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7838B1 -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7838B1
KR102087838B1 KR1020190149239A KR20190149239A KR102087838B1 KR 102087838 B1 KR102087838 B1 KR 102087838B1 KR 1020190149239 A KR1020190149239 A KR 1020190149239A KR 20190149239 A KR20190149239 A KR 20190149239A KR 102087838 B1 KR102087838 B1 KR 10208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wood
synthetic woo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9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7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52Impregnating agent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09Methods, e.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2Polyure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50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90UV-prot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Chemical And Physical Treatments For Woo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를 구성하는 목분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수지와의 선팽창 계수의 차이를 조절하여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박리 및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Synthetic Wood Composition of Controlle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and Manufacturing Methods of Synthetic Wo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목재를 구성하는 목분과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수지와의 선팽창 계수의 차이를 조절하여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박리 및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목을 직접 가공하여 만든 천연목재판의 경우,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였을 때 우수한 외관 및 질감을 제공할 수 있어, 표면처리를 행한 높은 상품성의 제품들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표면처리된 천연목재판은 아름다운 나무무늬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촉감이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적당한 광택도로 인해 나무 문양의 표현에도 무리가 없다.
그러나 천연목은 생산량이 많아짐에 따라 점차 고갈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자원을 보호하면서 천연목과 같은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합성목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합성목재는 원목을 얇게 자른 다음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착색하여 건조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필름 등을 부착시킨 뒤 건조시킨 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된 합판형태와, 원목이나 폐목을 가루로 분쇄한 다음 접착제를 소정 비율로 섞고 가열 압착시켜 만드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시공이 간편하기 때문에, 최근 들어 건물 실내의 바닥 마감용 바닥판, 기둥, 패널, 건물 외벽 데크재, 야외 데크재 및 난간용 등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합성목재 재질의 건축 자재의 경우 자연적인 느낌이 나면서도 원목에 비하여 여러 장점이 있으나, 강도면에서는 원목이나 합성수지재질의 재료에 비하여 약하기 때문에, 합성목재를 바닥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강성을 유지하도록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다른 강도 향상방법을 부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합성목재는 외부의 온도, 특히 고온의 환경에서 열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 합성목재가 뒤틀리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변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이러한 합성목재에 친환경 소재를 첨가하여 내수성, 내구성 등을 개선하면서 나무의 질감을 잘 표현하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합성 목재가 소개되고 있는데,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10-0987698호에는 목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고령토, 코코넛 껍질, 파인애플 껍질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10-09899399호에는 목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녹말가루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등이 개시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합성목재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질감 등을 개선한 것이나, 합성목재의 강도를 향상시키에는 곤란함이 있으며, 더욱이 길이 선팽창 계수가 높아 계절간 큰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 선팽창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 x 10-5/K)를 1 내지 5로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선팽창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박리 및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합성목재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가공하는 펠렛 가공단계;
상기 펠렛 가공단계가 종료된 후 펠렛을 원하는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가 종료된 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가 종료된 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가 종료된 후 샌딩하여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합성목재 조성물의 선팽창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박리 및 크랙의 발생을 억제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제조방법의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 가지 관점에서,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합성목재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가공하는 펠렛 가공단계; 상기 펠렛 가공단계가 종료된 후 펠렛을 원하는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가 종료된 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가 종료된 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가 종료된 후 샌딩하여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분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목분, 예를 들면 나무를 분말화 하거나 나무가공 중에 발생된 분말 등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목분은 가문비나무, 튜울립나무, 미송, 황자작나무, 단풍나무, 황단풍나무, 소송, 뉴송으로부터 얻어지는 목분 또는 이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분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필요에 따라 상기 언급된 목분을 탄화시킨 탄화분, 목분을 일부 탄화시킨 반탄화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분은 크기가 작을수록 선팽창계수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으나, 너무 작은 크기를 갖게 되면 소실되는 목분이 증가하고, 가공비가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에, 바람직한 목분의 입자크기는 20 내지 100메쉬(mesh),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메쉬인 것이 좋지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20 내지 100메쉬 크기의 목분이 길이 대 직경의 비가 3:1 내지 5:1이고, 수분 함유율이 1 내지 2%인 건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목분의 크기가 100메쉬 이상인 경우 선열팽창계수의 감소가 미미하여 열팽창계수가 