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964B1 -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 Google Patents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964B1
KR102342964B1 KR1020200169144A KR20200169144A KR102342964B1 KR 102342964 B1 KR102342964 B1 KR 102342964B1 KR 1020200169144 A KR1020200169144 A KR 1020200169144A KR 20200169144 A KR20200169144 A KR 20200169144A KR 102342964 B1 KR102342964 B1 KR 102342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plate
floor
floor block
resin
extens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건
김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코
Priority to KR102020016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코니, 테라스에 해당하는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제1 투수홀을 갖는 바닥블럭부; 제2 투수홀을 갖고 상기 바닥블럭부를 탑재하며, 상기 바닥블럭부를 주거연장공간의 바닥에 배열하는 탑재판부; 및 상기 탑재판부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형성되며,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하면 상기 탑재판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등지면 상기 탑재판부에 탑재된 상기 바닥블럭부를 고정 지지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이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물 흐름성이 좋아 물 빠짐이 좋고, 강도가 우수하고 자외선 등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우수한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FLOOR BLOCK FOR BALCONY AND TERRACE}
본 발명은 바닥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코니, 테라스 등 주생활공간에서 연장된 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조립식 구조의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코니, 테라스 등 주생활공간에서 연장된 공간(이하, "주거연장공간"이라 함)은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기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즉, 주거연장공간은 햇빛과 눈·비, 영하의 온도 등에 노출되기 때문에, 바닥을 이루는 부재를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기존에는 주로 타일이나 목재를 바닥부재로 사용하였고, 타일은 소성 처리되어 물성은 강하지만 눈이나 비 또는 사용자가 사용한 물을 투수하는 기능이 없고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미끄러져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목재는 투수기능이 없을 뿐더러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0730호 "듀얼 발코니 블럭"에서 투수기능을 가지며 내부에 단열재나 흙을 채워 사용할 수 있는 내부가 빈 구조의 조립식 블럭을 개시하고 있지만, 블럭이 바닥과 밀착되어 배열되기 때문에 물 빠짐이 나쁘고, 물성이 약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0730호 "듀얼 발코니 블럭"
본 발명의 목적은 물 빠짐이 좋고 물성이 우수한 조립식 구조의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제1 투수홀을 갖는 바닥블럭부; 제2 투수홀을 갖고 상기 바닥블럭부를 탑재하며, 상기 바닥블럭부를 주거연장공간의 바닥에 배열하는 탑재판부; 및 상기 탑재판부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형성되며,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하면 상기 탑재판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등지면 상기 탑재판부에 탑재된 상기 바닥블럭부를 고정 지지하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탑재판부 표면의 돌기부는 상기 탑재판부의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사각 형태를 이루고, 물이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홈을 갖을 수 있다.
상기 탑재판부 이면의 돌기부는 상기 탑재판부의 이면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서로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탑재판부의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는 날개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탑재판부에는 상기 탑재판부들의 배열시 상기 고정돌기들과 각각 대응하여 끼워져 상기 탑재판부들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블럭부는 재생수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폭시 수지는 지방산으로 개질된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 DGEBA)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이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물 흐름성이 좋아 물 빠짐이 좋고, 강도가 우수하고 자외선 등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우수한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에서 탑재판부의 표면에 바닥블럭부가 탑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배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에서 탑재판부의 이면에 바닥블럭부가 탑재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분리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배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은 바닥블럭부(10), 탑재판부(20), 돌기부(30)를 포함한다.
바닥블럭부(10)는 강도가 우수하고 자외선 등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우수한 품질이 유지된다. 바닥블럭부(10)는 재생수지, 에폭시 수지, 수산화마그네슘, 규회석, 카본, 팜왁스 성분들로 이루어져 강도가 우수하고 자외선 등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다.
