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155B1 - 터치패널의도트스페이서용감광성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터치패널의도트스페이서용감광성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155B1
KR100525155B1 KR1019980002127A KR19980002127A KR100525155B1 KR 100525155 B1 KR100525155 B1 KR 100525155B1 KR 1019980002127 A KR1019980002127 A KR 1019980002127A KR 19980002127 A KR19980002127 A KR 19980002127A KR 100525155 B1 KR100525155 B1 KR 10052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resin
compound
resin composition
acid
unsatu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302A (ko
Inventor
노태환
임대우
김순식
박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 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 한
Priority to KR101998000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155B1/ko
Publication of KR19990066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1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3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03F7/029Inorganic compounds; Onium compounds; Organic compounds having hetero atoms other than oxygen, nitrogen or sulf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3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 G03F7/0388Macromolecular compounds which are rendered insoluble or differentially wettable with ethylenic or acetylenic bands in the side chains of the photopolym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TOUCH PANEL)의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 제조에 유용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비해 감도가 우수하고 현상후 패턴이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불포화 유기산 에스테르와 불포화 유기산 및 수산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을 공중합시켜 제조한 공중합물을 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하나 이상 및 하이드록시기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불포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제조한 감광성 수지에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다관능성 티올계 화합물, 광중합개시제 및 증감제 및 기타첨가제와 용제로 구성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 터치패널의 도트 스페이서 제조에 사용할 때 감도가 우수하고 현상후 패턴이 양호한 등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의 도트스페이서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FOR TOUCH PANEL SPACER DOTS}
본 발명은 터치패널(TOUCH PANEL)의 도트스페이서(DOT SPACER) 형성에 유용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의 도트스페이서의 제조공법은 투명 기판위에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스핀코팅, 롤코팅 또는 스크린 인쇄에 의한 코팅공정, 코팅막의 휘발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하는 공정, 소정의 패턴을 가진 마스크를 개재하고 노광하는 공정, 비노광부를 알카리 수용액에서 용해시켜 원하는 패턴을 얻기 위해 현상하는 공정, 잔존 알카리분을 제거하기 위해 순수로 세정하는 공정 및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공정에 사용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성능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감도나 현상후 패턴에 있어서 만족스런운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중 바인더 수지에 직접 광개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반응기를 도입하여 감도, 현상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고 패턴모양이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인더 수지의 측쇄에 감광기(불포화기)를 가지는 감광성 수지를 합성하고, 이에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다관능성 티올계 화합물, 광중합 개시제 및 증감제, 열중합 금지제, 접착성 향상제, 유기용제 등을 함유시킨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는 하기식 1로 표시되는 불포화 유기산 에스테르 30∼85몰%, 하기식 2로 표시되는 불포화 유기산 10∼40몰% 및 하기식 3으로 표시되는 수산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5∼30몰%를 공중합하여 1차 반응물을 얻고, 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기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불포화 화합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2차 반응물을 얻은 후, 다시 1차 반응물과 2차 반응물을 반응시켜 제조하는데, 이렇게 하여 측쇄에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가 얻어진다.
여기서, R1 는 H, CH3 이며, n은 2,3,4 이며,
R2 는 C1-C5인 알킬, 페닐, 벤질, 또는 Br, 혹은 Cl이 치환된 벤질이다.
