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473B1 -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7473B1
KR100537473B1 KR10-2001-0069470A KR20010069470A KR100537473B1 KR 100537473 B1 KR100537473 B1 KR 100537473B1 KR 20010069470 A KR20010069470 A KR 20010069470A KR 100537473 B1 KR100537473 B1 KR 100537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display
electrode
light
display pix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6735A (ko
Inventor
고토야스마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36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출사면으로 광이 꺼내지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자기발광부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화소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표시화소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 배치되는 제2전극을 갖추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간에 유지되고, 상기 제1 및 제2전극중 어느 한쪽은 광출사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화소에 있어서 하나의 표시화소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표시화소로 향하는 광이 상기 광출사면측으로 꺼내지도록 하는 광반사면을 상기 하나의 표시화소와 상기 다른 표시화소간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발광형 표시장치{SELF-LUMINESCENCE TYPE DISPLAY}
본 발명은,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소의 광변조층으로서 발광다이오드, 액정, 유기EL(Electro Luminescence) 등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표시부의 박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무기기나 컴퓨터 등의 표시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그 적용범위를 확대하는 경향에 있다. 이들의 표시장치중에서, 유기EL을 이용한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는 LCD(액정표시장치)와 비교하여 다음의 a~c항에 나타낸 이점을 갖고 있다.
a. 자기발광형이기 때문에, 선명한 표시와 넓은 시야각이 얻어지고, 또 백라이트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저소비전력화,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다.
b. 응답속도가 빠르고, 예컨대 LCD에서는 밀리초(msec)의 오더인 것에 대해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서는 마이크로초(μsec)의 오더이다.
c. 고층(固層)에 의한 발광이기 때문에, 사용 온도범위가 넓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들 이점 때문에, 그 개발이 왕성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다결정 실리콘을 이용한 박막트랜지스터(Poly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다결정 실리콘 TFT)와 조합시킴으로써, 고정세(高精細) 표시가 가능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성으로 한 다결정 실리콘 TFT형 유기 자기발광형 패널의 연구개발이 왕성하게 행해지고 있다.
도 10은 이러한 종류의 종래의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어레이 기판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양극(109) 및 음극(115)간에 유기 발광층(113)을 포함하는 유기 박막층이 유지되고, 이 유기 발광층(113)에 전자 및 정공을 주입하여 재결합 시킴으로써, 여기자(勵起子)를 생성하고, 이것이 실활(失活)할 경우의 광의 방출을 이용하여 발광한다.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결정 실리콘층(103)과, 게이트절연막(104), 게이트전극(105) 및 소스·드레인전극(107)으로 이루어진 구동TFT에 접속된 양극(109) 위를 개구하는 패시베이션막(110) 및 격벽절연막(111)이 형성되어 있다.
종래,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발광강도는, LCD의 발광강도(100~150nt)의 약 1/2이었다.
또한, 인접 화소간에서의 크로스토크의 발생, 특히 칼라표시의 경우에는 R, G, B의 각 색이 형성되는 표시화소의 인접 화소간에서, 색이 섞여 콘트라스트가 저하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광출사면으로 광이 꺼내지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접 화소간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억제된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발명은,
섬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전극과, 상기 제1전극에 대향 배치되는 제2전극 및, 상기 제1 및 제2전극간에 유지되고,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자기발광부를 구비한 복수의 표시화소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전극중 어느 한쪽을 광출사면으로 하는 자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표시화소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표시화소로 향하는 광이 상기 광출사면측으로부터 꺼내지도록 하는 광반사면이 상기 하나의 표시화소와 상기 다른 표시화소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격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전극중, 상기 발광층을 매개로 상기 광출사면과 대향 배치되는 측의 전극의 형성면이, 개개의 상기 표시화소의 단변(端邊)에 형성된 상기 격벽의 개구의 경사각에 의해, 광출사면에 대해 예각(銳角)을 이루는 상기 광반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제2전극은, 복수의 표시화소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광출사면과 대향 배치되는 측의 전극의 형성면이, 개개의 표시화소의 단변 전둘레에서, 광출사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따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제1전극은, 각각 격벽절연막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격벽절연막을 덮는 전면에 제2전극이 형성되고, 표시화소 단변의 격벽절연막에 형성된 개구의 경사각에 의해, 제2전극이 개개의 표시화소의 단변에서, 광출사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는,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그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100)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100)는, 녹(G), 적(R), 청(B) 3개의 표시화소를 병렬설치하여 화소(1)를 구성하고, 또 이들 화소(1)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다수개 배치하여 표시영역(120)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표시영역(120)에 비해 유리기판(101)은 그 종횡 양쪽 모두 치수가 크게 형성되고, 특히 도면의 우측 및 하측으로 크게 삐져나오고, 그 중 우측에 X방향 구동회로(121)가 탑재됨과 더불어, 각 화소로부터 도출되는 배선(122)에 접속되고, 하측에 Y방향 구동회로(123)가 탑재됨과 더불어, 각 화소로부터 도출되는 배선(124)에 접속된다.
