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516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516B1
KR100534516B1 KR1019980010645A KR19980010645A KR100534516B1 KR 100534516 B1 KR100534516 B1 KR 100534516B1 KR 1019980010645 A KR1019980010645 A KR 1019980010645A KR 19980010645 A KR19980010645 A KR 19980010645A KR 100534516 B1 KR100534516 B1 KR 100534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composition
thermoplastic resin
rubber
core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6037A (ko
Inventor
은 하 박
영 선 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19980010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516B1/ko
Publication of KR1999007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0∼80 중량%와 코아쉘 탄성중합체 80∼20 중량%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코아쉘 탄성중합체의 코아성분은 아크릴계 고무 또는 디엔계 고무이고, 쉘성분은 고무성분과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화합물과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화합물의 혼합물이고 상기 아크릴계 고무 또는 디엔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성분과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화합물 2∼70 중량부,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화합물 0.1∼8 중량부로 구성된다.
한편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가 0.7∼1.2이고, 일반식(I)의 구조식을 갖는다.
상기 식(I)에서 n은 50∼600의 정수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이하"PTT 수지〃라고 한다.)와 코아쉘 탄성중합체로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각광을 받으면서 자동차, 전기 및 전자분야 등에서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있다. 통상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같이 PTT 수지도 결정성 폴리머이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불량하여 용도에 따라서는 수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수지에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수지에 충격보강제인 고무상 탄성체를 얼로이 시키는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충격보강제인 고무상 탄성체로는 에틸렌-프로필렌 탄성체(EPR),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탄성체(EPDM), 스틸렌-부타디엔 탄성체(S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탄성체(NBR)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PTT 수지에 내충격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고무체 탄성체들을 사용하는 경우 PTT 수지와 상기 고무체 탄성체간의 상용성이 나빠 내충격성 개선효과가 매우 낮다. 그 이유는 PTT 수지와 상기 고무체 탄성체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상기 고무체 탄성체의 분산성이 나빠 상분리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고무체 탄성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PTT 수지의 용융지수가 떨어져 수지흐름성 및 가공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PTT 수지에 우수한 내충격성 및 가공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PTT 수지에 특히 적합한 충격보강제를 사용하므로서 내충격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용융지수의 저하가 없어 가공성이 양호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TT 수지 20∼80 중량%와 코아쉘 탄성중합체 80∼20 중량%로 구성된 PTT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기본 수지로 사용하는 PTT 수지는 고유점도가 0.7∼1.2이고 일반식(I)의 구조식을 갖는다.
상기 식(I)에서 n은 50∼600의 정수이다.
상기 고유점도는 메틸렌클로라이드와 트리플로로아세틱산이 1:1로 혼합된 30℃의 용액에서 측정한 결과이다. PTT 수지의 고유점도가 0.7 미만이면 중합도가 낮아 물성이 떨어지고, 1.2 이상이면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이 나빠진다.
일반적으로 PTT 수지는 테레프탈산 또는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와 1.3 프로판 디올을 통상의 중합조건에서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제조한다.
PTT 수지를 중합, 제조하는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산성분, 글리콜 성분, 촉매 및 각종 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고, 반응관의 온도를 210 내지 240℃로 유지하면서 저분자량의 에스테르축합 부산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에스테르 반응을 진행시킨다. 이와 같은 에스테르 반응의 전환율은 저분자량 에스테르 부산물의 이론 유출량의 통상 95% 이상이 유출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반응을 종결한다. 상기 에스테르 반응이 종결되면 반응관내 온도를 250 내지 260℃로 상승시키면서 반응관내의 압력을 1mmHg 이하로 감소시켜 폴리에스테르 축중합을 유도한다. 이렇게 축중합을 진행시키다가 중합관내의 압력이 10mmHg 이하로 감소된 시점에서 1.5 내지 3 시간 반응을 진행시킨다. 상기 반응은 중합관내에 질소를 투입하여 진공을 파괴하여 주므로써 종료시킨다. 이어 중합관내의 반응물을 토출하여 본 발명에서 원하는 PTT 수지를 얻는다. 이때 산성분으로는 주로 테레프탈산을 사용하지만 소량의 이소프탈산, 오로소프탈산, 지방족디카르본산 또는 이들의 저급알킬화합물을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글리콜 성분으로는 주로 탄소수가 3개인 1.3 프로판디올을 사용하지만, 소량의 에틸렌글리콜, 1,2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촉매로는 주로 테트라부틸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로필티타네이트 등과 같은 유기티탄화합물을 사용하지만 유기주석화합물, 유기주석화합물과 유기티탄화합물과의 혼합물, 알카리 금속이나 안티몬의 산화물, 아세테이트화합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성분과 촉매 이외에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각종 첨가제 등과 같은 부원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한 PTT 수지 20∼80 중량%와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80∼20 중량%로 구성된다. PTT 수지가 2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저하한다. 한편 코아쉘 탄성공중합체가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나빠지고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의 유동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에서 충격보강제로 사용하는 코아쉘 탄성중합체는 통상의 유화중합으로 제조되며, 코아성분은 아크릴계 고무 또는 디엔계 고무이고, 쉘성분은 고무성분과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화합물과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화합물의 혼합물이다. 이때 코아성분은 수지의 내충격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고, 쉘성분중 고무성분과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화합물은 코아성분과 쉘성분간에 그라프트를 형성시켜 이들의 상용성을 좋게하고,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화합물은 PTT 수지와 쉘성분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코아성분을 구성하는 아크릴계 고무로는 아크릴산에틸에스테르, 아크릴산프로필에스테르, 아크릴산부틸에스테르 등이 사용되며, 디엔계 고무로는 부타디엔, 이소프렌, 크로로프렌, 시아노부타디엔 등이 사용된다.
