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502B1 - 입형 다단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입형 다단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502B1
KR100795502B1 KR1020070023352A KR20070023352A KR100795502B1 KR 100795502 B1 KR100795502 B1 KR 100795502B1 KR 1020070023352 A KR1020070023352 A KR 1020070023352A KR 20070023352 A KR20070023352 A KR 20070023352A KR 100795502 B1 KR100795502 B1 KR 10079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microorganisms
filter devic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로중
김영래
임성일
성진복
김선미
김래현
박대원
장원석
김재형
문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원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원기업
Priority to KR102007002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필터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유해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케이스에서 처리된 처리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배출관과, 상기 케이스에 물과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로 구성된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상기 미생물공급부(5)로부터 공급되는 미생물이 모여지는 미생물수용공간(13)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격판(11)과; 상기 케이스(1)의 측면에 형성되는 필터삽입홀(15)과; 상기 필터부(2)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삽입홀(15)에 착/탈되는 필터부재(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다수개의 필터를 케이스에 설치하여 교체가 요구되는 필터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에 공급된 미생물을 필터에 재 공급하여 미생물이 적게 소요된다.
필터, 유해가스, 미생물

Description

입형 다단 필터장치{BIO FILTER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필터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필터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유입관
3 : 배출관
5 : 미생물공급부
11 : 격판
13 : 미생물수용공간
15 : 필터삽입홀
17 : 가이드부재
본 발명은 오염된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체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유해성분은 흡착 또는 흡수방법에 의해 처리되거나, 고온에서 실시되는 화학적 분해 등에 의해 처리된다.
최근에 들어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면서 화학물질 대신 미생물을 이용하여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유해성분을 제거하려는 노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렇게 미생물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처리방법의 대표적인 것이 필터(Biofilter) 장치이다. 필터장치는 전체적인 처리공정이 비교적 단순함은 물론이고 경제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의 필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체저장조(200)와; 담체저장조(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담체층(10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0)와; 담체저장조(20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담체저장조(200)의 내부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600)과; 담체저장조(200)의 상부 중앙에 연결되어, 담체저장조(200)의 외부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관(80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가스공급관(600)을 통해 담체저장조(200)의 내부로 공급된 가스는 담체층(10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가스배출관(8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필터장치는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 및 유해성분을 오직 담체층(100)을 통해서만 제거할 수 있어, 정화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완전히 정화되지 않은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용성 악취는 담체층(100)만으로는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가습부를 통해 물을 분사시켜 수용성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장치가 일부 개시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조립성 및 경제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별도의 가습부를 거쳐 담체저장조 내부로 가스가 유입됨으로써 정화공정이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담체저장조(200)의 상단 일영역에 가스배출구(800)가 형성됨으로써 담체층(100)을 통과하여 정화된 가스가 담체저장조(200)의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는 필터장치의 정화능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다수개의 필터를 케이스에 설치하여 교체가 요구되는 필터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스에 공급된 미생물을 필터에 재 공급하여 미생물이 용이하게 증식할 수 있고, 미생물이 적게 소요되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필터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유해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케이스에서 처리된 처리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배출관과, 상기 케이스에 물과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로 구성된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상기 미생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미생물이 모여지는 미생물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격판과;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필터삽입홀과; 상기 필터부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삽입홀에 착/탈되는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미생물은 통상적으로 Bacteria, Actinomycetes, Fungi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부재를 필터삽입홀에 착/탈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에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터장치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필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유해가스를 처리하도록 소정의 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1)와, 상기 유해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케이스(1)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2)과,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서 처리된 처리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의 타측에 설치되는 배출관(3)과, 상기 케이스(1)에 물과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5)와,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상기 미생물공급부(5)로부터 공급되는 미생물이 모여지는 미생물수용공간(13)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격판(11)과; 상기 케이스(1)의 측면에 형성되는 필터삽입홀(15)과; 상기 필터부(2)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삽입홀(15)에 착/탈되는 필터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미생물수용공간(13)에 모여진 미생물을 케이스(1)에 재 공급하도록 케이스(1)의 저면의 미생물수용공간(13)에서 케이스(1)의 상부까지 미생물공급관(7)을 연결하고, 이 미생물공급관(7)에는 펌프(9)를 더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미생물공급관(7)에는 다수개의 분사노즐(71)을 연결하고, 이 다수개의 분사노즐(71)은 케이스(1)의 상부에서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케이스(1)에 미생물을 고르 게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미생물공급관(7)에는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5)가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9)에 의해 미생물수용공간(13)에서 재 공급되는 미생물에 의해 미생물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미생물은 적게 소요된다.
그리고, 격판(11)은 상기 미생물공급부(5)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미생물이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11)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111)은 상광하협의 경사면(113)이 형성되도록 역 원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 원뿔형상으로 된 관통홀(111)에 의해 관통홀(111)을 통과한 유해가스는 역류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관통홀(111)의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돌기(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115)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물이 소용돌이치면서 흐를 수 있으며, 소용돌이치면서 흐르는 물에 의해 관통홀(111)을 통과한 유해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11)은 역 사각뿔이나 역 삼각뿔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중요한 것은 상광하협의 경사면(113)이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20)는 상기 필터삽입홀(15)에 세로로 끼워지며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상의 필터틀(21)과; 상기 필터틀(2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터(23)와; 상기 필터틀(2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소정간경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미생물관통홀(2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23)는 필터틀(21)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필터(23)는 유해가스가 충분히 통과될 수 있는 간격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수평 또는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팽팽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필터부재(20)는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2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손잡이(27)를 이용하여 필터부재(2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23)는 상기 필터틀(21)의 내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심지(231)와; 상기 심지(231)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심지(231)를 중심으로 수평하게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실뭉치(233)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뭉치(233)들은 적정한 간격으로 심지(231)에 설치되어 여유공간이 형성되므로, 실뭉치(233)들에서 미생물은 용이하게 증식될 수 있다.
삭제
한편, 필터삽입홀(15)은 상기 다수개의 필터부재(20)가 슬라이딩되어 탈/착되도록 상기 필터삽입홀(15)의 상/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재(1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필터삽입홀(15)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부재(17)는 격판(11)의 상부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17)는 격판(11)의 관통홀(111)들과 겹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악취 및 유해성분이 포함된 가스를 필터 및 미생물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정화할 수 있으므로, 특정가스가 많이 발생되는 산업현장 등에서 사용될 수 있어 그 적용범위가 다양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로 간주한다.
본 발명은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다수개의 필터를 케이스에 설치하여 교체가 요구되는 필터만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에 공급된 미생물을 필터에 재 공급하여 미생물이 적게 소요되고, 미생물의 증식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내부에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필터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유해가스가 유입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케이스에서 처리된 처리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설치되는 배출관과, 상기 케이스에 물과 미생물을 공급하는 미생물공급부로 구성된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 상기 미생물공급부(5)로부터 공급되는 미생물이 모여지는 미생물수용공간(13)이 형성되도록 상기 케이스(1)의 하부에서 상부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격판(11)과;
    상기 케이스(1)의 측면에 형성되는 필터삽입홀(15)과;
    상기 필터삽입홀(15)에 착/탈되는 필터부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11)은
    상기 미생물공급부(5)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미생물이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관통홀(111)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111)은
    역 원뿔형상이 되도록 형성된 상광하협의 경사면(113)과, 내주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돌기(115) 및 이들의 혼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20)는
    상기 필터삽입홀(15)에 세로로 끼워지며 내부가 중공된 사각형상의 필터틀(21)과;
    상기 필터틀(2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필터(23)와;
    상기 필터틀(21)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소정간경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미생물관통홀(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20)는
    일측에 설치되는 손잡이(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삽입홀(15)은
    상기 다수개의 필터부재(20)가 슬라이딩되어 탈/착되도록 상기 필터삽입홀(15)의 상/하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재(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KR1020070023352A 2007-03-09 2007-03-09 입형 다단 필터장치 KR10079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352A KR100795502B1 (ko) 2007-03-09 2007-03-09 입형 다단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352A KR100795502B1 (ko) 2007-03-09 2007-03-09 입형 다단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502B1 true KR100795502B1 (ko) 2008-01-21

