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0029A -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0029A
KR20100120029A KR1020090039019A KR20090039019A KR20100120029A KR 20100120029 A KR20100120029 A KR 20100120029A KR 1020090039019 A KR1020090039019 A KR 1020090039019A KR 20090039019 A KR20090039019 A KR 20090039019A KR 20100120029 A KR20100120029 A KR 2010012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weight
adhesive
charcoal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4239B1 (ko
Inventor
정종갑
Original Assignee
정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갑 filed Critical 정종갑
Priority to KR1020090039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23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2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은 건설 현장에서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과 같은 건축 자재의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에 탈취력을 갖는 숯을 첨가함으로써, 접착제 자체의 냄새 및 유해물질을 탈취시켜 냄새가 적으며, 건축 자재를 부착함과 동시에 건물 실내 벽면, 바닥 및 건축 자재, 마감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들을 탈취하여 유발 물질을 저감시키고,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방사 및 항균효과를 제공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새집이나 건물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화학물질 방출을 억제 또는 탈취하기 위해 건축마감재의 상부로 코팅제로 코팅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공사 및 입주자들이 코팅제의 코팅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것이 장점이다.
접착제 조성물, 숯, 건축 자재용, 원적외선, 음이온, 항균, 탈취

Description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contained charcoal for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과 같은 건축 자재의 부착 시 건축 자재를 부착함과 동시에 건물 실내 벽면, 바닥 및 건축 자재, 마감재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들을 탈취하여 저감시키고,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방사 및 항균효과를 제공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새집이나 건물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화학물질 방출을 억제 또는 탈취하기 위해 건축 마감재 등의 상부로 코팅제를 도포하여 코팅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의 마감 공사에 주로 사용하는 각종 접착제와 페인트에서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이 방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데, 이 물질은 대기 중 가스 형태로 존재하며 인체에 해로운 것으로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의 주범으로 알려져 있다.
새집증후군이란 집이나 건물을 새로 지을 때 사용하는 건축자재나 벽지, 접착제 및 페인트 등에서 나오는 유해물질로 인해 거주자들이 느끼는 건강상 문제 및 불쾌감을 이르는 용어이다. 이러한 새집 증후군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은 흔히 휘발성 유기용제로 알려진 벤젠, 톨루엔, 클로로포름, 아세톤, 스타이렌, 포름알데히드 등이 있으며 발암물질이거나 또는 발암물질의 화학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집을 지을 때 발생한 라돈, 석면,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오존, 미세먼지, 부유세균과 같은 오염물질도 있다. 이 밖에 곰팡이·바이러스와 같은 세균, 진드기, 애완동물 등의 생물도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이 건물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실내에 축적되면 각종 문제를 일으키게 되는데, 사람이 이러한 오염에 짧은 기간 노출이 되면 두통, 눈·코·목의 자극, 기침, 가려움증, 현기증, 피로감,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오랜 기간 노출이 되면 호흡기질환, 심장병,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실내공기 오염 정도는 집 안팎의 환경조건, 사용한 건축자재의 종류와 공법, 환기시설에 따라 큰 차이가 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실내 공기 오염에 의한 사망자는 연간 280만 명에 이르고, 실내 오염물질이 실외 오염물질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은 약 1,000배에 이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건축 후 처음 6개월 동안 가장 많이 배출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타일이나 마룻바닥을 붙일 때 사용되는 접착제에서는 시공 후 10년 까지 유해물질이 방출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감재, 벽지, 접착제 및 페인트 대신 친환경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또한 환기를 자주하여 실내의 오염물질을 내보내고, 공기정화용품을 사용하여야 했다.
한편, 친환경 소재인 숯을 이용하여 건축 마감재 및 코팅제 등을 제조하여 상기와 같은 실내 공기 오염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숯은 탄소체로서 미세한 기공이 형성된 다공질의 조직으로 되어 있어 방습은 물론, 각종 수자원의 정화기능이 우수하여 천연탈취제와 조습제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전자파 흡수 기능과 원적외선 방출 효과, 음이온 방출에 의한 공기청정 기능, 수맥에서 인체에 유해하게 전달되는 파동의 차단 기능, 전자제품의 전자파 차단 기능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가지 효과를 갖는 숯을 이용한 접착제에 관한 기술로서 특허 출원된 내용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0-0063393호(2000. 11. 6.)로 접착기능을 발휘하는 접착물질과 탈취를 위한 숯과 항균을 위한 항균제가 소정비율로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탈취기능을 가지는 접착제가 공개되어 있으나, 이는 신발의 내면과 안창 표면, 침구와 의복류의 외피와 내피 그리고 정화필터의 필터 외피 등에 이러 한 용도의 원단류를 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접착제로서, 건축마감재와 같은 건축 자재의 접착에 적용하기에는 충분한 부착강도를 가지지 못하였다.