상기에서 화학식 2의 불포화 유기산으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며, 이들 외에 밀착성, 가소성 등의 물성 향상을 위해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아크릴로일옥시에틸모노프탈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모노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히드로겐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히드로겐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겐프탈레이트 및 2-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테트라히드로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불포화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미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메틸아미노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탄소수가 1 이상인 지방족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방향족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사용 가능하다. 방향족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페닐 아크릴레이트, 2 또는 4-클로로페닐아크릴레이트, 2 또는 4-니트로페닐아크릴레이트, 2 또는 4-디메틸아미노페닐아크릴레이트, 벤질아크릴레이트, 2 또는 4-클로로벤질아크릴레이트, 2 또는 4-니트로벤질아크릴레이트, 2 또는 4-디메틸아미노벤질아크릴레이트 등이 있고, 방향족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는 페닐메타크릴레이트, 2 또는 4-2클로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2 또는 4-니트로페닐메타크릴레이트, 2 또는 4-디메틸아미노페닐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2 또는 4-니트로벤질메타크릴레이트, 2 또는 4-디메틸아미노벤질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수산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로서는,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와 같이 1차 반응물 제조에 사용되는 상기 화합물들의 바람직한 단량체의 조성비는 불포화 유기산 에스테르 30∼85몰 %, 불포화 유기산 10∼40몰 % 및 수산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을 5∼30몰 %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 2차 반응물 제조시 사용되는 둘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로서는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고급 다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한다. 그리고, 하이드록시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화합물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디(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2-히드록시프로필프탈레이트, 2-히드록시-3-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신나밀알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아크릴아미도글리콜릭산, 2-시아노-4'-히드록시신나믹산, p-히드록시신나모니트릴, p-히드록시벤질리덴 말로노니트릴, p-히드록시신나믹산, 2-히드록시신나믹산, 3-히드록시신나믹산, 3-히드록시-4-메톡시신나믹산, trans-4-히드록시-3-메톡시신나믹산 중에서 일성분을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2차 반응물 제조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히드록시기를 반응시킬 때 20℃에서 110℃ 범위내의 온도에서 무촉매 또는 다음과 같은 촉매를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화합물로서는 스태너스옥토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릴 메르캅티드, 디부틸틴 말레에이트, 디부틸틴 디-(2-에틸헥소에이트), 스태닉 클로라이드, 디부틸틴 디부톡사이드, 디부틸틴 비스-(o-페닐페네이트), 디-(2-에틸헥실)틴 옥사이드, 디부틸틴 디이소옥틸말레에이트, 디부틸틴 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부틸틴 트리클로라이드, 디벤질틴 디-(2-에틸헥소에이트), 트리부틸틴 시아네이트, 테트라-n-부틸틴, 트리-n-부틸틴 아세테이트, n-부틸틴 트리클로라이드, 트리메틸틴 하이드록사이드, 디메틸틴 디클로라이드, 디-n-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를 5∼150 중량부 첨가하고, 다관능성 티올계 화합물은 0.01∼50 중량부까지 첨가할 수 있으며, 여기에 광중합개시제 및 증감제를 0.1∼50 중량부까지 첨가하고, 접착성 향상제, 열중합금지제와 유기용제를 적량 혼합하여 제조한다.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로는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아크릴레이트, 솔비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솔비톨펜타크릴레이트, 솔비톨헥사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렌 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드,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디메타크릴레이트, 솔비톨트리메타크릴레이트, 솔비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시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단량체; 또는 올리고 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올리고머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형태를 사용하며, 이들 단량체 이외에 이량체 및 삼량체와 같은 프리폴리머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관능성 티올계 화합물을 이용하여 고감도를 실현하고 있는데, 즉 티올계 화합물을 이용한 광경화수지 조성물은 일반적인 방향족 케톤이나 기타 여러 다른 종류의 라디칼 광개시제를 이용하여도 경화시 산소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매우 우수한 물성의 감광성 포토레지스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성 티올 화합물로서는 글리콜 디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알릴머캅탄, 에틸렌글리콜 디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티오시아누릭 애시드(1,3,5-트리아진-2,4,6-트리티올), 3-디티오페닐 에테르, 1,3-디메티오메틸벤젠,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 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1,4-부탄디티올, 1,5-펜탄디티올, 1,6-펜탄디티올, 테트라 메틸렌글리콜-비스-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1,6-헥실디올-비스-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비스 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 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비스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스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솔비톨 트리스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솔비톨 테트라키스 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솔비톨 헥사키스 머캅토 프로피오네이트, 디티오에틸 테레프탈레이트, 1,6-헥산디올 디티오에틸에테르, 1,5-펜탄디올 디티오에틸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β-티오에틸에테르) 등이 있다. 