Family

ID=3921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352A KR100795502B1 (ko) 2007-03-09 2007-03-09 입형 다단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55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714A (en) 1993-04-16 1995-05-09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biological remediation of vaporous pollutants
KR20020073971A (ko) * 2001-03-19 2002-09-28 차진명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KR20030078262A (ko) * 2002-03-28 2003-10-08 보성환경산업(주)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3714A (en) 1993-04-16 1995-05-09 Alliedsignal Inc. Process for biological remediation of vaporous pollutants
KR20020073971A (ko) * 2001-03-19 2002-09-28 차진명 바이오필터와 활성탄 및 활성탄 섬유를 이용한 악취 및VOCs의 처리시스템
KR20030078262A (ko) * 2002-03-28 2003-10-08 보성환경산업(주)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1992B1 (ko)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RU2282597C1 (ru) Способ глубокой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03910453A (zh) 一种水产养殖废水处理装置
KR102140372B1 (ko) 수족관용 에어 부양식 유동 담체 여과 장치
KR102461921B1 (ko) 악취 물질 처리를 위한 버블플레이트 및 액상 전용 다단형 탈취탑 장치
US8163174B2 (en) Submerged biofiltration purifying apparatus
KR101118510B1 (ko) 지하수 정화 시스템
KR100795502B1 (ko) 입형 다단 필터장치
TWI614218B (zh) 生態生物水淨化系統
KR101154027B1 (ko) 악취제거 흡착탑
KR101168082B1 (ko) 대나무 생물여과막을 이용한 하·폐수 고도 처리장치
JPH06269772A (ja) 浄水装置
KR101540392B1 (ko) 유효미생물을 이용한 수용성 악취 저감장치
EA029646B1 (ru) Биохимический реактор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CN209782855U (zh) 一种空气净化设备
CN210825879U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器结构
RU178554U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ков
JP7158879B2 (ja) 水浄化エレメントおよび水浄化装置
CN207347347U (zh) 一种节能型污水处理设备
KR20040013917A (ko) 인공습지용 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하수처리장치
KR20070053182A (ko) 썩지 않는 물을 이용한 수족관내 공기청정장치
JPH0515885A (ja) 水槽のオゾンによる浄化方法とその装置
KR100416136B1 (ko) 역세형정수기
CN211283936U (zh) 一种便于安装的高效家用生活污水净化罐
KR20130078691A (ko) 카세트형 활성탄 여과기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