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4051B1 -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4051B1
KR100534051B1 KR10-1999-0006060A KR19990006060A KR100534051B1 KR 100534051 B1 KR100534051 B1 KR 100534051B1 KR 19990006060 A KR19990006060 A KR 19990006060A KR 100534051 B1 KR100534051 B1 KR 10053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guage
data
recorded
characte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2891A (ko
Inventor
스즈키요스케
다카하시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7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0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복수언어로 기록되어 있는 문자정보를 드라이브에서 취득하고,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때에, 최적한 언어의 문자정보를 자동적으로 표시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와 호스트컴퓨터(53)가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접속된다. 드라이브는 디스크(21)에서 데이터를 재생하는 서보·신호처리부(30)와, 드라이브전체를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41)와, CD-ROM용의 신호처리부(50)를 갖춘다. 호스트컴퓨터(53)로부터의 리드(TOC)커맨드에 응답하여 리턴데이터가 드라이브에서 컴퓨터(53)에 전송된다. 컴퓨터(53)에서는, OS의 국별정보에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CD-TEX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아닌지가 판정되고, 그러한 때에는 그 언어의 문자정보를 표시한다. 그렇지 않을 때에는 미리 설정한 언어(블록0의 영어)의 문자정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re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 예를 들면 디지털오디오용 CD(콤팩트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방법, 보다 구체적으로는 컴퓨터에 대하여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으로서 실현가능한 재생방법 및 재생방법이 격납된 컴퓨터에 의해 독해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기록장치로서 대용량, 고속액세스, 저가격 등의 이점을 가지는 CD-ROM 및 그 드라이브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CD-ROM은 디지털오디오신호가 기록된 CD-DA(단순히 CD라고 칭한다)에서 파생한 것이다. 통상 CD-ROM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데이터 등의 컴퓨터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퍼스널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의 하나로서, CD-ROM드라이브에 오디오용의 CD를 장전하고, 컴퓨터를 CD플레이어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알려져 있다.
기존의 CD플레이어(전용기)에 있어서, 사용 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디스크재생정보에 의거한 각종 표시가 되어 있다. 주지의 것으로서 Q채널 서브코드에 모드 1로서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번호 소위 트랙번호나 각 트랙번호에 할당된 시간정보를 재생하여 표시하는 것이 되어 있다.
또한, 리드인영역에 기록된 서브코드의 R∼W채널을 사용하여 CD 상에, 그 CD와 관련한 앨범타이틀 등의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것은 CD-TEXT라고 칭하여진다. CD-TEXT의 포맷으로는, 리드인정보(모드4)와 프로그램 영역정보(모드2)와가 규정되어 있다. 리드인정보는 TOC독해 시에 재생장치의 메모리(RAM)에 기억하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 영역정보는, 메모리를 사용하지 않고 CD의 제작자가 결정한 타이밍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CD-TEXT의 모드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CD플레이어의 경우에서는 CD-TEXT에 의거한 CD를 재생하는 경우, CD-TEXT의 정보가 CD의 장착 시에 독해된다. 독해된 CD-TEXT의 정보가 복호되어 메모리에 기억되고, 다시 필요에 따라서 표시된다. 따라서 재생하고자 하는 CD의 앨범타이틀, 연주자명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는 CD의 내용을 바로 파악할 수 있다.
CD-TEXT 포맷에서는, 6500문자 정도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CD의 앨범타이틀 등의 정보의 태반이 800문자 이하이므로, 이 용량으로 8개국의 언어의 문자정보가 기록가능하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CD-TEXT 포맷에서는, 최대 8개국의 언어에 대응하여 블록0∼블록7에 의해 텍스트군이 구성된다. 하나의 블록 중에서는 하나의 문자코드가 사용된다. 블록0은 반드시 존재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고 규정되고, 탑재하고 있는 메모리의 용량이 적은 재생장치의 경우에서는, 블록0만을 선택적으로 우선적으로 독출한다. 따라서 블록번호가 적은 블록에 대하여, 주된 언어 예를 들면 영어를 할당하도록 되어 있다.
