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717B1 -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717B1
KR100532717B1 KR10-2003-0021341A KR20030021341A KR100532717B1 KR 100532717 B1 KR100532717 B1 KR 100532717B1 KR 20030021341 A KR20030021341 A KR 20030021341A KR 100532717 B1 KR100532717 B1 KR 10053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nurungji
molding
mold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091A (ko
Inventor
김삼곤
김대구
Original Assignee
김삼곤
김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삼곤, 김대구 filed Critical 김삼곤
Priority to KR10-2003-0021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717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0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fats us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19Shaping of liquid, paste, powder;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e.g. modelling, moulding, calendering
    • A23G3/0025Processes in which the material is shaped at least partially in a mould in the hollows of a surface, a drum, an endless band, or by a drop-by-drop casting or dispensing of the material on a surface, e.g. injection moulding, transfer moulding
    • A23G3/0031Moulds process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8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은, 밥에 식용기름을 혼합하는 단계(100)와; 식용기름이 혼합된 밥을 성형틀의 성형공간에 투입하는 단계(200)와; 상기 성형틀의 성형공간에 성형캡을 가압결합시켜 투입된 밥을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단계(300)와; 성형틀과 성형캡을 가열하는 단계(400)와; 성형캡과 누룽지 과자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500)로 이루어지며, 이를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상면에 다수의 요홈(G)이 구비된 입방체상의 본체(11)와; 각 요홈(G)에 분리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 다수의 컵 모양 성형틀(12)과; 각 성형틀의 성형공간 상단부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는 판상 플렌지(13A)의 상면과 저면에 손잡이(13B)와 성형봉(13C)이 각각 돌출형성된 다수의 성형캡(1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장치는 주원료가 되는 밥에 식용 기름을 첨가함으로써 고소한 맛을 가미해 줄 뿐만 아니라, 가열판의 표면에 달라붙는 제조 공정상의 문제를 해결해주며, 간식거리로써의 일편적인 누룽지모양을 입체적인 모양으로 만듦므로써, 외관상의 흥미로움을 가일층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The method for making scorched rice cake having inner volume, and the apparatus for making it}
본 발명은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내부에 상향 개방된 3차원의 성형공간이 형성된 컵 모양의 성형틀에 식용기름이 첨가된 밥을 투입한 후, 상기 성형공간의 내주면 전체와 일정한 틈새를 형성시키는 외주면을 갖는 성형봉을 상기 성형틀의 성형공간에 넣은 상태에서 가압하여 투입된 밥이 성형공간의 내주면과 성형봉 외주면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도록 하여 그릇 형상으로 밥을 성형하고, 성형틀을 가열함으로써 수납부를 형성하는 내용적을 갖는 그릇 형상의 누룽지 과자를 만듦므로써, 밥에 첨가된 식용기름에 의해 성형틀과 성형봉의 표면에 누룽지 과자의 표면이 눌러붙지 않아 성형틀로부터 누룽지 과자를 분리시 그 성형 형상이 손상되지 않으며, 눙룽지 과자의 수납부에 다양한 소스 등을 채워 필요로 되는 맛을 낼 수 있도록 한,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룽지는 재래식 밥솥에서 밥을 지을 때, 밥솥 밑바닥에 놓인 쌀이나 보리, 콩 같은 것들이 그대로 밑바닥에 눌어붙어 된 것으로서, 가마치 또는 눌은밥이라고도 하며, 오늘날처럼 과자나 빵 등과 같은 간식거리가 그다지 많지 않던 시절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가장 많이 찾았던 간식거리 중의 하나이었고, 밥을 지을 때 사용하는 곡식의 종류에 따라 쌀누룽지, 보리누룽지, 콩누룽지 등으로 나누어 부르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은 누룽지는 고소한 맛을 가지고 있으며, 밥이 과다한 열을 받음으로써 탄화되면서 경화된 것이기 때문에 밥 대신에 허기를 채울 수도 있기 때문에 특히, 활동량이 많은 아이들이 많은 집에서는 아이들의 간식거리로 사용하기 위하여 밥을 지을 때 일부러 밥을 눌려 누룽지를 많이 만들기도 하였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과자, 빵, 사탕 등 다양한 