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4647B1 -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4647B1
KR100524647B1 KR10-2002-0017172A KR20020017172A KR100524647B1 KR 100524647 B1 KR100524647 B1 KR 100524647B1 KR 20020017172 A KR20020017172 A KR 20020017172A KR 100524647 B1 KR100524647 B1 KR 100524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organisms
culture tank
gas
odor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262A (ko
Inventor
허봉길
Original Assignee
보성환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성환경산업(주) filed Critical 보성환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02-001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64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양조에서 미생물을 자체 번식시켜 처리부재에 공급함과 동시에 처리부재에 미생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악취가스가 용해되어 배양조로 낙하됨에 따라 높은 효율로 악취가스나 VOC를 제거함과 동시에 처리부재의 교환 없이도 지속적인 가스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Removal device and method for bad smell using biofilter}
본 발명은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물 처리장이나 분뇨처리장, 오폐수처리장 또는 각종공장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물질이나 악취가스를 바이오필터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경제발전과 산업화로 인해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기오염물질의 종류도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분뇨처리장, 오폐수처리장 및 각종공장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에는 황화수소(H2S), 머캅탄(R-SH), 암모니아(NH3) 및 아민류(RNH2) 등이 있으며, 이들 악취가스들은 통상적으로 흡입시 두통이나 불쾌감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악취가스 외에도 현재 많은 논란이 되고 있는 VOC(휘발성 유기화합물) 물질도 대량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다각적인 방면에서 악취가스나 VOC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많은 악취처리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악취가스 처리기술로는 크게 활성탄흡착법과 약액세정법, 오존산화법, 연소탈취 등의 물리화학적 처리방법과, 토양미생물처리법, 활성슬러지법, 바이오필터 등의 생물학적 처리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악취가스를 제거하고자 하는 처리환경에 따라 선택되어 가각 단독 또는 2개이상 병행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한 방법들 중에서 본 발명과 관계가 있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가스 처리방법은 미생물의 분해작용을 이용하여 악취를 처리하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의 하나로서 저농도 가스, 대풍량에 적합한 처리방법이다.
기상의 악취나 VOC는 미생물이 포함된 반응기 내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미생물의 분해작용에 의해 악취가스가 제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처리방법과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악취 제거장치의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라인(111)을 통해 공급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조(110)와;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처리하는 미생물이 부착된 담체가 충진된 처리부재(120)와; 상기 저장조(110)의 물을 상기 처리부재(120)로 이송하여 습도조절을 위해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131)이 형성된 분사라인(130)과; 악취가스공급라인(140)을 통해 유입된 악취가스를 상기 처리부재로 이송하는 악취가스이송라인(150)과; 처리된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라인(16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악취 제거장치에서의 악취 제거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급수라인(111)을 통해 공급된 물이 저장조(110)에 저장되고, 상기 저장조(110)에 저장된 물은 분사라인(130)에 형성된 다수의 분사노즐(131)을 통해 처리부재(120)로 분사된다. 한편 악취가스공급라인(140)을 통해 외부에서 유입되는 악취가스는 악취가스이송라인(150)을 통해 상기 처리부재(120)로 이송되는데, 이과정에서 악취가스는 처리부재(120)의 담체에 고착된 미생물과 접촉하여 분해되어 제거되고, 처리된 가스는 배출라인(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악취가스 제거장치는 미생물의 번식 또는 공급에 한계를 들어내고 있다. 