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520Y1 -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 Google Patents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520Y1
KR200308520Y1 KR20-2002-0038687U KR20020038687U KR200308520Y1 KR 200308520 Y1 KR200308520 Y1 KR 200308520Y1 KR 20020038687 U KR20020038687 U KR 20020038687U KR 200308520 Y1 KR200308520 Y1 KR 200308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her
longitudinal direction
main body
mixed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8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순호
Original Assignee
신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순호 filed Critical 신순호
Priority to KR20-2002-0038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5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황토가 주원료로 제작되어 건축물의 벽체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황토를 주원료로 하는 혼합황토를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고, 상ㆍ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성이 간편한 한편 외적 디자인이 미려하며,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의 방사효과가 높은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황토를 주원료로 형성된 기존의 건축자재에 있어서, 황토와 맥반석, 숯, 볏짚 등이 혼합된 혼합황토를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며, 상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돌기와 대응하는 적층홈이 하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혼합황토를 응집하며,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된 고정바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편과 지지바가 부착된 심체로 구성되는 것을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building materials a yellow soil mold}
본 고안은 황토가 주원료로 제작되어 건축물의 벽체시공에 사용되는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황토를 주원료로 하는 혼합황토를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고, 상ㆍ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성이 간편한 한편 외적 디자인이 미려하며,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의 방사효과가 높은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최근에 이르러 보다 많은 효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다방면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이는 황토에서 유익한 원적외선이 복사되어 인체에 흡수됨으로 신진대사가 원활히 이루어져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방지, 각종 성인병 예방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황토로 이루어진 환경은 콘크리트와 같은 환경에서의 유해물질을 탈피할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가능케 하고, 탁월한 흡착력으로 냄새를 제거하고 우수한 항균성으로 곰팡이 등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우리의 주거환경을 쾌적한 생활공간으로 만들어 준다.
또한, 황토로 된 가옥은 복사난방에 의한 열전달 효과로 방전체의 온도가 균일하고 여름에는 시원하며 겨울철에는 따뜻하다. 이와 같이 황토는 축열 효과가 뛰어나 황토방의 시공은 콘크리트나 온돌바닥에 비해 상당한 에너지가 절감되어 난방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황토벽돌과 황토마감재 등을 이용한 건축물이 폭넓게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나, 종래의 황토벽돌은 일반적인 벽돌의 형상으로 건축물에서 벽체의 시공시 적층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떨어지고, 일반 벽돌에 비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져 파손 및 균열이 쉽게 발생하는 실정이며, 외적인 디자인이 고려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황토마감재를 이용한 건축물은 일반 벽돌이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벽체의 내부에 마감기능으로 설치됨으로서, 사실상 인체에 미치는 효과가 미흡한 실정으로 황토에 의한 효과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황토를 이용한 건축물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건축물에서 벽체의 시공시 상ㆍ하 적층구조를 갖도록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은 한편 벽체의 시공이 간편하며, 외적인 디자인이 미려하고 시공작업시 파손과 균열이 방지되는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고안은 황토를 주원료로 형성된 기존의 건축자재에 있어서, 황토와 맥반석, 숯, 볏짚 등이 혼합된 혼합황토를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며, 상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돌기와 대응하는 적층홈이 하단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혼합황토를 응집하며,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된 고정바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편과 지지바가 부착된 심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를 단면한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심체의 일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적층상태의 측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0a: 상단면
10b: 하단면 11: 적층돌기
12: 적층홈 13: 곡면부
20: 심체 21: 고정바
22: 지지편 23: 지지바
본 고안은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고, 상ㆍ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성이 간편한 한편 외적 디자인이 미려한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1 내지 도 8 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을 자세히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황토를 주원료로 형성된 건축용 벽돌과 마감재 등의 건축자재에 있어서, 황토와 맥반석, 숯, 볏짚 등이 혼합된 가루형태의 혼합황토를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며, 상단면(10a)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돌기(11)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돌기(11)와 대응하는 적층홈(12)이 하단면(10b)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혼합황토를 응집하며,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된 고정바(21)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편(22)과 지지바(23)가 부착된 심체(20)로 구성되는 것을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체(10)는 성형금형과 프레스를 이용하여 가루형태의 혼합황토를 고압으로 압축시켜 성형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은 이미 공지 공용된 기술로 분말을 고압으로 압축하여 고형화 시키는 기술이다.
본 고안에서 본체(10)는 가루형태의 황토를 주원료로 하며, 여기에 원적외선의 방사효과가 높은 맥반석과, 제습 및 탈취, 여과, 흡착효과가 탁월한 숯과, 응집력이 높은 섬유질의 볏짚 등을 적당량 혼합한 혼합황토를 고압으로 압축시켜 성형된다.
