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482B1 -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 Google Patents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482B1
KR100522482B1 KR10-2002-0080274A KR20020080274A KR100522482B1 KR 100522482 B1 KR100522482 B1 KR 100522482B1 KR 20020080274 A KR20020080274 A KR 20020080274A KR 100522482 B1 KR100522482 B1 KR 100522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anel
nvh
air extractor
quarter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0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539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0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4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3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룸과 차실이 직접 연통된 헤치백 승용차량이나 승합차량의 트렁크 룸의 인너판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룸의 쿼터인너판넬(10)의 차실측 하단부에 제공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전면부에 NVH 저감부재(14)를 수직으로 취부하고,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개구부와 높이가 상이하게 밴트홀(22)을 쿼터트림(20)에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를 통해 유입된 노이즈를 저감하여 안락하고 편안한 차실 분위기를 구현함은 물론, 운전 집중도를 개선 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Quarter inner panel structure of the trunk of vehicles with NVH damping elements}
본 발명은 NVH(Noise, Vabration, Harshness)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트렁크룸과 차실이 직접 연통된 헤치백 승용차량이나 승합차량의 NVH 성능 개선을 위한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쿼터인너판넬의 에어 익스트랙터에 격벽과 같은 NVH 저감부재를 취부하여 쿼터트림의 밴트홀로 유입되는 노이즈를 분산 또는 차단하여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터판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이나 변속기 기타 차량의 부속품에 관련된 노이즈 등은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있는 반면, 차량의 윈드 노이즈에 관련된 흡출음이나 공동소음 등은 전술된 기구적 또는 기계적인 소음에 비해 노이즈 저감연구가 어려우며 막대한 자금력과 장시간의 연구기간이 요구된다.
그리고, 차량의 윈드 노이즈는 운전자나 탑승자로 하여금 운전 집중력을 저하시킴은 물론, 안락한 차실의 분위기를 저해하는 것으로, 현재의 차량의 소음 저감기술은 윈드 노이즈 분야에 치중되고 있다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헤치백 승용차량이나 승합차량과 같이 트렁크룸과 차실이 직접 연통된 구조의 차량은 전술된 윈드 노이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소음이 심하여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안락한 차실 분위기를 제공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헤치백 승용차량이나 승합차량의 트렁크 룸 보다 상세하게는 쿼터인너판넬(1)의 가장자리부에는 외부의 공기압과 실내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주는 공기 통로인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air extractor rouver)(2)가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2)는 쿼터트림(3)의 밴트홀(4)과 직접 연통되기 때문에 외부의 소음이나 주행 소음등이 직접 차실로 유입되어 전술된 바와 같은 안락한 차실 분위기를 구현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2)는 다수의 격벽이 일정한 각도 예컨대 노이즈가 상향으로 유입되도록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며 쿼터드림(3)의 밴트홀(4)은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2)와 거의 동일한 선상에 형성되어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2)를 통해 유입된 노이즈가 밴트홀(4)을 통해 직접 차실로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차량의 정차시 외부의 소음이나 주행시 윈드 노이즈등이 직접 차실로 유입되어 안락한 운전 및 탑승 분위기를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 룸과 차실이 직접 연통된 차량의 윈드 노이즈에 관련된 주행소음 등과 같은 NVH를 저감하여 NVH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렁크룸과 차실이 직접 연통된 헤치백 승용차량이나 승합차량의 트렁크 룸의 인너판넬 구조에 있어서, 트렁크 룸의 쿼터인너판넬의 차실측 하단부에 제공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의 전면부에 NVH 저감부재를 수직으로 취부하고,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의 개구부와 높이가 상이하게 밴트홀을 쿼터트림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NVH 저감부재는 판재 형상의 격벽으로써, 하단부는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의 하측부에 이격되도록 절곡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수직되게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의 높이에 대하여 적어도 같거나 높게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쿼터인너판넬구조는 트렁크 룸의 쿼터인너판넬(10)에 제공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 (12)의 전면에 격벽과 같은 NVH 저감부재(14)가 취부되어 있어 차량 외부의 소음이나 주행시 발생되는 윈드 노이즈가 전술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를 통해 유입되더라고 일차적으로 NVH 저감부재(14)에 의해 차단되어 감쇠된 후 쿼터트림(20)에 형성된 밴트홀(22)을 통해 차실로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NVH 저감부재(14)는 헤치백 스타일의 승용차량이나 승합차의 쿼터인너판넬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VH 저감부재(14)는 일반적인 트렁크 룸의 쿼터인너판넬(10)에 제공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전면에 취부되어 있되, 절곡된 하단부가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하단 인접부와 취부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NVH 저감부재(14)는 일반적으로 판재 형상으로 제공되며,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높이보다는 같거나 적어도 큰 길이(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노이즈나 주행 노이즈는 일차적으로 판재 형상의 NVH 저감부재(14)에 의해 저지되어 감쇠된 후 쿼터트림(20)에 형성된 밴트홀(22)을 통해 차실로 유입되어 안락하고 조용한 차실 분위기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쿼터트림(20)에 형성된 밴트홀(22)은 도 1 및 도 2의 밴트홀(4)의 높이 보다는 더 높게 형성하는 것이 노이즈 저감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NVH 저감부재(14)의 일 변형예로써, 노이즈를 저지하는 수직면에 미세한 통공을 형성하여 노이즈를 제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일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의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를 통해 유입된 노이즈를 저감하여 안락하고 편안한 차실 분위기를 구현함은 물론, 운전 집중도를 개선 하여 차량 탑승자의 안전 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利點)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도 1 구조의 NVH 유입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도 3 구조의 NVH 저감부재에 의한 노이즈 유입경로를 나타내는 개략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쿼터인너판넬 (Quarter Inner Panel)
12 :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 (Air Extractor Rouver)
14 : NVH 저감부재 20 : 쿼터트림 (Quarter Trim)
22 : 밴트홀(Vent Hole)