즉,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지 않아 일정기간이 경과하면 악취가스의 처리효율이 저하되고, 그에 따라 처리부재(120) 및 미생물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관리측면에 관리의 불편함이나 관리비용의 상승 등 여러 문제점을 들어내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양조에서 미생물을 자체 번식시켜 처리부재에 공급함과 동시에 처리부재에 미생물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악취가스가 용해되어 배양조로 낙하됨에 따라 높은 효율로 악취가스나 VOC를 제거함과 동시에 처리부재의 교환 없이도 지속적인 가스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양조에 형성된 수중형 바이오리액터를 통해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증식시키고, 상기 바이오리액터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배양조의 순환수를 분사라인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노즐을 통해 담체가 충진된 처리부재에 분사시켜 미생물을 담체에 부착시키고, 미부착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분사된 순환수를 배양조로 이송되도록 하여 재순환시키고, 이와 동시에 악취가스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처리부재의 하부로 이송하여 일부는 처리부재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제거될수 있도록 하고 일부는 처리부재로 분사되는 순환수에 용해되어 배양조로 낙하시켜 배양조의 미생물에 의해 제거시키고, 상기 처리된 가스를 여과기로 필터링 한 다음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의 담체가 섬모상 바이오링(HB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악취 제거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순환수가 보관되며, 미생물을 증식시키기 위한 수중 바이오리액터가 형성되고,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레벨러와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리액터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배양하는 배양조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처리부재와; 상기 처리부재의 담체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양조의 미생물 함유 순환수를 처리부재에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라인과; 외부에서 유입된 악취가스를 상기 처리부재로 이송하는 악취가스공급라인과; 상기 처리부재를 통과한 처리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여과하여 가스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양조에 보관된 순환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측정기와, 상기 측정된 pH를 바탕으로 미생물 증식 및 생육의 최적 pH를 유지하기 위한 pH조절탱크; 및 상기 pH조절탱크에 내장된 pH조절액을 배양조에 공급하기 위한 조절액공급라인을 포함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의 담체가 섬모상 바이오링(HB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가스 처리장치의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수가 보관되며, 수중 바이오리액터(11)가 형성되고, 레벨러(12)와 배수라인(13)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배양하는 배양조(10)와; 미생물이 부착된 담체로 이루어지는 처리부재(20)와; 상기 처리부재(20)에 배양조(10)의 미생물 함유 순환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31)이 형성된 분사라인(30)과; 상기 처리부재(20)로 악취가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악취가스공급라인과; 상기 처리부재(20)를 통과한 처리가스를 필터링하기 위한 여과기(50); 및 상기 여과기(50)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통상의 처리부재(20)를 이용한 악취가스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양조(10)에 미생물을 증식시키기 위한 수중 바이오리액터(11)를 더 형성하고, 상기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처리부재(20)에 지속적으로 분사하여 상기 처리부재(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속적인 악취가스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에 가장 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양조(10)는 순환수가 보관되며, 미생물을 증식시키기 위한 수중 바이오리액터(11)가 형성되고,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레벨러(12)와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라인(13)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배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중 바이오리액터(11)는 미생물이 가장 양호하게 배양 번식할 수 있는 조건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바이오리액터(11)의 환경을 토양속의 자연환경 조건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시킬 목적으로 부정형의 괴상, 원통형, 구형 등으로 압축한 토양이나 부식토, 규산질이 함유된 경석의 쇄석, 제올라이트 또는 맥반석계통의 쇄석을 스테인레스 재질의 용기에 충진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한 바이오리액터(11)는 일정시간 통성 혐기성 상태로 유지하면 일반 토양성 미생물과 더불어 나이트로박터(Nitrobacter), 수도모나스(Pseudomonas), 바실러스(Bacillus), 티오바실러스(Tiobacillus) 등의 미생물이 함께 배양증식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바이오리액터(11) 하부에 별도의 산기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일정량의 공기(DO 0.1∼0.3mg/ℓ)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 배양된 미생물은 배양조(10)내에 저장된 순환수와 접촉하면서 상기 순환수에 포함되게 되며, 순환수의 순환과정에서 함께 이동된다.