CD플레이어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이와 같은 CD-TEXT의 포맷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종래의 CD-ROM 드라이브와 같은 드라이브를 호스트컴퓨터가 접속한 시스템에 있어서, 호스트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CD-TEXT의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지 않고, 그를 위한 방법도 알려지지 않았다. CD플레이어로서는 앞서 본원 출원인에 의해, 장착한 CD-TEXT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언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소망의 언어를 선택가능하게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사용자가 그 때마다 언어를 지정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조작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브와 호스트컴퓨터를 접속한 시스템에 있어서, CD-TEXT 디스크와 같이 미리 기록매체의 관리영역 상에 복수언어로 문자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가 드라이브에 장착되었을 때에, 사용자의 선택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언어 중에서, 최적한 언어에 의한 문자정보의 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재생방법 및 재생방법이 격납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기록매체를 재생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드라이브에서 컴퓨터가 취득하도록 된 재생방법에 있어서,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문자정보가 복수언어로 준비되어 있고, 복수언어에 대응하는 언어코드가 관리영역에 기록되고,
드라이브에서 관리영역을 재생하는 것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수취하는 스텝과,
수취한 데이터 중의 언어코드에 의거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문자정보의 언어를 판별하는 스텝과,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국별정보를 조사하는 스텝과,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고 판정될 때에, 그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스텝으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컴퓨터에 의해 독해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드라이브가 기록매체를 재생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컴퓨터가 취득하기 위한 재생방법이며,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문자정보가 복수언어로 준비되어 있고, 복수언어에 대응하는 언어코드가 관리영역에 기록되고,
드라이브에서 관리영역을 재생하는 것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수취하는 스텝과,
수취한 데이터 중의 언어코드에 의거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문자정보의 언어를 판별하는 스텝과,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국별정보를 조사하는 스텝과,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고 판정될 때에, 그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스텝으로 이루는 재생방법이 격납된 기록매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재생방법에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컴퓨터에 인스톨함으로써, 사용자는 드라이브에 CD를 장착하여 예를 들면 음악을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장착한 CD가 CD-TEXT의 포맷의 것이라면, 선택조작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복수언어 중에서 최적한 언어라도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상에 CD-TEXT정보(디스크명, 곡명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다. 부호(11)는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부호(12)는 퍼스널컴퓨터 본체, 부호(13)는 컴퓨터본체(12)에 설치된 광디스크 드라이브, 부호(14)는 키보드, 부호(15)는 마우스이다. 이러한 퍼스널컴퓨터는 주지이고, 예를 들면 OS(오퍼레이팅시스템)로서 Windows 95(등록상표)를 탑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른 OS를 채용하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13)는 CD, CD-ROM, CD-R(기록가능이고, 고쳐쓰기 불능인 CD), CD-RW(고쳐쓰기 가능한 CD)등의 CD의 베리에이션에 포함되는 광디스크를 재생가능한 것이다. 컴퓨터본체(12)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재생방법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인스톨함으로써, 드라이브(13)에 의해 CD가 재생되었을 때에 컴퓨터에 내장 또는 외부에 접속된 스피커에 의해, CD 중의 음악정보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장착된 CD가 CD-TEXT 포맷의 것(CD-TEXT디스크)일 때에는, 리드인영역 중의 CD-TEXT데이터를 드라이브(13)가 재생하고, 재생된 CD-TEXT데이터가 컴퓨터본체(12)에 읽어들여진다. 그리고 CD-TEXT데이터가 복호되고, CD-TEXT데이터에 의거한 디스크명, 곡명 등이 디스플레이(11)에 의해 표시된다. 이 표시를 보고, 사용자는 곡명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기록매체로서 CD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광디스크(예를 들면 DVD(디지털·비디오·디스크), 자기테이프, 광테이프, 반도체메모리 등에 대하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메인정보는 오디오데이터에 한하지 않고, 비디오데이터 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오디오재생용의 CD의 데이터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음에 CD-TEXT 포맷에 대해서 설명한다. CD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D(101)는 중앙에 구멍을 가지며, 그 내주에서 외주로 향해서 TOC(table of contents)데이터가 기록된 프로그램 관리영역인, 리드인(lead in)영역(103)과, 프로그램데이터가 기록된 프로그램영역(104)과, 프로그램 종료영역, 소위 리드아웃(lead out)영역(105)이 형성되어 있다. 오디오정보를 기록한 오디오재생용 CD에 있어서는, 프로그램영역(104)에 오디오데이터가 기록되고, 이 오디오데이터의 시간정보 등이 리드인영역(103)에서 관리된다. 또 CD재생장치에 의한 프로그램영역(104) 내의 오디오데이터의 독출이 종료하고, 리드아웃영역(105)에 픽업이 도달하였을 때에 CD재생장치가 CD의 재생동작을 종료한다.
CD에는 메인데이터로서의 오디오데이터의 외에 서브코드가 기록되어 있다. 이하, 서브코드의 P채널 및 Q채널의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CD에 기록되는 오디오신호는 1샘플 혹은 1워드가 16비트이고, 44.1kHz의 샘플링주파수에서 샘플링된다. 이 샘플링된 데이터는 1샘플 혹은 1워드 16비트가 상위 8비트와 하위 8비트로 분할되어서 각각 심벌로 되고, 이 심벌 단위로 오류 정정복호화처리나 인터리브처리가 시행되고, 오디오데이터의 24심벌마다 하나의 프레임에 정리된다. 1프레임은 스테레오 좌우채널의 각 6심벌분에 상당한다.
EFM변조에 의해, 각 심벌의 8비트가 14비트로 변환된다. EFM변조 후의 1프레임의 데이터구조를 도 3에 나타낸다. 1프레임(135)은 24채널비트의 동기패턴 데이터영역(131)과, 14채널비트의 서브코드영역(132)과, 12심벌의 프로그램데이터D1에서 D12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데이터영역(133)과, 4심벌의 패리티데이터 P1에서 P4로 이루는 패리티 데이터영역(134)과, 별도의 프로그램 데이터영역(133) 및 패리티 데이터영역(134)으로 이룬다. 또 각 영역, 혹은 데이터부분을 접속하기 위해 각 부분에 대하여 3채널비트의 결합비트가 배치된다. 따라서, 1프레임(135)은 합계 588채널비트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98개의 프레임을 모아서 이 프레임(135)의 각 영역 및 데이터부분이 종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늘어놓기 바꾸기를 한 것을 도 4에 나타낸다. 이 도 4에 표시되는 98프레임의 주기는, 서브코드가 완결하는 단위로서 서브코드 프레임이라고 칭하여진다. 이 서브코드프레임은 프레임주기 패턴부(136)와, 서브코드부(137)와, 데이터 및 패리티부(138)로 이룬다. 또한, 이 1서브코드 프레임은 CD의 재생시간의 1/75초에 상당한다.
여기서, P채널 및 Q채널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서브코드데이터는, 도 4 중의 서브코드부(137)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이다. 또, 이 서브코드부(137)의 서브코드 프레임데이터의 구성의 상세를 도 5에 나타낸다. 선두의 프레임(F01), 프레임(F02)은 서브코드 프레임의 동기패턴(S0, S1)이다. 이 동기패턴은 프레임 동기패턴과 동일하게, EFM변조방식(eight to fourteen modulation)의 아웃 오브 룰의 패턴이다. 또한 1심벌의 8비트의 각 비트는, 각각 서브코드의 P채널에서 W채널을 구성한다. 예를 들면 P채널은 S0, S1의 각각 일부와, P01에서 P96으로 구성된다.
