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877B1 -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 Google Patents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877B1
KR102540877B1 KR1020180019229A KR20180019229A KR102540877B1 KR 102540877 B1 KR102540877 B1 KR 102540877B1 KR 1020180019229 A KR1020180019229 A KR 1020180019229A KR 20180019229 A KR20180019229 A KR 20180019229A KR 102540877 B1 KR102540877 B1 KR 102540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structure
step absorption
coupling support
bolt
absorption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601A (ko
Inventor
이성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9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8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9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 B62D3/0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with screw and nut
    • B62D3/08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with screw and nut using intermediate ba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은 단 볼트 및 상기 단 볼트가 조립되어 기어박스 하우징에 체결되는 볼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서브프레임에 결합시 단차 및 좌면 기울기가 과다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흡수하도록 하여 공정 효율성 향상 및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STEP DIFFERENCE ABSORBING BOLT STRUCTURE}
본 발명은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프레임의 마운팅부의 좌면의 단차 및 좌면 기울기를 흡수할 수 있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크게 차량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다수개의 부재들이 각기 적절하게 접합되는 차체(Body)와, 서스펜션, 조향장치 등을 포함하여 상기 차체의 내부에 구성되는 샤시(Chassis)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 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임의로 바꾸기 위한 조향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며, 조작 기구,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및 링크 기구를 포함한다. 조향 장치의 조작 기구는 운전자가 직접 조향 조작을 하여 그 조작력을 조향 기어 및 링크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스티어링 샤프트(steering shaft), 및 컬럼(column)을 포함한다.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은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을 감속하여 조작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조작 기구의 운동 방향을 바꾸어 링크 기구에 전달한다. 조향 장치의 링크 기구는 기어 기구의 작동을 앞바퀴에 전달하고 또 좌우 바퀴의 관계 위치를 바르게 지지한다.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은 조향 기어의 종류에 따라 세분되나 볼트 앤 너트(bolt and nut) 타입과 랙 앤드 피니언(rack and pinion) 타입으로 크게 대별된다. 랙 앤드 피니언 타입은 주로 소형 자동차에 사용되며 스티어링 샤프트의 끝에 피니언(pinion)을 설치하여 랙(rack)과 치합되도록 한 구조를 가진다. 피니언이 회전하면 랙은 옆방향으로 움직이고 랙과 양끝에 연결된 타이로드(tie rod)를 통해 너클(knuckle)과 함께 조향 바퀴가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우선,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이 마운팅 브라켓(mounting bracket) 및 볼트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은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판재를 상호 용접을 통해 결합하여 형성됨으로써 튜브 형태를 가지며, 서브프레임의 양단부에 차체와의 고정을 위한 마운트부가 형성된다.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을 차체에 장착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튜브 형태의 서브프레임에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을 안착시킨 후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을 덮을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별도의 플레이트를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위에 위치시킨 후 이 플레이트를 서브프레임에 용접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을 서브프레임에 고정하고, 서브프레임을 차체에 결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은 차체의 하부에서 엔진과 변속기를 지지하며, 차량의 구조 강성을 확보하여 하중 전달을 용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서브프레임에 장착시에는 서브프레임에 용접된 파이프 너트 마운팅 좌면에 거치 후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도 1은 종래의 서브프레임 체결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1)과 기어박스(2)를 볼트(10)를 이용해서 체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서브프레임의 마운팅부 브라켓 및 파이프 너트 용접에 의해 좌면 정밀도 부족으로 단차 및 좌면 기울기가 과다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어박스 편측 조립시 단차 및 좌면 기울기가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에 완조립시 기어박스 밴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조타시 걸림 현상이 발생하여 작동이 원할하지 않으며 프릭션이 과다하게 발생되어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008-0030734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서브프레임에 결합시에 단차 및 좌면 기울기가 과다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흡수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 볼트 및 상기 단 볼트가 조립되어 기어박스 하우징에 체결되는 볼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 볼트의 헤드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 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완체결 구간과 가조립 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체결 구간은 볼 회전체와 억지끼움될 수 있다.