예를 들면, 바닥블럭부(10)는 재생수지 37.0~46.0중량%, 에폭시 수지 3.0~7.0중량%, 수산화마그네슘 44.5~45.0중량%, 규회석 4.0~7.0중량%, 카본 2.0~3.0중량%, 팜왁스 0.5~1.0중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재생수지는 재생 열가소성수지로서 각 재료의 바인더 기능 뿐만 아니라 성형성 및 수분흡수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재생수지는 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재생수지가 재생 PP수지 단독으로 이루어진 경우 충격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재생 PE수지 단독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전반적인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재생수지는 두 성분이 혼합해서 이루어져야 최적의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재생수지는 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가 9:1 내지 1:9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가 8:2 내지 5:5 중량 비율이 바람직하다. 재생 PP수지의 비율이 많아질수록 강도는 개선되지만 충격이나 신율이 좋지 않으며, 재생 PE수지의 비율이 많아질수록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재생수지는 바인더 기능을 수행하며,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7.0~46.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수지의 함량이 37.0중량% 미만이면 바인더 기능이 떨어져 바닥블럭부(10)의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바닥블럭부(10)의 압출 및 사출시 부하 발생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며, 46.0중량%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조정되어 바닥블럭부(10)의 난연성 유지 및 물성 향상을 위한 각 성분들의 배합이 곤란하다.
에폭시 수지는 지방산으로 개질된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 DGEBA) 에폭시 수지이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는 하기의 화학식으로 나타낸다.
Figure 112020131952366-pat00001
화학식에서, n 이 5 보다 작으면 폴리올리핀계인 재생수지와의 상용성이 떨어지고, n 이 20 보다 크면 유연성이 증가하여 바닥블럭부(10)의 냉각속도 및 강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 n 이 5 에서 20 으로 갈수록 강성은 유지(미미하게 감소)하면서 충격강도가 개선된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재생수지를 이루는 재생 PP수지 및 재생 PE수지 모두와 상용성을 이루어, 재생수지와 무기질 성분(수산화마그네슘, 규회석)과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바닥블럭부(10)의 난연성과 강도 물성을 향상시킨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7.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하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비하고, 7.0중량%를 초과하면 강성이 저하된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는 무기질 성분의 분산성을 증대하여 신율 등 물성 감소를 개선하고, 조성물 제조를 위해 컴파운드할 때에 에폭시 수지와 무기질 성분에 들어 있는 수분이 반응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바닥블럭부(10)의 외관 품질을 개선하며, 가교 반응을 통해 성형 후 냉각속도를 크게 개선한다. 또한, 바닥블럭부(10)의 충격강도 저하 없이 강성을 증가시킨다. 즉, 바닥블럭부(10)의 강성이 증가하며, 지방산 개질 부분의 유연성으로 바닥블럭부(10)의 충격강도 저하가 방지된다.
수산화마그네슘은 난연제로서 바닥블럭부(10)의 난연성을 향상시킨다. 수산화마그네슘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44.5~45.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하다. 수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이 44.5중량% 미만이면, 바닥블럭부(10)의 난연성이 약하고, 45.0중량%를 초과하면 난연성은 크게 향상되나 재생수지 등의 타 성분의 함량이 조정되어 제품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규회석은 보강재로서 바닥블럭부(10)의 강도를 더 향상시킨다. 규회석은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의 상용성으로 인해 재생수지와 결합되어 바닥블럭부(10)의 강도 즉, 충격강도를 향상시킨다. 규회석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4.0~7.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회석의 함량이 4.0중량% 미만이면 물성 개선에 효과가 없고, 7.0중량%를 초과하면 신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카본은 자외선을 차단하여 바닥블럭부(10)의 수명을 연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본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3.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함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자외선 차단능력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면 자외선 차단능력의 향상이 미미하다.
