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015B1 -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015B1
KR101941015B1 KR1020180111197A KR20180111197A KR101941015B1 KR 101941015 B1 KR101941015 B1 KR 101941015B1 KR 1020180111197 A KR1020180111197 A KR 1020180111197A KR 20180111197 A KR20180111197 A KR 20180111197A KR 101941015 B1 KR101941015 B1 KR 101941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ood
synthetic woo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남
Original Assignee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동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동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06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9K15/08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 phenol or quinone moiety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2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20 내지 10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선팽창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박리 및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Synthetic Wood Composition of controlle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본 발명은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목재를 구성하는 목분과 고분자 수지와의 선팽창 계수의 차이를 조절하여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목을 직접 가공하여 만든 천연목재판의 경우, 표면을 매끄럽게 처리하였을 때 우수한 외관 및 질감을 제공할 수 있어, 표면처리를 행한 높은 상품성의 제품들이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표면처리된 천연목재판은 아름다운 나무무늬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촉감이 매끄럽고 부드러우며, 적당한 광택도로 인해 나무 문양의 표현에도 무리가 없다.
그러나 천연목은 생산량이 많아짐에 따라 점차 고갈되어 가고 있는 상황에서 자원을 보호하면서 천연목과 같은 질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합성목재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일례로서, 합성목재는 원목을 얇게 자른 다음 일측면이나 양측면에 착색하여 건조시키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필름 등을 부착하여 건조시킨 다음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구비된 합판형태와, 원목이나 폐목을 가루로 분쇄한 다음 접착제를 소정 비율로 섞고 가열 압착시켜 만드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시공이 간편하기 때문에, 최근 들어 건물 실내의 바닥 마감용 바닥판, 기둥, 패널, 건물 외벽 데크재, 야외 데크재 및 난간용 등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합성목재에 친환경 소재를 첨가하여 내수성, 내구성 등을 개선하면서 나무의 질감을 잘 표현하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합성 목재가 소개되고 있는데,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10-0987698호에는 목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고령토, 코코넛 껍질, 파인애플 껍질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10-09899399호에는 목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녹말가루 등을 포함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등이 개시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합성목재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질감 등을 개선한 것이나, 합성목재의 강도를 향상시키에는 곤란함이 있으며, 더욱이 길이 선팽창 계수가 높아 계절간 큰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 선팽창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 x 10-5/K)를 1 내지 5로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선팽창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박리 및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20 내지 10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합성목재 조성물의 선팽창 계수를 조절함으로써 박리 및 크랙의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사용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의 펠릿 제조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을 이용한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20 내지 10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기존 합성목재의 강도 특성을 개선하고, 합성목재 조성물의 선팽창 계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목분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목분, 예를 들면 나무를 분말화 하거나 나무가공 중에 발생된 분말 등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목분은 가문비나무, 튜울립나무, 미송, 황자작나무, 황단풍나무로부터 얻어지는 목분 또는 이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분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필요에 따라 상기 언급된 목분을 탄화시킨 탄화분, 목분을 일부 탄화시킨 반탄화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분은 그 크기가 작을수록 선팽창계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일 수 있으나, 너무 작은 크기를 갖게 되면 소실되는 목분이 증가하고, 가공비가 상승하여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에, 바람직한 목분의 크기는 20 내지 100메쉬,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메쉬인 것을 추천한다. 여기서, 상기 목분의 크기가 100메쉬 이상인 경우 선열팽창계수의 감소가 미미하여 열팽창계수가 좋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목분 외 나머지 성분들의 함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 수지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성분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고분자 수지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페닐린, 폴리부텐, ABS, 아크릴수지,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고분자 수지의 사용량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 가능하지만,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20 내지 100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노화방지, 보강 및 증량 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충전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활석, 운모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충전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의의 윤활성을 향상, 바람직하게는 가공시 목분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윤활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추천하기로는 지방산(Fatty acids)계, 산아미드(acid amide)계, 불소중합체(fluoropolymer)계 및/또는 탄화수소계 윤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산에스테르, 예를 들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피리독신 지방산 에스테르, 아마이드ㅇ카르복시산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윤활제의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구성성분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결합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인 것이 좋다.
바람직한 결합제로는 MAPP(maleated poly-propylene), 티탄산염(Titana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산화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항산화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항산화제로는 페놀계, 예를 들면 폴리페놀, 알킬-4-실릴헤테로고리형 페놀, 티오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안정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자외선 안정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안정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을 온도변화에 따른 열화 등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열안정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SPB(Sodium Benzene Phosphinate)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염제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내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내염제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멜라민시아누레이트, 금속옥사이드, 금속하이드록사이드, 포스페이트, 포스피네이트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는 합성목재 조성물에 색상을 부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안료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 사용량은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인 것을 추천한다.
