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0233B1 -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233B1
KR100540233B1 KR1019997007232A KR19997007232A KR100540233B1 KR 100540233 B1 KR100540233 B1 KR 100540233B1 KR 1019997007232 A KR1019997007232 A KR 1019997007232A KR 19997007232 A KR19997007232 A KR 19997007232A KR 100540233 B1 KR100540233 B1 KR 100540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xle
arms
axle bloc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966A (ko
Inventor
장-뤼끄 앙드레
마르땡 꾀르베르
Original Assignee
로르 앵뒤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르 앵뒤스트리 filed Critical 로르 앵뒤스트리
Publication of KR20000070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24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 B62D1/26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 B62D1/265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not vehicle-mounted mechanical, e.g. by a non-load-bearing guide especially adapted for guiding road vehicles carrying loads or passengers, e.g. in urban networks for public transport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의 짝을 이룬 사용 응력에서 두 개의 회전 안내 아암(2,3)으로 형성된 전방 조향 유닛을 포함하는 안내 시스템에 관련되는데, 각각은 지면(16) 상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에서 맞물린 경사 로울러(12,13)를 장착하고 있다. 배면에서 안내 레일의 종동부 형태로 액슬(8)의 가로 틈새를 최대값으로 제한하기 위한 종동부-제한기 모듈(47)은 액슬(8)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고 한계값 내에서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전방 조향 장치와 종동부-제한기 모듈(47)은 그 상태를 바꾸기 위해 제어할 때 일시적으로 가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43,44)를 통해 매번 액슬의 각 면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특히 도시 대중 교통수단의 자동차 제조업자에게 유용하다.

Description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SYSTEM FOR GUIDING A ROAD VEHICLE AXLE ALONG AT LEAST ONE RAIL ON THE GROUND}
본 발명은 지면에 위치하는 한 개이상의 안내레일에 의존하여 운동하는 안내휠들을 이용하는 차량을 위한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휠들을 가진 차량들이 휠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열된 보조휠들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보조휠들은 횡방향경로위를 운동하고 곡선경로에서 횡방향응력을 가진다. 예를 들어, 타이어를 가진 철도 차량에 있어서, 횡방향응력이 타이어들에 작용하지 않거나 매우 경미한 잔류응력이 작용할 뿐이다.
삭제
각각의 타이어는 약간의 횡방향응력을 가질 수 있다. 회전운동시 차량의 모든 타이어들은 횡방향가속도를 가져서 타이어의 측부를 일시적으로 변형시킨다. 횡방향응력이 주로 타이어들에 의해 형성된다.
한 개이상의 안내레일들을 따라 안내되는 차량에 있어서, 타이어가 결함을 가지거나 견인력의 손실이 발생하면 타이어들은 횡방향응력을 가지지 못하며 액슬블록은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횡방향으로 분리되거나 횡방향의 틈새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타이어의 견인력이 감소되어 발생할 수 있는 횡방향 이동을 제거할 때, 지면에 위치하는 동일한 안내레일들위에서 운동하는 종동부제한기모듈 및 액슬블록은 미리 정해진 각운동편차까지 약간의 횡방향틈새를 가질 수 있다.
횡방향틈새가 허용치로 유지되고 차량이 추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내조립체를 이용하여 액슬블록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고, 지면위에서 안내레일을 따라 결합되어 운동하는 동일한 두 개의 안내아암들이 전방의 안내조립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견인력손실이 발생할 때 횡방향틈새를 최대값으로 한정하는 것이다.
타이어가 지면에 부착하지 못하거나 미끄럼 등의 상태를 가질 때에만 횡방향틈새의 제한기가 작동한다.
이방향제어장치를 변화시키면 도심의 대중철도장치를 위한 안내레일들에 대해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장치를 포함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전환된 안내조립체가 후방에 제공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횡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장치를 포함한 안내조립체를 가진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단순형태의 안내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두 개의 마주보는 측부들에서 안내아암들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안내조립체를 가진 차량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안내조립체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9는 분리된 두 개의 안내휠들을 가지고 안내레일의 측부를 따라 안내휠들이 구름운동하는 안내조립체를 가진 차량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안내조립체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1은 틈새제한기를 가지고 전환될 수 있는 안내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틈새제한기를 가지고 전환될 수 있는 전방의 안내조립체 및 액슬블록을 포함한 중간모듈의 사시도.
도 13은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14는 안내아암의 관절연결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우측에서 구속된 안내아암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좌측에서 구속된 안내아암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17 및 도 18은 종동부제한기모듈에 의해 횡방향 최대틈새가 허용될 때 직선운동의 두 단계들을 도시한 개략도.
도 19 및 도 20은 종동부제한기모듈에 의해 횡방향 최대틈새가 허용될 때 곡선운동의 두 단계들을 도시한 개략도.
*부호 설명
2,3 ... 안내 아암 8 ... 액슬블록
12,13... 안내휠 16 ...안내레일
43,44... 고정장치 47... 종동부제한기모듈
도 1내지 도 4에서 화살표는 운동방향을 도시하고, 도 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의 안내장치는 동일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가진 안내조립체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노치(4) 및 뾰족한 상호연결요소(5)와 같이 짝을 이루며 마주보는 연결장치에 의해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서로 정렬되고 연결된다.