팜왁스는 재생수지의 유동성을 개선함으로써 생산공정 중 미성형에 의한 불량률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무기물 성분의 분산성을 더 확보함으로써 무기물의 과도한 배합을 개선하여 경제성을 확보하며, 바닥블럭부(10)의 전 부위가 균일한 난연 성능 및 물성을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은 팜왁스는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1.0중량%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팜왁스의 함량이 0.5중량% 미만이면 무기물의 분산성 및 유동성이 저하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무기물의 분산성 및 유동성은 향상되나 타성분의 함량이 조정되어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실시예 1>
텀블러 믹서에 계량된 재생수지(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의 중량 비율 8:2) 42.0중량% 및 팜왁스 1.0중량%를 투입한 후 3~5분 정도 교반한다. 1차 교반된 교반물에 수산화마그네슘 45.0중량%, 규회석 7.0중량%, 카본 2.0중량%를 넣고 5~10분 정도 추가 교반한 후 스크류 크기가 40mm, L/D가 36, 온도가 22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원기둥 형태로 연속적으로 압출한다. 20℃인 냉각수에서 압출물을 50℃ 이하로 냉각한 후 회전속도가 200rpm인 펠렛타이져를 이용하여 직경 3.5mm, 길이 4.5mm의 원기둥형 펠렛 형태로 절단 가공한다. 그 절단물을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 3.0중량%와 혼합하여 170~240℃ 분할 세팅된 175mm 이축 압출기로 혼합 및 용융한다. 그 용융물을 170~200℃ 분할 히팅된 와이호퍼로 가스 제거 및 사출부에 충진하고, 200~270℃ 분할 히팅된 사출스크류로 이동 및 금형에서 사출한다. 20℃ 냉각수를 금형에 투입하여 2~5 분 이내 냉각하고 토출 제품 기준 50℃이하를 유지하며 탈형 후 다듬질하여 바닥블럭부(10)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텀블러 믹서에 계량된 재생수지(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의 중량 비율 8:2) 42.0중량% 및 팜왁스 1.0중량%를 투입한 후 3~5분 정도 교반한다. 1차 교반된 교반물에 수산화마그네슘 45.0중량%, 규회석 5.0중량%, 카본 2.0중량%를 넣고 5~10분 정도 추가 2차 교반한 후 스크류 크기가 40mm, L/D가 36, 온도가 22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원기둥 형태로 연속적으로 압출한다. 20℃인 냉각수에서 압출물을 50℃ 이하로 냉각한 후 회전속도가 200rpm인 펠렛타이져를 이용하여 직경 3.5mm, 길이 4.5mm의 원기둥형 펠렛 형태로 절단 가공한다. 그 절단물을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 5.0중량%와 혼합하여 170~240℃ 분할 세팅된 175mm 이축 압출기로 혼합 및 용융한다. 그 용융물을 170~200℃ 분할 히팅된 와이호퍼로 가스 제거 및 사출부에 충진하고, 200~270℃ 분할 히팅된 사출스크류로 이동 및 금형에서 사출한다. 20℃ 냉각수를 금형에 투입하여 2~5 분 이내 냉각하고 토출 제품 기준 50℃이하를 유지하며 탈형 후 다듬질하여 바닥블럭부(10)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텀블러 믹서에 계량된 재생수지(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의 중량 비율 8:2) 42.0중량% 및 팜왁스 0.5중량%를 투입한 후 3~5분 정도 교반한다. 1차 교반된 교반물에 수산화마그네슘 44.50중량%, 규회석 4.0중량%, 카본 2.0중량%를 넣고 5~10분 정도 추가 2차 교반한 후 스크류 크기가 40mm, L/D가 36, 온도가 22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원기둥 형태로 연속적으로 압출한다. 20℃인 냉각수에서 압출물을 50℃ 이하로 냉각한 후 회전속도가 200rpm인 펠렛타이져를 이용하여 직경 3.5mm, 길이 4.5mm의 원기둥형 펠렛 형태로 절단 가공한다. 그 절단물을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 7.0중량%와 혼합하여 170~240℃ 분할 세팅된 175mm 이축 압출기로 혼합 및 용융한다. 그 용융물을 170~200℃ 분할 히팅된 와이호퍼로 가스 제거 및 사출부에 충진하고, 200~270℃ 분할 히팅된 사출스크류로 이동 및 금형에서 사출한다. 20℃ 냉각수를 금형에 투입하여 2~5 분 이내 냉각하고 토출 제품 기준 50℃이하를 유지하며 탈형 후 다듬질하여 바닥블럭부(10)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텀블러 믹서에 계량된 재생수지(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의 중량 비율 8:2) 42.0중량% 및 팜왁스 0.5중량%를 투입한 후 3~5분 정도 교반한다. 1차 교반된 교반물에 수산화마그네슘 45.0중량%, 규회석 10.5중량%, 카본 2.0중량%를 넣고 5~10분 정도 추가 2차 교반한 후 스크류 크기가 40mm, L/D가 36, 온도가 220℃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원기둥 형태로 연속적으로 압출한다. 20℃인 냉각수에서 압출물을 50℃ 이하로 냉각한 후 회전속도가 200rpm인 펠렛타이져를 이용하여 직경 3.5mm, 길이 4.5mm의 원기둥형 펠렛 형태로 절단 가공한다. 그 절단물을 170~240℃ 분할 세팅된 175mm 이축 압출기로 혼합 및 용융한다. 