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346B1 -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346B1
KR100518346B1 KR10-2003-0086227A KR20030086227A KR100518346B1 KR 100518346 B1 KR100518346 B1 KR 100518346B1 KR 20030086227 A KR20030086227 A KR 20030086227A KR 100518346 B1 KR100518346 B1 KR 10051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rack bar
frame body
steering gea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2699A (ko
Inventor
김대중
차우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346B1/ko
Priority to US10/983,607 priority patent/US7258354B2/en
Publication of KR2005005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2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3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B62D5/2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for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4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 B60G2200/14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ateral arms with a single lateral arm, e.g. MacPhers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4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steer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1Modular constructions
    • B60G2206/0114Independent suspensions on sub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60Subframe construction
    • B60G2206/602Single transverse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가장치인 서브 프레임과 조향장치인 스티어링 기어가 모듈화됨으로써, 서브 프레임과 스티어링 기어의 별도 조립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modularized steering gear}
본 발명은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가장치인 서브 프레임과 조향장치인 스티어링 기어가 모듈화된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해 핸들과 스티어링 샤프트 및 스티어링 칼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장치는 통상적으로 랙ㆍ피니언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데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는 스티어링 기어박스 속에 내장되어 있고 스티어링 기어박스는 차체에 마운팅브래킷을 매개로 안정되게 장착되어 있다.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를 차체에 장착시키는 구조로서, 도 1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상ㆍ하부 강판 플레이트를 일정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상호 용접시켜 튜브 형태로 서브 프레임(1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서브 프레임(100)의 상부 강판 플레이트(110)에는 마운팅 브래킷(150,170)에 의해 스티어링 기어박스(200)가 고정되어 있다. 스티어링 기어박스(200)에는 랙바가 삽입되는 랙바 관통공과,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하우징(210)과, 요크부가 삽입되는 요크부 삽입공(230)이 구비되어, 랙바와 피니언과 요크부가 각각 삽입되어 조립된다. 한편, 서브 프레임(100)의 양단에는 차체와의 고정을 위한 마운팅부(130)가 형성되어 차체와 연결되고, 그와 이웃하여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컨트롤암(300)이 서브 프레임(100)의 양단에 연결된다. 이렇게, 서브 프레임(100)과 스티어링 기어박스(200)를 별도로 구성하여 조립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다른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로서,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 2003-0006651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기어박스(1)에서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선단에 장착된 피니언(2)과 랙(3)이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2)의 회전을 랙(3)의 횡방향 움직임으로 바꾸어 랙(3)의 양단에 볼조인트로 결합된 타이로드 및 스티어링 샤프트에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스티어링 기어박스(1)의 피니언(2)과 래크(3)의 결합부는 랙가이드(6)와 너트(7)에 의해 클리어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랙가이드(6)는 피니언(2)과 기어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랙(3)을 피니언(2)측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반원기둥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스티어링 기어박스(1)의 일단에 삽입되며 너트(7)는 랙가이드(6)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볼트머리(8)가 형성되어 스티어링 기어박스(1)의 일단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랙가이드(6)의 타단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스프링(10)이 개재되어 랙가이드(6)와 너트(7)의 접촉면 사이의 완충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너트(7)를 삽입하여 스프링(10)을 거쳐 랙가이드(6)가 랙(3)을 피니언(2)측에 밀착시키거나 너트(7)를 후퇴시켜 랙(3)과 피니언(2)의 기어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하는 조절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구성의 스티어링 기어의 차체 마운팅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차량의 현가장치인 서브 프레임과 조향장치인 스티어링 기어는 각각의 업체에서 따로 제작하여, 모듈업체 또는 자동차 제조업체에 납품된다.
이렇게, 서브 프레임과 스티어링 기어는 모듈업체 또는 자동차 제조업체로 납품되어져 볼트나 기타 체결방법으로 서로 조립되어 차량에 장착된다.
이렇게, 서브 프레임과 스티어링 기어는 서로 볼트나 기타 체결방법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서로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하게 되며, 조립공부 및 각각의 물류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서브 프레임과 스티어링 기어는 제조공정 상 각기 따로 제조되어 조립되기 때문에 공차발생률이 증대된다.
