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0794B1 -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0794B1
KR102030794B1 KR1020190039137A KR20190039137A KR102030794B1 KR 102030794 B1 KR102030794 B1 KR 102030794B1 KR 1020190039137 A KR1020190039137 A KR 1020190039137A KR 20190039137 A KR20190039137 A KR 20190039137A KR 102030794 B1 KR102030794 B1 KR 102030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water
sludge
water
adsorption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호
안재봉
Original Assignee
정창호
안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호, 안재봉 filed Critical 정창호
Priority to KR1020190039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95Specific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o4), 슬러지농도 (Sludge Density) 등 오염물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오염물의 제거를 위한 복합유산균(Lacto Bacillus)의 투입을 제어함으로써 악취를 저감함과 아울러 악취 관련 제어와 감시 및 분석 데이터를 수집 및 활용하며, 하수, 폐수 등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슬러지)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함과 더불어 대기 중으로 퍼진 악취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는, 복합 유산균과 배합수의 혼합으로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 공급부(100)와;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되는 슬러지의 오염도와 대기 중의 오염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오염센서(200)와; 상기 흡착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착수를 상기 슬러지 저장조의 슬러지에 분사하여 악취원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슬러지측 악취제거부(300)와; 상기 흡착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착수와 압축공기를 함께 상기 슬러지 저장조가 설치되는 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중에 분무하여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와;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슬러지측 악취제거부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반(500)을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는 상기 흡착수 공급부의 흡착수를 펌핑하는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310), 상기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에서부터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 걸쳐 배관되어 흡착수를 이송하는 흡착수 이송관(320) 및 상기 흡착수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흡착수를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에 분사하는 흡착수 노즐(330)을 포함하며, 상기 대기측 악취 제거부는 상기 흡착수 공급부의 흡착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대기측 흡착수 펌프(410), 폐기물 처리시설에 배관되며 상기 대기측 흡착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흡착수를 공급하는 대기측 흡착수 이송관(450), 상기 대기측 흡착수 이송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 상기 대기측 흡착수 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흡착수를 분사하는 2개 이상의 흡착수 노즐(430), 에어를 압송하는 에어컴프레서(440), 상기 폐기물 처리시설에 배관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에어 이송관, 상기 에어 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460)로 이루어지되, 상기 2개 이상의 흡착수 노즐(430)은 배출단이 중앙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흡착수를 한 곳을 향해 분사하고 에어 노즐(460)은 상기 2개 이상의 흡착수 노즐(430)에서 분사되는 흡착수들이 모이는 한 곳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흡착수를 분무한다.

Description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A Bad smell reducing Device Using the Complex Lactobacillus}
본 발명은 악취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o4), 슬러지농도 (Sludge Density) 등 오염물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 취득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오염물의 제거를 위한 복합유산균(Lacto Bacillus)의 투입을 제어함으로써 악취를 저감함과 아울러 악취 관련 제어와 감시 및 분석 데이터를 수집 및 제공하며, 폐기물 처리(하수, 폐수, 분뇨 등)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슬러지)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함과 더불어 대기 중으로 퍼진 악취도 함께 제거하는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하수 종말 처리장, 축산 분뇨 처리장, 폐수 처리장, 슬러지 처리 시설 등 폐기물 처리 시설에서는 슬러지의 부패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며, 악취 성분으로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가스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악취 성분의 가장 중요한 구성성분은 황화합물과
질소화합물들이다. 황성분과 질소성분을 포함하는 악취는 슬러지가 부패할 때 발생한다. 부패란 단백질이나 지방성분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의미하며 부패과정에서 황화수소나 암모니아 계통의 악취물질이 발생하는 것이다.