한편 고무성분에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틸렌, 할로스틸렌, P-메틸스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메타크릴로니트릴,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되며, 상기 단량체 2종 이상을 사용하여 공중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화합물로는 1,2-에폭시-7-옥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티오글리시딜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제조시 아크릴계 고무 또는 디엔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성분과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화합물 2∼7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40∼60 중량부,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화합물 0.1∼8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화합물의 사용양이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충격강도가 나빠지고 상기 범위보다 많으면 유동지수가 떨어진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투입구가 2개인 압출기를 사용하여, 1차 투입구에는 PTT 수지를 투입하고 내충격제는 2차 투입구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혼련시 조성물의 열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체류시간을 최소화화는 것이 좋으며 조성물의 분자가 파괴되는 것과 내충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타디엔의 도메인 크기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스크류 회전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부타디엔 도메인을 0.2∼0.8㎛의 크기로 조절하는 것이 가장 우수하나 이 부분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약은 없다. 다만 통상의 코로테이션(Co-Rotation) 이축용융혼련기에서 L/D가 25 이상이라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섬유상 또는 무기충진제, 열안정제, 활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열에 의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내열제인 트리스-(2.4-디 터셔리 부틸페닐)-포스파이트와 N-N'-헥사메틸렌 비스(3.5-디 터셔리 부틸-4-하이드록시-하이드로시나마미드)의 1:1 혼합물인 이가녹스 B 1171(상품명, 제조회사 : 씨바 가이지)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용융지수 및 충격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용융지수
ASTM D 1238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칩(Chip) 상태로 한후, 이들이 255℃의 온도 및 2.16㎏ 하중하에서 10분간 흐른 양을 측정했으며 단위는 g/10분이다.
· 충격강도
ASTM D 256에 의거하여 1/4"인치 시편을 제작한 후 상온에서 아이조드 놋치(Izod Notched) 충격강도를 측정했으며 단위는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반응기 외부의 교반기에서 40g의 스틸렌모노머, 15g의 아크릴로니트릴모노머, 1.5g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0.5g의 유화제 및 110g의 이온교환제를 교반하여 프리에멀젼 상태의 용액을 제조한다.
한편 100g의 폴리부타디엔라텍스, 15g의 이온교환수 및 반응개시제를 반응기에 넣고 온도를 80℃까지 상승시킨 다음 여기에 계량펌프를 통해 상기 프리에멀젼 상태의 용액을 투입한 후 질소기류하에서 2.5 시간동안 중합하여 코아쉘 탄성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PTT 수지 20 중량%와 상기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80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2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제조시 3g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코아쉘 탄성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PTT 수지 40 중량%와 상기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60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3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제조시 5g의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코아쉘 탄성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PTT 수지 40 중량%와 상기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60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4
아크릴로니트릴모노머 대신 메틸메타크릴레이트모노머 40g, 스틸렌모노머 15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g을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코아쉘 탄성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PTT 수지 60 중량%와 상기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40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5
아크릴로모노머 대신 메틸메타크릴레이트모노머 40g, α-메틸스틸렌모노머 15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4g을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코아쉘 탄성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PTT 수지 60 중량%와 상기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40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6
반응기 외부의 교반기에서 스틸렌 40g, 아크릴로니트릴 15g,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3g, 나트륨도데실설페이트 0.5g, 이온교환수 70g, 황산칼륨 0.15g, n-도데실메르캅탄 0.045g을 충분히 교반하여 프리에멀젼 상태의 용액을 만든다.
한편 이온교환수 250g, 부틸메타크릴레이트 80g, 1,4-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0.15g, 나트륨도데실설페이트 0.6g을 반응기에 투입후 질소기류하에서 65℃로 유지하면서 12 시간동안 2%의 황산칼륨 용액 0.5 중량부를 적가하면서 반응을 진행시킨 다음, 여기에 계량펌프를 통해 상기 프리에멀젼 상태의 용액을 투입하면서 3 시간동안 중합하여 코아쉘 탄성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PTT 수지 20 중량%와 상기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80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7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제조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5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공정 및 조건으로 코아쉘 탄성공중합체를 제조한다.
