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158A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81158A KR20060081158A KR1020050001618A KR20050001618A KR20060081158A KR 20060081158 A KR20060081158 A KR 20060081158A KR 1020050001618 A KR1020050001618 A KR 1020050001618A KR 20050001618 A KR20050001618 A KR 20050001618A KR 20060081158 A KR20060081158 A KR 200600811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um
- soil
- weight
- parts
- an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8
- 239000005995 Aluminium silicat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PZZYQPZGQPZBDN-UHFFFAOYSA-N Aluminium silicate Chemical compound O=[Al]O[Si](=O)O[Al]=O PZZYQPZGQPZBDN-UHFFFAOYSA-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2211 aluminium silicate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GNPVGFCGXDBREM-UHFFFAOYSA-N germanium Chemical compound [Ge] GNPVGFCGXDBRE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732 germ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29910052900 il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VGIBGUSAECPPNB-UHFFFAOYSA-L nonaaluminum;magnesium;tripotassium;1,3-dioxido-2,4,5-trioxa-1,3-disilabicyclo[1.1.1]pentane;iron(2+);oxygen(2-);fluoride;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2].[O-2].[O-2].[O-2].[O-2].[F-].[Mg+2].[Al+3].[Al+3].[Al+3].[Al+3].[Al+3].[Al+3].[Al+3].[Al+3].[Al+3].[K+].[K+].[K+].[Fe+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O1[Si]2([O-])O[Si]1([O-])O2 VGIBGUSAECPPNB-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1 raw o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5332 obsidia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52613 tourmal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032 tourmali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40070527 tourmaline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975 ameth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4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2
- 229910052904 quartz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2
- 235000011447 Ge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41000220313 Ge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1330002 Bambuse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0000003917 Bambusa tulda Species 0.000 abstract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s Species 0.000 abstract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77 ja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626 biot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45 discol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579895 Chlorostilbo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5 building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76 emera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76 emera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1 toxic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TUBQDCKAWGHZPF-UHFFFAOYSA-N 1,3-benzothiazol-2-ylsulfanylmethyl 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C1=CC=C2SC(SCSC#N)=NC2=C1 TUBQDCKAWGHZP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69 Calci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63 Calcium Carb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99 Cavia porce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31705 Cica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3147 ERVK-2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826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8070 Interferon-gamm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4328 Interferon-gamm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40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91005771 Peptid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65 Prot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5023 Pseudomonas aeruginosa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517 Pseudomonas aerug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142 Salmon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447 Salmonell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880 Skin irri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6185 Staphylococcus aure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65 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51 eme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4 expanded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08 flo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4627 gamma-interfer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56 inorganic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75 inorganic fill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86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77 physiologic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91 radiatio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4 silicate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56 skin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75 skin irritati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3 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3112 tox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정,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맥반석, 게르마늄 , 황토, 토르말린, 자수정, 생광석, 죽탄, 흑요석, 귀양석, 의왕석, 광명석, 귀신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세라믹 파우더 4~6 중량부에 금강토 파우더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나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강력한 항균력과 탈취력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균을 사멸시키며, 불쾌한 가스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세라믹, 금강토, 모르타르, 수성도료, 유성도료
Description
도 1(a)는 금강토 파우더를 포함하는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b)는 금강토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성도료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c)는 금강토 파우더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성도료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의 음이온 방출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b)는 금강토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성도료의 음이온 방출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c)는 금강토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성도료의 음이온 방출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Blank와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 모르타 르 마감재의 시간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b)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Blank와 금강토를 포함하는 기능성 수성도료의 시간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c)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Blank와 금강토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성도료의 시간경과에 따른 가스농도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와 도 4(b)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 건축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과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의 초기 상태의 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를 비교측정한 결과 사진이다.
도 4(c)와 도 4(d)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 건축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과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10분 경과 후의 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를 비교측정한 결과 사진이다.
도 4(e)와 도 4(f)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 건축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과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의 전원을 끈 상태에서 5분 경과 후의 적외선 방사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를 비교측정한 결과 사진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균, 탈취성능이 뛰어나면서도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 파우더를 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료는 각종 건축물의 도장을 비롯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최근 들어 경제성장이 빠르게 진행되어 삶이 윤택해짐에 따라 각종 식생활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생활용품이나, 건축재, 섬유재 등이 외관 및 기능적으로 고급화되어 가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고급화 추세에 맞추어 단순한 기능 이외에 새로운 물성, 새로운 기능을 발휘하는 여러가지 기능성을 부가한 도료가 개발되고 있다.
