부(160c)는 바디(100a)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공간부(163)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세로연결부(160c)는 그 내측으로 전선거치홈(161)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에는 측면LED등(164)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설치홈(140)은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 상하부면에 대각선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요철부(130)들 사이의 간격(d1)과 상기 상부요철부(120)들 사이의 간격(d2)이 서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설치홈(140)은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 상부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는 난연성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가 향상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상면 좌우 대칭 또는 상하면의 대각선 대칭으로 취성을 보강하도록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심재를 삽입 설치하여 목재의 인장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좋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강심재의 내측으로 LED등이나 열선을 설치하여 주변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하거나 열을 발생시켜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심재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고강도 코팅제를 피복하여 합성목재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심미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목재 상부면에 구비되는 보강심재의 표면에 슬립 방지용 요철형상으로 형성하여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의 상부면 좌우 대칭 및 상하 대각선 대칭으로 보강심재가 삽입 설치된 상태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에 삽입 설치되는 보강심재의 다양한 상태단면도(a)와 LED 또는 열선이 내장된 몰딩바의 상태단면도(b)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에 보강심재 및 몰딩바가 삽입 설치된 상태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의 측면부에 마감몰딩바가 설치되는 상태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는,
보강심재; 및
내부의 공간부에 상기 보강심재가 인서트된 합성목재 바디;
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심재는 합성목재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보강심재의 재질은 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합성목재는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면 쉽게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합성목재는 금속으로 된 보강심재를 합성목재의 중심부에 구비하므로써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쉽게 파괴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합성목재 바디는 합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한다.
상기 압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은,
목분 50~65중량%, 합성수지 20~35중량%, 결합제 1.5~4중량%, 윤활제 0.8~1.5중량%, 난연제 5~10중량%, 황토복합물 5~20중량% 및 카본블랙 0.5~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목분은 50~6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중량% 미만 포함되면 천연원목에 상응하는 외관 내지 질감을 제공하기 어렵고, 65중량% 초과 포함되면 과도한 목분 함유로 인해 합성목재 표면이 거칠어지고 목분 박리 현상이 생겨서 고품질의 합성목재를 제조하기 어렵다.
상기 목분은 활엽수 또는 침엽수 중 어느 하나 70~90중량% 및 폐목분 10~30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활엽수 또는 침엽수 중 어느 하나에 폐목분을 포함하므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합성수지는 20~3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중량% 미만 포함되면 내구성, 경량화 및 내식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35중량% 초과 포함되면 충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합성수지는 HDPE 65~75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25~3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합성수지는 골고루 혼합되기 위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제는 1.5~4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제는 합성수지와 목분의 결합력을 개선하여 굽힘강도, 탄성계수를 증가시키고, 치수 안정성 및 충격강도와 목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제는 마레익 엔하이드라이드 폴리에틸렌(Maleic Anhydride PE) 60~70중량% 및 마레익 엔하이드라이드 폴리프로필렌(Maleic Anhydride PP) 30~4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윤활제는 0.8~1.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8중량% 미만 포함되면 목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미흡한 문제가 있고, 1.5중량% 초과 포함되면 합성목재의 물성이 저할될 수 있다.
상기 윤활제는 합성수지와 목분이 혼합되는 과정에서 목분의 분산성을 높여 합성목재의 표면 성분을 개선시킨다. 즉, 합성목재의 가공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윤활제는 실리콘계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윤활제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주로 사용하는데, migration 현상이 발생하여 물성을 변화시켜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윤활제로 실리콘계 윤활제를 사용하므로써 migration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접착력이 있어 수축 및 팽창을 방지할 수 있고, 강도개선 효과가 있으며, 열팽창계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난연제는 5~1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 미만 포함되면 난연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되면 합성목재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적인(Red Phosphorus) 50~60중량%, 규산칼륨 10~20중량%, 팽창흑연 10~20중량%, 퍼라이트 1~5중량%, 규조토 1~5중량%, 고령토 1~5중량% 및 붕산 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적인은 난연효과가 뛰어나며 시간이 오래 경과한 후에도 난연효과가 감소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적인은 난연제 자체의 적색 색상으로 인하여 합성목재가가 적색을 띄므로 적색 무기안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인은 독성이 없고 열적으로 안정하다.