서브코드의 P채널은 프로그램의 유무에 대응한 정보를 가지며, Q채널에는 CD 상의 절대시간정보, 각 프로그램의 시간정보, 프로그램번호(트랙번호라고도 칭한다), 악장번호(인덱스라고도 칭한다)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Q채널에 포함되는 정보에 의해 프로그램의 선두를 내미는 등의 재생동작의 제어가 가능하고, 또 Q채널의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연주중의 프로그램이 광디스크 상의 몇 번째의 프로그램인지, 연주의 경과시간이나 처음부터의 절대시간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서브코드의 R채널에서 W채널까지의 6채널분의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정지화면이나 곡의 가사의 표시 등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R채널에서 W채널을 이용한 재생장치는 CD-그래픽스라고 불리고, 이미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에는 리드인영역의 R∼W채널을 사용하여 CD에 부가적인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방식(CD-TEXT)이 제안되고 있다. 이 CD-TEXT의 경우, 6500자 정도의 문자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CD의 부가문자정보로서는 800자 이하라고 하고, 8개국의 언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a는 CD 상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2에 대해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내주측에서 순서로 리드인영역(103)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 프로그램영역(104)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No.1∼No.n, 리드아웃영역(105)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기존의 CD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브코드의 Q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서브코드는 98비트를 1프레임으로 하는 데이터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98비트 중의 72비트가 데이터이다. TOC데이터의 경우에서는, 도 6b에 나타내는 포맷을 가지고 있다.
프로그램수가 6의 경우에서는, TOC중의 데이터구조는 도 7에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POINT가 00∼99의 경우에서는, PMIN, PSEC, PFRAME가 각 프로그램의 스타트어드레스(절대시간)를 나타낸다. POINT가 A0의 경우에서는, PMIN이 디스크의 최초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번호를 나타내고, PSEC, PFRAME이 00으로 된다. POINT가 A1의 경우에서는, PMIN이 최후의 프로그램의 프로그램번호를 나타내고, PSEC, PFRAME이 00으로 된다. POINT가 A2의 경우에서는, PMIN, PSEC, PFRAME이 리드아웃이 개시하는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의 내용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회씩 반복된다. 또한 리드인영역에 반복하여 기록된다. 이와 같은 TOC데이터는 CD의 장착시에 독해되어 기억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CD-TEXT(모드4)의 경우의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기존의 CD의 경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Q채널의 서브코드의 1프레임 내의 72비트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프로그램(곡)수와, 각 프로그램의 기록위치가 관리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00∼98까지의 값을 취득하는 프로그램번호와 각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개시어드레스(절대시간)와, 최초의 프로그램번호와, 최후의 프로그램번호와, 리드아웃이 시작되는 어드레스와가 기록되어 있다. 이 Q채널의 서브코드에 가하여,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R채널∼W채널로 구성되는 CD-TEXT의 데이터가 리드인영역에 기록된다.
R∼W채널로 이루는 데이터의 선두의 2프레임은 동기패턴(S0, S1)이다. 나머지의 96프레임에는 각각이 6비트의 심벌이 96심벌이 포함된다. 이 96심벌이 24심벌씩 4분할된다. 이 24심벌을 1팩이라고 칭하고, 4팩을 1패킷이라고 칭한다.
각 팩의 선두위치에 그 팩에 기록되는 정보의 기록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정보와, 문자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식별정보를 가지는 ID1과 기타 식별정보를 가지는 ID코드(ID2, ID3 및 ID4)를 포함하는 합계 24비트의 ID코드가 기록되는 ID영역(111)이 배치된다. 이 ID영역(111)의 뒤에 8비트단위로 주데이터에 부수하는 문자정보가 기록되는 텍스트영역(112)이 배치된다. 또한 각 팩에 오류검출부호로서, 순회부호(CRC:cyclic redundancy code)에 의한 오류검출을 행하기 위한 16비트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CRC영역(113)이 배치된다. 이들의 ID영역(111), 텍스트영역(112), CRC영역(113)에 의해 팩영역(114)이 구성된다.
도 9는, CD-TEXT 포맷의 개략을 나타내는 것이다. 모든 문자정보는 텍스트군 중에 기록된다. 텍스트군은 리드인영역에서는, 같은 텍스트군이 반복하여 기록된다. 하나의 텍스트군이 최대로 8개의 블록에 의해 구성된다. 도 9에서는, 하나의 텍스트군이 2개의 블록(블록0 및 블록1)에 의해 구성되는 예가 표시되고 있다.
블록0은 영어의 문자정보를 포함하고, 영어의 경우의 문자코드가 8559-1에 의한 것으로 된다. 블록1은 일본어의 문자정보를 포함하고, 일본어의 경우의 문자코드가 MS-JIS로 된다. 각 블록은 팩0∼팩n에 의해 구성된다.
도 10a는, 도8에서 나타낸 데이터포맷을 시리얼데이터로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두에서 32비트의 데이터(도 10a에서는 24비트만 나타냄)를 바이트마다의 데이터로 구분하고, 이들의 바이트를 식별용의 ID1, ID2, ID3, ID4)에 대하여 할당하고, ID(또는 헤더)영역1을 형성한다. 그 후의 텍스트영역(112)도 바이트단위의 데이터로 구분된다. 텍스트영역(112)은 12바이트의 길이이며, 최후에 2바이트의 CRC영역(113)이 설치된다. 이들의 ID영역(111), 텍스트영역(112) 및 CRC영역(113)으로 이루는 18바이트의 길이가 팩(114)이라고 칭하여져 진다. 이와 같은 바이트단위의 처리에 의해, Q채널의 신호의 처리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간단한 처리회로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CD-TEXT의 데이터포맷에서는, CRD에 의한 오류검출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검출하는데 멈추고, 오류가 검출되면 재차 데이터를 독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데이터는 TOC내에서 팩마다 예를 들면 4중기입되고, 다시 일련의 데이터열이 패킷단위로 반복 기록되어 있다. 즉, 1/75초의 주기를 가지는 서브쿠드싱크에 동기한 1패킷에 4팩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다중기록에 의해 오류정정을 위한 복잡한 회로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팩단위의 다중기입은 4중기입에 한하지 않고, 또 다중기입의 단위도 팩단위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패킷단위, 혹은 다수 패킷을 주기로 하여 이 주기단위로 다중기입하여도 좋다.