상기 단 볼트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회전체는 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상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볼 회전체는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볼 회전체는 상호 결합된 형상이 중공의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볼 회전체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 회전체는 제 1 결합 지지부; 상기 제 1 결합 지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제 2 결합 지지부 및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제 3 결합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지지부의 직경은 단 볼트의 플랜지부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는 외면의 형상이 구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편평한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의 외면에는 세레이션(serration)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는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의 내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볼 회전체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은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서브프레임에 결합시 단차 및 좌면 기울기가 과다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흡수하여 기어박스에 영향 없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정 효율성 향상 및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서브프레임 체결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볼트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볼 회전체의 사시도 및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기어박스 하우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기어박스 하우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 의한 조타 프릭션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 의한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모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은 단 볼트(110) 및 상기 단 볼트(110)가 조립되어 기어박스 하우징(150)에 체결되는 볼 회전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볼 회전체(130)는 좌측 볼 회전체(131)와 우측 볼 회전체(132)의 두 개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프레임(1)을 기어박스(2)에 체결시 단차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단 볼트(110)를 이용해서 체결하지만, 서브프레임(1)을 기어박스(2)에 체결시 좌면이 경사져 θ만큼 단차가 발생한 경우에는 볼 회전체(130)가 기어박스 하우징(150) 내에서 θ만큼 회전하여 단차를 흡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볼트의 모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 볼트(110)의 헤드에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으로 단차(114)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단차(114)는 완체결 구간(115)과 가조립 구간(116)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 볼트(110)의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되, 볼트 단차(114) 위치까지 가조립 되고, 상기 완체결 구간(115)이 볼 회전체(130)와 억지끼워 맞춤되는 구조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볼 회전체의 사시도 및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볼 회전체(130)는 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상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다. 도면에서는 상기 볼 회전체(130)가 좌측 볼 회전체(131)와 우측 볼 회전체(132)의 두 개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며,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볼 회전체(130)는 좌측 볼 회전체(131)와 우측 볼 회전체(132)가 상호 결합되는 형상이 중공의 원통형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볼 회전체(130)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볼 회전체(130)는 제 1 결합 지지부(131a, 132a), 상기 제 1 결합 지지부(131a, 132a)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제 2 결합 지지부(131b, 132b) 및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131b, 132b)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제 3 결합 지지부(131c, 132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131b, 132b)의 외면에는 세레이션(C)이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결합 지지부(131a, 132a)의 직경은 단 볼트(110)의 플랜지부(112)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131b, 132b)는 외면의 형상이 구체 형상이다.
한편, 미설명부호 134는 홈을 지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기어박스 하우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볼 회전체(130)가 체결되는 기어박스 하우징(150)과, 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B-B선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150) 내부에는 볼 회전체(1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세레이션(D)이 형성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작동 순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을 도 2 내지 도 6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작동 관계를 기술하면, 화살표 순서와 같이 조립하되, 먼저 서브프레임(1)의 좌면이 기울어진 경우에 기어박스(2)를 가거치하여 기어박스 하우징(150) 내부의 볼 회전체(130)를 자유 상태로 기울어진 서브프레임(1)의 좌면에 안착한다.
이어서, 단 볼트(110)를 볼 회전체(130)에 삽입하되, 단 볼트(110)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 위치까지 가조립한다. 볼 회전체(130)가 서브프레임(1)의 좌면에 대응하여 기어박스 하우징(150) 내에서 회전한 상태에서 단 볼트(110)의 완체결 구간(115)까지 삽입하여 볼 회전체(130)의 제 2 결합 지지부(131b, 132b)가 고정되도록 체결한다.