삭제
상기 안내아암(2,3)들은 (도 5에 도시된) 횡방향의 액슬(7)주위에서 피봇운동하는 관절연결부(6)에 연결되고, 레일식 대중운송열차를 구성하는 (도 7의) 중간모듈(11)위에서 두 개의 휠(9,10)들과 연결된 액슬블록(8)에 상기 관절연결부(6)가 연결된다. 상기 관절연결부(6)는 피칭(pitching)운동을 흡수한다.
(도 7내지 도 10을 참고할 때,) 각각의 안내아암(2,3)은 경사구조를 가진 안내휠(12,13,14,15)들을 가지고, 지면에서 안내조립체의 중앙에 배열되는 한 개의 안내레일(16) 또는 지면에 떨어져 배열된 두 개의 안내레일(17,18)의 측부들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상기 안내휠(12,13,14,15)들이 연결되어 운동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할 때,) 경사구조를 이루며 근접하게 구성된 안내휠(12,13)들이 중심의 커플링(19)을 형성하고, (도 9 및 도 10을 참고할 때,) 경사구조를 이루는 안내휠(14,15)들은 떨어져 배열된다.
안내조립체(1)의 안내아암(2,3)들에 관한 실시예들이 도 5에 제공된다.
상기 안내아암(2,3)들은 동일한 삼각형 구조를 가지고, 안내아암(2,3)들의 몸체는 빈 상태의 중심영역(22,23)을 둘러싸는 삼각형구조의 기계적 주변요소(20,21)들을 포함한다.
상기 안내아암(2,3)의 몸체는 상기 액슬블록(8)과 근접하게 위치한 횡방향의 베이스(24,25), 상기 베이스와 수직으로 구성된 내측면(26,27)들 및 상기 내측면들과 연결되고 내측으로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28,29)들을 포함한다. 주변요소(20,21)의 베이스(24,25)에 의해 안내아암(2,3)들이 차량에 대해 횡방향으로 구성된 액슬(7)에 피봇운동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관절연결부(6)는 피봇운동하는 한 개의 액슬(7) 또는 분리된 두 개의 액슬들 또는 안내아암(2,3)의 베이스(24,25)들에 의해 지지되고 서로 연속해서 배열된 일련의 액슬요소(30,31,32,33)(도 11을 참고)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베이스(24,25)는 액슬블록(8)의 측부에서 톱날구조를 가진 두 개의 개구부(34,35,36,37)들을 가지고, 개구부의 측단부들이 상기 액슬요소(30,31,32,33)들의 단부들을 지지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베이스(24,25)와 수직으로 구성된 내측면(26,27)이 내측면(26,27)의 전방단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안내휠(12,13,14,15)을 지지하고, 경사구조를 이루며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는 상기 안내휠(12,13,14,15)은 휠보호요소로서 작동하는 편향기(38,39)에 의해 보호된다.
상기 안내휠(12,13,14,15)들은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상기 안내휠(12,13)들이 근접하게 배열될 때, 안내휠들은 중심의 커플링(19)을 형성하고, (도 7 및 도 8를 참고할 때,) 경사구조를 이루는 두 개의 안내휠들이 하향으로 뾰족한 V자구조체를 형성하여 안내레일(16)의 안내측부에 횡방향으로 연결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고할 때, 분리된 상태의 안내휠(14,15)들이 제공되면, 안내휠(14,15)들이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구조를 이루고, 서로 분리된 레일(17,18)들의 마주보는 안내측부들을 따라 상기 안내휠(14,15)들이 구름운동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차에서 이용되는 두 개의 레일들에 관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 횡방향의 탄성회복장치에 의해 안내아암들의 안내휠들이 연결된다. 근접하게 위치한 안내휠들의 커플링(19)을 위하여 상기 탄성회복장치는 안내아암들을 가압하는 횡방향 하중(F)을 발생시킨다. 분리된 안내휠(14,15)들을 위하여 상기 탄성회복장치는 안내아암들을 떨어지게 가압하는 하중을 발생시킨다.
상기 안내아암들 및 안내휠들이 수직으로 구속될 때, 안내아암들을 서로 모이게 하거나 분리시키는 하중에 의해 각 안내휠이 안내휠의 트랙과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두 개의 안내아암들과 동시에 접촉하는 개별 슈 또는 공통의 접촉슈우(40)에 의해 상기 안내휠들이 수직하향으로 구속된다. 따라서 안내휠들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안내휠들이 안내요소들위에 일정하게 유지되고 탈선가능성이 제거된다.
분리된 안내휠들을 이용하는 구조체에 대해 상기 접촉슈우(40)를 포함한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서, 큰 폭의 팁(42)을 가진 스프링-블레이드(41)에 의해 상기 접촉슈우가 제공되고, 스프링-블레이드는 상기 커플링(19)과 근접한 위치에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위에 작용한다.
두 개의 안내아암들은 액슬과 일체로 구성되어 안내아암들이 액슬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를 참고할 때, 주변요소(20,21)를 구성하는 각 베이스(24,25)의 외측단부 및, 휠들과 근접한 위치에서 액슬블록(8)에 대해 고정된 고정부분(45,46)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구성된 고정장치(43,44)들에 의해 액슬블록에 대해 상기 안내조립체가 구속된다.
상기 고정장치(43,44)의 작용이 하기에 설명된다.
차량이 전방 및 후방으로 안내되어야 할 때, 동일한 안내조립체(1)가 전방 및 후방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안내조립체들이 동시에 작동하지 않는다.(도 3).
