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534B1 -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534B1
KR100692534B1 KR1020050064134A KR20050064134A KR100692534B1 KR 100692534 B1 KR100692534 B1 KR 100692534B1 KR 1020050064134 A KR1020050064134 A KR 1020050064134A KR 20050064134 A KR20050064134 A KR 20050064134A KR 100692534 B1 KR100692534 B1 KR 100692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ering
pinion
support member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9121A (ko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5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드 서브프레임에 고정관을 형성하여 여기에 스티어링하우징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서브프레임과 스티어링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조향장치, 고정관, 사이드서브프레임, 스티어링하우징.

Description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MONOLITHIC STEERING FRAME STRUCTURE }
도 1은 종래의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서브프레임과 조향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팅어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하우징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관과 사이드서브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팅어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팅어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서브프레임과 스티어링하우징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이드서브프레임, 112 : 고정홈,
115 : 고정관, 120, 120' : 스티어링하우징,
130 : 피니언하우징, 132 : 본체,
134 : 걸림부, 136 : 피니언하우징연통공,
140, 140' : 랙하우징, 141 : 랙(rack),
142, 142' : 걸림턱, 144, 144' : 피니언하우징삽입공,
145, 145' : 피니언하우징수용부, 146 : 요크지지부재삽입공,
147 : 플랜지, 148 : 요크지지부재수용부,
150 : 요크지지부재, 152 : 요크지지부재연통공,
160 : 컨트롤 암, 161 : 타이로드,
165 : 밸로즈.
본 발명은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드 서브프레임에 고정관을 형성하여 여기에 스티어링하우징을 삽입 결합함으로써 상기 사이드 서브프레임과 스티어링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해 조향을 하는 장치로서, 운전자가 직접 조향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스티어링 기어 및 링크 등에 전달하기 위해 핸들과 스티어링 샤프트 및 스티어링 칼럼 등으로 구성된 조작기구와,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기구의 운동방향을 바꾸어 링크기구에 전달하는 기어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어장치는 통상적으로 랙ㆍ피니언 방식을 많이 사용하는데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는 스티어링 기어박스 속에 내장되어 있고 스티어링 기어박스는 차체에 마운팅브래킷을 매개로 안정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로서, 한국 특허 공개번호 제 2003-0006651호의 공보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랙ㆍ피니언 스티어링 기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하우징(4)에는 랙(3)이 삽입 장착되어 있고, 스티어링 기어박스(1)에서는 스티어링 샤프트의 선단에 장착된 피니언(2)과 랙(3)이 기어 결합되어 피니언(2)의 회전을 랙(3)의 횡방향 움직임으로 바꾸어 랙(3)의 양단에 볼조인트로 결합된 타이로드 및 스티어링 샤프트에 전달하는 구조를 갖는다. 스티어링 기어박스(1)의 피니언(2)과 래크(3)의 결합부는 랙가이드(6)와 너트(7)에 의해 클리어런스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랙가이드(6)는 피니언(2)과 기어 결합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랙(3)을 피니언(2)측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 반원기둥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스티어링 기어박스(1)의 일단에 삽입되며 너트(7)는 랙가이드(6)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측면에는 볼트머리(8)가 형성되어 스티어링 기어박스(1)의 일단에 나사 결합된다. 또한, 랙가이드(6)의 타단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스프링(10)이 개재되어 랙가이드(6)와 너트(7)의 접촉면 사이의 완충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너트(7)를 삽입하여 스프링(10)을 거쳐 랙가이드(6)가 랙(3)을 피니언(2)측에 밀착시키거나 너트(7)를 후퇴시켜 랙(3)과 피니언(2)의 기어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하는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종래의 스티어링 기어를 차체에 장착시키는 구조로서, 도 2에 제시되 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랙ㆍ피니언 스티어링장치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20)은 차체길이방향으로 양측에 형성된 사이드서브프레임(21)과 상기 좌·우 사이드서브프레임(21)을 연결하도록 차폭방향으로 형성된 센터서브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21)에는 컨트롤 암(29)이 장착되고, 상기 센터서브프레임(22)에는 상기 스티어링장치(25)가 장착되는데, 상기 스티어링장치(25)를 상기 센터서브프레임(22)에 볼트(27) 또는 클램프(28)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 스티어링장치(25) 즉 조향장치(25)는 상기 스티어링 기어박스가 장착된 랙하우징과 여기에 장착되는 타이로드, 밸로즈 등을 모두 포함하여 일컫는다.
