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417B1 -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417B1
KR100275417B1 KR1019980017524A KR19980017524A KR100275417B1 KR 100275417 B1 KR100275417 B1 KR 100275417B1 KR 1019980017524 A KR1019980017524 A KR 1019980017524A KR 19980017524 A KR19980017524 A KR 19980017524A KR 100275417 B1 KR100275417 B1 KR 100275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ever
spring
attachment lug
interferenc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091A (ko
Inventor
히데유키 마쯔시마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1998008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A44B19/30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 A44B19/308Sliders with means for locking in position in the form of a spring-actuated locking member actuated by the pull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24Details
    • A44B19/26Sli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68Protrusion on pull tab directly engaging interlock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6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 Y10T24/257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osition locking-means attached thereto having surface engaging element shifted by reorientation of pull tab
    • Y10T24/2571Resilient or spring biased element
    • Y10T24/2577Biased by distinct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5Zipp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2561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 Y10T24/2586Slider having specific configuration, construction, adaptation, or material including pull tab attaching means

Abstract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에서, 슬라이더 동체는, 견인 탭(2) 엑슬(39)의 통로용 공간부(14)가 상부 윙(3)의 상부 면으로 형성하도록 슬라이더 동체의 후방 단부(9) 쪽으로 연장하고 슬라이더 동체의 전방 단부(8)에서 상부 윙(3)의 상부 면에 직립 설치되며 슬라이더 동체(1)의 전방 측에 대해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 면(17)을 가지는 균일한 폭의 간극부(11)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진 한 쌍의 외팔보 원호형상 부착 러그(10)와; 그 일 단부에서 후크(24)를 가지고 부착 러그(10) 사이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억지 레버(20)와; 후크(24)에 의해 공간부(14)를 정상적으로 폐쇄하도록 피봇적으로 움직이도록 억지 레버(20) 가압을 위해 억지 레버(20)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상부 단부가 있는 스프링 수용 홀(16)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원은 다양한 종류의 견인 탭(2)이 조립된 슬라이더 동체(1)에 부착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본 발명은 슬라이더 동체가 조립되어진 후에 견인 탭이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되어 잘못된 이탈이 방지되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slide fastener slider)에 관한 것이다.
상술된 형태의 것으로 각종 형태의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가 현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평1-14761호는, 상부 윙과 부착 러그와의 사이에 견인 탭의 엑슬(axle) 유지를 위해 그 후방 단부 쪽으로 연장되고 그 전방 단부에서 슬라이더 동체의 상부 윙에 일체적으로 직립 설치된 외팔보 원호형상 부착 러그와, 견인 탭의 엑슬의 통과를 위해서 부착 러그의 후방 단부에 대해서 적합한 형태로 된 상부 윙의 상부 면에 형성된 리세스와, 부착 러그의 후방 단부와 상부 윙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정상적으로 폐쇄하도록 부착 러그 또는 슬라이더 동체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자유형태의 슬라이더를 개시하고 있다. 제조 시에 있어서, 견인 탭을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엑슬이 상기 공간부를 통해 지나가도록 탄성부재가 견인 탭의 엑슬에 의해 변형된다. 따라서, 견인 탭은 자유로운 착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10 에 개시된 일본국 실공평4-32974호 공보에는, 상부 윙(3')의 후방 단부 쪽으로 연장되고 가이드 포스트(5')의 상부 단부에 직립 설치된 부착 러그(10')에 그 전방 단부에 피봇적으로 장착된 원호형상 견인 탭 홀더(20')와, 가이드 포스트(5') 내에 작은 수직 홀(small vertical hole)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26')과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를 가지고 그리고 상부 윙(3')의 로킹 파울(locking pawl) 삽입 홀(28')에 삽입되는 그 후방 단부 예를 들면 로킹 파울(36')을 가지는 가이드 포스트(5')를 향하는 위치에 부착 러그(10')에 피봇적으로 장착된 로킹 레버(35')를 구비하고, 로킹 레버(35')는 견인 탭의 엑슬이 로킹 레버(35')의 동작을 수용하는 후방 방향으로 개방된 리세스(41')를 그 상부 측에 가지는,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개시하고 있다. 견인 탭 홀더(20')의 후방 단부는 견인 탭의 엑슬 통로용 공간부를 상부 윙(3')에 형성한다. 공간부 폐쇄부재(50')는 가이드 포스트(5') 쪽으로 공간부 개방 위치와 공간부 폐쇄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동작을 위해 상부 윙(3')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를 받고 있다. 엑슬에 의한 공간부로부터 이격지게 공간부 폐쇄부재(50')를 압압하여, 견인 탭은 공간부를 경유하여 견인 탭 홀더(20')에 끼워지고 제거된다.
도 11 에 도시된 중화민국 특허 제 264642호 공보에는, 견인 탭의 엑슬 통로용 공간부를 가이드 포스트(5")의 상부 면과 부착 러그(10")의 하 방향 굽힘 전방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그 전방 단부 쪽으로 예를 들면 가이드 포스트(5")의 상부 단부 쪽으로 연장되고 그 후방 단부에 상부 윙(3")에 직립 설치된 외팔보로 된 원호형상 부착 러그(10")와, 가이드 포스트의 제 1 수직 관통 홀(16"-1)에 수용되는 스프링(26")과, 공간부(14")을 폐쇄하기 위해 부착 러그(10")의 전방 단부의 하부 면에 대항하여 정상적으로 가압되고 스프링(26")의 상부 단부에 지지되는 공간부 폐쇄부재(50")와, 제 1 수직 관통 홀(16"-1)과 함께 정렬 설치된 부착 러그의 전방 단부에서 연장되는 제 2 수직 관통 홀(16"-2)과, 부착 러그(10")의 전방 단부에 제 2 수직 관통 홀(16"-2)을 수직적으로 횡단하는 수평 로킹 레버 부착 홀(42")과, 슬라이더 동체(1")의 가이드 채널(7") 내로 철회 가능하게 돌출 되도록 상부 윙(3")의 로킹 파울 삽입 홀(28")에 삽입되는 그 후방 단부 예를 들면 로킹 파울(36")을 가진 로킹 레버 부착 홀(42")에 수용되는 탄성 로킹 레버(35")와, 그리고 로킹 레버(35")를 고정하도록 로킹 레버의 베이스의 슬롯(43")내에 삽입되는 로킹 레버 앵커링 스트립(60')을 포함하는, 자동 로킹 메카니즘을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개시하고 있다. 엑슬에 의해 부착 러그(10")의 전방 단부가 공간부 폐쇄부재(50")를 하 방향으로 벗어나게 압압하여, 공간부(14")를 경유하여 부착 러그(10")에 견인 탭이 끼워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첫 번째 공보에 개시된 슬라이더에서는, 부분적으로 견인 탭의 견인력이 탄성부재에 직접 작용하고 부분적으로 탄성부재가 부착 러그에서 지지됨으로, 안정된 견인-탭-억지 메카니즘을 달성할 수가 없다. 더욱이, 견인 탭 착탈 메카니즘과 견인 탭 유지 메카니즘이 복잡함으로, 간단한 슬라이더의 조립이 곤란하고 따라서 생성 슬라이더는 자동적인 조립공정용으로 적합하지가 않다.