액슬블록에 대한 횡방향틈새를 제한하기 위한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제공될 때, 두 개의 고정장치(43,44)들에 의해 횡방향 고정기능이 임시로 제공된다. 로킹장치(48,49)들과 같이 교체가능한 고정장치들이 이용된다. 도면에서 화살표방향의 운동에 대해 전방의 고정장치들이 구속된다. 연속적으로 전방에서 작동방향으로 차량이 안내되고, 후방에서 또 다른 동일한 형태의 고정장치에 의해 횡방향 틈새가 제한된다. (도 4).
상기 고정장치의 단부들중 한 개가 텔레스코픽 구조를 가지고 충격흡수수단을 가질 수 있어서, 안내조립체가 액슬블록에 대해 구속될 수 있다. 고정장치의 상기 구조에 의해 안내조립체의 급회전시 횡방향운동의 충격이 고정장치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텔레스코픽 구조의 헤드(50,51)를 가진 기계식 연결부가 고정장치(43,44)에 포함되고, 액슬블록(8)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는 고정부분(45,46)에 헤드(50,51)의 한쪽 단부가 관절연결되며, 안내아암의 측부에 헤드의 다른 한쪽 단부가 관절연결된다. 상기 기계식 연결부가 두 개의 연결막대(52,53)들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중간의 관절연결부(54)에 의해 상기 연결막대(52,53)들이 서로 연결되며, (도 13의)볼소켓연결부(55)를 포함하는 적합한 구속장치에 의해 상기 관절연결부(54)가 명령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중간의 관절연결부(54)와 결합된 제어축을 가진 능동형 이방향제어장치(56)를 이용하여 상기 기계식 연결부가 구속위치로부터 불구속위치로 변경된다. 기계식 연결부를 자유롭게 만들고 상기 볼소켓연결부(55)를 다시 정렬시키는 하중이 상기 제어축에 의해 전달된다. 상기 볼소켓연결부(55)가 정렬될 때 관절연결부가 구속된다.
횡방향 틈새를 제한하는 제한기가 전방의 안내조립체(1)와 일체구성된다.
운동방향에 대해 전방에 장착된 안내조립체(1)가 후방에서 또 다른 모듈을 가질 수 있다. 액슬블록위에 배열되고 안내레일(16)에 의존하여 작동하며 후방에 배열되는 횡방향틈새의 제한기가 상기 종동부제한기모듈(47)에 의해 제공된다. (도 2, 도 4, 도 11 및 도 12).
예를 들어, 상기 종동부제한기모듈(47)은 삼각형 구조를 가지고 피봇운동하는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가지고,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열된 일련의 액슬요소(30,31,32,33)들 또는 횡방향의 액슬(7)주위에서 상기 안내아암의 베이스(24,25)가 피봇운동하게 관절연결된다. 안내아암들의 자유단부는 경사구조를 가진 안내휠을 포함하고, 안내휠은 안내레일 또는 레일들을 따라 운동한다. 경사구조를 이루는 안내휠의 커플링(19)이 하향으로 뾰족한 V자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커플링(19)이 지면에서 중앙에 배열된 한 개의 안내레일(16)과 결합한다. 또한 경사구조를 이루는 두 개의 독립적인 안내휠(14,15)들이 상향으로 뾰족한 V자구조를 형성하고, 별도의 독립적인 두 개의 안내레일(17,18)들과 상기 안내휠(14,15)들이 결합하며, 상기 안내레일들은 액슬블록(8)위에서 안내휠들과 근접한 위치에 배열되고 도심레일장치의 궤도를 형성한다.
(안내휠들이 중앙에 배열된 경우에 )안내아암들을 모이게 가압하고 ( 안내휠들이 서로 이격되어 독립적으로 배열된 경우에) 안내아암들을 분리시키는 횡방향 하중(F) 및 도 6의 연결장치에 의해 상기 안내아암들이 결합된다.
예를 들어, 팁(42)을 가진 블레이드스프링(41)에 의해 두 개의 안내아암들에 작용하는 탄성하중 또는 유압하중과 같은 수직방향의 구속작용에 의해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포함한 종동부제한기모듈이 하향으로 가압된다.
횡방향으로 연속구성된 액슬요소(30,31,32,33)들 또는 액슬(7)주위에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이 피봇운동하도록 관절연결된다. 횡방향 틈새를 제한하기 위해 허용되는 분리각에 해당하는 원호를 따라 상기 안내아암들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안내부로서 상기 액슬 또는 액슬요소들이 이용된다.
종동부제한기모듈(47)을 구성하고 연속적으로 배열된 액슬요소들의 기하학적 윤곽선이 원호(CD)로 도시되고, 전방에 배열된 안내휠들이 가지는 두 개의 접촉점들을 연결하는 선분의 중심점(A)에 대해 상기 원호(CD)의 중심이 배열된다.
후방에 배열된 안내휠들의 중심점(B)이 도시된다.
변형예에 의하면, 원호(CD)내에 배열되고 고정된 안내아암(2)의 베어링요소(57,58) 및 안내아암(3)의 베어링요소(59,60)에 의해 지지되는 액슬(7)의 구성요소들이 액슬블록(8)과 일체구성되고 중심점(A)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펼쳐져 구성된다. 도 11을 참고할 때, 원호를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배열된 선형의 액슬요소들에 의해 피봇운동하는 관절연결부가 형성된다.