좋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목분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은 합성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6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은 합성목재를 제조하기 위한 고분자 수지로서, 합성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폴리에틸렌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및/또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를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밀도폴리에틸렌과 저밀도폴리에틸렌이 1:1 내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폴리에틸렌의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4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노화방지, 뒤틀림 방지, 보강 및/또는 증량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충전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활석, 운모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충전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애시는 미분탄을 연소하는 보일러의 연도 가스로부터 집진기로 채취한 석탄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구상인 입자는 알루미나와 실리카가 주성분이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이애시는 미분쇄한 플라이애시를 사용할 수 있는바, 상기 미분쇄한 플라이애시는 미분쇄하지 않은 플라이애시를 사용하는 것 보다 향상된 고강도성 및/또는 유동성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미분쇄한 플라이애시의 분말도는 3,500 내지 4,500cm2/g, 바람직하게는 3,500 내지 3,800cm2/g, 보다 바람직하게는 3,700cm2/g 미만이고, 밀도는 1.5 내지 2.8g/cm3, 바람직하게는 약 2.2g/cm3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플라이애시의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는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의 윤활성을 향상, 바람직하게는 가공시 목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윤활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지방산(Fatty acids)계, 산아미드(acid amide)계, 불소중합체(fluoropolymer)계 및/또는 탄화수소계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피리독신 지방산 에스테르, 아마이드ㅇ카르복시산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윤활제의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들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결합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HDPE결합제, PP결합제, MAPP(maleated poly-propylene), 티탄산염(Titan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결합제로서 HDPE결합제와 PP결합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그 혼합비가 1:1 내지 1:3 중량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제는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한 것으로서,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항산화제로는 페놀계, 예를 들면 폴리페놀, 알킬-4-실릴헤테로고리형 페놀, 티오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안정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자외선 안정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안정제는 합성목재 조성물로 제조되는 합성목재가 온도변화에 따른 열화 등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열안정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SPB(Sodium Benzene Phosphinate)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산화방지제는 아민계, 비스페놀계, 모노페놀계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인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산화방지제는 고온에서 가공이 이루어질 경우 저분자형 고분자형 페놀계 산화방지제, 예를 들면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2 . 2 - M e t h y l e n e b i s ( 4 - m e t h y l - 6 - t - b u t y l p h e n o l )], 2.6-디-t-부틸-4-메틸페놀(2.6-di -t-Butyl-4-methylphenol)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염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내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내염제, 예를 들면 멜라민시아누레이트, 금속옥사이드, 금속하이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 포스피네이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한 내염제의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경도, 광택 등의 물리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합성목재 조성물에 색상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안료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안료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무용제 도료 등에 사용되는 안료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안료는 백색 또는 유색 안료들이 사용되는데, 백색안료는 루틸타입의 티타늄 디옥사이드 중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유색 안료는 2가 이상의 금속이온을 함유하지 않으며 반응성이 없는 무기성분의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철 계통의 무기 안료 또는 카본블랙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추천하기로는 이산화티타늄 및/또는 아조화합물, 예를 들면 "Yellow 83", 산화철블랙, 산화철레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안료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목재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로 실시되는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고분자 수지인 폴리프로필렌 및/또는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고온 가공시 점성이 증가하여 가공성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세라믹의 미세 중공체(microscopic hollow sphere)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라믹의 미세 중공체 분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천하기로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로서, 그 입자크기가 30 내지 100㎛인 것이 좋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에 난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부의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는 금속수산화물; 인계 난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난연제의 사용량이 3중량부 이하인 경우 합성목재 조성물의 난연성이 원하는 수준에 만족할 수 없고, 사용량이 20중량부 이상인 경우 제조되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경도가 증가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에 사용되는 금속수산화물,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 특정적으로 스테아린산, 비닐 실란, 지방산, 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표면처리, 특정적으로 코팅되어 표면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조성물간의 결합력, 균열방지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균열방지 및 인성증대를 위해 첨가된다.