종래의 슬러지 탈취방법은 약액세정, 바이오 탈취, 활성탄 흡착, 촉매 산화, 연소 등의 방법이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050165호)은 토종미생물 활성조, 제1 탈취조 및 제2 탈취조로 구성되고, 상기 토종미생물 활성조에 토종미생물 군집체가 충진된 토종미생물 활성기가 장착되고, 상기 토종미생물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BSDL1 및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DSM3인 것인,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토종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로서,
슬러지가 유입되고, 그 내부에 장착된 토종미생물 활성기에서 포자 상태의 토종미생물 군집체가 산소와 유기물질이 공급되는 조건에서 포자를 발아하고, 증식과정을 거쳐 활성화되는 토종미생물 활성조; 산소와 활성화된 토종미생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조건 하에서 토종미생물 활성조를 거친 피처리물로부터 악취물질을 1차로 제거하는 제1 탈취조; 및 산소와 활성화된 토종미생물이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조건 하에서 제1 탈취조를 거친 피처리물로부터 악취물질을 완전히 제거하는 제2 탈취조를 포함한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0524647호)은 순환수가 보관되며, 미생물을 증식시키기 위한 수중 바이오리액터가 형성되고, 수위를 측정할 수 있는 레벨러와 하부 일측에 형성된 배수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바이오리액터에서 증식된 미생물을 배양하는 배양조와; 외부에서 공급되는 악취가스를 담체에 부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처리부재와; 상기 처리부재의 담체에 미생물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배양조의 미생물 함유 순환수를 처리부재에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노즐이 형성된 분사라인과; 외부에서 유입된 악취가스를 상기 처리부재로 이송하는 악취가스공급라인과; 상기 처리부재를 통과한 처리가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여과하여 가스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여과기와;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와; 상기 배양조에 보관된 순환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pH측정기와, 상기 측정된 pH를 바탕으로 미생물 증식 및 생육의 최적 pH를 유지하기 위한 pH조절탱크; 및 상기 pH조절탱크에 내장된 pH조절액을 배양조에 공급하기 위한 조절액공급라인을 포함하는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재의 담체가 섬모상 바이오링(HBC)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탈취 기술은 하수 슬러지 처리시설 및 슬러지 저장조, 저류조 협잡물처리장 등 하수처리장 내 다량의 슬러지 및 악취가 발생되는 악취 취약시설별 악취의 종류와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탈취제의 살수에 그치기 때문에 탈취 효과가 약하고 탈취제의 손실도 많은 등 많은 부분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
등록특허 제10-1050165호 등록특허 제10-052464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악취 발생원인 물질이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반응하여 악취의 원인이 되는 각종 물질인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o4) 등의 악취성분의 농도를 수집하여 수집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복합유산균(Lacto Bacillus)을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o4)를 포함하는 슬러지와 직접 반응시키는 한편 대기 중의 악취성분과도 반응시켜 슬러지의 부패로 인한 악취와 대기 중의 악취 모두를 효율적으로 저감하는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는, 복합 유산균과 배합수의 혼합으로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 공급부와;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되는 슬러지의 오염도와 대기 중의 오염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오염센서와; 상기 흡착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착수를 상기 슬러지 저장조의 슬러지에 분사하여 악취원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슬러지측 악취제거부와; 상기 흡착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착수와 압축공기를 함께 상기 슬러지 저장조가 설치되는 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중에 분무하여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대기측 악취 제거부와;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슬러지측 악취제거부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의하면,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o4), 슬러지농도 (Sludge Density) 등 오염물의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오염물의 제거를 위한 복합유산균(Lacto Bacillus)의 투입을 제어함으로써 악취를 저감함과 아울러 악취 관련 제어와 감시 및 분석 데이터를 수집 및 활용하며, 폐기물(하수, 폐수, 슬러지 등)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슬러지)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함과 더불어 대기 중으로 퍼진 악취도 제거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시설과 주변 환경을 친환경적으로 조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적용된 흡착수 공급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적용된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적용된 분무형 흡착수의 분무를 보인 흡착수 노즐과 에어 노즐의 배치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는, 크게 슬러지의 악취와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흡착수(복합 유산균과 배합수가 혼합된 것으로, 복합유산균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는 물질을 말함)를 공급하는 흡착수 공급부(100), 폐기물 처리시설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센서(200), 폐기물 처리 시설에서 악취 발생원인 예를 들어 슬러지 저장조에 흡착수를 분사하여 슬러지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 폐기물 처리 시설의 대기 중에 흡착수를 분무하여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 오염센서(200)의 감지 값을 이용하며, 흡착수 공급부(100)와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 및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반(500) 그리고 제어반(500)과 무선(유선도 가능) 통신하는 원격지 단말기(600)로 구성된다.
