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5595B1 -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5595B1
KR100535595B1 KR10-2003-0071015A KR20030071015A KR100535595B1 KR 100535595 B1 KR100535595 B1 KR 100535595B1 KR 20030071015 A KR20030071015 A KR 20030071015A KR 100535595 B1 KR100535595 B1 KR 100535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door
panel
seal strip
door panel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1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594A (ko
Inventor
김진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1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5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plastic materials having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8Water or sound barrier, e.g. watershields or seals between dry/wet compartment, sound or vibration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의 리어도어패널과 프론트도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실스트립 및 그 장착 구조는, 리어도어패널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단부가 차체 내부쪽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한 리어도어아우터패널과, 차량 내부 쪽에서 리어도어아우터패널의 후면과 맞닿아 연장되고 그 단부가 플랜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리어도어이너패널로 이루어지며, 실스트립이 플랜지에 긴밀하게 삽입되는 캐리어부와, 리어도어패널과 프론트도어패널 사이의 파티션 갭을 실링하는 실링부와, 리어도어이너패널의 단부를 감싸며 실링하는 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하여 방청성, 작업성 및 품질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Seal strip and mounting structure therefor of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 및 그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선행기술에 비하여 개량된 구조의 실스트립을 채택하고, 관련 장착 부재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방청성, 작업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 및 그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을 도시한 도 1 및 도 1의 A-A선 단면도인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S')은 프론트도어이너 및 아우터패널(10',12')과 리어도어이너 및 아우터패널(20',22')사이의 파티션 갭 사이에 수밀하게 장착되어 외관미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윈드노이즈를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또, 주지하는 것과 같이 윈도우와 차체프레임(30')사이에는 몰딩부(100',102')가 설치되어 실스트립과 같은 기능을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실스트립(S')의 장착 구조 및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리어도어이너패널(22')의 단부 부위를 리어도어아우터패널(20')이 감싸면서 패널(22')의 후면과 맞닿도록 굴곡 연장되어 3중 패널 부위가 상호 용접됨으로써 리어도어패널구조가 완성된다. 다음에 상기 리어도어아우터패널(20')의 후면상에 차체쪽으로부터 스터드볼트(B')를 용접하고, 실스트립(S')을 스터드볼트(B')에 긴밀히 삽입한 다음, 몰딩부(M')로 실스트립(S')을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실스트립 및 그 장착구조는 도어프레임에 스터드 용접시, 용접품질산포로 인한 스터드 볼트의 높이 치수 불량, 직각도 불량, 용접중의 탈리등의 문제를 가져온다. 더욱, 도어프레임부의 패널중첩부(헤밍부)의 방청을 위하여 도장실러(24')를 적용하고 있으나,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워서 외관 불량이 발생하고 실러 작업이 불완전할 때에는 녹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리어 도어 프레임의 스킨부의 단차 및 굴곡으로 상품성이 저하하며, 스터드 볼트의 용접중 과중 압접이 가해지면 리어도어프레임 부분이 프론트도어프레임 보다 차체의 바깥쪽으로 튀어 나와 실스트립이 파티션 갭에서 빠지고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선행기술을 보다 개량한 구조의 실스트립을 제공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실스트립의 장착에 관련하는 부재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작업성, 방청성 및 품질을 향상시킨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차 도어의 리어도어패널과 프론트도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는, 상기 리어도어패널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단부가 차체 내부쪽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한 리어도어아우터패널과, 차량 내부 쪽에서 리어도어아우터패널의 후면과 맞닿아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플랜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리어도어이너패널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스트립이, 상기 플랜지에 긴밀하게 삽입되는 캐리어부와, 상기 리어도어패널과 상기 프론트도어패널 사이의 파티션 갭을 실링하는 제1실링부와, 상기 리어도어이너패널의 단부를 감싸며 실링하는 제2실링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리어부는 경질의 솔리드 고무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및 제2실링부는 연질의 스폰지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스트립(S) 및 관련 장착 부재를 도시한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징은 실스트립(S) 및 리어도어패널의 개량에 있으며 나머지 구성은 선행기술과 동일하다.
도 5의 "Y"부 확대 단면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리어도어아우터패널(20)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단부(200)가 차체 내부쪽으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200)를 형성하고 있다. 또. 리어도어이너패널(22)은 차량 내부 쪽에서 리어도어아우터패널(20)의 후면과 맞닿아 연장되는데, 그 단부(220)는 상기 플랜지(200)와 접하지 않고 상기 플랜지(200)면으로부터 소정 간격(d)이격되어 갭을 형성한 채 종결되어 있다. 상기 간격(d)은 약 1mm, 상기 플랜지(200)의 높이(h)는 약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리어도어패널구조에 있어 플랜지구조를 채택하여, 선행기술에서 존재하던 리어도어패널의 중복부분(헤밍부)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실스트립(S)을 채용함으로써, 스터드볼트가 견고히 용접되기 위한 패널의 겹침부를 설치할 필요를 없앴기 때문이다.
다음, 본 발명의 실스트립(S)은 크게 캐리어부(S1)와 두 개의 실링부(S2,S2')로 이루어진다. 캐리어부(S1)의 몸체부는 도 2의 몰딩부(102')와 유사하게 중앙의 관통공을 중심으로 배치되며 상향 연장되는 다수의 리브와 이 리브를 감싸는 주위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캐리어부(S1)의 관통공으로는 상기 플랜지(200)가 내단까지 긴밀하게 삽입됨으로써 도어패널과 실스트립간의 견고한 조립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실링부(S2,S2')는 상기 캐리어부(S1)의 각 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링부(S2)는 리어도어패널(20,22)과 프론트도어패널(10',12') 사이의 파티션 갭을 커버하고 윈드노이즈를 저감시키도록 도 5의 평단면상에서 보아 슬림한 곡선형으로 구성되며, 일측은 프론트도어패널을 관통하여 차체쪽으로 굴곡 연장되고 타측은 리어도어아우터패널(20)의 플랜지(200)선단부에 삽입되어 두 패널 사이에 긴밀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제2실링부(S2')는 리어도어이너패널(22)의 단부를 감싸면서 두 패널(20,22)사이에 형성된 공간내로 약간 돌출된 위치까지 연장되어 플랜지를 외측에서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2실링부(S2')는 리어도어패널들(20,22)의 겹침부를 커버하는 수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방청 대책으로 강구한 실러의 삭제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스트립(S)에 있어 캐리어부(S1)는 스트립의 골격 유지 및 지지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외부 이탈되지 않도록 경질의 솔리드 고무로 제작되고, 실링부(S2,S2')는 파티션 갭 커버 및 패널 중복부의 실링 역할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보다 연질의 스폰지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실링부의 형상과 결합 태양은 바람직한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스트립(S)은 캐리어부(S1)와 실링부(S2,S2')가 일체로 제작되어 선행기술의 실스트립(S'), 스터드볼트(B')및 몰딩부(M')가 협업하여 달성하던 기능을 모두 달성하고 있으므로 제작성과 조립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 기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종래에는 패널 헤밍부의 방청대책으로 도장 실러를 도포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링부로 이를 커버함으로써 수분 유입을 차단하여 녹 발생문제를 개선하였다.
둘째, 실러 도포 작업, 스터드 볼트 및 몰딩부의 설치를 생략하였으므로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며, 원가 및 공수 절감의 효과를 발휘한다.
셋째, 도어 헤밍부의 삭제로 종래의 헤밍부 존재로 인한 외관 스킨면 굴곡 발생의 문제가 해소되며 스터드볼트 장착으로 인한 도어 패널의 돌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실스트립의 설치 위치를 도시하기 위한 차체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X"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스트립 구조를 채용한 도 2와 같은 단면도; 그리고
도 5는 도 4의 "Y"부 확대도이다.

