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694B1 -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694B1
KR100518694B1 KR10-2003-0075305A KR20030075305A KR100518694B1 KR 100518694 B1 KR100518694 B1 KR 100518694B1 KR 20030075305 A KR20030075305 A KR 20030075305A KR 100518694 B1 KR100518694 B1 KR 100518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cover
holding
slider
hold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721A (ko
Inventor
하마다요시까쯔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8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spring-actuated lock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10T24/2573Selectively shifted by either of two pull ta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10T24/2577Biased by distinct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98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means for obstructing movement of slid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자동 조립과 수동 조립이 간이하게 행해지고, 판 스프링(4)이 안정된 상태로 보유 지지되어 원활하게 작동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에 관한 슬라이더는 동체(1), 손잡이(2), 갈고리 레버(3), 판 스프링(4), 커버(5)의 5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동체(1)의 상면 전후에 커버(5) 부착용 부착 기둥(12)을 설치하고 있다. 이 부착 기둥(12)의 상면에는 양단부에 오목부(31)를 형성한 판 스프링(4)을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제1 보유 지지부(14)로서의 돌기(13)를 설치하고, 부착 기둥(12)에 피복 부착하는 커버(5)는 상부벽(34)의 내면 전후단부에 판 스프링(4)을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제2 보유 지지부(37)로서의 돌기(36)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제1 보유 지지부(14)의 돌기(13)에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우고, 제2 보유 지지부(37)의 돌기(36)에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운다.

Description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SLIDER FOR SLIDE FASTENER PROVIDED WITH AUTOMATIC STOPPER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더가 동체, 손잡이, 갈고리 레버, 판 스프링, 커버의 5개의 부재로 구성된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이며, 슬라이더의 자동 조립 가공 또는 수동 조립에 있어서, 슬라이더 동체에 대해 판 스프링 및 커버를 안정된 상태로 장비할 수 있는 형태의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동체(101)의 상부 블레이드 판(107)의 상면 전후에 판 스프링(104)을 부착하기 위한 전방 기둥(112)과 후방 기둥(112)(부착 기둥에 상당함)을 세워 설치하고, 이 전방 기둥(112)과 후방 기둥(112)에는 모두 양측에 높이가 낮은 견부(150)를 설치하고, 이 견부(150) 사이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헤드부(114)를 설치하고, 이 헤드부의 표면에 전방 기둥(112)은 전방, 후방 기둥(112)은 후방의 외측을 향해 하향인 만곡면을 형성하고, 이 전방 기둥(112)과 후방 기둥(112) 사이에 양단부에 헤드부(113)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절결을 설치한 판 스프링(104)을 견부(150)에 가설하고, 그 상방으로부터 헤드부(114)를 끼움 부착할 수 있는 오목 홈(139)을 내부에 마련한 커버(105)를 덮어 끼우고, 판 스프링(104)을 견부(150)와 커버(105)의 두께부로 협지한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실용신안 공고 소62-41608호 공보 참조).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동체(201)의 상부 블레이드 판(207)의 전후에 지지 부재(212)(후방 부착 기둥에 상당함)와 지승부(212)(전방 부착 기둥에 상당)를 세워 설치하고, 커버(205)는 내측 벽의 전방부에 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를, 후방부에 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를 각각 돌출 설치하고, 판 스프링(204)을 삽입하여 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와 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 사이에 판 스프링(204)을 배치하고, 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 및 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를 각각 설치한 판 스프링(204)을 덮는 형태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절곡하여 판 스프링(204)을 헐겁게 끼우고, 커버(205)를 지지 부재(212)와 지승부(212)에 피복 부착한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실용신안 공고 평2-19049호 공보 참조).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 동체(301)의 상부 블레이드 판(307)의 상면에 커버(305)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둥(312)을 전후에 설치하고, 이 부착 기둥(312) 사이에 판 스프링(304)을 탑재 가설하여 부착 기둥(312)의 상면에 판 스프링(304)을 임시 고정하기 위해 표면에 V자형 홈(319)을 마련한 계지부(314)를 돌출 설치하고, 이 계지부(314)에 판 스프링을 배치하여 V자형 홈(319)을 확대 개방하고 임시 고정하여 헐겁게 끼우고, 이 상태에서 계지부(314)를 커버(305)의 내면에 오목 설치한 피복 오목부(339)에 의해 덮어 싸 커버(305)를 동체(301)에 고정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9-65909호 공보 참조).
