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3827B1 -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용 충전모래 - Google Patents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용 충전모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3827B1
KR100543827B1 KR1019997010814A KR19997010814A KR100543827B1 KR 100543827 B1 KR100543827 B1 KR 100543827B1 KR 1019997010814 A KR1019997010814 A KR 1019997010814A KR 19997010814 A KR19997010814 A KR 19997010814A KR 100543827 B1 KR100543827 B1 KR 100543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hromite
particle size
silica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2849A (ko
Inventor
다까스기히데또
다노마나부
이시이다께시
아까이신이찌
시라야마아끼라
나까시마히로히사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로타리 노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니혼 로타리 노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3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3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 B22D41/44Consumable closure means, i.e. closure means being used only once
    • B22D41/46Refractory plugging ma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 Y10T428/2993Silicic or refractory material containing [e.g., tungsten oxide, glass, cement,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70 ∼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의 혼합물을 준비하고,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5 ∼ 5 중량% 의 카본블랙을 혼합물 내에 배합하거나, 또는 70 ∼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의 혼합물을, 150 ∼ 850 ㎛ 크기의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자를 99 % 이상, 200 ∼ 600 ㎛ 크기의 크로마이트 모래를 95 % 이상, 150 ∼ 850 ㎛ 크기의 실리카 모래의 입자를 95 % 이상, 200 ∼ 600 ㎛ 크기의 실리카 입자를 80 % 이상함유하도록, 준비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가 개시된다.
충전 모래

Description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용 충전모래{FILLING SAND FOR APPARATUS FOR SLIDABLY OPENING AND CLOSING LADLES}
본 발명은, 제강용 레이들 (ladle) 등의 출탕(出湯)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노즐 (sliding nozzle) 또는 로터리 노즐 등의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에 관한 것이다.
용강을 수강(受鋼)하는 레이들은, 전로정련(轉爐精鍊)후에 실시되는 노외(爐外)정련 및 연속주조 등에 사용되며, 그 저부에는 용강 출강(出鋼)용의 미끄럼식 개폐장치 (슬라이딩 노즐 또는 로터리 노즐) 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끄럼식 개폐장치를 구비한 레이들에서는,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노즐내에서 용강이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강을 수강하기 전에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노즐내에 내화성의 충전모래룰 충전시켜, 레이들내에 용강이 주입된 후에 노즐을 열면, 자연스럽게 충전모래가 낙하하여 용강이 유출하는 자연개공에 의해 출강이 이루어진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충전모래로는, 일반적으로 실리카 모래 (SiO2 : 90 ∼ 99 %) 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상황에 따라 SiO2 의 순도조정을 통해 소 결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4-48662 호), 역으로 정장석 (K2O·Al2O3·6SiO2) 을 첨가하여 소결을 발생시켜, 용강에 접하는 부분에 균일한 피막을 생성시켜 용강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한다.
하지만, 전자에서는 충전모래가 소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지만, 용강의 침투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없기 때문에, 레이들 자연개공률을 대폭 향상시키는 것은 기대할 수 없다. 한편, 후자는 통상의 조업에서는 사용가능하지만, 강의 고급화에 따라 노외정련이나 레이들 등에서 장시간에 걸쳐 고온으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충전모래 자체의 소결이 진행되어 강고한 피막이 생성되므로, 자연개공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자연개공하지 않는 경우에는, 롱 노즐을 떼어내어 하부로부터 산소를 불어 넣어 강제적으로 개공해야 하며, 용강이 공기에 접촉되어 품질에 악영향을 미쳐, 품질의 격이 떨어지거나, 스크랩 (scrap) 이 되어 큰 손해가 발생한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흑연이 갖는 소결저해성 및 용강과 잘 습윤되지 않는 성질에 착안하여, 충전모래에 결정질 흑연 (crystalline graphite) 이나 토상 흑연 (earthy graphite) 을 첨가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전의 호퍼 (hopper) 내 및 종이주머니나 컨테이너백내에서 비중차나 흑연의 잘 미끌어지는 성질 때문에 편석이 발생하여, 실제에 있어서 기대한 만큼의 성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또, 피치를 사용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지만, 휘발분을 30 ∼ 70 % 가지며 사용중에 가스가 발생하는데다, 편석도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대하여, 규사, MgO 클린커(clinker), 지르콘 샌드 등의 충전모래에 카 본블랙을 0.05 ∼ 5.0 중량% 배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4-84664 호). 카본블랙은 결정질 또는 토상 흑연, 피치 등의 배합물에 비해 높은 잔존률을 가지며, 휘발분이 적고, 소결방지, 용강침입방지특성이 우수하며, 또 비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배합했을 때의 분산효과가 뛰어나고, 편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규사에 대한 부착성이 뛰어나다. 그러므로, 카본블랙을 첨가함으로써, 소결방지, 용강침입방지 등의 충전모래로서 필요한 특성이 우수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4-84664 호에 기재된 충전모래는 어느 정도의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에 있어서의 자연개공률은 충분하다 할 수 없고, 이러한 가혹한 조건에 있어서도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는 충전모래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실리카 모래보다도 융점이 높은 크로마이트 모래도 충전모래로서 사용되고 있다. 단, 크로마이트 모래는 용강의 출강시에 소결하여, 개공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되기 쉽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적고, 실리카 모래와 혼합하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크로마이트 모래와 실리카 모래를 혼합한 충전모래라 하더라도,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에 있어서의 자연개공률은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이 충전모래는 이러한 고온장시간 처리시에, 노즐받침 벽돌 (nozzle seating block) 표면에 소결하기 쉬우므로, 노즐받침 벽돌의 산소세정빈도가 증가하고, 노즐받침의 수명저하, 레이들내 잔강(殘鋼)에 의한 수율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에 있어서도,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으며, 노즐받침의 수명저하, 수율저하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70 ∼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를 함유하고, 이들에 대해 외부첨가로, 즉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합계 100 중량%에 대하여 추가로 이들 합계량의 0.05 ∼ 5 중량% 의 카본블랙이 배합된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가 제공된다.