더욱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100)를 구성요소로 하여 조립된 유기 자기발광 패널(200)의 종단면도이고,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100)의 표시영역(120), X방향 구동회로(121) 및 Y방향 구동회로(123)를 둘러싸도록, 그 가장자리(緣端部)에는 밀봉부재(1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부재(131) 상에는 그 내면에, 예컨대 제오라이트나 BaO 등의 건조제(132)를 도착(塗着)하여 이루어진 유리기판(133)이 장착되고, 또 내부에 건조질소가 충진된다. 이에 의해, 도면의 아래쪽이 표시면으로 되는 유기 자기발광 패널(200)이 구성된다. 그리고, 이 유기 자기발광 패널(200)에 의해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은, 도 3a에 확대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녹(G), 적(R), 청(B)의 표시화소(11, 12, 13)를 3개 병렬설치하여 화소(1)를 구성하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의 화소(1)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다수개 배치하여 표시영역(120)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3b는 그 1 표시화소분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 표시화소는, 뒤에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중앙부와 주변부에 각각 개구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의 개구는 도 3b에서 부호 M, S로 표시되어 있다. 도 4a는 당해 1 표시화소의 IV(a)-IV(a)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고, 도 4b는 그 특징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는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발광 패널 어레이(100)는, 상술한 표시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어레이 기판과, 이 어레이 기판에 대향 배치되는 대향기판을 갖추고 있다. 발광 패널 어레이(100)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질소 분위기중에서 밀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면이 어레이 기판측으로서, 광은 양극을 거쳐 외부로 꺼내진다.
이와 같이, 어레이 기판은,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100)의 구성부분이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영역(120)과 주변영역으로 구성되고, 이 주변영역에는 기판의 2변에 배치되는 X방향 구동회로(121)와 Y방향 구동회로(123)가 설치되어 있다. 각 표시화소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스가 신호선(41)에 접속되고, 게이트가 게이트선(43)에 접속되어 표시화소를 선택하는 화소 스위치인 화소TFT(44)와, 화소TFT(44)의 드레인에 게이트가 접속되고, 소스가 전류 공급선(42)에 접속된 구동소자인 구동TFT(45)로부터 공급된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표시소자(4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4a는 각 표시화소의 일부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시되는 TFT는, 구동TFT이고, 표시화소부의 일부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4a에서, 광투과성을 갖는 기판(101)에 언더코트층(102)이 적층되고, 이 언더코트층(102) 상에 섬형상으로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층(103)은 소스영역(103a), 채널영역(103b) 및, 드레인영역(103c)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다결정 실리콘층(103)을 포함한 언더코트층(102)의 전체 면에 게이트절연막(104)이 성막되고, 다결정 실리콘층(103)의 채널영역(103b)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게이트절연막(104)을 매개로 게이트전극(10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결정 실리콘층의 소스영역(103a)과 드레인영역(103b)에 각각 접속되는 소스전극 및 드레인전극은, 층간절연막(106)에 의해 게이트전극과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 이 층간절연막(106) 상의 소정의 화소영역에 투명부재로서, 예컨대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진 양극(109)이 섬형상으로 형성되고, 드레인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양극 상을 개구한 무기재료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110), 유기재료로 이루어진 격벽절연막(111)이 형성되고, 적어도 유기 발광층(113)을 구비한 유기 박막층이 양극 상에 적층되고, 이 유기 박막층을 매개로 양극과 대향하여 음극(115)이 복수의 화소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박막층은, 예컨대 양극 버퍼층(112), 유기 발광층(113) 및 음극 버퍼층(114)으로 구성되고, 양극 버퍼층(112) 및 음극 버퍼층(114)은 무기재료 또는 유기재료의 적층막으로 구성된다.