그리고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7679호(2005. 4. 27.)로 숯분말과 접착제를 함유한 숯접착제에 있어서, 350±50 매쉬의 숯분말 20~40중량%와; 접착제로서 폴리초산비닐 55~75중량%와; 습윤제, 무기항균제, 증점제, 원적외선 방사체로 구성된 첨가제 5~10중량%;로 이루어지고 점도가 35000±5000cps이며, 벽지 도배시 풀 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도배용 숯접착제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온돌마루 판재 도배시 별도의 경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하며, 온돌 마루 판재 외의 데코타일 등과 같은 바닥재를 콘크리트나 시멘트로 시공된 바닥에 접착 시 요구되는 접착강도를 충분히 가지지 못하여 바닥재의 접착제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587991호(2006. 6. 1.)로 토루말린 20∼30 중량부, 모나자이트 22∼45 중량부, 제올라이트 10∼20 중량부, 귀사문석 15∼20 중량부로 이루어진 광물질 조성에 대해 접착제를 4: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음이온 발생이 1100∼2200개/cc이고, 포름알데히드의 검출량이 KSF 3111-'01법에 의해 0.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여러가지 광물질을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 탈취 및 항균 효과를 갖는 숯을 이용하여 우수한 포름알데히드 탈취 효과 및 항균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건축 자재용 접착제로서의 충분한 부착강도를 갖도록 하므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과 같은 건축 자재의 부착 시 사용하는 접착제에 숯을 함유시킴으로써, 접착제 자체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용제의 냄새뿐만 아니라 건축자재에 함유되어 있는 포름알데히드까지의 흡착이 가능하고, 건물실내 벽면, 바닥 및 건축 자재, 마감재 등에서 발생되는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들을 저감시켜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방사 및 항균효과를 가지고, 별도의 새집이나 건물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화학물질 방출을 억제 또는 탈취하기 위해 건축마감재의 상부로 코팅제로 코팅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공사 및 입주자들이 코팅제의 코팅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에 사용하는 주성분인 우레탄 수지를 내부에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체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우레탄 발포체에 의한 방음효과가 뛰어나고,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체 분말에 의해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과 같은 건축 자재의 부착 시 접착제의 유동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 25~45 중량%, 에멀젼 수지 18~22 중량%, 숯분말 28~35 중량%, 무기 충전제 7~10 중량%, 송진 1~5 중량%, 증점제 1~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함유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을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우레탄 수지는 분말형태의 우레탄 발포체 분말이고,
상기 우레탄 발포체 분말은 내부에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건설 현장에서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과 같은 건축 자재의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에 탈취력을 갖는 숯을 첨가하여 접착제 자체의 냄새 및 유해물질을 탈취하여 냄새가 적으며, 건축 자재를 부착함과 동시에 건물 실내 벽면, 바닥 및 건축 자재, 마감재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들을 탈취하여 저감시키고,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방사 및 항균효과를 제공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새집이나 건물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화학물질 방출을 억제 또는 탈취하기 위해 건축마감재의 상부로 코팅제로 코팅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공사 및 입주자들이 코팅제의 코 팅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것이 장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제에 사용하는 주성분인 우레탄 수지를 내부에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체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방음효과가 뛰어나고,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과 같은 건축 자재의 부착 시 접착제의 유동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상기와 같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우레탄 수지 25~45 중량%, 에멀젼 수지 18~22 중량%, 숯분말 28~35 중량%, 무기 충전제 7~10 중량%, 송진 1~5 중량%, 증점제 1~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우레탄 수지는 접착제의 내열성 증강시키는 작용을 하고, 플라스틱 접 착이 뛰어나 목공, 건재 분야나 라미네이트용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에멀젼 수지의 다소 부족한 접착강도, 내열성, 내수성을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므로서 접착제의 물성을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우레탄 수지의 사용량은 25~45 중량%이고, 사용량이 25 중량% 미만이면, 접착제의 접착력 및 내열성이 저하되고, 사용량이 45 중량% 초과하면, 접착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반대로 접착력이 저하하고, 접착제의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부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우레탄 수지는 분말형태의 우레탄 발포체 분말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레탄 발포체 분말은 내부에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이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입자의 크기는 300~400 메쉬(mesh)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우레탄 발포체 분말은 내부에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방음효과가 뛰어나고,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이 형성된 우레탄 발포체 분말에 의해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과 같은 건축 자재의 부착 시 접착제의 