베이스(24,25)들내에 형성된 개구부(34,35,36,37)들의 횡방향단부들에 의해 액슬요소들의 단부들이 지지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된 베어링요소(57,58,59,60)들 및 액슬요소(30,31,32,33)들이 변형가능한 관절연결부(61)에 의해 연결되고, 관절연결부(61)는 액슬요소에 대해 작은 축방향 저항 및 큰 반경방향저항을 가진다.
상기 형태의 관절연결부(61)가 도 14내지 도 16에 도시된다. 연속적으로 배열되고 변형가능하며 동일한 관절연결부(61)들은 예를 들어, 병렬배열되고 평면 또는 관형으로 구성된 판(62)들의 가요성구조체로서 제공되고, 상기 판(62)들은 탄성 중합체로 제조되고 연결층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할 때, 변형가능한 각각의 관절연결부(61)가 구조체의 최대변위에 도달할 때까지 축방향 분리수단에 의해 상기 관절연결부(61)가 축방향으로 변형된다.
상기 관절연결부(61)에 의해 횡방향변형에 대한 저항이 증가된다. 상기 관절연결부(61)는 가요성을 가진 얇은 판들 및 고무침착법에 의해 제조된 층을 교대로 연속구성하여 제공되고, 베어링요소(57,58,59,60)들 및 액슬요소들사이에서 판형상의 연결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관절연결부(61)는 차량에 대해 상당히 큰 횡방향 변형특성 및 작은 종방향 변형특성을 가져서, 종동부제한기모듈(47)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작동시 유리하게 이용된다.
안내아암(2,3)들을 포함한 유니트가 최대틈새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베어링요소들에 의해 형성된 작은 곡선틈새영역내에서 액슬블록(8)에 대해 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유니트가 부착된다.
두 개의 고정장치 및 임시로 유지되는 두 개의 연결부들이 종동부제한기모듈(47)에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들은 고정장치를 임시로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볼소켓연결부와 같은 다양한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들이 구성된다.
볼소켓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각각의 관절연결부는 중간의 관절연결위치에서 연속적으로 관절연결된 두 개의 연결막대들을 가진다.
연결막대들중 한 개의 자유단부가 고정위치에서 액슬블록과 관절연결된다. 다른 한 개의 연결막대의 자유단부는 각각의 안내아암의 하측부에 관절연결된다.
안내아암과 근접한 위치에서 연결막대는 텔레스코핑 단부를 가져서 연결막대가 추가로 확대될 수 있다.
상기 관절연결부는 변형될 수 있는 삼각형구조를 가지고, 연결막대들은 삼각형측부를 형성하며, 볼소켓연결부는 삼각형 정점을 형성하고, 연결막대의 자유단부들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밑변을 형성한다.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각운동하여 연결막대들의 각도가 변화할 때 상기 삼각형구조가 변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절연결부(61)의 변형에 의해 회전운동시 필요한 각운동분리가 형성되고, 각운동분리는 각운동허용틈새를 형성한다.
횡방향틈새가 형성될 때, 최대 각운동분리를 나타내는 제한위치들이 액슬요소들의 단부위치에 해당한다.
연결막대들이 정렬되어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구속될 때 종동부제한기모듈은 액슬요소들의 중심위치에서 고정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공통의 관절연결부가 제어축에 의해 외부의 제어수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축이 이방향제어장치에 의해 가압되거나 인장되어 관절연결부를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한다.
볼소켓연결부를 구속하면 종동부제한기모듈(47)은 전방의 안내조립체(1)로서 작동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속명령 또는 구속해제명령에 의해 상기 안내조립체(1)가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고, 전방의 안내조립체(1)는 종동부제한기모듈(47)로 전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차량은 의도에 따라 반대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전환된 안내조립체(1)가 후방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안내장치는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진 변형예들을 포함할수 있다.
우선 (도 1의) 안내장치는 피봇운동하는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가진 안내조립체(1)를 포함한다.
다음에 (도 3의) 안내장치는 횡방향 틈새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장치없이 전방 및 후방에서 작동할 수 있는 안내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안내장치는 안내장치의 후방에서 제한된 횡방향틈새를 허용하는 종동부제한기모듈(47)을 가지고, 전방의 안내조립체(1)는 도 1의 안내조립체와 유사하다. (도 2 또는 도 4에서) 안내조립체(1)의 기능이 액슬블록에 대해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의) 안내장치는 전방에서 안내조립체(1)를 가지고 후방에서 종동부제한기모듈(47)을 가지며, 안내조립체 및 종동부제한기모듈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4의 실시예를 참고할 때, 종동부제한기모듈을 임시로 고정하는 고정장치(43,44)들을 이용하면 상기 안내조립체(1)의 기능이 액슬블록(8)에 대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휠들이 안내레일 또는 안내레일들로부터 들어 올려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상승될 수 있는 한 개의 안내조립체(1)를 이용하거나 상승될 수 있는 안내조립체(1) 및 종동부제한기모듈(47)를 이용한다.
안내조립체 또는 종동부제한기모듈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어상태의 고정장치(43,44)들이 단지 구속해제되고, 상기 안내조립체(1) 또는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모터에 의해 상승된다.