상기 충전모래에 있어서, 카본블랙의 배합량은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합계량의 0.05 ∼ 1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는,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200 ∼ 425 ㎛ 의 범위인 것이 60 % 이상 함유되고, 상기 실리카 모래는, 입경이 20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300 ∼ 600 ㎛ 의 범위인 것이 60 %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모래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모래가 1.4 이하의 입경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는, 입경이 53 ㎛ 미만인 것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입경 850 ㎛ 을 초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카 모래는, 입경이 106 ㎛ 미만인 것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입경이 1180 ㎛ 를 초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본블랙이 상기 실리카 모래에 코팅된 상태에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의하면, 70 ∼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를 함유하고,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는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9 % 이상, 입경이 200 ∼ 60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함유되고, 상기 실리카 모래는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200 ∼ 600 ㎛ 의 범위인 것이 80 % 이상 함유되어 있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한 충전모래에 있어서,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에 대해 외부첨가로 이들 합계량의 0.05 ∼ 5 중량% 의 카본블랙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블랙의 배합량은 0.05 ∼ 1 중량% 가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카본블랙이 상기 실리카 모래에 코팅된 상태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리카 모래가 1.4 이하의 입경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충전모래가 적용되는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일례로서의 슬라이딩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한 비교예에서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의 실시의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는, 70 ∼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를 함유하고, 이들에 대해 외부첨가로 이들 합계량의 0.05 ∼ 5 중량% 의 카본블랙이 배합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출강온도 1700 ℃ 이상, 용강 리드타임 200 분간 이상의, 고급강의 노외정련에 상당하는 고온장시간 처리에 있어서도, 높은 자연개공률을 유지할 수 있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에 대해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일정한 배합비율의 크로마이트 모래와 실리카 모래를 기재로 하고, 이에 대해 미량의 카본블랙을 배합함으로써 소기의 특성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충전모래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 모래에 대해, 크로마이트 모래를 적절한 비율로 배합하고, 내화성이 낮은 실리카 모래의 결점 및 용융온도는 높지만 용강에 의해 소결하기 쉬운 크로마이트 모래의 결점의 쌍방을 보완하고, 또한 카본블랙을 배합함으로써, 실리카 모래와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자끼리 소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용강침입방지특성에 의해 용강이 충전모래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라 하더라도, 매우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술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4-84664 호에 기재된, 단순히 종래 충전모래로서 사용되고 있는 규사, MgO 클린커, 지르콘 샌드에 카본블랙을 첨가한 기술로서는 얻을 수 없고, 실리카 모래 및 크로마이트 모래를 적절한 배합비율로 하고, 또한 미량의 카본블랙을 배합함으로써, 이들의 상승효과에 의해 얻어진다.