상기 규산칼륨은 접착성이 우수하여 목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난연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상기 팽창흑연은 층상의 결정구조로, 이와 같은 구조의 팽창 흑연은 연소에 의해 형성된 화염, 물 및 산화 화합물에 의해 20배에서 350배까지 발포되어 다공성 구조를 형성하여 가연성 소재로 열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 화염이 가연성 소재에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하고 다공성 구조에 독성 가스를 가두는 역할을 하여 우수한 난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팽창흑연은 발연성을 크게 억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독성 가스의 배출을 방지한다.
상기 퍼라이트는 화산활동으로 생성된 천연광물을 고온으로 팽창시키면 체적이 수십배로 팽창하여 초경량 다각질의 백색입자인 퍼라이트가 생성된다. 이렇게 팽창된 물질은 경량성뿐만 아니라 내화성, 단열성이 높고 흡음률이 높아 건축자재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복잡한 구조와 일차, 이차의 공극으로 구성되어 있고 매우 낮은 밀도를 갖고 있어 훌륭한 여과보조재, 흡착제, 첨가제 및 연마제 등으로 사용된다.
상기 고령토는 고령석(카올리나이트)과 할로이사이트가 주성분으로, 장석류가 탄산, 물에 의한 화학적 풍화작용을 거쳐 생성된다. 순백색 또는 약간 회색이며 도자기의 원료로, 백자, 분청사기, 청자상감자기에 사용된다. 뿐만 아니라 내화성, 단열성 또한 우수하여 건축자재로서의 성능도 우수하며, 구하기 쉽고 저렴하다.
상기 붕산은 화재시 난연제가 분진으로 이탈되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합성목재 조성물 중 충진제로 탈크를 사용하며, 무기계 안료로는 산화철을 사용한다.
무기계 안료로 산화철을 사용하는 이유는 천연목재 색상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합성목재 설치 후 오랜시간 햇빛에 노출되면 산화철이 탈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산화철이 탈색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UV안정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UV안정제가 고가의 재료이므로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UV안정제가 탈색현상을 완벽히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충진제로 탈크 대신에 황토를 사용하므로써 산화철을 사용하지 않아도 천연목재 색상을 발현할 수 있으며, UV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황토와 합성수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토복합물을 사용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황토복합물은 5~2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 미만 포함되면 시공 후 휨이나 뒤틀림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 초과 포함되면 천연원목에 상응하는 질감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황토복합물은 황토 65~75중량%, 소성진주석 5~10중량%, 소성적색셰일 5~1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1~5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5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황토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고 공기정화 및 탈취기능이 우수하여 데크로드에 곰팡이나 세균 등의 번식이 억제되도록 한다. 상기 황토는 수분을 먹지 않고, 표면 활성효과를 높여서 치수한정(수축 변화 방지) 효율을 높이며, 이러한 황토에 의해 표면 활성 효과 및 치수한정 효율을 높임으로써, 합성목재 제조시 성형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진주석은 Pearl stone이라고도 부르며, 천연 SiO2가 70wt% 이상 함유된 유리이다. 진주석은 점성의 용암이나 마그마가 지표의 호수로 흘러들어 급격한 냉각에 의해 형성된 화산암의 일종이다. 화산지대에서 채취한 원석을 고온으로 소성하면, 소성 팽창 가공을 통해 이루어진 수많은 기공들로 인하여 우수한 경량성, 단열성, 보비성, 배수성 등의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소성진주석은 진주석분말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5~10중량부를 혼합하고 1,000~1,100℃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한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10~20중량부를 넣고 24~26시간 동안 방치한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제오라이트 40~50중량%, 견운모 25~35중량% 및 벤토나이트 20~3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숙성시킨 다음, 1,300~1,40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소성시킨다.
상기 적색셰일은 도화석이라고도 한다. 상기 적색셰일은 합성목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성적색셰일은 적색셰일 100중량부에 복합소금물 5~10중량부를 혼합하고 800~900℃에서 12~14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한다.