액슬블록(8)에 대해 안내조립체(1)가 구성되어, 안내조립체(1)가 종래기술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안내조립체(1)는 액슬블록을 직접적으로 조정한다. 안내조립체가 안내레일 또는 안내레일들의 곡선경로를 추종함에 따라 안내조립체의 각도변화들은 액슬블록(8)의 해당 방향을 형성한다.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 의하면, 횡방향틈새의 제한기능을 가진 안내장치가 자체지지되고 액슬블록(8)을 가진 중간모듈(11)에 부착되고, 레일식 대중교통시스템을 형성하고 연속구성된 두 개의 차량들사이에 상기 중간모듈(11)이 배열된다.
도면들을 참고할 때 전방의 유니트는 안내조립체(1)로서 작동하고 후방의 유니트는 종동부제한기모듈(47)로서 작동하며, 삼각형구조를 가진 안내아암(2,3)들의 베이스(24,25)들이 톱날형상의 개구부(34,35,36,37)들 및 액슬요소(30,31,32,33)들을 포함하고, 액슬요소(30,31,32,33)들은 베어링요소(57,58,59,60)들의 횡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방향제어장치(56)에 의해 구속되는 고정장치(43,44)들을 이용하여 안내조립체(1)가 액슬블록(8)에 대해 방향고정된다. 볼소켓연결부를 형성하는 관절연결부가 정렬될 때 구속상태가 형성된다.
볼소켓구조를 가진 중간의 관절연결부(54)를 재정렬시키는 횡방향하중이 이 방향제어장치(56)에 의해 형성될 때까지 상기 관절연결부는 구속된 상태를 유지한다.
전방유니트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후방유니트가 종동부제한기모듈(47)로서 작동한다. 후방유니트가 종동부제한기모듈로서 작동하기 위하여 고정장치(43,44)들이 구속해제되고, 볼소켓을 가진 볼소켓연결부(55)는 이방향제어장치(56)에 의해 재정렬되고 상기 이방향제어장치(56)에 의해 볼소켓연결부(55)의 상태가 변화한다. 상기 볼소켓연결부(55)의 길이가 변화하고, 안내아암들이 형성하는 평면내에서 안내아암들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각도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안내아암의 측부에서 관절연결부 및 고정부분(45,46)사이에 요구되는 길이로 상기 볼소켓연결부가 변화한다.
상기 중간모듈(11)은 U자형 액슬(63), 상부 서스펜션(64,65), 두 개의 차량들사이에 위치한 두 개의 회전중심(66,67)들 및 밀폐프레임(68)을 포함한다. 중간모듈에 연결되는 여러개의 차량이 대중교통시스템의 적용예에서 이용될 수 있다.
횡방향틈새의 제한기를 포함한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작동한다. 고정장치(43,44)와 같은 적합한 수단을 이용하여 전방의 안내조립체(1)가 액슬블록(8)에 대해 방향고정된다.
일시적인 견인력의 손실 또는 미끄럼, 휠들, 교차되는 바람 또는 횡방향운동을 발생시키는 다른 원인이 존재할 때 횡방향틈새의 제한기가 작동한다.
도 17내지 도 20에서 전형적인 예가 도시된다.
타이어의 견인력이 손실되기 시작할 때 액슬블록은 액슬블록의 적합한 위치로부터 변위를 형성하고, 변위는 횡방향틈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횡방향틈새가 최대치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구성요소들이 하기와 같이 작동한다.
종동부제한기모듈(47)과 근접하게 위치한 고정장치(43,44)들이 구속해제된다. 따라서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액슬블록(8)에 대해 자유롭게 배열되고 연결막대(52,53)들이 자유롭게 운동하기 때문에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경미하게 방향변화된다.
액슬블록이 횡방향으로 방향변화되어 횡방향틈새가 형성되고, 그 결과 변형가능한 관절연결부(61)를 통해 베어링요소(57,58,59,60)들이 액슬요소들위에서 운동한다.
횡방향틈새를 형성하는 운동의 크기는 해당 각운동경로보다 작고 상기 관절연결부(61)내에서 단지 제한된 변형을 발생시키며 운동의 임계값에 도달하지 못한다. 상기 운동의 크기는 회전시 발생하는 보통의 틈새에 해당하고 작은 횡방향변위를 형성한다.
직선운동할 때 및 회전운동하여 미끄럼이 발생할 때 틈새가 제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7내지 도 20이 제공된다.
액슬블록위에서 휠들의 정상 궤적이 실선으로 도시되고, 액슬블록이 이탈된 상태일 때 횡방향틈새를 가진 이탈궤적이 점선으로 도시된다. 중심선은 안내레일을 표시한다. 중심선은 휠들이 추종해야 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직선 또는 곡선 위에서 액슬블록중심의 이탈궤적이 근접한 직선들 또는 곡선들에 의해 도시된다. 전방 및 후방의 안내휠들이 가지는 접촉점들사이의 중심에 중심점(A,B)들이 위치하고, 원호(CD)는 중심점(A)을 가진다.
견인력이 제거될 때, 타이어는 미끄럼 운동하고 액슬블록이 오프셋된다. 직선상에서 횡방향 이동을 도시하기 위해, 사선의 궤도가 도시된다. 곡선위에서 횡방향 이동이 존재할 때, 궤도는 경미하게 오프셋된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할 때, 안내장치의 최대 허용틈새만큼 이동한 액슬블록에 의해 형성된 경미한 경사가 원호(CD)를 따라 종동부제한기모듈의 안내아암들이 형성하는 최대각운동분리와 일치한다.
원호(CD)의 경로들, 즉 직선위치와 틈새제한위치사이의 간격이 굵은 선으로 도시된다.