도 10 에 도시되고 상기 두 번째 공보에 개재된 자동 로크 슬라이더에서는, 그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원할한 작동 및 운영을 위한 적절한 조정을 수행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자동 로킹 메카니즘 또는 공간부 폐쇄 메카니즘의 어느 하나가 상당히 많은 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효율적인 조립동작을 이루기가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슬라이더는 자동 조립동작용으로 적절하지가 않다. 더욱이, 이러한 슬라이더는 특정한 구조로 인하여 높이를 크게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구조를 납작하게 만들 수 없어서 간결한 외관을 이룰 수가 없다.
또한, 도 11 에 도시되고 상기 세 번째 공보에 개시된 자동 로크 슬라이더에서는, 자동 조립기에서의 스트림라인 공정에서 자동 로킹 메카니즘과 견인 탭 제거방지 메카니즘을 조립하기가 곤란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종래 기술 슬라이더는 자동 조립공정용으로 적합하지가 않다. 더욱이, 견인 탭이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되어진 후에, 견인 탭의 엑슬은 공간부 폐쇄부재(50")와 직접 접촉되어지게 되어, 파스너 요소 열(rows) 밖으로 로킹 파울(36")이 철수하도록 로킹 레버(35")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슬라이더의 다른 모든 부재가 조립된 후에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 러그에 견인 탭이 부착되고, 감소된 부품 수로 구성된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따라서 단순한 자동 조립공정으로 생산되고, 작동이 우수하고 고장이 거의 없고, 전체 외관이 편평한 형상의 간결한 외형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견인 탭의 견인 시에 슬라이더 동체에 강인한 부착 러그로 견인 탭의 엑슬이 용이하게 안내되어,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 원할한 조작을 보장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 러그에 부착되어진 후에, 견인 탭이 임의 방향으로 견인을 받을 시에 견인 탭이 슬라이더 동체의 잘못된 이탈이 없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 러그에 부착되어진 후에, 그 견인 시에 강인한 부착 러그에 견고하고 신뢰성 있게 견인 탭이 안내되고,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에서 선택된 어느 한 개를 사용하는 단순한 견인 탭 이탈방지 메카니즘을 가지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간단하게 조립되고 자동 메카니즘이 부드럽게 동작되는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로킹 레버가 견인 탭의 견인으로 원만하게 동작되어, 신뢰성 있고 용이한 로킹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면에 따라서: 가이드 포스트에 의해 그 전방 단부에서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윙으로 구성된 슬라이더 동체와; 각각의 러그는 공간부가 상부 윙의 상부 면에 형성되도록 슬라이더 동체의 후방 단부 쪽으로 연장하고 슬라이더 동체의 전방 단부에 상부 윙의 상부 면이 직립 설치되며, 균일한 두께의 간극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진 한 쌍의 외팔보 원호형상 부착 러그와; 공간부를 통해 지나가기에 적합한 엑슬을 그 일 단부에서 가지는 견인 탭과; 가이드 포스트 내로 간극부에서 연장되는 스프링 수용부를 가지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부착 러그와; 그 일 단부에 의해 공간부를 폐쇄하도록 간극부 내에서의 피봇 이동을 위한 부착 러그의 베이스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억지 레버와; 일 단부에 의해 공간부를 정상적으로 폐쇄하도록 피봇적으로 움직이도록 억지 레버 가압을 위해 억지 레버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상부 단부가 있는 스프링 수용부에 수용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면에 따라서, 억지 레버의 일 단부는 후크가 되도록 내 방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면에 따라서, 상부 윙은 스프링 탄성 하에서 후크가 정상적으로 수용되는 리세스를 억지 레버의 후크와 상관하여 대면하는 그 상부 면에서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면에 따라서, 공간부가 억지 레버의 후크에 의해 폐쇄되면 억지 레버의 내 모서리에 부착 러그의 내 모서리가 측면에 정렬 설치되고, 스프링 수용부는 가이드 포스트 내로 부착 러그의 베이스의 대면 내부 면을 통해서 연장되는 수직 홀이고, 스프링은 억지 레버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상부 단부를 가진 수직 홀 내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간극부는 수직 홀에 대해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 면을 부착 러그의 베이스에서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면에 따라서, 부착 러그의 내 모서리는 억지 레버의 후크에 의해 공간부가 폐쇄되게 되면 억지 레버의 내 모서리에 부착 러그의 내 모서리가 측면으로 정렬 설치되게 되고, 스프링 수용부는 부착 러그의 베이스에서 간극부의 저부 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이고, 스프링은 억지 레버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상부 부분이 있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 내에 수용되는 U형상 판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제 6 면에 따라서, 부착 러그의 내 모서리는 공간부가 억지 레버의 후크에 의해 폐쇄되면 억지 레버의 내 모서리에 부착 러그의 내 모서리가 측면으로 정렬 설치되고, 스프링 수용부는 슬라이더 동체의 전방 단부 쪽으로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를 가지고 부착 러그의 베이스에서 간극부의 저부 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 이고, 스프링은 슬라이더 동체에 고정된 그 후방 단부를 가지고 억지 레버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가 있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 내에 수평적으로 수용되는 평탄한 판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제 7 면에 따라서, 슬라이더는 수평적인 L형상 로킹 레버를 구비하는 자동 로크 슬라이더이고, 상부 윙은 가이드 포스트와 로킹 파울 삽입 홀과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간극부의 두께와 동일한 역L형상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와 로킹 파울 삽입 홀을 그 상부 면에 가지고, 로킹 레버는 개별적으로 그 상부 및 하부 측에서 억지 레버와 스프링과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가 있는 로킹 파울 삽입 홀 내에 삽입되도록 로킹 파울을 그 후방 단부에서 가지고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를 따라 지지를 받고, 그리고 그 상부 측에 억지 레버의 하부 면을 마찰식으로 접촉하는 중앙 굽힘부를 구비하고, 억지 레버의 내 모서리는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부착 러그의 내 모서리에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 면에 따라서, 로킹 레버는 상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을 형성하도록 그 전방 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굽어지고, 억지 레버는 오목부의 내측 면과 마찰식으로 접촉된 돌출부를 타 단부에서 구비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 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견인 탭이 탈착된 제 1 실시예의 슬라이더의 동체의 종단면도.