격벽절연막(111)은, 도 3b, 도 4a 및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 표시화소간에 개구를 갖춘다. 즉, 각 표시화소의 가장자리 단부(緣端) 보다 내측의 전체 둘레에 걸쳐 격벽절연막(111)의 개구(S; 사선영역)가 형성되고, 이 개구(S)는 격벽절연막의 양극(109)측의 벽면을 기판에 대해 예각(θ<90˚)으로, 바람직하게는 45도 이상으로 경사로 형성한다. 이에 의해,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즉 도 4 중의 광성분(P2, P3)을 금속막으로 이루어진 음극(115)에서 굴절시켜 표시면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때문에, 표시패널의 발광강도가 높아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에, 유리기판(101)을 준비하고, 이 유리기판(101)의 한 주면에, 예컨대 막두께가 50nm인 SiNx와 막두께가 100nm인 SiOx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언더코트층(102)을 형성하고, 계속해서 언더코트층(102) 상에, 예컨대 막두께 50nm인 다결정 실리콘층(103)을 형성하고 이를 패터닝 함으로써 박막트랜지스터의 섬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에, 다결정 실리콘층(103)을 포함한 언더코트층(102)의 전체 면에, 예컨대 막두께가 140nm인 SiOx로 이루어진 게이트절연막(104)을 성막하고, 또 게이트절연막(104) 상에 막두께가 300nm인 MoW를 퇴적함과 더불어 이를 패터닝 함으로써 게이트전극(105)을 형성한다.
다음에, 게이트절연막(104) 상으로부터 게이트전극(105)을 마스크로 하여 이온주입을 행함으로써, 다결정 실리콘층(103)의 게이트전극의 하부에 위치하는 영역을 채널영역으로 하여 그 양측에 소스영역 및 드레인영역을 형성한다.
다음에, 게이트전극(105)을 포함한 게이트절연막(104)의 전면에, 예컨대 막두께가 660nm의 SiOx로 이루어진 층간절연막(106)을 성막하고, 계속해서 ITO(Indium Tin Oxide)를 성막하고, 이 ITO를 패터닝 함으로써, 소정의 영역으로 넓혀진 섬형상의 제1전극으로서 양극(109)을 형성한다.
다음에, 층간절연막(106) 및 게이트절연막(104)을 관통하는 소스영역, 드레인영역에 이르는 구멍을 뚫고, 이 구멍에 금속막, 예컨대 막두께 50nm의 Mo와 막두께 450nm의 Al과 막두께 100nm의 Mo의 적층막을 매립함으로써, 소스·드레인전극(107)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양극(109)이 구동TFT의 드레인에 접속된다.