여기에서 고급강이란, 스텐레스강, 극저황강, 베어링강 등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크로마이트 모래를 70 ∼ 90 중량%, 실리카 모래를 10 ∼ 30 중량% 로 한 것은, 이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내화성 낮은 실리카 모래의 결점 및 용강에 의해 소결하기 쉬운 크로마이트 모래의 결점 모두를 보완하여, 자연개공률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크로마이트 모래는 약 2150 ℃ 까지의 내화성을 가져, 실리카 모래의 약 1720 ℃ 보다도 충분히 높고, 또 여기에 10 ∼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가 배합됨으로써 크로마이트 모래의 소결하기 쉬운 문제가 해소되기 때문이다. 크로마이트 모래가 75 ∼ 85 중량%, 실리카 모래는 15 ∼ 25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블랙을,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합계량에 대해 외부첨가로 0.05 ∼ 5 중량% 배합하는 것으로 한 것은, 이 범위에서 배합함으로써, 실리카 모래와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자끼리 소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용강침입방지특성에 의해 용강이 충전모래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카본블랙의 배합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모래입자끼리의 결합방 지작용이 부족하고, 5 % 를 초과하면 카본이 용강에 픽업 (pickup) 되는 양이 너무 많아진다. 극저탄소의 용제시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카본이 용강에 픽업되는 양을 극력 억제할 필요가 있고, 이 경우에는 카본블랙의 배합량을 1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를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여 양자의 결점을 보완하고, 카본블랙의 소결방지효과 및 용강침입방지효과를 발휘시킴으로써, 이들의 상승효과에 의해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와 같은 가혹한 처리, 구체적으로는 출강온도 1700 ℃ 이상, 용강 리드타임 200 분간 이상이라 하더라도, 매우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본블랙을 배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용강체류시간이 2 ∼ 3 시간을 초과하여 장시간이 되는 경우에, 충전모래가 노즐받침 벽돌 표면에 소결하기 쉽다. 그러므로, 노즐받침의 산소세정빈도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노즐받침의 수명저하, 또는 레이들내 잔강에 의한 수율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는데, 카본블랙을 배합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도 해소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크로마이트 모래는,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200 ∼ 425 ㎛ 의 범위인 것이 60 % 이상 함유되고, 실리카 모래는 입경이 20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300 ∼ 600 ㎛ 의 범위인 것이 60 %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입경분포를 가짐으로써, 과잉 소결층의 생성, 열팽창에 의해 금속이 굳는 것, 및 슬래그(slag) 와 지금(地金)의 침투를 한층 더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즉 소결 성 및 용강침투성을 한층 더 낮게 할 수 있고, 자연개공률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더 유효하게 발휘하기 위해서는, 크로마이트 모래에 있어서, 입경이 53 ㎛ 미만인 것, 및/또는 입경이 850 ㎛ 를 초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리카 모래에 있어서, 입경이 106 ㎛ 미만인 것, 및/또는 입경이 1180 ㎛ 를 초과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거의 100 % 의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입도분포는, JIS 의 주물(鑄物) 모래의 입도시험방법 (Z2602) 에 준하여 측정한 값이다. 이 방법은, 체를 그물눈이 성긴 것부터 호칭치수대로 겹쳐, 가장 위쪽, 즉 그물눈이 가장 큰 체 위에 원료를 얹어, 로터탭형 체기 등의 스크리닝(screenig) 기계를 사용하여 스크리닝을 실시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는, 70 ∼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를 함유하고,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는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9 % 이상, 입경이 200 ∼ 60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함유되고, 상기 실리카 모래는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200 ∼ 600 ㎛ 의 범위인 것이 80 % 이상 함유되어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에 있어서도 높은 자연개공률을 유지할 수 있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를 얻기 위해, 일정한 배합비율의 크로마이트 모래와 실리카 모래를 기재로 하고, 이에 대해 미량의 카본블랙을 배합하고, 또한 이들의 바람직한 입경분포를 규정했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를 상기 실시형태의 바람직한 입경분포와는 다른 특정 범위로 규정하고 있다.