도 3 은 탈착 가능한 견인 탭이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탈착된 견인 탭이 있는 변경된 자유 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탈착된 견인 탭이 있는 다른 변경된 자유 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탈착가능한 견인 탭을 가진 다른 변경된 자유 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 8 은 탈착된 견인 탭이 있는 제 5 실시예의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9 는 견인 탭이 슬라이더 동체에 부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 은 탈착된 견인 탭이 있는 종래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 11 은 탈착된 견인 탭이 있는 다른 종래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더 동체 2 : 견인 탭
3 : 상부 윙 5 : 가이드 포스트
8 : 전방 단부 9 : 후방 단부
10 : 외팔보 원호형상 부착 러그 11 : 균일 폭 간극부(hollow)
12 : 베이스(基部) 14 : 공간부(gap)
15 : 스프링 수용부(리세스) 16 : 수직 스프링 수용 홀(hole)
20 : 억지 레버(catch lever) 24 : 후크
25 : 오목부 26 : 스프링
28 : 로킹 파울(pawl) 삽입 홀 32 :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溝)
33 : 돌출부 35 : 로킹 레버
36 : 로킹 파울 37 : 오목부(원호형상부)
38 : 굽힘부 39 : 엑슬(axle)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 은 다수의 다른 자유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내지 도 9 는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자유형태의 슬라이더에 있어서 설명하면, 슬라이더 동체(1)는 상부 윙(3)과 하부 윙(4)을 가이드 포스트(5)에 의해 그 전방 단부에서 연결하고 있고, 상부 윙과 하부 윙(3, 4) 각각은 양측 모서리에서 굽어진 한 쌍의 가이드 프랜지(6)를 구비하여, 한 쌍의 파스너 요소 열(rows)의 통로용 가이드 채널(7)을 상부 및 하부 윙(3, 4) 사이에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동체는 일 측의 상부 및 하부 윙(3, 4)만에 한 쌍의 가이드 프랜지(6)를 구비할 수 있다.
슬라이더 동체(1)에는 그 상부 윙(3)의 상부 면에, 전방 단부(8)에서 후방 단부(9) 쪽으로 연장하고 견인 탭(2)이 부착되는 한 쌍의 원호형상 부착 러그(10)가 설치된다. 각각의 부착 러그(10)에는 견인 탭(2)의 엑슬(39)의 통로용 공간부(14)가 상부 윙(3)의 상부 면으로 형성된 하 방향으로 굽어진 후방 단부가 있다. 부착 러그(10)는 가이드 포스트(5)의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된 광폭 베이스(12)를 가지고,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간극부(11)가 형성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서, 억지 레버(20)가 그 피봇 홀(22)과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의 한 쌍의 피봇 홀(13) 안을 통해 연장되는 수평 피봇(27)에 대한 피봇 유동용 간극부(11)에 피봇식으로 수용된다.
부착 러그(10)는, 가이드 포스트(5) 내로 베이스(12)의 내측 면으로부터 연장하고 단면 원형상을 가지는 수직 홀(16) 내에 스프링 수용부(15)를 가이드 포스트(5)와 연결하여 형성된다. 간극부(11)는 전방 측으로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 면(17)을 베이스(12) 사이에 갖는다. 코일 스프링(26)은 간극부(11)의 저부 면(17)으로부터 약간 돌출 되도록 수직 홀(16) 내에 삽입된다.
억지 레버(20)는 간극부(11)의 경사 저부 면(17)과 접촉하게되는 종방향으로 두터운 베이스 단부(21)를 가지고, 부착 러그(10) 사이에 간극부(11) 내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다른 한편, 억지 레버(20)의 후방 단부는 상부 윙(3)과 부착 러그(10)의 후방 단부 사이에 공간부(14)를 정상적으로 폐쇄하기 위한 후크(24)로서 내 방향으로 경사져 굽어지게 된다. 억지 레버(20)는 부착 러그(10)에 수용 시에 부착 러그(10)에 의해 숨겨지게 되는 형상을 가지고; 특히 후크(24)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6)의 탄성 하에서 공간부(14)를 폐쇄하도록 상부 윙(3)과 접촉할 시에,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는, 견인 탭(2)이 부착 러그(10)에 부착되어진 후에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를 따라서 견인 탭(2)의 엑슬(39)이 활주하는 방식으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에 측면 정렬 설치된다.