다음에, 양극(109)의 표면을 포함하는 층간절연막(106) 상에, 예컨대 막두께 450nm의 SiNx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110)을 성막하고, 양극(109)의 표면이 노출하는 개구를 설치한다. 더욱이, 양극(109)의 노출면 및 패시베이션막(110) 상에, 절연성의 격벽절연막(111)을 설치하고, 화살표 M으로 나타낸 부위, 즉 양극(109)의 표면을 노출시키는 제1개구를 설치함과 더불어, 화살표 S로 나타낸 부위, 즉 표시화소의 연단의 내측에 제2개구를 형성한다. 이 격벽절연막(111)의 개구는 양극(109)의 단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후술하는 음극과의 단락(短絡)을 방지한다. 또한, 화살표 S로 나타낸 부위의 개구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격벽절연막(111)의 양극(109)측의 벽면(111F)이 기판에 대해 예각으로, 예컨대 θ=45˚로 경사져 있다.
다음에, 양극(109)의 표면을 포함하는 격벽절연막(111) 상에, 정공 윤송층(輪送層), 정공 주입층 등을 막두께 110nm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양극 버퍼층(112)을 퇴적한 후, 막두께 30nm의 유기 발광층(113)을 퇴적하고, 또 전자 주입층 등으로 이루어진 막두께 30nm의 음극 버퍼층(114)을 퇴적한 후, 전면에 음극(115)을 형성한다.
이 결과, 유기 발광층(113)으로부터 방사되는 광성분(P1, P2, P3)중, 광성분(P1)은 직접 표시면 방향으로 진행하고, 광성분(P2, P3)은 격벽절연막(111)을 통해 횡방향으로 진행하여, 화살표 S로 나타낸 격벽절연막(111)의 개구의 양극(109)측의 벽면에서의 음극(115)에 의해 표시면 방향으로 굴절되어, 표시패널의 발광강도를 높이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표시화소간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108)이 배치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에서는 배선(108) 보다도 내측으로 광성분(P2, P3)을 굴절시키는 경사면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광성분(P2, P3)을 굴절시키는 경사면을 기판면에 대해 45도로 했지만, 발광강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90˚보다 작은 예각으로 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효과가 얻어진다.
그런데, 상기의 실시예중, 도 4a 또는 도 4b의 화살표 S에 나타낸 부분에 주목하면, 광성분(P3)은 격벽절연막(111)을 빠져나오고 나서, 양극 버퍼층(112)을 거쳐 음극(115)에서 반사되어 표시면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양극 버퍼층(112)의 흡수계수(흡광계수)에 따라 광성분(P3)은 감쇠되어 표시면 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표시패널의 발광강도를 높인다는 관점에서는 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살표 S로 나타낸 격벽절연막(111)의 개구의 경사진 벽면(111F)에 음극(115)을 직접 피착(被着)하면, 광성분(P3)에 대한 양극 버퍼층(112)에 의한 2회에 걸친 감쇠작용을 회피할 수 있다.
도 6은 이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제2실시예의 표시화소의 종단면도이다. 도 6중, 도 4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격벽절연막(111)에 개구를 형성할 경우에, 화살표 S로 나타낸 부위에도 양극(109)측의 벽면(111F)이, 예컨대 약 45도로 이루어진 제2개구를 형성한다. 여기에 나타낸 표시화소(11A)는, 상술한 제1개구, 즉 양극(109) 상의 격벽절연막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양극 버퍼층(112), 유기 발광층(113), 음극 버퍼층(114)이 형성되고, 이들을 덮은 전면에 음극(11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살표 S로 나타낸 부위에 약 45도로 경사지는 격벽절연막(111)의 벽면(111F)에는 음극(115)이 직접 피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기 발광층(113)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성분(P3 및 P2)은 격벽절연막(111)의 경사면에서 음극(115)에 의해 직접 반사되기 때문에, 상술한 양극 버퍼층(112)에 의해 감쇠되지 않고, 도 2에 나타낸 실시예 보다도 표시패널의 발광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격벽절연막의 인접 표시화소간에 개구를 설치하고, 이 격벽절연막의 개구의 벽면을 광출사면에 대해 예각으로 되도록 형성하기 때문에, 표시화소 내에서 광출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누출되던 광을 효율이 좋게 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유기 발광층을 매개로 광출사면과 대향하는 쪽의 전극을 고반사율 부재로 형성하고, 이 전극이 개개의 표시화소의 단부에서 광출사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으로부터의 발광광을 효율이 좋게 광출사면측으로 꺼낼 수 있다.