흡착수 공급부(100)는 흡착수(복합 유산균과 배합수로 정수를 혼합한 것으로 오염물질인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을 제거하여 악취를 저감하는 것을 말함)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것으로, 복합유산균 공급부와 배합수 공급부 및 흡착수 저장부로 구분된다.
상기 복합유산균 공급부는 복합 유산균이 저장되는 복합유산균 탱크(110), 복합유산균 탱크(110)에 저장된 복합유산균을 이송하는 복합유산균 펌프(120), 복합유산균 펌프(120)에 의해 압송되는 복합유산균을 상기 흡착수 저장부로 이송하는 복합유산균 이송관(130)으로 구성된다.
복합유산균 탱크(110)는 복합 유산균의 변질을 막기 위한 밀폐형이며 복합유산균의 보충을 위한 투입부가 구비되어야 하고 또한 복합유산균 이송관(130)의 연결을 위한 관형의 연결포트가 구성된다. 또한, 복합유산균 탱크(110) 안에 저장된 복합유산균의 수위(양) 확인을 위한 레벨센서(111)가 갖추어진다. 레벨센서(111)는 복합 유산균의 보충 시기를 확인하기 위한 저수위 감지, 복합 유산균의 보충 정지를 위한 만수위 감지 즉 2가지 수위를 감지하는 것으로 가능하다.
복합유산균 펌프(120)는 복합유산균 탱크(110)에 저장된 복합 유산균을 흡착수 탱크(150)에 공급하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복합유산균 이송관(13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유산균 이송관(130)은 복합유산균 탱크(110)와 흡착수 탱크(150)에 연결되며 복합유산균 펌프(120)의 펌핑에 의해 복합유산균 탱크(110)의 복합 유산균을 흡착수 탱크(150)에 이송한다.
복합유산균 이송관(130)을 통해 흡착수 탱크(150)에 이송되는 복합유산균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합수 공급부는 예를 들어 상수도나 별도의 정화 처리기를 거친 정수를 공급하는 배합수 공급관(140)이다.
배합수 공급관(140)은 탱크에 의한 저장 방식과 달리 정수의 연속 공급 방식이므로 밸브(141)가 갖추어진다.
배합수 공급관(140)을 통해 흡착수 탱크(150)에 공급되는 배합수의 양을 계량하기 위한 계량기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수 저장부는 복합유산균 이송관(130)과 배합수 공급관(140)을 통해 각각 복합 유산균과 정수를 공급받아 흡착수를 생산 및 저장하는 흡착수 탱크(150)로 구성된다.
흡착수 탱크(150)는 흡착수의 변질 방지를 위한 밀폐형이며 복합유산균 이송관(130)과 배합수 공급관(140)의 배출단이 각각 연결되고 흡착수의 공급을 위하여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의 입구단이 연결된다.
또한, 흡착수 탱크(150)에 저장된 흡착수의 레벨(수위, 양) 측정을 위한 레벨센서(151)가 갖추어진다.
복합유산균 탱크(110)의 레벨센서(111)가 2단 감지의 구성인데 반해, 흡착수 탱크(150)의 레벨센서(151)는 흡착수의 배합비를 맞추기 위하여 3단 이상(도면에는 6단으로 도시)으로 구성되며, 복합유산균 배합 수위(a), 배합수 배합 수위(b), 저수위 감지(c), 만수위 감지(d)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의 위치는 복합유산균과 배합수의 배합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흡착수 탱크(150) 안에 먼저 복합 유산균을 채우고 복합유산균 배합 수위(a)를 감지하면 복합 유산균의 공급을 정지한 후 배합수를 흡착수 탱크(150) 안에 채우며 이 과정에서 배합수 배합 수위(b)가 감지되면 배합수의 공급을 정지하여 흡착수 탱크(150) 안에 채워진 복합 유산균과 배합수를 배합한다.
저수위 감지(c) 시 복합유산균 펌프(120)의 가동을 온 제어하고 만수위 감지(d) 시 복합유산균 펌프(120)의 오프 제어 및 배합수 공급관(140)의 밸브(141)를 오프 제어한다.