이때, 상기 배양조(10)에는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레벨러(12)와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라인(13)을 포함하는데, 상기 레벨러(12)는 배양조(10)에 보관된 순환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수위 미만으로 순환수의 양이 줄어들면 별도의 급수라인을 통해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해주며, 배수라인(1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의 점검 또는 청소시 물을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함유하는 배양조(10)의 순환수를 처리부재(20)의 담체에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31)을 구비한 분사라인(3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31)과 분사라인(30)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처리부재(20)의 체적과 담체를 고려하여 적정수의 분사노즐(31)을 형성시키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미생물 함유 순환수가 분사되는 처리부재(20)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체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담체에는 미생물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미생물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악취가스와 접촉하면서 악취가스를 분해하여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생물이 함유된 순환수가 연속적으로 상기 처리부재(20)에 분사되어 공급되므로 적정량의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담체에 부착되게 된다. 따라서 처리부재(20)의 교체없이 높은 악취가스처리 효율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미생물이 담체에서 생육이 가능한 조건을 부여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순환수가 분사된다.
상기 처리부재(20)에 충진되는 담체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표면적이 넓어 악취가스와의 접촉면적이 커 악취처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통상의 섬모상 바이오링 담체(HBC)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처리부재(20)에 악취가스를 공급하여 통과시키기 위한 악취가스공급라인이 형성된다. 상기 악취가스공급라인은 외부에서 유입된 악취가스를 처리부재(20)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악취가스공급라인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처리부재(20)를 통과한 처리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여과하여 가스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과기(50)와, 상기 여과기(50)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여과기(50)는 처리가스에 함유된 수분을 여과할 수 있는 통상의 통기성 필터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개략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효과적인 미생물 배양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악취 제거장치의 배양조(10)에 보관된 순환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측정기(71)와, 상기 측정된 pH를 바탕으로 미생물 증식 및 생육의 최적 pH를 유지하기 위한 pH조절탱크(70) 및 상기 pH조절탱크(70)에 내장된 pH조절액을 배양조(10)에 공급하기 위한 조절액공급라인(72)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pH조절탱크(70)에 포함되어 있는 pH 조절액으로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배양조(10)에 보관된 순환수의 pH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배양조(10)의 미생물 증식 및 생육에 적절한 pH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미생물이 악취가스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산성분을 완화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를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양조(10)에 형성된 수중형 바리오리액터를 통해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증식되고, 상기 미생물은 배양조(10)의 순환수와 접촉하여 순환수에 포함되게 된다. 상기 증식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순환수는 다수개의 분사노즐(31)이 형성된 분사라인(30)을 통해 처리부재(20)에 분사시켜 미생물이 처리부재(20)의 담체에 부착되게 되고, 분사된 순환수는 다시 배양조(10)로 낙하되어 재순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처리부재(20)의 하부에 악취가스공급라인(40)을 통해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처리부재(20)의 하부로 이송하여 일부는 처리부재(20)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제거될수 있도록 하고 일부는 처리부재(20)로 분사되는 순환수에 용해되어 배양조(10)로 낙하시켜 배양조(10)의 미생물에 의해 제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악취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처리부재(20)를 통과한 