현가장치인 상기 서브프레임(20)과 스티어링장치(25)는 각기 전문 생산업체에서 제작하여 모듈업체 또는 자동차 제조업체에서 서로 조립을 하는 구조이다.
이에 제조 공정상의 공차의 발생과 서로 상대 부품인 관계로 각각 공차, 제조, 품질 관리 정확하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센터서브프레임(22)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스티어링장치(25)를 별도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하는바, 이에 필요한 별도의 작업공정 및 연결/체결부품(27, 28) 등이 필요하고, 상기 체결부품(27, 28)만으로 상기 스티어링장치(25)를 고정시킴으로써 마운팅강성이 떨어지며, 그에 따라 조향시 기어박스 유동에 따른 스티어링 성능에 악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20)과 스티어링장치(25)를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여야 하는바, 양 장치에 중복되는 부분이 존재하고 조립공정 및 각각의 물류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이드서브프레임과 스티어링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 연결공정이 불필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마운팅강성이 증가하여 조향강성감을 향상시키며, 부품수 및 물류비용 등을 절감시키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는 차체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서브프레임과;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티어링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 서브프레임에는 좌·우측 각각 차폭방향으로 고정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에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관은 중공의 원통형 관이고, 상기 사이드 서브프레임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홈에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은,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하우징과; 요크를 지지하는 요크지지부재와; 랙이 삽입되는 중공의 랙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하우징에는 상기 피니언하우징이 수용되는 피니언하우징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하우징에는 상기 랙하우징과 연통되는 피니언하우징연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하우징은, 상기 피니언하우징연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상의 걸림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피니언하우징연통공은 상기 본체의 원통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하우징수용부는, 상기 랙하우징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피니언하우징삽입공과,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의 상단에서 상기 걸림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랙하우징의 내부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은,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하우징과; 요크를 지지하는 요크지지부재와; 랙이 삽입되는 중공의 랙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하우징에는 요크지지부재가 수용되는 요크지지부재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지지부재에는 상기 랙하우징과 연통되는 요크지지부재연통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지지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상기 요크지지부재연통공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요크지지부재의 일단은 호(弧)형상으로 절삭되며, 상기 요크지지부재수용부는, 상기 랙하우징의 원주면에 형성된 요크지지부재삽입공과, 상기 요크지지부재삽입공의 원주를 따라 상기 랙하우징의 내부로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은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여 끝단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고정관의 양단을 용접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관의 양단의 용접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과 상기 고정관의 접합부 중 상부 접합부만을 용접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하우징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관과 사이드서브프레임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서브프레임과 스티어링하우징의 장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은 사이드서브프레임(110)과 스티어링하우징(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은 차체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과 결합하기 위하여 스티어링하우징(120)과의 결합부위 부근에서는 상호 안쪽으로 굴곡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에는 각각 컨트롤암(160)이 장착된다.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은 종래의 사이드서브프레임(110)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에는 고정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112)은 반원통 형상으로 차폭방향으로 형성된 홈을 말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112)은 반원통 형상이 아닌 원통형상의 홈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고정홈(112)은 상기 좌·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112)들의 중심은 동일축선 상에 있다.