복합 유산균과 배합수의 배합 비율은 악취물질(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수소 등)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예를 들어 환경보전법시행규칙 제15조 기준).
오염센서(200)는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o4), 메탄가스(Ch4) 등 오염원(악취원)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슬러지의 농도(DT)를 측정하는 장치이며, 최적의 감지가 가능한 위치에 자유롭게 단독/ 조합 설치 가능하고, 또한, 슬러지 저장조(1) 안에 저장되는 슬러지의 악취를 제거함과 더불어 폐기물 처리시설(하수 종말 처리장 등 악취가 발생하는 모든 시설을 말함)의 대기 중에서 악취를 저감하도록 대기 중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과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는 흡착수 공급부(100)의 흡착수 탱크(150)에 저장된 흡착수를 슬러지 저장조(1)에 공급하기 위한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310)와 흡착수 이송관(320) 및 흡착수 노즐(330)로 구성된다.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310)는 흡착수 탱크(150)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흡착수 탱크(150) 내부의 흡착수를 압송한다.
흡착수 이송관(320)은 흡착수 펌프(310)에서부터 슬러지 저장조(1)에 걸쳐 배관되어 흡착수를 슬러지 저장조(1)의 분사 위치로 이송한다.
흡착수 이송관(320)에는 흡착수의 유량계, 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
흡착수 노즐(330)은 흡착수 이송관(32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흡착수 이송관(320)을 통해 이송되는 흡착수를 슬러지 저장조(1)의 슬러지에 분사하고, 따라서, 흡착수와 오염원의 반응을 통해 오염원이 제거되어 악취가 저감된다.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는 흡착수를 이용하여 악취를 저감하는 것이지만 대기 중의 악취를 저감하는 점에서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흡착수를 분무화하여 분무하는 점에서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와 차이가 있으며, 즉, 흡착수를 분사하기 위한 구성으로 대기측 흡착수 펌프(410), 흡착수 이송관(420), 밸브(421), 흡착수 노즐(430)은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의 구성과 유사하고, 여기에 압축공기의 분사를 위한 에어를 압송하는 에어컴프레서(440), 에어컴프레서(440)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에어 이송관(450), 에어 이송관(450)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460) 및 에어 이송관(450)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451)가 구성된다.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는 슬러지 안에서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흡착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지만,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악취의 흡착능력이 필요하고 오랜 체류시간이 유리하며, 이를 위하여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는 분무형 흡착수(흡착수와 압축공기에 의해 분무화된 것을 말함)를 분무하여 악취를 제거한다.
흡착수를 분무형 흡착수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2개 이상의 흡착수 노즐(430)은 배출단이 중앙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흡착수를 한 곳을 향해 분사하고 에어 노즐(460)은 흡착수 노즐(430)들에서 분사되는 흡착수들이 모이는 한 곳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도록 설치되며, 이 과정에서 흡착수가 압축공기에 의해 깨지는 작용이 발생하여 분무형의 흡착수가 생성되고, 분무형 흡착수가 대기 중에 분무되어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한다.
에어 이송관(450)에는 수분제거기가 구성 가능하고, 상기 수분제거기를 통해 압축공기의 순도를 높여 분무형 흡착수의 생성 효율을 높이게 된다.
분무형 흡착수의 분무에 의한 탈취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주변의 공기를 모으는 별도의 덕트(예를 들어 유입부와 배출구가 구비된 관형)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흡착수 이송관(420) 내부에 흡착수가 남아 있고 이 잔류의 흡착수가 동절기에 결빙됨으로써 흡착수 이송관(420)이 동파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동파 방지관(470) 및 동파방지 밸브(471)가 구성되며, 본무형 흡착수를 위한 압축공기를 동파 방지용으로 사용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동파 방지관(470)은 흡착수 이송관(420)과 에어 이송관(450)을 연결하며, 동파방지 밸브(471)는 제어반(500)의 제어를 통해 동파 방지관(470)을 개폐하고, 악취 저감 시 동파 방지관(470)은 동파방지 밸브(471)에 의해 폐쇄되어 압축공기와 흡착수는 각각의 경로를 통해 이송되고, 동파 방지 모드 시 동파 방지관(470)은 동파방지 밸브(471)에 의해 개방되어 일부의 압축공기가 동파 방지관(470) - 흡착수 이송관(420) - 흡착수 노즐(430)을 통해 분사되어 이들 경로에 남은 흡착수를 배출한다.