상기 틈새제한위치는 중간의 직선위치에 대한 관절연결부의 최대연장으로 표시된다.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할 때, 전방 및 후방에 구성된 안내아암들의 액슬이 재정렬된다. 액슬블록이 이탈하여 운동하는 크기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 액슬블록이 이탈하는 크기가 종동부제한기모듈(47)에 의해 제한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7)

  1. 지면에 제공된 한 개이상의 안내레일(16,17,18)을 따라 운동하고 기울어져 배열된 두 개의 안내휠(12,13,14,15)들을 가진 안내조립체(1)를 포함하고 차량의 액슬블록(8)에 연결되는 안내장치에 있어서,
    안내조립체(1)는 분리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가지고,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열된 액슬(7)주위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피봇회전운동하며, 상기 안내아암들의 자유단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상기 안내휠(12,13,14,15)들을 지지하고, 안내장치를 이용하는 동안 안내레일(16,17,18)들과 안내휠들을 일정하게 결합하기 위해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에 대해 결합구속력이 작용하며 접촉슈우(40)에 의해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안내레일들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속력이 탄성의 횡방향 하중(F)에 의해 형성되고, 서로 짝을 이루는 노치(4) 및 상호연결요소(5)의 연결장치에 상기 횡방향하중이 작용하여 안내아암(2,3)들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레일(16)은 안내장치의 중심에 배열된 레일이고, 상기 안내휠(12,13)들은 서로 근접하게 배열되며 하향으로 뾰족한 V자형상의 커플링(19)을 형성하고, 커플링이 상기 안내레일(1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안내레일(17,18)들이 제공되고, 안내휠(14,15)들이 서로 이격되며 상향으로 뾰족한 V자형상으로 기울어져 배열되며, 상기 안내휠(14,15)들중 제 1 안내휠이 상기 안내레일(17,18)들중 제 1 안내레일과 연결되고, 상기 안내휠들중 제 2 안내휠이 상기 안내레일들중 제 2 안내레일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조립체(1)의 일부분이 두 개의 고정장치(43,44)들에 의해 액슬블록(8)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장치들이 작동상태 및 비작동상태중 한 개의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장치들이 작동상태로 전환될 때 두 개의 고정장치들은 안내조립체(1)를 임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장치들이 볼소켓연결부(55)를 가지고, 중심의 관절연결부(54)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연결막대(52,53)들이 상기 볼소켓연결부에 포함되며, 상기 볼소켓연결부는 한쪽 단부에서 액슬블록(8)에 고정된 고정부분(45,46)에 관절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에 관절연결되며, 상기 관절연결부(54)는 이방향제어장치(56)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축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안내아암(2,3)과 근접하게 배열된 연결막대(52)의 단부가 텔레스코핑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동일한 제 1 및 제 2 안내조립체들을 가지며, 제 1 및 제 2 안내조립체는 각각 분리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가지고,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열된 액슬(7)주위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피봇회전운동하며, 상기 안내아암들의 자유단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상기 안내휠(12,13,14,15)들을 지지하고, 안내장치를 이용하는 동안 안내레일(16,17,18)들과 일정하게 결합하기 위해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에 대해 결합구속력이 작용하며, 접촉슈우(40)에 의해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안내레일들과 결합되고, 전방 및 후방을 향하여 액슬블록(8)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해 제 1 안내조립체가 액슬블록(8)의 전방에 제공되며 동일한 제 2 안내조립체가 액슬블록(8)의 후방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안내조립체들이 각각의 고정장치들을 가지고, 안내장치의 작동시 제 1 안내조립체의 고정장치가 제 1안내조립체를 구속할 때 제 2 안내조립체의 고정장치가 제 2 안내조립체를 구속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추가로 액슬블록(8)의 후방에 한쌍의 안내휠들을 가진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제공되고, 상기 안내휠들이 한 개이상의 안내레일들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조립체(1)가 모터에 의해 안내레일들로부터 들어 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4. 지면에 제공된 한 개이상의 안내레일(16,17,18)을 따라 운동하고 기울어져 배열된 두 개의 안내휠(12,13,14,15)들을 가진 안내조립체(1)를 포함하고 차량의 액슬블록(8)에 연결되는 안내장치에 있어서,
    안내조립체(1)는 분리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가지고,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열된 액슬(7)주위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피봇회전운동하며, 상기 안내아암들의 자유단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상기 안내휠(12,13,14,15)들을 지지하고, 안내장치를 이용하는 동안 안내레일(16,17,18)들과 일정하게 결합하기 위해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에 대해 결합구속력이 작용하며 접촉슈우(40)에 의해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안내레일들과 결합되고,