이때, 상기 볼 회전체(130)의 제 2 결합 지지부(131b, 132b)의 외면과 기어박스 하우징(150)의 내면에는 세레이션(D)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은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서브프레임에 결합시 단차 및 좌면 기울기가 과다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흡수하여 기어박스에 영향 없이 조립하여 공정 효율성 향상 및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기어박스 하우징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서 볼 회전체(130)는 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상 분할되어 있되, 좌측 볼 회전체(131)와 우측 볼 회전체(132)의 두 개로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이고, 기어박스 하우징(150)에는 볼 회전체(130)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구간(15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Z축 또는 -Z축 방향으로 높이 차이가 발생하여도 볼 회전체(130)를 슬라이딩 구간(154)에서 Z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켜 이러한 차이를 흡수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볼 회전체(130)의 일측에 슬라이드 가능한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서브프레임에 결합시 좌면 기울기뿐만 아니라 단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를 제거하여 기어박스에 영향 없이 조립하여 공정 효율성 향상 및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 의한 조타 프릭션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타 프릭션이 감소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서브프레임을 기어박스에 체결시 좌면이 기울어진 비정상 상태에서 기울어짐이 없는 정상 상태로 된 경우를 비교하면 토크의 변동폭들이 평균적으로 d만큼 감소하여 조타 프릭션이 감소되고, 토크 발생이 작아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에 의한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동소음에 대한 영향이 감소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좌면이 기울어진 비정상 상태에서는 작동소음이 54dBA에서 서브프레임과 기어박스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을 이용하여 기울어짐이 없는 정상 상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작동소음이 36dBA로 감소하여 소음 발생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은 스티어링 기어박스를 서브프레임에 결합시 단차 및 좌면이 기울어진 경우에 이를 제거하여 기어박스에 영향 없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켜 차량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당 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가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서브프레임
2: 기어박스
110: 단 볼트
114: 단차
115: 완체결 구간
116: 가조립 구간
130: 볼 회전체
131: 좌측 볼 회전체
132: 우측 볼 회전체
150: 기어박스 하우징

Claims (19)

  1. 단 볼트; 및
    상기 단 볼트가 조립되어 기어박스 하우징에 체결되는 볼 회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볼 회전체는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 볼트의 헤드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 볼트는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완체결 구간과 가조립 구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체결 구간은 볼 회전체와 억지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 볼트 외주면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회전체는 평면을 기준으로 수직 단면상 분할되어 상호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회전체는 상호 결합된 형상이 중공의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회전체 내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회전체는,
    제 1 결합 지지부;
    상기 제 1 결합 지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제 2 결합 지지부; 및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있는 제 3 결합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지지부의 직경은 단 볼트의 플랜지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는 외면의 형상이 구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의 일측에는 슬라이드 가능한 편평한 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의 외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지지부는 체결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의 내면에는 세레이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하우징은 볼 회전체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구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KR1020180019229A 2018-02-19 2018-02-19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KR102540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229A KR102540877B1 (ko) 2018-02-19 2018-02-19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229A KR102540877B1 (ko) 2018-02-19 2018-02-19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601A KR20190099601A (ko) 2019-08-28
KR102540877B1 true KR102540877B1 (ko) 2023-06-07

Family

ID=6777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229A KR102540877B1 (ko) 2018-02-19 2018-02-19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8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688B2 (en) 2002-08-12 2005-0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ering linkage ball joint assembly
JP2015131592A (ja) * 2014-01-15 2015-07-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輌用クロスメンバの補強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6511B1 (ko) * 2003-03-17 2006-01-2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용 스티어링 틸트 칼럼 어셈브리
KR100834598B1 (ko) 2006-10-02 2008-06-02 우신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 프레임 일체형의 현가 서브프레임
KR102053467B1 (ko) * 2014-10-08 2019-1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 기어박스 마운팅 구조
KR102216191B1 (ko) * 2015-03-02 2021-02-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51688B2 (en) 2002-08-12 2005-0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ering linkage ball joint assembly
JP2015131592A (ja) * 2014-01-15 2015-07-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輌用クロスメンバの補強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601A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4449B2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9096276B2 (en) Front subframe structure of automobile
RU2402449C2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узла передней части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одержащая сред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в форме полой детали короткого подрамника, соединенное с боковыми элементам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102574538B (zh) 冲击吸收式转向装置
DE102011057084B4 (de) Motorbefestigungsstruktur für ein Elektrofahrzeug
US9346492B2 (en) Off-road vehicle
DE102018005302B4 (de) Antriebssystem-Lagerungsstruktur, damit ausgestattetes Fahrzeug und Verfahren zum Lagern eines Antriebssystems
DE112010005284T5 (de) Frontaufprallenergie absorbierende Struktur für ein Fahrzeug
DE112010005283T5 (de) Aufhängungsstützenstruktur für ein Fahrzeug
DE102013204313A1 (de) Frontkarosserieaufbau eines Fahrzeugs
DE102008063209B4 (de) Antriebswellenvorrichtung
EP3162683B1 (en) Vehicle
JPWO2012157702A1 (ja) 自動車用ステアリング装置
DE602005004735T2 (de) Fahrzeug
US10464632B2 (en) Straddled vehicle
US8657059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propeller shaft to cross-member
KR102540877B1 (ko) 단차 흡수 볼트 구조물
KR101685397B1 (ko) 차량의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JP6676514B2 (ja) サブフレーム
KR100692534B1 (ko) 일체형 스티어링 프레임 구조
KR101705148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구조
JP6120747B2 (ja) トラクタのフレーム構造
CN211032863U (zh) 轻型全地形车方向操纵装置与车架的装配结构
DE102010002829A1 (de) Kraftrad
KR102448379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