최근, 슬라이드 패스너에 있어서는 시장 경쟁에 의해 저가격화가 진행되고 있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패스너의 제조 비용의 삭감을 도모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슬라이드 패스너의 구성 부재 중 하나인 슬라이더의 제조 비용의 삭감이 필요하다. 슬라이더의 제조는 세계 각지에 제조 거점을 마련하여 글로벌로 전개되고 있고, 각 제조 거점에 있어서 슬라이더를 저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자동 조립기에서의 조립이 고효율이면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품질에 변동이 생기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런데, 자동 조립기는 고가이며, 제조하는 지역에 따라서는 자동 조립기를 도입하는 것보다 많은 인재를 활용하여 손으로 조립을 행하는 쪽이 저비용이면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용신안 공고 소62-41608호 공보에 기재된 본 출원의 도14에 도시한 공지의 슬라이더는, 동체(101)의 전후에 세워 설치한 전방 기둥(112), 후방 기둥(112)의 상면에 설치한 헤드부(114), 견부(150) 사이에 판 스프링(104)을 가설하여 상방으로부터 헤드부(114)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오목 홈(139)을 마련한 커버(105)를 피복 부착한 것이므로, 커버(105)를 피복 부착하기 전의 판 스프링(104)의 위치가 불안정되어 커버(105)를 피복 부착할 때에 판 스프링(104)과 커버(105)가 접촉하고, 판 스프링(104)이 기둥(112)의 상면으로부터 낙하하기 쉬워 수동으로 부착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실용신안 공고 평2-19049호 공보에 기재된 본 출원의 도15에 도시한 슬라이더는, 커버(205)에 판 스프링(204)을 끼워 넣어 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와 후방부 판 스프링 지지부(237) 사이에 판 스프링(204)을 배치하고, 전방부 및 후방부의 판 스프링 지지부(237)를 각각 판 스프링(204)의 전후단부 부분을 덮도록 절곡하는 것이므로, 판 스프링(204)은 동체(201)와의 부착 이전에 미리 커버(205)와 부착되므로 판 스프링(204)의 위치가 안정된다. 그런데, 동체(201), 손잡이(202), 갈고리 레버(203), 판 스프링(204), 커버(205)를 상방으로부터 차례로 공급하여 부착함으로써, 높은 효율에서의 제조가 가능해지는 자동 조립기에 있어서는, 커버(205)에 판 스프링(204)을 부착할 때에 우선 커버(205)의 자세의 상하를 반전시킨 후에, 즉 커버(205)의 자세를 반대 상태로 하여 판 스프링(204)을 상방으로부터 커버(205) 내부에 삽입하여 부착하고, 그 후 커버(205)의 자세의 상하를 다시 반전시켜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므로, 자동 조립기의 구조가 복잡해져 자동 조립에는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9-65909호 공보에 기재된 본 출원의 도16에 도시한 슬라이더는, 상면에 판 스프링(304)을 임시 고정하기 위한 계지부(314)를 구비한 부착 기둥(312)에 대해 판 스프링(304)을 적재하고, 커버(305)의 내면에 오목 설치한 피복 오목부(339)에 의해 계지부(314)를 덮어 싸 판 스프링(304)의 빠짐을 방지한 것이므로, 동체(301)에 부착된 판 스프링(304)의 위치가 안정되어 부착 기둥(312)에 커버(305)를 피복 부착할 때에, 부착 기둥(312)으로부터의 판 스프링(304)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판 스프링(304)을 커버(305)와 부착 기둥(312) 양 쪽에 부착 가능한 형태를 구비하고 있지 않고, 판 스프링(304)을 커버(305)에 부착하는 경우와, 판 스프링(304)을 동체(301)에 부착하는 경우에 따라서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가 동체, 손잡이, 갈고리 레버, 판 스프링, 커버의 5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이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를 자동 조립이라도, 사람 손에 의한 조립이라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장비되는 판 스프링이 매우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는 상기 목적에다가,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에 사용하는 판 스프링의 형상을 특정하고, 동체와 커버에 설치한 보유 지지부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판 스프링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 이들 목적에다가 동체 및 커버에 설치하는 판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유 지지부의 형태를 특정함으로써, 각종 형상의 판 스프링을 유효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동체에 설치하는 보유 지지부와 커버에 설치하는 보유 지지부와의 관련을 특정함으로써, 각 보유 지지부의 존재가 커버와 동체의 부착에 장해가 되는 일 없이, 판 스프링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이상적인 작동을 행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데 있고, 또는 그들의 목적에다가, 판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는 동체의 보유 지지부 또는 커버의 보유 지지부의 형태를 특정함으로써, 판 스프링이 보유 지지부로부터 빠지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체, 손잡이, 갈고리 레버, 판 스프링, 커버의 5개의 부재를 이상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도 하나의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은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는 동체, 손잡이, 갈고리 레버, 판 스프링, 커버의 5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동체의 상부 블레이드 판의 전후에 간격을 두어 부착 기둥을 세워 설치하고, 전후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의 상면에는 판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1 보유 지지부를 설치하고, 커버의 내면 전후단부에 판 스프링을 보유 지지하기 위한 제2 보유 지지부를 설치하고, 이들 보유 지지부 사이에 판 스프링을 헐겁게 끼운 형상으로 가설하고, 설치한 판 스프링과 상부 블레이드 판 사이에 손잡이의 피봇 축과 갈고리 레버를 개재시키고, 그 상방으로부터 커버를 상부 블레이드 판의 상면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에 고정한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에 있다.