유동성이 우수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에멀젼 수지는 내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고, 초기점착력, 긴 접착가능시간, 크림상의 손쉬운 작업성, 비인화성, 저취성, 내알카리성, 저장안정성 등의 특성을 이용하여 주로 건축용 PVC 바닥재 타일 접착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접착강도, 내열성, 내수성이 다소 부족하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에멀젼 수지의 사용량은 18~22 중량%이고, 사용량이 18 중량% 미만이면, 숯분말이 접착제에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고 숯분말 덩어리로 형성되어 쉽게 부서지게 되어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지 못해 부착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사용량이 22 중량% 초과하면, 우레탄 수지 또는 숯분말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접착제의 내열성 등의 물성 보강 효과가 미미하게 될 우려가 있고, 숯의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에멀젼 수지는 물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유화중합시켜 물이 20∼60 % 함유된 유화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멀젼 수지 대신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ethylene vinylacetate, EVA),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polyvinylacetate, PVAC),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PU)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 포름알데히드, VOC 등의 문제가 없는 환경친화적인 아크릴에멀젼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숯분말은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여 탈취, 방균 및 곰방이 번식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첨가되는 송진이 흘러 내리거나 부숴지는 것을 완화해주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에서 숯분말의 사용량은 28~35 중량%이고, 사용량이 28 중량% 미만이면, 숯분말의 첨가에 따른 항균, 탈취,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출의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35 중량%를 초과하면, 접착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숯은 참나무, 소나무 , 대나무, 야자나무 등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나무로 제조된 숯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숯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400~500 메쉬(mesh)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숯 대신 제올라이트, 퍼라이트(perlite), 셀라이트(celite), 화이트 카본(white carbon), 활성탄(active carbon) 및 알긴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무기 충전제는 접착제의 점도를 조절하여 경화시 수축을 감소시켜 작업성을 보완하고, 비용을 절감시키며, 접착제의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무기 충전제의 사용량은 7~10 중량%이고, 사용량이 7 중량% 미만이면, 접착제의 점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접착제의 경화시 수축을 감 소시킬 수 없으며, 사용량이 10 중량% 초과하면, 무기 충전제의 분말끼리 뭉쳐져 분산성이 저하되어 균일한 점도의 접착제를 제조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기 충전제로는 피착면의 재질 또는 사용하는 수지의 종류와 양에 따라 그 종류와 양을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탄산칼슘(CaCO3), 황화칼슘, 또는 황화바륨 등과 같은 경탄류, 백클레이, 딕스클레이 또는 황클레이 등과 같은 클레이류, 회분과 같은 규조토류, 또는 실리카(SiO2)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탄산칼슘(CaCO3), 황화칼슘, 또는 황화바륨 등과 같은 경탄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송진은 접착제의 접착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송진의 사용량은 1~5 중량%이고,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접착제의 접착력이 충분히 상승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량이 5 중량% 초과하면, 천연 송진의 특유 성질로 인해 숯분말을 하얗게 변색시키게 된다.
상기 증점제는 접착제의 장시간 보관시 침전물의 발생 억제 및 접착제 도포 시 흘림을 방지하며, 부착력을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증점제의 사용량은 1~3 중량%이고,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접착제의 부착력 보강의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사용량이 3 중량% 초과하면, 접착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 접착제 의 도포 시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증점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알킬셀풀로오스 등으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들면서 상세히 설명하는바,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 예에 의해서만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접착제 제조
(실시예 1)
우레탄 발포체 분말 45 중량%, 아크릴에멀젼 수지 18 중량%, 숯분말 28 중량%, 무기 충전제로 탄산칼슘 7 중량%, 송진 1 중량%, 증점제로 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우레탄 발포체 분말 25 중량%, 아크릴에멀젼 수지 22 중량%, 숯분말 35 중량%, 무기 충전제로 탄산칼슘 10 중량%, 송진 5 중량%, 증점제로 메틸셀룰로오스 3 중량%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우레탄 발포체 분말 60 중량%, 아크릴에멀젼 수지 31 중량%, 무기 충전제로 탄산칼슘 7 중량%, 송진 1 중량%, 증점제로 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우레탄 발포체 분말 48 중량%, 아크릴에멀젼 수지 18 중량%, 숯분말 25 중량%, 무기 충전제로 탄산칼슘 7 중량%, 송진 1 중량%, 증점제로 메틸셀룰로오스 1 중량%를 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단,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되어진 우레탄 발포체 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400 메쉬인 것을 사용하고, 숯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500 메쉬인것을 사용하였다.