생활용품의 경우에는 내산성, 내마모성, 내구성, 내열성, 내부식성등의 기능성이 주로 요구되고, 방음재, 단열재, 바닥재등의 건축재나 섬유재등은 항균성, 탈취성, 원적외선 방사, 음이온 발생등과 같은 기능성이 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건축물에 적용되는 종래의 수성도료는 아크릴 에멀젼 수지에 탈크(talc), 탄산칼슘 등의 무기질 필러(filler)와 일반 유색안료(pigment)를 혼합한 것으로 사용목적이 단순히 건축물의 미장효과에 그치고 있으며, 기능성을 부여한 인테리어용 수성도료의 경우는 가격이 비싸 주로 인테리어 소품에만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기능성 수성도료로는 예를 들어, 황토 또는 세라믹 계통의 무기질 원료를 사용하여 원적외선을 방출시켜 인체의 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세라믹도료, 인체 에 유해한 박테리아, 해충등의 서식을 억제하는 항균도료 또는 실내에 일정기간 동안 향기를 방사하는 도료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도료의 경우, 천연광물에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방사나 음이온이 발생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후부터 맥반석, 흑운모류등의 천연광물을 수지물에 혼합하여 각종 수성도료에 응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원적외선 방사물질들을 응용하는 기술들은 각각 그 특성에 따라서 적용범위가 한정되어 있거나, 사용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나 음이온 물질이 서로 다른 조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로서, 광범위한 응용을 제안하고 있지 못하며, 특히 일상생활에 밀접한 인체적용 기술에서는 원적외선 방사수치나 음이온 발생수치가 극히 미미하여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는 발포폴리스티렌을 진공 압축하여 제조되는 보온재로서 건축물의 단열재로 사용되며, 석고보드는 가열하여 결정수를 탈수시킨 소석고를 혼화제로 넣은 물로 반죽한 후 보드용 원지 사이에 넣어 판상으로 제근시킨 것으로 아파트 및 주택 시공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내장재는 시공이 간편하고 보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압축강도가 약하여 외부의 충격으로 쉽게 파손되어 화재 시에는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특히 시공시에 형틀과의 박리를 위하여 도포하는 이형제가 벽지에 배어 나와 벽지에 얼룩이 발생되고, 벽지를 변색시키며, 또한 이로 인하여 벽지 표면이 매끄러워서 벽지가 들뜨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이 경제적인 풍요로 인하여 실크벽지와 같이 벽지 이면에 비닐이 부착된 벽지를 사용하여 도배를 함으로써 흡습성이 없는 내장재와 실크 벽지의 비닐간에 벽지 도배시 접착제 역할을 하는 벽지풀이 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그 내에서 곰팡이가 발생되고, 나아가 인체에 해로운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대단위의 아파트 시공 후 입주자들이 입주한 후 여름철에 상기한 벽지에서 곰팡이 발생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벽지를 다시 도배하여야 하는 불편함 및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었다. 또한, 석고보드의 경우에는 방 바닥시공시 시멘트 몰탈 등의 물이 석고보드로 흡수되어 곰팡이가 발생되거나 벽지가 변색되어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시공상 하자가 발생되어 이에 대한 대비책이 요구되었다.