즉, 충전모래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리카 모래에 대해, 크로마이트 모래를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비율로 배합하고, 또한 이들의 입경분포를 상기 특정 범위로 함으로써, 내화성 낮은 실리카 모래의 결점 및 용융온도는 높지만 용강에 의해 소결하기 쉬운 크로마이트 모래의 결점 모두를 보완하고, 또한 실리카 모래나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자끼리 소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용강침입방지특성에 의해 용강이 충전모래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라 하더라도, 매우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크로마이트 모래로서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가 99 % 이상, 입경이 200 ∼ 600 ㎛ 의 범위가 95 % 이상인 것을 사용하고, 실리카 모래로서 입경이 150 ∼ 850 ㎛ 의 범위가 95 % 이상, 입경이 200 ∼ 600 ㎛ 의 범위가 80 %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크로마이트 모래에 있어서, 200 ∼ 600 ㎛ 의 입경부분이 특히 많아지는 급격한 입경분포를 형성하고, 또한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도 200 ∼ 600 ㎛ 의 입경부분이 특히 많아지는 비교적 급격한 입경분포를 형성함으로써, 2 종류의 모래의 균일혼합성 및 충전성이 양호해지고, 과잉 소결층의 생성, 열팽창에 의해 금속이 굳어지는 것, 및 슬래그와 지금의 침투를 특히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고, 카본블랙을 배합하지 않아도 자연개공률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입경분포는, 소결성이 낮다고 생각되는 조립(粗粒)부분을 어느 정도 함유시킨 상태로 하고, 조립사이에 미립을 존재시킴으로써, 균일혼합성 및 충전성을 확보한다는 사상에 의거하고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강의 침투성을 특히 유효하게 방지하는 관점에서 200 ∼ 600 ㎛ 로 비교적 미세한 입경의 것을 특히 많이 쓰고 있다. 즉, 이러한 입경분포로 함으로써 모래의 충전시에 공극을 작게 할 수 있고, 혼합성이 더 높아짐과 동시에, 용강의 침투성을 매우 낮게 억제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카본블랙을 배합하지 않아도 매우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경분포의 피크 (peak) 위치와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의 피크위치는 근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쌍방의 피크가 100 ㎛ 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모래의 충전시의 공극을 한층 더 작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경분포를 채용함으로써 매우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는데, 용강 리드타임 300 분간 이상의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급강의 고온장시간 처리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에 대해 외부첨가로 이들 합계량의 0.05 ∼ 5 중량% 의 카본블랙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카본블랙을 첨가함으로써, 실리카 모래와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자끼리 소결하여 결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그 용강침 입방지특성에 의해 용강이 충전모래내에 침입하는 것을 더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카본블랙을 배합함으로써, 어떠한 작업조건에 있어서도 매우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카본이 용강에 픽업되는 양을 극력 억제하는 관점에서, 카본블랙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그 배합량을 1 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어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실리카 모래는 입자직경이 작아지면 내화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실리카 모래로써 입경계수가 1.4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카 모래의 입경계수가 1.4 이하이면, 실리카 모래가 노즐내에 잔존하기 어려워져, 모래 덩어리의 발생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입경계수의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3 ∼ 1 이다.
여기서 말하는 입경계수는, 모래 표면적 측정기 (죠지피셔사 제) 를 이용하여 산출한 값이다. 즉, 입경계수는 1g 당 실제 모래의 표면적 (비표면적) 을 이론적 비표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낸다. 여기서, 이론적 비표면적이란, 모래입자가 모두 구형이라고 가정한 경우의 비표면적을 말한다. 따라서, 입경계수가 1 에 가까울수록 구에 가까운 형상이다. 균일혼합성의 관점에서는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경계수도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크로마이트 모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천연으로 산출되는 것을 원료로 하여 건조·분급 등을 실시하여 제조해도 되고, 천연으로 산출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크로마이트 모래의 성분은, 그 산 지에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는 Cr2O3 를 3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60 중량% 함유한다. 예컨대, Cr2O3 를 40 ∼ 50 중량%, FeO 를 20 ∼ 30 중량%, 기타 Al2O3 를 약 15 중량% 정도, MgO 를 약 10 중량% 정도를 함유하는 것을 전형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들 크로마이트 모래의 입경계수는 통상 1.4 이하이다.
한편, 실리카 모래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천연으로 산출되는 것을 원료로 하여 건조·분급 등을 실시하여 제조해도 되고, 천연으로 산출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 실리카 모래의 성분도 그 산지에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는 SiO2 를 90 중량% 이상 함유한다. 천연모래로는, 예컨대 오스트레일리아산의 푸리만톨 모래나, 일본산 도호꾸(東北) 규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실리카 모래에는 Al2O3, K2O, Na2O 등의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도 되는데, 이들은 실리카 모래의 융점을 저하시켜 개공이 되지 않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들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라도 1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품질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연마처리를 실시한 모래를 사용해도 된다. 또, 연마처리를 실시한 모래 또는 실시하지 않은 모래를 2 종 이상 혼합해도 된다.