2. 접착제 평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와 같이 제조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강도, 원적외선 방출량, 음이온 측정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고, 항균시험 결과는 [표 2]에, 포름알데히드(HCHO) 탈취시험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부착강도(N/㎟) 1.36 1.43 0.87 1.28
원적외선
방출량(40℃)
방사율
(5~20㎛)
0.909 0.912 0.121 0.869
방사에너지
(W/㎡)
3.67×102 3.68×102 0.49×102 3.41×102
음이온측정
(ION/cc)
- 76 77 0 70
1. 부착강도 : KS L 1593에 준하여 실험하였고, 시험체의 구성은 목재, 접착제, 모르타르판으로 하였다.
2. 원적외선 방출량 : KICM-FIR-1005에 준하여 실험하고, 40℃에서 시험하여 FT-IR 스펙트로미터를 이용한 블랙 바디(black Body) 대비 측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3. 음이온 : KICM-FIR-1042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구분 대장균에 의한 항균 시험 녹농균에 의한 항균 시험
Blank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Blank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초기농도
(CFU/40p)
416 416 416 416 416 429 429 429 429 429
24hr후농도
(CFU/40p)
2858 1 1 2693 395 2936 1 1 2816 410
세균 감소율
(%)
- 99.8 99.8 - 95.0 - 99.8 99.8 - 95.6
4. 항균시험 : KICM-FIR-1002에 준하여 실험하였으며, Escherichia coli ATCC 25922와 Pseudomonas aeruginosa ATCC 15442를 균주로 사용하고, 시료를 넣지 않은 Blank 상태와, 시료를 넣은 상태에서 초기 농도와 24시간 경과 후의 세균 감소율을 비교시험하였다. KICM-FIR-1002에 준하여 실험하였다.
구 분 포름알데히드 탈취율(%)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경과시간(분) 0 - - - -
30 73.4 74.1 0 67.7
60 75.0 75.6 0 68.1
90 76.7 77.0 3 69.4
120 78.6 79.8 4 72.3
5. 탈취시험 : KICM-FIR-1085에 준하여 실험하였으며, Blank 농도의 변화 값과 시료농도의 변화값으로부터 각각의 탈취율을 계산하였다.
상기 [표 1]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는 우수한 부착강도를 나타내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매우 높고, 음이온 방사가 각각 76, 77 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대장균 및 녹농균에 대한 Blank 시편의 경우 24시간 경과 후 정상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1, 2는 각각 99.8%의 세균감소율을 나타내어 항균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름알데히드의 탈취율 시험에서도 최종 120분 경과 후에 각각 78.6%, 79.8%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예 1은 접착제 제조 시 숯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우레탄 발포체 분말과 아크릴에멀젼 수지의 사용량이 초과하여 첨가됨으로써, 접착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부착강도가 실시예에 비하여 저하되었고, 숯분말에 의해 나타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가 효과가 없었으며, 항균시험에서는 24시간 경과 후 Blank와 거의 유사하게 세균이 감소하지 않고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포름알데히드의 탈취 시험에서도 거의 포름알데히드를 탈취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2는 접착제 제조 시 숯분말을 사용량 미만으로 첨가하고, 우레탄 발포체 분말 및 아크릴에멀젼 수지를 사용량 초과하여 첨가하므로써, 접착제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게 되어 반대로 접착력이 저하하고, 접착제의 도포가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부착강도가 저하되었고, 또한 충분한 숯의 효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원적외선 및 음이온의 방사가 실시예에 비해 약간 저조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항균시험과 포름알데히드 탈취 시험에서는 실시예에 비하여 약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은 온돌마루, 데코타일 등의 건축 자재의 부착 시 건축 자재를 부착함과 동시에 접착제 자체의 냄새 및 유해물질을 탈취하여 냄새가 적으며, 건물 실내 벽면, 바닥 및 건축 자재, 마감재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새집증후군 유발 물질들을 탈취하여 저감시키고, 원적외선 방출, 음이온방사, 항균의 효과를 제공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새집이나 건물에서 발생되는 유해한 화학물질 방출을 억제 또는 탈취하기 위해 건축마감재의 상부로 코팅제로 코팅하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시공사 및 입주자들이 코팅제의 코팅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지 않게 되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접착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우레탄 수지 25~45 중량%, 에멀젼 수지 18~22 중량%, 숯분말 28~35 중량%, 무기 충전제 7~10 중량%, 송진 1~5 중량%, 증점제 1~3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함유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는 분말형태의 우레탄 발포체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발포체 분말은 내부에 닫힌구조의 셀(closed