상기 동체에 설치하는 판 스프링은 직사각형의 판 부재이며, 양단부에 동체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와, 커버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 양 쪽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에 절결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혹은 상기 제1 보유 지지부와 상기 제2 보유 지지부 양 쪽에 수용시킬 수 있는 볼록형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보유 지지부는 동체(1)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로 형성하여 판 스프링의 오목부를 헐겁게 끼우고, 제2 보유 지지부는 커버의 상부벽 내면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로 형성하여 판 스프링의 오목부를 헐겁게 끼워도 좋고, 혹은 제1 보유 지지부는 동체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기를 대향 설치하여 판 스프링의 볼록부를 헐겁게 끼우고, 제2 보유 지지부는 커버의 상부벽 내면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돌기를 대향 설치하여 판 스프링의 볼록부를 헐겁게 끼울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체의 상면 전후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와, 커버의 상부벽 내면의 전후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를 동체와 커버를 부착하였을 때, 전후로 맞지 않는 형상, 즉 어긋난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동체와 커버는, 동체와 커버를 부착하였을 때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동체의 부착 기둥에 설치하는 제1 보유 지지부와, 커버의 상부벽 내면에 설치하는 제2 보유 지지부의 대향면에 공간부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간부는 한 쪽이 동체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에 설치되어 커버의 제2 보유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이 커버의 상부벽 내면에 설치되어 동체의 부착 기둥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동체의 부착 기둥에 설치하는 상기 제1 보유 지지부, 또는 커버의 상부벽 내면에 설치하는 제2 보유 지지부는 돌기의 중앙에 V자형 홈을 세로 방향으로 마련하고, 이 돌기의 상면을 좌우로 절곡할 수 있게 형성하여 판 스프링의 오목부를 헐겁게 끼울 수 있거나, 혹은 돌기의 선단부에 방대한 헤드부를 설치하여 판 스프링의 오목부를 헐겁게 끼울 수 있게 형성해도 좋다. 또, 상기 제1 보유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보유 지지부는 2개의 돌기를 대향 설치하여 돌기 사이에 판 스프링의 볼록부를 헐겁게 끼우고, 또는 돌기를 내측으로 절곡할 수 있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동체의 전방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에 설치한 상기 제1 보유 지지부의 외측에 제1 수용부를 설치하고, 이 부착 기둥의 내측에 갈고리 레버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함몰부를 설치하고, 동체의 후방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의 외측에 제1 수용부를 설치하고, 이 부착 기둥의 내측에 갈고리 레버의 정지 갈고리를 끼움 삽입할 수 있는 갈고리 구멍을 마련하고, 커버의 상부벽 내면의 전후단부에 제2 보유 지지부를 설치하고, 이 보유 지지부의 베이스부 내측에 제2 수용부를 설치하고, 제1 보유 지지부 및 제2 보유 지지부 사이에 판 스프링을 가설하고, 상방으로부터 커버를 피복하여 부착 기둥에 고정할 수 있게 형성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의 실시태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 손잡이(2), 갈고리 레버(3), 판 스프링(4), 커버(5)의 5개의 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부재는 알루미늄 합금, 아연 합금 등을 다이캐스트 성형, 또는 블러스, 스테인레스강 등을 프레스 가공 수단에 의해 형성하고, 혹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 가공 수단에 의해, 동체(1), 손잡이(2), 갈고리 레버(3), 커버(5) 등을 성형하여 자동 정지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에 조립한다.
동체(1)는 상부 블레이드 판(7)과 하부 블레이드 판(8)을 안내 기둥(9)에 의해 연결하고, 상하의 블레이드 판(7, 8) 또는 한 쪽 블레이드 판(7, 8)의 양측에 패스너 엘리멘트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랜지(10)를 굴곡 설치하여 내부에 안내 홈(11)을 형성한다. 상부 블레이드 판(7)의 상면의 견구(肩口)측과 후구(後口)측에 커버(5)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기둥(12)을 세워 설치하고, 이 부착 기둥(12)의 상면에 돌기(13)를 돌출 설치하여 판 스프링(4)을 보유 지지할 수 있는 제1 보유 지지부(14)를 설치한다.
동체(1)의 전방, 즉 견구측의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의 외측에 오목형의 공간부(21)를 마련하여 제1 수용부(15)를 형성하고, 동체(1)의 후방, 즉 후구측의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의 외측에 오목형의 공간부(21)를 마련하여 제1 수용부(15)를 형성하고, 각각 커버(5)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37)를 수용한다. 전방의 부착 기둥(12)의 내측 베이스부에 갈고리 레버(3)의 일단부에 설치한 결합 돌기부(28)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 함몰부(16)를 설치하고, 후방의 부착 기둥(12)의 내측 베이스부에 갈고리 레버(3)의 타단부에 설치한 정지 갈고리(29)를 끼움 삽입할 수 있는 갈고리 구멍(17)을 뚫어 마련한다. 상부 블레이드 판(7)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손잡이(2)의 피봇 축(26)을 가이드할 수 있는 경사면부(18)를 부착 기둥(12)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대향 설치한다.