종류의 간식거리가 대량으로 생산판매됨에 따라 누룽지를 찾는 사람들이 별로 없을 뿐 아니라, 밥을 짓는 데에도 예전처럼 재래식 밥솥을 쓰지 않고 누룽지가 만들어지지 않는 전기 밥솥이 주로 사용됨에 따라 누룽지를 눌리는 집도 거의 없고, 요즈음의 아이들은 누룽지에 대하여 잘 알지도 못할 정도가 된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빵이나 과자와 같은 밀가루 음식과 각종 인스턴트 식품에 밀려 그 소비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쌀소비를 촉진하는 동시에 고소하며 건강에도 좋은 누룽지의 전통적인 맛을 살려 현대인들의 미각을 돋우기 위하여 누룽지를 본뜨거나 응용한 여러 가지 누룽지류 과자들이 선을 보이고 있으며, 누룽지만을 전문적으로 만들 수 있는 각종 누룽지 제조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누룽지 제조 장치는 두꺼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상·하부 가열판 사이에 일정량의 밥알을 넣은 후 가압가열하여 판상의 누룽지를 성형하는 방식이나, 이는 가압되는 정도에 따라 누룽지의 두께가 달라지게 될 뿐 아니라 가압된 밥이 전체적으로 고른 열을 받지 못하여 탄화되는 정도가 부분적으로 달라지게 되며, 그 크기와 모양이 일정하지 못하여 외관상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누룽지 제조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하부 가열판에 곡면을 이루도록 성형요홈부를 형성시키고, 이 성형요홈부에 일정량의 밥을 투입한 후 가압가열함으로써, 누룽지의 모양과 두께가 일정하며 다소의 곡면을 갖는 누룽지를 제조하고 있으나, 그 곡률이 매우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단순히 다소 볼록한 거의 2차원적인 평판의 형상으로서 외형적인 특징이 거의 없어 외관으로 먹고싶은 생각을 유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누룽지는 2차원적인 형상을 하기 때문에 적층하거나 표면에 바르는 방법 외에는 다른 종류의 재료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없어 맛의 다양화가 곤란한 문제가 있다.
또한, 밥만을 가열하여 탄화시키는 과정에서 상·하 가열판에 접하는 밥의 탄화정도가 가장 높아 제조된 누룽지를 그 제조 장치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누룽지의 일부가 가열판에 눌어붙어 떨어지지 않게 되어 가열판이 지저분해질 뿐만 아니라, 계속 되는 작업시 가열판에 남아 있던 잔존물이 누룽지의 외면에 붙어 외관 불량을 초래하기도 하며, 누룽지가 가열판에 눌러붙지 않도록 가열판에 기름을 도포하기도 하나 이 또한 작업을 번거롭게 하고, 기름 도포시 주변으로 튀거나 유출되는 기름에 의해 제조 장치가 지저분하게 되어 위생상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누룽지 제조 방법과 장치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누룽지의 주원료인 밥에 적절한 식용기름을 첨가하여 누룽지의 맛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제조 장치로부터 누룽지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수납부가 되는 내용적이 형성되는 3차원 형상으로 누룽지를 만듦으로써 사람들에게 먹고싶다는 생각을 유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수납부에 다양한 종류의 소스 등을 채움으로써 여러가지 맛을 낼 수 있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누룽지 과자 제조전 밥에 첨가되는 식용기름과, 누룽지 과자의 외주면 형상을 결정짓는 성형공간이 구비된 누룽지 과자 제조 장치의 성형틀과 성형캡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은, 누룽지 과자의 제조 원료인 밥에 식용기름을 누룽지 과자의 성형전 첨가함에 특징이 있으며, 성형전에 첨가되는 식용기름의 종류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누룽지 과자의 맛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식용기름에 의해 누룽지 과자를 성형기로부터 분리시 누룽지 과자의 형상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손쉽게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누룽지 과자의 성형전 밥에 첨가되는 식용기름은 다양한 종류의 기름이 사용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참기름, 들기름, 올리브기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원료인 밥에 첨가되는 식용기름의 양은 기름의 종류와 누룽지 과자에 필요로 되는 맛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첨가량이 반드시 제한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밥 100중량부에 대하여 5∼15중량부가 첨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바, 그 첨가량이 5중량부에 미치지 못하면 성형기로부터 누룽지 과자를 분리시 누룽지 과자가 눌어붙는 현상에 의해 외관의 손상 내지는 변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15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사람에 따라 누룽지 과자의 맛이 정도 이상으로 느끼해지고 성형기에 잔류하게 되는 기름의 양이 증가하여 성형기를 계속 닦아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은, 밥에 첨가되는 식용기름에 의해 다양한 맛을 갖게 될 뿐 아니라, 밥이 가압가열에 의해 누룽지 과자로 탄화되는 과정에 성형틀과 성형캡의 표면에 달라붙지 않게 된다.