상기 티올계 화합물의 가교기구로는 노광받은 부분에서의 다관능성 폴티올과 폴리엔 화합물이 반응하여 선형 및 입체형 망목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패턴 형성을 얻을 수 있는데, 이 가교기구는 산소에 의한 광개시 속도의 감소가 없어 공기중에서 보호막(산호차단막) 없이도 고감도를 실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중합 개시제 및 증감제로는 벤조페논계, 아세토페논계, 티오크산톤계 등의 화합물들을 하나이상 혼합 사용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벤질, 벤조인, 벤조일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4,4-디메톡시벤질(p-아니실), 1,4-디벤조일벤젠, 4-벤조일비페닐, 2-벤조일나프탈렌,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질디메틸케탈, 벤질디에틸케탈, 벤질디메톡시에틸케탈,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리오페논, p-t-부틸트리클로로아세토페논, p-t-부틸디클로로아세토페논, 벤조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α,α-디메톡시-α-하이드록시 아세토페논, 1-(4-이소프로필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올리고[2-하이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파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4,4'-디클로로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3,3'-디메틸-2메톡시벤조페논, 4-벤조일-4' 메틸페닐, 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티오크산톤, 2-이소부틸티오크산톤, 2-도데실티오크산톤, 2,4-디메틸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에틸안트라퀴논, 2-프로필안트라퀴논, 2,2-디클로로-4-페녹시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포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폴리노페닐)-부탄-1-온,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상이소아밀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이소펜틸에스테르, o-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에스테르, p-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4,4-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9-플로오레논, 2-클로로-9-플루오레논, 2-메틸-9-플루오레논, 9-안트론, 2-브로모-9-안트론, 2-에틸-9-안트론, 9,10-안트라퀴논, 2-에틸9,10-안트라퀴논, 2-t-부틸-9,10-안트라퀴논, 2,6-디클로로-9,10-안트라퀴논, 크산톤, 2-메틸-크산톤, 2-메톡시크산톤, 디벤즈알락톤, p-(디메틸아미노)페닐스티릴케톤, p-(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벤즈안트론, 벤조티아졸 화합물,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2'-비스(o-클로로페닐)-4,5,4',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2,2'-비스(o-클로로페닐)-4,5,4',5'-테트라키스(3,4,5-트리메톡시페닐)-1,2'-비이미다졸 등이 있다. 또한, 증감제로서 포스핀 및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을 소량 첨가함으로서 광중합 속도를 빠르게 할 수도 있다.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트리-o-톨릴포스핀, 트리-m-톨릴포스핀, 트리-p-톨릴포스핀, 트리톨릴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상기 화합물들은 특히 경화된 수지의 기계적 물성 향상에 크게 영향을 주는데 즉, 경화된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상당히 높여줄 뿐만 아니라, 산소의 광중합 억제 효과를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산발생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의 예로는 오늄염, 트리아진계 유도체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안료 분산물이 첨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포토리소그라피 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프린트 배선기판가공 및 터치 패널의 도트스페이서 제조에 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또한 이 감광액에 안료, 고분자분산제, 안료유도체 분산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레벨링제, 슬립제, 유기용제 등이 함유되어 있는 안료분산 조성물을 적당량으로 혼합 사용하면 칼라필터 제조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기판 위에 스미크론에서 수십미크론 까지의 막 두께로 도포시키기 위해 용제로 희석하여 사용한다. 용제로서는 시클로헥사논,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에톡시프로피오네이트, 크실렌, 에틸셀로솔브,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프로피오네이트, 메틸-3-메톡시 프로피오네이트, 2-헵타논,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외에, 저장 안정성을 위해 중합 금지제로서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등을 조금 가하거나, 접착성 향상제로서 벤즈이미다졸, 2-머캅토 벤즈이미다졸, 벤즈티아졸, 2-머캅토 벤즈티아졸, 벤조옥사졸, 2-머캅토 벤조옥사졸, 벤즈트리아졸이나 각종의 실란커플링제로서 γ-글리시독시피로필트리메톡시실란, β-(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피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피로필트리에톡시실란, 비스-(γ-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아민, γ-머캅토피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메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트리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이소시아누레이트, 옥틸트리에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우레이도프로필트리알콕시실란, γ-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 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소량 첨가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은 접착성 향상제를 사용할때의 효과로서는 코팅, 건조, 노광, 현상공정을 거친후 200℃ 내외의 고온의 열경화를 생략하여도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터치패널의 도트스페이서용으로 적합한데 즉, 본 발명에 따른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유리기판위에 스핀 코팅, 롤 코팅 등의 도포방법에 의해 도포하며, 건조된 막은 소정의 패턴을 갖는 네가지 마스크를 접촉 또는 비접촉을 통하여 자외선 노광을 행한다. 