손잡이(2)는 일단부에 손잡이부(25), 타단부에 피봇 축(26)을 설치하여 상부 블레이드 판(7)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한다. 갈고리 레버(3)는 일단부에 동체(1)에 설치한 오목 함몰부(16)에 수용할 수 있는 결합 돌기부(28)를 형성하고, 타단부에 동체(1)의 갈고리 구멍(17)에 끼워 삽입할 수 있는 정지 갈고리(29)를 굴곡 설치한다. 또한 판 스프링(4)은 직사각형의 판 부재로 형성하고, 양단부에는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와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37)를 수용할 수 있는 오목형의 오목부(31)를 형성한다.
커버(5)는 상자형으로 일면이 개구되어, 양측벽(33)에 손잡이(2)의 피봇 축(26)을 삽입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35)를 설치하고, 상부벽(34)의 내면 전후 단부에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36)를 돌출 설치하여 제2 보유 지지부(37)를 형성하고, 판 스프링(4)의 양단부를 보유 지지한다. 또한, 제2 보유 지지부(37)에 인접하는 상부벽(34)의 내면에는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오목형의 공간 부분을 전후에 설치하여 제2 수용부(38)를 형성한다. 제2 보유 지지부(37)의 돌기(36)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 세로 방향으로 V자형 홈(19)을 마련하여 좌우로 절곡할 수 있게 형성하고, 절곡되었을 때에 판 스프링(4)의 단부가 커버(5)의 상부벽(34)과 돌기(36) 사이에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V자형 홈(19)은 부착 기둥(12)에 설치하는 제1 보유 지지부(14)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1 보유 지지부(14)와 제2 보유 지지부(37) 및 판 스프링(4)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하면, 도11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의 부착 기둥(12) 상면에 2개의 돌기(13)를 대향형으로 설치하고, 돌기(13)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여 제1 보유 지지부(14)를 형성한다. 또한, 이 제1 보유 지지부(14)의 외측에 설치하는 제1 수용부(15)는 오목형의 공간부(21)가 아니며, 부착 기둥(12)의 상면과 단순히 단차를 갖고, 즉 평탄형으로 절결하고 공간부(21)를 마련하여 제1 수용부(15)를 형성한다.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의 전후단부에 2개의 돌기(36)를 대향형으로 설치하고, 돌기(36)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여 제2 보유 지지부(37)를 형성한다. 이 제2 보유 지지부(37)의 내측의 상부벽(34) 내면에는 오목형이라도 좋고, 평탄해도 좋지만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38)를 형성한다.
판 스프링(4)은 양단부에 볼록형의 볼록부(32)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32)가 부착 기둥(12)의 제1 보유 지지부(14)의 돌기(13) 사이 및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37)의 돌기(36) 사이의 간극에 배치되어 보유 지지시킨다. 이 때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에 돌출 설치한 2개의 돌기(36)에 의한 제2 보유 지지부(37)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의 양단부에 설치한 볼록부(32)를 양측으로부터 유연하게 감싸 지지시켜도 좋다. 제2 보유 지지부(37)에 있어서의 2개의 돌기(36)는 절곡하여 판 스프링(4)을 감싸 지지해도 좋고, 또한 돌기를 절곡하지 않고 돌출 상태로 부착 기둥(12)의 제1 보유 지지부(14)와 대향하여 판 스프링(4)을 협지시켜도 좋다. 또한, 판 스프링(4)의 일단부를 오목부(31)에 형성하고, 타단부를 볼록부(32)에 형성하여 부착 기둥(12)의 제1 보유 지지부(14)와, 커버(5)의 제2 보유 지지부(37)를 판 스프링(4)의 단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방향성을 부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4)의 양단부에는 동체(1)에 세워 설치한 부착 기둥(12)의 상면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로서의 돌기(13) 및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의 전후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37)로서의 돌기(36) 양 쪽을 끼워 넣을 수 있는 오목부(31)가 설치되고,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에 설치한 돌기(36)는 선단부에 방대형으로 폭이 넓어진 헤드부(20)를 설치하여, 이 헤드부(20)에 의해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탄성 변형시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방대형의 헤드부(20)는 부착 기둥(12)의 돌기(13)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에 설치하는 오목형의 제2 수용부(38)를 평탄형으로 형성하여 제2 수용부(38)로 해도 좋다.
슬라이더의 조립은, 자동 조립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의 상면에 설치한 경사면부(18) 사이에 손잡이(2)의 피봇 축(26)을 적재하고, 그 상측으로 갈고리 레버(3)의 결합 돌기부(28)를 오목 함몰부(16)에 삽입하고, 정지 갈고리를 갈고리 구멍(17)에 삽입하여 동체(1)의 상부 블레이드 판(7)에 세워 설치한 전후 부착 기둥(12)의 상면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에 판 스프링(4)을 가설하고, 이 때 손잡이(2)의 피봇 축(26)을 판 스프링(4)과 경사면부(18) 사이에 개재시키고, 그 상측으로 갈고리 레버(3)를 적재시킨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부착 기둥(12)을 피복하는 형태로 커버(5)를 덮고, 제1 보유 지지부(14)가 제2 수용부(38), 제2 보유 지지부(37)가 제1 수용부(15)에 대응하여 끼움 장착시킨 후, 커버(5)를 부착 기둥(12)에 체결 고정하면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를 조립할 수 있다.
