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455B1 -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 Google Patents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455B1
KR100542455B1 KR1020030066401A KR20030066401A KR100542455B1 KR 100542455 B1 KR100542455 B1 KR 100542455B1 KR 1020030066401 A KR1020030066401 A KR 1020030066401A KR 20030066401 A KR20030066401 A KR 20030066401A KR 100542455 B1 KR100542455 B1 KR 100542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cylinder
disk
pressing
fixed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0080A (ko
Inventor
조형준
구태흥
황인호
Original Assignee
조형준
조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준, 조한용 filed Critical 조형준
Priority to KR102003006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45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0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3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using a tool turning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2Equipment for cooling the grinding surfaces, e.g. devices for feeding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화이버 커텍터의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디스크를 공전과 자전의 회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공전과 동시에 자전을 시킬 수 있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연마하고자 하는 광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디스크를 파지하여 연마디스크 상에 장착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연마를 할 수 있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는, 연마 디스크와, 상기 연마디스크를 자전과 공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중심에서 상부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수압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광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수압부를 클램핑하여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광커넥터의 단면을 상기 연마디스크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한 가압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마 디스크에 자전과 공전의 회전비가 일정하게 자전과 동시에 공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페룰, 연마, 공전, 자전, 동기, 클램핑

Description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POLISHING APPRARATUS FOR OPTICAL FIBER END SURFACE}
도 1은 종래의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압수단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업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에 사용되는 지그의 사시도
도 6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력전달수단의 사시 단면도
도 7은 도6의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전달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사용된 오울드 햄 커플링의 사시도
<도면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20 연마디스크
30 고정디스크 51a 제1실린더
51b 제2실린더 52 가압피스톤
53 안내실린더 54 클램핑 피스톤
55 볼 58 탄성부재
85 제1전동축 87 공전축
88 자전축 89 제3전동축
93 제2전동축
본 발명은 광화이버 커넥터의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마디스크를 공전과 자전의 회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공전과 동시에 자전을 시킬 수 있는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연마하고자 하는 광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디스크를 파지하여 연마디스크 상에 장착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연마를 할 수 있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명칭이 '단면 연마기(END SURFACE POLISHING MACHINE}'인 미국 특허 제5,516,328호에는 광화이버 커넥터를 연마하기 위한 연마디스크의 자전과 공전을 독립적으로 할 수 있는 연마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연마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전축(7)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전모터(2)와 자전축(8)을 회전시키기 위한 자전모터(1)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또한, 자전축(8)은 공전축(7)의 내부에 일정거리 편심된 위치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3개의 회전디스크를 사용하여 연마디스크(5)를 독립적으로 자전과 공전을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연마기는 광화이버 커넥터(4)가 고정된 고정디스크(3)를 연마필름이 부착된 연마디스크(5) 상에 사람이 손으로 직접 집어서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장착된 고정디스크(3)는 가압봉(6)에 의해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자전과 공전을 하는 연마디스크(5) 상에 부착된 연마필름에 의해서 연마된다.
고품질의 연마를 위하여는, 연마 공정별 적절한 연마필름 및 연마시간의 선택과, 연마시 연마속도 및 가압하중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다. 따라서 연마디스크를 자전과 동시에 공전하도록 하여 연마를 하는 연마기에 있어서는 자전과 공전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균일한 연마속도를 얻을 수 있다. 자전과 공전의 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면, 광화이버 커넥터의 단면이 연마필름에 형성하는 궤적이 동일한 모양과 동일한 간격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의 광화이버 커넥터를 동시에 연마하는 경우에는 광화이버 커넥터 각각이 균일한 압력을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다.