또, ID영역(111)의 선두의 ID1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1심벌보다 2비트 많은 8비트로 다루게 된다. 또한 기존의 R 내지 W채널의 서브코드를 복호화하는 기능을 가지는 재생장치에 장착하여도 이 재생장치가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도록, MSB에서 3비트는 모드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기입한다. 리드인영역에 기록되는 CD-TEXT포맷의 경우에서는, 이 3비트로 표시되는 모드로서 CD-TEXT포맷이 제안되기 전에는 미정의엿던 모드(“100″)를 할당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존의 재생장치에 장착하여도 인식 불가능한 모드가 검출될 뿐이므로, 재생장치는 동작을 정지할 뿐이며 오동작할 우려가 없다. 또 미정의의 모드는 모드4 외에, 모드5 및 모드6이 있을 수 있으므로, 모드4 대신에 이들의 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ID1에 의해 모드4가 지시되는 이 예에서는, 1팩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비트(1바이트)마다 구분된 ID1, ID2, ID3, ID4와, 텍스트바이트(text1∼text12)와, 16비트의 CRC코드와를 포함하는 것이다.
ID1은 8비트의 구조를 가지며, ID1과 팩으로 다루어지는 데이터의 내용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정되어 있다. ID1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4를 상위측의 비트로 지시하기 위해, (8×h)(h는 16진수를 의미하며, ×가 하위측의 4비트의 값을 의미한다).
ID1은, text1 이후에 계속되는 문자열의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80h)는 앨범명/프로그램명, (81h)는 연주자/지휘자/오케스트라명, (82h)는 작시자, (83h)는 작곡자명, (84h)는 편곡자, (85h)는 메시지, (86h)는 disc ID, (87h)는 검색용 키워드, (88h)는 TOC, (89h)는 2nd TOC, (8ah), (8bh) 및 (8ch)는 예약, (8dh)는 클로즈드정보, (8eh)는 앨범의 UPC/EAN(POS코드) 및 각 트랙의 ISRC, (8fh)는 블록의 사이즈정보이다. 또한 예약은 현재는 미정의이며, 장래 정의되는 것을 의미한다.
ID2는, 1비트의 확장프래그와 7비트의 트랙번호 또는 팩엘리먼트번호를 포함한다. 트랙번호는 그 팩의 텍스트데이터의 최초의 문자가 속하는 트랙번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D2에는 1에서 99까지의 트랙번호가 기록된다. 트랙번호는 1에서 99이므로, 이 이외의 수치「0」이나 「100」(64h) 이상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00」은 디스크 전체를 대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MSB는 상시 0으로 되고, 1은 확장용의 프래그가 된다. 팩엘리먼트번호는 ID1에 의해 표시되는 팩의 종류에 의존하여 사용된다.
ID3은, 팩에 부착된 연속번호(시퀀스번호)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내의 팩의 연속번호는, 00에서 255(0에서 FFh)까지이다. ID3=0은, 상시 ID1=80h의 선두팩이다.
ID4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비트(MSB)의 DBCC(Double Byte Character Code)식별비트와, 3비트의 블록번호와, 그 팩의 문자위치를 나타내는 4비트로 이룬다. 혹시 블록이 DBCC문자열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것이 「0」이 된다. 블록번호는 그 팩이 속하는 블록의 번호를 나타낸다. 문자위치를 나타내는 4비트는 현 팩의 text1의 문자가 몇 문자째인가를 나타내고 있다. 「0000」이 최초의 문자, 「0001」이 2번째의 문자, 「0010」이 3번째의 문자, 이하 「0011」, 「0100」, … 는 4번째, 5번째, … 의 문자이다.
텍스트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12바이트로 이루고, ID1에 의해 표시되는 팩의 종류에 의존한 문자열 혹은 바이너리정보를 포함한다. (ID1=88h), (ID1=89h), (ID1=8fh)를 제외한 팩은, 텍스트데이터가 문자열로 구성된다. 문자의 계열과 종단자로서의 널코드로 이룬다. 널코드는 SBCC의 경우에는 1개의 널코드가 사용되고, DBCC의 경우에는 2개의 널코드가 사용된다. 널코드로서는 (00h)가 사용되고, 문자열의 사이즈는 160바이트보다 적은 것이 권장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블록의 사이즈정보의 경우의 팩(ID1=8fh)의 구성의 일예를 도 16,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다. 도 16은 ID2에 의해 표시되는 팩엘리먼트번호가 (00h)의 팩의 데이터구성이며, 도 17은 팩엘리먼트번호가 (01h)의 팩의 데이터구성이며, 도 18은 팩엘리먼트번호가 (02h)의 팩의 데이터구성이다.
(ID2=OOh)의 팩(도 16)은, ID3에 의해 연번이 표시되고, ID4에 의해 블록번호가 표시된다. 그리고, 그후의 text1이 그 블록의 문자(캐릭터)코드를 나타낸다. 이 문자코드는 (ID1=80h∼85h)의 팩의 문자열에 사용되는 문자코드이다. 다른 팩의 문자코드는 (00h)가 된다. 블록0에 대해서는 문자코드가 (00h)로 적용되는 것으로 된다. 문자코드의 규정의 일예를 하기에 나타낸다.