다음으로 PTT 수지 60 중량%와 상기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40 중량%를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하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실시예 8∼실시예 13 및 비교실시예 1∼비교실시예 10
코아쉘 탄성공중합체의 종류 및 PTT 수지와 코아쉘 탄성공중합체의 중량%를 표 1과 같이 변경하면서 이축 압출기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제조한 열가소성 수지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 표 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조건
구 분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종류 열가소성 수지 조성비 (중량%)
PTT 수지 코아쉘 탄성공중합체
실 시 예 8 실시예 3과 동일 60 40
실 시 예 9 실시예 5와 동일 80 20
실 시 예 10 실시예 1과 동일 80 20
실 시 예 11 실시예 6과 동일 40 60
실 시 예 12 실시예 6과 동일 60 40
실 시 예 13 실시예 7과 동일 80 20
비교실시예 1 - 100 0
비교실시예 2 실시예 2와 동일 90 10
비교실시예 3 실시예 7과 동일 90 10
비교실시예 4 실시예 3과 동일 10 90
비교실시예 5 실시예 4와 동일 10 90
비교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 0 100
비교실시예 7 ABS 60 40
비교실시예 8 SAN 60 40
비교실시예 9 ASA 60 40
비교실시예 10 MBS 60 40
< 표 1 > 에서 ABS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폴리머, SAN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폴리머, ASA는 아크릴로니트릴스틸렌아크릴로니트릴 폴리머, MBS는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틸렌 폴리머를 나타낸다.
< 표 2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물성 측정 결과
구 분 충격강도(㎏㎝/㎝) 유동지수(g/10분)
실 시 예 1 95 11.5
실 시 예 2 73 13.2
실 시 예 3 75 13.0
실 시 예 4 65 14.2
실 시 예 5 67 14.7
실 시 예 6 86 12
실 시 예 7 62 15
실 시 예 8 71 14
실 시 예 9 62 16.5
실 시 예 10 63 16.2
실 시 예 11 70 13.9
실 시 예 12 68 15.3
실 시 예 13 60 17.2
비교실시예 1 8 21
비교실시예 2 15 18.9
비교실시예 3 16 19
비교실시예 4 82 4
비교실시예 5 85 4.2
비교실시예 6 85 2.2
비교실시예 7 12 18
비교실시예 8 7 20.2
비교실시예 9 10 19
비교실시예 10 21 9
본 발명의 열가소성 조성물은 PTT 수지와 코아쉘 탄성중합체의 상용성이 좋아서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아울러 용융지수가 떨어지지 않아 수지 흐름성 및 가공성이 양호하다.

Claims (4)

  1.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20∼80 중량%와 코아쉘 탄성중합체 80∼20 중량%로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1항에 있어서, 코아쉘 탄성중합체의 코아성분은 아크릴계 고무 또는 디엔계 고무이고, 쉘성분은 고무성분과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 화합물과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 화합물의 혼합물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1항에 있어서, 코아쉘 탄성중합체는 아크릴계 고무 또는 디엔계 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고무성분과 그라프트 가능한 불포화 화합물 2∼70 중량부, 옥실란기가 함유된 불포화 화합물 0.1∼8 중량부로 구성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1항에 있어서,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고유점도가 0.7∼1.2이고, 일반식(I)의 구조식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상기 식(I)에서 n은 50∼600의 정수이다.
KR1019980010645A 1998-03-27 1998-03-2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0534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645A KR100534516B1 (ko) 1998-03-27 1998-03-2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645A KR100534516B1 (ko) 1998-03-27 1998-03-2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037A KR19990076037A (ko) 1999-10-15
KR100534516B1 true KR100534516B1 (ko) 2006-03-23

Family

ID=37179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645A KR100534516B1 (ko) 1998-03-27 1998-03-2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51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5220A2 (en) * 1984-09-17 1986-03-26 Mobay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ous blend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JPH05247328A (ja) * 1991-08-22 1993-09-24 General Electric Co <Ge> リサイクルしたポリカーボネートおよびポリエステルから誘導される組成物
JPH0625517A (ja) * 1992-06-30 1994-02-01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8325443A (ja) * 1995-04-13 1996-12-10 Rohm & Haas Co 強靱化ブレン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75220A2 (en) * 1984-09-17 1986-03-26 Mobay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ous blend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JPH05247328A (ja) * 1991-08-22 1993-09-24 General Electric Co <Ge> リサイクルしたポリカーボネートおよびポリエステルから誘導される組成物
JPH0625517A (ja) * 1992-06-30 1994-02-01 Toray Ind Inc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8325443A (ja) * 1995-04-13 1996-12-10 Rohm & Haas Co 強靱化ブレ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037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60242A (ja) 強化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H02245052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048991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KR101296850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성형품
JPH023214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53451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507925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28144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0464560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0400506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09641993B (zh) 环氧改性乙烯基系共聚物、包含该共聚物的热塑性树脂组合物及其成型品
EP0297142B1 (e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JP2775471B2 (ja) 耐衝撃性が改良さ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CA1317049C (en) Polycarbonate composition
KR100275027B1 (ko) 충격강도와 굴곡탄성율이 우수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혼합수지조성물
KR100199159B1 (ko)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조성물
KR10053451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H09324113A (ja)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H026736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0141454B1 (ko)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JP2768764B2 (ja) 樹脂組成物
JPH0753852A (ja) 難燃性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KR100680480B1 (ko) 내열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3238620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法
JP2884180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