연마처리에는, 공지의 건식법, 습식법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건식법에는, 원료 모래를 고속기류에 의해 장치내에서 상승시켜, 충돌판에 충돌시킴으로써, 모래입자 상호의 충돌과 마찰에 의해 연마처리하는 샌드 리크렌마 등의 뉴매틱 스 크러버(pneumatic scrubber) 장치, 모래끼리의 마찰을 이용하여 연마처리하는 아지테이터밀(agitator mill) 등의 고속교반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습식법에는 날개를 회전시킨 트러프(trough)내의 모래입자 상호의 마찰에 의해 연마처리하는 트러프식 등의 연마기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건식법 및 습식법의 연마처리 중에서는, 습식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습식법을 사용함으로써, 연마처리시의 물세정에 의해 원하는 입도보다 작은 모래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건식법이라도 물세정장치를 병설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충전모래가 적용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로는, 슬라이딩 노즐 및 로터리 노즐을 들 수 있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되는 용강의 종류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의 충전모래는 상기 배합비율이라면 그 형태는 상관없는데, 카본블랙을 배합하는 경우에, 결합제 등에 의해 미리 카본블랙에 적당한 점성을 부여하여 이를 실리카 모래의 표면에 코팅해 두고, 이렇게 코팅된 실리카 모래와 크로마이트 모래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카본블랙의 균일분산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리카 모래의 소결을 한층 더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코팅은, 카본블랙 입자를 실리카 모래 입자의 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을 의도하고 있고, 반드시 카본블랙의 층이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또, 크로마이트 모래에 카본블랙을 코팅해도 되고, 실리카 모래 및 크로마이트 모래의 쌍방에 코팅해도 된다.
본 발명의 충전모래가 적용되는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일례로서의 슬라이딩 노즐의 구조를 도 1 에 나타낸다. 슬라이딩 노즐 (10) 은, 상부 노즐 (3), 그것을 측방에서 지지하는 노즐받침 벽돌 (2), 상부 노즐 (3) 을 하방에서 지지하는 고정반 (4), 고정반 (4) 에 대해 미끄러지도록 설치된 미끄럼식반 (5), 및 미끄럼식반 (5) 밑에 장착된 하부 노즐 (6) 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노즐 (3) 에서 규정되는 노즐 구멍 (7) 내에는 본 발명의 충전모래 (1) 가 충전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노즐 (10) 이 닫힌 상태에서 레이들에 용강이 주입된다. 용강의 주입이 종료된 시점에서, 미끄럼식반 (5) 을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 노즐이 열린다. 이 상태에서 충전모래가 낙하하여 노즐 구멍 (7) 이 자연개공한다. 로터리 노즐도 기본구조는 동일하며, 미끄럼식반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는 점이 다를 뿐이다.
이렇게 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충전모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라 하더라도, 소결하기 어렵고, 또한 용강이 침투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연개공률을 매우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여기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크로마이트 모래, 실리카 모래 및 카본블랙을 표 1 과 같이 배합한 충전모래를, 250 t 레이들의 바닥에 설치된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노즐 직경 75 mmΦ의 노즐 구멍에 충전하고, 1000 차지 (charge) 에서의 자연개공률을 측정한다. 시험 1 에서는 거의 전 차지가 통상의 연속주조에 사용한 것, 시험 2 에서는 스텐레스강, 극저황강, 베어링강 등의 고급강의 노외정련에 상당하는 출강온도 1700 ℃ 이상, 용강 리드타임 200 분간 이상이라는 가혹한 조건의 비율이 10 % 로 높은 것이다. 이 때의 자연개공률을 표 1 에 병기한다. 그리고, 표 1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란의 기호는, 각각 표 2 및 표 3 의 입경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또, 카본블랙에 대해서는 평균입경이 40 nm 인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계수는 약 1.3 이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범위를 충족하는 실시예중 시료번호 2 ∼ 4, 6 ∼ 14 는 시험 1 및 시험 2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99.4 % 이상의 높은 자연개공률을 나타내었다. 특히, 크로마이트 입자 및 실리카 입자의 입경분포가 바람직한 범위인 시료번호 2 ∼4, 6 ∼ 8 이 우수하며, 그 중에서는 조분(粗粉), 미분(微粉)이 적은 시료번호 2 ∼ 4 가 어떤 시험에서도 100 % 의 자연개공률을 보였다. 또, 카본블랙량이 0.5 중량% 에서는 용강으로의 카본 픽업이 거의 없어 극저탄소강에 사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시료번호 2 ∼ 4 에 사용한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를 도 2 에 나타낸다.
이에 대하여,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배합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이며,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도 바람직한 범위이지만, 카본블랙을 함유하지 않는 시료번호 1 은, 시험 1 에서는 우수한 개공률을 나타냈지만, 시험 2 에서는 개공률이 99.8 % 로 다소 낮은 값이었다. 또, 충전모래가 노즐받침 벽돌 표면에 소결하는 빈도가 높고, 노즐받침의 산소세정빈도가 높은 것이 되었다. 또, 카본블랙이 많은 시료번호 5 는, 우수한 개공률을 나타냈지만, 용강의 카본 픽업량이 많아져 사용에 견디지 못하였다.
크로마이트 모래와 실리카 모래의 배합비율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시료번호 15 ∼ 17, 및 크로마이트 모래 단독 또는 실리카 모래 단독에 카본블랙을 첨가한 시료번호 18 ∼ 23 은, 카본블랙을 첨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 1, 시험 2 에 있어서 높은 자연개공률을 얻지 못했다.