그리고, 서브 프레임과 스티어링 기어는 상대 부품인 관계로 각각 공차ㆍ제조ㆍ품질 관리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조립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또한,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조단가가 절감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차체 중량이 감소하므로 차량 연비가 향상될 수 있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향장치와 현가장치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됨에 따라 일관되게 품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부품관리가 쉬워질 수 있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차량의 사양 변화 시에도 마운팅브래킷만 수정 및 개발하여 장착 가능하므로 조향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해질 수 있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조향장치와 현가장치의 모듈화로 인해 엔진룸 내 부품이 감소하므로 차량의 엔진룸이 간소화될 수 있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다양한 차종과 현가장치의 종류에 따라 제 1,2 마운팅브래킷을 공용화 할 수 있어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랙바가 관통하는 서브 프레임 바디;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의 좌측에 조립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제 1 마운팅브래킷;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의 우측에 조립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제 2 마운팅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바와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와 상기 제 1,2 마운팅브래킷이 모듈화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랙바와 서브 프레임 바디와 제 1,2 마운팅브래킷이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차체에 장착됨으로써, 별도의 조립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조단가가 절감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부품수가 감소함에 따라 차체 중량이 감소하므로 차량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향장치와 현가장치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됨에 따라, 일관되게 품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부품관리가 쉬워진다.
나아가, 차량의 사양 변화 시에도 마운팅브래킷만 수정 및 개발하여 장착 가능하므로 조향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조향장치와 현가장치의 모듈화로 인해 엔진룸 내 부품이 감소하므로 차량의 엔진룸이 간소화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제 1,2 마운팅브래킷에는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에 장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마운팅브래킷의 삽입부에는,
랙바의 일단이 관통하는 랙바 관통공과, 상기 랙바 관통공과 연통되며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삽입부와, 상기 랙바 관통공과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연통되며 차체 후방으로 천공 설치되어 요크부가 삽입되는 요크부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마운팅브래킷의 삽입부에는,
랙바의 타단이 관통하는 랙바 관통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에는 상기 피니언 삽입부가 조립될 수 있도록 피니언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1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이렇게, 제 1,2 마운팅브래킷과 장착부 사이에 플레이트가 더 장착됨으로써, 차종에 따라 차체에 장착되는 제 1,2 마운팅브래킷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변경된 마운팅부의 지오메트리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과 현가장치의 종류에 따라 제 1,2 마운팅브래킷을 공용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원가가 절감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는 차체의 폭방향으로 랙바(40)가 관통하는 서브 프레임 바디(10)와,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좌측에 연결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제 1 마운팅브래킷(20)과,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우측에 연결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제 2 마운팅브래킷(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랙바(40)에는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51)와 치합되는 랙 기어(41)가 형성되어 있다.
랙바(40)의 양단은 타이로드 어셈블리(70a,70b)의 볼조인트부(71a,71b)와 각각 연결된다.
서로 연결된 타이로드 어셈블리(70a,70b)와 랙바(40)에는 벨로즈(80a,80b)가 설치된다.
벨로즈(80a,80b)는 타이로드 어셈블리(70a,70b)의 이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되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서브 프레임 바디(10)는 랙바(40)가 차체의 폭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서브 프레임 바디(10)는 현가장치의 일부이므로, 차종에 따라 현가장치가 다양하게 변함에 따라,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형상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는 그 둘레를 따라 바깥쪽으로 뻗으며 장착부(11a,11b)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1a,11b)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3a,13b)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한편,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는 벨로즈(80a,80b)가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인 벨로즈 거동부(15a,15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벨로즈 거동부(15a,15b)는 벨로즈(80a,80b)가 유동되는 공간만큼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끝단부에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서브 프레임 바디(10) 양 끝단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벨로즈 거동부(15a,15b)는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상단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상ㆍ하단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양단에는 차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공지된 기술과 같은 부시타입의 마운팅부(29,3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에는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 조립될 때 타이로드 어셈블리(70a,70b)와 랙바(40)에 설치된 벨로즈(80a,80b)를 수용할 수 있도록 벨로즈 수용부(27,3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에는 이 벨로즈 수용부(27,37)의 외측으로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삽입부(21,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삽입부(21,31)가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양단에 삽입되어 조립될 때, 서브 프레임 바디(10) 장착부(11a,11b)의 체결공(13a,13b)과 같은 크기와 위치의 체결공(22,32)이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에 천공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1 마운팅브래킷(20)의 삽입부(21)에는 차체 폭방향으로 천공 설치된 랙바 관통공(23)과, 이 랙바 관통공(23)과 연통되며 돌출 형성되는 피니언 삽입부(24)와, 랙바 관통공(23)과 피니언 삽입부(24)와 연통되며 차체 후방으로 천공 설치되는 요크부 삽입공(25)이 구비되어 있다.