수동 조립의 경우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체(1)의 상면에 설치한 경사면부(18) 사이에 손잡이(2)의 피봇 축(26)을 적재하고, 그 상측으로 갈고리 레버(3)의 결합 돌기부(28)를 오목 함몰부(16)에 삽입하고, 정지 갈고리(29)를 갈고리 구멍(17)에 삽입하는 동시에,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에 설치한 전후단부의 돌기(36)의 제2 보유 지지부(37)에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끼워 넣어 V자형 홈(19)이 있는 돌기(36)를 좌우로 절곡하여 판 스프링(4)을 보유 지지하고, 이 상태의 커버(5)를 부착 기둥(12)에 덮어 제1 보유 지지부(14)가 제2 수용부(38), 제2 보유 지지부(37)가 제1 수용부(15)에 대응하여 끼움 장착시켜, 커버(5)를 부착 기둥(12)에 체결 고정하면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를 조립할 수 있다.
자동 조립 및 수동 조립 중 어떠한 경우라도,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에는, 제1 보유 지지부(14)의 돌기(13) 및 제2 보유 지지부(37)의 돌기(36)가 판 스프링(4)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수용되어, 판 스프링(4)의 탄성 변형을 저해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이며, 이 구성에 따라 이하에 열거하는 본 발명에 특유의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슬라이더가 동체(1), 손잡이(2), 갈고리 레버(3), 판 스프링(4), 커버(5)로 구성되고, 동체(1)의 상부 블레이드 판(7)의 전후에 부착 기둥(12)을 세워 설치하고, 부착 기둥(12)의 상면에 판 스프링(4) 보유 지지용의 제1 보유 지지부(14)를 설치하고, 커버(5)의 내면 전후에 판 스프링(4) 보유 지지용 제2 보유 지지부(37)를 설치하고, 각 보유 지지부(14, 37) 사이에 판 스프링(4)을 가설 가능하게 헐겁게 끼우고, 판 스프링(4)과 상부 블레이드 판(7) 사이에 손잡이(2)의 피봇 축(26) 및 갈고리 레버(3)를 개재시켜 커버(5)를 부착 기둥(12)에 고정함으로써, 자동 정지 기구를 구비한 슬라이더를 자동 조립이라도, 수동 조립이라도 양 쪽 모두 매우 간이하게 행할 수 있고, 조립된 슬라이더는 판 스프링(4)이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와, 커버(5)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37)에 의해 보유 지지되기 때문에 매우 안정된 상태로 배치할 수 있고, 게다가 원활하게 탄성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판 스프링(4)은 직사각형 판의 양단부에 제1 보유 지지부(14)와 제2 보유 지지부(37) 양 쪽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31), 또는 제1 보유 지지부(14)와 제2 보유 지지부(37) 양 쪽에 수용할 수 있는 볼록부(32)를 설치함으로써, 각 보유 지지부(14, 37)가 접촉하여 간섭하는 일이 없어, 판 스프링(4)의 형상에 관계 없이 각종 형상의 판 스프링(4)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여 원활하게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제1 보유 지지부(14)는 부착 기둥(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13)로 형성되어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우고, 제2 보유 지지부(37)는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36)로 형성되어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우거나, 또는 제1 보유 지지부(14)는 부착 기둥(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기(13)를 설치하여 판 스프링(4)의 볼록부(32)를 헐겁게 끼우고, 제2 보유 지지부(37)는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기(36)를 설치하여 판 스프링(4)의 볼록부(32)를 헐겁게 끼움으로써, 각종 형상의 판 스프링(4)을 유효하면서 안정된 상태로 제1 보유 지지부(14)와 제2 보유 지지부(37)에 유지할 수 있어, 원활하게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동체(1) 상의 전후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와,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의 전후단부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37)는 동체(1)와 커버(5)를 부착하였을 때, 전후로 맞지 않는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판 스프링(4)을 효율적으로 보유 지지하여 탄성 변형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다.
동체(1)와 커버(5)는 제1 보유 지지부(14)와 제2 보유 지지부(37)의 대향면에 공간부(21, 39)를 형성하고, 또한 공간부(21, 39)는 한 쪽이 부착 기둥(12)에 설치되어 제2 보유 지지부(37)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15)를 형성하고, 다른 쪽이 커버(5)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1 보유 지지부(14)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38)를 형성함으로써, 각 보유 지지부(14, 37)가 커버(5)와 동체(1)를 부착하였을 때에, 커버(5) 또는 동체(1)와 접촉하여 부착 장해물이 되는 일 없이 판 스프링(4)을 안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보유 지지하여 이상적인 탄성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제1 보유 지지부(14) 또는 제2 보유 지지부(37)는 돌기(13, 36)의 중앙에 V자형 홈(19)을 세로 설치하여 좌우로 절곡할 수 있어,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우거나, 또는 돌기(13, 36)의 선단부에 방대 헤드부(20)를 설치하여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우거나, 혹은 2개의 돌기(13, 36)를 설치하여 내측으로 절곡하고, 돌기(13, 36) 사이에 판 스프링(4)의 볼록부(32)를 헐겁게 끼움으로써, 각종 형태의 보유 지지부(14, 37)라도 판 스프링(4)이 간이하게 빠지는 일 없이 안정된 상태로 확실하게 보유 지지하여 원활한 탄성 변형을 할 수 있다.
