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323Y1 - 건축용 황토판넬 - Google Patents

건축용 황토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323Y1
KR200272323Y1 KR2019990005488U KR19990005488U KR200272323Y1 KR 200272323 Y1 KR200272323 Y1 KR 200272323Y1 KR 2019990005488 U KR2019990005488 U KR 2019990005488U KR 19990005488 U KR19990005488 U KR 19990005488U KR 200272323 Y1 KR200272323 Y1 KR 200272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ocher
ocher panel
seeds
aesth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2679U (ko
Inventor
윤동희
Original Assignee
윤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희 filed Critical 윤동희
Priority to KR2019990005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323Y1/ko
Publication of KR199900226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6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323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 및 천정의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황토판넬(Loess panel)에 관한 것으로, 황토판넬의 크기를 규격화 하여 제작과 시공이 쉬우면서 부분 교체할 수 있도록하고, 황토판넬의 전체부분에 맥반석(또는 게르마늄)돌가루와 탱자씨, 살구씨, 대추씨, 잣씨, 호두껍질, 곡물씨앗과 같은 미감재(美感材)를 혼합하고 황토판넬의 테두리 부분에 다른 색상 예컨데 흑토, 또는 백토를 빙둘러 형성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고, 황토판넬의 가운데 층에 합성수지나 금속망사를 설치하여 황토판넬의 균열을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황토판넬{Loess panel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 및 천정의 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황토판넬(Loess panel)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황토판넬의 크기를 규격화하여 제작과 시공이 쉬우면서 부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황토판넬의 전체부분에 맥반석 (또는 게르마늄)돌가루와 탱자씨, 살구씨, 대추씨, 잣씨, 호두껍질, 곡물씨앗과 같은 미감재(美感材)를 혼합하고 황토판넬의 테두리 부분에 다른 색상 예컨데 흑토, 또는 백토를 빙둘러 형성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키고, 황토판넬의 가운데 층에 합성수지나 금속망사를 설치하여 황토판넬의 균열을 방지하고 강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종래에도 물과 혼합한 일정두께의 황토(黃土)를 방바닥에 시공하여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한 기술이 오래전부터 사용되고 있었으나, 물로 혼합한 황토를 시공 대상 바닥에 고른 두께로 시공한 다음 건조시키는 작업을 거치게 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면적이 큰 경우 건조할 때 쉽게 균열이 발생되고 바닥을 부분 교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시킨 황토바닥의 표면에 별도의 장판지를 깔거나 종이장판지를 붙여야하므로 작업공정이 늘어나고 시공비가 상승되며 미감이 단순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작과 시공이 쉽고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건축용 마감재인 황토판넬의 전체부분에 맥반석(또는 게르마늄)돌가루와 탱자씨, 살구씨, 대추씨, 잣씨, 호두껍질, 곡물씨앗과 같은 미감재(美感材)를 혼합하여 황토판넬(2)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황토판넬의 테두리 부분에 다른 색상 예컨데 흑토, 또는 백토를 빙둘러 형성하여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고안 황토판넬의 외관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 : 본 고안 다른 실시 예로 도시한 황토판넬의 평면도.
도 4 : 본 고안 도 3의 외관 사시도.
도 5 : 본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6 : 본 고안 도 1의 사용 상태 평면도.
도 7 : 본 고안 도 3의 사용 상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황토판넬 (4)--황토
(6)--맥반석 돌가루 (8)--미감재
(10)--망사 (12)--테두리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1은 본 고안 황토판넬(2)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측면도로, 황토(黃土)(4)와 맥반석 돌가루(6)와 미감재(8)와 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반죽한 다음 사각 성형틀에 집어넣어 사각형의 황토판넬(2)을 성형하되, 황토판넬(2)의 중간층에 합성수지나 금속으로 된 모기장과 같은 망사(10)를 집어넣어 황토판넬(2)의 균열을 방지하고 또한, 보강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황토(4)와 혼합하는 미감재(8)로는 맥반석(또는 게르마늄)돌가루 (6)와 탱자씨, 살구씨, 대추씨, 잣씨, 호두껍질, 곡물씨앗과 같은 재료들을 혼합하여 황토판넬(2)의 미감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상기에서 황토판넬(2)의 혼합비를 부피비율로 예로 들면, 분말이나 입자상태의 황토(4) 75%~85%와, 맥반석 돌가루 5%~10%와, 5% 전후의 미감재(8)와,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면 된다.
상기에서 황토판넬(2)을 성형할 때 사각 성형틀보다 약 0.5㎜ 정도 상승되게채워넣어 성형한 다음 균열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자연 건조시킨 후 성형시 사각 성형틀보다 약 0.5㎜ 정도 상승된 부분을 평면 절삭가공하여 혼합된 미감재(8)와 황토를 평면적으로 절삭시킨 후 표면을 보드랍게 연마한 다음 니스, 들기름, 콩기름 등으로 칠(도장)하여 마감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부드럽고 감촉이 좋을 뿐 아니라 별도의 장판지나 종이장판지, 벽지, 천정지 등을 깔거나 붙일 필요가 없다.