또한, 이 개구를 개개의 표시화소의 연단 내측 전면에 걸쳐 형성하면, 인접 화소간으로의 광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크로스토크를 억제하여,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며, 또한 칼라표시의 경우에는 인접 화소간의 혼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의 유기 발광층은, 예컨대 Alq3 등의 저분자계의 유기 발광재료를 이용하여 증착(蒸着) 등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에,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유기 발광층(113)은, 예컨대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 등의 고분자계의 유기 발광재료를 이용하여 잉크젯법에 의해 R, G, B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즉, 고분자계의 유기 발광재료를 순차 토출(吐出)하고, 제1전극인 양극(109) 상의 격벽절연막(111)의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막두께 30nm의 양극 버퍼층(112)을 매개로 유기 발광층(113)이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기 발광층(113)은, 예컨대 막두께 80nm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분자계의 유기 발광재료를 이용하여 유기 발광층(113)을 형성함으로써, 어레이 기판의 기판 크기의 설계변경에 대해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개소에만 선택적으로 발광재료를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재료 이용효율이 개설된다.
다음에,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구동TFT(45; 구동소자)와 접속하는 제1전극, 여기에서는 양극(109)이 절연막(116)을 매개로 구동TFT(45)의 드레인전극(107b)과 접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신호선(41), TFT(44, 45) 상에 절연막(116)을 매개로 제1전극을 배치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같이 신호선(41)과 제1전극이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전극의 배치위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발광면적을 증대시키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각 표시화소(1)는 상기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X방향 구동회로(121)로부터 공급되는 주사신호에 기초하여, Y방향 구동회로(123)로부터 공급되는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표시화소를 선택하는 화소 스위치(44)와, 화소 스위치(44)를 매개로 신호선(41)으로부터 기록된 영상신호를 1수평 주사기간 유지하는 제1콘덴서(47),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전류를 표시소자(46)에 공급하는 구동소자(45) 및, 리셋회로(48)로 구성되어도 된다.
여기서, 화소 스위치(44)는, 예컨대 n형 TFT에 의해 구성되고, 구동소자(45)는 p형 TFT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리셋회로(48)는 화소 스위치의 드레인 구동소자의 게이트간에 배치되는 제2콘덴서(48a)와, 구동소자(45)의 게이트-드레인간에 배치되는 제1스위치(48b) 및, 구동소자(45)의 드레인과 표시소자(46)의 제1전극간에 배치되는 제2스위치(48c)로 구성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표시소자라는 것은 제1전극, 제1전극에 대향 배치되는 제2전극, 제1전극 및 제2전극간에 유지되는 자기발광부로 구성되는 적층체를 말한다.
