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557B1 -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557B1
KR100521557B1 KR10-2003-0093577A KR20030093577A KR100521557B1 KR 100521557 B1 KR100521557 B1 KR 100521557B1 KR 20030093577 A KR20030093577 A KR 20030093577A KR 100521557 B1 KR100521557 B1 KR 100521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module
brackets
mounting
bracke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940A (ko
Inventor
신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557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62D25/084Radiat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쿨링모듈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쿨링모듈의 라디에이터 양측 하단에 사이드브라켓을 형성하고, 사이드프레임의 양단 하측에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한 사이드마운팅 브라켓을 형성하여 쿨링모듈이 사이드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도록 하고, 사이드브라켓의 선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과 인터쿨러의 전면 상단 양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을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브라켓을 연결로드로서 연결하므로서, 쿨링모듈의 메인 하중을 지지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이 무게중심에 근접하면서 좌우폭이 넓어짐에 따라 쿨링모듈의 y축방향 회전진동을 저감시키면서 x축 방향 회전에 따른 좌우 진동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연결로드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 역시 무게중심에 근접하도록 위치시켜 x축 방향과 y축 방향 회전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쿨링모듈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쿨링모듈 마운팅구조{Cooling module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쿨링모듈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쿨링모듈의 메인 하중을 지지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이 무게중심에 근접하면서 좌우폭이 넓어짐에 따라 쿨링모듈의 y축방향 회전진동을 저감시키면서 x축 방향 회전에 따른 좌우 진동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연결로드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 역시 무게중심에 근접하도록 위치시켜 x축 방향과 y축 방향 회전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쿨링모듈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쿨링모듈(1)이라 함은 라디에이터(2), 콘덴서(3), 인터쿨러(4)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쿨링모듈(1)에는 콘덴서(3) 냉각용 전동팬과 라디에이터 냉각용 냉각팬 등이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갈수록 엔진의 용량이 증대됨에 따라 쿨링모듈(1)의 용량증대가 이루어져 전체적인 무게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 4 내지 도 6 은 종래의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차체의 사이드프레임(5)의 선단부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마운팅브라켓(6)을 형성하고, 이 마운팅브라켓(6)에 제 1 인슐레이터(7)를 통해 쿨링모듈(1)을 장착하며,
사이드프레임(5)을 가로지르는 크로스바(5a)의 중간부분으로부터 프론트로드(8)를 상향 연장하고, 이 프론트로드(8)의 끝부분을 라디에이터(2)의 상부에 제 2 인슐레이터(9)를 매개로하여 연결한 구조이다.
이러한 종래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는 다음과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종래의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는 쿨링모듈(1)의 x방향(Longitudinal Motion), y방향(Lateral Motion), z방향(Yawing) 회전에 의한 진동(차량과의 상대운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없는 구조이다.
즉, y방향 회전에 대한 지지점이 쿨링모듈(1)의 무게중심(C.G) 부근에 형성되어있지 않으므로 마운팅 브라켓(6)과 제 1 인슐레이터(7)로 이루어진 쿨링모듈(1) 마운팅부분이 힌지역할을 하여 쿨링모듈(1)의 상부에 큰 변위가 발생하게되고, 이에의해 프론트로드(8) 및 엔진과 연결되는 각종 연결호스들에 많은 하중이 집중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프론트 로드(8)의 상측 끝단이 결합되는 인슐레이터(7)가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양측의 플레이트(7a) 사이에 고무(7b)를 가류압착한 구조이기 때문에 x방향 회전진동을 흡수하는데는 효과적이나 y방향 회전진동을 흡수하는데는 취약한 구조를 갖게되는 것이며,
사이드프레임(5)의 하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마운팅 브라켓(6)에 쿨링모듈(1)을 마운팅하는 구조이므로 부품의 크기가 커져서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해지고 정비성이 나빠짐은 물론 쿨링모듈 조립시 하측에 위치하는 마운팅 브라켓(6)의 결합홀 위치가 잘 보이지 않게되어 조립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쿨링모듈의 라디에이터 양측 하단에 사이드브라켓을 형성하고, 사이드프레임의 양단 하측에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한 사이드마운팅 브라켓을 형성하여 쿨링모듈이 사이드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도록 하고, 사이드브라켓의 선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과 인터쿨러의 전면 상단 양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을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브라켓을 연결로드로서 연결하므로서, 쿨링모듈의 메인 하중을 지지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이 무게중심에 근접하면서 좌우폭이 넓어짐에 따라 쿨링모듈의 y축방향 회전진동을 저감시키면서 x축 방향 회전에 따른 좌우 진동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연결로드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 역시 무게중심에 근접하도록 위치시켜 x축 방향과 y축 방향 회전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인터쿨러 및 콘덴서 등으로 구성된 쿨링모듈을 사이드프레임에 장착하는 쿨링모듈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라디에이터의 양측면 하단에 사이드 브라켓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과 인슐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을 사이드프레임 양단 하측에 형성하여 쿨링모듈이 무게중심에 근접한 높이에 위치하는 사이드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도록 하며,
쿨링모듈의 보조지지수단으로서,
인터쿨러의 전면 양측 상단에 제 1 결합브라켓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와 대응하는 제 2 결합브라켓을 사이드프레임의 선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에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을 연결로드로서 연결하여 쿨링모듈의 x축, y축 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브라켓의 내측에 인슐레이터를 볼트로서 결합하고,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측으로 연결로드가 연결되는 로드연결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 표기하여 중복설명을 피하기로 한다.