즉, 누룽지 과자의 원료로서 식용기름이 첨가된 밥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밥이 가압가열되면서 성형틀이나 성형캡의 가열된 표면에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되어 반복되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과정을 통해서도 외관이 깨끗한 누룽지 과자를 제조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식용기름과 함께 다양한 맛을 가미하기 위하여 깨, 땅콩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룽지 과자는, 그릇과 같이 수납부가 되는 내용적을 갖게 됨에 따라 수납부에 소스나 야채 등 다른 식용물을 채울 수 있으며, 따라서 다양한 맛의 누룽지 과자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름이 첨가된 밥으로 제조된 누룽지 과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다.
누룽지 과자의 원료인 밥에 식용기름을 첨가한 후 그릇 또는 손잡이 없는 컵 형상의 성형틀에 형성된 성형공간에 식용기름이 첨가된 밥을 넣고, 성형공간과 동일한 형상을 하나 성형공간 내주면 전체와 일정한 틈새를 형성시키는 외주면을 갖도록 성형캡에 구비된 성형봉을 상기 성형공간에 가압결합시켜 성형공간에 넣어진 밥을 내용적을 갖는 3차원 형상의 그릇 형상으로 성형한다.
밥이 성형틀과 성형캡 사이에서 그릇 형상으로 성형된 후 120℃~150℃의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누룽지 과자가 제조된다.
이때, 상기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 역시 반드시 상기 범위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가열 온도가 120℃에 미치지 못하면 밥의 누룽지화 시간이 길어져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고, 150℃를 초과하게 되면 생상성은 향상되나 누룽지 과자의 표면과 내부의 탄화 정도에 차이가 많이 나게 되어 맛이 불균일해지거나 부분적인 과탄화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평탄한 상면에서 내부측으로 다수의 요홈이 형성된 본체와, 각 요홈에 삽입되며 그릇 또는 컵과 같은 3차원 형상을 함으로써 내주면에 의해 성형공간이 형성되는 성형틀과, 성형틀의 뚜껑 역할하는 플렌지의 저면에 상기 성형틀의 내주면 전체와 일정한 틈새를 형성시키는 성형봉이 돌출형성된 성형캡으로 구성된다.
즉, 성형캡의 플렌지 외주면을 성형틀의 성형공간 상단부 내주면에 밀착시키면 성형봉의 외주면과 성형공간 내주면 사이에는 이격거리가 일정한 틈새가 형성되고, 성형공간 내에 넣어진 밥이 가압에 의해 상기 틈새에 채워짐으로써, 성형봉의 용적과 같은 크기의 내용적을 갖는 동시에 성형틀의 성형공간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3차원 형상의 누룽지 과자가 만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본 발명 내용적을 갖는 일실시예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에 대한 제조 공정 블럭도를, 도 2에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3에 본 발명 일실시예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와 성형틀 및 성형캡의 부분 결합 단면도를, 도 4에 다양한 형상을 하는 누룽지 과자들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주원료인 밥 100중량부와 식용기름 5~1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100)와; 식용기름이 혼합된 밥을 성형틀의 성형공간에 투입하는 단계(200)와; 상기 성형공간의 상단부 내주면에 성형캡의 플렌지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성형틀과 성형캡을 가압결합시켜 성형봉에 의해 성형공간에 투입된 밥이 압착되어 그릇의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단계(300)와; 120℃~150℃의 온도로 성형틀과 성형캡을 가열하는 단계(400)와; 성형틀로부터 성형캡과 누룽지 과자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500)로 이루어진다.