본체(10)는 적층 시공되어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도록 소정길이를 갖게 형성되며, 측면이 일반적인 사각체로 상단면(10a)의 중간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돌기(11)가 형성되고, 또한 하단면(10b)의 중간 위치에는 상기 적층돌기(11)와 대응하는 적층홈(12)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상단면(10a)과 하단면(10b)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돌기(11)와 적층홈(12)이 형성되므로 본체(10)위에 또다른 본체를 적층시키면 상단면(10a)에 형성된 적층돌기(11)가 상부에 적층되는 또다른 본체의 적층홈(12)에 끼워져 시공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심어져 내장된 심체(20)는 고압으로 압축되는 혼합황토를 응집하고, 강한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기능으로 본체(10)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된다.
상기 심체(20)는 본체(10)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고정바(21)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편(22)이 부착되고, 상기 지지편(22)의 끝단에 고정바(21)의 길이 방향으로 지지바(23)가 부착되며, 지지편(22)은 소정 간격으로 고정바(21)에 부착되고 지지바(23)는 고정바(21)의 길이로 형성되어 부착된다.
한편 본 고안은 외적 디자인이 미려한 본체(10)의 다른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된 도 6 내지 도 8 과 같이 건축물의 벽체시공시 실외와 실내에 위치하는 본체(10)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곡면부(13)를 형성한 것으로, 본체(10)의 양측면에 곡면부(13)를 형성하거나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 본체(10)의 측면에 곡면부(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 형성된 곡면부(13)는 통나무를 연상시키는 효과로 시각적인미려함을 주는 것이며, 벽체의 시공시 실외측은 별도의 마감작업이 필요치 않고, 실내측은 석고보드나 인테리어를 위한 마감재를 부착하여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시공시 기초공사가 마무리된 상태에서 기초위에 본체(10)를 적층시켜 벽체를 시공하게 되며, 상하 적층되는 본체(10)의 상단면(10a)과 하단면(10b)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적층되는 본체(10)의 결합력과 기밀성을 높일 수 있고, 벽체의 강도와 내구성을 한층 높이게 된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황토를 주원료로 하는 혼합황토를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여 강도와 내구성이 매우 높고, 건축물에서 벽체의 시공시 상ㆍ하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성이 간편한 한편 외적인 디자인이 미려하며, 시공작업시 파손과 균열이 방지되고 인체에 이로운 원적외선의 높은 방사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황토를 주원료로 형성된 건축용 벽돌과 마감재 등의 건축자재에 있어서,
    황토와 맥반석, 숯, 볏짚이 적당량 혼합된 가루형태의 혼합황토를 프레스로 압축 성형하며, 상단면(10a)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돌기(11)가 형성되고, 상기 적층돌기(11)와 대응하는 적층홈(12)이 하단면(10b)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되어 혼합황토를 응집하며,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내장된 고정바(21)에 방사상으로 다수의 지지편(22)과 지지바(23)가 부착된 심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곡면부(1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KR20-2002-0038687U 2002-12-27 2002-12-27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KR200308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87U KR200308520Y1 (ko) 2002-12-27 2002-12-27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8687U KR200308520Y1 (ko) 2002-12-27 2002-12-27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520Y1 true KR200308520Y1 (ko) 2003-03-28

Family

ID=4940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8687U KR200308520Y1 (ko) 2002-12-27 2002-12-27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5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5253B1 (ko) 중공형 경량 블록
KR100359736B1 (ko) 다공성 건축자재 및 제조방법
KR200308520Y1 (ko) 황토로 형성된 건축자재
CN115427645A (zh) 利用骨架板体的多用途砖
KR100372149B1 (ko) 흙벽돌의 제조방법 및 동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흙벽돌
KR101846304B1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KR100702668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14079B1 (ko) 난방배관용 패널 제조방법 및 그 제조금형
KR100736191B1 (ko) 건축물 내장재
KR101193231B1 (ko) 친환경 황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01874143U (zh) 隔热保温砖
KR100758539B1 (ko) 건축용 황토판넬
KR100356279B1 (ko) 은타일 제조방법 및 은타일
KR101196541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200394331Y1 (ko) 옥석부산물을 이용한 건축용 타일
KR100346030B1 (ko) 황토 벽돌 제조 방법
KR100948942B1 (ko) 황토 패널을 이용한 마감 시공 방법 및 그 마감 구조물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674196B1 (ko) 황토 타일 및 황토 타일 제조 방법
KR100403856B1 (ko) 파유리를 이용한 무기질 건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704740B1 (ko) 온수파이프 배관용 온돌판재어셈블리
KR100358784B1 (ko) 황토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88555A (ko) 조립식 온돌용 바닥재
KR200249616Y1 (ko) 인체에 유익한 온돌용 패널
KR200301789Y1 (ko) 그물을 이용한 황토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