상기 복합소금물은 물 70중량%, 자염 15중량%, 죽염 10중량% 및 함초소금 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자염은 해수를 가마솥에 넣고 220~240℃에서 2~3일 동안 가열농축하여 석출하며,
상기 죽염은 한쪽이 막힌 대나무 통 속에 천일염을 넣고 입구를 황토로 밀봉한 후 1,300~1,400℃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함초소금은 천일염수 100중량부에 함초 5~10중량부를 넣고 95~100℃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천일염수의 염도는 20~25중량% 이다.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하고 유리 전이점이 낮으며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저온에서 물성이 뛰어나고 유연성이 우수하고, 타 수지와의 상용성이 뛰어나 혼합해 사용하기 용이하며, 우수한 접착성능을 지닌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중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의 함유율이 40~45중량%이고, 연화점이 80~8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황토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열성, 내유성 및 기계적 강도를 증대시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는 디카르복실산과 디아민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서, 디카르복실산으로 테레프탈산을 사용한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용융상태에서 우수한 접착성능을 갖으며, 황토와의 양호한 혼합성을 보여주며, 충격 및 온도변화에 대한 물리적 성질이 매우 뛰어나다.
상기 카본블랙은 무기계 안료의 역할을 수행하며, 황토복합물과 함께 합성목재가 천연목재 색상을 발현하도록 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목재 바디 내부의 공간부에 보강심재를 인서트하여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보강심재는 금속을 사용하였다.
합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합성목재 바디를 제조하였다.
상기 합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은, 활엽수 90중량%와 폐목분 10중량%를 혼합한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60메쉬(mesh)의 입자크기로 분쇄하고, 11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수분 함량이 3.5중량%가 되도록 하여 목분을 제조하였다. 믹서기에 상기 목분 58중량%, 합성수지 21중량%, 결합제 4중량%, 윤활제 1중량%, 난연제 5중량%, 황토복합물 10중량% 및 카본블랙 1중량%를 혼합한 후 10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합성수지는 HDPE 70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30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결합제는 마레익 엔하이드라이드 폴리에틸렌(Maleic Anhydride PE) 65중량% 및 마레익 엔하이드라이드 폴리프로필렌(Maleic Anhydride PP) 35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윤활제는 실리콘계 오일을 사용하였다. 상기 난연제는 적인 50중량%, 규산칼륨 15중량%, 팽창흑연 15중량%, 퍼라이트 5중량%, 규조토 5중량%, 고령토 5중량% 및 붕산 5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황토복합물은 황토 70중량%, 소성진주석 10중량%, 소성적색셰일 1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3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3중량%,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3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소성진주석은 진주석분말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10중량부를 혼합하고 1,000℃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1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제오라이트 50중량%, 견운모 30중량% 및 벤토나이트 2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숙성시킨 다음, 1,30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소성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소성적색셰일은 적색셰일 100중량부에 복합소금물 10중량부를 혼합하고 90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소금물은 물 70중량%, 자염 15중량%, 죽염 10중량% 및 함초소금 5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자염은 해수를 가마솥에 넣고 220℃에서 2일 동안 가열농축하여 석출하였다. 상기 죽염은 한쪽이 막힌 대나무 통 속에 천일염을 넣고 입구를 황토로 밀봉한 후 1,40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함초소금은 천일염수 100중량부에 함초 10중량부를 넣고 10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상기 천일염수의 염도는 20중량% 인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편백나무를 함수율이 10% 이하가 될 때까지 자연 건조하고, 분쇄기를 통해 입자 크기 50 메쉬로 분쇄하여 목분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목분 45 중량부 및 나일론-폴리락틱-co-글리콜릭애씨드 멀티필라멘트 섬유(25 데니어) 25 중량부를 상온에서 10 분간 교반 혼합하여 고상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고상 조성물은 합성수지로서 폴리에틸렌 수지 15 중량부, 윤활제 5 중량부, 및 난연제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액상 조성물과 상온에서 30 분 동안 혼합한 뒤, 펠렛 제조 압출기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하고 건조함으로써 난연성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상기 난연제는 정제수 52.25중량%, 인산일암모늄 17.25중량%, 비즈왁스 에멀젼 12.50중량%, 질소-도핑 rGO 나노시트 용액 12.50중량% 및 세라시이트 분말 5.50중량%를 혼합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의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와 비교예 1의 난연성 합성목재를 각각 두께 3㎜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KS F 2157을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인장강도(MPa) 261 23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가 비교예 1의 난연성 합성목재에 비하여 높은 인강강도를 나타냈다.