궁극적으로 상기한 내장재나 석고보드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되는 벽지 곰팡이로 인하여 벽지 변색, 벽지 들뜸 등을 예방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그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mortar)를 도포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내장재 외부의 이형제로 인한 접착력 결여와 건조후 시멘트 모르타르(mortar)의 수축현상으로 인해 박리현상이 일어나고 시멘트에서 방출되는 시멘트 독성, 항균력 결여로 인한 곰팡이가 발생되는 등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체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이 가능한 세라믹 파우더와 금강토 파우더를 혼합하여 인체에 유해한 박테리아, 해충, 곰팡이 등의 서식을 방지하는 항균효과와 탈취기능이 우수한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정,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맥섬석, 게르마늄, 황토, 흑옥, 토르말린, 견운모, 생광석, 죽탄, 의왕석, 귀양석, 흑요석, 맥반석, 광명석, 용암, 귀신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세라믹 파우더 4~6 중량부에 금강토 파우더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원재료로 구성됨으로써, 강력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원적외선 방사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하는 재질로서 수 정,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맥섬석, 게르마늄, 황토, 흑옥, 토르말린, 견운모, 생광석, 죽탄, 의왕석, 귀양석, 흑요석, 맥반석, 광명석, 용암, 귀신석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천연석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세라믹 성분들은 건축구조물의 마감재로서 질감을 나타내고, 원적외선 방사율과 음이온을 발생시킴으로써 이를 도료에 혼합시며 각종 건축물 내장재 및 인테리어 소품, 금속제품에 도포됨으로써,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수정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우수한 발열체로서 승온 속도가 빠르고 열전도가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깨끗한 물이 굳어서 얼음이 된 것이라고 생각하여 얼음이라는 의미의 크리스타로스라고도 불리는 수정은 원적외선에 의한 육체적 에너지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중국의 고전에는 가루로 만들어 강장제로 사용하였으며, 최근의 연구에서는 수정의 최첨단 미립자운동 효과가 발견되어 반도체 및 첨단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미세한 다공질의 함수 규산염 광물질로서, 물리적 흡착력과 화학적 양이온 치환작용이 뛰어나 농업, 축산, 환경산업 등에서 비료, 사료, 공해방지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 방사 특성을 이용한 의료기구, 침구류, 건축용 자재로 쓰이고 있다.
일라이트는 황백색 점토 연질광물로서, 8∼14 미크론 내의 원적외선 방사를 하며, 수중에서 다량의 용존산소를 발산하며,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흡착하고 공기중의 악취를 제거하며, 각종 유해균의 서식을 억제하는 항균작용 및 정균작용을 한다. 이런 일라이트 특성으로 농업용, 건축용, 공기정화와 정수용, 화장품의 재료 등 다방면에 활용되고 있다.
맥섬석은 항균, 항충작용을 하며 중금속, 각종 오염물질 등을 흡착, 분해하고, 인체 활력을 주는 40 여종의 미네랄이 함유된 광물로 100mm 두께의 유리를 투과하는 놀라운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가진 광물이다.
게르마늄은 인체와 유사한 반도체성 원소로서, 일본의 아사이 박사는 게르마늄이 우리 몸에 산소를 놀랍도록 풍부하게 해주는 기적의 원소이자 감마 인터페론(암,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 증식억제)을 생성케 하는 경이적인 물질임을 밝혀냈다. 특히 상기한 게르마늄은 93%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가졌으며 생물활성 응용 및 첨단반도체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황토는 프로테아제라는 효소가 들어 있어 노화현상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 지질을 중화 내지는 희석시키며 흙속의 스브리치균이 일산화탄소를 흡수하여 탄산가스로 바꾸며 인체에 발생하는 독소를 중화시킨다. 황토는 이시진의 '본초강목' 토부에 수록되어 있듯이 탁월한 온도, 습도조절, 공기정화기능이 있어서 여름에는 시 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황토는 약성이 뛰어나며, 인체의 필수 광물질인 미네랄이 풍부하여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이 다량으로 방출된다.
흑옥은 다른 옥에 비해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광물로서 인체에 극히 필요한 광물질인 칼슘, 마그네슘을 함유하고 있다. 특히, 인체 세포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 역시 마그네슘으로 되어 있어, 흑옥에서 나오는 기파동과 인체 세포의 기파동이 공명공진 작용을 함으로써 조직의 부 활, 혈액의 약 알칼리화, 체내의 유해 노폐물 배설 등의 신진대사 촉진을 통해 성인병 예방, 부인병 치료 등 건강을 유지하며 몸의 생리적 기능을 강화시키는데 획기적인 도움을 준다.
상술한 7가지 세라믹은 분말화하여 세라믹 파우더로 제조한다. 또한 이러한 7가지의 세라믹 외에도 다른 광물 역시 원적외선 방사와 함께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천연석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율과 음이온의 실제 측정한 값은 하기표 1과 같다. 또한, 상술한 7가지 세라믹과 하기 표상의 세라믹은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천연 광물을 선별, 혼합, 소성 가공하여 원석의 원적외선 방사의 강도를 향상시켰음을 밝혀둔다.