Claims (2)

  1. 자동차 도어의 리어도어패널과 프론트도어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로서,
    상기 리어도어패널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그 단부가 차체 내부쪽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한 리어도어아우터패널과, 차량 내부 쪽에서 리어도어아우터패널의 후면과 맞닿아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플랜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리어도어이너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실스트립은, 상기 플랜지에 긴밀하게 삽입되는 캐리어부와, 상기 리어도어패널과 상기 프론트도어패널 사이의 파티션 갭을 실링하는 제1실링부(S2)와, 상기 리어도어이너패널의 단부를 감싸며 실링하는 제2실링부(S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스트립의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부는 솔리드 고무로 제작되며, 상기 제1 및 제2실링부(S2,S2')는 스폰지 고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스트립의 장착구조.
KR10-2003-0071015A 2003-10-13 2003-10-13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KR100535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15A KR100535595B1 (ko) 2003-10-13 2003-10-13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1015A KR100535595B1 (ko) 2003-10-13 2003-10-13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94A KR20050035594A (ko) 2005-04-19
KR100535595B1 true KR100535595B1 (ko) 2005-12-08

Family

ID=3723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1015A KR100535595B1 (ko) 2003-10-13 2003-10-13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5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94A (ko) 2005-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71751A (ja) 自動車ドア下部のシール構造
JP4941817B2 (ja) 車両用ドアのサッシュ部構造
KR100535595B1 (ko) 자동차 도어의 실스트립의 장착 구조
EP2479051B1 (en) Seal arrangement for a vehicle door
JP4098273B2 (ja) スライドドア付き車両の車体構造
JP3889203B2 (ja) ドアグラスランのコーナー部固定構造
CN219154580U (zh) 车辆的侧围外板组件以及车辆
CN219192347U (zh) 无框车门立柱总成和具有其的车辆
JP3100292B2 (ja) 自動車用ドアのシール構造
JP4520805B2 (ja) ドアウエザーストリップ及びドアシール構造
JP3719109B2 (ja) 車両用ルーフモール構造
KR100333876B1 (ko) 레저 차량의 리어 도어 가니쉬 구조물
JP4184134B2 (ja) ボディサイド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JP2000025649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H05409Y2 (ko)
JP2007320324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H0318292Y2 (ko)
JPH08188092A (ja) サイドシルスカッフの取付構造
CN115959201A (zh) 车身结构及其安装方法、以及车辆
KR100345688B1 (ko) 센터필러의 웨더스트립의 취부구조
JP3188944B2 (ja) バックウインドモールの取り付け構造
JP2005271847A (ja) 車両用シール材の取付構造
JPH0134602Y2 (ko)
CN115973281A (zh) 无框车门立柱总成和具有其的车辆
JP5533228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