도 3은 본 고안 황토판넬(2a)의 다른 실시 예 평면도로, 황토판넬(2)의 가장자리 부분에 흑토 또는 백토로 된 테두리부(12)를 일체로 성형하여 미감을 더욱 향상시킨 것이다.
즉, 성형된 상기 황토판넬(2)의 표면을 절삭가공하기 전에 황토판넬(2)보다 조금 더 큰 사각 성형틀에 상기 황토판넬(2)을 집어넣어 황토판넬(2)과 사각 성형틀이 접촉하지 않도록 한 다음 그 사이에 흑토 또는 백토를 채워 넣어 2㎜ 전후의 두께를 갖는 일체형 테두리부(12)를 빙둘러 형성한 다음 균열이나 변형 방지를 위하여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자연건조시킨 다음 성형시 상승된 부분을 평면 절삭가공하여 미감재(8)와 황토(4)와 흑토 또는 백토로 된 테두리부(12)를 평면적으로 절삭시킨 후 표면을 보드랍게 연마한 다음 니스, 들기름, 콩기름 등으로 칠(도장)하여 마감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부드럽고 감촉이 좋을 뿐 아니라 황토(4)와 테두리부(12)가 색상으로 대비되므로 미감이 더욱 향상되며 별도의 장판지나 종이장판지, 벽지, 천정지 등을 깔거나 붙일 필요가 없는 황토판넬(2a)을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황토판넬(2)을 혼합할 때 본드류와 같은 접착제를 중량비로 약 3% 내지 5% 정도로 혼합하여 황토판넬(2)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황토판넬(2)은 규격화하여 조립식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하는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벽 또는 천정에 바로 붙이는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황토판넬(2)을 규격화 할 때 바닥재로 성형하는 경우 높이 2㎝ × 가로 90㎝× 세로 100㎝로 할 수 있으며, 벽면재로 성형하는 경우 높이 2㎝ × 가로 100㎝ × 세로 250㎝로 할 수 있으며, 천정재로 성형하는 경우 높이 2㎝ × 가로 30㎝ × 세로 50㎝로 할 수 있으며,이는 한 실시 예에 불과하며, 주변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그 크기와 두께를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을 것이다.
미 설명부호 (14)는 난방호스, (16)은 모르타르 바닥, (18)은 콘크리트 바닥, (20)은 접착제이다.
이와같이 구성하여서 된 본 고안은 도 5와 같이 황토판넬(2)(2a)을 바닥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 난방호스(14)가 시공된 모르타르 바닥(16) 위에 접착제(20)를 이용하여 황토판넬(2)을 접착시켜 시공하면 된다.
상기에서 접착제는 건축용 본드류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본드)와 황토와 세멘트를 균일하게 혼합한 접착제(20)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황토판넬(2)과 황토판넬(2) 사이에는 상기 접착제(20)를 사용하여 접합시키도록 한다.
상기에서 접착제(20)를 제조할 때 황토 대신 흑토를 혼합하거나 또는 백토를혼합하여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황토판넬(2)과 황토판넬(2)을 접합시키는 경우 황토가 혼합된 접착제(20)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황토 대신 백토가 혼합된 접착제 또는 황토 대신 흑토가 혼합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 6와 같이 황토판넬(2)과 황토판넬(2) 사이에 색상이 다른 줄눈이 들어가 경계를 이루므로 모자익 처럼 무늬처럼 미감이 향상된다.
또한, 가장자리 부분에 백토 또는 흑토로 테두리부(12)가 형성된 황토판넬 (2a)의 경우 황토가 혼합된 접착제(20)를 사용하거나, 또는 테두리부(12)가 흑토인 경우 백토가 혼합된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테두리부(12)가 백토인 경우 흑토가 혼합된 접착젤르 사용하면 도 7과 같이 다양한 색상으로 바닥을 마감할 수 있으며, 천정재나 벽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천정이나 벽에 상기처럼 황토판넬(2)(2a)을 시공하면 될 것이다.
또한, 황토판넬(2)(2a)을 바닥재로 사용하는 경우 황토(4)와 테두리부(12) 및 맥반석 돌가루(6)로부터 인체를 활성화시키는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출되므로 건강에 일조하게 되며, 벽재나 천정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황토판넬(2)(2a)의 중간층에는 망사(10)가 설치되므로 황토판넬(2) (2a)을 건조시키거나 성형할 때 강도가 보강되고 균열이 방지된다.