<표 1> 천연석의 원적외선 방사율, 음이온 실제 측정 값
시 료 | 생 산 지 | 원적외선 방사율(%) | 음이온-최대(개/cc) |
토르말린(Tormalin) | 브라질 | 88 | 2,485 |
견운모 | 한국 | 88 | 4,278 |
생광석 | 86 | 2,295 | |
죽탄 | 85 | 2,039 | |
의왕석 | 일본 부산 | 86 | 4,434 |
귀양석 | 군마 | 96 | 9,451 |
흑요석 | 장야 | 753 | |
맥반석 | 기후 | 87 | 758 |
광명석 | 강산 | 792 | |
용암 | 산리 | 96 | 1,341 |
귀신석 | 87 | 2,274 |
한편, 특정 지역에서 출토되는 고령토의 일종(이하, 금강토라 한다)인 금강토는 강력한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음이온 방출능력 역시 우수하다. 금강토를 분말화한 금강토 파우더를 수성도료, 유성도료, 건축 모르타르(mortar) 마감재에 혼합시킬 경우, 그 도료와 모르타르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세라믹 파우더와 금강토 파우더를 수성도료, 유성도료, 모르타르에 혼합할 때, 세라믹 파우더 4~6중량부, 금강토 파우더 4~6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파우더 5중량부, 금강토 파우더 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원적외선 방사율과 음이온 방출률이 가장 우수하다.
하기 표들은 금강토를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 수성도료 및 유성도료에 혼합시킨 경우의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출량을 비교한 것이다.
<표 2>는 금강토를 포함한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 기능성 수성도료, 기능성 유성도료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 양을 측정한 것이며, 본 발명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한국원적외선 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37℃에서 시험하였으며,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한 BLACK BODY 대비 측정결과이다. 또한, 도 1(a), 도 1(b), 도 1(c)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샘플과 금강토를 포함한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 기능성 수성도료, 기능성 유성도료의 원적외선 방사 에너지 양을 측정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2>
구 분 | 방 사 율 (5~20㎛) | 방사에너지 (W/m2·㎛, 37℃) |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금강토) | 0.910 | 3.51×102 |
기능성 수성도료(금강토) | 0.908 | 3.50×102 |
기능성 유성도료(금강토) | 0.906 | 3.49×102 |
<표 3>은 금강토를 포함한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 기능성 수성도료, 기능성 유성도료의 음이온 방출량을 측정한 것이며, 본 발명의 조건에 적합하도록 한국원적외선 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전하입자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19℃, 습도 42%, 대기중 음이온 수 106/cc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이온(ION)수로 표시한 결과이다. 또한, 도 2(a), 도 2(b), 도 2(c)는 이러한 음이온 방출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표 3>
구 분 | 음이온(ION/cc) |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금강토) | 1086 |
기능성 수성도료(금강토) | 1234 |
기능성 유성도료(금강토) | 1204 |
비고 1) 시험방법: KFIA-FI-1042
2) 시 험 편: 100×100mm
도 4(a), 도 4(b),도 4(c)는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 건축 마감재와 본 발명에 따라 금강토를 포함한 건축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을 초기, 전원을 켠 상태로 10분이 경과한 경우, 전원을 끈 상태로 5분이 경과한 후에, 각각에 대하여 적외선 열화상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1℃, 습도 43% 조건에서 시험하였으며, 측정 대상물에서 방사되는 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영상과 온도 데이터로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도 4(a),도 4(b)는 전원을 끈 초기상태로서,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마감재로 시공한 일반 건축 시공면과 금강토를 포함한 마감재로 시공한 건축 시공면 모두 적외선을 발하지 않는 푸른빛을 띠고 있다. 한편, 도 4(c)는 전원을 켠 상태로 10분이 경과한 후의 시공면의 모습으로서 상단의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 건축 시공면은 오렌지색을 띠고 있으나, 도 4(d)의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 시공면은 붉은색을 띠고 있어, 이를 통해 금강토가 함유된 마감재로 시공한 시공면이 적외선을 더 많이 방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e)는 전원을 끈 상태로 5분이 경과된 후의 시공면의 모습으로서, 상단의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일반 건축 시공면은 차가운 계열의 녹색을 띠고 있으나, 도 4(f)의 금강토를 포함한 건축 시공면은 전원을 끈지 5분 후에도 노란색을 띠고 있어, 이로써, 금강토를 포함하는 건축 시공면의 경우 열보존능력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표 4>
구 분 | 적외선 열화상 장치 |
건축 마감재 (일반-초기) | 도 4(a) 상단 사진 참조. |
건축 마감재 (금강토-초기) | 도 4(a) 하단 사진 참조. |