[실험예 2]
실시예 1의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와 비교예 1의 난연성 합성목재에 대하여, KS F 5660-1에 의거하여 콘칼로리미터 시험법을 통해 난연성을 측정하였다. 가열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total heat release, THR)과 최대열방출률(peak heat release rate, HRR)을 측정하였고,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 때, 콘히터의 복사열은 50kW/㎡±1kW/㎡, 배출유량은 0.024㎡/s±0.002㎡/s 로 설정하고 유지하였으며,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고, 최대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 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준불연 재료(난연 2급)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최대열방출율
(kW/㎡)
24.0 31.0
총열방출량
(MJ/㎡)
4.2 4.6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합성목재 모두 총방율열량은 8MJ/㎡ 이하를 만족하였고, 최대열방출률 또한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 를 초과하지 않아 준불연 재료(난연 2급) 기준을 만족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실시예 1의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와 비교예 1의 난연성 합성목재에 대하여, 단열재 난연성 성능 기준에 의거하여 난연성 측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난연성 측정 시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시험은 305℃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잔류 불꽃 발생이 30초 미만이며, 재료의 연소 가스 속에 방치된 주(mouse)가 9분 이상 활동할 경우 준불연재료(난연 2급)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 1
잔류 불꽃 발생시간
(초)
8.23 11.00
연소가스 내 쥐의
활동 시간(분)
36 2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열재 성능 기준에 따른 난연성 시험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합성목재 모두 잔류 불꽃 발생 시간은 모두 30초 미만을 만족하였고, 연소가스 내 방치된 쥐는 9분 이상 활동하여 준불연 재료(난연 2급) 기준을 만족하였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양측면부에 연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연이어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요홈(110),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요철부(120),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요철부(130),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홈(140)이 형성되는 바디(100a);와
상기 설치홈(140)에 삽입 설치되어 강도를 높이는 보강심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합성목재(100)는 '데크' 또는 '데크플레이트'라고도 하며, 이를 연이어 연결하여 지면이나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보행자가 보행하는데 편리하도록 운용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합성목재는 그 상부면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강도를 크게 하여야 내구성이 좋고 오래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는 상부 또는 하부면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쉽게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자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도 1,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목재 바디(100a)의 상부면와 하부면에 상부요철부(120)와 하부요철부(130)가 각각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부요철부(130) 사이의 간격(d1)은 상기 상부요철부(120) 사이의 간격(d2)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된다.
이중 도 2와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요철부(130) 사이의 간격(d1)이 상기 상부요철부(120) 사이의 간격(d2)에 비해 2배 크게 형성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목재 바디(100a)에는 그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설치홈(140)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140)에 상기 보강심재(150)를 삽입 설치하여 외력에 의한 강도를 높이도록 한다.
상기 설치홈(140)은 도 2(a)와 같이, 합성목재 바디(100a)의 길이방향으로 양측 상부면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2(b)와 같이, 합성목재 바디(100a)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형성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140)이 합성목재 바디(100a)의 길이방향으로 상부면 어느 한곳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부면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홈(140)과 하부면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설치홈(140)은 각각 길이방향으로 형성 구비되면서 이들이 서로 대각선으로 대칭되어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설치홈(140)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보강심재(150)는 금속재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강성을 크게할 수 있다.