상기 고정홈(112)에는 중공의 원통형의 고정관(115)이 배치되어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관(115)은 상기 고정홈(112)과 전체가 접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만 접합하도록 상기 고정홈(112)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 고정관(115)을 일체로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좌·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은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112)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으나,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의 고정홈(112)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관(115)에 삽입한 후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정관(115)의 내경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커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고정관(115)과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은 단면이 원통형상이 아닌 다각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관(115)에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은 삽입하여 그 접합부위를 용접 결합하는데, 강한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을 상기 고정관(115)에 삽입할 때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의 끝단이 외부로 약간 노출되도록 삽입한 후에 상기 고정관(115)의 양단 즉,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과 상기 고정관(115)이 접하는 양 부위를 용접하여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관(115)의 양단의 용접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과 상기 고정관(115)의 접합부 중 상부 접합부 즉 상부반원접합부위만을 용접 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용접작업이 용이하고, 용접부위를 줄이면서 동시에 강한 결합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팅어링하우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은, 피니언하우징(130)과 요크지지부재(150)와 랙하우징(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에는 피니언(미도시)이 삽입되고, 상기 요크지지부재(150)는 요크(미도시)를 지지하며, 상기 랙하우징(140)은 그 내부에 랙(141)이 삽입된다.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은 본체(132)와 걸림부(13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본체(132)는 원통형으로써 상기 랙하우징(140)과 연통되기 위한 피니언하우징연통공(136)이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하우징연통공(136)은 원주면에 형성되는바 측면에서 볼 때 호(弧)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는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이 랙하우징(140)에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하우징(130) 내부에 장착되는 피니언과 랙하우징(140) 내부에 장착되는 랙(141)이 상호 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체(132)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부(134)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134)도 원통형상을 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132)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다.
이때, 상기 본체(132)와 걸림부(134)는 원통형상이 아닌 다각형상을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요크지지부재(150)는 원통형으로써, 상기 요크지지부재(150)에는 상기 랙하우징(140)과 연통되는 요크지지부재연통공(1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지지부재연통공(152)은 상기 요크지지부재(150)의 양단면을 천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랙하우징(140)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요크지지부재(150)의 일단은 측면에서 볼 때 호(弧)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요크지지부재(150)가 원통형상이 아닌 다각형상을 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랙하우징(140)은 중공의 원통형 관으로써, 상기 랙하우징(140)에는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을 수용하기 위한 피니언하우징수용부(145)와, 상기 요크지지부재(150)를 수용하기 위한 요크지지부재수용부(1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하우징수용부(145)에는 상기 랙하우징(14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과,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의 상단에서 상기 걸림부(134)를 지지하는 걸림턱(1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은 원주면을 따라 장공(長空)의 형상을 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42)은 상기 랙하우징(140)의 내부로 굴곡되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을 형성할 때 프레스 기기 등을 이용하여 누름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을 상기 랙하우징(14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에 삽입한 후에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의 걸림부(134)가 상기 걸림턱(142)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요크지지부재수용부(148)는 상기 랙하우징(140)의 원주면에 형성된 요크지지부재삽입공(146)과, 상기 요크지지부재삽입공(146)의 원주를 따라 상기 랙하우징(140)의 내부로 형성된 플랜지(147)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크지지부재삽입공(146)은 상기 요크지지부재(150)가 삽입되도록 원(圓) 형상을 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147)는 상기 요크지지부재(150)를 상기 랙하우징(140) 내부에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과 상기 요크지지부재삽입공(146)은 180도 즉 마주보도록 형성되도록 함이 종래의 다른 부품의 구조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랙하우징(140)에는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과 요크지지부재삽입공(146)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에는 피니언하우징연통공(136)이 형성되며, 상기 요크지지부재(150)에는 요크지지부재연통공(152)이 형성되 어, 결국 상기 랙하우징(140)과 피니언하우징(130)과 요크지지부재(150)는 상호 연통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니언하우징(130)과 상기 요크지지부재(150)는 종래 랙하우징(140)과 같이 상기 랙하우징(140)에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관(115)에 삽입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팅어링하우징(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스티어링하우징(120')은 도 5에 도시된 스티어링하우징(120)과 비교하여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의 형상만을 다르게 형성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을 상기 랙하우징(140')의 원주면을 장공으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의 본체(132)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 즉 원형으로 형성한다.