동체(1)의 전방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의 외측에 제1 수용부(15)를 설치하고, 부착 기둥(12)의 내측에 갈고리 레버(3)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오목 함몰부(16)를 설치하고, 후방의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의 외측에 제1 수용부(15)를 설치하고, 부착 기둥(12)의 내측에 정지 갈고리(29)용 갈고리 구멍(17)을 마련하고,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의 전후단부에 제2 보유 지지부(37)를 설치하고, 이 보유 지지부(37)의 베이스부에 제2 수용부(38)를 설치하고, 제1, 제2 보유 지지부(14, 37) 사이에 판 스프링(4)을 가설하고, 커버(5)를 부착 기둥(12)에 고정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구체적으로 동체(1), 손잡이(2), 갈고리 레버(3), 판 스프링(4), 커버(5)의 5개의 부재를 이용한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를 각 부재를 이상적으로 배치하여 자동 조립 가공 또는 수동 조립 작업을 매우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2는 슬라이더 동체의 단면도.
도3은 커버의 단면도.
도4는 도3에 있어서의 IV - IV선에 따른 단면도.
도5는 돌기를 소성 변형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수동 조립에 의해 판 스프링을 커버에 유지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7은 조립한 슬라이더의 단면도.
도8은 커버의 돌기가 부착 기둥의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9는 자동 조립 가공에 의해 부착 기둥 상에 판 스프링을 적재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한 커버의 돌기가 부착 기둥의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11은 변형예를 기초로 한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12는 상기 슬라이더에 있어서의 커버의 돌기가 부착 기둥의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13은 다른 변형예의 커버와 판 스프링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4는 공지의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15는 다른 공지의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16은 또 다른 공지의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301 : 동체
2, 202 : 손잡이
3, 203 : 갈고리 레버
4, 104, 204 : 판 스프링
5, 205 : 커버
7, 107, 307 : 상부 블레이드 판
8 : 하부 블레이드 판
10 : 가이드 플랜지
11 : 가이드 홈
12, 312 : 부착 기둥
13, 36 : 돌기
14 : 제1 보유 지지부
15 : 제1 수용부
16 : 오목 함몰부
17 : 갈고리 구멍
18 : 경사면부
19, 319 : V자형 홈
20, 114 : 헤드부
21 : 공간부
25 : 손잡이부
26 : 피봇 축
28 : 결합 돌기부
29 : 정지 갈고리
31 : 오목부
32 : 볼록부
34 : 상부벽
35 : 개구부
37 : 제2 보유 지지부
38 : 제2 수용부
139 : 오목 홈
150 : 견부
212 : 지지 부재
237 : 판 스프링 지지부
314 : 계지부
339 : 피복 오목부

Claims (12)

  1. 슬라이더는 동체(1), 손잡이(2), 갈고리 레버(3), 판 스프링(4), 커버(5)로 구성되고, 동체(1)의 상부 블레이드 판(7)의 전후에 부착 기둥(12)을 세워 설치하고, 부착 기둥(12)의 상면에 판 스프링 보유 지지용 제1 보유 지지부(14)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커버(5)의 내면 전후에 판 스프링 보유 지지용 제2 보유 지지부(37)를 설치하고, 각 보유 지지부(14, 37) 사이에 판 스프링(4)을 가설 가능하게 헐겁게 끼우고, 판 스프링(4)과 상부 블레이드 판(7) 사이에 손잡이(2)의 피봇 축(26) 및 갈고리 레버(3)를 개재시키고, 커버(5)를 부착 기둥(12)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이며,
    동체(1)와 커버(5)는 동체(1)에 배치하는 제1 보유 지지부(14)와 커버(5)에 배치하는 제2 보유 지지부(37)와의 대향면에 공간부(21, 39)를 형성하며,
    공간부(21)는 동체(1)의 부착 기둥(12)에 설치되어 제2 보유 지지부(37)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15)를 형성하고, 공간부(39)는 커버(5)의 내면에 설치되어 제1 보유 지지부(14)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3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2. 제1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4)은 직사각형 판의 적어도 일단부에 제1 보유 지지부(14)와 제2 보유 지지부(37) 양 쪽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31)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3. 제1항에 있어서, 판 스프링(4)은 직사각형 판의 적어도 일단부에 제1 보유 지지부(14)와 제2 보유 지지부(37) 양 쪽에 수용할 수 있는 볼록부(3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4. 제2항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부(14)는 부착 기둥(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13)로 형성되어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우고, 제2 보유 지지부(37)는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기(36)로 형성되어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5. 제3항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부(14)는 부착 기둥(1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기(13)를 설치하여 판 스프링(4)의 볼록부(32)를 헐겁게 끼우고, 제2 보유 지지부(37)는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으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기(36)를 설치하여 판 스프링(4)의 볼록부(32)를 헐겁게 끼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6. 제1항에 있어서, 동체(1) 상의 전후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와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의 전후에 설치한 제2 보유 지지부(37)는 동체(1)와 커버(5)를 부착하였을 때, 전후로 맞지 않는 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7. 