처리된 가스는 여과기(50)로 필터링 한 다음 배출구(6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처리부재(20)에 공급되는 미생물은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배양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됨으로서 처리부재(20)를 교환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처리부재(20)의 담체에 항상 일정한 양만큼의 미생물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높을 악취제거 효율일 지속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장치는 분뇨처리장, 오폐수처리장 및 각종공장에서 발생되는 황화수소(H2S), 머캅탄(R-SH), 암모니아(NH3) 및 아민류(RNH2) 등의 악취가스와 VOC(휘발성 유기화합물)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장치의 악취제거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뇨처리장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악취제거 장치를 설치하여 6개월간 운전 후 5일간 악취가스 주입대신 외부공기를 주입하고, 이후 악취가스로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트리메틸아민을 주입하였으며, VOC로 페놀, 톨루엔, 아세톤 및 부탄올을 주입하였으며, 이때 배출되는 각성분의 배출농도와 제거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주입가스 성분 주입농도(ppm) 배출농도(ppm) 제거율(%)
암모니아 100 2 98
황화수소 50 1 98
메틸머캅탄 10 5 98.5
트리메틸아민 10 0.15 98.5
페놀 50 5 90
톨루엔 50 1.5 97
아세톤 50 5 90
부탄올 50 0.5 99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악취가스와 휘발성 유기물질의 제거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장치는 처리부재에서 요구하는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반영구적으로 처리부재의 교환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생물을 자체 번식시켜 처리부재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높은 효율로 악취가스나 VOC를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악취 제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장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양조
11 : 바이오리액터 12 : 레벨러
13 : 배수라인
20 : 처리부재
30 : 분사라인
31 : 분사노즐
40 : 악취가스공급라인
50 : 여과기
60 : 배출구
70 : pH조절탱크
71 : pH측정기 72 : 조절액공급라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순환수가 보관되며, 미생물을 증식시키기 위한 수중 바이오리액터(11)가 형성되고,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레벨러(12)와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라인(13)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배양하는 배양조(10)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처리부재(20)와; 상기 처리부재(20)의 담체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양조(10)의 미생물 함유 순환수를 처리부재(20)에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31)이 형성된 분사라인(30)과; 외부에서 유입된 악취가스를 상기 처리부재(20)로 이송하는 악취가스공급라인(40)과; 상기 처리부재(20)를 통과한 처리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여과하여 가스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여과기(50)와; 상기 여과기(50)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60)와; 상기 배양조(10)에 보관된 순환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측정기(71)와, 상기 측정된 pH를 바탕으로 미생물 증식 및 생육의 최적 pH를 유지하기 위한 pH조절탱크(70); 및 상기 pH조절탱크(70)에 내장된 pH조절액을 배양조(10)에 공급하기 위한 조절액공급라인(72)을 포함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20)의 담체가 섬모상 바이오링(HBC)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4. 삭제
  5. 배양조(10)에 형성된 수중형 바이오리액터(11)를 통해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증식시키고, 상기 바이오리액터(11)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배양조(10)의 순환수를 분사라인(30)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노즐(31)을 통해 담체가 충진된 처리부재(20)에 분사시켜 미생물을 담체에 부착시키고, 미부착된 미생물을 포함하는 분사된 순환수를 배양조(10)로 이송되도록 하여 재순환시키고, 이와 동시에 악취가스공급라인(40)을 통해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처리부재(20)의 하부로 이송하여 일부는 처리부재(20)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제거될수 있도록 하고 일부는 처리부재(20)로 분사되는 순환수에 용해되어 배양조(10)로 낙하시켜 배양조(10)의 미생물에 의해 제거시키고, 상기 처리된 가스를 여과기(50)로 필터링 한 다음 배출구(6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20)의 담체가 섬모상 바이오링(HB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방법.