그 용융물을 170~200℃ 분할 히팅된 와이호퍼로 가스 제거 및 사출부에 충진하고, 200~270℃ 분할 히팅된 사출스크류로 이동 및 금형에서 사출한다. 20℃ 냉각수를 금형에 투입하여 2~5 분 이내 냉각하고 토출 제품 기준 50℃이하를 유지하며 탈형 후 다듬질하여 바닥블럭부(10)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의 바닥블럭부를 충격강도, 굴곡강도, 인장강도, 난연성, 소화시간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1은 조성물 100중량% 대비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100 중량% 기준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재생수지 42.0 42.0 42.0 42.0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
-

3.0

5.0

7.0
수산화마그네슘 45.0 45.0 45.0 44.5
규회석 10.5 7.0 5.0 4.0
카본 2.0 2.0 2.0 2.0
팜왁스 0.5 1.0 1.0 0.5
구분 시험방법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IZOD충격강도
(Kj/㎡)
KS M 3015 3.18 4.52 5.15 5.22
굴곡강도
(MPa)
KS M 3015 27.22 36.22 38.36 39.01
인장강도
(MPa)
KS M ISO 527-2 14.99 13.41 13.02 13.01
난연성 KS M 3015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소화시간 KS M 3015 2분20초 1분40초 1분35초 1분37초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가 첨가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바닥블럭부가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가 첨가되지 않은 비교예 1보다 충격강도, 굴곡강도, 인장강도, 난연성, 소화시간이 우수함이 증명되었다. 이는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가 폴리올레핀계 수지인 재생수지를 이루는 재생 PP수지 및 재생 PE수지 모두와 상용성을 이루고 재생수지와 무기질 성분(수산화마그네슘, 규회석)과의 결합력을 높였기 때문이다. 지방산으로 개질된 DGEBA 에폭시 수지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강성은 증가하지만 그 증가 폭은 미미하였고, 인장강도가 미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1에서 실시예 3으로 갈수록 규회석의 함량을 감소하여도 충격강도와 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우수한 강도 물성과 난연성을 갖는 바닥블럭부(10)는 탑재판부(20)에 탑재되어 주거연장공간의 바닥에 배열된다. 바닥블럭부(10)와 탑재판부(20)는 다수개의 제1 투수홀(11)과 제2 투수홀(21)을 각각 형성하여 투수성을 갖는다. 바닥블럭부(10)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다양한 패턴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30)는 탑재판부(20)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형성되며,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하면 탑재판부(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등지면 탑재판부(20)에 탑재된 바닥블럭부(10)를 고정 지지한다. 돌기부(30)는 탑재판부(20)와 일체로 성형되며, 가볍고 단단하며 내식성, 내화학성 등 물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예를 들면, 탑재판부(20) 표면의 돌기부(30)는 탑재판부(20)의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내부가 빈 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하면, 즉 아래로 놓이면 탑재판부(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등지면 즉, 위로 놓이면 탑재판부(20)에 탑재된 바닥블럭부(10)를 감싸 고정 지지한다. 이와 같은 돌기부(30)는 바닥블록부(10)를 감싸는 격자 무늬의 줄눈을 형성하여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사각 형태의 돌기부(30)에는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시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즉, 물 빠짐 통로를 형성하는 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31)은 돌기부(20)의 4개의 개구 변에 각각 형성되어 바닥블럭부(10)와 탑재판부(20)를 투수한 물이 돌기부(30) 내부에 고이지 않고 사방으로 원활히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각 형태를 이루는 돌기부(30)의 각 내벽면들에는 끼움돌기들(35)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닥블록부(10)는 끼움돌기들(35)과 대응하는 끼움홈들(15)이 형성되고, 바닥블록부(10)가 탑재판부(20)의 표면에 탑재시 끼움홈들(15)이 끼움돌기들(35)에 대응하여 끼워져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탑재판부(20) 이면의 돌기부(30)는 탑재판부(20) 이면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서로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기부(30)는 탑재판부(20) 이면의 마주보는 2변의 모서리 부위에 서로 거리를 두고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하면, 즉 아래로 놓이면 탑재판부(2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등지면 즉, 위로 놓이면 탑재판부(20)에 탑재된 바닥블럭부(10)를 고정 지지한다. 