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6568B1 -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6568B1
KR102166568B1 KR1020190046701A KR20190046701A KR102166568B1 KR 102166568 B1 KR102166568 B1 KR 102166568B1 KR 1020190046701 A KR1020190046701 A KR 1020190046701A KR 20190046701 A KR20190046701 A KR 20190046701A KR 102166568 B1 KR102166568 B1 KR 102166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ypress
parts
powder
wal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기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편백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편백세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편백세상
Priority to KR102019004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9D1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나무 분말, 파동석 분말, 왕겨 분말, 접착성 바인더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은 친환경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흡방습 조절, 테라피 및 숙면 효과,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 항균·항진균 효과 및 탈취 효과 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Eco friendly wall painting composition comprising Chamaecyparis obtusa and method of construc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백나무 분말, 파동석 분말, 왕겨 분말, 접착성 바인더 및 충전재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식 건물은 대부분 시멘트가 주성분으로 된 콘크리트 및 벽돌로 건설되어져 인체에 해로운 물질이 방출됨과 동시에 내장재로는 합성수지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물로부터 방출되는 미량의 휘발성 화학물질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고, 나아가 인체에 악영향을 미쳐 두통,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질환을 일으키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왔다.
또한, 건축물 내벽 마무리용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벽지는 일반적으로 염화비닐 벽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벽지에는 유기 염소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프탈산 화합물 함유 가소제 및 포르말린 함유 접착제 등이 사용됨으로써 포름알데히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벽지를 벽 바름재로 대체하려는 연구들도 진행되었으나, 여전히 바인더로서 합성 수지 에멀션을 사용하고 있어, 이러한 합성수지 에멀션을 갖는 조성물은 에멀션 내부에 미반응의 모노머가 일부 존재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을 발생하여 화학물질 과민증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수지 에멀젼과 탄산칼슘, 안료, 사문옥석, 귀양석, 경옥, 연옥으로 혼합된 사문옥석이 포함된 마감재(특허문헌 1), 수성 도료, 유성 도료와, 수정, 제올라이트, 토르말린, 자수정, 생광석, 죽탄, 흑요석, 귀양석, 의왕석, 광명석, 귀신석으로 된 세라믹 파우더와, 금강토 파우더로 조성된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특허문헌 2)이 알려져 있다.
또한, 바인더로서 기존 합성수지 에멀션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 단백질계 수지를 이용한 벽 벽 바름재 조성물(특허문헌 3), 기존의 합성수지 벽 바름재와 달리 주 결합재로서 소석회를 사용하고 보조 결합제로서 잠재 수경성 포졸란 물질을 사용하는 친환경 미네랄 바이오 벽 벽 바름재 조성물(특허문헌 4)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친환경 자연소재로서 식물성 및 광물성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원적외선 방출량이 풍부하고, 항균·항진균 효과, 탈취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으며, 자연 친화적인 건축 마감재용 벽 바름재 조성물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303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1158호 등록특허공보 제10-0635334호공 등록특허공보 제10-059193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합성수지 등과 같은 화학물질을 포함하지 아니하고, 천연소재 만을 포함함으로써,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량이 풍부하고, 흡방습조절,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 항균·항진균 효과, 탈취 효과 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파동석 분말 5~15 중량부, 왕겨 분말 5~15 중량부 접착성 바인더 15~30 중량부 및 충전재 5~30 중량부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접착성 바인더가 전분 및 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충전재가 화산재, 규사, 화산재, 셀룰로이드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 삼나무 및 미송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목분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나무(Tea Tree), 유칼립투스(Eucalyptus), 주니퍼베리(Juniper Berry), 타임(Thyme), 시더우드(Cedarwood), 시트로넬라(Citronella), 시나몬(Cinnamon), 바질(Basil), 라임(Lime) 및 라벤더(Lavender)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의 정유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물에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바름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100~200 