동파 방지관은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의 흡착수 이송관(3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압축공기를 흡착수 이송관(320)에 공급함으로써 흡착수 이송관(320)의 동파 방지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310)와 대기측 흡착수 펌프(410)를 각각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펌프를 공용하고 배관을 슬러지측과 대기측으로 분기 및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으로도 가능하다.
제어반(500)은 흡착수 공급부(100)의 가동을 제어하여 흡착수 공급부(100)를 상시 필요한 흡착수를 공급할 수 있는 대기 상태로 유지시키고, 오염센서(200)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의 가동을 제어한다.
제어반(500)의 제어 대상은 본 발명에 적용된 모든 밸브(141 등)와 펌프(120 등)이다.
제어반(500)의 제어 기준은 암모니아 등의 기준 오염 값이 가능하고, 즉, 현재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보다 높은 경우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의 온 가동을 제어하여 현재 오염도가 기준 오염도를 만족하도록 한 후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를 오프 제어한다.
다른 방법으로 오염도에 따른 흡착수의 투입량을 빅데이터로 구성하여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양적 제어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다양한 수준의 오염도에 맞는 흡착수의 투입량을 확인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현재 오염도와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선택된 데이터를 근거로 하는 투입량으로 흡착수의 투입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어반(500)은 오염센서(200)의 감지 값, 흡착수 공급부(100) 등의 가동 상태 등 모든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반(500)은 폐기물 처리시설(하수 종말 처리장 등) 안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론, 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떨어진 곳에도 설치될 수 있다.
원격지 단말기(600)는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 등), 데스크 탑 PC 등이며 상기 제어반(500)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오염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의 가동도 제어하며, 제어반(500)과 인터넷 등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밸브(141 등)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의한 악취 저감 작용은 다음과 같다.
1. 흡착수 배합.
제어반(500)은 복합유산균 펌프(120)를 온 가동시켜 복합유산균 탱크(110)에 저장된 복합유산균을 흡착수 탱크(150)에 공급 저장한다.
흡착수 탱크(150)의 레벨센서(151)는 복합유산균의 양을 측정하고, 복합유산균이 정해진 수위로 측정되면 제어반(500)은 복합유산균 펌프(120)를 오프 제어하는 한편, 밸브(141)를 개방 제어하여 배합수가 흡착수 탱크(150)에 저장되도록 한다.
정해진 양의 배합수가 흡착수 탱크(150)에 저장된 것으로 레벨링되면 밸브(141)를 잠금 제어한다.
이로써, 복합유산균과 배합수가 혼합된 흡착수가 제조된다.
2. 슬러지 저장조의 악취 저감.
제어반(500)은 오염센서(200)의 감지 값과 기준 값을 근거로 하여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300)의 가동을 제어하며, 현재 감지 값이 기준 값보다 높은 경우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310)를 온 제어하여 흡착수 탱크(150)에 저장된 흡착수가 흡착수 이송관(320)을 따라 이송되다가 흡착수 노즐(330)을 통해 슬러지 저장조(1)의 슬러지에 분사되도록 한다.
슬러지에 포함된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가스의 오염물은 흡착수와 반응하여 제거된다.
이 과정은 슬러지의 발효 과정(발효 조건은 슬러지의 양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조건을 기재하지는 않는다)으로 악취 제거와 함께 슬러지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3. 대기 중 악취 저감.
대기 중 악취 저감 조건인 경우 제어반(500)은 각각의 밸브(421,451)를 제어하여 흡착수 이송관(420)과 에어 이송관(450)을 개방하고, 대기측 흡착수 펌프(410)와 에어컴프레서(440)를 온 제어한다.