이 결과로부터 크로마이트 모래, 실리카 모래, 카본블랙을 적절한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출강온도 1700 ℃ 이상, 용강 리드타임 200 분간 이상의 노외정련을 동반하는 고온장시간 처리에서도 높은 자연개효율을 얻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표 1
시료 번호 모래배합(중량%) 카본블랙 (중량%) 크로마이트 입경분포 실리카 입경분포 자연개공률(%) 비고
크로마이트 모래 실리카 모래 시험1 시험2
1 2 3 4 5 80 80 80 80 80 20 20 20 20 20 0 0.1 0.5 3 6 A A A A A a a a a a 100 100 100 100 100 99.8 100 100 100 99.8 비교예 실시예 " " 비교예
6 7 8 80 80 80 20 20 20 0.1 0.5 3 B B B b b b 99.8 99.8 99.8 99.8 99.8 99.8 실시예 " "
9 10 11 80 80 80 20 20 20 0.1 0.5 3 A A A c c c 99.4 99.4 99.4 99.4 99.4 99.4 " " "
12 13 14 80 80 80 20 20 20 0.1 0.5 3 C C C a a a 99.4 99.4 99.4 99.4 99.4 99.4 " " "
15 16 17 60 60 60 40 40 40 0.1 0.5 3 A A A a a a 99.0 99.0 99.0 98.8 98.8 98.8 비교예 " "
18 19 20 0 0 0 100 100 100 0.1 0.5 3 - - - a a a 98.2 98.2 98.2 98.0 98.0 98.0 " " "
21 22 23 100 100 100 0 0 0 0.1 0.5 3 A A A - - - 98.8 98.8 98.8 98.6 98.6 98.6 " " "
표 2
크로마이트 입경분포(%)
850㎛ 초과 ∼600㎛초과 ∼425 ㎛초과 ∼300㎛초과 ∼212 ㎛초과 ∼150 ㎛초과 ∼106㎛초과 ∼75 ㎛초과 ∼53 ㎛초과 53㎛ 이하
A B C - 0.1 3.0 3.0 0.3 5.2 18.4 2.6 17.5 32.7 14.0 28.5 30.7 39.9 30.2 13.2 34.6 12.4 1.6 7.8 3.0 0.3 0.7 0.1 0.1 0.2 0.1 - 0.1 -
표 3
실리카 입경분포
850㎛ 초과 ∼600 ㎛초과 ∼425 ㎛초과 ∼300 ㎛초과 ∼212 ㎛초과 ∼150 ㎛초과 ∼106 ㎛초과 ∼106 ㎛이하
a b c - 1.8 3.8 23.1 30.5 28.5 49.7 44.5 40.4 19.1 19.6 21.7 6.0 3.2 3.2 1.5 0.5 2.0 0.1 0.1 0.1 - 0.1 0.1
(제 2 실시예)
여기에서는, 제 2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입경계수가 약 1.3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를 표 4 와 같이 배합한 시료번호 24 의 충전모래를, 250t 의 레이들의 바닥에 설치된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노즐 직경 75 mmΦ의 노즐 구멍에 충전하고, 1000 차지에서의 자연개공률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는 모든 차지에 있어서 고급강의 노외정련에 상당하는 출강온도 1700 ℃ 이상, 용강 리드타임 200 분간 이상이라는 가혹한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그 결과, 자연개공률이 100 % 였다. 이 때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를 도 3 에 나타낸다.
비교를 위해, 표 5 와 같이 배합한 시료 24 보다도 조립(粗粒)이 많은 입경분포를 갖는 시료번호 25, 26 의 충전모래를, 동일하게 250t 레이들의 바닥에 설치된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노즐 직경 75 mmΦ의 노즐 구멍에 충전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자연개공률을 측정한 결과, 자연개공률은 98.5% 로 불충분한 값이 되었다. 시료번호 25, 26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입경분포를 각각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다.
다음, 시료번호 24 의 충전모래에 외부첨가로 카본블랙을 0.1 %, 0.5 %, 3 % 첨가한 충전모래를 준비하고, 이 충전모래를 250 t 레이들의 바닥에 설치된 미끄럼식 개폐장치의 노즐 직경 75 mmΦ의 노즐 구멍에 충전하고, 고급강의 노외정련중 더 가혹한 조건에 상당하는 출강온도 1700 ℃ 이상, 용강 리드타임 300 분간 이상의 조건에서 1000 차지에 있서의 자연개공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모든 충전모래의 경우에서 100 % 의 자연개공률이 얻어졌다.