중량부를 첨가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물에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시멘트, 석고보드, 합성보드, 초배지, 합성수지재, 벽면, 천정, 이동식 시트, 조립식 시트 또는 패널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은 친환경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흡방습조절, 테라피 및 숙면 효과, 포름알데히드 제거효과, 항균·항진균 효과 및 탈취 효과 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건축 마감재용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 의해, 종래에 종이 벽지 또는 비닐 벽지의 도배로 포르말린 함유 접착제 등에 의한 유해물질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축 마감재용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은 식물성 및 광물성 천연소재로 인해, 주거환경으로서 적합한 습도 유지의 효과가 있고, 쾌적한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비교예 2에 의한 벽 바름재 조성물을 24시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실시예 1에 의한 벽 바름재 조성물을 24시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의한 벽 바름재 조성물의 포름알데히드 방출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은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파동석 분말 5~15 중량부, 왕겨 분말 5~15 중량부 접착성 바인더 15~30 중량부 및 충전재 5~3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 웰빙용품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피톤치드(phytoncide)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제거하고 모기 등과 같은 위해 곤충을 퇴치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편백나무 분말은 조성물 중에 치밀하고 고르게 분산되기 위하여, 입자 크기가 500~700 메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파동석(波動石)은 각섬석의 일종으로서, 적외선, 음이온, 테라헤르츠 파동을 인체에 깊이 침투하게 하여 좋은 물질을 몸속에 전달하고, 독소 및 지방분해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면역력 강화와 자연 치유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파동석의 평균 입자 크기는 상기 광물질이 조성물 중에 치밀하고 고르게 분산되기 위하여, 3000~3500 메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왕겨(rice chaff)는 벼의 거칠고 단단한 겉껍질로서, 퇴비나 연료용으로 사용되어 왔는데, 나쁜 냄새도 없애 주고,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건강에 좋은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왕겨는 습도조절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이를 포함하는 벽 바름재 조성물로 시공할 경우, 건축물 실내의 습도를 조절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접착성 바인더로는 전분 및 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분은 옥수수, 타피오카, 밀, 감자 등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전분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전분 입자 사이로 물이 침투해서 전분 입자가 부풀어 오르고, 결국에는 전분의 반결정 구조가 붕괴된다. 이 때 갇혀있던 아밀로스 분자가 전분입자로부터 빠져나오고, 이 아밀로스 분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전분액의 점성이 높아져서 풀처럼 끈적하게 된다.
상기 마(Dioscorea batatas)는 끈적끈적한 점질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접착성 바인더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충전재로는 화산재, 규사, 셀룰로이드 및 제올라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산재(ash)는 화산 활동으로 인한 충격이나 화산 가스의 침식 등으로 부서진 상태로 방출되는 암편들을 화산 쇄설물이라 하며, 이 중 화산에서 분출된 용암의 부스러기 가운데 입자 크기가 0.25~2mm 정도의 작은 알갱이들의 퇴적물을 일컫는다.
상기 규사(quartz sand)는 이산화규소(SiO2) 성분이 주 성분을 이루는 모래를 말하는 것으로서, 오래 전부터 콘크리트 또는 건축재료로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셀룰로이드(celluloid)는 초산 섬유소 약 70%에 가소제로서 장뇌 약 30%를 가하여 얻어지는 섬유소 플라스틱으로서, 무색 투명하나 염료, 안료를 배합하면 착색되며, 연소성이 크고, 아름다운 광택과 상당한 경도를 가지며, 열가소성으로 90℃에서 연화하고, 냉각하면 단단해지므로 각종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zeolite)는 규소(Si)와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결정체로서, 결정 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제올라이트의 이러한 성질은 본 발명 조성물에서 항균 및 탈취 흡착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서, 상기 제올라이트는 모데나이트에 나트륨(Na) 양이온을 치환시킨 활성 모데나이트를 타일러 표준체에 의한 입자 크기가 3000~3500 메쉬로 분말화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충전재는 충전 기능 뿐만 아니라, 탈취 및 조습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은 상기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나무, 삼나무 및 미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목분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나무, 삼나무, 미송 등과 같은 침엽수는 테르펜류, 알칼로이드,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물질과 같은 비휘발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톤치드를 방출한다.