이 제어에 따라 흡착수 탱크(150)의 흡착수는 흡착수 이송관(420) - 흡착수 노즐(430)을 통해 분사되고, 압축공기는 에어컴프레서(440) - 에어 이송관(450) - 에어 노즐(460)을 통해 분사되며, 이 때 흡착수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은 입자형태로 부서지게 되어 안개처럼 분무된다. 분무형 흡착수는 악취원인 암모니아 등을 흡착하여 제거함으로써 대기 중의 악취를 저감한다.
100 : 흡착수 공급부, 110 : 복합유산균 탱크
111, 151 : 레벨센서, 120 : 복합유산균 펌프
130 : 복합유산균 이송관, 140 : 배합수 공급관
150 : 흡착수 탱크, 200 : 오염센서
300 :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 310 :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
320,420 : 흡착수 이송관, 330,430 : 흡착수 노즐
400 : 대기측 악취 제거부, 410 : 대기측 흡착수 펌프
440 : 에어컴프레서, 450 : 에어 이송관
460 : 에어 노즐, 470 : 동파 방지관
500 : 제어반, 600 : 원격지 단말기

Claims (5)

  1. 복합 유산균과 배합수의 혼합으로 흡착수를 공급하는 흡착수 공급부(100)와;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되는 슬러지의 오염도와 대기 중의 오염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오염센서(200)와;
    상기 흡착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착수를 상기 슬러지 저장조의 슬러지에 분사하여 악취원인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슬러지측 악취제거부(300)와;
    상기 흡착수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흡착수와 압축공기를 함께 상기 슬러지 저장조가 설치되는 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중에 분무하여 대기 중의 악취를 제거하는 대기측 악취 제거부(400)와;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슬러지측 악취제거부와 대기측 악취 제거부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반(500)을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는 상기 흡착수 공급부의 흡착수를 펌핑하는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310), 상기 슬러지측 흡착수 펌프에서부터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 걸쳐 배관되어 흡착수를 이송하는 흡착수 이송관(320) 및 상기 흡착수 이송관을 통해 이송되는 흡착수를 상기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된 슬러지에 분사하는 흡착수 노즐(330)을 포함하며,
    상기 대기측 악취 제거부는 상기 흡착수 공급부의 흡착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대기측 흡착수 펌프(410), 폐기물 처리시설에 배관되며 상기 대기측 흡착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흡착수를 공급하는 대기측 흡착수 이송관(420), 상기 대기측 흡착수 이송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밸브, 상기 대기측 흡착수 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흡착수를 분사하는 2개 이상의 흡착수 노즐(430), 에어를 압송하는 에어컴프레서(440), 상기 폐기물 처리시설에 배관되며 상기 에어컴프레서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이송하는 에어 이송관, 상기 에어 이송관을 통해 공급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460)로 이루어지되,
    상기 2개 이상의 흡착수 노즐(430)은 배출단이 중앙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흡착수를 한 곳을 향해 분사하고 에어 노즐(460)은 상기 2개 이상의 흡착수 노즐(430)에서 분사되는 흡착수들이 모이는 한 곳을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흡착수를 분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반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반을 통해 상기 오염센서의 감지값과 상기 제어반의 제어상황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상기 흡착수 공급부와 상기 슬러지측 악취 제거부 및 상기 대기측 악취 제거부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지 단말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기측 악취 제거부의 상기 흡착수 이송관(420)과 상기 에어 이송관(460)을 연결하는 동파 방지관(470), 상기 동파 방지관을 개폐하는 동파방지 밸브(471)를 포함하며, 상기 동파방지 밸브의 개방을 통해 압축공기를 상기 흡착수 이송관에 통과시켜 흡착수를 배출함으로써 동파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KR1020190039137A 2019-04-03 2019-04-03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KR102030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37A KR102030794B1 (ko) 2019-04-03 2019-04-03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37A KR102030794B1 (ko) 2019-04-03 2019-04-03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794B1 true KR102030794B1 (ko) 2019-11-08

Family