제조 시에, 먼저 슬라이더 동체(1)와 억지 레버(20)가 다이 캐스팅으로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아연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성형되고, 다음 자동 조립공정으로 양쪽이 금속으로 만들어진 코일 스프링(26)과 피봇(27)으로 조립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필요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견인 탭(2)이 생성 슬라이더 동체(1)에 부착된다. 다르게는, 슬라이더 동체(1)와 억지 레버(20)가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으로 폴리아세탈(polyacetal),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terephthalate)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공정에서, 코일 스프링(26)은 그 상부 단부로부터 부착 러그(10)의 수직 홀(16) 내로 삽입되고 다음, 억지 레버(20)가 그 피봇 홀(22)에 축선 방향으로 부착 러그(10)의 피봇 홀(13)이 정렬 설치되고 베이스(21)가 스프링(26)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부착 러그(10) 사이에 간극부(11) 내에 삽입되며, 이러한 상황에서 피봇(27)은 그 피봇 홀(13, 22)을 통해 삽입되어, 그 대향측 단부를 클린칭하는 수단에 의해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에 고정된다. 따라서, 억지 레버(20)는 후크(24)가 스프링(26)의 탄성 하에서 공간부(14)를 정상적으로 폐쇄시키는 방식으로 부착 러그(10)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다음, 슬라이더 동체(1)의 조립작업이 완성된다. 이러한 조립공정이 완성되면, 억지 레버(20)의 후크(24)는, 베이스(21)의 하부 단부가 스프링(26)을 압박하여 간극부(11)의 경사 저부 면(17)과 접촉되게 하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탭(2)의 엑슬(39)에 의해 공간부(14)를 상 방향으로 밀어서, 견인 탭(2)의 엑슬(39)이 공간부(14)를 통하여 지나가게 허용한다. 그 결과, 슬라이더 동체(1)로의 견인 탭(2)의 부착작업이 완성되어, 슬라이더가 전진 및 후진방향으로 견인 탭(2)을 다루어 활주시키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변경된 자유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변경된 슬라이더의 슬라이더 동체(1)는 스프링 수용부(15)가, 가이드 포스트(5)의 상부 면에 가이드 포스트(5)의 하부 단부 보다 더 짧게 마감되고 간극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상부 윙(3)의 상부 면으로부터 가이드 포스트(5) 쪽으로 연장하는, 전방 측에서 더 깊은, 스프링 수용 리세스를 형성하고, 그리고 U형상 판 스프링(26)이 스프링 수용 리세스(15)의 저부 면에 계단부(18)에 끼워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구조의 것이다.
다른 면에서, 억지 레버(20)의 베이스(21)는 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U형상 판 스프링(26)을 유지하기 위해 그 전방 모서리에서 돌출부(23)와 대체로 수평적인 저부를 갖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억지 레버(20)가 후크(24)에 의해 공간부(14)를 폐쇄하면, 그 내 모서리는 견인 탭(2)의 강력한 견인동작에 대한 향상된 내성을 제공하는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와 측면으로 정렬 설치된다.
슬라이더 동체(1) 조립에서는, U형상 판 스프링(26)이 리세스(15)의 경사진 저부의 계단부(18)에 끼워 설치되는 그 하부 부분의 전방 단부가 있는 부착 러그(10)의 간극부(11)를 통해 가이드 포스트(5)에 스프링 수용 리세스(15)내에 배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억지 레버(20)는 억지 레버(20)의 베이스(21)의 저부의 돌출부(23)와 접촉하여 탄성 접촉하는 U형상 판 스프링(26)의 상부 부분의 전방 단부와 같이 상부 측으로부터 간극부(11)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억지 레버(20)의 피봇 홀(22)은 부착 러그(10)의 피봇 홀(13)에 축선 방향으로 정렬 설치된다. 다음, 피봇(27)은 정렬 설치된 피봇 홀(13, 22)을 통해 삽입되며, 억지 레버(20)는 피봇적으로 운동 가능하게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 동체(1)의 조립공정이 완성된다. 이러한 조립공정이 완성된 후에, 억지 레버(20)의 후크(24)는 U형상 판 스프링(26)의 탄성에 대하여 견인 탭(2)의 엑슬(39)에 의해 후방측으로부터 공간부(14)를 상 방향으로 밀어서, 견인 탭(2)의 엑슬(39)이 공간부(14)를 통해 지나가게 허용한다. 그러한 결과, 슬라이더 동체(1)에 대한 견인 탭(2)의 부착공정이 완성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다른 변경된 자유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평평한 판 스프링(26)이 간극부(11)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가이드 포스트(5) 내로 연장하는 보다 얇은 스프링 수용 리세스(15)에 수평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 에 슬라이더의 구조와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얕은 깊이의 리세스(15)는 또한 평판 스프링(26)의 동작이 용이하게 전방 측에 대해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 면(17)을 갖는다. 도면 번호 '19'는 얕은 리세스(15)의 후방 단부에 앵커동작 돌출부를 나타내며 평판 스프링(26)의 후방 단부를 유지하도록 클렌치된다.
억지 레버(20)의 후방 단부에서, 후크(24)는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공간부(14)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억지 레버(20)의 전방 단부에서, 베이스(21)의 후방 저부는 평판 스프링(26)이 탄성 변형을 위해 적절하게 하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그 후방 모서리 쪽으로 점진적으로 굽어지는 원호 면을 갖는다. 이전 실시예와 유사하게, 억지 레버(20)가 후크(24)에 의해 공간부(14)를 폐쇄하면, 그 내 모서리는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에 측면 정렬 설치되게 된다.