또한, 자기발광부(유기 박막층)는, 각 색 공통으로 형성되는 양극 버퍼층, 음극 버퍼층 및, 각 색마다 형성되는 발광층의 3층 적층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기능적으로 복합된 2층 또는 단층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양극을 투명전극으로 하여 광출사면측에, 음극을 광반사전극으로 하여 비광출사면측에 배치했지만, 음극을 광투과성을 갖는 도전막으로 형성하여 광출사면측에, 양극을 도전막과 금속층과의 적층구조로 하는 등으로 하여 비광출사면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TFT 등이 배치된 어레이 기판을 매개로 외부로 광을 꺼내는 방식의 자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2전극을 광투과성을 갖는 도전막으로 형성하여, 제2전극을 매개로 외부로 광을 꺼내는 것이어도 되고, 어떠한 경우도 하나의 표시화소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표시화소로 향하는 광이 광출사면측으로 꺼내지도록 하는 광출사면을 하나의 표시화소와 다른 표시화소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격벽절연막의 개구는 각 표시화소의 전둘레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화소의 열방향에 따라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특히, 칼라표시의 경우에는, R, G, B의 각 색이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인접 화소간의 혼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기발광 표시장치로서 유기 자기발광장치중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출사면으로 광을 꺼내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접 화소간에서의 크로스토크가 억제된 자기발광형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3a 및 3b는 일반적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하나의 화소의 평면도 및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화소의 평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화소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및 그 특징부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패널 어레이의 구성요소를 평면적으로 배치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화소의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화소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화소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패널 어레이의 구성요소를 평면적으로 배치한 회로도,
도 10은 종래의 유기 자기발광형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표시화소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소,
11,11A,12,13 --- 표시화소,
S,M --- 개구,
100 --- 유기 자기발광 패널 어레이,
101 --- 유리기판,
102 --- 언더코트층,
103 --- 다결정 실리콘층,
104 --- 게이트절연막,
106 --- 층간절연막,
107 --- 소스·드레인전극,
108 --- 배선,
109 --- 양극,
110 --- 패시베이션막,
111 --- 격벽절연막,
111F --- 벽면,
112 --- 양극 버퍼층,
113 --- 유기 발광층,
114 --- 음극 버퍼층,
115 --- 음극,
121 --- X방향 구동회로,
123 --- Y방향 구동회로,
131 --- 밀봉부재,
133 --- 유리기판,
200 --- 유기 자기발광 패널.

Claims (5)

  1.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자기발광부를 가진 복수의 표시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됨에 있어, 상기 표시화소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복수의 제1전극과 이 제1전극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전극을 갖추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제1 및 제2전극 사이에 보유지지되고, 또 상기 제1 및 제2전극 중 어느 한쪽이 광출사면 내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화소에서 하나의 표시화소로부터 인접한 다른 표시화소로 향하는 광이 상기 광출사면측으로 꺼내지도록 하는 광반사면을 상기 하나의 표시화소와 상기 다른 표시화소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을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격벽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전극 중, 상기 발광층을 매개로 상기 광출사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쪽의 전극의 형성면이, 상기 각 표시화소의 단변(端邊)에 형성된 상기 격벽의 개구의 경사각에 의해, 광출사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는 상기 광반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2전극은, 복수의 표시화소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사면과 대향 배치되는 측의 상기 전극의 형성면이, 개개의 상기 표시화소의 단변 전둘레에서, 광출사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전극은, 각각 격벽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을 덮는 전면에 상기 제2전극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화소 단변의 상기 격벽에 형성된 개구의 경사각에 의해, 상기 제2전극이 개개의 상기 표시화소의 단변에서, 광출사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KR10-2001-0069470A 2000-11-09 2001-11-08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KR100537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41843 2000-11-09
JP2000341843 2000-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735A KR20020036735A (ko) 2002-05-16
KR100537473B1 true KR100537473B1 (ko) 2005-12-19

Family

ID=1881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470A KR100537473B1 (ko) 2000-11-09 2001-11-08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29023B2 (ko)
KR (1) KR100537473B1 (ko)
CN (1) CN1180304C (ko)
TW (1) TW5351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3184B2 (en) * 2001-11-26 2012-04-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56490B1 (ko) * 2001-11-26 2006-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전계 발광표시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7579771B2 (en) 2002-04-23 2009-08-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786496B2 (en) * 2002-04-24 2010-08-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3317971A (ja) * 2002-04-26 2003-11-07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7164155B2 (en) 2002-05-15 2007-01-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US7897979B2 (en) * 2002-06-07 2011-03-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16008B2 (ja) * 2002-06-27 2009-01-2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ならびに前記発光装置を有するビデオ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ゴーグル型ディスプレイ、カーナビゲーション、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dvdプレーヤー、電子遊技機器、または携帯情報端末
JP4286495B2 (ja) * 2002-06-28 2009-07-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2004047215A (ja) * 2002-07-10 2004-02-12 Toshiba Corp 有機el素子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JP2005534146A (ja) * 2002-07-23 2005-11-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このような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電子デバイス及び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を製造する方法