그러나, 상기에 언급된 연마기는 두개의 모터로 독립적으로 자전과 공전 속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자전과 공전의 속도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연마시 궤적의 모양과 간격이 변동하게 되어 균일한 연마속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특히, 연마작업의 시작과 종료시에는 각각의 모터를 가속 및 감속시키는 것이 필수적이고, 이 경우 가감속 비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두개의 모터를 제어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연마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연마장치는, 사람이 광화이버 커넥터를 고정한 디스크를 직접 집어서 연마디스크 위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충격에 약한 광 화이버가 장착시 손상 을 입을 염려가 있다. 지렛대를 이용하여 연마시 가압 하중을 가할 경우에도 광화이버가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특히, 가공 종료 후 사람이 디스크를 제거할 경우 연직 상방으로 정확히 디스크를 들어올리지 못할 경우에 역시 연마가 완료된 광화이버에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종래의 연마장치는 연마된 미세 입자나 이물질을 연마필름과 고정디스크 사이에서 배출시키는 기술적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연마시 마찰열에 의하여 이물질의 고착현상이 발생하여 연마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연마디스크의 자전과 공전의 비율을 동기화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마할 수 있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화이버 커넥터를 고정하는 고정디스크를, 회동할 수 있는 암에 고정되어 있고 고정디스크를 파지하여 연마디스크에 장착과 탈착할 수 있으며 연마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수단을 구비한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마시 연마디스크와 고정디스크 사이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는, 연마 디스크와, 상기 연마디스크를 자전과 공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중심에서 상부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수압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광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수압부를 클램핑하여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광커넥터의 단면을 상기 연마디스크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한 가압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연마디스크의 중심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고정된 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마디스크의 상부로 설치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아암의 타단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마장치는 아암을 회동시켜 고정디스크가 있는 위치로 이동하고, 가압수단을 하강시켜서 고정디스크의 수압부를 클램핑 한 후 상승하여 연마디스크 상에 고정디스크를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고정디스크의 수압부를 클램핑하고 동시에 고정디스크에 고정된 복수의 광화이버 커넥터의 단부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은, 일단에서 내부로 형성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선을 갖고 상기 제1실린더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실린더가 형성된 헤드본체와, 일단이 상기 제2실린더에 밀봉되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에서 연장된 가압부를 갖는 가압피스톤과,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부가 중공에 삽입되도록 일단부의 외주가 상기 제2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고, 소정 위치의 원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상기 헤드본체에 고정되어 설치된 안내실린더와, 상기 안내실린더의 관통구멍에 설치된 복수의 볼과,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 고, 외주면은 상기 제1실린더와 내주면은 상기 안내실린더의 외주면과 밀봉되어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안내실린더의 일단에서 끼워져 상기 안내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내에 설치되고, 내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홈이 형성된 클램핑 피스톤과, 상기 플랜지와 상기 클램핑피스톤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실린더의 외경과 내경사이의 두께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고, 클램핑피스톤의 환형홈의 깊이는 상기 볼이 수용된 경우 볼의 일부가 안내실린더의 내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디스크의 수압부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다.
클램핑 피스톤은 배관을 통하여 제1실린더에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기 전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하여 제2실린더를 향하여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볼은 일부가 클램핑 피스톤에 밀려서 안내 실린더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실린더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클램핑 피스톤이 제2실린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하여, 볼의 일부가 클램핑 피스톤의 환형홈으로 수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디스크의 수용부를 삽입하고 제1실린더의 고압 공기를 제거하면, 피스톤 실린더가 제2실린더를 향하여 상승하여 고정디스크 수용부의 환형홈에 볼의 일부가 수용되고, 클램핑피스톤이 안내 실린더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정디스크를 클램핑하게 된다.