랙바 관통공(23)에는 랙바(40)의 일단이 관통된다.
피니언 삽입부(24)에는 피니언 기어(51)가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어셈블리(50)가 삽입된다.
즉, 피니언 삽입부(24)는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하우징과 같은 형태와 구조로서, 삽입부(21)에 형성되어 있다.
요크부 삽입공(25)에는 요크부(60)가 삽입된다.
요크부(60)는 랙바(40)의 후방과 직접 밀착되는 서포트 요크(61)와, 요크부 삽입공(25)을 폐쇄하는 요크 플러그(65)와, 요크 플러그(65)와 서포트 요크(61)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63)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요크부(60)는 랙바(40)의 후방에서 피니언 어셈블리(50)와 랙바(40)가 적절한 마찰력으로 결합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 1 마운팅브래킷(20)의 삽입부(21)가 서브 프레임 바디(10)에 삽입될 때 돌출 형성된 피니언 삽입부(24)가 적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서브 프레임 바디(10)에는 피니언 체결부(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니언 체결부(17)는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끝단에 형성된 벨로즈 거동부(15a)와 연결되며 피니언 삽입부(24)가 조립되는 공간만큼 절개되어 형성된다.
제 2 마운팅브래킷(30)의 삽입부(31)에는 랙바(40)의 타단이 관통하는 랙바 관통공(33)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양단에는 브래킷(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종래 기술과 같은 컨트롤암이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의 설명에서는 제 1 마운팅브래킷(20)의 삽입부(21)에 랙바 관통공(23)과, 피니언 삽입부(24)와, 요크부 삽입공(25)이 구비되고, 제 2 마운팅브래킷(30)의 삽입부(31)에 랙바 관통공(33)이 천공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이러한 경우는 운전석이 좌측에 위치한 경우이다.
그러나, 운전석이 우측에 위치한 차량인 경우 피니언 어셈블리(50)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이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피니언 어셈블리(50)의 위치가 바뀌면, 서브 프레임 바디(10)에 형성된 피니언 체결부(17)의 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 1 마운팅브래킷(20)의 랙바 관통공(23)에 랙바(40)의 일단이 관통되고, 피니언 삽입부(24)에는 피니언 어셈블리(50)가 삽입된다.
이렇게, 랙바(40)의 랙 기어(41)와 피니언 어셈블리(50)의 피니언 기어(51)가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 기어(51)의 회전이 랙 기어(41)의 횡방향 유동으로 바뀐다.
한편, 제 1 마운팅브래킷(20)의 요크부 삽입공(25)에는 서포트 요크(61)와 스프링(63)이 삽입되고 요크 플러그(65)가 장착되어 랙바(40)의 후방을 지지한다.
그런 다음, 제 1 마운팅브래킷(20)의 삽입부(21)에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일단이 밀착된다.
이때, 서브 프레임 바디(10)에 형성된 피니언 체결부(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 형성된 피니언 삽입부(25)에 걸리지 않고 삽입부(21)에 서브 프레임 바디(10)를 완전히 밀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서브 프레임 바디(10) 일단에 형성된 장착부(11a)에 천공 설치된 체결공(13a)과 제 1 마운팅브래킷(20)의 체결공(22)에 볼트(92)등 체결수단이 체결됨으로써, 제 1 마운팅브래킷(20)과 서브 프레임 바디(10)는 서로 연결된다.
한편,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타단에는 제 2 마운팅브래킷(30)의 삽입부(31)가 밀착되며 이때, 서브 프레임 바디(10)를 관통한 랙바(40)의 타단은 제 2 마운팅브래킷(30)의 랙바 관통공(33)에 삽입된다.