JP3729262B2 (ja) * 2002-08-29 2005-1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19304A (ja) * 2002-09-27 2004-04-15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97888B2 (ja) 2002-10-25 2007-10-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GB0226401D0 (en) * 2002-11-12 2002-12-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their manufacture
JP2004170787A (ja) * 2002-11-21 2004-06-17 Toshiba Corp 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CN100388328C (zh) 2002-11-25 2008-05-14 东芝松下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el显示屏
JP4373086B2 (ja) 2002-12-27 2009-11-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JP3791616B2 (ja) * 2003-02-06 2006-06-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配線基板、電気光学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7126270B2 (en) * 2003-06-30 2006-10-2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Reflector for a light emitting device
KR100544126B1 (ko) * 2003-08-26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449724B2 (en) * 2003-09-12 2008-11-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US7502392B2 (en) * 2003-09-12 2009-03-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aser oscillator
US7260135B2 (en) * 2003-09-26 2007-08-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US7612498B2 (en) * 2003-11-27 2009-11-0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element, optical device, and 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0611152B1 (ko) * 2003-11-27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JP4686122B2 (ja) * 2003-11-28 2011-05-18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1159B1 (ko) * 2003-11-29 2006-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KR100647598B1 (ko) * 2004-04-06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316558B2 (ja) * 2005-06-28 2009-08-19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0768191B1 (ko) * 2005-11-12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20090091254A1 (en) * 2007-10-08 2009-04-09 Lg.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943948B1 (ko) * 2008-01-08 2010-02-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00001597A (ko) * 2008-06-27 201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제조 방법
JP2010044894A (ja) * 2008-08-11 2010-02-25 Sony Corp 表示装置
KR20120043404A (ko) * 2010-10-26 2012-05-0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60127B (zh) * 2013-09-25 2017-12-1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自发光显示元件
KR102181978B1 (ko) * 2014-08-22 2020-11-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6565B1 (ko) * 2017-11-30 2019-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500676B1 (ko) * 2018-02-02 2023-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장치
KR20200040046A (ko) * 2018-10-08 2020-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0164916B (zh) * 2018-12-05 2021-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设备及制造显示面板的方法
JP7360272B2 (ja) * 2019-08-19 2023-10-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4220930B (zh) * 2021-10-29 2022-10-11 长沙惠科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167A (ko) * 1998-11-20 2000-06-15 윤종용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22074B1 (ko) * 1999-03-31 2002-02-04 김순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092B2 (ja) * 1997-07-10 2007-02-14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3188411B2 (ja) * 1996-10-18 2001-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反射型液晶装置用画素電極基板、該画素電極基板を用いた液晶装置及び該液晶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
JP3530362B2 (ja) * 1996-12-19 2004-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自発光型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167A (ko) * 1998-11-20 2000-06-15 윤종용 반사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22074B1 (ko) * 1999-03-31 2002-02-04 김순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29023B2 (en) 2004-12-07
CN1180304C (zh) 2004-12-15
TW535137B (en) 2003-06-01
KR20020036735A (ko) 2002-05-16
US20020063515A1 (en) 2002-05-30
CN1366207A (zh)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473B1 (ko) 자기발광형 표시장치
JP3943900B2 (ja) 自己発光型表示装置
US7164230B2 (en) Dual panel-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895313B1 (ko) 유기 발광 표시판
US7963816B2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99471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20050087740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of top emission type
KR1019393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84362B1 (ko) 유기 발광 표시판
KR20150024575A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3091971A1 (fr) Afficheur
WO2019176457A1 (ja)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692359B1 (ko)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표시 장치
US819370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at directs reflected light to improve visibility
US20060214564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54030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0705819B1 (ko) 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및 전계발광소자
KR20030052621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CN115064568A (zh)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0490536B1 (ko) 전면 발광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1096719B1 (ko) 유기 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11450828B2 (en) Display device
KR100705799B1 (ko)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57776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52799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