OOh = ISO 8859-1
O1h = ISO 646, ASCI1
O2h∼7f = 예약
80h = MS - JIS
81h = 한국 캐릭터코드
82h = 맨더린(표준적) 중국어 캐릭터코드
83h∼FFh = 예약
예를 들면 ISO 8859-1은, 수자, 알파벳, 기호 등을 1바이트로 표현하는 것이며, ISO 8859-1이 표준적 문자코드로서 사용된다.
다음의 text2가 최초의 트랙번호로 되고, text3이 최후의 트랙번호로 되고, 최초의 트랙번호로 되고, text4가 모드 및 복사방지 프래그로 된다. 이 text4의 1비트(MSB)는, 모드2의 CD-TEXT패킷이 프로그램영역에 인코드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프래그이다. 나머지의 7비트가 복사방지 프래그로서 사용된다. text5∼text12는 (ID1=80h)∼(ID1=87h)를 가지는 팩의 각각의 개수를 나타낸다.
(ID1=8fh, ID2=01h)의 팩(도 17)에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팩과 동일하게 ID3 및 ID4에 의해 연번 및 블록번호가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text1∼text8이 (ID1=88h)∼(ID1=8fh)를 각각 가지는 팩의 각각의 개수를 나타낸다. text9∼text12는 블록0∼블록3의 각각의 최후의 연번을 나타낸다.
(ID1=8fh, ID2=02h)의 팩(도 18)에서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팩과 동일하게, ID3 및 ID4에 의해 연번 및 블록번호가 각각 표시된다. 그리고 text1∼text4는 블록4∼블록7의 각각의 최후의 연번을 나타낸다. 이 최후의 연번이 (00h)의 경우에서는, 그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존재하지 않는 블록을 데이터없는 블록이라고 칭한다. 다음의 text5∼text12는 블록0∼블록7의 각각의 언어코드를 나타낸다. 문자코드가 문자열의 각 문자를 나타내는 데이터의 포맷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대하여, 언어코드는 각 블록의 문자정보가 어느 나라의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은, 상술한 언어코드(1바이트)와 언어의 대응관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9의 표는 유럽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언어코드를 나타내고, 도 20의 표는 그 이외의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언어코드를 나타낸다. 이 언어코드는 일예이며, 다른 규정에 의하는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광디스크 드라이브(13)의 일예에 대하여,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13)는, CD-ROM, CD, CD-TEXT를 재생가능한 것이다. 도 21에 있어서 디스크(21)가 드라이브에 대하여 장착되고, 드라이브가 재생하는 디스크이다. 디스크(21)는 스핀들모터(23)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광학픽업(22)에 의해 기록내용이 독출된다.
이 광학픽업(22)으로부터의 재생신호는, CD플레이어와 동일한 구성의 서보·신호처리부(30)에 공급된다. 먼저 재생신호가 RF앰프(31)에 공급된다. RF앰프(31)는 RF신호의 처리회로의 기능을 가지며, RF신호의 2치화, 트래킹에러신호(TE), 포커스에러신호(FE)의 생성 등의 처리를 행한다. 이들의 에러신호(TE), FE가 서보처리회로(32)에 공급된다. 서보처리회로(32)에 의해 포커스제어 및 트래킹제어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광학픽업(22) 내의 포커스액추에이터 및 트래킹액추에이터가 드라이브회로(33 및 34)를 거쳐진 신호에 의해 드라이브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픽업(22)을 디스크지름 방향으로 보내는 장치도 서보처리회로(32)에 의해 제어된다.
RF앰프(31)로부터의 2치화된 재생신호가 PLL(35), EFM복조회로(36) 및 타이밍생성회로(37)에 공급된다. PLL(35)은 재생신호와 동기한 클럭을 생성한다. EFM복조회로(36)로부터의 디지털오디오신호는 신호처리회로(38)에 공급되고, 에러정정, 에러데이터의 보간 등의 처리를 받는다. 신호처리회로(38)로부터의 디지털오디오신호가 인터페이스(42)에 공급된다. 인터페이스(42)는 컴퓨터본체(12)(도 21에서는, 호스트컴퓨터(53)로 표시)와 광디스크드라이브(13)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며, SCSI. ATAPI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호스트컴퓨터(53)의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디지털오디오신호가 복호되고, 오디오신호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또, 타이밍생성회로(37)는 재생신호와 동기한 타이밍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생성회로(37)의 출력신호가 CLV프로세서(39)에 공급된다. CLV프로세서(39)에 의해 스핀들모터(23)가 CLV구동된다. 또, EFM복조회로(36)에서 분리된 서브코드가 서브코드프로세서(40)에 공급된다. 서브코드프로세서(40)에서는 서브코드의 에러검출 등의 처리가 되고, 서브코드의 P 및 Q채널과 R∼W채널이 분리되어서 출력된다. 이들의 서브코드데이터가 인터페이스(42)에 대하여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드인영역의 서브코드의 R∼W채널에는, CD-TEXT데이터가 포함된다. 이 CD-TEXT데이터가 인터페이스(42)를 거쳐서 호스트컴퓨터(53)에 전송된다. CD-TEXT데이터에서 문자정보를 분리하고, 다시 문자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로 변환하는 것같은 CD-TEXT데이터의 복호처리는, 호스트컴퓨터(53)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CD-TEXT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스크명, 곡명, 아티스트명 등이 영어, 기타의 언어를 가지고 컴퓨터디스플레이(11)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 소프트웨어처리에 대신하여 CD-TEXT의 복호처리를 위한 하드웨어를 호스트컴퓨터(53) 또는 드라이브측에 갖추어도 좋다.