ID=6854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137A KR102030794B1 (ko) 2019-04-03 2019-04-03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847A (ko) * 2021-03-02 2022-09-13 (주)코어바이오 개별 제어가 가능한 악취 제거 자동 분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6338A (ja) * 2003-07-29 2005-02-24 Kumiko Sato 微細霧を用いた消臭、病原微生物処理及び香気散布に係る方法
KR100524647B1 (ko) 2002-03-28 2005-10-31 보성환경산업(주)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KR101050165B1 (ko) 2008-09-19 2011-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 제거를 위하여 토종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110130318A (ko) * 2010-05-27 2011-12-05 (주)한성티앤아이 산불진화 및 방역차량의 동파방지장치
JP2013017450A (ja) * 2011-07-13 2013-01-31 Kuraudo:Kk 混合菌体及び中性化消臭・防虫剤
KR101895039B1 (ko) * 2018-06-14 2018-09-07 정창호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647B1 (ko) 2002-03-28 2005-10-31 보성환경산업(주)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 제거장치 및 방법
JP2005046338A (ja) * 2003-07-29 2005-02-24 Kumiko Sato 微細霧を用いた消臭、病原微生物処理及び香気散布に係る方法
KR101050165B1 (ko) 2008-09-19 2011-07-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하수처리장 슬러지의 악취 제거를 위하여 토종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110130318A (ko) * 2010-05-27 2011-12-05 (주)한성티앤아이 산불진화 및 방역차량의 동파방지장치
JP2013017450A (ja) * 2011-07-13 2013-01-31 Kuraudo:Kk 混合菌体及び中性化消臭・防虫剤
KR101895039B1 (ko) * 2018-06-14 2018-09-07 정창호 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축사 악취 저감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단법인 대한한돈협회, 2015년 양돈장 악취저감제품 및 시설 검증 결과 보고서, 2016.02.2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3847A (ko) * 2021-03-02 2022-09-13 (주)코어바이오 개별 제어가 가능한 악취 제거 자동 분사시스템
KR102615394B1 (ko) * 2021-03-02 2023-12-19 (주)코어바이오 개별 제어가 가능한 악취 제거 자동 분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 Pagans et al. Biofiltration for ammonia removal from composting exhaust gases
CN101259367A (zh) 一种同时去除多种混合气体恶臭的工艺及装置
KR101512796B1 (ko) 악취 제거 또는 저감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악취를 제거하는 방법
Yang et al. The effects of selected parameters on the nitric oxide removal by biofilter
KR101044742B1 (ko) 고정상 담체 폭기반응조가 병합된 바이오 필터 시스템
KR20110114352A (ko) 원격제어 시스템을 갖춘 탈취장치
KR102030794B1 (ko) 유용복합 유산균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KR100770222B1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제거방법
Woertz et al. A fungal vapor-phase bioreactor for the removal of nitric oxide from waste gas streams
KR101303335B1 (ko) 오존과 오존수를 이용한 살균 및 악취 탈취 시설
US20030201227A1 (en) Remediation of odorous media
CN102688669A (zh) 等离子体和生物法一体化的废气净化装置
Wei et al. Thermophilic biotrickling filtration of gas–phase trimethylamine
KR100288474B1 (ko) 무기성 악취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혼합된 공기를 동시에 제거하는 미생물 담체충전형 모듈러 생물여과장치
CN208865448U (zh) 一种制药厂利用高浓度em菌剂除臭的净化处理系统
KR100713615B1 (ko)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악취제거장치
KR100267632B1 (ko) 생물학적 필터를 이용한 악취 및 휘발성 물질의 제거방법
CN110102157A (zh) 臭氧联合生物滤池处理有机废气的装置
Tian et al. A novel integrated industrial-scale biological reactor for odor control in a sewage sludge composting facility: Performance, pollutant transformation, and bioaerosol emission mechanism
CN112473361A (zh) 一种生物除臭联合装置与生物除臭方法
KR200346520Y1 (ko) 축산분뇨 액비탱크용 생물학적 탈취시스템
CN202823167U (zh) 除臭构件及除臭装置
Lee et al. Reduc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emission from swine manure using aqueous foams amended with microorganisms and chemical additives
KR100347970B1 (ko) 악취 가스로부터 악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시스템
KR101951880B1 (ko) 미생물의 서식환경 전환을 통한 악취발생시설의 악취저감방법과 이를 이용한 악취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