클램핑된 고정디스크를 연마디스크의 상부면에 부착된 연마필름 위에 장착하고 고정디스크를 공전 및 자전시키면서 광화이버 커넥터의 단부면을 연마 할 경우, 상기 제2실린더에 배관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여 가압피스톤의 가압부가 고정디스크의 수압부를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한다. 연마디스크의 회전에 관계없이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고정디스크의 수압부의 단면에는 반구면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부의 단부는 반구면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디스크에 고정된 광화이버 커넥터의 단부의 높이가 균일하지 않아서 가압부와 수압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에 의하여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마 디스크에 자전과 공전의 회전비가 일정하게 자전과 동시에 공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일단이 모터에 연결되고 외주에 워엄이 형성된 제1전동축과, 상기 제1전동축의 타단에 고정된 제1전동기어와, 외주면에 상기 제1전동기어에 맞물린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공전축선에 대하여 일정거리 이격되어 관통구멍이 형성된 공전축과, 일단이 상기 연마 디스크에 고정되어 상기 공전축의 관통구멍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설치된 자전축과, 상기 제1전동축의 워엄에 맞물린 워엄기어와, 일단이 상기 워엄기어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 제2전동기어가 형성된 제2전동축과, 일단에 상기 제2전동기어와 직각으로 맞물린 제3전동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전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갖는 제3전동축과, 상기 제3전동축의 타단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자전축의 타단에 전달하기 위한 편심커플링을 포함한다. 상기 편심커플링은 오울드햄 커플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는 연마된 입자나 이물질이 연마시의 발열에 의해서 연마필름이나 켜넥터의 단부면에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수를 공급하여 이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연마필름을 냉각 하고 생성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디스크에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를 구비한 냉각수공급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100)는, 프레임(10)의 상부에 자전과 공전 운동을 하는 연마디스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는 연마디스크(20)를 자전과 공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8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광화이버 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디스크(30)가 상기 연마디스크(20)에 고정 부착되는 연마필름(미도시)의 상부에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디스크(30)를 파지하여 지지하고, 연마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지지부(40)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70은 프레임의 일측에는 연마를 위하여 광화이버 커넥터가 고정되어 작업 대기 중인 고정디스크(30)를 보관하기 위한 대기스테이션이다.
상기 고정디스크는 도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광화이버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34)이 형성된 디스크본체(36)와, 상기 고정홈(34)에 고 정되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크램핑블럭(35)과, 상기 디스크 본체의 중심에서 상부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수압부(3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압부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홈(32)이 형성되어 있고, 단부에는 반구형의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의 홈(32)에는 가압수단 내부의 볼이 삽입되어 고정디스크(30)를 견고하게 클램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본체(36)에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냉각수공급수단(미도시)의 공급튜브(60)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받아들이기 위한 관통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지지부(4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마디스크(20)의 중심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고정된 지지축(42)과, 일단이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마디스크의 상부로 설치된 아암(41)과, 상기 아암(40)의 타단에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 가압수단(50)을 구비한다. 상기 아암(41)을 모터를 이용하여 회동시키는 것과, 상기 가압수단(50)을 공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연마장치는 작업시 상기 아암(41)을 회동시켜 고정디스크가 있는 위치로 가압수단(50)을 이동시키고, 가압수단(50)을 하강시켜서 고정디스크(30)의 수압부(31)를 클램핑 한 후 상승하여 아암을 작업위치로 회동시켜 연마디스크(20) 상에 고정디스크(3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가압수단(50)은 상기 고정디스크(30)의 수압부(31)를 클램핑하고 동시에 고정디스크에 고정된 복수의 광화이버 커낵터의 단부면을 균일하게 가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가압수단(50)의 헤드본체(51)에는, 일 단면에서 내부로 형성된 제1실린더(51a)와 상기 제1실린더(51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선을 갖고 상기 제1실린더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실린더(51b)가 도시된 것과 같이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압피스톤(52)은 상기 제2실린더(51b)에 밀봉되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제1실린더(51a)를 향한 단면에서 연장된 가압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일단부에 플랜지부(53a)가 형성된 안내실린더(53)의 중공에는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부(52a)가 삽입되고 동시에 일단부의 외주가 상기 제2 실린더(51b)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안내실린더(53)의 소정 위치의 원주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멍(53b)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실린더(53)의 타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53a)는 상기 헤드본체(5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내실린더(53)의 관통구멍(53b)에 복수의 강제 볼(55)이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피스톤(54)은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외주면은 상기 제1실린더(51a)와 내주면은 상기 안내실린더(53)의 외주면과 밀봉되어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안내실린더의 일단에서 끼워져 상기 안내실린더(53)와 상기 제1실린더(51a)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클램핑피스톤 (54)의 내주면의 소정 위치에는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홈(5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53a)와 상기 클램핑피스톤(54) 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8)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볼(55)이 고정디스크의 수압부에 형성된 환형홈에 삽입되어 클램핑 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실린더(53)의 외경과 내경사이의 두께는 상기 볼(55)의 직경보다 작고, 클램핑피스톤(54)의 환형홈(54a)의 깊이는 상기 볼(55)이 수용된 경우 볼의 일부가 안내실린더의 내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또한, 고정디스크(30)의 수압부(31)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환형홈(32)의 깊이도 클램핑피스톤의 환형홈(54a)의 깊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디스크의 환형홈(32)은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마작업시에는 볼이 홈의 중앙 부근에서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환형홈의 폭이 볼(55)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사용환경에 따른 고정디스크의 높이변화를 고려한 것이다.