표 4
시료 번호 모래배합 (중량%) 850 ㎛초과 ∼600 ㎛초과 ∼425 ㎛초과 ∼300 ㎛초과 ∼212 ㎛초과 ∼150 ㎛초과 ∼106 ㎛초과 ∼106 ㎛이하
24 크로마이트 모래 80 - 2.3 16.5 45.5 34.9 0.7 0.1 -
실리카모래 20 - - 7.2 44.2 32.1 12.3 4.2 -
표 5
시료 번호 모래배합(중량%) 850 ㎛초과 ∼600 ㎛초과 ∼425 ㎛초과 ∼300 ㎛초과 ∼212 ㎛초과 ∼150 ㎛초과 ∼106 ㎛초과 ∼106 ㎛이하
25 크로마이트모래 80 4.3 13.3 21.7 33 26.9 0.6 0.2 -
실리카 모래 20 - 23.1 49.7 19.1 6 1.5 0.1 -
26 크로마이트모래 80 11.9 25.9 26.3 22 13.6 0.3 - -
실리카 모래 20 - 23.1 49.7 19.1 6 1.5 0.1 -

Claims (14)

  1. 70 내지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내지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를 함유하고, 이들에 대해 외부첨가로 이들 합계량의 0.05 내지 5 중량% 의 카본블랙이 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의 배합량이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 및 상기 실리카 모래의 합계량의 0.05 내지 1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에는 입경이 150 내지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200 내지 425 ㎛ 의 범위인 것이 60 % 이상 함유되고, 상기 실리카 모래에는 입경이 200 내지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300 내지 600 ㎛ 의 범위인 것이 60 %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모래가 1.4 이하의 입경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에는 입경이 53 ㎛ 미만인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에는 입경이 850 ㎛ 을 초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모래에는 입경이 106 ㎛ 미만인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모래에는 입경이 1180 ㎛ 를 초과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이 상기 실리카 모래에 코팅된 상태에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10. 70 내지 90 중량% 의 크로마이트 모래 및 10 내지 30 중량% 의 실리카 모래를 함유하고,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에는 입경이 150 내지 850 ㎛ 의 범위인 것이 99 % 이상, 입경이 200 내지 60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함유되고, 상기 실리카 모래에는 입경이 150 내지 850 ㎛ 의 범위인 것이 95 % 이상, 입경이 200 내지 600 ㎛ 의 범위인 것이 80 %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마이트 모래 및 상기 실리카 모래에 대해 외부첨가로 이들 합계량의 0.05 내지 5 중량% 의 카본블랙이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의 배합량이 크로마이트 모래 및 실리카 모래의 합계량의 0.05 내지 1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이 상기 실리카 모래에 코팅된 상태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 모래가 1.4 이하의 입경계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의 충전모래.
KR1019997010814A 1997-05-23 1998-05-21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용 충전모래 KR100543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847997 1997-05-23
JP97-148479 1997-05-23
PCT/JP1998/002240 WO1998052708A1 (fr) 1997-05-23 1998-05-21 Sable de remplissage pour appareil aux fins de l'ouverture et de la fermeture coulissantes de poches de coul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849A KR20010012849A (ko) 2001-02-26
KR100543827B1 true KR100543827B1 (ko) 2006-01-23

Family

ID=1545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814A KR100543827B1 (ko) 1997-05-23 1998-05-21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용 충전모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16106B1 (ko)
EP (1) EP0950452B1 (ko)
JP (1) JP4269297B2 (ko)
KR (1) KR100543827B1 (ko)
BR (1) BR9815515A (ko)
DE (1) DE69833855T2 (ko)
WO (1) WO1998052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10892A (en) * 1994-06-20 2000-08-29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Parathyroid hormone analogues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WO2000073000A1 (fr) * 1999-05-27 2000-12-07 Nkk Corporation Sable de remplissage pour unite d'ouverture/de fermeture coulissante d'un puisoir
KR100460256B1 (ko) * 2001-10-31 2004-12-04 주식회사 인텍 필러용 실리카계 내화조성물
KR20050023589A (ko) * 2003-08-28 2005-03-10 주식회사 포스코 래들의 슬라이딩 노즐구용 필러
JP2005088022A (ja) * 2003-09-12 2005-04-07 Yamakawa Sangyo Kk 取鍋摺動開閉装置用充填材
JP4641807B2 (ja) * 2005-01-24 2011-03-0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取鍋摺動開閉装置の詰砂
