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998B1 -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 Google Patents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998B1
KR100526998B1 KR10-2002-0003276A KR20020003276A KR100526998B1 KR 100526998 B1 KR100526998 B1 KR 100526998B1 KR 20020003276 A KR20020003276 A KR 20020003276A KR 100526998 B1 KR100526998 B1 KR 100526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people
extract powder
ginse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3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1111A (ko
Inventor
임대우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대우 filed Critical 임대우
Priority to KR10-2002-0003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998B1/ko
Publication of KR2002003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9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쓴맛이 매우 강하여 복용이 불편하거나 거부감을 가지기 쉬운 홍삼 및 인삼 엑기스의 쓴맛을 차단하여 소비자가 복용하기 편리하도록 상품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방산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 고분자물질,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이용한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 containing red ginseng and ginseng extract powder for bitter taste masking}
본 발명은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심지물질에 지방산에스테르와 셀룰로오스 고분자물질이 3 ∼ 5 : 1로 혼합된 1차 벽재물질을 심지물질에 유동층코팅기를 사용하여 코팅시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한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 함유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차 코팅 위에 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2차 벽재물질로 재차 유동층코팅기를 사용하여 2차 코팅시킨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 함유 마이크로캡슐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예전부터 강장, 강심, 건위, 진정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최고의 건강식품으로 알려진 홍삼 및 인삼 엑기스를 심지물질로 하여 지방산 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 고분자 물질,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벽재로 하여 홍삼 및 인삼 엑기스의 마이크로캡슐화한 건강식품 제조에 관한 것으로, 마이크로캡슐화를 통해 쓴맛을 차단하여 복용시 거부감을 제거하여 일반 소비자가 더욱 복용하기 쉽도록 함으로서 이를 이용한 상품의 가치를 극대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캡슐 심지물질인 홍삼 및 인삼의 효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홍삼 및 인삼은 중추신경계에 양면적 작용(흥분 및 진정)을 미치며 그 효과는 투여용량에 따라 상이하다. 인삼은 항우울, 항불안, 항통증 및 수면안정화 작용이 있다. 또한 인삼은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 영향을 미쳐 중추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인삼은 학습기능 증진과 기억력의 감퇴를 개선시키고, 지적 작업수행 효율을 향상시킨다. 인삼은 기억학습에 관여하는 콜린 신경계와 뇌대사 기능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 기억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처방에 인삼이 중요 활성성분으로 작용하며, 인삼 성분은 기억학습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LTP 형성을 촉진한다. 또한 인삼성분은 배양신경세포의 분화, 성장촉진 등 뇌세포 부활작용이 있다. 홍삼(사포닌)은 뇌허혈에 수반하는 신경세포 손상과 학습 행동 장해의 예방적 효과가 있다.
한편 인삼성분 중에는 암세포의 증식억제 및 형태적으로 정상세포로 유도하는 활성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 항발암 작용과 항암제의 항암 활성 증강 효과가 제시되고 있다. 홍삼 중에는 암세포의 전이와 항암제의 내성형성을 억제하는 활성성분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홍삼특유성분인 G-Rh2는 암세포를 스스로 사멸시키는 이른바 “Apoptosis”를 유발하는 작용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동물실험을 통한 인삼의 항발암 작용이 역학조사에 의해 인삼복용이 암의 1차 예방에 유용성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인삼은 항암제의 부작용인 면역독성을 경감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고려홍삼을 장기간 복용한 환자의 암 발생 억제효과", 제23회 대한암학회 학술대회, 1997).
한편 인삼은 자연살해세포의 활성화 및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홍삼 추출물은 망내계 대식세포 활성화 작용과 항체 생성에 유효한 영향을 미친다. 인삼 중에는 배양임파세포의 유사분열을 촉진 또는 억제하는 성분이 있어 면역조절 작용을 한다. 인삼은 항암제에 의한 저하된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복강암면역에 대한 홍삼의 효과”, 대한면역학회, 1983).
또한 당뇨병 유효 한방제의 구성생약 중 인삼은 중심적 역할을 한다. 인삼은 실험적으로 유발된 고혈당을 저하시키고 당뇨병으로 인한 대사장해를 개선시키는 작용이 있다. 고려인삼은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인슐린 유사작용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인삼은 당뇨병 환자의 자각증상의 개선과 합병증 예방에 유용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수삼, 백삼 및 홍삼수침이 Alloxan 당뇨병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89).