삭제
도 4에는 클램핑 및 가압시 가압수단의 작동관계가 설명되어 있다. 배관(56a)을 통하여 제1실린더(51a)에 고압의 압축공기가 공급되기 전에는 상기 탄성부재(58)에 의하여 클램핑 피스톤(54)은 제2실린더를 향하여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볼(55)의 일부가 클램핑피스톤(54)에 밀려서 안내 실린더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실린더(51a)에 고압배관(56a)을 통하여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램핑 피스톤(54)이 제2실린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하여, 볼의 일부가 클램핑 피스톤(54)의 환형홈(54a)으로 수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고정디스크의 수용부를 삽입하고 제1실린더의 고압 공기를 제거하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램핑피스톤(54)이 제2실린더(51b)를 향하여 상승하고, 고정디스크 수용부의 환형홈에 볼의 일부가 수용되고, 클램핑피스톤이 안내 실린더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고정디스크를 클램핑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정디스크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실린더(51b)에 저압배관(56b)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 의 공기를 공급하면서 고정디스크(30)를 가압하여, 연마디스크(20) 상에 부착된 연마필름(90)에 대하여 광화이버 커넥터의 단면이 균일한 압력을 받도록 하면서 연마를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연마장치는, 연마작업 시 연마디스크의 회전에 관계없이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디스크(30)의 수압부(31)의 단부면에는 반구면 형상의 홈(33)을 형성하고,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부(52a)의 단부는 반구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디스크에 고정된 광화이버 커넥터의 단부의 높이가 균일하지 않아서 가압부와 수압부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에 의하여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력전달수단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7은 도6의 동력전달수단의 동력전달관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삭제
도 6 및 도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마디스크(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구동수단(80)은, 모터(80A)와, 상기 모터(80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연마디스크(20)에 자전과 공전의 회전비가 일정하게 자전과 동시에 공전하도록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수단(80B)으로 구성된다.