이때, 누룽지 과자의 원료로 사용된 상기 밥을, 쌀이나 보리 또는 콩 분말을 반죽한 곡물반죽으로 대체하거나 함께 혼합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맛의 누룽지 과자를 만들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평탄한 상면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하향 형성된 다수의 요홈(G)이 구비된 입방체상의 본체(11)와;
상기 각 요홈(G)의 내주면에 외주면 전체가 밀착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내주면에 의해 상향 개방된 성형공간(S)이 형성되는 다수의 컵 또는 그릇 형상의 성형틀(12)과;
상기 각 성형틀의 성형공간(S) 상단부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는 판상 플렌지(13A)의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13B)가 돌출형성되고, 그 저면에 상기 성형공간(S)의 내주면 면적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닮은꼴의 외주면 형상을 하는 성형봉(13C)이 돌출형성된 다수의 성형캡(1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와 성형틀은 일체화할 수도 있으며, 본체 없이 성형틀만을 격자상의 결합공이 구비된 프레임 등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본체와 성형틀로 2원화하는 것이 중량과 열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성형틀은 종래 가마솥과 같이 주물을 사용하거나 스테인레스강이 사용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은 철강 재료는 무게가 무거운 단점이 있고, 열전달율이 낮기 때문에 성형틀에 직접 열을 가할 경우 균일하게 탄화된 누룽지 과자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주물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성형틀을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본체에 결합시킴으로써 성형틀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본체와 성형틀의 결합 구조로 하는 것이, 둘을 일체화하거나 프레임 등에 결합된 상태에서 성형틀에 직접 가열하는 경우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성형틀의 성형공간 내주면 상단부는 성형캡의 플렌지 외주면과 밀착되고, 플렌지 외주면과 밀착된 상단부를 제외한 내주면은 성형봉의 외주면과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틈새를 형성하게 되며, 이 틈새는 1∼5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틈새가 1mm에 미치지 못하면 누룽지콘의 분리시 그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 핸들링 과정에서 파손되기 쉽고, 5mm를 초과하게 되면 두꺼워 먹기에 적당치 않을 뿐 아니라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거나 균일하게 탄화된 누룽지 과자를 얻기 어렵게 된다.
이때, 상기 성형틀의 성형공간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형(40), 원통형(40'), 함체형(40") 등 다양한 형상의 누룽지 과자를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누룽지 과자의 외형을 결정하는 성형틀의 성형공간 내주면과 성형캡의 성형봉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턱부(C)를 각각 또는 단독으로 형성시켜 더욱 다양한 형상의 누룽지 과자를 만들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장치는 식용기름이 첨가된 밥이나 곡물반죽을 사용하여 고소한 맛을 가일층 향상시키면서도 제조시 가압되어 3차원 형상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도 원료가 성형틀이나 성형캡에 달라붙지 않는 이점이 있어 외관이 깨끗한 누룽지 과자를 대량생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이 형성되는 3차원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일편적인 누룽지의 모양이 탈피되어 간식거리 이상의 외관상 흥미로움을 부여하여 식욕이 느껴지게 할 수 있으며, 수납부에 여러가지 식용물을 채움으로써 간편하면서도 영양가 있는 간식거리를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의 제조 공정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 누룽지 과자 제조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 누룽지 과자 제조 장치의 부분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한 여러 형상의 누룽지 과자를 보인 것으로,
(가)는 콘형 누룽지 과자의 사시도이고,
(나)는 원통형 누룽지 과자의 사이도이며,
(다)는 함체상 누룽지 과자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본체 12. 성형틀
13. 성형캡 40. 콘형 누룽지 과자
40'. 원통형 누룽지 과자 40". 함체상 누룽지 과자
13A. 플렌지 13B. 손잡이
13C. 성형봉 C. 단턱부
G. 요홈 S. 성형공간

Claims (6)

  1. 원료로서 밥, 쌀반죽, 보리반죽, 콩반죽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 100중량부에 식용기름 5~15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100)와;
    상기 식용기름이 혼합된 원료를 성형틀의 성형공간에 투입하는 단계(200)와;
    상기 성형공간의 상단부 내주면에 성형캡의 플렌지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성형틀과 성형캡을 가압결합시켜 투입된 원료를 수납부가 구비되는 3차원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300)와;
    120℃~150℃의 온도로 성형틀과 성형캡을 가열하는 단계(400)와;
    성형캡으로부터 성형캡과 누룽지 과자를 순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
  2. 평탄한 상면으로부터 내부측으로 하향 형성된 다수의 요홈(G)이 구비된 입방체상의 본체(11)와; 상기 각 요홈(G)의 내주면에 외주면 전체가 밀착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삽입결합되며, 내주면에 의해 상향 개방된 성형공간(S)이 형성되는 다수의 그릇 모양 성형틀(12)과; 각 성형틀의 성형공간(S) 상단부 내주면에 외주면이 밀착되는 판상 플렌지(13A)의 상면 중앙부에 손잡이(13B)가 돌출형성되고, 그 저면에 상기 성형공간(S)의 내주면 면적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닮은꼴의 외주면 형상을 하는 성형봉(13C)이 돌출형성된 다수의 성형캡(1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에 형성된 성형공간(S)의 형상은 콘형, 원통형, 함체형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와 성형틀(12)은 하나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12)의 내주면과 성형캡(13)의 외주면 중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각각 하나 이상의 단턱부(C)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의 성형공간(S) 내주면과 성형캡의 성형봉(13C) 내주면 사이에는 간격 1∼5mm의 틈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장치.