삭제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부(14) 또는 제2 보유 지지부(37)는 돌기(13, 36)의 중앙에 V자형 홈(19)을 세로 설치하여 좌우로 절곡 가능하게 형성하고,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10. 제4항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부(14) 또는 제2 보유 지지부(37)는 돌기(13, 36)의 선단부에 방대형의 헤드부(20)를 설치하고, 판 스프링(4)의 오목부(31)를 헐겁게 끼움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11. 제5항에 있어서, 제1 보유 지지부(14) 또는 제2 보유 지지부(37)는 2개의 돌기(13, 36)를 설치하고, 돌기(13, 36) 사이에 판 스프링(4)의 볼록부(32)를 헐겁게 끼워 내측으로 절곡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12. 제1항에 있어서, 동체(1)의 전방의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의 외측에 제1 수용부(15)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 기둥(12)의 내측에 갈고리 레버(3)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오목 함몰부(16)를 설치하고, 후방의 부착 기둥(12)에 설치한 제1 보유 지지부(14)의 외측에 제1 수용부(15)를 설치하고, 상기 부착 기둥(12)의 내측에 정지 갈고리 끼움 삽입 통과용 갈고리 구멍(17)을 마련하고, 커버(5)의 상부벽(34) 내면의 전후단부에 제2 보유 지지부(37)를 설치하고, 상기 보유 지지부(37)의 베이스부에 제2 수용부(38)를 설치하고, 제1, 제2 보유 지지부(14, 37) 사이에 판 스프링(4)을 가설하고, 커버(5)를 부착 기둥(12)에 고정가능하게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KR10-2003-0075305A 2002-10-29 2003-10-28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KR100518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13760 2002-10-29
JP2002313760A JP3935819B2 (ja) 2002-10-29 2002-10-29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721A KR20040038721A (ko) 2004-05-08
KR100518694B1 true KR100518694B1 (ko) 2005-10-05

Family

ID=3208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305A KR100518694B1 (ko) 2002-10-29 2003-10-28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993810B2 (ko)
EP (1) EP1415563B1 (ko)
JP (1) JP3935819B2 (ko)
KR (1) KR100518694B1 (ko)
CN (1) CN100342808C (ko)
DE (1) DE60311382T2 (ko)
ES (1) ES2279069T3 (ko)
HK (1) HK1064892A1 (ko)
TW (1) TWI226224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13Y1 (ko) 2007-10-03 2010-10-01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지퍼 슬라이더
US9060574B2 (en) 2013-05-20 2015-06-23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Cap structure having an inner surface concave feature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478507Y1 (ko) * 2013-05-20 2015-10-14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내표면 요함을 가지는 덮개 구조 및 지퍼 슬라이더 조합 구조
KR20210107368A (ko) 2020-02-24 2021-09-01 (주) 정남 자동차 헤드램프 하우징 커버 렌즈용 치수 검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6691C (zh) * 2004-07-28 2008-12-31 杨士圣 防水拉链头装饰盖制造方法
US20060282994A1 (en) * 2005-06-14 2006-12-21 Dennis Kupperman Locking zipper glide device
DE112006001676B4 (de) * 2005-06-21 2015-04-02 Ykk Corp. Einsteller
US7257869B2 (en) * 2006-01-17 2007-08-21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JP2008161246A (ja) * 2006-12-27 2008-07-17 Ykk Corp ばね性を備えた部材及びこれを使用した製品
KR200447224Y1 (ko) 2007-06-04 2010-01-06 유-파우 린 지퍼 슬라이더의 커버 구조체
US7464445B1 (en) * 2007-06-29 2008-12-16 Yu-Pau Lin Cap structure for zipper
JP5008518B2 (ja) * 2007-10-12 2012-08-22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WO2009133617A1 (ja) 2008-05-01 2009-11-05 Ykk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TWM352275U (en) * 2008-05-23 2009-03-11 Chung Chwan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zipper puller
US20090313793A1 (en) * 2008-06-23 2009-12-24 Yu-Pau Lin Zipper head
HK1133363A2 (en) * 2009-01-23 2010-03-19 Hung Hing Entpr Ltd A zipper slider for easy mounting zipper pull
WO2011070659A1 (ja) * 2009-12-09 2011-06-1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2554073B1 (en) * 2010-04-02 2015-12-23 YKK Corporation Slider for slide fastener
TWM407650U (en) * 2010-09-24 2011-07-21 Chung Chwan Entp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cap of zipper head
JP5575976B2 (ja) * 2011-03-24 2014-08-20 Ykk株式会社 簡易ロック機構を有するスライドファスナー
WO2013011592A1 (ja) * 2011-07-21 2013-01-24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CN103702585A (zh) * 2011-07-28 2014-04-02 Ykk株式会社 拉链用拉头
CN103169206A (zh) * 2012-06-27 2013-06-26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拉链自动头
US10194719B2 (en) * 2012-08-04 2019-02-05 Kee (Guangdong) Garment Accessories Limited Enhanced slider
WO2015068237A1 (ja) * 2013-11-07 2015-05-14 Ykk株式会社 カバーの板バネ取付装置
CN103815622A (zh) * 2014-02-28 2014-05-28 施国荣 一种自锁拉链头