상기 보강심재(150)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으로 형성되면서 상부면은 양측으로 돌출되어 합성목재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지지돌출부(151)와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용 널링부(15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강심재(150)는 상기 지지돌출부(151)에 의해 합성목재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상기 널링부(152)에 의해 보행자가 미끄러지는 것을 막아 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보강심재(150)는 중공형상으로 되되 상하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강심재(150)는 중공형상으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심재(150)는 중공형으로 되면서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하고 그 내부면으로 빛이나 열을 발하도록 LED등이나 열선이 삽입되는 몰딩바(153)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심재(150)를 상기 설치홈(140)에 삽입 설치하고 그 내부에 상기 몰딩바(153)가 삽입 설치하되, 상기 몰딩바(153)는 그 내부에 열선이 삽입되는 열선몰딩바와 LED등이 삽입되는 LED몰딩바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몰딩바(153)는 상기 보강심재(15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열선몰딩바와 상기 LED몰딩바를 서로 병행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이들을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심재(150)는 금속재와 같은 강한 재질을 사용하고 금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몰딩바(153)는 연질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보강심재(150)의 내부에 상기 몰딩바(153)가 압착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심재(150)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몰딩바(153)를 그 내부에 LED등이 삽입되는 LED몰딩바(153a)와 그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용 널링부가 형성되는 논슬립바(153b)로 교호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심재(150) 내부에는 LED등이 삽입되는 상기 LED몰딩바(153a) 또는 상기 논슬립바(153b)가 각각 독립적으로 삽입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일측에는 LED등이 삽입되는 LED몰딩바(153a)와 그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용 널링부가 형성되는 논슬립바(153b)로 교호적으로 설치되고 타측에는 열선이 설치되는 열선몰딩바(153c)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LED몰딩바(153a)와 상기 논슬립바(153b)가 병행 또는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어 주변이 어두울 때에는 상기 LED몰딩바(153a)가 주변에 빛을 조사하고 눈비가 와서 미끄러울 때에는 상기 논슬립바(153b)와 상기 열선몰딩바(153c)에 의해 미끄러짐을 방지함으로써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을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강심재(150)는 그 내부에 LED등(154)을 설치하고 그 상부면에 커버(155)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심재(150)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합성목재(100)의 하부면에도 설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상기 보강심재(150)의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용 널링부(152)가 형성되며 이 널링부(152)가 그 하부측에 구비되는 장선(미도시)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상치되어 합성목재가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막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합성목재 바디(100a)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의 측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내장되는 전선거치홈(161)이 형성되면서 측면부를 보호하도록 측면마감몰딩바(160)가 설치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선거치홈(161)에 설치되는 전선(미도시)은 난간이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몰딩바(153)로 공급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지지부(160a)와 하측지지부(160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세로연결부(160c)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지지부(160a)는 합성목재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기 하측지지부(160b)는 절곡부(162)를 두어 상기 절곡부(162)가 장선(170)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세로연결부(160c)는 그 내측으로 상기 전선거치홈(161)이 구비되도록 합성목재 측면에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공간부(163)를 두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의 상기 상측지지부(160a)에는 주변을 조사하는 측면LED등(164)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LED등(164)이 합성목재의 측면부를 조사(照射)함으로써 보행자가 측면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아 안전한 보행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측면LED등(164)은 상기 상측지지부(160a)의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오목단턱부(160ab)에 구비하되 상기 상측지지부(160a)의 높이와 동일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지지부(160a)의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오목단턱부(160ab)는 그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상기 오목단턱부(160ab)에 설치되는 상기 측면LED등(164)도 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되는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에는 상기 측면LED등(164)이 다양한 형상으로 설치되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을 안전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는 합성목재 바디(100a)의 측단부 마감재로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양한 색상을 통해 안전라인 표시가능과 단조로운 데크재의 디자인적 미려함을 연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는 그 상면 좌우 대칭 또는 상하면의 대각선 대칭으로 취성을 보강하도록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심재를 삽입 설치하여 목재의 인장강도를 높여 내구성을 좋게 하고, 또 합성목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보강심재의 내측으로 LED등이나 열선을 설치하여 주변으로 조명을 비출 수 있도록 하거나 열을 발생시켜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여 보행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100: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110:연결요홈