    기울어져 배열된 한 쌍의 안내휠들을 가지고 횡방향 틈새를 제한하는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액슬블록(8)의 후방에 제공되며 액슬블록에 대해 피봇회전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안내휠들의 접촉점들에 대한 중심점(A)위에 중심을 가진 원호(CD)를 따라 변형가능한 관절연결부(61)의 허용크기까지 상기 종동부제한기모듈(47)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이 일련의 액슬요소(30,31,32,33)들에 의해 액슬블록(8)과 피봇회전하도록 관절연결되고, 상기 액슬요소들이 안내휠들의 접촉점들에 대한 중심점(A)위에 중심을 가진 원호(CD)를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관절연결부(61)는 베어링요소(58,59)들을 포함하고, 변형가능한 판(62)들에 의해 베어링요소들이 액슬요소들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17. 지면에 제공된 한 개이상의 안내레일(16,17,18)을 따라 운동하고 기울어져 배열된 두 개의 안내휠(12,13,14,15)들을 가진 안내조립체(1)를 포함하고 차량의 액슬블록(8)에 연결되는 안내장치에 있어서,
    안내조립체(1)는 분리된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을 가지고, 차량의 횡방향으로 배열된 액슬(7)주위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피봇회전운동하며, 상기 안내아암들의 자유단부와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상기 안내휠(12,13,14,15)들을 지지하고, 안내장치를 이용하는 동안 안내레일(16,17,18)들과 일정하게 결합하기 위해 두 개의 안내아암(2,3)들에 대해 결합구속력이 작용하며 접촉슈우(40)에 의해 상기 안내아암(2,3)들이 안내레일들과 결합되고,
    액슬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안내조립체(1)와 동일한 제 2 안내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제 2 안내조립체가 액슬의 후방에 배열되고 기울어져 배열된 한쌍의 안내휠들을 가지며 고정장치와 연결되며, 고정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제 2 안내조립체가 횡방향틈새를 제한하는 종동부제한기모듈(47)로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KR1019997007232A 1997-02-11 1998-02-11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KR100540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01709A FR2759340B1 (fr) 1997-02-11 1997-02-11 Systeme de guidage le long d'au moins un rail au sol pour un essieu d'un vehicule routier
FR97/01709 1997-02-11
PCT/FR1998/000264 WO1998034827A1 (fr) 1997-02-11 1998-02-11 Systeme de guidage le long d'au moins un rail au sol pour un essieu d'un vehicule rout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966A KR20000070966A (ko) 2000-11-25
KR100540233B1 true KR100540233B1 (ko) 2006-01-10

Family

ID=9503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232A KR100540233B1 (ko) 1997-02-11 1998-02-11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6029579A (ko)
EP (1) EP0960045B1 (ko)
JP (1) JP2001511092A (ko)
KR (1) KR100540233B1 (ko)
CN (1) CN1094103C (ko)
AT (1) ATE218113T1 (ko)
BR (1) BR9808640A (ko)
CA (1) CA2278716C (ko)
CZ (1) CZ297568B6 (ko)
DE (1) DE69805604T2 (ko)
DK (1) DK0960045T3 (ko)
ES (1) ES2181181T3 (ko)
FR (1) FR2759340B1 (ko)
PL (1) PL189625B1 (ko)
PT (1) PT960045E (ko)
RU (1) RU2189920C2 (ko)
TR (1) TR199901934T2 (ko)
UA (1) UA49942C2 (ko)
WO (1) WO19980348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942A (ko) * 2012-03-21 2014-12-01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탈선 및/또는 유도의 상실의 경우에 유도 차량을 궤도 유지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7549B1 (fr) * 1996-12-19 1999-01-29 Lohr Ind Rail de guidage pour vehicule routier du type autoguide
FR2778161B1 (fr) 1998-04-30 2000-07-21 Lohr Ind Ensemble bidirectionnel de guidage le long d'un rail autorisant un deport lateral pour un essieu routier
US6314890B1 (en) * 1998-05-04 2001-11-13 G. Richard Geldbaugh Dual use transportation system
FR2781823B1 (fr) * 1998-07-29 2005-08-26 Lohr Ind Rail de guidage a encoches d'engagement-degagement pour un ensemble de guidage a galets notamment inclines
GB2372731B (en) * 2001-03-03 2004-03-10 Thomas John Scott Tidmarsh Vehicular linear propulsion system
FR2849781B1 (fr) 2003-01-14 2005-03-25 Edap S A Sonde de therapie
FR2860480B1 (fr) * 2003-10-02 2007-01-26 Eurodim Sa Systeme de guidage pour vehicule le long d'au moins un rail directeur.
DE102006039640B3 (de) * 2006-07-25 2008-01-10 Schreck-Mieves Gmbh Verstellvorrichtung
FR2909061B1 (fr) * 2006-11-29 2009-01-09 Lohr Ind Dispositif de detection du risque de deraillement et d'evacuation de debris ou d'objets sur la voie de guidage par rail d'un vehicule.
FR2910423B1 (fr) * 2006-12-22 2009-02-20 Lohr Ind Dispositif de securite anti-extraction pour un ensemble de guidage par deux galets inclines roulant sur un rail.
FR2916411B1 (fr) * 2007-05-25 2009-07-24 Lohr Ind Systeme de guidage bidirectionnel a limitation de debattement lateral, pour un essieu routier guide par un rail au sol.