그리고, 제 1 마운팅브래킷(20)과 마찬가지로, 서브 프레임 바디(10) 장착부(11b)에 천공 설치된 체결공(11b)과 제 2 마운팅브래킷(30)의 체결공(32)에 체결수단이 체결된다.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랙바 관통공(23,33)을 통과한 랙바(40)의 양단은 타이로드 어셈블리(70a,70b)의 볼조인트부(71a,71b)와 각각 결합된다.
그런 다음, 타이로드 어셈블리(70a,70b)와 랙바(40)에는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벨로즈 수용부(27,37)를 통해 벨로즈(80a,80b)가 설치된다.
이렇게, 제 1 마운팅브래킷(20)에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를 조립한 후, 서브 프레임 바디(10)를 조립하고, 제 2 마운팅브래킷(30)을 조립함으로써, 조향장치와 현가장치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마운팅부(29,39)에 의해 차체에 장착될 수 있다.
조향장치와 현가장치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므로 별도의 조립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조단가가 절감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부품수가 감소함에 따라 차체 중량이 감소하므로 차량 연비가 향상된다.
또한, 조향장치와 현가장치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됨에 따라, 일관되게 품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부품관리가 쉬워진다.
나아가, 차량의 사양 변화 시에도 마운팅브래킷만 수정 및 개발하여 장착 가능하므로 조향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조향장치와 현가장치의 모듈화로 인해 엔진룸 내 부품이 감소하므로 차량의 엔진룸이 간소화된다.
여기서, 제 1 마운팅브래킷(20)과 서브 프레임 바디(10) 사이 또는 제 2 마운팅브래킷(30)과 서브 프레임 바디(10) 사이에는 플레이트(90)가 더 장착될 수 있다.
즉, 서브 프레임 바디(10)에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삽입부(20,30)가 조립될 때,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과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장착부(11a,11b) 사이에 플레이트(90)가 더 장착되는 것이다.
플레이트(90)에는 볼트(92)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플레이트(90)가 제 2 마운팅브래킷(30)과 서브 프레임 바디(10)의 장착부(11b) 사이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제 1 마운팅브래킷(20)과 장착부(11a) 사이에 장착될 수도 있고,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과 장착부(11a,11b) 사이에 둘다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플레이트(90)가 여러 개 겹쳐서 장착될 수도 있고, 두께도 다양하게 변경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과 장착부(11a,11b) 사이에 플레이트(90)가 더 장착됨으로써,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로써, 차종에 따라 차체에 장착되는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과 장착부(11a,11b) 사이에 플레이트(90)를 장착함으로써, 변경된 마운팅부(29,39)의 지오메트리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과 현가장치의 종류에 따라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을 공용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 1,2 마운팅브래킷(20,30)을 공용화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원가가 절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랙바가 관통하는 서브 프레임 바디와, 서브 프레임 바디의 좌ㆍ우측에 연결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제 1,2 마운팅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랙바와 서브 프레임 바디와 제 1,2 마운팅브래킷이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되어 차체에 장착됨으로써, 별도의 조립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부품수가 감소하여 제조단가가 절감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부품수가 감소함에 따라 차체 중량이 감소하므로 차량 연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향장치와 현가장치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됨에 따라, 일관되게 품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부품관리가 쉬워진다.
나아가, 차량의 사양 변화 시에도 마운팅브래킷만 수정 및 개발하여 장착 가능하므로 조향 부품의 공용화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조향장치와 현가장치의 모듈화로 인해 엔진룸 내 부품이 감소하므로 차량의 엔진룸이 간소화될 수 있다.
한편, 제 1,2 마운팅브래킷과 장착부 사이에 플레이트가 더 장착됨으로써, 차종에 따라 차체에 장착되는 제 1,2 마운팅브래킷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변경된 마운팅부의 지오메트리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과 현가장치의 종류에 따라 제 1,2 마운팅브래킷을 공용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제 1,2 마운팅브래킷을 공용화함으로써,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원가가 절감된다.