한편 인삼은 단백질 합성 촉진과 당 및 지방대사 촉진작용이 있다. 인삼은 독성물 해독 촉진작용과 간 상해 보호 및 간 재생 회복 촉진작용이 있다. 인삼은 알코올 해독 촉진작용을 가지고 있어 숙취에 효용성이 있다. 인삼은 항간염 활성이 있고 간염치료에 유용성이 있다고 알려졌다 (“2,3,7,8-테트라클로로디벤조-p-디옥신 투여로 급성독성을 유도한 웅성 기니픽에 있어 임상화학지수에 미치는 홍삼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9).
또한 인삼은 혈관확장 작용을 가지고 있어 혈류 순환을 개선시킨다. 홍삼의 사포닌 성분은 동맥경화증 발생 억제와 혈압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혈관의 이완반응의 촉진과 혈관내 피세포의 손상을 방어해 주는 효과가 있다. 인삼은 심근세포 보호작용과 심기능 강화작용을 가지고 있다. 인삼은 혈소판 응집억제 및 PGl2/TXA2의 비율을 조절하는 작용이 있다. 홍삼은 적혈구 변형능의 개선작용을 가지고 있어 말초순환을 개선시킨다. 홍삼(사포닌)은 혈관 평활근세포의 증식 억제작용을 가지고 있다. 홍삼(성분)은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을 가지고 있다(Korea-Japan Ginseng Symp, 1996).
또한 인삼 중에는 혈압반응에 양면적 작용성분이 공존하고 있다. 홍삼 혈압저하 효과는 홍삼사포닌 성분의 혈관이완반응 촉진작용과 관련이 있다. 홍삼은 고혈압 환자의 생활의 질(QOL)을 개선시키며, 강압제와 병용시 보조치료 요법제로서 유용성이 기대되고 있다(M. Yamamoto, Ginseng Review. vol 9, 1990).
홍삼은 미세순환 개선작용에 의한 난소기능 부활 작용이 있다. 홍삼은 여성 갱년기 장해증상의 개선에 효용성이 있다. 홍삼(성분)은 실험적 골다공증 유도동물에 대한 골 형성 및 골의 생역학적 성질 개선에 유용성이 있다("고려홍삼 조사포닌 분획이 노령 암컷 흰쥐의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0). 인삼은 각종 유해한 환경에 대한 신체적 적응능력의 향상과 피로회복을 촉진한다. 인삼은 인체실험을 통해서도 운동 수행능력과 피로회복 촉진효과가 제시되고 있다. 인삼은 더위나 추위 등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효과를 가지고 있다. 인삼은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기능의 저하를 억제한다. 인삼은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하여 항스트레스 효과를 발현한다. 인삼은 사회적·심리적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성 행동장해를 개선시키는 항정신 작용을 가지고 있다("홍삼투여가 최대하 운동시 인체 대사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 1993). 또한 인삼은 소화기능을 항진시키고, 위궤양의 예방과 치유에도 유용성이 있음이 여러 가지 실험적 동물실험 모델에서 제시되고 있다. 홍삼(사포닌 분획)은 스트레스 궤양의 발생을 억제하고, 야기된 위궤양 증상의 치유 과정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인삼(추출물과 성분)은 항염증 활성과 피부각질 연화작용이 있다. 인삼(성분)은 항신염효과를 나타내고 신장기능 장해의 진행을 억제한다. 인삼의 사포닌 성분은 신장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관여하는 유해한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삭제
일반적으로 쓴맛이나 비린내 같은 물질특유의 역한 냄새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감미제와 같은 첨가제 등을 첨가하는 방법, 분무건조법, 유동층건조법 등을 이용한 마이크로캡슐화하는 방법 등 다수가 개시되어 있다(미국특허 제5,728,403호, 제5,156,842호, 제2,081,092호 등).