CD-ROM을 재생할 때에는, 서보·신호처리부(30)로부터의 출력신호가 CD-ROM용의 신호처리부(50)에 대하여 공급된다. CD-ROM은 서브코드의 길이(1/75초)를 데이터의 단위를 규정하고 있다. 즉, 2352바이트의 데이터길이를 1블록으로서 선두에 싱크(12바이트), 그 다음에 헤더(4바이트)가 위치하고, 헤더에 계속하여 사용자데이터가 위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헤더에는 CD의 서브코드의 Q채널의 절대번지와 동일한 어드레스가 포함되어 있다. CD-ROM의 데이터구성에는 모드0, 모드1, 모드2(폼1), 모드2(폼2)가 규정되어 있다. 싱크 이외의 데이터는 스크램블 처리되어 있다. 또, 블록마다 에러검출부호, 또는 에러정정부호의 부호화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은 CD-ROM의 데이터는, 블록구조로 되어서 CD와 동일한 에러정정부호화, EFM변조 등의 처리를 받아서 CD-ROM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CD-ROM용의 신호처리부(50)는, 스크램블을 풀기 위한 디스크램블러(51)와 각 블록의 에러검출부호, 또는 에러정정부호의 복호를 행하기 위한 에러정정회로(52)가 포함된다. 에러정정회로(52)로부터의 CD-ROM의 재생데이터가 인터페이스(42)를 거쳐서 호스트컴퓨터(53)에 보내진다.
시스템제어기(41)는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고,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서보·신호처리부(30), CD-ROM용의 신호처리부(50), 인터페이스(42)가 시스템제어기(41)에 의해 제어된다. 호스트컴퓨터(53)로부터의 리드, TOC커맨드에 따라서 인터페이스(42)를 거쳐서 디스크의 재생데이터가 호스트컴퓨터(53)에 대하여 보내진다. 드라이브에서 호스트컴퓨터(53)에 대하여 보내지는 데이터를 리턴데이터라고 칭한다.
호스트컴퓨터(53)가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대하여, CD-TEXT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지시하는 리드 TOC커맨드를 발행하면, 드라이브의 시스템제어기(41)가 이 커맨드를 해석하여 리드인영역의 R∼W채널의 데이터를 광픽업(22)이 독해하도록 시스템제어기(41)가 드라이브를 제어한다. 또한, 음악용의 CD의 일부가 CD-TEXT의 포맷에 대응하고 있으나, 음악용의 CD 이외의 CD에 대해서도 CD-TEXT의 포맷에 대응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리드 TOC커맨드에 응답하여, 드라이브는 독해한 데이터에 대하여 독해한 데이터 길이를 나타내는 코드(식별데이터)를 포함하는 헤더를 부가한 리턴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53)에 대하여 전송한다. 헤더는 리턴데이터의 선두의 4바이트(0∼3번째의 바이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헤더의 선두의 2바이트보다 후에 계속되는 데이터 길이를 헤더 내의 0번째 및 1번째의 바이트를 나타낸다. 호스트컴퓨터(53)는 리턴데이터 중의 헤더를 보고, CD-TEXT데이터를 독해할 수 있었는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CD-TEXT데이터를 독해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CD-TEXT 디스크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D-TEXT 디스크가 아니라고 결정한다. 그리고 CD-TEXT 디스크라고 판정되면 리드 TOC커맨드가 발행되고, CD-TEXT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53)가 취득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언어로 CD-TEXT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을 때에 소망의 언어의 문자정보를 선택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22의 플로차트는 호스트컴퓨터(53)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에서 개시하는 처리를 나타낸다. 최초의 스텝(S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오퍼레이션시스템(OS라고 약칭한다)의 국별정보를 판별한다. OS의 레지스트리에 1바이트의 국별정보가 기입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를 드라이브에 장착한 후에, 디스크의 장착을 인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호스트컴퓨터(53)가 CD-TEXT 디스크의 장착의 판정을 행하고, 그 후에 CD-TEXT데이터를 취득한다(스텝2). CD-TEXT데이터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정보 외에, ID정보, 다이제스트정보, 사이즈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들의 정보가 호스트컴퓨터(53) 내의 RAM에 격납된다.
호스트컴퓨터(53)의 RAM에는, 도 23a에 나타내는 언어명 테이블이 격납되어 있다. 언어명 테이블은 언어코드와 언어명의 대응을 나타내는 테이블(도 19, 도 20참조)이다. 언어명은 예를 들면 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준적인 문자코드인 ISO 8859-1에 의거하여 실현되어 있다.
취득된 CD-TEXT데이터가 1팩씩 처리된다. 그리고 1팩의 데이터의 ID1이 조사되고, 사이즈팩인지 어떤지가 결정된다. (ID1=8fh)이면, 사이즈팩이라고 결정되어 사이즈팩의 처리가 행해진다.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이즈팩 중에서 (ID2=02h)의 팩의 text5∼text12에는, 블록0∼블록7의 언어코드가 기록되어 있다. (ID2=02h)의 팩의 text5∼text12의 데이터에서 언어코드가 검출된다. 이 언어코드가 호스트컴퓨터(53)의 RAM 내의 언어코드 테이블에 격납된다(도 22의 스텝(S3)).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언어코드 테이블에 의거하여, 언어명이 언어선택메뉴에서 선택가능한 언어의 리스트가 표시된다.
언어코드 테이블은 블록0∼7과 언어코드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고, 도 23b는 그 일예를 나타낸다. 단 도 23은, 블록0∼3이 기록된 CD-TEXT 디스크의 경우를 나타내고, 블록0이 영어(언어코드=09h), 블록1이 일본어(언어코드=69h), 블록2가 독일어(언어코드=08h), 블록3이 불란서어(언어코드=0fh)의 예를 나타낸다.