모터(80A)의 축에는 제1풀리(82)가 고정되어 있다. 제1전동축(85)의 일단에는 상기 제1풀리(82)와 벨트(83)로 연결된 제2풀리(84)가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1전동기어(8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전동축의 외주면 일정부분에는 워엄(8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전동기어(86)는 상기 공전축(87)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려 있다. 공전축(87)은 하우징(99)에 베어링(98)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외주면에 상기 제1전동기어(86)에 맞물린 기어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전축에는, 공전의 중심 축선(X)에 대하여 일정거리(e) 이격되어 공전축선에 평행하게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자전축(88)은 일단이 상기 연마 디스크(2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공전축의 관통구멍에 설치된 베어링(98)에 의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전동축(85)의 워엄(85a)에는 워엄기어(94)가 맞물려 있다. 제2전동축(93)은 일단이 상기 워엄기어(94)의 중심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에는 제2전동기어(9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전동축(85)과 제2전동축(93)은 도시된 것과 같이 꼬인 위치에서 직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3전동축(89)의 일단에 상기 제2전동기어(92)와 직각으로 맞물린 제3전동기어(91)가 고정되어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전축의 회전축선(X)과 동일한 회전축선을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3전동축(89)과 자전축(88)은 공전축(87)의 중심축선에서 일정거리(e) 편심된 위치에서 평행하게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거리 이격된 상기 제3전동축(89)과 자전축(88)을 연결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오울드햄(oldham coupling)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울드햄 커플링은 중심축이 약간 어긋난 경우, 각속도의 변화없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오울드햄 커플링은 제3동축(89)의 타단에 고정된 제1회전원판(95)과, 자전축의 타단에 결합된 제2회전원판(97)과, 상기 제1회전원판(95) 및 제2회전원판(97)과 각각 직각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된 미끄럼 원판(96)으로 구성된다. 본실시예에서는 미끄럼원판(96)의 양단면에 길이방향으로 직각을 이루는 홈(96a, 96b)이 각각 형성하고, 각각의 회전원판(95, 97)에는 각각의 홈에 대응하는 돌기(95a, 97a)를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홈과 돌기를 위치를 번갈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동력전달장치는 모터가 회전하면, 기어에 의하여 정해진 비율로 자전과 공전을 하게 되어 있다. 모터가 회전하면, 벨트(83), 제1전동축의 워엄 (85a), 워엄기어(워엄휠;94), 제2전동축(93), 제2전동기어(92), 제3전동기어(91), 제3전동축(89), 오울드햄커플링, 자전축의 경로로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된다. 또한, 공전축(87)의 공전운동의 회전력은 제1전동축(85)에서, 제1전동기어(86), 공전축(87)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를 통하여 전달된다. 자전축(88)에 고정된 연마디스크(20)는 공전운동과 자전운동을 동시에 하게 되고, 공전축과 자전축은 기어에 의하여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공전과 자전의 속도 비율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연마디스크(20)상에서 광화이버 커테터의 단부가 그리는 궤적은 속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피치를 갖는 궤적을 그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연마디스크의 자전과 공전의 비율을 동기화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연마할 수 있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를 제공하여, 연마장치의 부피를 적게할 수 있으며, 연마디스크 상에 광화이버 커넥터가 그리는 궤적이 항상 동일한 형상과 피치를 갖도록 하여 연마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할 수 있는 암에 고정되어 고정디스크를 파지하여 연마디스크에 장착과 탈착할 수 있으며, 연마시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수단을 구비한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를 제공하여, 사람이 고정디스크를 장착하거나 작업후 제거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광화이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마시 균일한 압력으로 고정디스크를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연마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마시 연마디스크와 고정디스크 사이에 발생하는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장치를 제공하여, 연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을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9)

  1. 연마 디스크와,
    상기 연마디스크를 자전과 공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중심에서 상부로 연장된 실린더 형상의 수압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광커넥터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디스크와,
    상기 고정디스크의 수압부를 클램핑하여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광커넥터의 단면을 상기 연마디스크에 대하여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을 구비한 가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지지부는 상기 공전축선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고정된 지지축과, 일단이 상기 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마디스크의 상부로 설치된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아암의 타단에 고정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디스크의 수압부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깊이의 환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수단은,