이후 알칼리 현상액에 침적 또는 스프레이에 의한 분무로 미경화부를 제거하는 포토리소그라피공정을 행한다. 또한, 감광성 수지의 중합을 촉진하기 위해 가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는 본 발명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지만, 이들로 부터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하기 표 1에 나타낸 단량체(1),(2),(3),(4)를 표 1에서와 같은 몰비로 시클로헥사논을 용매로 하고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을 개시제로 하여 90℃에서 5시간 반응시켜 1차 반응물을 합성한다. 두 번째 반응으로서 표 2에서와 같이 40℃에서 스태너스옥토에이트 0.1몰 % 첨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하이드록시기를 합성반응시켜 2차 반응물을 얻는다. 세 번째 반응으로서 1차 반응물과 2차 반응물을 90℃에서 스태너스옥토에이트 0.5몰 % 첨가하여 반응시켜 표 3에서와 같은 감광성 수지를 얻었다. 이 수지를 이용하여 감광액[실시예 1∼4] 표 4와 같이 조액하였다. 그리고,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총고형분이 10∼50중량 %가 되도록 유기용제를 가하여 소정의 기판 위에 스핀 코팅 또는 롤 코팅으로 수에서 수십미크론 까지의 두께를 가지는 막을 형성시키고 건조한 후 마스크를 통하여 포토리소그라피법으로 원하는 패턴을 형성시키고 각종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 지(1) 수 지(2) 수 지(4)
단량체(1) 벤질메타크릴레이트70 벤질아크릴레이트50 메틸메타크릴레이트50
단량체(2) 이타콘산5 메타크릴산10 아크릴산20
단량체(3)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5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10 2-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테트라히드로겐프탈레이트20
단량체(4)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0 히드록시부틸메타크릴레이트30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10
합성물(1) 합성물(2) 합성물(4)
이소시아네이트계화합물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시계불포화화합물 아크릴아미도글리콜릭산 신나밀알콜 2-시아노-4'-히드록시신나믹산
감광성수지(1) 감광성수지(2) 감광성수지(4)
1차 반응물 수지(1) 수지(2) 수지(4)
2차 반응물 합성물(1) 합성물(2) 합성물(4)
감광성수지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4
감광성수지(1) 감광성수지(2) 감광성수지(4)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P-(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2,4-디에틸티오산톤 트리-o-톨릴포스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히드로퀴논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36.00--5.001.005.003.990.500.500.0148.00 -25.00-13.003.005.003.992.000.100.0148.00 --20.006.0015.001.997.003.001.000.1046.00
[비교실시예 1]벤질메타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산 공중합수지(73:27몰비)에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크릴레이트, 4-p-N,N-디(클로로에틸)페닐-2,6-디(디클로로메틸)-s-트리아진,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및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를 혼합하는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얻고 각종 물성을 평가하였다.
상기의 실시예와 비교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내열성, 분광특성, 해상도, 수분, 저항성, 저장안정성, 감광도, 내약품성, 접착성, 열수축율, 균일도포성 등의 평가를 행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종래의 수지 조성물에 비해 전반적으로 거의 모든 물성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고감도의 감광성 수지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감도 면에서도 최소한 기존의 감도 보다 최소 4배에서 최대 10배 까지 우수한 감도를 가지는데, 이는 수지 자체에 불포화기를 도입하고 또한 산소방해 효과가 전혀 없는 고감도의 경화계를 채용하였기 때문이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의 불포화 유기산 에스테르 30∼85몰%와 불포화 유기산 10∼40몰% 및 하기 화학식 3의 수산기 함유 불포화 화합물 5∼30몰%를 공중합하여 1차 반응물을 얻고, 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 하나 이상 및 하이드록시기를 하나 이상 함유하는 불포화 화합물을 반응시켜 2차 반응물을 얻은 후, 상기 1차 화합물과 2차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한 감광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 5∼150중량부, 다관능성 티올계 화합물 0.01∼50중량부, 광중합개시제 및 증감제 0.1∼50중량부 및 기타 첨가제와 유기용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도트스페이서 제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화학식 3]
    여기서, R1 는 H, CH3 이며, n은 2,3,4 이며,
    R2 는 C1∼C5의 알킬, 페닐, 벤질, 또는 Br 또는 Cl이 치환된 벤질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성 수지가 상기 1차 화합물과 2차 화합물을 90∼110℃ 범위에서 반응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패널의 도트스페이서 제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이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첨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고급 다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패널의 도트스페이서 제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유기산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아크릴로일옥시에틸석신산,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헥사히드로프탈산, 아크릴로일옥시에틸모노프탈레이트, 아크릴로일옥시에틸모노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히드로겐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히드로겐프탈레이트, 2-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헥사히드로겐프탈레이트 및 2-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테트라히드로겐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터치패널의 도트스페이서 제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9980002127A 1998-01-23 1998-01-23 터치패널의도트스페이서용감광성수지조성물 KR100525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127A KR100525155B1 (ko) 1998-01-23 1998-01-23 터치패널의도트스페이서용감광성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127A KR100525155B1 (ko) 1998-01-23 1998-01-23 터치패널의도트스페이서용감광성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302A KR19990066302A (ko) 1999-08-16