스텝(S4)에서는, OS국별정보와 같은 언어데이터 블록이 있는지 없는지가 결정된다. 이 결정을 행하기 위해 도 2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S국별정보가 언어명 테이블(도 23a)을 참조하여 언어코드로 변환된다. 스텝(S4)에서는, OS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코드가 언어코드 테이블에(도 23b)에 존재하는지 아닌지 조사된다. 언어코드를 사용하는 대신에, 언어명에 OS국별정보를 변환하여 문자열의 일치를 조사하도록 하여도 좋다.
OS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명의 블록이 CD-TEXT데이터에 포함되지 않을 때에는, 디폴트로 선두블록(블록0)의 영어의 문자정보를 표시한다(스텝(S6)). 블록0 이외의 문자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으나, CD-TEXT 포맷에서는 블록0에는 반드시 문자정보를 기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문자정보를 확실히 표시할 수 있다.
호스트컴퓨터(53)와 접속된 디스플레이에 의해 이루어지는 표시의 구체예를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는 어플리케이션을 일본어 OS로 기동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24a는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였을 때에 제시되는 윈도우를 나타낸다. 부호(61, 62)가 메뉴바, 부호(63)가 디스크명 표시부, 부호(64)가 연주자명 표시부, 부호(65)가 곡명 표시부, 부호(66)가 디스크유무 표시부, 부호(67)가 조작아이콘, 부호(68)가 트랙번호, 시간표시부이다.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지는 메뉴표시는 영어로 통일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다른 언어에 대응한 리소스를 준할 필요가 없고, 그 만큼 공수를 삭감할 수 있고, 실행파일의 사이즈도 축소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기동 후에 OS국별정보(이 예에서는 일본어)를 취득한다(스텝(S1)). 디스크를 장전하면 어플리케이션이 CD-TEXT데이터를 취득하고(스텝(S2)), 언어정보를 취득한다(스텝(S3)). 그리고, CD-TEXT데이터에 OS의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일본어의 블록이 있는 것을 인식하고(스텝(S4)), 일본어 블록의 문자정보를 표시한다. 도 24b는 일본어 블록의 문자정보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4b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디스크명이 「아이우…」라고 약기되고, 연주명이 「에오가…」라고 약기되어 있다. 또 곡명(일본어로 표기된다)을 제 1곡에서 순서로「Japanese 01」,「Japanese 02 」,…로 약기되어 있다. 곡명을 상하로 이동시켜 커서를 재생하고 싶은 곡명에 위치시키므로써 선곡이 이루어진다. 또한, 디스크가 장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디스크유무 표시부(66) 상에 이루어진다. 조작아이콘(67)의 소정의 아이콘을 선택적으로 클릭함으로써, 재생, 정지 등의 CD플레이어와 동일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혹시, 장전된 CD-TEXT디스크에 일본어의 블록이 기록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블록0(영어)의 문자정보가 표시된다(스텝(S6)). 도 24c는 영어의 문자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24c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디스크명이 「ABC…」라고 약기되고, 연주명이 「DEF…」라고 약기되어 있다. 또 곡명(영어로 표기된다)을 제 1곡에서 순서로「English 01」,「English 02 」,…로 약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표시시키는 문자정보의 언어를 사용자가 소망의 언어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5는 그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언어선택메뉴를 선택한다((스텝(S11). 도 26a는 예를 들면 영어의 문자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의 윈도우이다. 이 윈도우 중의 타이틀바(62) 중의 아이콘 예를 들면 「View」(62a에서 표시)에 커서를 맞추고, 클릭하는 것으로 언어선택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6b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풀다운메뉴의 형태에서, 「Select Language」의 메뉴의 표시와,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언어명의 표시와가 표시된다. 기록되어 있는 언어명은, 언어명 테이블(도 23a)와 언어코드 테이블(도 23b)을 참조함으로써 표시할 수 있다. 도 26b는 블록0에서 순서로 영어, 불란서어, 독일어, 이태리어, 스페인어, 미정의의 언어의 문자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디스크의 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 풀다운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언어명을 선택한다(스텝(S12). 도 26b에서는 불란서어를 선택한 예를 나타낸다. 선택한 것을 마크로 나타내는 방법에 한하지 않고, 언어명의 반전, 언어명의 브린크 등에 의해 표시하여도 좋다.
언어를 선택하면, 선택언어데이터가 표시된다(스텝(S13). 이 예에서는 불란서어의 문자정보를 선택하고 있으므로, 영어의 문자정보의 표시에서 도 2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란서어의 문자정보의 표시로 전환된다. 도 26c에서는 간단히 하기 위해 디스크명의 불란서어 표시가 「GHI…」라고 약기되고, 연주자명의 불란서어 표시가 「JKL…」이라고 약기되고, 불란서어의 곡명이 「Erench 01」,「Erench 02 」,…로 약기되어 있다. 다른 언어를 선택한 경우와 동일하게 선택한 언어의 문자정보가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드라이브에 기록매체를 장전 후, OS와 같은 언어코드의 문자정보를 컴퓨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언어 전환메뉴를 열고, 언어를 선택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언어선택메뉴에 의해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언어의 종류를 알 수 있고, 또 언어선택메뉴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언어의 문자정보를 표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종래의 음악재생용 CD의 영역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3은 1프레임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4는 서브코드프레임 전체의 데이터구조를 설명하는 약선도이다.