쿨링모듈(1)의 장착을 위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이드프레임(5)의 양단 하측에 ''모양으로 형성된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을 볼트결합하고, 그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의 하측 끝단부에 인슐레이터(13)를 취부하되, 쿨링모듈(1)을 구성하는 라디에이터(2)의 양측 하단에 상기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에 맞대어져 볼트로서 결합되는 '' 모양의 사이드브라켓(11)을 형성한다.
따라서, 쿨링모듈(1)의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브라켓(11)을 사이드프레임(5)의 하측에 형성된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에 안착시켜 볼트로서 결합하므로서 쿨링모듈(1)을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에 장착하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이 라디에이터(2)의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브라켓(11)을 이용해서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에 쿨링모듈(1)을 결합하게되면, 상기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의 형성높이가 쿨링모듈(1)의 무게중심(C.G)에 근접하게되므로 쿨링모듈(1)의 y방향 회전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며,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간의 거리, 즉, 쿨링모듈(1)의 좌우 마운팅부위간 폭이 넓어져 차량의 x방향 회전에 따른 쿨링모듈(1)의 진동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브라켓(11)과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 사이에 개재되는 인슐레이터(13)는 쿨링모듈(1)의 z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된다.
한편, 쿨링모듈(1)의 보조 지지수단으로서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쿨링모듈(1)을 구성하는 인터쿨러(4)의 전면 양측 중간높이에 제 1 결합브라켓(20)을 형성하고, 사이드프레임(5)의 선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10)에 상기 제 1 결합브라켓(20)에 대응하는 제 2 결합브라켓(30)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제 1 결합브라켓(20)과 제 2 결합브라켓(30)을 별도의 연결로드(21)로서 상호 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브라켓(20)과 연결로드(21)의 상측 끝부분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볼트로서 상호 결합하고, 제 2 결합브라켓(30)과 연결로드(21)의 하측 끝부분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결합브라켓(30)의 내측에 인슐레이터(32)를 볼트(31)로서 축지하고, 상기 인슐레이터(32)의 외측을 감싸도록 로드연결부(33)를 형성하되, 이 로드연결부(33)를 연결로드(21)의 하측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설명과같이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10)과 쿨링모듈(1)의 전면양측을 연결로드(21)로서 연결하여 지지토록하면서 제 2 결합브라켓(30)의 연결로드(21) 결합부위에 인슐레이터(32)를 형성함에 따라 쿨링모듈(1)의 x축, y축 방향 회전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하여 감쇄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과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쿨링모듈(1)의 메인하중을 지지하는 사이드브라켓(11)과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의 결합 높이가 쿨링모듈(1)의 무게중심에 근접하게되므로 쿨링모듈(1)의 y축 방향 회전진동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고, 마운팅 부분 폭이 넓으므로 쿨링모듈(1)의 x방향 회전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으며, 쿨링모듈(1)의 전면 양단에 형성된 연결로드(21)에 의해 쿨링모듈의 x방향 및 y방향 회전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라디에이터(2)의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브라켓(11)과 사이드프레임(5)에 형성된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으로 쿨링모듈(1)을 마운팅함에 따라 종래와같이 사이드프레임(5)의 선단부 하단에 별도의 크로스바(마운팅브라켓)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의 중량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으며, 제품의 부피를 줄여주어 공간확보 및 정비성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쿨링모듈(1) 마운팅시 쿨링모듈(1)의 측면부에서 마운팅이 이루어지므로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12)에 구비된 결합홀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아서 결합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쿨링모듈의 라디에이터 양측 하단에 사이드브라켓을 형성하고, 사이드프레임의 양단 하측에는 인슐레이터를 구비한 사이드마운팅 브라켓을 형성하여 쿨링모듈이 사이드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도록 하고, 사이드브라켓의 선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과 인터쿨러의 전면 상단 양측에 각각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을 형성하고, 각각의 결합브라켓을 연결로드로서 연결하므로서, 쿨링모듈의 메인 하중을 지지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이 무게중심에 근접하면서 좌우폭이 넓어짐에 따라 쿨링모듈의 y축방향 회전진동을 저감시키면서 x축 방향 회전에 따른 좌우 진동을 안정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연결로드가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 역시 무게중심에 근접하도록 위치시켜 x축 방향과 y축 방향 회전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제 2 결합브라켓과 연결로드의 결합상태를 보인 도면.