KR100525155B1 true KR100525155B1 (ko) 2006-01-27

Family

ID=3717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127A KR100525155B1 (ko) 1998-01-23 1998-01-23 터치패널의도트스페이서용감광성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1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309B1 (ko) * 2001-03-31 2004-12-23 주식회사 아담스테크놀로지 액정표시소자 컬럼 스페이서용 레지스트 조성물
KR100583094B1 (ko) * 2003-06-27 2006-05-2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US9023424B2 (en) 2006-06-30 2015-05-05 Tokuyama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hotochromic optical articles
KR102656174B1 (ko) * 2019-03-15 2024-04-0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광경화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5558458A (zh) * 2022-03-15 2023-01-03 中国科学院福建物质结构研究所 一种丙烯酸酯光学胶及其制备方法、oca光学胶膜及其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570A (ko) * 1986-11-03 1988-07-23 원본미기재 폴리비닐 아세탈 경합제를 함유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 사진부재
KR910001463A (ko) * 1989-06-16 1991-01-30 베르너 발데크 감광성 내식막 조성물
JPH0764281A (ja) * 1993-08-30 1995-03-10 Nippon Steel Corp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画像形成材料
JPH08211220A (ja) * 1994-06-17 1996-08-20 Cheil Synthetics Inc 液晶ディスプレーカラーフィルター用黄色レジスト組成物
JPH0980225A (ja) * 1995-01-20 1997-03-28 Zeiru Synthetics Inc 液晶ディスプレーカラーフィルター用顔料分散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KR19980068288A (ko) * 1997-02-17 1998-10-15 한형수 불포화기와 감광기를 동시에 함유하는 감광성수지조성물 및 착색조성물
KR19990015097A (ko) * 1997-08-01 1999-03-05 한형수 광개시제 성분을 측쇄에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6570A (ko) * 1986-11-03 1988-07-23 원본미기재 폴리비닐 아세탈 경합제를 함유하는 감광성 조성물 및 이 조성물로 이루어진 사진부재
KR910001463A (ko) * 1989-06-16 1991-01-30 베르너 발데크 감광성 내식막 조성물
JPH0764281A (ja) * 1993-08-30 1995-03-10 Nippon Steel Corp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並びに画像形成材料
JPH08211220A (ja) * 1994-06-17 1996-08-20 Cheil Synthetics Inc 液晶ディスプレーカラーフィルター用黄色レジスト組成物
JPH0980225A (ja) * 1995-01-20 1997-03-28 Zeiru Synthetics Inc 液晶ディスプレーカラーフィルター用顔料分散フォトレジスト組成物
KR19980068288A (ko) * 1997-02-17 1998-10-15 한형수 불포화기와 감광기를 동시에 함유하는 감광성수지조성물 및 착색조성물
KR19990015097A (ko) * 1997-08-01 1999-03-05 한형수 광개시제 성분을 측쇄에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302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4312B1 (ko) 저온 경화 가능한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5266760B2 (ja) 含フッ素重合体、ネガ型感光性組成物及び隔壁
EP3054350B1 (en) Liquid solder resist composition and coated printed wiring board
JP5685803B2 (ja)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ーとその製造法
US6558858B2 (en)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olor filter
US9217920B2 (en) Photocurable compositions
JP4766235B2 (ja)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ー
JP4888640B2 (ja)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ー
JP6385852B2 (ja) 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膜の製造方法、硬化膜、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装置
JP2008250295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感光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525155B1 (ko) 터치패널의도트스페이서용감광성수지조성물
JP4706847B2 (ja) 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ー
JP2007056221A (ja) 重合体、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ー
WO2014025498A1 (en) Photocurable compositions
CN110389498B (zh) 光固化树脂组合物、滤光片和光刻胶
KR20160057931A (ko) 신규한 음성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JP4811584B2 (ja) 側鎖不飽和重合体、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ー
KR19990015097A (ko) 광개시제 성분을 측쇄에 함유하는 감광성 수지조성물
EP0232545A2 (en) Photocurable composition and cured article
JP5181491B2 (ja) 側鎖不飽和重合体、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および液晶表示素子用スペーサー
KR101406298B1 (ko) 고내열성 네거티브 레지스트 조성물
KR19980068288A (ko) 불포화기와 감광기를 동시에 함유하는 감광성수지조성물 및 착색조성물
KR101401763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KR102046421B1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경화성 패턴
KR20150010445A (ko) 투명화소 형성용 감광성 수지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