슬라이더 동체(1)의 조립을 위해서, 평판 스프링(26)이 얕은 리세스(15)의 후방 모서리에 앵커작용 돌출부(19)와 접촉하는 스프링의 후방 단부가 있는 부착 러그(10)의 간극부(11)를 통해 가이드 포스트(5)에 얕은 리세스(15) 내에 대체로 수평적으로 배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앵커작용 돌출부(19)는 평판 스프링(26)의 후방 단부를 고정하도록 클렌치된다. 다음, 평판 스프링(26) 위로, 억지 레버(20)가 평판 스프링(26)에 탄성적으로 놓여있는 전방 저부 단부가 있는 상부 측으로부터 간극부(11)에 배치되고, 슬라이더 동체(1)의 조립작업의 완성으로 피봇(27)에 의해 부착 러그(10)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조립작업이 완성된 후에, 억지 레버(20)의 후크(24)는 평판 스프링(26)의 탄성에 대항하여 견인 탭(2)의 엑슬(39)에 의해 후방 측으로부터 공간부(14)를 상 방향으로 압압하여, 견인 탭(2)의 엑슬(39)이 공간부(14)를 통해 지나가도록 한다. 결과로서, 슬라이더 동체(1)로의 견인 탭(2)의 부착작업이 완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다르게 변경된 자유형태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하게 변경된 슬라이더는 부착 러그(10)의 후방 단부와 관련하여 대면된 상부 윙(3)의 후방 단부(9)에 후크 수용 리세스(25)를 가지는 것이 상술된 슬라이더와는 다른 것이다. 이러한 후크 수용 리세스(25)는 부착 러그(10)의 후방 단부의 하부 면을 커버하는 광폭 이상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변경은 특히 엑슬을 대신하는 부착 링을 일 단부에서 가지는 형태로 된 견인 탭(2)에서 유용한 것이고; 이러한 경우에, 후크 수용 리세스(25)는 부착 링 엑슬(39)의 외형상과 대체로 유사하여, 견인 탭(2)의 부착 링 엑슬(39)의 두께보다 작은 상부 윙(3)의 상부 면과 부착 러그(10)의 후방 단부와의 사이에 활동 가능한 공간부를 만들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하게 정렬 설치되어, 견인 탭(2)이 임의적인 상태에서 견인되더라도, 견인 탭(2)이 상 방향으로 억지 레버(20)의 후크(24)를 밀으므로서 슬라이더 동체(1)가 잘못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자동 로크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슬라이더는 자동적 로킹 메카니즘이 장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자유 형태 슬라이더가 갖는 구조와 동일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로크 슬라이더에서는, 상술된 자유형태 슬라이더와 유사하게, 슬라이더 동체(1)가 가이드 포스트(5)에 의해 그 전방 단부에서 연결된 상부 및 하부 윙(3, 4)으로 구성되고, 상부 및 하부 윙(3, 4)의 각각은 쌍으로된 파스너 요소 열(a pair of rows of fastener elements)의 통로용으로 가이드 채널(7)을 상부 및 하부 윙(3, 4) 사이에서 한정하도록 그 대향 측 모서리를 따라 굽어진 한 쌍의 가이드 프랜지(6)를 구비한다.
슬라이더 동체(1)는 부가적으로 견인 탭(2)이 부착되는 한 쌍의 원호형상 부착 러그(10)를 그 상부 윙(3)의 상부 면에 가지고, 부착 러그(10)는 슬라이더 동체(1)의 후방 단부(9)를 향하는 방향으로 전방 단부(8)가 연장되어 있는 것이다. 부착 러그(10)의 각각은 견인 탭(2)의 엑슬(39) 통로용 공간부(14)가 상부 윙(3)의 상부 면에 형성된 하 방향으로 굽어진 후방 단부를 구비한다. 부착 러그(10)는 그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 두께로 형성된 간극부(11)를 형성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이격지고 가이드 포스트(5)가 상부 면으로부터 돌출된 상대적으로 넓은 베이스(12)를 구비하여서, 억지 레버(20)가 그 피봇 홀(22)과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의 한 쌍의 피봇 홀(13) 안을 통해 연장되는 수평적 피봇(27)에 대한 피봇 이동을 위해서 간극부(11)내에 피봇적으로 장착되게 된다. 부착 러그(10)는 가이드 포스트(5) 내로 전방 단부(8)를 향하는 위치에서 베이스(12)의 내측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지는 수직 홀(16)을 형성하는 스프링 수용부(15)를 가이드 포스트(5)에 연결시키어 형성한다.
자동 로크 슬라이더의 전형적인 특정한 잇점으로서, 상부 윙(3)은 가이드 채널(7)과 교통하는 로킹 파울 삽입 홀(28)을 그 중앙부에 갖는 것이다. 부착 러그(10)의 광폭 베이스(12)에 간극부(11)는 슬라이더 동체(1)의 전방 단부(8)에서 깊게 형성된 원호형상 저부(29)와, 정점(31) 예를 들면 저부(29)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로킹 파울 삽입 홀(28)로 하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 면(30)과, 역L형상 로킹 레버(35)를 수용하는 저부(29)에 중앙에 형성된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32)를 구비한다.
다른 한 편, 부착 러그(10) 사이에 간극부(11)에 수용되는 억지 레버(20)는 그 전방 단부에서 종방향으로 넓어진 베이스 단부(12)와 상부 윙(3)과 부착 러그(10)의 후방 단부와의 사이에 공간부(14)의 정상적인 폐쇄를 위해 그 후방 단부에 배치된 후크(24)를 갖는다. 억지 레버(20)는, 후크(24)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26)의 탄성 하에서 공간부(14)를 폐쇄하도록 상부 윙(3)과 접촉하게 되면,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가 외측에서 볼 수 있는 바로서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에 측면 정렬 설치되는 형상을 갖는 것이다. 즉,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는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의 하 방향으로 돌출된 것이다. 견인 탭(2)이 상 방향으로 견인되면, 견인 탭(2)의 엑슬(39)은 피봇(27) 주위에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를 따라 활주한다.
역L형상 로킹 레버(35)는 일 단부에서 로킹 파울 삽입 홀(28) 내로 삽입되도록 굽어진 로킹 파울(36)을 가지고 그리고 타 단부에 그 절반 파트는 슬라이더 동체(1)의 원호형상 저부(29) 내에 여유 있게 수용되는 형상이다. 상기 절반 파트의 단부는 원호형상 오목부(37)를 형성하도록 굽어지게 된다. 로킹 레버(35)는 굽힘부(38)를 형성하도록 원호형상 오목부(37)의 후방 단부에서 굽어지게 된다.
제조 시에, 슬라이더 동체(1), 억지 레버(20) 및 로킹 레버(35)는 상술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되고, 다음 자동 조립공정으로 조립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견인 탭(2)은 생성된 슬라이더 동체(1)에 부착된다. 조립 중에, 코일 스프링(26)은 상부 단부로부터 부착 러그(10)의 수직 홀(16) 내로 삽입되고, 그 다음, 로킹 레버(35)가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32)의 정점(31)에서 지지되는 중앙 굽힘부(38)를 가지고, 로킹 파울 삽입 홀(28) 내로 삽입되는 그 후방 단부 예를 들면 로킹 파울(36)을 가지고, 그리고 스프링(26)의 상부 단부와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의 하부 면 예를 들면 원호형상 오목부(37)도 가지는 간극부(11)를 경유하여 상부 측으로부터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32) 내에 배치된다. 다음, 억지 레버(20)는 로킹 레버(35)의 원호형상 오목부(37) 내에 마찰식으로 수용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상부 측으로부터 간극부(11) 내에 삽입된다. 이때에, 부착 러그(10)의 피봇 홀(13)은 억지 레버(20)의 피봇 홀(22)에 축선 방향으로 정렬 설치되고, 피봇(27)은 상기 피봇 홀(13, 22)을 통해서 삽입되고, 다음 그 대향 단부에서 부착 러그(10)의 베이스(21)에 고정시킴으로서, 슬라이더 동체(1)의 조립작업이 완성된다. 억지 레버(20)가 피봇(27)에 대하여 피봇적으로 동작함으로서, 로킹 레버(35)가 정점(31)에 대한 피봇적인 동작을 하게된다.