바람직한 안료로는 무기계 안료 및/또는 유기계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무기계 안료는 산화철, 수산화철, 산화크롬, 산화티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 특정적으로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하기의 특정 양태에 따른 부가물을 1종 또는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에 난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3 내지 20중량부의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는 금속수산화물; 인계 난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난연제의 사용량이 3중량부 이하인 경우 합성목재 조성물의 난연성이 원하는 수준에 만족할 수 없고, 사용량이 20중량부 이상인 경우 제조되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경도가 증가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에 사용되는 금속수산화물,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마그네슘, 특정적으로 스테아린산, 비닐 실란, 지방산, 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표면처리, 특정적으로 코팅되어 표면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에 극성을 부여하여 각 구성성분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고, 구성 성분들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내한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분산제 0.1 내지 10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산제로는 유기산, 아로마틱오일, 지방족 오일, 동 식물성 기름, 캐스터 오일, 면실유, 미네랄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구성 성분들 간의 결합력, 균열방지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 5 내지 3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는 합성목재 조성물의 균열방지 및 인성증대를 위해 첨가된다.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로는 폴리아미드(나일론) 6, 폴리아미드(나일론) 66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미드는 비교적 우수한 불활성 물질이며, 강염기를 포함한 다양한 유/무기 물질에 내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소성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해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5 내지 30중량부의 변형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림직한 변형방지제는 폴리에틸렌, 폴리뷰텐, 하임팩트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추천한다.
이때, 상기 변형방지제의 사용량이 5중량부 미만이면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미미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합성목재 조성물의 다른 구성성분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의 수명 연장을 위하여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는 내화학성 및 내약품성과 풍화 저항성이 우수한 물성을 갖고 있으므로 합성목재 조성물에 포함되면 상기와 같은 특성에 의해 수명이 연장되는 것이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의 표면에 수분침투를 방지하면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의 소디윰스테아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그 사용량이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목적한 수분침투 방지기능을 얻을 수 없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강도 저하현상을 나타내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를 구성하는 구성 성분들 간의 결합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부의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커플링제로는 무수말레인산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 성분들 간의 윤활작용과 고온에서 높은 점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왁스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항균작용 및 방청작용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니켈크롬분말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니켈분말 및 크롬분말은 모두 200메쉬 이하의 분말을 사용하며,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사용되는 것은 합성목재 조성물의 구성 성분들의 균질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비중이 높은 니켈분말에 비중이 낮은 크롬분말을 1:1로 혼합하여 항균작용 및 방청작용을 부여함과 동시에 균질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으로,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기능성 부여 효과가 미약하고, 3중량부를 초과하며 재료의 균질성이 저하되어 좋지 않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합성목재 조성물에 항균작용을 부여하고 합성목재 조성물의 구성 성분 중 목분의 중금속의 제거를 위하여 카르복시메틸 키토산(carboxymethyl chitosan)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카르복시메틸 키토산은 키토산 유도체로서 통상 게, 새우 등의 갑각류의 껍데기로부터 추출된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의 건조수축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합성목재 조성물의 표면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제일구리(Cu2O)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의 펠릿 제조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을 이용한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 60메쉬 크기의 가문비나무 목분 100g, 폴리프로필렌 80g, 탄산칼슘 5g,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5g, MAPP 5g, 항산화제로서 알킬-4-실릴헤테로고리형 페놀 2.5g,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2.5g, SPB 2.5g, 멜라민시아누레이트 2.5g, 및 산화철 2.5g을 혼합하여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스테아린산으로 코팅되어 표면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 10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아로마틱오일 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아미드 섬유 보강재인 나인론 66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하임팩트폴리스티렌 15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3g을 더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소디윰스테아레이트 3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무수말레인산 5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폴리에틸렌 왁스 2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니켈크롬분말 2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카르복시메틸 키토산 1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산화제일구리 1g을 더 포함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2 내지 13을 모두 부가하여 실시하였다.
[실 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4에 따라 제조된 합성목재 조성물 펠릿 형태로 가공한 후, 압출 성형하여 60cm x 60cm의 패널을 제조한 다음, 선팽창계수, 굴곡크리프 변형 및 충격강도 등의 물성을 측정한 다음 그 결과를 표 1로 나타내었다.
