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450B1 -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450B1
KR100534450B1 KR10-2004-0027813A KR20040027813A KR100534450B1 KR 100534450 B1 KR100534450 B1 KR 100534450B1 KR 20040027813 A KR20040027813 A KR 20040027813A KR 100534450 B1 KR100534450 B1 KR 10053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rib
injection
door
lowe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765A (ko
Inventor
한경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450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4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내장 사출부품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출부품들이 서로 리브(Rib)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내에 구비되는 사출부품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그 사출부품들의 유동으로 인한 매칭라인(matching line)의 불일치를 개선함은 물론, 사출부품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시 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내장 사출부품의 체결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molding parts combin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분리형 내장 사출부품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내에 구비되는 사출부품(예;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그 사출부품들의 유동으로 인한 매칭라인(matching line)의 불일치를 개선함은 물론, 사출부품을 차체 프레임에 체결시 갭(gap)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내장 사출부품의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내에 구비되는 사출부품 즉,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을 서로 체결할 경우, 그 체결은 매칭부위에서 나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상부트림이나 하부트림의 유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는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의 매칭라인이 서로 불일치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이 차체 프레임에서 각각 분리되어 매칭되면서 차체 프레임과 갭이 발생되는 폐단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매칭부위를 열융착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지만, 이는 장비에 대한 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출부품들이 서로 리브(Rib)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내에 구비되는 사출부품(예;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그 사출부품들의 유동으로 인한 매칭라인(matching line)의 불일치를 개선함은 물론, 사출부품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시 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리형 내장 사출부품의 체결 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도어 상부트림과 도어 하부트림의 분리 구조도 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의 체결상태를 보인 평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의 상부트림(1)과 하부트림(2)이 서로 체결된 후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림(1)의 매칭(체결)부위에는,
T자형의 리브구멍(11)과, 하부트림(2)의 체결이 이루어질 때 그 하부트림(2)의 체결부위에 대한 유동을 방지시키는 제 1 리브(12) 및, 후술하는 플랜지(22)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 2 리브(13)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트림(2)의 매칭(체결)부위에는,
상부트림(1)의 리브구멍(11)으로 삽입 체결되어 제 1 리브(12)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는 T자형의 제 3 리브(21)와, 상부트림(1)의 제 2 리브(13)에 삽입 체결되는 플랜지(22)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3은 상부트림(1)에 형성된 보스구멍이고, 미설명된 도면부호 4는 하부트림(2)에 형성되어 상기 보스구멍(3)으로 체결되는 체결보스를 도시하고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어의 상부트림(1)과 하부트림(2)의 체결방식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차량내에 장착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사출부품이 모두 해당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체결보스(4)가 형성된 도어의 하부트림(2)에 T자형의 제 3 리브(21)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리브(21)는 그 두께를 1.2mm정도로 유지하고, 높이는 50mm 이내를 유지하도록 설계한다.
이후, 보스구멍(3)이 형성된 도어의 상부트림(1)에는 상기 제 3 리브(21)와 대응하는 T자형의 리브구멍(11)을 형성하는 한편, 그 구멍의 폭은 제 3 리브(21)의 두께보다 약 0.5mm정도 넓게 설계한다.
이때, 상기 하부트림(2)에는 플랜지(22)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트림(1)에는 플랜지(22)가 삽입 체결되는 제 2 리브(13) 및, 유동방지용의 제 1 리브(12)를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상부트림(1)과 하부트림(2)을 서로 체결시킬 때, 상기 하부트림(2)의 체결부위에 형성된 T자형의 제 3 리브(21)는 상부트림(1)의 체결부위에 형성된 T자형의 리브구멍(11)을 관통하게 되고, 상기 하부트림(2)의 체결보스(4)는 상부트림(1)의 보스구멍(3)으로 안착되며, 상기 상부트림(1)의 제 2 리브(13)에는 하부트림(2)의 플랜지(22)가 삽입 체결된다.
이때, 상기 상부트림(1)에 형성된 제 1 리브(12)는 하부트림(2)의 체결이 이루어질 때 그 하부트림(2)의 체결부위에 형성된 제 3 리브(21)가 리브구멍(11)을 관통할 때 그 유동을 방지시키도록 지지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상부트림(1)과 하부트림(2)의 체결부위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에 장착되는 사출부품들이 서로 리브(Rib)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내에 구비되는 사출부품(예;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그 사출부품들의 유동으로 인한 매칭라인(matching line)의 불일치를 개선함은 물론, 사출부품을 차체 프레임에 장착시 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도어 상부트림과 도어 하부트림의 분리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의 체결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상부트림 2 ; 도어 하부트림
3 ; 보스구멍 4 ; 체결보스
11; 리브구멍 12; 제 1 리브
13; 제 2 리브 21; 제 3 리브
22; 플랜지

Claims (1)

  1. 도어의 상부트림과 하부트림이 서로 체결된 후 도어프레임에 장착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림의 매칭(체결)부위에는,
    T자형의 리브구멍과, 하부트림의 체결이 이루어질 때 그 하부트림의 체결부위에 대한 유동을 방지시키는 제 1 리브 및, 후술하는 플랜지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 2 리브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트림의 매칭(체결)부위에는,
    상부트림의 리브구멍으로 삽입 체결되어 제 1 리브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는 T자형의 제 3 리브와, 상부트림의 제 2 리브에 삽입 체결되는 플랜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KR10-2004-0027813A 2004-04-22 2004-04-22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KR100534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813A KR100534450B1 (ko) 2004-04-22 2004-04-22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813A KR100534450B1 (ko) 2004-04-22 2004-04-22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65A KR20050102765A (ko) 2005-10-27
KR100534450B1 true KR100534450B1 (ko) 2005-12-07

Family

ID=3728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813A KR100534450B1 (ko) 2004-04-22 2004-04-22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4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65A (ko)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317B1 (ko) 연료도어의 하우징 장치
CN204398831U (zh) 车辆玻璃滑槽系统
US8840169B2 (en) Door trim
WO2006002020A3 (en) Vehicle component and method for making a vehicle component
US20130038091A1 (en) Roof Arrang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Roof Arrangement
KR100534450B1 (ko) 분리형 내장 사출 부품의 체결 구조
JP2001030755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KR200476205Y1 (ko) 조립 개폐식 내비게이션 고정장치
KR20110102527A (ko) 도어 트림 어셈블리
JP5307526B2 (ja) ガラスランの取付構造
JP5626893B2 (ja) 組立て物用クッション体のダイレクト成形方法
JP2006327486A (ja) ウインドウモールディングとカウルとの連結構造
JP2003048484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H0818892A (ja) キャビネット組立て体
CN205387101U (zh) 一种汽车仪表板上手套箱护框的安装结构
KR200336658Y1 (ko) 가스파이프에 결합되는 텐션지지부를 갖는 지지구
JP2011073289A (ja) ナットインサート型樹脂製筐体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器
KR100552176B1 (ko) 차량 후방 도어 프레임의 웨더스트립 설치구조
KR200416957Y1 (ko) 카고스크린 하우징커버구조
JPH08142230A (ja) キャビネッ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18725B1 (ko)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KR200354213Y1 (ko) 플라스틱 성형부재가 구비된 볼트
JP2009107476A (ja) スポイラー
KR200327939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프론트 마스크와 백 커버의 체결 구조
JPH0891103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ドア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