120:상부요철부
130:하부요철부
140:설치홈
150:보강심재
151:지지돌출부 152:널링부 153:몰딩바 154:LED등
153a:LED몰딩바 153b:논슬립바 153c:열선몰딩바
155:커버
160:측면마감몰딩바
160a:상측지지부 160ab:오목단턱부 160b:하측지지부
160c:세로연결부 161:전선설치홈 162:절곡부 163:공간부
164:측면LED등

Claims (15)

  1. 보강심재(150); 및
    내부의 공간부에 상기 보강심재(150)가 인서트된 합성목재 바디(100a);
    를 포함하되,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합성목재 바디(100a)는 합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을 압출성형하여 제조되며;
    상기 합성목재 바디용 조성물은, 목분 50~65중량%, 합성수지 20~35중량%, 결합제 1.5~4중량%, 윤활제 0.8~1.5중량%, 난연제 5~10중량%, 황토복합물 5~20중량% 및 카본블랙 0.5~1.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는 적인(Red Phosphorus) 50~60중량%, 규산칼륨 10~20중량%, 팽창흑연 10~20중량%, 퍼라이트 1~5중량%, 규조토 1~5중량%, 고령토 1~5중량% 및 붕산 1~5중량%를 포함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는 실리콘계 윤활제를 사용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복합물은 황토 65~75중량%, 소성진주석 5~10중량%, 소성적색셰일 5~10중량%,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 1~5중량%,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5중량%, 테레프탈산 변성 폴리아미드 수지 1~5중량%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1~5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소성진주석은 진주석분말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 5~10중량부를 혼합하고 1,000~1,100℃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 정제수는 물 100중량부에 바이오세라믹 스톤 10~20중량부를 넣고 24~26시간 동안 방치하며,
    상기 바이오세라믹 스톤은 제오라이트 40~50중량%, 견운모 25~35중량% 및 벤토나이트 20~3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물에 넣고 혼련한 후 숙성시킨 다음, 1,300~1,40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소성시키며,
    상기 소성적색셰일은 적색셰일 100중량부에 복합소금물 5~10중량부를 혼합하고 800~900℃에서 12~14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복합소금물은 물 70중량%, 자염 15중량%, 죽염 10중량% 및 함초소금 5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자염은 해수를 가마솥에 넣고 220~240℃에서 2~3일 동안 가열농축하여 석출하며,
    상기 죽염은 한쪽이 막힌 대나무 통 속에 천일염을 넣고 입구를 황토로 밀봉한 후 1,300~1,400℃에서 5~6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함초소금은 천일염수 100중량부에 함초 5~10중량부를 넣고 95~100℃에서 6~8시간 동안 가열하며, 상기 천일염수의 염도는 20~25중량% 인,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a)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고 양측면부에 연결구로 연이어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요홈(110)과,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요철부(120), 하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요철부(130),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설치홈(140)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심재(150)는 상기 설치홈(140)에 삽입 설치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40)은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 양측 상부면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요철부(130)들 사이의 간격(d1)과 상기 상부요철부(120)들 사이의 간격(d2)이 서로 상이한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심재(150)는 중공형상이되 상하 어느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보강심재(150)의 내측에는 몰딩바(153)가 삽입 설치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153)는 그 내부에 LED등이 삽입되는 LED몰딩바(153a)와 그 상부면에 미끄럼 방지용 널링부가 형성되는 논슬립바(153b)로 구분되며, 상기 LED몰딩바(153a)와 상기 논슬립바(153b)는 상기 바디(100a)의 상기 보강심재(150)에 교호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바(153)는 그 내부에 열선이 삽입되는 열선몰딩바와 LED등이 삽입되는 LED몰딩바로 구분되며, 상기 열선몰딩바와 상기 LED몰딩바는 상기 바디(100a)의 상기 보강심재(150)에 교호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삽입 설치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a)는 길이방향과 직교방향의 측면부에 'ㄷ'자 형상의 측면마감몰딩바(160)가 설치 구비되되,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는 상측지지부(160a)와 하측지지부(160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세로연결부(160c)로 되며,
    상기 상측지지부(160a)는 합성목재 상부면에 지지되고, 상기 하측지지부(160b)는 절곡부(162)를 두어 상기 절곡부(162)가 장선(170)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세로연결부(160c)는 바디(100a)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공간부(163)가 형성된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연결부(160c)는 그 내측으로 전선거치홈(161)이 구비되며,