이러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진 후에, 억지 레버(20)의 후크(24)는 견인 탭(2)의 엑슬(39)이 공간부(14)를 통해 지나갈 수 있게 하도록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탭(2)의 엑슬(39)으로 후방 측으로부터 공간부(14)를 상 방향 밀게된다. 이러한 결과로 자동 로크 슬라이더가 완성되어지게 된다. 만일 견인 탭(2)이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견인되면, 엑슬(39)은 억지 레버(20)가 피봇적으로 동작하도록 상승되어서 억지 레버(20)의 베이스(21)는 돌출부가 가이드 채널(7)로부터 로킹 파울(36)이 철회되게 하고 그에 따라서 양 방향으로의 슬라이더의 활주가 허용되게 하 방향으로 로킹 레버(35)의 원형형상 오목부(37)를 밀게된다.
다르게는, 코일 스프링(26)이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U형상 판 스프링(26)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스프링 수용 그루브(32)가 로킹 레버(35)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여 슬라이더 동체(1)의 전방 측(8)에서 숨겨지게 된다.
본 발명의 슬라이더로서 다음과 같은 양호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견인 탭(2)의 엑슬(39) 통로용 공간부(14)를 상부 윙(3)에 형성하도록 그 후방 단부(9)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더 동체(1)의 전방 단부(8)에서 가이드 포스트(5)에 직립 설치된 한 쌍의 평행한 이격진 원호형상 부착 러그(10)를 상부 윙(3)이 구비함으로, 부분적으로, 스프링 수용부(15)가 가이드 포스트(5) 내로 연장하는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의 내 표면과 대면하여 형성됨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억지 레버(20)가 일 단부가 스프링 수용부(15) 내에 수용되는 스프링(26)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반면에 타 단부가 공간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하는 방식으로 부착 러그(10) 사이에 간극부(11)에 피봇적으로 장착됨으로, 부품을 조립구역에 용이하게 공급하고 조립공정이 간략하게 되는, 자동 로킹 메카니즘을 가지는 슬라이더와 같이 자유형태 슬라이더의 다수 부품을 감소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외형이 납작하여 전체 외관이 간결한 슬라이더는 향상된 생산율로 자동조립기에서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면에 따라서, 억지 레버(20)의 일 단부는 공간부(14)를 폐쇄하도록 후크(24)와 같이 내 방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짐으로, 견인 탭(2)은 간단한 방식으로 슬라이더 동체(1)에 부착되어 잘못된 이탈이 방지된다. 더욱이, 견인 탭(2)의 엑슬(39)은 견인 탭(2) 견인 시에 강인한 부착 러그(10)로 원만하게 안내되어,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에서의 원만한 운동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제 3 면에 따라서, 상부 윙(3)은 후크(24)가 리세스(25)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스프링(26)의 탄성 하에서 후크(24)가 정상적으로 수용되는 리세스(25)를 억지 레버(20)의 후크(24)와 상관하여 대면하는 그 상부 면에 가짐으로서, 견인 탭(25)은 임의 방향으로의 견인 시에 슬라이더 동체(1)를 잘못 이탈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4 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가 억지 레버(20)의 후크(24)에 의해 공간부(14)가 폐쇄될 시에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에 측면 정렬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스프링 수용부(15)가 가이드 포스트(5) 내로 부착 러그(10)의 대면하는 베이스의 내 표면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 홀(16)이 있으므로, 부분적으로 스프링(26)이 억지 레버(20)의 타 단부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상부 단부가 있는 수직 홀(16)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임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간극부(11)가 수직 홀(16)에 대해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 면을 부착 러그(10)의 베이스에서 가짐으로서, 견인 탭(2)은 견인 시에 강인한 부착 러그(10)에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안내되고, 그리고 슬라이더가 특히 자동 로킹 메카니즘이 없는 슬라이더일 때 자동 조립기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슬라이더 동체(1)에 장착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신뢰성 있는 견인 탭 제거 방지 메카니즘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5 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가 억지 레버(20)의 후크(24)에 의해 공간부(14)가 폐쇄될 시에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에 측면 정렬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스프링 수용부(15)가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에 간극부(11)의 저부 면에 형성된 스프링 수용 리세스이므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스프링(26)이 억지 레버(20)의 타 단부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상부 파트를 가진 스프링 수용 리세스에 수용되는 U형상 판 스프링이므로, 견인 탭(2)은 그 견인 시에 강인한 부착 러그(10)에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안내되고, 그리고 슬라이더는 특히 자동 로킹 메카니즘이 없는 슬라이더일 때, 자동 조립기에 의해 간단한 방식으로 슬라이더 동체(1)에 장착되는 U형상 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신뢰성 있는 견인 탭 제거 방지 메카니즘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 면에 따라서,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는 억지 레버(20)의 후크(24)에 의해 공간부(14) 폐쇄 시에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에 측면 정렬 설치되고, 부분적으로 스프링 수용부(15)가 부착 러그의 베이스(12)에서 간극부(11)의 저부 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이고 슬라이더 동체(1)의 전방 단부(8)를 향하는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를 가짐으로서, 그리고 부분적으로 스프링(26)이 억지 레버(20)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를 가지고 그리고 슬라이더 동체(1)에 고정된 그 후방 단부를 가지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에 수평적으로 수용되는 평판 스프링이므로, 견인 탭(2)은 그 견인 시에 강인한 부착 러그(10)에 확실하고 신뢰성 있게 안내되고 그리고 슬라이더는 특히 자동 로킹 메카니즘이 없는 슬라이더이면, 자동 조립기에 의한 간단한 방식으로 슬라이더 동체(1)에 장착되는 평판 스프링을 사용하는 신뢰성 있는 견인 탭 제거방지 메카니즘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7 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슬라이더는 수평적 L형상 로킹 레버(35)를 부가로 구비하는 자동 로크 슬라이더이므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상부 윙(3)은 로킹 파울 삽입 홀(28)과 가이드 포스트(5)와의 사이로 연장되고 그리고 간극부(11)에 대한 두께와 동일한 역L형상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32)와 