특히 암 치료제 및 건강식품으로 유명한 상아 연골 분말은 여러 첨가제 등을 첨가한 후 분무건조법을 이용해 비린내 및 역한 냄새를 차단하여 건강식품의 상품성을 극대화한 마이크로캡슐화 제품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9-1030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제약분야에서 보면 쓴맛이 매우 강한 마크롤라이드 계열 항생제를 유드라지트 알(R),이(E)등과 혼합하여 쓴맛을 차폐하여 제형화하는 방법이 미국특허 제5,707,646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코팅물질은 산성, 약산성 조건에서 용해되며 중성, 알카리성에서는 물이 투과되는 성질을 가지므로 이 코팅제품을 물에 혼합했을시 쓴맛이 배어 나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쓴맛 차단 효과가 매우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은 물에 혼합하여 복용시 혼합직후 즉시 복용해야만 쓴맛 차폐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99-86232호 '쓴맛이 은폐된 록시스로마이신 경구용 약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서는 마크롤라이드계 항생제인 록시스로마이신의 쓴맛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지방산 에스테르인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하여 쓴맛을 차폐한 방법이 미국특허 제5,405,61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 제조된 물질은 차폐효과가 매우 낮으며 단지 항히스타민제와 소염진통제, 지사제등에 한정되어 있어 다른 약물에서는 같은 효과를 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방산에스테르, 셀룰로오스 고분자 물질,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등을 이용해 마이크로캡슐화하여 쓴맛이 있는 고형제품을 본래의 제품의 효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소비자가 복용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홍삼 및 인삼 엑기스 건강식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심지물질 60∼95중량%에 지방산에스테르와 셀룰로오스 고분자물질이 3∼5 : 1로 혼합된 1차 벽재물질 3∼20중량%를 심지물질에 유동층코팅기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상기 1차 코팅 위에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2∼20중량%를 2차 벽재물질로 재차 유동층코팅기를 사용하여 2차 코팅시킨 입경 0.05∼3㎜의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 함유 마이크로캡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벽재물질인 지방산에스테르는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베헤네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이레이트, 글리세릴팔미토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칠렌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고분자물질은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저치환도히드록시프로필렌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산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지방산에스테르 대신에 스테아린산, 팔미티산, 쎄토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릴알콜, 세틸알콜중에서 1종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타크릴산 공중합체는 상품명 유드라지트 L-30 D-55, 콜리코트 MAE 30 DP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크릴산-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 함유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음료, 화장품, 제과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테아린산, 스테아릴알콜,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등의 지방산 에스테르류와 셀룰로오스 고분자물질 및 메타크릴산 공중합체(Kollicoat, Eudragit 등) 등의 고분자를 벽재로 하는 캡슐 막의 내부에 내용물로서 홍삼 및 인삼 엑기스로 구성된 마이크로캡슐화 제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습기로 인한 덩어리를 제거하기 위해 일정 체(100∼500㎛)로 거르고 유동층코팅기(Fluidized bed)의 챔버에 넣고 일정온도에서 30분간 건조시킨 후, 일정 코팅용액을 분무하면서 다음의 조건에서 코팅한 후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1시간 동한 건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코팅물질은 식품 혹은 제약급이며 용매로 사용한 에틸알콜은 식품급으로 사용하였다.
코팅시 조건을 살펴 보면, 유입 공기 온도는 55∼60℃이고, 공정 온도는 40∼50℃이며, 유출 공기 온도는 35∼40℃이고, 분무 공기 압력은 1∼2㎏/㎠이며, 코팅용액 분무속도는 2∼5㎖/min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홍삼 엑기스 분말을 마이크로캡슐화 하기 위해, 100∼500㎛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심지물질 500g을 준비하고, 한편으로는 에틸셀룰로오스(전체중량 대비 1%)와 스테아린산(전체중량 대비 4%)의 혼합물을 300㎖의 에틸알콜(식첨용)에 완전히 녹이고, 메타크릴산 공중합체(Kollicoat MAE 30 DP, BASF, 전체중량 대비 5%)를 준비한다.