선팽창계수( x 10-5/K) 굴곡크리프 변형(%) 충격강도(kj/㎡)
실시예 1 2.98 0.07 3.2
실시예 2 3.01 0.08 3.7
실시예 3 3.03 0.10 3.2
실시예 4 2.99 0.09 3.2
실시예 5 3.21 0.08 3.3
실시예 6 3.11 0.09 3.4
실시예 7 3.08 0.08 3.5
실시예 8 3.01 0.07 3.4
실시예 9 2.99 0.08 3.3
실시예 10 2.91 0.10 3.5
실시예 11 2.93 0.10 3.4
실시예 12 3.01 0.09 3.3
실시예 13 3.02 0.08 3.4
실시예 14 2.98 0.06 3.5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합성목재 조성물의 선팽창계수가 모두 3정도로 매우 우수하며, 휨강도가 좋고, 굴곡크리프 변형이 낮으며, 충격강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고분자 수지 20 내지 100중량부;
    충전제 1 내지 10중량부;
    윤활제 1 내지 10중량부;
    결합제 1 내지 10중량부;
    항산화제 1 내지 5중량부;
    자외선 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열안정제 1 내지 5중량부;
    내염제 1 내지 5중량부; 및
    안료 1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에,
    분산제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마그네슘 실리케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소디윰스테아레이트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부로 더 포함하고,
    니켈분말과 크롬분말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니켈크롬분말을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3중량부로 더 포함하며,
    산화제일구리를 목분 100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부로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페닐린, 폴리부텐, ABS, 아크릴수지,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활석, 운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아크릴 폴리올 수지, 무황변 폴리 우레아수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폴리페놀, 알킬-4-실릴헤테로고리형 페놀, 티오페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





KR1020180111197A 2018-09-18 2018-09-18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KR101941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197A KR101941015B1 (ko) 2018-09-18 2018-09-18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197A KR101941015B1 (ko) 2018-09-18 2018-09-18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015B1 true KR101941015B1 (ko) 2019-01-22

Family

ID=65287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1197A KR101941015B1 (ko) 2018-09-18 2018-09-18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0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507B1 (ko) * 2019-05-15 2019-11-05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KR102087838B1 (ko) * 2019-11-20 2020-03-12 경동산업 주식회사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20200132046A (ko) * 2019-05-15 2020-11-25 어성진 강화 목재섬유-합성수지 복합재 바닥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698B1 (ko) * 2010-01-22 2010-10-13 주식회사 아론물산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100991506B1 (ko) * 2009-11-12 2010-11-04 김종수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9762A (ko) * 2010-07-21 2012-02-02 박준남 천연목 무늬 구현이 가능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1559530B1 (ko) * 2015-05-13 2015-10-15 (주)지케이우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506B1 (ko) * 2009-11-12 2010-11-04 김종수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87698B1 (ko) * 2010-01-22 2010-10-13 주식회사 아론물산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KR20120009762A (ko) * 2010-07-21 2012-02-02 박준남 천연목 무늬 구현이 가능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1559530B1 (ko) * 2015-05-13 2015-10-15 (주)지케이우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507B1 (ko) * 2019-05-15 2019-11-05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KR20200132046A (ko) * 2019-05-15 2020-11-25 어성진 강화 목재섬유-합성수지 복합재 바닥판
KR102279574B1 (ko) * 2019-05-15 2021-07-19 어성진 강화 목재섬유-합성수지 복합재 바닥판
KR102087838B1 (ko) * 2019-11-20 2020-03-12 경동산업 주식회사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015B1 (ko)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KR100987698B1 (ko)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합성목재
US8088840B2 (en) Polymer-fiber composite building material with bulk and aesthetically functional fillers
US20060099405A1 (en) Polymer-fiber composite building material with bulk and aesthetically functional fillers
CN117124678A (zh) 防水面板、制造面板的工艺以及由所述工艺获得的面板
CN102618052B (zh) 环保高性能木塑复合材料
KR102020547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MXPA05013451A (es) Estructuras y componentes biopolimericos.
KR101559530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의 제조방법
KR101153834B1 (ko) 난연성을 구비하는 친환경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진 합성목재
EP3294549B1 (en) A composite product and a process for producing said product
KR101107057B1 (ko) 이중 구조의 친환경 합성목재
KR102061126B1 (ko) 강도 및 내후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040507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AU2010308796A1 (en) Reed composite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a reed composite material, and construction material using same
KR101952903B1 (ko) 열팽창 계수를 조절한 보강형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H1192576A (ja) 熱可塑性アクリルシートおよび高圧装飾積層体の代用品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101180906B1 (ko) 섬유질 플라스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92602B1 (ko) 대나무 분말이 포함된 합성목재 제조방법
KR20120110953A (ko)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5018833A1 (de) Holzwerkstoffplatte mit weicher kunststoffschicht
CN102639323A (zh) 使用聚乳酸树脂的碎屑贯穿地板材
KR102021111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US9085671B2 (en) Mineral based fillers used as a substitute for wood fillers in simulated wood products and simulated woo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KR102087838B1 (ko) 열팽창계수를 조절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목재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