JP5107280B2 (ja) * 2009-02-26 2012-1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5291503B2 (ja) 2009-03-17 2013-09-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JP4995217B2 (ja)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及び軌道系車両
JP4995216B2 (ja) * 2009-03-25 2012-08-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軌道系車両用台車
PL2459427T3 (pl) * 2009-07-28 2013-11-29 Siemens Sas Sposób i urządzenie dla wykrywania wykolejenia pojazdu prowadzonego
JP5297443B2 (ja) 2010-12-17 2013-09-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及びその走行装置
FR2982827B1 (fr) * 2011-11-22 2013-11-29 Lohr Ind Dispositif de securite anti-extraction a reengagement pour un ensemble de guidage a galets roulant sur un rail de guidage
EP2676863A1 (fr) * 2012-06-20 2013-12-25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s de protection contre une perte de guidage d'un véhicule guidé
EP2832622B1 (fr) 2013-07-29 2016-05-25 Siemens S.A.S. Méthode et dispositifs de contrôle d'un enraillement correct d'un véhicle guidé
FR3014400B1 (fr) 2013-12-11 2016-02-05 Alstom Transport Sa Vehicule terrestre guid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gestion d'un deraillement du vehicule , et procede de gestion du deraillement associe
CN107512272A (zh) * 2017-08-30 2017-12-26 中车四方车辆有限公司 非动力走行装置及胶轮导轨电车
CN107512273A (zh) * 2017-08-30 2017-12-26 中车四方车辆有限公司 动力走行装置及胶轮导轨电车
RU2666609C1 (ru) * 2017-11-30 2018-09-11 Дахир Курманбиевич Семенов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с рельсовым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ES2964775T3 (es) 2020-07-02 2024-04-09 Siemens Mobility S A S Dispositivo y método de expansión de carri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02066A (en) * 1925-08-24 1926-10-05 Burton Charles Louis Motor vehicle
DE1128765B (de) * 1960-04-09 1962-04-26 Heiner Kuch Radlenkung fuer Fahrzeuge mit Leitschienen- oder Handsteuerung
US3180280A (en) * 1963-08-28 1965-04-27 Kuch Heiner Vehicle and guide rail therefor
JPS59139456U (ja) * 1983-03-09 1984-09-18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中央案内軌条走行車両の操向装置
CN1009069B (zh) * 1986-07-17 1990-08-08 铁路和金属建造股份有限公司 装有气胎舵轮的快速车辆的自导系统
FR2705636B1 (fr) * 1993-05-26 1995-07-07 Lohr Ind Ensemble de guidage directionnel d'un véhicule routier le long d'un rail.
FR2708245B1 (fr) * 1993-07-27 1995-10-20 Cogifer Système de guidage automatique de véhicule automoteur de type routier.
FR2715119B1 (fr) * 1994-01-20 1996-02-23 Lohr Ind Bras perfectionné d'autoguidage d'un véhicule routier le long d'un rail directeur.
US5845581A (en) * 1996-05-07 1998-12-08 Svensson; Einar Monorail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6942A (ko) * 2012-03-21 2014-12-01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탈선 및/또는 유도의 상실의 경우에 유도 차량을 궤도 유지하기 위한 장치
KR102033660B1 (ko) * 2012-03-21 2019-11-08 지멘스 에스에이에스 탈선 및/또는 유도의 상실의 경우에 유도 차량을 궤도 유지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960045T3 (da) 2002-09-16
PL334946A1 (en) 2000-03-27
CA2278716A1 (fr) 1998-08-13
EP0960045A1 (fr) 1999-12-01
WO1998034827A1 (fr) 1998-08-13
ATE218113T1 (de) 2002-06-15
CN1094103C (zh) 2002-11-13
TR199901934T2 (xx) 2000-08-21
CZ297568B6 (cs) 2007-02-07
UA49942C2 (uk) 2002-10-15
BR9808640A (pt) 2000-05-23
PT960045E (pt) 2002-10-31
CZ283499A3 (cs) 2000-01-12
KR20000070966A (ko) 2000-11-25
ES2181181T3 (es) 2003-02-16
JP2001511092A (ja) 2001-08-07
US6029579A (en) 2000-02-29
FR2759340B1 (fr) 1999-04-09
EP0960045B1 (fr) 2002-05-29
FR2759340A1 (fr) 1998-08-14
CA2278716C (fr) 2006-07-18
PL189625B1 (pl) 2005-08-31
CN1247511A (zh) 2000-03-15
DE69805604T2 (de) 2002-11-28
RU2189920C2 (ru) 2002-09-27
DE69805604D1 (de)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233B1 (ko) 차량의 액슬블록에 연결되는 안내장치
US7832508B2 (en) Walking beam suspension for tracked vehicle
US5704295A (en) Arm for automatically guiding a road vehicle along a guide rail
KR101063086B1 (ko) 궤도계 교통 장치
US4267779A (en) Mechanically trackable road vehicle
US20210323365A1 (en) Vertical hi-rail device
EP0302873B1 (en) A device for moving a wheeled vehicle
SE520032C2 (sv) Fordon för körning på såväl väg som järnvägsspår
US20140261066A1 (en) Retractable Rail Wheels for a Road/Rail Vehicle
CN1154459C (zh) 用于乘车人与车辆安全分开的机构和方法
US6598538B2 (en) Rail wheel stop mechanism for road/rail vehicle
JP2003104198A (ja) 軌道車両の案内装置
CA2241511A1 (en) Railway guide wheel apparauts with load shifting during braking
GB1566066A (en) Road track vehicle
CA2809950A1 (en) Retractable rail wheels for a road/rail vehicle
CN114074504B (zh) 转向架、轨道车辆及轨道交通系统
US11933019B2 (en) Vehicle comprising a stabilizer, and stabilizer for such a vehicle
CN116513258B (zh) 一种智能铁路停车防溜器
JPS6345339B2 (ko)
MXPA99007305A (en) System for guiding a road vehicle axle along at least one rail on the ground
JPH0382494A (ja) 軌道走行娯楽乗物
JPH1159149A (ja) 軌陸両用車両
SU1643269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креплен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составов
EP0869030A1 (en) Pantographs for railway vehicles
CN116061977A (zh) 转向架和磁浮工程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