로킹 파울 삽입 홀(28)을 그 상부 면에 가지므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로킹 레버(35)는 개별적으로 그 하부 및 상부 측에 억지 레버(20)와 스프링(26)과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를 가진 로킹 파울 삽입 홀(28)에 삽입되도록 로킹 파울(36)을 그 후방 단부에서 가지고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32)를 따라 안으로 지지되므로, 그리고 그 상부 측에서 억지 레버의 하부 면을 마찰식으로 접촉하는 중앙 굽힘부(38)를 가지므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가 외측으로부터 볼 수 있도록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에 정렬 설치되므로, 견인 탭(2)에 의해 원만하게 자동 메카니즘이 동작되고 그리고 간단하게 자동 로크 슬라이더를 조립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제 8 면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로킹 레버(35)는 상 방향으로 오목한 부분(37)을 형성하도록 그 전방 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굽어지므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억지 레버(20)는 오목한 부분(37)의 내측 면과 마찰식으로 접촉하는 돌출부를 타 단부에서 가짐으로서, 로킹 레버(35)는 견인 탭(2)을 견인하여 원만하게 작동하고 따라서 신뢰성 있고 용이하게 로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가이드 포스트(5)에 의해 그 전방 단부에서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윙(3, 4)으로 구성된 슬라이더 동체(1)와; 공간부(14)가 상부 윙(3)의 상부 면과 그 자유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부 윙(3)의 상부 면에 직립 설치되는 부착 러그와, 공간부 폐쇄 부재와, 공간부(14)를 통해 지나가는 엑슬(39)을 그 일 단부에서 가지는 견인 탭(2)과, 공간부(14)를 폐쇄하도록 공간부 폐쇄 부재를 정상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부착 러그는 균일한 두께 간극부(11)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진 한 쌍의 외팔보 원호형상 부착 러그(10)로 구성된 이중 형상의 것이고, 그 각각은 상기 공간부(14)가 상부 윙(3)의 상부 면에 한정되도록 슬라이더 동체(1)의 전방 단부(8)에서 상부 윙(3)의 상부 면에 직립 설치되고; 상기 부착 러그(10)는 상기 가이드 포스트 내로 간극부(11)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 수용부(15)를 가지는 베이스(12)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 폐쇄부재는 그 일 단부에 의해 공간부(14)를 폐쇄하도록 간극부(11) 내에서의 피봇 이동을 위한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에 피봇식으로 부착된 억지 레버(20)이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 단부에 의해 공간부(14)를 정상적으로 폐쇄하도록 피봇적으로 움직이도록 억지 레버(20) 가압을 위해 억지 레버(20)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상부 단부가 있는 스프링 수용부(12)에 수용되는 스프링(2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억지 레버(20)의 일 단부는 후크(24)로서 내 방향으로 경사지게 굽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윙(3)은 스프링(26) 탄성 하에서 후크(24)가 정상적으로 그 안에 수용되는 리세스(25)를 억지 레버(20)의 후크(24)와 상관하여 대면하는 그 상부 면에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간부(14)가 억지 레버(24)의 후크(24)에 의해 폐쇄되면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에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가 측면으로 정렬 설치되고; 스프링 수용부(15)는 가이드 포스트(5) 내로 그리고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의 대면 내부 면(confronting inner surfaces of bases)을 통해서 연장되는 수직 홀(16)이 있고; 스프링(26)은 억지 레버(20)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상부 단부를 가진 수직 홀(16) 내에 수용되는 코일 스프링이고; 간극부(11)는 수직 홀(16)에 대해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 면을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에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는 억지 레버(20)의 후크(24)에 의해 공간부(14)가 폐쇄되게 되면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에 측면으로 정렬 설치되고; 스프링 수용부(25)는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에서 간극부(11)의 저부 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이고; 스프링(26)은 억지 레버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상부 부분이 있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15) 내에 수용되는 U형상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는 공간부(14)가 억지 레버(20)의 후크(24)에 의해 폐쇄되면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에 측면으로 정렬 설치되고; 스프링 수용부(15)는 슬라이더 동체(1)의 전방 단부(8) 쪽으로 하 방향으로 경사진 저부를 가지고 부착 러그(10)의 베이스(12)에서 간극부(11)의 저부 면에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 이고; 스프링(26)은 슬라이더 동체(1)에 고정된 그 후방 단부를 가지고 억지 레버(20)의 타 단부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가 있는 스프링 수용 리세스(15) 내에 수평적으로 수용되는 평탄한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더는 수평적인 L형상 로킹 레버(35)를 부가로 구비하는 자동 로크 슬라이더이고; 상부 윙(3)은 가이드 포스트(5)와 로킹 파울 삽입 홀(28)과의 사이에서 연장되고 간극부(11)의 두께와 동일한 역L형상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32)와 로킹 파울 삽입 홀(28)을 그 상부 면에 가지고; 로킹 레버(35)는 개별적으로 그 상부 및 하부 측에서 억지 레버(20)와 스프링(26)과 접촉하는 그 전방 단부가 있는 로킹 파울 삽입 홀(28) 내에 삽입되도록 로킹 파울(36)을 그 후방 단부에서 가지고 로킹 레버 수용 그루브(32)를 따라 지지를 받고, 그리고 그 상부 측에서 억지 레버(20)의 하부 면을 마찰식으로 접촉하는 중앙 굽힘부(38)를 구비하고; 억지 레버(20)의 내 모서리는 외측에서 볼 수 있도록 부착 러그(10)의 내 모서리에 정렬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8. 제 7 항에 있어서, 로킹 레버(35)는 상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37)를 형성하도록 그 전방 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굽어지고; 억지 레버(20)는 오목부(37)의 내측 면과 마찰식으로 접촉된 돌출부(33)를 타 단부에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KR1019980017524A 1997-05-16 1998-05-15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0275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27697A JP3589438B2 (ja) 1997-05-16 1997-05-16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JP97-127276 1997-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091A KR19980087091A (ko) 1998-12-05