이와 같은 돌기부(30)는 파선 무늬의 줄눈을 형성하여 심플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탑재판부(20) 이면의 돌기부(30)는 서로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시 바닥블럭부(10)와 탑재판부(20)를 투수한 물이 돌기부(30) 사이를 통해 고이지 않고 사방으로 원활히 빠져 나갈 수 있다.
한편, 탑재판부(20)는 배열시 서로 결합되어 바닥블록부(10)의 안정된 배열 상태를 유지하는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재판부(20)의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는 날개부(41)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날개부(41)에는 고정돌기(43)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탑재판부(20)에는 탑재판부들(20)의 배열시 고정돌기들(43)과 각각 대응하여 끼워져 탑재판부들(20)을 서로 결합하여 고정하는 고정홈(45)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43)는 탑재판부(20)의 이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고, 탑재판부(20)의 표면에는 고정홈(45)의 위치에 돌부를 돌출 형성하여그 돌부를 통해 고정홈(45)이 탑재판부(20)의 이면으로부터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홈(45)은 날개부(41)와 대면하는 부위를 날개부(41)의 두께 만큼 단차져 고정홈(45)에 고정돌기(43)가 끼워지면 날개부(41)가 탑재판부(20)와 동일면을 이루도록 함이 좋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부(20)의 표면에 바닥블록부(10)가 탑재되어 배열되면, 고정돌기(43)가 아래에서 위로 고정홈(45)에 끼워져 배열을 고정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판부(20)의 이면에 바닥블록부(10)가 탑재되어 배열되면, 고정돌기(43)가 위에서 아래로 고정홈(45)에 끼워져 배열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이격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물 흐름성이 좋아 물 빠짐이 좋고, 강도가 우수하고 자외선 등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외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우수한 품질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바닥블럭부 11: 제1 투수홀
15: 끼움홈 20: 탑재판부
21: 제2 투수홀 30: 돌기부
31: 홈 35: 끼움돌기
41: 날개부 43: 고정돌기
45: 고정홈

Claims (5)

  1. 다수개의 제1 투수홀을 갖는 바닥블럭부;
    제2 투수홀을 갖고 상기 바닥블럭부를 탑재하며, 상기 바닥블럭부를 주거연장공간의 바닥에 배열하는 탑재판부; 및
    상기 탑재판부의 표면과 이면에 각각 형성되며,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대면하면 상기 탑재판부를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고, 주거연장공간의 바닥과 등지면 상기 탑재판부에 탑재된 상기 바닥블럭부를 고정 지지하는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블럭부는 재생 PP수지와 재생 PE수지로 이루어진 재생수지,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지방산으로 개질된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 DGEBA)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화학식 1]
    Figure 112021118738241-pat0001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부 표면의 돌기부는 상기 탑재판부의 표면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사각 형태를 이루고, 물이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부 이면의 돌기부는 상기 탑재판부의 이면의 각 모서리 부위에 서로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탑재판부의 이웃하는 2개의 측면에는 날개부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는 고정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탑재판부에는 상기 탑재판부들의 배열시 상기 고정돌기들과 각각 대응하여 끼워져 상기 탑재판부들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5. 삭제