그런 후 유동층 코팅기(UniGlatt, Glatt, Germany)에 홍삼 엑기스 분말 500g을 넣고 예비건조를 위해, 유입 공기온도 60℃, 유출 공기 온도 40℃, 공정 온도 50℃에서 약 30분간 홍삼 엑기스 분말 예비건조시킨 후, 분무 공기 압력 1㎏/㎠, 코팅용액 분무속도 2∼5㎖/min의 조건에서 에틸셀룰로오스와 스테아린산(4 : 1 중량비)의 혼합용액을 분무 코팅한다.
고분자 2차 코팅을 위해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예비건조를 1시간하고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을 분무 코팅한다. 이렇게 코팅된 마이크로제품을 1시간 정도 더 건조하여 잔류용매를 모두 제거한다.
(실시예 2)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에틸셀룰로오스(전체중량 대비 2%)와 스테아린산(전체중량 대비 8%)의 비율을 전체 중량대비 10%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에틸셀룰로오스(전체중량 대비 0.5%)와 스테아린산(전체중량 대비 2%)의 비율을 전체 중량대비 2.5%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의 비율을 전체 중량대비 2.5%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6)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의 비율을 전체 중량대비 10%로 조정하고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의 비율을 전체 중량대비 10%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의 비율을 전체 중량대비 2.5%로 조정하고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의 비율을 전체 중량대비 2.5%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스테아린산 대신에 스테아릴알콜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스테아린산 대신에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 대신에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Eudragit L-30 D-55, Rohm)으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8에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 대신에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Eudragit L-30 D-55, Rohm)으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9에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 대신에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Eudragit L-30 D-55, Rohm)으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코팅물질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을 사용하지 않고 에틸셀룰로오스(전체중량 대비 2%)와 스테아린산(전체중량 대비 8%)만을 코팅물질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3에서 스테아린산 대신에 스테아릴알콜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5)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3에서 스테아린산 대신에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16)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 대신에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Eudragit L-30 D-55, Rohm)으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약간의 갈색을 띤 분말을 90% 이상의 높은 수율로 모두 얻었으나 제조공정상과 시간상으로 보면 지방산 에스테르를 적게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나 입자조절을 위해서 어느 정도 사용하는 것이 수월하였다.
(비교실시예 1)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코팅물질로 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을 사용하지 않고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 전체 중량대비 10%)만을 코팅물질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2)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코팅물질로 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을 사용하지 않고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 전체 중량대비 8%)만을 코팅물질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실시예 3)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
실시예 1에서 코팅물질로 에틸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 혼합물질 대신에 스테아린산만(5%)을 사용하여 코팅물질로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홍삼 마이크로캡슐을 쓴맛 차폐효과를 검사하기 위해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관능시험을 행하였다.
관능시험표
구분 쓴맛을 느낌 쓴맛이 약간느낌 쓴맛이 없음 모르겠음
실시예 1 0 명 0 명 20 명 0 명
실시예 2 0 명 0 명 20 명 0 명
실시예 3 0 명 2 명 17 명 1 명
실시예 4 0 명 5 명 14 명 1 명
실시예 5 0 명 4 명 15 명 1 명
실시예 6 0 명 0 명 20 명 0 명
실시예 7 0 명 3 명 15 명 2 명
실시예 8 0 명 1 명 18 명 1 명
실시예 9 0 명 1 명 18 명 1 명
실시예 10 0 명 0 명 19 명 1 명
실시예 11 0 명 1 명 18 명 1 명
실시예 12 0 명 0 명 18 명 2 명
실시예 13 0 명 4 명 15 명 1 명