이때에는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의 본체(132)를 종방향으로 원형의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에 삽입하여 걸림부(134)가 걸림턱(14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의 지름이 상기 본체(132)의 지름보다 크고 상기 걸림부(134)의 지름보다 작아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원형 형상의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은 상기 랙하우징(140')의 원주면에 한 개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의 크기 또는 전체적인 형상 및 다른 부품과의 연관에 따라 상기 랙하우징(140')에 상하로 두 개가 형성되어 여기에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이 삽입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장착방법 및 작용에 대하여 알아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스티어링하우징(120)을 제작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랙하우징(140)에 형성된 피니언하우징삽입공(144)에 상기 피니언하우징(130)을 장착하여 용접하고, 상기 요크지지부재삽입공(146)에 상기 요크지지부재(150)를 삽입하여 용접 결합하여 일체화시킨다.
이렇게 일체화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 내부에 피니언, 랙(141), 요크 등의 부품들을 삽입 장착한다.
상기 고정관(115)에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의 양단을 삽입한 후 상기 좌·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고정관(115)의 양단을 용접 결합하여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110)과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을 일체화시킨다.
그 후에 상기 랙(141)의 양단에 타이로드(161)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타이로드(161)와 랙(141)에 밸로즈(165)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을 상기 고정관(115)에 용접 결합한 후에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 내부에 피니언, 랙(141), 요크 등의 부품 등을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 스티어링하우징(120)과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110)을 각각 별도로 제조하기 때문에 각각 다른 제조방법(단조, 주조, 압연, 절삭, 프레스 등) 예를 들어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은 압연, 주조 등으로 제작하고,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은 단조, 프레스 등으로 제작하여 조립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그 부품에 필요한 특성 즉 두께, 강도, 경도, 재질, 형상 등에 알맞게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일체형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체형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구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서브프레임 중 센터서브프레임없이 사이드서브프레임만을 가지고 상기 스티어링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센터서브프레임의 제작에 필요한 제조공정, 비용절감, 부품수 절감, 물류비용의 절감 등을 할 수 있고 또한, 그에 해당하는 중량을 줄일 수 있어 차량연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차량의 엔진룸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과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양 장치의 중복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차량의 관리부품 절감 및 조향장치와 현가장치의 일관된 품질관리가 가능하며, 부품간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사이드서브프레임에 고정관을 형성하여 여기에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을 삽입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스티어링하우징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 도의 체결부재 등의 부품이 불필요한바 그에 따른 공정 및 부품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강한 체결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서브프레임과 스티어링하우징이 일체화되어 상호 연결부가 없어지므로 마운팅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조향강성감 측면에서 유리한다.
셋째, 피니언하우징, 요크지지부재, 랙하우징을 각각 별도로 제작한 후 일체로 용접함으로써, 부품을 제작에 필요한 주형, 제작기계 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이를 용접 등을 통해 일체화시킬 수 있어 생산성 및 작업성이 유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피니언하우징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피니언하우징수용부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피니언하우징을 피니언하우징삽입공에 삽입한 후에 용접할 때 상기 걸림턱에 의해 피니언하우징이 고정 지지되므로 용접작업이 훨씬 용이하게 된다.