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로는 폴리아미드(나일론) 6, 폴리아미드(나일론) 6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비교적 우수한 불활성 물질이며, 강염기를 포함한 다양한 유/무기 물질에 내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소성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변형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림직한 변형방지제는 폴리에틸렌, 폴리뷰텐, 하임팩트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제의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합성목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품, 특정적으로 합성목재 제품을 제조할 경우 다른 구성성분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수명 연장을 위하여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는 내화학성 및 내약품성과 풍화 저항성이 우수한 물성을 갖고 있으므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에 포함되면 상기와 같은 특성에 의해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표면에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소디윰스테아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이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한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얻을 수 없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강도 저하현상을 나타내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로 제조되는 제품의 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방오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오제는 산화제일구리(Cu2O), 피리디 아연(Zinc prithione)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추천하기로는 무기 방오제인 산화제일구리 및/또는 유기 방오제인 피리디 아연을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EDTA)과 1:0.1 내지 1:10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방오제는 분말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입자크기는 50 내지 100㎛인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로 조사되는 열원인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안티몬주석산화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몬주석산화물은 염기성 용액 50 내지 80중량%에 안티몬과 주석의 몰비가 0.5:9.5 내지 1.5:8.5가 되도록 안티몬염 및 주석염을 합하여 20 내지 50중량%를 혼합한 후 소결한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부의 제올라이트계 항균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제품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크기는 5 내지 30nm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는 광촉매로서 합성목재 조성물에 포함된 상태에서 최종적인 제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제품의 표면에서 광(光)과 여기반응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용액상태로 합성목재 제품에 도포되어 광촉매층, 즉 이산화티타늄 입자층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이산화티타늄 입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용액상으로 합성목재 제품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상기 이산화티타늄 광촉매 용액은 티타늄알콕사이드 8 내지 30중량%, 실리콘알콕사이드 5 내지 15중량%, 산 2 내지 6중량% 및 물 50 내지 80중량%를 혼합한 후 50 내지 80℃에서 4 내지 10시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단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중량부의 발포 우레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내구성 및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탄소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섬유는 적어도 4mm 이하로 절단된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치수 안정성을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중량부의 나노점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점토는 나노미터 단위의 크기를 갖는 점토입자를 지칭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로 제조되는 목재 제품에 화려한 무늬를 제공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30중량부의 고무칩 및 코르크칩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고무칩 및 코르크칩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고무칩 및 코르크칩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고무칩 및 코르크칩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고무칩과 코르크칩의 무늬가 적정하게 조화되어 합성목재 조성물에 화려한 무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제조되는 합성목재의 경량화를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0 내지 40중량부의 질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이 서로 용이하게 분산되어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무수말레산이 그라프트된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상용화제 1 내지 1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화합물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랜덤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추천하기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50 내지 90중량%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 10 내지 50중량%가 혼합된 형태를 갖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랜덤 폴리프로필렌으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컨대, 프로필렌과 에틸렌, 부틸렌 및 옥텐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공단량체가 중합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때, 공단량체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부 중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공단량체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일 경우 무수말레산 첨가량 대비 그라프트율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특성 및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수분을 먹지 않고, 표면 활성효과를 높여서 치수한정(수축 변화방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경탄(CaCo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화산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디에틸렌 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광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백운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운모는 분말상태의 백운모인 것을 추천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조성물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p-디벤조일퀴논디옥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제조되는 합성목재의 방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후성 및 흡착력을 증가시키고, 공기 중에 떠다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정화 작용 및 자외선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뿐만 아니라, 바인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을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은, 규사가 바인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규산나트륨은 세라믹 결합제로서 내후성 및 흡착력을 증가시키고, 공기 중에 떠다니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공기정화 작용 및 자외선 파장영역 전체와 가시광선 파장 영역 전체에 걸쳐 흡수하는 효과적인 자외선 안정제 역할을 부여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마모성, 내수성, 내화성 및 탈취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의 세리사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세리사이트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질로서, 