    일단에서 내부로 형성된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심선을 갖고, 상기 제1실린더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제2실린더가 형성된 헤드본체와,
    일단이 상기 제2실린더에 밀봉되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에서 연장된 가압부를 갖는 가압피스톤과,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부가 중공에 삽입되도록 일단부의 외주가 상기 제2 실린더에 삽입되어 있고, 소정 위치의 원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상기 헤드본체에 고정되어 설치된 안내실린더와,
    상기 안내실린더의 관통구멍에 설치된 복수의 볼과,
    중공의 실린더 형상이고, 외주면은 상기 제1실린더와 내주면은 상기 안내실린더의 외주면과 밀봉되어 이동가능 하도록 상기 안내실린더의 일단에서 끼워져 상기 안내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내에 설치되고, 내주면의 소정의 위치에 원주방향으로 상기 볼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홈이 형성된 클램핑 피스톤과,
    상기 플랜지와 상기 클램핑 피스톤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와,
    상기 제1 실린더에 및 제2 실린더 각각에 압축 공기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안내실린더의 외경과 내경사이의 두께는 상기 볼의 직경보다 작고, 클램핑 실린더의 환형홈의 깊이는 상기 볼이 수용된 경우 볼의 일부가 안내실린더의 내경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에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를 구비한 냉각수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에는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가 상기 관통구멍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튜브를 구비한 냉각수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스크의 수압부의 단면에는 반구면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피스톤의 가압부의 단부는 반구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KR1020030066401A 2003-09-24 2003-09-24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KR100542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401A KR100542455B1 (ko) 2003-09-24 2003-09-24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6401A KR100542455B1 (ko) 2003-09-24 2003-09-24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122A Division KR100513139B1 (ko) 2004-02-26 2004-02-26 연마디스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080A KR20050030080A (ko) 2005-03-29
KR100542455B1 true KR100542455B1 (ko) 2006-01-11

Family

ID=37386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401A KR100542455B1 (ko) 2003-09-24 2003-09-24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4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340B1 (ko) * 2006-11-10 200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스텝퍼 장치
KR100914190B1 (ko) * 2007-11-23 2009-08-27 (주)링크옵틱스 에프티티에이치망 현장용 광커넥터 연마 지그
KR100914189B1 (ko) * 2007-11-23 2009-08-27 (주)링크옵틱스 에프티티에이치망 현장용 광커넥터 연마기
CN112276740B (zh) * 2020-09-30 2022-01-21 贰零柒(徐闻)工业互联网有限公司 一种滚动式高效光纤研磨机
CN114523413B (zh) * 2022-01-28 2023-1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光纤研磨装置
CN116038499B (zh) * 2023-01-30 2023-12-15 湖南展通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器端面研磨装置
CN115971587B (zh) * 2023-03-01 2024-04-02 金华新天齿轮有限公司 一种齿轮加工用夹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080A (ko) 2005-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01281A1 (en) Driving apparatus for polishing disk and polishing apparatus for optical fiber end surface having thereof
KR100513139B1 (ko) 연마디스크 구동장치
KR100542455B1 (ko) 광 화이버 커넥터 연마 장치
KR20040019918A (ko) 연마기
JPH1133886A (ja) ガラスディスク内周研磨装置およびガラスディスク内周研磨方法
CN212977786U (zh) 一种铝盖打磨机的上料结构
JP3355290B2 (ja) ガラスディスク研磨装置
CN215470488U (zh) 一种顶杆加工镜面磨床用轴心夹具
CN109848850A (zh) 一种与流转板配合使用的夹持吸附装置
CN109176284A (zh) 手机中框抛光夹具及其磨削机
CN214135271U (zh) 一种轴承去内径毛边的面打磨具结构
CN220944530U (zh) 一种轴承外壁毛刺打磨装置
CN113878452B (zh) 一种可控压力的公自转轮带抛光机械臂末端执行器
JP3493334B2 (ja) 超仕上装置
CN117718871B (zh) 一种用于离心通风机叶轮的表面精加工装置
CN217344995U (zh) 一种水泵壳体抛光装置
CN212470789U (zh) 一种轴承套圈高效打磨设备
CN211992405U (zh) 一种轴承外圈抛光装置
CN113910053B (zh) 一种轮带式抛光装置
CN217890473U (zh) 一种可自动旋转倒角边沿的钢板倒角机
CN218984190U (zh) 一种电机机壳出线孔手动倒角装置
CN217992011U (zh) 一种薄壁胶木保持架加工用打磨装置
CN216179010U (zh) 一种弧壁研磨装置
CN213289860U (zh) 一种陶瓷平面抛光装置
CN210650061U (zh) 一种转盘式抛光机旋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