KR1020200169144A 2020-12-07 2020-12-07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KR102342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44A KR102342964B1 (ko) 2020-12-07 2020-12-07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44A KR102342964B1 (ko) 2020-12-07 2020-12-07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964B1 true KR102342964B1 (ko) 2021-12-24

Family

ID=79176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44A KR102342964B1 (ko) 2020-12-07 2020-12-07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96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512U (ja) * 2004-04-08 2004-09-30 株式会社吉住 タイル等敷設用フレーム
JP2004332527A (ja) * 2003-04-15 2004-11-25 Akio Kawashima 装飾板ユニット
JP2005016283A (ja) * 2003-06-06 2005-01-20 Eidai Kako Kk ピース床材及びピース床材用ベース体
KR101370730B1 (ko) 2011-11-01 2014-03-07 (주)엘지하우시스 듀얼 발코니 블럭
KR101954406B1 (ko) * 2018-07-12 2019-03-06 임명환 난연성의 친환경 판재
KR102066483B1 (ko) * 2018-09-18 2020-01-15 한국화학연구원 지방산 개질된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계 강인화제,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527A (ja) * 2003-04-15 2004-11-25 Akio Kawashima 装飾板ユニット
JP2005016283A (ja) * 2003-06-06 2005-01-20 Eidai Kako Kk ピース床材及びピース床材用ベース体
JP3104512U (ja) * 2004-04-08 2004-09-30 株式会社吉住 タイル等敷設用フレーム
KR101370730B1 (ko) 2011-11-01 2014-03-07 (주)엘지하우시스 듀얼 발코니 블럭
KR101954406B1 (ko) * 2018-07-12 2019-03-06 임명환 난연성의 친환경 판재
KR102066483B1 (ko) * 2018-09-18 2020-01-15 한국화학연구원 지방산 개질된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계 강인화제, 에폭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8329C (en) Covering panel
CN103554751B (zh) 一种塑木复合材料地板及其制备方法
KR101416517B1 (ko)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고강도 난연성 합성목재
KR100948371B1 (ko) 갈대 복합재, 복합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축재
BE1018453A3 (nl) Geschuimde pvc profielen met hoog gehalte minerale vulstof en hun gebruik.
CN110406222A (zh) 一种发泡pvc共挤耐候花箱型材及其制备方法
AU2010263466A1 (en) Bagasse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interior material using same
KR102342964B1 (ko) 주거연장공간용 바닥블럭
US9085671B2 (en) Mineral based fillers used as a substitute for wood fillers in simulated wood products and simulated woo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RU2700869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композиция прокладок для защиты от каменистой породы из вспененного пвх-п
KR101549875B1 (ko) 고강도 및 수축팽창율이 낮은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90340B (zh) 一种户外高耐候性高强度共挤塑木复合地板及其制造工艺
KR20150075837A (ko)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US20040175563A1 (en) Thick thermoplastic composites
US11034838B2 (en) Composite material and composite product
KR101918651B1 (ko) 내구성이 향상된 합성목재 성형체.
US20160053075A1 (en) Extrudable capstock compositions
KR101406258B1 (ko) 압출 성형된 합성목재를 이용한 난간살 일체형 발코니 창호
KR101849141B1 (ko) 고유동 및 고충격강도를 갖는 경량화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7986B1 (ko) 친환경 바닥재
KR100689342B1 (ko)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폐비닐을 이용한 다중 탄성블록
KR100507384B1 (ko) 온돌용 바닥재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35740B1 (ko) 스포츠시설용 조립식 바닥재 제조방법
CA2582817A1 (en) Non-organic composite lumber
KR100507385B1 (ko)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