도 4 는 종래의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종래의 쿨링모듈 마운팅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6 은 종래 인슐레이터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쿨링모듈 2 : 라디에이터
3 : 콘덴서 4 : 인터쿨러
5 : 사이드프레임 10 :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
11 : 사이드브라켓 12 :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
13 : 인슐레이터 20 : 제 1 결합브라켓
21 : 연결로드 30 : 제 2 결합브라켓
31 : 볼트 32 : 인슐레이터
33 : 로드연결부

Claims (2)

  1. 라디에이터(2), 인터쿨러(4) 및 콘덴서(3) 등으로 구성된 쿨링모듈(1)을 사이드프레임(5)에 장착하는 쿨링모듈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라디에이터(2)의 양측면 하단에 사이드 브라켓(11)을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 브라켓(11)과 인슐레이터(13)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사이드 마운팅 브라켓(12)을 사이드프레임(5) 양단 하측에 형성하여 쿨링모듈(1)이 무게중심(C.G)에 근접한 높이에 위치하는 사이드마운팅 브라켓(12)에 장착되도록 하며,
    쿨링모듈(1)의 보조지지수단으로서,
    인터쿨러(4)의 전면 양측 상단에 제 1 결합브라켓(20)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와 대응하는 제 2 결합브라켓(30)을 사이드프레임(5)의 선단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프론트 마운팅 프레임(10)에 형성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브라켓(20,30)을 연결로드(21)로서 연결하여 쿨링모듈(1)의 x축, y축 방향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마운팅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브라켓(30)의 내측에 인슐레이터(32)를 볼트(31)로서 결합하고, 상기 인슐레이터(32)의 외측으로 연결로드(21)가 연결되는 로드연결부(3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모듈 마운팅구조.
KR10-2003-0093577A 2003-12-19 2003-12-19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KR100521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77A KR100521557B1 (ko) 2003-12-19 2003-12-19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577A KR100521557B1 (ko) 2003-12-19 2003-12-19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40A KR20050061940A (ko) 2005-06-23
KR100521557B1 true KR100521557B1 (ko) 2005-10-17

Family

ID=3725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577A KR100521557B1 (ko) 2003-12-19 2003-12-19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5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41B1 (ko) 2012-03-12 2016-03-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976B1 (ko) * 2006-03-17 2007-05-08 주식회사 두원공조 차량의 쿨링 모듈 프레임의 마운팅 브라켓
KR100817216B1 (ko) * 2006-08-21 2008-03-2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냉각기의 설치구조
CN104129275A (zh) * 2014-08-22 2014-11-05 上汽依维柯红岩商用车有限公司 冷却装置总成
KR102050989B1 (ko) * 2015-02-11 2019-12-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KR102325024B1 (ko) 2015-10-06 2021-11-1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캐리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41B1 (ko) 2012-03-12 2016-03-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940A (ko) 200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2204B2 (ja) 前部車体構造
KR101361268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 모듈
US6830289B2 (en) Front structure of vehicle
KR100521557B1 (ko)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JP4785464B2 (ja) 車両前部構造
US20190120421A1 (en) Reserve tank mounting structure
JP4841974B2 (ja) パワーユニットの支持構造
CN112477792B (zh) 一种车辆前进气格栅安装结构
KR101521877B1 (ko) 서로 부착된 가로 바아, 기술 전방 표면, 및 수렴 요소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0569977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냉각장치 장착구조
JP2985712B2 (ja) 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7428591B2 (ja) 車体構造
CN110370911A (zh) 电机悬置支架、电机悬置支架安装结构及汽车
CN220448039U (zh) 电动两轮车
CN220884032U (zh) 拉杆悬置组件及车辆
KR100471475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 모듈의 센터멤버 구조
KR100578059B1 (ko) 공조장치의 하부강성증대를 위한 자동차용프론트엔드모듈의 결합구조
CN113027981B (zh) 缓冲减振装置和缓冲减振系统
KR100514157B1 (ko) 냉각장치의 지지구조
KR101294081B1 (ko) 차량용 프레임 보강유닛
CN218257967U (zh) 雷达支架及车辆
KR100578568B1 (ko)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JP4445681B2 (ja) Rops運転室のエアコン取付構造
JP2001063333A (ja) スタビライザ支持構造
KR100507657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라디에이터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