상기 피톤치드는 식물이 다른 미생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방출하는 살균물질로서, 식물의 종류 또는 병원균의 종류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피톤치드를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삼림욕을 할 때 이러한 피톤치드의 영향으로 스트레스 해소, 거담, 강장 또는 심폐 기능 강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목분은 상기 조성물 중에 치밀하고 고르게 분산되기 위하여, 입자 크기가 500~700 메시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은 상기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차나무(Tea Tree), 유칼립투스(Eucalyptus), 주니퍼베리(Juniper Berry), 타임(Thyme), 시더우드(Cedarwood), 시트로넬라(Citronella), 시나몬(Cinnamon), 바질(Basil), 라임(Lime) 및 라벤더(Lavend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정유 10~2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악취는 유기물의 산화에 의한 부패작용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수목이나 허브 등에서 추출한 정유가 가지고 있는 항균 성능 및 공기정화 기능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키고 항균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천연 정유는 합성 항균물질에 비해 내성균에 대한 안전성이 높고, 인체에 유해성이 적다. 또한, 천연 정유는 고유의 향기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소취력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은 시멘트, 석고보드, 합성보드, 초배지, 합성수지재, 벽면, 천정, 이동식 시트, 조립식 시트 또는 패널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이용하여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시공 방법에서,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100~200 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시공 방법에서, 상기 물에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시멘트, 석고보드, 합성보드, 초배지, 합성수지재, 벽면, 천정, 이동식 시트, 조립식 시트 또는 패널에 도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시공 방법에서, 상기 도포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 사용하는 코팅 방법들, 예를 들어 스프레드 코팅,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 그라비아 코팅, 콤마 코팅, 롤 코팅, 바 코팅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코팅되는 벽지 또는 벽의 재질, 요구조건 또는 면적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그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단위: 중량부)의 조성과 같이, 준비한 편백나무 분말, 파동석 분말, 왕겨 분말, 접착성 바인더, 충전재, 목분 및 식물 정유를 혼합하고, 균질화하여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 편백나무 분말은 600 메쉬 입자로 볼밀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고, 파동석 분말 및 왕겨 분말은 3200 메쉬 입자로 볼밀 분쇄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접착성 바인더 1로는 감자전분 분말, 접착성 바인더 2로는 옥수수전분 분말과 마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충전재 1로는 입자 크기 0.5~1mm인 화산재를 사용하였고, 충전재 2로는 입자 크기 3200 메쉬의 화산재, 규사 및 셀룰로이드가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한편, 목분 1로는 600 메쉬 입자로 볼밀 분쇄한 소나무 분말을 사하였고, 목분 2로는 600 메쉬 입자로 볼밀 분쇄한 삼나무 분말과 미송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식물정유 1로는 유칼립투스(Eucalyptus) 정유를 사용하였고, 식물정유 2로는 차나무(Tea Tree) 정유와 라벤더(Lavender) 정유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편백나무 100 100 100 100 -
파동석 10 10 10 - -
왕겨 10 10 10 - 10
바인더 1 25 - - 25 25
바인더 2 - 25 25
충전재 1 50 - - 50 -
충전재 2 - 50 50 - 50
목분 1 - 15 - - -
목분 2 - - 15 - -
식물정유 1 - 15 - - -
식물정유 2 - - 15 - -
<실험예 1> (원적외선 방사 시험)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2의 벽 바름재 조성물을 대상으로 FI-IR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흑체(black body) 대비 측정방법(KCL-FIR-1005:2011)에 의해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단위: %)에 나타내었다. 이때, 측정 온도는 40℃이고, 측정 파장은 5~20㎛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원적외선
방사율
83.4 94.8 94.1 7.8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백나무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벽 바름재 조성물에 비하여, 편백나무에 목분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벽 바름재 조성물의 원적외선 방사율이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편백나무와 목분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벽 바름재 조성물의 경우, 원적외선 방사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항균 시험)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2의 벽 바름재 조성물을 대상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항균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기 표 3(단위: CFU)에 나타내었다.
이때, 시험균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를 Baird-Parker(BP) 한천배지에 도말하고, 35℃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콜로니형성단위(CFU)를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초기 99,000 99,000 99,000 99,000
24 시간후 94 5 2 455,200,00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백나무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벽 바름재 조성물, 편백나무에 목분 및 식물정유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벽 바름재 조성물은 24시간 경과후에 황색포도상구균이 거의 없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편백나무에 목분 및 식물정유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벽 바름재 조성물은 상기 편백나무, 목분 및 식물정유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의 벽 바름재 조성물에 비하여, 항균능이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1a는 비교예 2에 의한 벽 바름재 조성물을 24시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1b는 실시예 1에 의한 벽 바름재 조성물을 24시간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험예 3> (탈취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의 벽 바름재 조성물의 탈취 성능을 탈취시험 방법인 KICM-FIR-1085에 의거하여 암모니아(NH3) 탈취 시험을 실시하고, 120분 경과후의 탈취율을 하기 표 4(단위: %)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2
탈취율 88.6 99.0 99.8 42.5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백나무를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벽 바름재 조성물, 편백나무에 목분 및 식물정유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벽 바름재 조성물은 상기 편백나무, 목분 및 식물정유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2의 벽 바름재 조성물에 비하여, 탈취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편백나무에 목분 및 식물정유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벽 바름재 조성물은 상기 목분 및 식물정유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의 벽 바름재 조성물에 비하여, 탈취능이 상당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포름알데히드 방출 시험)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벽 바름재 조성물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을 시험(시험방법: EPA Method 8315A)한 결과, 그 방출량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름알데히드가 거의 방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편백나무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파동석 분말 10 중량부, 왕겨 분말 10 중량부, 옥수수전분과 마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접착성 바인더 25 중량부, 화산재, 규사 및 셀룰로이드를 1: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충전재 50 중량부, 삼나무 분말과 미송 분말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목분 15 중량부 및 차나무 정유와 라벤더 정유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식물정유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물에 제1항의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을 첨가하여 얻은 혼합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편백나무 바름재의 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100~2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의 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시멘트, 석고보드, 합성보드, 초배지, 합성수지재, 벽면, 천정, 이동식 시트, 조립식 시트 또는 패널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나무 벽 바름재의 시공 방법.