실시예 14 1 명 3 명 15 명 1 명
실시예 15 0 명 5 명 13 명 2 명
실시예 16 0 명 2 명 17 명 1 명
비교실시예 1 2 명 3 명 14 명 1 명
비교실시예 2 2 명 4 명 13 명 1 명
비교실시예 3 1 명 3 명 15 명 1 명
상기의 평가결과와 같이 쓴맛의 모든 실시예 1, 2, 6, 8, 9, 10, 11, 12등은 차폐효과가 우수했지만 공정과정이나 단가면도 고려할 때 실시예 1의 에틸 셀룰로오스(전체중량 대비 1%)와 스테아린산(전체중량 대비 4%)의 혼합비율 및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고분자 용액(Kollicoat MAE 30 DP, BASF, 전체중량 대비 5%)으로 벽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 4의 경우 2차 코팅을 실시하지 않고 1차 코팅만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으나 비교실시예에 비해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1차 코팅만으로도 충분한 정도의 쓴맛 차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7) 용출시험
상기의 실시예에서 만들어진 홍삼 마이크로캡슐을 사포닌의 용출시험을 통해 용출량을 분석하였다. 실험방법은 대한약전의 용출시험법으로 용출된 사포닌 물질을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법으로 용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용출 시험 결과
구분 용출량 (%)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홍삼 엑기스 100 100 100 100
실시예 1 42 73 94 99
실시예 2 32 62 82 96
실시예 3 45 77 97 99
실시예 4 50 73 93 99
실시예 5 44 79 95 99
실시예 6 30 61 81 93
실시예 7 50 80 98 99
실시예 8 40 71 93 99
실시예 9 41 73 93 99
실시예 10 41 72 94 99
실시예 11 40 70 93 99
실시예 12 39 73 94 99
실시예 13 38 69 88 96
실시예 14 37 68 86 96
실시예 15 38 69 86 95
실시예 16 39 70 88 98
비교실시예 1 34 72 87 97
비교실시예 2 38 73 90 98
비교실시예 3 42 76 91 98
상기의 결과로서 마이크로캡슐화한 홍삼 엑기스의 용출률은 사용되어진 막의 종류나 두께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으나 위에서 제시한바와 같이 여러 조건을 감안할 때 실시예 1의 조건이 가장 바람직한 홍삼 엑기스 분말의 마이크로캡슐화하는 방법이다. 또한 비교실시예에 나타난 마이크로캡슐의 경우 실시예에 비해 특별한 용출률의 차이는 없었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른 어떤 감미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홍삼 혹은 인삼 특유의 쓴맛을 완전히 차단하여 복용하기에 불편하거나 거부감을 제거한 홍삼 및 인삼 엑기스 건강식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소량의 유기 용매의 사용과 제조공정이 비교적 간단하여 다양한 고체 심물질 마이크로캡슐화가 가능하고 장용성 코팅 물질의 사용으로 장내에서의 신속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기존 홍삼 및 인삼 엑기스 제품의 경우 특유의 쓴맛 및 습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거의 그 자체로의 건강식품으로만 개발되어 왔으나, 본 발명으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건강식품 외에 일반 음료 제품이나 제과, 화장품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5)

  1.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심지물질 60~95중량%에
    스테아릴스테아레이트의 지방산에스테르와 에틸셀룰로오스의 셀룰로오스 고분자물질이 3~5:1로 혼합된 1차 벽재물질 3~20중량%를 심지물에 유동층코팅기를 사용하여 코팅하고,
    상기 1차 코팅 위에 유드라지트 L30 D-55, 콜리코트 MAE 30 DP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2~20중량%를 2차 벽재물질로 재차 유동층코팅기를 사용하여 2차 코팅시킨 입경 0.05~3mm의 홍삼 또는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03276A 2002-01-21 2002-01-21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KR100526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76A KR100526998B1 (ko) 2002-01-21 2002-01-21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3276A KR100526998B1 (ko) 2002-01-21 2002-01-21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111A KR20020031111A (ko) 2002-04-26
KR100526998B1 true KR100526998B1 (ko) 2005-11-08

Family

ID=1971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3276A KR100526998B1 (ko) 2002-01-21 2002-01-21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62A (ko) 2014-03-28 2015-10-07 증평삼가공명품화사업단 키토산과 젤라틴을 이용한 쓴맛이 감소된 홍삼 추출물 함유 나노캡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719B1 (ko) * 2002-02-04 2005-01-17 주식회사 일화 홍삼 또는 인삼정분을 함유하는 구형의 미세캡슐 제조방법
KR20030081928A (ko) * 2002-04-15 2003-10-22 이규환 홍삼을 주원료로 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건강보조식품
KR100809920B1 (ko) * 2006-09-22 2008-03-06 다윈이십일주식회사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인삼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KR101351680B1 (ko) * 2007-03-22 2014-01-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이크로 캡슐,그 제조방법 및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기능성 조성물