Claims (2)

  1. 트렁크룸과 차실이 직접 연통된 헤치백 승용차량이나 승합차량의 트렁크 룸의 인너판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룸의 쿼터인너판넬(10)의 차실측 하단부에 제공된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전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하측부에 이격되도록 절곡 취부되어 있으며, 상기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수직되게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높이에 대하여 적어도 같거나 높게 연장 형성된 판재 형상의 격벽인 NVH 저감부재(14)를 수직으로 취부하고, 상기 에어 익스트랙터 로우버(12)의 개구부와 높이가 상이하게 밴트홀(22)을 쿼터트림(20)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2. 삭제
KR10-2002-0080274A 2002-12-16 2002-12-16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KR100522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274A KR100522482B1 (ko) 2002-12-16 2002-12-16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0274A KR100522482B1 (ko) 2002-12-16 2002-12-16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539A KR20040053539A (ko) 2004-06-24
KR100522482B1 true KR100522482B1 (ko) 2005-10-18

Family

ID=3734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0274A KR100522482B1 (ko) 2002-12-16 2002-12-16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4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539A (ko)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04317C (zh) 保险杠皮的紧固结构
KR20090056425A (ko) 자동차 엔진룸의 언더커버 시스템
KR101839047B1 (ko) 통기 밸브용 방음 배플
US4962961A (en) Automobile front body structure
JP2597915B2 (ja) 自動車フロントエンジンの燃焼空気吸込み装置
EP1800955B1 (en) Vehicle cab noise suppressing system
KR100522482B1 (ko) Nvh 저감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트렁크 쿼터인너판넬구조
US8740293B1 (en) Clamshell acoustic insulator assembly for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vehicle
JPS624622A (ja) 自動車の換気装置
JP2010006314A (ja) 自動車の換気構造
JP2512035Y2 (ja) 自動車の走行風導入構造
JPH11189031A (ja) 車両の通風構造
KR100520359B1 (ko) 자동차 화물칸의 소음저감구조
CN202518358U (zh) 一种汽车发动机罩装饰板的进风结构
JPH0715482U (ja) 自動車のエキストラクタ構造
JPH10129525A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CN219312888U (zh) 车辆后部结构
JPH0481368A (ja) 自動車のリヤウエスト部構造
JPH0446968Y2 (ko)
JP2616081B2 (ja) 自動車用エアボックス構造
JPH046965Y2 (ko)
KR100369050B1 (ko) 차량의 패키지트레이 구조
JPS637530Y2 (ko)
JPS6228497Y2 (ko)
JP2510652Y2 (ja) 自動車用エアボック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