KR1020190046701A 2019-04-22 2019-04-22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166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01A KR102166568B1 (ko) 2019-04-22 2019-04-22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701A KR102166568B1 (ko) 2019-04-22 2019-04-22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6568B1 true KR102166568B1 (ko) 2020-10-16

Family

ID=7303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701A KR102166568B1 (ko) 2019-04-22 2019-04-22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656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54A (ko)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월핀 합성수지류와 생분해 가능한 자연소재를 혼합한 벽지
KR20050123039A (ko) 2004-06-24 2005-12-29 김선경 사문옥석이 포함된 마감재
KR100591932B1 (ko) 2004-06-29 2006-06-20 (주)디오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KR20060081158A (ko) 2005-01-07 2006-07-12 김동오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KR100635334B1 (ko) 2004-11-10 2006-10-17 (주)디오 천연 단백질계 수지를 이용한 벽 바름재 조성물
KR100910739B1 (ko) * 2009-01-09 2009-08-05 주식회사 스카이벽지 벽 마감재 조성물
KR20110086888A (ko) * 2010-01-25 2011-08-02 임기태 다기능 흡음퍼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99239A (ko) * 2016-02-23 2017-08-31 (주)넥타우스인터내셔널 각섬석을 포함하는 패널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0054A (ko) * 2001-04-10 2002-10-23 주식회사 월핀 합성수지류와 생분해 가능한 자연소재를 혼합한 벽지
KR20050123039A (ko) 2004-06-24 2005-12-29 김선경 사문옥석이 포함된 마감재
KR100591932B1 (ko) 2004-06-29 2006-06-20 (주)디오 환경친화형 미네랄 바이오 벽바름재 조성물
KR100635334B1 (ko) 2004-11-10 2006-10-17 (주)디오 천연 단백질계 수지를 이용한 벽 바름재 조성물
KR20060081158A (ko) 2005-01-07 2006-07-12 김동오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KR100910739B1 (ko) * 2009-01-09 2009-08-05 주식회사 스카이벽지 벽 마감재 조성물
KR20110086888A (ko) * 2010-01-25 2011-08-02 임기태 다기능 흡음퍼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70099239A (ko) * 2016-02-23 2017-08-31 (주)넥타우스인터내셔널 각섬석을 포함하는 패널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754B1 (ko) 천연 마감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1602B1 (ko) 친환경 건축 내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2864B1 (ko) 건축용 미장재
KR100837850B1 (ko) 토양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0046395A (ko) 천연소재 및 천연소재와 광물질을 혼합한 수성도료
KR20180110740A (ko)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31848A (ko) 주거 및 생활용품 코팅용 조성물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KR102166568B1 (ko)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160094072A (ko)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층을 갖는 석고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0739B1 (ko) 벽 마감재 조성물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1093160B1 (ko) 벽 마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26774B1 (ko) 천연 소재를 이용한 도료용 도포제 조성물
US7879252B1 (en) Functional cotton spray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KR101446019B1 (ko) 대마액 및 대마 줄기를 이용한 친환경 벽지용 조성물
KR20160066961A (ko) 한지 질감의 표면 마감용 천연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무장판 바닥 마감 공법
KR20100120029A (ko)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2062047B1 (ko) 건축 내외장재 및 액자 제조에 사용되는 친환경 조성물
KR20140100232A (ko) 천연물 면적 확장형 비코팅 천연 벽지
KR101504412B1 (ko) 열린구조를 갖는 천연 벽지
KR101646215B1 (ko) 건축용 파우더형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KR102469623B1 (ko) 향기나는 지점토
KR100939539B1 (ko) 야자액을 첨가한 친환경 건축내장용 숯도료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2316358B1 (ko)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