    상기 측면마감몰딩바(160)에는 측면LED등(164)이 더 구비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40)은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 상하부면에 대각선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요철부(130)들 사이의 간격(d1)과 상기 상부요철부(120)들 사이의 간격(d2)이 서로 동일한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140)은 상기 바디(100a)의 길이방향 상부면에 형성되는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KR1020200054061A 2020-05-06 2020-05-06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KR102142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61A KR102142575B1 (ko) 2020-05-06 2020-05-06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061A KR102142575B1 (ko) 2020-05-06 2020-05-06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575B1 true KR102142575B1 (ko) 2020-08-10

Family

ID=72049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061A KR102142575B1 (ko) 2020-05-06 2020-05-06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87B1 (ko) * 2022-01-25 2022-06-29 (주)애니우드 다기능성 친환경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65B1 (ko) * 2011-03-23 2011-08-16 (주)이건환경 중공파이프가 삽입된 압출 성형재
KR20110099468A (ko) *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더우드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153834B1 (ko) 2011-12-12 2012-06-07 주식회사 영화산업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
KR101314446B1 (ko) 2010-12-24 2013-10-07 (주)엘지하우시스 팽창성 흑연을 포함하여 우수한 난연성능을 갖는 합성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60938B1 (ko) 2012-11-15 2014-02-21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우수한 난연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친환경 합성목재
KR101416517B1 (ko) 2012-05-03 2014-07-09 김기종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고강도 난연성 합성목재
KR101450764B1 (ko) 2014-01-16 2014-10-17 현우공업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및 물성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17064A (ko) * 2014-04-09 2015-10-19 경동산업 주식회사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60142596A (ko) * 2015-06-03 2016-12-13 (주) 삼정디씨피 다층 구조의 합성 목재
KR102088418B1 (ko) * 2019-09-09 2020-03-12 (유)비아크리트 탄소 섬유 열선이 내장된 난방 타일 및 이를 이용한 패널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468A (ko) * 2010-03-02 2011-09-08 주식회사 더우드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314446B1 (ko) 2010-12-24 2013-10-07 (주)엘지하우시스 팽창성 흑연을 포함하여 우수한 난연성능을 갖는 합성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056965B1 (ko) * 2011-03-23 2011-08-16 (주)이건환경 중공파이프가 삽입된 압출 성형재
KR101153834B1 (ko) 2011-12-12 2012-06-07 주식회사 영화산업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
KR101416517B1 (ko) 2012-05-03 2014-07-09 김기종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고강도 난연성 합성목재
KR101360938B1 (ko) 2012-11-15 2014-02-21 주식회사 성원안전산업 우수한 난연성 및 항균성을 갖는 친환경 합성목재
KR101450764B1 (ko) 2014-01-16 2014-10-17 현우공업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및 물성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117064A (ko) * 2014-04-09 2015-10-19 경동산업 주식회사 논슬립 축광모서리가 형성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20160142596A (ko) * 2015-06-03 2016-12-13 (주) 삼정디씨피 다층 구조의 합성 목재
KR102088418B1 (ko) * 2019-09-09 2020-03-12 (유)비아크리트 탄소 섬유 열선이 내장된 난방 타일 및 이를 이용한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487B1 (ko) * 2022-01-25 2022-06-29 (주)애니우드 다기능성 친환경 인조목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731B1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및 용기 제조방법
KR102142575B1 (ko) 인장강도와 난연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KR101559530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2040507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KR101575124B1 (ko)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KR101164496B1 (ko) 미끄럼 방지성능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KR102087838B1 (ko)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021111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KR100883667B1 (ko) 지붕재 입체감 부여용 고정 골재와 지붕재 시트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0976295B1 (ko) 친환경 황토를 이용한 석재 제조방법
KR102147815B1 (ko) 내구성과 지지강도가 향상된 친환경 합성 목재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59923B1 (ko) 인조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조목재
KR102155803B1 (ko) 조명이 구비된 데크로드
KR102606571B1 (ko) 합성목재 데크
KR101156629B1 (ko) 미끄럼 방지 코팅층이 형성된 합성목재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1805269B1 (ko) 기능성 건축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CN201016211Y (zh) 复合仿玉石扣地板
KR20060018640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6880B1 (ko)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0937777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숯보드
KR100445703B1 (ko) 야광 장식 타일
KR101140879B1 (ko) 숯보드의 제조방법
KR101688782B1 (ko) 조립식 황토벽돌과 그 제조방법
KR100507385B1 (ko)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