도 5는 서브코드신호의 전채널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6은 CD의 전체의 데이터구성 및 TOC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7은 종래의 CD의 리드인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TOC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8은 서브코드신호의 전채널의 데이터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9는 서브코드의 데이터포맷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10은 CD-TEXT의 데이터포맷의 1팩 및 1심벌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데이터포맷의 할당을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12는 ID(1)로 표시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ID(2)로 표시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ID(3)으로 표시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ID(4)로 표시되는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사이즈팩의 팩엘리먼트가 (00h)의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사이즈팩의 팩엘리먼트가 (01h)의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사이즈팩의 팩엘리먼트가 (02h)의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언어코드와 언어명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언어코드와 언어명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하는 테이블의 설명에 이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설명에 이용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약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디스크 22 광학픽업
30 서보·신호처리부 41 시스템제어기
42 인터페이스 50 CD-ROM용의 신호처리부
53 호스트컴퓨터 111 ID영역
112 텍스트영역 113 CRC영역
114 팩 115 패킷

Claims (5)

  1. 드라이브에 의해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를 컴퓨터가 취득하기 위한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복수의 언어로 이루는 문자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포맷되어 있고, 상기 언어에 대응하는 언어코드가 관리영역에 기록되고,
    드라이브가 상기 관리영역을 재생하는 것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수취하는 스텝과,
    수취한 데이터 중의, 상기 언어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문자정보의 언어를 판별하는 스텝과,
    오퍼레이팅시스템의 국별정보를 조사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의 상기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그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스텝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의 스텝은,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의 상기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미리 설정한 언어의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문자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언어의 일람을 표시하는 스텝을 또한 가지며,
    그것에 의해 상기 언어의 일람 중의 하나가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의 일람은, 복수의 메뉴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방법.
  5. 컴퓨터에 의해 독해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드라이브에 의해 기록매체에서 재생된 데이터를 컴퓨터가 취득하기 위한 재생방법이며,
    드라이브에 의해 재생되는 상기 기록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복수의 언어로 이루는 문자정보가 기록될 수 있도록 포맷되어 있고, 상기 언어에 대응하는 언어코드가 관리영역에 기록되고,
    드라이브가 상기 관리영역을 재생하는 것으로 얻어진 데이터를 수취하는 스텝과,
    수취한 데이터 중의, 상기 언어코드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련하는 문자정보의 언어를 판별하는 스텝과,
    오퍼레이팅시스템의 국별정보를 조사하는 스텝과,
    상기 오퍼레이팅시스템의 상기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국별정보와 대응하는 언어의 문자정보가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그 문자정보를 표시하는 스텝을 갖춘 재생방법이 격납된 기록매체.
KR10-1999-0006060A 1998-02-25 1999-02-24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KR100534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4345998A JP3796944B2 (ja) 1998-02-25 1998-02-25 再生方法、記録媒体およびコンピュータ
JP98-043459 1998-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891A KR19990072891A (ko) 1999-09-27
KR100534051B1 true KR100534051B1 (ko) 2005-12-06

Family

ID=12664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060A KR100534051B1 (ko) 1998-02-25 1999-02-24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01638B1 (ko)
JP (1) JP3796944B2 (ko)
KR (1) KR100534051B1 (ko)
CN (1) CN1118799C (ko)
MY (1) MY116789A (ko)
SG (1) SG85619A1 (ko)
TW (1) TW4323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7198B1 (en) * 2000-05-22 2007-06-26 Real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for the control of a music player to a device driver
US20020087964A1 (en) * 2000-12-28 2002-07-04 Gateway,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HAVi based device implementation
JP3847098B2 (ja) * 2001-03-29 2006-11-1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オーディオ情報表示装置
JP3793093B2 (ja) * 2002-01-21 2006-07-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及びその記録内容情報表示方法
AU2003211981B8 (en) * 2002-02-20 2009-06-25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ata receiving method
US7020048B2 (en) * 2003-04-09 2006-03-28 Delphi Technologies, Inc. User selectable display modes for a vehicle MP3 compact disc player
US7251719B2 (en) 2003-08-11 2007-07-31 Fujitsu Ten Limited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KR100611970B1 (ko) * 2003-08-16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렉티브 그래픽 스트림을 기록한 정보저장매체 및 그 재생장치
JP4689510B2 (ja) * 2006-03-24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0059C (en) * 1989-06-30 1995-05-23 Shigemi Maeda Modular ceramic igniter
JPH06139704A (ja) * 1992-10-29 1994-05-20 Kenwood Corp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5930768A (en) * 1996-02-06 1999-07-27 Supersonic Boom,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user controlled manufacturing
JPH1079189A (ja) * 1996-08-30 1998-03-24 Sony Corp 文字入力システム
US5925843A (en) * 1997-02-12 1999-07-20 Virtual Music Entertainment, Inc. Song identification and synchronization
US5969283A (en) * 1998-06-17 1999-10-19 Looney Productions, Llc Music organizer and entertainment ce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16789A (en) 2004-03-31
CN1232254A (zh) 1999-10-20
JP3796944B2 (ja) 2006-07-12
CN1118799C (zh) 2003-08-20
KR19990072891A (ko) 1999-09-27
SG85619A1 (en) 2002-01-15
JPH11242875A (ja) 1999-09-07
TW432358B (en) 2001-05-01
US6301638B1 (en) 2001-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9596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484838B2 (ja) 記録方法及び再生装置
KR100534051B1 (ko)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JP3915228B2 (ja) 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KR100562182B1 (ko) 기록 매체에 기록된 문자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3036650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H10188452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787912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記録方法
JPH1116249A (ja) 再生装置
JP3716514B2 (ja) 再生システム
JP3591179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H11265566A (ja) 再生装置
JP3570117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H09128868A (ja)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4499497B2 (ja) 再生装置
JPH11317054A (ja) 再生装置
JPH10247357A (ja) 再生装置
JPH10247356A (ja) 再生装置
JP2007095289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H1185094A (ja) 車載用機器
JP2005332577A (ja) 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