WO2012112116A1 (en) * 2011-02-16 2012-08-23 Wellbemed Sweden Ab Foodstuff comprising an extract mix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196A (ko) * 1992-04-17 1993-11-22 김종국 우황청심 마이크로캅셀 및 그 제조방법
JPH06321793A (ja) * 1993-05-10 1994-11-22 Taihoudou Yakuhin Kogyo Kk 胃腸薬
JPH09103275A (ja) * 1995-10-09 1997-04-22 Riken Vitamin Co Ltd 生薬エキス配合マイクロカプセルを含有する錠菓
WO1999052510A1 (en) * 1998-04-09 1999-10-21 Eurand International S.P.A. Wettable microcapsules having hydrophobic polymer coated cores
KR19990086232A (ko) * 1998-05-26 1999-12-15 신재형 쓴맛이 은폐된 록시스로마이신 경구용 약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1196A (ko) * 1992-04-17 1993-11-22 김종국 우황청심 마이크로캅셀 및 그 제조방법
JPH06321793A (ja) * 1993-05-10 1994-11-22 Taihoudou Yakuhin Kogyo Kk 胃腸薬
JPH09103275A (ja) * 1995-10-09 1997-04-22 Riken Vitamin Co Ltd 生薬エキス配合マイクロカプセルを含有する錠菓
WO1999052510A1 (en) * 1998-04-09 1999-10-21 Eurand International S.P.A. Wettable microcapsules having hydrophobic polymer coated cores
KR19990086232A (ko) * 1998-05-26 1999-12-15 신재형 쓴맛이 은폐된 록시스로마이신 경구용 약물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562A (ko) 2014-03-28 2015-10-07 증평삼가공명품화사업단 키토산과 젤라틴을 이용한 쓴맛이 감소된 홍삼 추출물 함유 나노캡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111A (ko) 200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70545A1 (en) Oral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of the colon
JP2013526487A (ja) リンゴの皮由来のフェノール組成物およびその使用
US20180280463A1 (en) Process to enhance the bioactivity of ashwagandha extracts
KR20190135497A (ko) 시나라 카르둔큘러스 및 시트러스 아우란티움 베르가미아의 추출물, 이들의 조합물, 및 이들을 함유하는 제제
RU2521250C2 (ru)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липофильный экстракт zingiber officinale и экстракт cynara scolymus, которые используются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и лечения гастроэзофагеального рефлюкса и синдрома воспаленной кишки
Zakynthinos et al. Hippophae rhamnoides: safety and nutrition
KR102231129B1 (ko) 수면 장애 치료용 발레리안 뿌리 추출물 및 라벤더 오일의 조합물
US9987323B2 (en) Process to enhance the bioactivity of Ashwagandha extracts
CN101199347A (zh) 一种排铅保健品及其制备方法
JP2007277128A (ja) 生活習慣病の予防・改善方法及び予防・改善剤
US20200188468A1 (en) A coated costus composition enriched with triterpenoids and a method of preparation of the same
KR100526998B1 (ko) 홍삼 및 인삼 엑기스 분말을 함유한 마이크로캡슐
CN106349318B (zh) 一种五环三萜化合物在制备治疗肥胖症药物中的应用
JP3204348B2 (ja) 動脈硬化抑制剤及びこれを含む食品又は医薬
CN107789562A (zh) 一种药食同源的组合物在制备改善睡眠障碍或改善记忆功能减退药物或保健食品中的应用
CN109549206A (zh) 一种溶栓及预防心血管疾病的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CN107692087A (zh) 一种辅助降压的海参肠保健食品
JP3142192B2 (ja) 血中脂質改善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WO2021168044A1 (en) Composition and method to enhance cognitive support and brain health
RU2436415C2 (ru) Композиция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на основе бетулина с регулируемой скоростью высвобожде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для снижения степени алкогольного опьянени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 снятия алкогольной интоксикации и похмельного синдрома
CN110368456A (zh) 一种有助于改善睡眠的竹叶黄酮组合物
CN105246472B (zh) 含有鸟氨酸和/或门冬氨酸的组合物及其应用
US20230233642A1 (en) Process to enhance the bioactivity of ashwagandha extracts
KR20130139676A (ko) 클로로겐산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정, 수면 및 항경련용 약학적 조성물
EP300602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nxiety containing l-theanine and baical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