US20100065977A1 (en) * 2008-09-12 2010-03-18 Quigley Joseph R Filling materials for use in metal process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1444842B (zh) * 2008-12-30 2010-06-16 沈阳东北大学冶金技术研究所有限公司 一种钢包用碱性引流砂
US8062577B2 (en) 2009-04-10 2011-11-22 Edw. C. Levy Co. Alumina taphole fill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02000790B (zh) * 2010-10-28 2013-07-31 成都府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低铬环保引流砂的制造方法
JP5546704B1 (ja) * 2014-03-26 2014-07-09 山川産業株式会社 アルミナ系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充填砂
RU2682062C1 (ru) * 2018-03-14 2019-03-14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ЕВРАЗ Нижнетагиль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АО "ЕВРАЗ НТМК")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шиберного затвора сталеразливочного ковша
RU2696609C1 (ru) * 2018-12-27 2019-08-06 Сергей Касимович Вильданов Составная стартовая смесь для заполнения выпускного канала сталеразливочного ковша
RU2712206C1 (ru) * 2019-03-05 2020-01-24 Сергей Касимович Вильданов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огнеупорным материалом выпускного канала сталеразливочного ковш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485A (en) * 1983-01-24 1986-04-29 Hiroshi Shikano Refractory sliding nozzle plate
DE3419306C1 (de) * 1984-05-24 1986-01-02 Dislich, Heinz, 4100 Duisburg Kuppelbildende Schieberfüllmasse für Gießpfannen
JPS6448662A (en) 1987-08-13 1989-02-23 Nippon Kokan Kk Plugging sand for ladle steel tapping hole
JP2673467B2 (ja) 1990-07-27 1997-11-05 川崎炉材株式会社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の詰物
JPH058022A (ja) * 1991-07-01 1993-01-19 Nkk Corp 溶鋼容器から高炭素鋼溶鋼を注出する際の注出口閉塞 防止方法
US5576255A (en) * 1992-02-21 1996-11-19 Les Sables Olimag, Inc. Refractory sand composition
GB9222548D0 (en) * 1992-10-27 1992-12-09 Foseco Int Metallurgical pouring vessels
JP2931944B2 (ja) * 1994-05-16 1999-08-09 東京窯業株式会社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充填物
JPH0947863A (ja) * 1995-08-01 1997-02-18 Nkk Corp 取鍋ノズル用充填詰物
EP0846512B1 (en) * 1995-08-09 2000-07-12 Yamakawa Sangyo Co., Ltd. Sliding nozzle filler
JP3519907B2 (ja) * 1997-05-26 2004-04-19 品川白煉瓦株式会社 溶融金属出湯口用閉塞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15515A (pt) 2001-07-24
EP0950452B1 (en) 2006-03-15
US6316106B1 (en) 2001-11-13
KR20010012849A (ko) 2001-02-26
WO1998052708A1 (fr) 1998-11-26
EP0950452A4 (en) 2004-02-25
EP0950452A1 (en) 1999-10-20
DE69833855T2 (de) 2006-11-30
JP4269297B2 (ja) 2009-05-27
DE69833855D1 (de)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3827B1 (ko) 미끄럼식 레이들 개폐장치용 충전모래
CN110976797B (zh) 一种方、矩坯中高碳钢用微碳保护渣及其制备方法
EP0423793A2 (en)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641807B2 (ja) 取鍋摺動開閉装置の詰砂
JP3782306B2 (ja) 取鍋摺動開閉装置の詰砂
US4539301A (en) Graphite-containing refractories
JP3216575B2 (ja) 取鍋摺動開閉装置の詰砂
JP4432418B2 (ja) 取鍋摺動開閉装置用充填材の充填構造
JP4667110B2 (ja) 取鍋摺動開閉装置用充填材
KR101126723B1 (ko) 용강배출용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EP1681114A1 (en) Filler for ladle sliding and opening/closing device
JP6021667B2 (ja) 耐火物,耐火物の製造方法,及び連続鋳造用浸漬ノズル
JP3523524B2 (ja) 製鋼用ノズル充填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519992B2 (ja) 連続鋳造用フラックス
EP3887077B1 (en) Mould powder and mould coating
JP3684418B2 (ja) スライディングノズル用詰め物及びそれを用いた取鍋の受鋼方法
KR100879285B1 (ko) 레이들 쇳물 배출구 폐쇄용 필러샌드 및 이의 제조방법
JP7341442B2 (ja) 摺動開閉装置の充填材の充填構造及び鋳片の製造方法
EP0151950B1 (de) Giesspulver für Stahlstrangguss und Verfahren zum Stranggiessen von Stahl
JP2509547B2 (ja) 溶融スラグのための粒状断熱材
JPH11277220A (ja) ノズル充填材
KR20070022186A (ko) 레이들 슬라이딩 개폐장치용 충진재
JPH10297978A (ja) ガス吹き込み用ポーラス耐火物とその製造方法
JP2002307161A (ja) 取鍋用充填砂
JPH09103870A (ja) 出湯孔用充填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