TWI556760B (zh) * 2014-11-12 2016-11-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具有可更換式拉片的拉鍊頭組合結構
TWI592106B (zh) * 2015-03-13 2017-07-2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用於提升抗扭強度的拉鍊頭組合結構及其滑動件
CN106560107A (zh) * 2015-12-01 2017-04-12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折弯直弹片的拉头
CN207561458U (zh) * 2017-06-16 2018-07-03 Ykk株式会社 拉链用拉头
TWI643574B (zh) * 2017-11-24 2018-12-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帽蓋結構及拉鍊頭組合結構
US11122868B2 (en) 2017-11-24 2021-09-21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p structure
IT201800004992A1 (it) * 2018-05-02 2019-11-02 Cursore per cerniera lampo.
WO2020026334A1 (ja) 2018-07-31 2020-02-06 Ykk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スライダー
TWD208107S (zh) * 2019-01-30 2020-11-11 中傳企業股份有限公司 拉鏈頭之帽蓋
EP4162834A4 (en) * 2020-06-08 2023-07-19 Ykk Corporation PUSH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300A (en) * 1995-08-31 1997-09-09 Ykk Corporation Auto-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3905A (en) 1956-09-07 1960-11-09 Hansen Harry A slider for sliding clasp fasteners
JPS5637606Y2 (ko) * 1976-09-20 1981-09-03
JPS5758966Y2 (ko) * 1978-02-23 1982-12-16
JPS5893209U (ja) * 1981-12-21 1983-06-2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用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ダ−
JPH0219048Y2 (ko) * 1985-05-24 1990-05-28
JPH0219049Y2 (ko) * 1985-05-24 1990-05-28
NL8502235A (nl) 1985-08-13 1987-03-02 Ahrend Group Bv Ondersteuningsconstructie voor bureau- of tafelblad.
JPH0219049A (ja) 1988-07-07 1990-01-23 Nec Corp 時分割多重機能付データ変復調装置
JP3393572B2 (ja) * 1996-04-30 2003-04-07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およびそのスライダーのカバー成形金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4300A (en) * 1995-08-31 1997-09-09 Ykk Corporation Auto-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413Y1 (ko) 2007-10-03 2010-10-01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지퍼 슬라이더
US9060574B2 (en) 2013-05-20 2015-06-23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Cap structure having an inner surface concave feature an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same
KR200478507Y1 (ko) * 2013-05-20 2015-10-14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내표면 요함을 가지는 덮개 구조 및 지퍼 슬라이더 조합 구조
KR20210107368A (ko) 2020-02-24 2021-09-01 (주) 정남 자동차 헤드램프 하우징 커버 렌즈용 치수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93810B2 (en) 2006-02-07
CN100342808C (zh) 2007-10-17
ES2279069T3 (es) 2007-08-16
CN1498562A (zh) 2004-05-26
KR20040038721A (ko) 2004-05-08
TW200417334A (en) 2004-09-16
JP2004147729A (ja) 2004-05-27
US20040078942A1 (en) 2004-04-29
TWI226224B (en) 2005-01-11
DE60311382D1 (de) 2007-03-15
DE60311382T2 (de) 2007-11-08
HK1064892A1 (en) 2005-02-08
JP3935819B2 (ja) 2007-06-27
EP1415563A1 (en) 2004-05-06
EP1415563B1 (en)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694B1 (ko) 자동 정지 장치가 달린 슬라이드 패스너용 슬라이더
JP5008518B2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908444B1 (ja) 携帯機器用ホルダ
US6804867B2 (en) Pull of slider for slide fastener
JP5501252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EP1541051B1 (en) Slider for slider fastener with automatic stopper
JP4307356B2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018049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JP3330448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自動停止機構付きスライダー
KR10027541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EP1479306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JP5106629B2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20130063534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5318228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5971791A (en) Waterproof connector
KR20080077561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WO2014080532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H11253211A (ja) 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13031691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2013006083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H0611778U (ja) パチンコ機用通過チャッカー
JP4383849B2 (ja) 二部材の取付機構
JP2005058442A (ja) バックル
JP2740839B2 (ja) ヘツドレスト保持装置
JP2503237Y2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