cell)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멀젼 수지는 아크릴에멀젼 수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ethylene vinylacetate, EVA), 폴리염화비닐 수지(polyvinylchloride), 폴리비 닐아세테이트 수지(polyvinylacetate, PVAC),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polyurethane, PU)로부터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숯분말은 입자의 크기가 400~500 메쉬(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20090039019A 2009-05-04 2009-05-04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10104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19A KR101044239B1 (ko) 2009-05-04 2009-05-04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019A KR101044239B1 (ko) 2009-05-04 2009-05-04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029A true KR20100120029A (ko) 2010-11-12
KR101044239B1 KR101044239B1 (ko) 2011-06-27

Family

ID=4340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019A KR101044239B1 (ko) 2009-05-04 2009-05-04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2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8632A (zh) * 2014-05-28 2014-09-03 宁波华宝石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自洁墙面的涂装施工方法
CN109266253A (zh) * 2018-09-06 2019-01-25 四川顶立胶业有限公司 一种环保pvc胶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04659B (zh) * 2011-09-29 2013-10-23 湖南金戈新材料有限责任公司 一种厘米波-毫米波兼容吸波的复合材料
KR102038604B1 (ko) 2017-11-27 2019-10-30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숯본드의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숯본드를 이용한 제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29872D1 (de) * 2001-09-20 2008-12-24 Asahi Kasei Chemicals Corp Polyisocyanatzusammensetzung mit allophanatgruppe
JP2004277716A (ja) 2003-02-28 2004-10-07 Asahi Glass Co Ltd 塗料用含フッ素共重合体、塗料用組成物および塗料
JP4476056B2 (ja) 2003-07-16 2010-06-09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8632A (zh) * 2014-05-28 2014-09-03 宁波华宝石节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自洁墙面的涂装施工方法
CN109266253A (zh) * 2018-09-06 2019-01-25 四川顶立胶业有限公司 一种环保pvc胶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4239B1 (ko) 201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517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044239B1 (ko) 숯이 함유된 건축 자재용 접착제 조성물
KR20180031544A (ko) 라돈가스 흡착용 난연 활성탄 슬러리 및 그 성형제품
KR101033205B1 (ko) 화산석을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페인트 및 미장 도료용조성물
JP2015519408A (ja) 建築物の室内仕上げ材用親環境水性塗料組成物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KR20110096652A (ko) 라돈저감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KR100651080B1 (ko) 조습성을 갖는 무기계 바름재 조성물
KR20070010993A (ko) 건축재 표면 코팅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4396A (ko) 기능성 숯 바름재 조성물
KR102423141B1 (ko) 불연 및 항균성 친환경 건축마감용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건축마감 시공방법
KR20160094072A (ko) 토르마린 소결 담체를 포함하는 규조토 마감재 층을 갖는 석고보드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446596B1 (ko) 부착강도와 불연성능 및 마감재 기능을 강화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용 시공방법
JP5510911B2 (ja) 建造物用複合内装塗材
KR101692421B1 (ko) 천연 항충 페인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천연 항충 페인트
KR100607860B1 (ko) 건축물 내외장용 코팅재의 제조방법
KR100910739B1 (ko) 벽 마감재 조성물
JP2009068324A5 (ko)
JPH10245255A (ja) 高透湿性無機質珪藻土系仕上材及びそれを用いた工法
KR101577527B1 (ko) 천연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옥 도료 및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6777A (ko) 라돈 저감을 위한 백색도료 조성물
KR100192935B1 (ko) 건강증진 및 보호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재 벽지코팅용 조성물
KR100888700B1 (ko) 천연 무기광물계 불연도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3353B1 (ko) 새집증후군 저감과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가지는 석회 도료 조성물
KR20060058173A (ko) 친환경성 세라믹 도장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