안정성, 윤활성, 보습성 등이 뛰어나므로 이를 콘크리트 조성물에 포함시키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에머리 분말(emery powder)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함량이 복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 등의 개선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여 좋지 않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조성물의 충진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플루오린화나트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플루오린화나트륨은 1차적으로 충진제로서의 역할도 하지만, 2차적으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에서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하기 제조방법,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은 일 실시양태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계의 통상적인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을 이용한 제조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합성목재 제조방법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제조방법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합성목재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가공하는 펠렛 가공단계;
상기 펠렛 가공단계가 종료된 후 펠렛을 원하는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가 종료된 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가 종료된 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가 종료된 후 샌딩하여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펠렛 가공단계는 혼합된 합성목재 조성물의 구성성분이 분말 또는 알갱이 등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압출가공시 분산이 고르지 않아 치수안정성 및/또는 후변형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1차로 가공하여 조성물의 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단계는 고온의 압출성형시 급격한 수축냉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압출성형단계가 150 내지 300℃의 온도범위, 1 내지 5kgf/㎠ 압력범위로 압출성형하되, 상기 압출성형시 냉각 온도구배는 50 내지 150℃에서 완만하게 냉각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출성형시 냉각은 통상 오일냉각 및/또는 수냉각이 적용된 금형몰드에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금형몰드의 랜드를 길게 형성하여 급격한 수축냉각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성형이 종료된 후 진행되는 냉각단계는 공기를 이용한 간접냉각 및 물을 이용한 직접냉각을 연속으로 적용하여 냉각 속도를 완만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 60메쉬 크기의 가문비나무 목분 100g, 폴리프로필렌 40g, 폴리에틸렌 20g, 탄산칼슘 6g, 분말도가 3,700cm2/g 미만이고, 밀도가 약 2.2g/cm3인 플라이애시 6g,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6g, MAPP 5g, 알킬-4-실릴헤테로고리형 페놀 3g,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1g, SPB 3g,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1g, 멜라민시아누레이트 3g, 및 카본블랙 3g을 혼합하여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틸렌 20g 대신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10g,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10g이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입자크기가 약 60㎛인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세라믹의 미세중공체 분말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표면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인 나인론 66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임팩트폴리스티렌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디윰스테아레이트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방오제인 산화제일구리 2g 및 에틸렌디아민사아세트산 3g을 혼합시킨 혼합물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안티몬주석산화물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제올라이트계 항균제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입자의 크기가 약 20nm인 이산화티타늄 입자 5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발포 우레탄 7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약 2mm 길이로 절단된 탄소섬유 5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평균입경이 10nm인 나노점토 2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고무칩과 코르크칩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고무칩 및 코르크칩 혼합물 15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질석 20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호모 폴리프로필렌 90중량% 및 랜덤 폴리프로필렌(에틸렌 함량 5중량%) 10중량%의 혼합물에 무수말레산을 전체 고분자 화합물 중량에 대해 1.3중량% 첨가하여 제조된 무수말레산 그라프트된 고분자 화합물 5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경탄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화산석 5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디에틸렌 글리콜 5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분말상의 백운모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p-디벤조일퀴논디옥심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 12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세리사이트 6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에머리 분말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플루오린화나트륨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29에 부가된 부가물을 모두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성목재 조성물 펠릿 형태로 가공한 후, 압출 성형하여 60cm x 60cm의 패널을 제조한 다음, 선팽창계수, 굴곡크리프 변형 및 충격강도 등의 물성을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선팽창계수( x 10-5/K) 굴곡크리프 변형(%) 충격강도(kj/㎡)
실시예 1 2.99 0.08 3.3
실시예 2 2.98 0.08 3.4
실시예 3 3.01 0.10 3.2
실시예 4 2.99 0.10 3.1
실시예 5 3.22 0.09 3.2
실시예 6 3.12 0.09 3.2
실시예 7 3.09 0.09 3.3
실시예 8 3.01 0.08 3.3
실시예 9 2.98 0.07 3.4
실시예 10 2.91 0.09 3.4
실시예 11 2.93 0.10 3.5
실시예 12 3.01 0.09 3.5
실시예 13 3.01 0.08 3.4
실시예 14 2.98 0.10 3.4
실시예 15 2.99 0.07 3.3
실시예 16 3.02 0.08 3.6
실시예 17 3.01 0.09 3.3
실시예 18 2.98 0.07 3.2
실시예 19 3.20 0.08 3.2
실시예 20 3.10 0.10 3.3
실시예 21 3.09 0.09 3.4
실시예 22 3.02 0.07 3.5
실시예 23 2.98 0.08 3.3
실시예 24 2.92 0.09 3.4
실시예 25 2.92 0.10 3.4
실시예 26 3.02 0.08 3.2
실시예 27 3.01 0.08 3.2
실시예 28 2.99 0.06 3.2
실시예 29 3.01 0.08 3.4
실시예 30 2.99 0.07 3.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성목재 조성물의 선팽창계수가 모두 3정도로 매우 우수하며, 휨강도가 좋고, 굴곡크리프 변형이 낮으며, 충격강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에,