도 1은 종래의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브 프레임 바디 11a,11b : 장착부
13a,13b : 체결공 15a,15b : 벨로즈 거동부
17 : 피니언 체결부 20,30 : 제 1,2 마운팅브래킷
21,31 : 삽입부 22,32 : 체결공
23,33 : 랙바 관통공 24 : 피니언 삽입부
25 : 요크부 삽입공 27,37 : 벨로즈 수용부
29,39 : 마운팅부 40 : 랙바
41 : 랙 기어 50 : 피니언 어셈블리
51 : 피니언 기어 60 : 요크부
61 : 서포트 요크 63 : 스프링
65 : 요크 플러그 70a,70b : 타이로드 어셈블리
71a,71b : 볼조인트부 80a,80b : 벨로즈
90 : 플레이트 92 : 볼트
95 : 너트

Claims (6)

  1. 차체의 폭방향으로 랙바가 관통하는 서브 프레임 바디;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의 좌측에 조립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제 1 마운팅브래킷;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의 우측에 조립되어 차체에 장착되는 제 2 마운팅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바와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와 상기 제 1,2 마운팅브래킷이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마운팅브래킷에는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에 장착되는 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운팅브래킷의 삽입부에는,
    랙바의 일단이 관통하는 랙바 관통공과, 상기 랙바 관통공과 연통되며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삽입부와, 상기 랙바 관통공과 상기 피니언 삽입부와 연통되며 차체 후방으로 천공 설치되어 요크부가 삽입되는 요크부 삽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마운팅브래킷의 삽입부에는,
    랙바의 타단이 관통하는 랙바 관통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에는 상기 피니언 삽입부가 조립될 수 있도록 피니언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마운팅브래킷과 상기 서브 프레임 바디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KR10-2003-0086227A 2003-12-01 2003-12-01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KR10051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227A KR100518346B1 (ko) 2003-12-01 2003-12-01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US10/983,607 US7258354B2 (en) 2003-12-01 2004-11-09 Integrated steering gear and fram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6227A KR100518346B1 (ko) 2003-12-01 2003-12-01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2699A KR20050052699A (ko) 2005-06-07
KR100518346B1 true KR100518346B1 (ko) 2005-09-29

Family

ID=3461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6227A KR100518346B1 (ko) 2003-12-01 2003-12-01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58354B2 (ko)
KR (1) KR1005183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234031T3 (en) * 1999-11-30 2017-07-03 Mayo Foundation B7-H1, AN UNKNOWN IMMUNE REGULATORY MOLECULE
WO2002086083A2 (en) * 2001-04-20 2002-10-31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ethods of enhancing cell responsiveness
KR100518346B1 (ko) * 2003-12-01 2005-09-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MX2007004176A (es) * 2004-10-06 2007-06-15 Mayo Foundation B7-h1 y metodos de diagnosis, prognosis, y tratamiento de cancer.
US7290778B2 (en) * 2004-10-29 2007-11-06 Flaming River Industries, Inc. Cradle for steering assembly
IL188467A (en) * 2006-12-28 2012-08-30 Eliahu Tayar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tow coupling
KR100941251B1 (ko) * 2007-12-17 2010-0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독립된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승객식별장치
DE102010025555A1 (de) 2009-07-06 2011-01-13 Ksm Castings Gmbh Achsträger, insbesondere Vorderachsträger für Kraftfahrzeuge
DE102009040821B3 (de) * 2009-09-10 2011-06-09 Thyssenkrupp Presta Ag Vorderachsträger mit integriertem Lenkungsgehäuse
US8226097B2 (en) * 2009-09-11 2012-07-24 Honda Motor Co., Ltd. Integrated steering gear, frame member and engine mount base
KR101509816B1 (ko) * 2009-12-02 2015-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탭바 마운트 및 리어 롤 마운트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박스 구조
JP5084883B2 (ja) * 2009-12-28 2012-11-28 株式会社ヨロズ サスペンションのサブフレーム
DE102011115387A1 (de) 2010-11-02 2012-05-03 Ksm Castings Gmbh Achsträger, insbesondere Vorderachsträger für Kraftfahrzeuge
FR2978111B1 (fr) * 2011-07-22 2013-08-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canisme a cremaillere de systeme de direction de vehicule, a carter a interface de couplage
FR2984838B1 (fr) * 2011-12-21 2014-05-2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Berceau destine a etre solidarise a la structure d'un vehicul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berceau
WO2015114606A1 (en) * 2014-01-31 2015-08-06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Off-road wheeled side-by-side vehicle
CN103950470A (zh) * 2014-04-22 2014-07-30 江西凯马百路佳客车有限公司 一种前置发动机匹配独立空气悬架的转向系统结构
DE102014113565A1 (de) * 2014-09-19 2016-03-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steifungselement