KR100275417B1 true KR100275417B1 (ko) 2000-12-15

Family

ID=1495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524A KR100275417B1 (ko) 1997-05-16 1998-05-15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4928A (ko)
JP (1) JP3589438B2 (ko)
KR (1) KR100275417B1 (ko)
CN (1) CN1161055C (ko)
HK (1) HK1015230A1 (ko)
TW (1) TW3803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580B1 (ko) 2011-04-07 2013-12-17 겐모어 지퍼 코포레이션 이중 층 코일링 지퍼 및 지퍼 슬라이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621C2 (de) * 1996-10-01 2000-07-06 Uwe Nutto Verbindungselement zu lösbaren Verbindung von zwei Gegenständen
DE19942755A1 (de) * 1999-09-08 2001-03-15 John Melanie Hakenelement
TW517536U (en) * 2001-05-30 2003-01-11 Chung Chwan Entpr Co Ltd Slider structure of hidden zipper
TW502584U (en) * 2001-05-30 2002-09-11 Chung Chwan Entpr Co Ltd Slider structure of hidden zipper
US6654988B1 (en) * 2002-11-26 2003-12-02 Roger C. Y. Chung Stoppable zipper slider capable of being reassembled with pull tab
EP1827159B1 (en) * 2004-11-16 2008-03-26 Riri S.A. Slider for zip fastener with interchangeable pull-tab
US7313847B1 (en) * 2006-07-14 2008-01-01 Christopher Theodore Felix CTF flip-N-zip slider
EP2100531A1 (en) * 2008-03-13 2009-09-16 Riri S.A. Slide fastener and slider for slide fastener
US8122573B2 (en) * 2009-01-07 2012-02-28 Ykk Corporation Thin slider
EP2322050B1 (en) * 2009-11-12 2013-01-02 Riri Sa Slider for a slide fastener and process for making a slide fastener or an item comprising the slide fastener
CN102132987B (zh) * 2010-01-26 2013-03-20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拉链滑块及使用该滑块的拉链头
CN102450789B (zh) * 2010-10-20 2015-06-03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拉链滑块及使用该拉链滑块的拉链头
CN102462073B (zh) * 2010-11-03 2015-09-23 福建浔兴拉链科技股份有限公司 拉头滑块及使用该拉头滑块的拉链头
TWM457455U (zh) * 2012-05-29 2013-07-21 Chung Chwan Entpr Co Ltd 可換拉片的拉頭結構
TWI489955B (zh) * 2012-05-29 2015-07-01 Chung Chwan Entpr Co Ltd 可換拉片的拉頭結構及其拉片更換方法
US8539651B1 (en) * 2013-01-29 2013-09-24 James Marvin Williams Zipper repair slider
US20160007694A1 (en) * 2013-03-01 2016-01-14 J & P Coats Limited Zip fastener
CN104921420A (zh) * 2015-06-28 2015-09-23 晋江市金圣拉链科技有限公司 一种自锁拉头
CN107373918B (zh) * 2017-07-07 2020-04-17 浙江恒威拉链有限公司 一种具有自锁功能的拉链
USD880355S1 (en) * 2017-09-26 2020-04-07 Ideal Fastener (Guangdong) Industries Ltd. Slider
USD881750S1 (en) * 2017-09-26 2020-04-21 Ideal Fastener (Guangdong) Industries Ltd. Slider
USD880354S1 (en) * 2017-09-26 2020-04-07 Ideal Fastener (Guangdong) Industries Ltd. Slider
TWI661789B (zh) * 2018-06-27 2019-06-11 大陸商濰坊中傳拉鏈配件有限公司 鎖鉤件及拉鍊頭組合結構
CN108783771B (zh) * 2018-07-08 2020-12-18 浙江达威拉链有限公司 一种耐磨型树脂拉链及其生产方法
CN115003187A (zh) * 2020-04-15 2022-09-02 Ykk株式会社 拉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6023A (fr) * 1969-09-15 1971-03-11 Textron Inc Curseur pour fermeture a glissiere
JPH0432974Y2 (ko) * 1986-12-19 1992-08-07
JPH0189006U (ko) * 1987-08-12 1989-06-12
JPH02213302A (ja) * 1989-02-13 1990-08-24 Yoshida Kogyo Kk <Ykk>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自動停止装置付スライダ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580B1 (ko) 2011-04-07 2013-12-17 겐모어 지퍼 코포레이션 이중 층 코일링 지퍼 및 지퍼 슬라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055C (zh) 2004-08-11
TW380378U (en) 2000-01-21
HK1015230A1 (en) 1999-10-15
CN1199589A (zh) 1998-11-25
KR19980087091A (ko) 1998-12-05
US5864928A (en) 1999-02-02
JPH10313910A (ja) 1998-12-02
JP3589438B2 (ja)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41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7219402B2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KR970000456Y1 (ko) 은폐형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KR100253098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로킹 슬라이더
KR100243727B1 (ko) 오토록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EP0401455A1 (en) Safety belt buckle
EP0861612A2 (en) Slider for concealed slide fastener
EP1776889A1 (en) Slide fastener slider with automatic locking device
KR20020002272A (ko) 록킹장치를 가진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US6513208B1 (en) Two tongue buckle mechanism with fixed latch
CN110022715B (zh) 拉链用拉头
CN102548447B (zh) 拉链用拉头
KR20120099279A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100243728B1 (ko) 오토록 슬라이드 파스너 슬라이더
JP3611699B2 (ja) 引手後付けタイプの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US5694667A (en) Automatic lock slider for slide fastener
TWI507146B (zh) Zipper with slider
KR100257979B1 (ko) 자동 정지장치를 갖는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EP1295542B1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US4951984A (en) Door catch
CN110536622B (zh) 拉链用拉头
JP3758621B2 (ja) 引き戸用ラッチ付き引き手
JP4097115B2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JPH0292303A (ja)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
WO2001017386A9 (en) Two tongue buckle mechanism with fixed la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