    경탄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화산석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에틸렌 글리콜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백운모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p-디벤조일퀴논디옥심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세리사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에머리 분말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은 20 내지 10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은 고밀도폴리에틸렌과 저밀도폴리에틸렌이 1:1 내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애시는 분말도가 3,500 내지 4,500cm2/g이고, 밀도가 1.5 내지 2.8g/cm3인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6-디-t-부틸-4-메틸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7.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 20 내지 60중량부, 폴리에틸렌 5 내지 4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플라이애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재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2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2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에, 경탄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화산석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디에틸렌 글리콜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백운모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p-디벤조일퀴논디옥심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규산나트륨과 규사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규산나트륨 및 규사 혼합물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세리사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2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에머리 분말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플루오린화나트륨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에서 혼합된 합성목재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가공하는 펠렛 가공단계;
    상기 펠렛 가공단계가 종료된 후 펠렛을 원하는 형태로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압출성형단계가 종료된 후 냉각하는 냉각단계;
    상기 냉각단계가 종료된 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및
    상기 절단단계가 종료된 후 샌딩하여 후처리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단계가 150 내지 300℃의 온도범위, 1 내지 5kgf/㎠ 압력범위로 압출성형하되, 상기 압출성형시 냉각 온도구배는 50 내지 150℃에서 완만하게 냉각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처리는 오일냉각하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는 공기를 이용한 간접냉각 및 물을 이용한 직접냉각을 연속으로 적용하여 냉각 속도를 완만하게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0190149239A 2019-11-20 2019-11-20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08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39A KR102087838B1 (ko) 2019-11-20 2019-11-20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239A KR102087838B1 (ko) 2019-11-20 2019-11-20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7838B1 true KR102087838B1 (ko) 2020-03-12

Family

ID=6980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239A KR102087838B1 (ko) 2019-11-20 2019-11-20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7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300B1 (ko) * 2020-04-03 2020-11-09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난연성과 강도가 강화된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RU2753628C1 (ru) * 2020-09-14 2021-08-18 Галина Николаевна Анопка Древесно-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909A (ja) * 2000-03-09 2001-09-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圧縮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918797B1 (ko) * 2009-03-30 2009-09-25 박준남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1050270B1 (ko) * 2011-01-06 2011-07-19 최희선 열팽창 억제용 합성목재
KR101941015B1 (ko) * 2018-09-18 2019-01-22 경동산업 주식회사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KR102040507B1 (ko) * 2019-05-15 2019-11-05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2909A (ja) * 2000-03-09 2001-09-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圧縮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100918797B1 (ko) * 2009-03-30 2009-09-25 박준남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1050270B1 (ko) * 2011-01-06 2011-07-19 최희선 열팽창 억제용 합성목재
KR101941015B1 (ko) * 2018-09-18 2019-01-22 경동산업 주식회사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KR102040507B1 (ko) * 2019-05-15 2019-11-05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5300B1 (ko) * 2020-04-03 2020-11-09 주식회사 아키페이스 난연성과 강도가 강화된 친환경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RU2753628C1 (ru) * 2020-09-14 2021-08-18 Галина Николаевна Анопка Древесно-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507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CN101668808B (zh) 烯烃基组合物和包含其地面覆盖物
KR102087838B1 (ko)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1559530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1314446B1 (ko) 팽창성 흑연을 포함하여 우수한 난연성능을 갖는 합성목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989369B1 (ko) 다기능성 아크릴계 수성 상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618052B (zh) 环保高性能木塑复合材料
KR102061126B1 (ko) 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01261A (ko) 장식용 패널, 및 상기 패널로 구성된 장식용 바닥 커버링
CN102966231A (zh) 瓷塑地板及其加工方法
KR101788542B1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친환경 마루바닥재의 제조방법
US20230015495A1 (en) Panel for Constructing a Floor or Wall Covering
KR20110017391A (ko) 복합재 지붕 구조
US20200255629A1 (en) Manufacturing method and products
KR20210102930A (ko) 장식용 패널, 및 상기 패널들로 이루어진 장식용 바닥 커버링
KR102021111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KR20210101266A (ko) 장식용 패널, 및 상기 패널로 구성된 장식용 바닥 커버링
KR101941015B1 (ko)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KR101992602B1 (ko) 대나무 분말이 포함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20110023719A (ko) 미끄럼 방지성능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KR100760690B1 (ko) 건축용 내·외장재의 제조방법
KR102453831B1 (ko) 친환경 탄소저감 및 폐자재 절감 효과가 있는 고내구성 마감도료 및 그 시공방법
WO2013142430A1 (en) Mineral based fillers used as a substitute for wood fillers in simulated wood products and simulated woo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JP2005119167A (ja) 化粧材
KR101267576B1 (ko) 다중벽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하는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용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