KR10-2002-0017172A 2002-03-28 2002-03-28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524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172A KR100524647B1 (ko) 2002-03-28 2002-03-28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7172A KR100524647B1 (ko) 2002-03-28 2002-03-28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9312U Division KR200280000Y1 (ko) 2002-03-28 2002-03-28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262A KR20030078262A (ko) 2003-10-08
KR100524647B1 true KR100524647B1 (ko) 2005-10-31

Family

ID=3237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7172A KR100524647B1 (ko) 2002-03-28 2002-03-28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46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73B1 (ko) 2014-04-25 2015-02-27 (주)신화엔바텍 밀폐형 순환 타입의 미생물 친환경적 바이오필터
KR102030794B1 (ko) 2019-04-03 2019-11-08 정창호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KR20200051161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그린환경 분뇨 및 슬러지의 악취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502B1 (ko) * 2007-03-09 2008-01-21 주식회사 시원기업 입형 다단 필터장치
KR101864032B1 (ko) * 2016-10-14 2018-06-04 (주)태광엔텍 반송슬러지를 이용한 하폐수용 선회류 미생물 탈취기
CN107952103A (zh) * 2017-12-07 2018-04-24 天津工业大学 一种冰箱除味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239A (ja) * 1993-09-11 1995-03-28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大量培養した微生物を組み合わせた多段式脱臭装置
KR19990046720A (ko) * 1999-04-19 1999-07-05 이태용 휘발성유기화합물및악취를제거하기위한쌍방향흐름형생물학적제거장치
KR20000006652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JP2001120944A (ja) * 1999-10-28 2001-05-08 Ebara Jitsugyo Co Ltd 充填塔式生物脱臭装置
JP2001232142A (ja) * 2000-02-21 2001-08-28 Ebara Corp 生物脱臭方法
KR20020043830A (ko) * 2000-12-04 2002-06-12 유희욱 교반장치와 고형영양제 주입장치가 부착된 바이오필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염가스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239A (ja) * 1993-09-11 1995-03-28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大量培養した微生物を組み合わせた多段式脱臭装置
KR19990046720A (ko) * 1999-04-19 1999-07-05 이태용 휘발성유기화합물및악취를제거하기위한쌍방향흐름형생물학적제거장치
KR20000006652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JP2001120944A (ja) * 1999-10-28 2001-05-08 Ebara Jitsugyo Co Ltd 充填塔式生物脱臭装置
JP2001232142A (ja) * 2000-02-21 2001-08-28 Ebara Corp 生物脱臭方法
KR20020043830A (ko) * 2000-12-04 2002-06-12 유희욱 교반장치와 고형영양제 주입장치가 부착된 바이오필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염가스 제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73B1 (ko) 2014-04-25 2015-02-27 (주)신화엔바텍 밀폐형 순환 타입의 미생물 친환경적 바이오필터
KR20200051161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그린환경 분뇨 및 슬러지의 악취 제거 장치
KR102030794B1 (ko) 2019-04-03 2019-11-08 정창호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262A (ko) 200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307B1 (ko) 축산시설 악취처리 시스템
KR101024296B1 (ko) 고농도 복합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탈취 장치
KR100337523B1 (ko) 유출물처리시스템
JP5326187B2 (ja) ガス前処理装置を備えるガス処理装置及び当該ガス前処理装置の洗浄方法
KR101451598B1 (ko) 전처리부 및 후처리부가 연속설치된 친환경 바이오필터식 탈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취방법
CN103623693A (zh) 一种高效生物除臭设备
JP4317964B2 (ja) 腐植物質を用いた廃水処理システム
KR100524647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KR100318528B1 (ko)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 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KR101497273B1 (ko) 밀폐형 순환 타입의 미생물 친환경적 바이오필터
KR100288474B1 (ko) 무기성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 담체충전형 모듈러 생물여과장치
KR100260979B1 (ko) 원형의 섬모상 접촉여재에 미생물을 고정화한 고농도 유기성 악취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280000Y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KR100991403B1 (ko) 악취 저감 오폐수 처리 시설 및 그 방법
KR100267632B1 (ko) 생물학적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물질의 제거방법
KR100949696B1 (ko) 악취처리를 위한 간헐적 담체 침적형 바이오필터장치
JPH0833884A (ja) 脱臭装置付設廃水処理装置
KR102094714B1 (ko) 세정과 흡수처리를 포함한 수직거치 담체형 탈취기
KR100749726B1 (ko) 악취 탈취장치
KR102031066B1 (ko) 배양조를 이용한 탈취시스템
KR100834308B1 (ko) 로터리식 바이오필터 탈취기
KR100446070B1 (ko) 악취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브이오씨) 제거를 위한 장치및 방법
KR20200119084A (ko) 순환식 돈사용 액비의 제조시스템
CN209791279U (zh) 生物滴滤除臭装置
KR100513268B1 (ko) 주정폐액과 지렁이 분변토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및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