KR10-2003-0021341A 2003-04-04 2003-04-04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KR10053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341A KR100532717B1 (ko) 2003-04-04 2003-04-04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341A KR100532717B1 (ko) 2003-04-04 2003-04-04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091A KR20040087091A (ko) 2004-10-13
KR100532717B1 true KR100532717B1 (ko) 2005-12-01

Family

ID=3736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341A KR100532717B1 (ko) 2003-04-04 2003-04-04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2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42B1 (ko) 2006-12-08 2008-01-10 (주)해밀에프엔씨 피자 도우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96647B1 (ko) 2008-10-27 2010-11-25 강전익 다양한 형태의 조리가 가능한 전기밥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284B1 (ko) * 2006-03-24 2008-09-11 김애란 누룽지 제조기
KR100766261B1 (ko) * 2007-03-12 2007-10-15 정원영 떡그릇밥피자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떡그릇밥피자
KR101055614B1 (ko) * 2011-01-11 2011-08-09 이홍채 속이 빈 초콜렛의 제조키트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102599185B1 (ko) * 2021-01-28 2023-11-07 김평순 두부를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742B1 (ko) 2006-12-08 2008-01-10 (주)해밀에프엔씨 피자 도우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96647B1 (ko) 2008-10-27 2010-11-25 강전익 다양한 형태의 조리가 가능한 전기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091A (ko)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054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thin-walled, hollow pastry articles, particularly waffles of different shapes, and baking mold for carrying out this process
US431396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edible food fillable cones
US3656968A (en) Process for making food sandwich
KR100736013B1 (ko) 누룽지 초코스낵과 누룽지 초코파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378579A (zh) 含浸食品
US20050120891A1 (en) Rectangular cake pan assembly
KR100532717B1 (ko) 내용적을 갖는 누룽지 과자의 제조 방법과 그 장치
WO2014055673A1 (en) Edible, biodegradable food and beverage container
KR101338212B1 (ko) 밥을 이용한 와플 및 그 제조방법
US7638740B1 (en) Bite-sized waffle making assembly and bite-sized waffle produced thereby
CN100515209C (zh) 内包有固体状馅的点心的制造方法
JP6304702B2 (ja) バー・スティックタイプの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08013B1 (ko) 커피빵 및 그 제조방법
CA2829726C (en) Cookie baking set
WO2017189886A1 (en) Scooped out bagel produc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cooped out bagel
US20050242099A1 (en) Dual purpose baking pan
JPS596625B2 (ja) 食品の成型方法
CN219939507U (zh) 一种烘焙食品生产用的加压结构
CN210726520U (zh) 用于制作蛋制品的蛋托
US20100266729A1 (en) Han-burger and making method thereof
JP4314618B2 (ja) 焼菓子カップ生地成型装置及び成型方法
KR101202789B1 (ko) 떡 표면에 문양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103217A (ko) 커피빵 및 그 제조방법
JP3037243U (ja) 冷凍大判焼
JP2003102387A (ja) シュー菓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