건축 마감재 (일반-전원 ON 10분 경과) | 도 4(b) 상단 사진 참조. |
건축 마감재 (금강토-전원 ON 10분 경과) | 도 4(b) 하단 사진 참조. |
건축 마감재 (일반-전원 OFF 5분 경과) | 도 4(c) 상단 사진 참조. |
건축 마감재 (금강토-전원 OFF 5분 경과) | 도 4(c) 하단 사진 참조. |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세라믹 파우더와 금강토 파우더를 포함한 모르타르나 도료를 제조할 경우, 원적외선을 방사하거나 음이온을 방출시켜 인체의 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기능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해한 박테리아, 해충 등의 서식을 억제하는 항균 도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도료를 금속 또는 플라스틱 기재, 건축자재 등의 표면에 도포하고 열적으로 고밀화시켜 무기질 도막을 형성하게 되며, 피부 자극성 및 인체독성이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고, 특히 강한 살균 작용으로 인체에 유해한 대장균, 녹농균, 황색포도상규균, 살모넬라균 등의 세균들의 생육을 억제하고 사멸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세균들을 사멸시킴으로써, 항균 기능 뿐만 아니라 탈취 기능까지 동시에 하게 된다. 특히, 금강토는 가스 흡착력도 뛰어나 탈취제나 불순물을 빨아들여 제거하는 데 이용하기도 하며,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해서 냄새의 근원을 없애고 그 악취를 흡착한다. 하기의 <표 5>, <표 6>, <표 7>은 각각 금강토 파우더를 포함한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 기능성 수성도료, 기능성 유성도료의 탈취율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a), 도 3(b), 도 3(c)는 각각 금강토 파우더를 포함한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 기능성 수성도료, 기능성 유성도료와 금강토를 포함하지 않은 샘플(Blank)를 비교하여 의 시간 경과에 따른 가스농도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표 5> 건축 모르타르 마감재 (금강토)
시험항목 | 경과시간(분) | Blank 농도(ppm) | 시료농도(ppm) | 탈취율(%) |
탈취시험 | 초 기 | 500 | 500 | - |
30 | 490 | 100 | 80 | |
60 | 480 | 80 | 83 | |
90 | 460 | 70 | 85 | |
120 | 450 | 65 | 86 |
<표 6> 기능성 수성도료 (금강토)
시험항목 | 경과시간(분) | Blank 농도(ppm) | 시료농도(ppm) | 탈취율(%) |
탈취시험 | 초 기 | 500 | 500 | - |
30 | 490 | 110 | 78 | |
60 | 480 | 90 | 81 | |
30 | 460 | 80 | 83 | |
120 | 450 | 70 | 84 |
<표 7> 기능성 유성도료 (금강토)
시험항목 | 경과시간(분) | Blank 농도(ppm) | 시료농도(ppm) | 탈취율(%) |
탈취시험 | 초 기 | 500 | 500 | - |
30 | 490 | 115 | 77 | |
60 | 480 | 95 | 80 | |
90 | 460 | 85 | 82 | |
120 | 450 | 75 | 83 |
(주) Blank: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1) 시험방법: KFIA-FI-1004
2) 시험가스명: 암모니아
3) 가스농도측정: 가스검지관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수성도료, 유성도료, 모르타르에 원적외선 방사 및 음이온 방출 세라믹 파우더와 금강토 파우더를 혼합함으로써, 공기 등의 유독가스, 악취 등을 흡착 제거하는 탈취능력이 탁월하고, 원적외선 방사 효과와 음이온 방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를 유지하고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끼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료에서 발생되는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세균번식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도료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4)
- 수성도료와, 수정,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맥반석, 게르마늄 , 황토, 토르말린, 자수정, 생광석, 죽탄, 흑요석, 귀양석, 의왕석, 광명석, 귀신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세라믹 파우더 4~6 중량부 및 금강토 파우더 4~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강력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유성도료와, 수정,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맥반석, 게르마늄 , 황토, 토르말린, 자수정, 생광석, 죽탄, 흑요석, 귀양석, 의왕석, 광명석, 귀신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세라믹 파우더 4~6 중량부 및 금강토 파우더 4~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강력한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모르타르(mortar)와, 수정, 제올라이트, 일라이트, 맥반석, 게르마늄 , 황토, 토르말린, 자수정, 생광석, 죽탄, 흑요석, 귀양석, 의왕석, 광명석, 귀신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세라믹 파우더 4~6 중량부 및 금강토 파우더 4~6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강력한 원적 외선과 음이온을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세라믹 파우더는 5 중량부이고, 상기 금강토 파우더는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1618A KR100640042B1 (ko) | 2005-01-07 | 2005-01-07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1618A KR100640042B1 (ko) | 2005-01-07 | 2005-01-07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1158A true KR20060081158A (ko) | 2006-07-12 |