다섯째, 요크지지부재삽입공의 원주를 따라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크지지부재를 가이드하면서 지지해주게 되어 상기 요크지지부재를 상기 요크지지부재삽입공에 삽입한 후에 용접할 때 용접작업이 용이해지게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스티어링 하우징을 끝단을 상기 고정관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고정관의 양단을 용접 결합함으로써, 강력하게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하우징과 상기 고정관의 접합부 중 상부 접합부만을 용접 결합함으로써, 용접작업이 용이하고, 용접부위를 줄이면서 동시에 강한 결합력 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Claims (8)

  1. 차체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서브프레임과;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티어링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 서브프레임에는 좌·우측 각각 차폭방향으로 고정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에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은,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하우징과;
    요크를 지지하는 요크지지부재와;
    랙이 삽입되는 중공의 랙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하우징에는 상기 피니언하우징이 수용되는 피니언하우징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하우징에는 상기 랙하우징과 연통되는 피니언하우징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중공의 원통형 관이고, 상기 사이드 서브프레임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고정홈에 일체로 결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구조.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하우징은,
    상기 피니언하우징연통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상의 걸림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피니언하우징연통공은 상기 본체의 원통면에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하우징수용부는,
    상기 랙하우징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피니언하우징삽입공과, 상기 피니언하우징삽입공의 상단에서 상기 걸림부를 지지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랙하우징의 내부로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5. 차체길이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사이드 서브프레임과;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티어링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사이드 서브프레임에는 좌·우측 각각 차폭방향으로 고정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관에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은,
    피니언이 삽입되는 피니언 하우징과;
    요크를 지지하는 요크지지부재와;
    랙이 삽입되는 중공의 랙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랙하우징에는 요크지지부재가 수용되는 요크지지부재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크지지부재에는 상기 랙하우징과 연통되는 요크지지부재연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지지부재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상기 요크지지부재연통공이 천공 형성되고, 상기 랙하우징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요크지지부재의 일단은 호(弧)형상으로 절삭되며,
    상기 요크지지부재수용부는,
    상기 랙하우징의 원주면에 형성된 요크지지부재삽입공과, 상기 요크지지부재삽입공의 원주를 따라 상기 랙하우징의 내부로 형성된 플랜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하우징은 상기 고정관을 관통하여 끝단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고정관의 양단을 용접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의 양단의 용접은, 상기 스티어링하우징과 상기 고정관의 접합부 중 상부 접합부만을 용접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KR1020050064134A 2005-07-15 2005-07-15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KR100692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34A KR100692534B1 (ko) 2005-07-15 2005-07-15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4134A KR100692534B1 (ko) 2005-07-15 2005-07-15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21A KR20070009121A (ko) 2007-01-18
KR100692534B1 true KR100692534B1 (ko) 2007-03-09

Family

ID=3801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4134A KR100692534B1 (ko) 2005-07-15 2005-07-15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5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379B1 (ko) 2008-04-23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박스 장착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25555A1 (de) 2009-07-06 2011-01-13 Ksm Castings Gmbh Achsträger, insbesondere Vorderachsträger für Kraftfahrzeuge
DE102011115387A1 (de) 2010-11-02 2012-05-03 Ksm Castings Gmbh Achsträger, insbesondere Vorderachsträger für Kraftfahrzeu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63U (ko) 1980-11-07 1982-05-20
JP2002087291A (ja) 2000-08-24 2002-03-27 Hyundai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
JP2002193132A (ja) 2000-12-26 2002-07-10 Aisin Seiki Co Ltd 後輪操舵装置
KR20060053715A (ko) * 2004-11-17 2006-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63U (ko) 1980-11-07 1982-05-20
JP2002087291A (ja) 2000-08-24 2002-03-27 Hyundai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ギヤフレーム
JP2002193132A (ja) 2000-12-26 2002-07-10 Aisin Seiki Co Ltd 後輪操舵装置
KR20060053715A (ko) * 2004-11-17 2006-05-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379B1 (ko) 2008-04-23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박스 장착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121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2449C2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узла передней ча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сред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в форме полой детали короткого подрамника, соединенное с боковыми элементам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5850115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18346B1 (ko)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EP1982856A1 (en) Automobile body frame structure
WO2002026548A1 (en) Modular subfram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4662041B2 (ja) 車輌の揺動アーム取付構造
WO2012157702A1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6232180A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US7677346B2 (en) Frame structure of motorcycle
KR100692534B1 (ko)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KR100344336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 구조
KR100698698B1 (ko) 서브프레임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JP2001039333A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の組付け構造
JPH11115796A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
KR100834598B1 (ko)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일체형의 현가 서브프레임
JP4178387B2 (ja) ロールマウント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JP2000344169A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KR100834599B1 (ko)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일체형의 파이프 타입 현가서브프레임
KR101301749B1 (ko)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일체형 차체 서브 프레임
KR20050110053A (ko)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KR100599475B1 (ko) 스티어링 기어 일체형 프레임 구조
EP2028091A1 (en) Motorcycle and frame of motorcycle
KR102540877B1 (ko)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JP6120747B2 (ja) トラクタのフレーム構造
JP2006168641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