또한, 판넬의 표면에 맥반석 돌가루(6)와, 탱자씨ㆍ살구씨ㆍ대추씨ㆍ잣씨ㆍ호두껍질ㆍ곡물씨앗과 같은 미감재(8), 테두리부(12) 및 접착제(20)에 의해 황토판넬(2)(2a)의 미감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황토판넬(2)(2a)을 규격화하여 조립식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벽 또는 천정에 바로 붙일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며 부분교체와 같은 수리도 용이하다.
또한, 판넬의 표면은 니스칠, 들기름칠, 콩기름칠 등으로 마감 처리되어 있으므로 황토판넬(2)(2a)의 표면강도와 경도가 증가될 뿐 아니라 부드러워 별도의 장판지나 종이장판지를 깔거나 붙일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황토판넬(2)(2a)은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 및 천정의 마감재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이며, 황토판넬의 크기를 규격화 할 수 있어서 제작과 시공이 쉬우면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4)와 흑토, 백토 및 맥반석 돌가루(6)로부터 인체를 활성화시키는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므로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며, 특히 바닥재의 경우 접촉되는 인체로 원적외선이 바로 작용되므로 건강증진 효과가 있으며, 난방호스(14)에 의해 황토판넬(2)(2a)이 가열되는 경우 원적외선 방출효과가 증진된다.
또한, 황토판넬의 표면에 맥반석 돌가루(6)와 탱자씨, 살구씨, 대추씨, 잣씨, 호두껍질, 곡물씨앗과 같은 미감재(8) 및 접착제(20)에 의해 황토판넬의 미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넬의 제품을 규격화하여 조립식으로 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닥이나 벽 또는 천정에 바로 붙일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황토판넬(2)(2a)의 중간층에는 망사(10)가 설치되므로 황토판넬(2)(2a)을 건조시키거나 성형할 때 강도가 보강되고 균열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넬의 표면은 니스칠, 들기름칠, 콩기름칠 등으로 마감 처리되어 있으므로 황토판넬(2)(2a)의 표면강도와 경도가 증가될 뿐 아니라 부드러워 별도의 장판지나 종이장판지를 깔거나 붙일 필요가 없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황토(黃土)(4)와 맥반석 돌가루(6)와 미감재(8)와 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한 건축 바닥재의 표면에 식물성 기름을 도포하여서 된 건축용 바닥재에 있어서; 황토(黃土)(4)와 맥반석 돌가루(6)와 미감재(8)와 물을 적당한 비율로 혼합 반죽한 다음 성형틀에 집어넣어 황토판넬(2)을 성형하되, 성형틀보다 약간 상승되게 채워넣어 건조시킨 후 상승된 부분을 평면 절삭가공한 후 표면을 연마하고, 황토판넬(2)의 가장자리 부분에 백토 또는 흑토로 된 테두리부(12)를 빙둘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황토판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9990005488U 1999-04-03 1999-04-03 건축용 황토판넬 KR200272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88U KR200272323Y1 (ko) 1999-04-03 1999-04-03 건축용 황토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488U KR200272323Y1 (ko) 1999-04-03 1999-04-03 건축용 황토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679U KR19990022679U (ko) 1999-07-05
KR200272323Y1 true KR200272323Y1 (ko) 2002-04-17

Family

ID=5475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488U KR200272323Y1 (ko) 1999-04-03 1999-04-03 건축용 황토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3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059B1 (ko) * 1999-11-26 2002-09-26 오영석 건축 내장용 황토 패널 및 패널 제조방법
KR200219697Y1 (ko) * 2000-10-07 2001-04-02 주식회사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바닥재
KR20030016797A (ko) * 2001-08-22 2003-03-03 진기옥 황토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679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5094A (en) Method for producing an ornamental concrete surface
US5927034A (en) Flexible cement textured building tile and tile manufacturing process
US20100005743A1 (en) Flexible Cement Veneer
US20040211141A1 (en) Decorative siding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040496B1 (ko) 모자이크형 복합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4350A (ko) 석재 접합식 타일
KR200272323Y1 (ko) 건축용 황토판넬
US20100005733A1 (en) Fractionable Cement Veneer
KR101458145B1 (ko) 그레인 스톤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098187B1 (ko) 황토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200393593Y1 (ko) 천연직물과 옻칠을 이용한 바닥재
KR20040006446A (ko) 인조석 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02726B1 (ko) 에폭시수지 모르타르 블록 및 제조 방법
JP2007270605A (ja) 板状建材の施工方法
JP4790400B2 (ja) 模様面の形成方法
KR100605534B1 (ko) 한지 마루판
KR200341186Y1 (ko) 한지 마루판
JP2000008589A (ja) 外装形成方法
KR100500773B1 (ko) 건축물 실내 인테리어용 내장마감재와 그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385771B1 (ko) 인조석 판재의 제조방법
KR200373360Y1 (ko) 장식용 타일
KR200219369Y1 (ko) 황토층을 가진 인조석
US639511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unter top edging from floor tile
KR20020081004A (ko) 황토를 주재로 한 실내바닥 시공방법
NZ543128A (en) Polystyren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