DE102015207402A1 (de) * 2015-04-23 2016-10-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chsträger für ein Fahrzeug
KR102289473B1 (ko) * 2015-05-22 2021-08-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2487792B1 (ko) * 2016-02-05 2023-01-13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DE102017218276A1 (de) * 2017-10-12 2019-04-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chsträger eines Fahrzeugs mit einem Lagerteil für einen Querstabilisator
DE102018219598A1 (de) * 2018-11-15 2020-05-20 Audi Ag Aggregateträg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m Montieren des Kraftfahrzeugs
JP2020142623A (ja) * 2019-03-06 2020-09-10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におけるギヤボックスの取付構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926U (ko) * 1995-11-22 1997-06-18 일체형 브라켓 스티어링 기어
KR100361823B1 (ko) * 2000-12-18 2002-1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KR20030023025A (ko) * 2001-09-11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을 이용한 최적의 서스펜션 레이아웃
US20050116434A1 (en) * 2003-12-01 2005-06-02 Hyundai Mobis, Co., Ltd Integrated steering gear and fram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936Y2 (ko) * 1980-04-12 1986-06-16
US5879026A (en) * 1995-12-19 1999-03-09 Chrysler Corporation Vehicle suspension and steering cradle
JPH1199953A (ja) * 1997-09-29 1999-04-13 Trw Steering Systems Japan Co Ltd 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6152254A (en) * 1998-06-23 2000-11-28 Techco Corporation Feedback and servo control for electric power steering system with hydraulic transmission
US6572125B2 (en) * 2000-08-10 2003-06-03 Murray, Inc. Rack and pinion steering arrangement for a riding lawnmower
KR100422838B1 (ko) 2001-07-13 2004-03-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박스
US6733021B1 (en) * 2001-10-26 2004-05-11 Dana Corporation Vehicle subframe mounting
US6783157B2 (en) * 2001-12-10 2004-08-31 Trw Inc. Rack housing for steering gea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2926U (ko) * 1995-11-22 1997-06-18 일체형 브라켓 스티어링 기어
KR100361823B1 (ko) * 2000-12-18 2002-1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KR20030023025A (ko) * 2001-09-11 2003-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을 이용한 최적의 서스펜션 레이아웃
US20050116434A1 (en) * 2003-12-01 2005-06-02 Hyundai Mobis, Co., Ltd Integrated steering gear and fram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16434A1 (en) 2005-06-02
US7258354B2 (en) 2007-08-21
KR20050052699A (ko) 2005-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346B1 (ko)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US7618063B2 (en)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for all-terrain vehicle
RU2402449C2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узла передней ча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сред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в форме полой детали короткого подрамника, соединенное с боковыми элементам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EP1322513B1 (en) Modular subfram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10522667A (ja) 完全に一体化したアームを有するリーディングまたはトレーリングアーム型式の懸架装置
CN102216105B (zh) 作业车
US6397701B1 (en) Integral mounting structure for a steering gearbox and powertrain
KR20090092951A (ko) 자동차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JPH1059216A (ja) 自動車用サブフレーム
KR102089486B1 (ko)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KR100344336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 구조
KR100969379B1 (ko) 스티어링 기어박스 장착유닛
KR20050026726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너클 어셈블리
KR100692534B1 (ko)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JP2006103671A (ja) 差動装置の装着構造
KR100911406B1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100599475B1 (ko)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KR20050110053A (ko)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KR100834598B1 (ko)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일체형의 현가 서브프레임
KR10088931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KR20050123463A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100834599B1 (ko)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일체형의 파이프 타입 현가서브프레임
KR100915897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DE10146314A1 (de) Lager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KR200202990Y1 (ko) 조향기어박스 장착용 마운팅브라켓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