KR100640042B1 KR100640042B1 (ko) | 2006-10-31 |
Family
ID=3717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1618A KR100640042B1 (ko) | 2005-01-07 | 2005-01-07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4004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9446B1 (ko) * | 2006-10-12 | 2008-03-06 | (주)나노테크 | 황토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 |
KR100896822B1 (ko) * | 2008-03-14 | 2009-05-11 | 박재풍 | 세라믹 소결체의 제조방법 |
KR101681058B1 (ko) * | 2016-06-02 | 2016-12-02 | 동성콘크리트공업(주) | 레미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
KR20200029105A (ko) * | 2018-09-08 | 2020-03-18 | 조두영 | 황토가 도포된 캔버스 및 그 제작방법 |
KR102166568B1 (ko) | 2019-04-22 | 2020-10-16 | 주식회사 편백세상 |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7277B1 (ko) | 2022-08-19 | 2022-12-13 | 정원근 |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기능을 나타내는 건축 자재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322389A (ja) | 2001-04-24 | 2002-11-08 | Sumio Tanabe | 低温度硬化型多機能性セラミック塗膜材の製造方法及び低温度硬化型多機能性セラミック塗膜の形成方法 |
-
2005
- 2005-01-07 KR KR1020050001618A patent/KR1006400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9446B1 (ko) * | 2006-10-12 | 2008-03-06 | (주)나노테크 | 황토를 이용한 건축재 제조방법 |
KR100896822B1 (ko) * | 2008-03-14 | 2009-05-11 | 박재풍 | 세라믹 소결체의 제조방법 |
KR101681058B1 (ko) * | 2016-06-02 | 2016-12-02 | 동성콘크리트공업(주) | 레미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
KR20200029105A (ko) * | 2018-09-08 | 2020-03-18 | 조두영 | 황토가 도포된 캔버스 및 그 제작방법 |
KR102166568B1 (ko) | 2019-04-22 | 2020-10-16 | 주식회사 편백세상 | 친환경 편백나무 벽 바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40042B1 (ko) | 2006-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3098B1 (ko) | 시멘트가 함유되지 않은 몰탈 조성물 | |
KR20090097600A (ko) | 환경친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640042B1 (ko)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 |
KR100858517B1 (ko) | 천연광물을 이용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 |
KR20080018291A (ko) | 백토를 이용한 도료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4185659A (zh) | 建筑物室内涂饰材料用水溶漆组合物 | |
CN108002805A (zh) | 一种在常温下辐射远红外线的抗菌辐射体、浸泡物及制备方法 | |
KR20160061723A (ko) |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01632B1 (ko) | 건축용 마감재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축용마감재 | |
KR101692421B1 (ko) | 천연 항충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충 페인트 | |
KR100736277B1 (ko) |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
US7879252B1 (en) | Functional cotton spray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 |
KR20060017354A (ko) |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수용성 도료 제조방법 | |
KR100547985B1 (ko) | 욕실 천정판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코팅한 욕실 천정판 | |
KR100850037B1 (ko) | 기능성 건조 시멘트 모르타르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58351B1 (ko) | 친환경 및 기능성 수성 도료 조성물 | |
KR20060084341A (ko) | 천연광물을 이용한 친환경 페인트제조방법 | |
KR20030096754A (ko) | 건축구조물 마감재용 조성물 | |
KR101140797B1 (ko) |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 |
KR100631335B1 (ko) | 옥 파우더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 |
KR20070012284A (ko) | 바이오 세라믹 및 접착제 | |
KR20050111557A (ko) | 원적외선 방사와 수맥파 차단용 소재의 제조방법 | |
KR200326158Y1 (ko) | 탄소성형체 패널을 이용한 침대 | |
KR101625903B1 (ko) | 환경 친화적으로 공기 질 개선효과를 갖고 건축물의 내부도장 및 방수겸용 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이용방법 | |
KR20060119541A (ko) | 건축구조물 마감재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