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486B1 -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 Google Patents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486B1
KR102089486B1 KR1020180084353A KR20180084353A KR102089486B1 KR 102089486 B1 KR102089486 B1 KR 102089486B1 KR 1020180084353 A KR1020180084353 A KR 1020180084353A KR 20180084353 A KR20180084353 A KR 20180084353A KR 102089486 B1 KR102089486 B1 KR 102089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frame
coupling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685A (ko
Inventor
오용근
홍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쓰리축
Priority to KR1020180084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48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향장치부재와 동력구동장치부재, 현가장치부재, 제동장치부재를 장치별로 서브프레임부재에 선 장착하여 모듈화하여 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차량 조립 공정의 모듈화를 통한 작업 공정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조립편의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완충결합유닛(120)을 매개로 차체프레임(10)의 메인마운트(30)에 장착되되 다수개의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과 조향결합브라켓(160),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 서브프레임부재(100); 차량의 조향휠로부터 연장되는 관절연장부의 기어결합을 위한 기어박스(2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에 볼팅결합되는 조향장치부재(200);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8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의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드라이브 샤프트(310)가 설치된 동력구동장치부재(300); 일측이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버팀브라켓유닛(430)을 매개로 결합되는 현가장치부재(400);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장착되는 제동장치부재(500);를 모듈화하여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CHASSIS PLATFORM MODUL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향장치부재와 동력구동장치부재, 현가장치부재, 제동장치부재를 장치별로 서브프레임부재에 선 장착하여 모듈화하여 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차량 조립 공정의 모듈화를 통한 작업 공정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면서 작업자의 조립편의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를 이르는 것으로, 기존의 가솔린 자동차가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을 사용하는 데, 이에 반해 모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차륜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전기차는 구동방식에 따라 2륜구동과 4륜구동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2륜구동 전기차는 다시 모터의 탑재 위치와 구동륜의 위치에 따라 RR형, 즉 모터 후방탑재 및 후륜구동형, FF형 즉 모터 전방탑재 및 전륜구동형, 그리고 FR 즉 모터 전방탑재 및 후륜구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에 비해, 4륜 구동 전기차는 중앙에 모터가 탑재되고, 전후륜이 모두 구동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전륜구동이나 후륜구동, 4륜 구동을 위해 차체프레임의 전방이나 후방, 전후방에 차량의 장치, 즉 조향장치와 구동모터가 구비된 동력장치, 현가장치, 제동장치를 조립하게 되는데, 각각의 장치별로 조립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져 작업 공정 및 시간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다수개의 프레임을 용접에 의해 결합하여 이루어진 차체프레임에 각각의 장치를 조립시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현장 작업자의 불편함이 야기되어 작업성의 저하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37959호의 연료전지 차량의 전용 플랫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프레임부재에 조향장치부재와 동력구동장치부재, 현가장치부재, 제동장치부재를 장치별로 서브프레임부재에 선 장착을 통해 모듈화하여 차량의 차체프레임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조립 공정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 협소한 공간에서 조향장치부재, 동력구동장치부재, 현가장치부재, 제동장치부재들의 결합시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차량의 운행 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차량의 현가장치부재와 더불어 완충결합유닛 및 제1,2완충부싱부재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완충결합유닛(120)을 매개로 차체프레임(10)의 메인마운트(30)에 장착되되 다수개의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과 조향결합브라켓(160),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 서브프레임부재(100); 차량의 조향휠로부터 연장되는 관절연장부의 기어결합을 위한 기어박스(2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에 볼팅결합되는 조향장치부재(200);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8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의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드라이브 샤프트(310)가 설치된 동력구동장치부재(300); 일측이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버팀브라켓유닛(430)을 매개로 결합되는 현가장치부재(400);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장착되는 제동장치부재(500);를 모듈화하여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에 차체프레임(10)의 메인마운트(30)에 장착되는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이 마련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11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장착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다수개의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이 마련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13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이 마련된 보강프레임(150)과, 상기 보강프레임(150)과 장착프레임(110)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측에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 거치프레임(17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장착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장착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결합되는 스테빌라이져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은 상기 장착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중공형 스틸결합구(121)와, 상기 스틸결합구(121)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메인마운트(30)를 관통한 결합볼트구(50)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구(122)와, 상기 스틸결합구(121) 및 볼트체결구(122) 사이에 설치되는 러버(12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버팀브라켓유닛(430)은,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의 쇼크업소버(440)가 결합되는 결합브라켓(431)과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의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의 상측이 연결되는 연결장착브라켓(4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브라켓(431)에 결합되는 상기 쇼크업소버(44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차량 운행시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는 제1완충부싱부재(4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장착브라켓(433)에 결합되는 상기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에는 차량 운행시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는 제2완충부싱부재(42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조향장치부재, 동력구동장치부재, 현가장치부재, 제동장치부재를 서브프레임부재에 선 조립에 의해 모듈화한 후, 차체프레임에 장착하면 되므로 차량의 조립 공정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종래 협소한 공간에서의 조립작업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완충결합유닛 및 제1,2완충부싱부재를 통해 차량의 운행 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차량의 현가장치부재와 더불어 더욱 효과적으로 완화하여 승차감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을 차체프레임의 전방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프레임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결합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부재를 확대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완충부싱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완충부싱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새플랫폼 모듈이 차체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을 차체프레임의 전방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프레임의 상태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충결합유닛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부재를 확대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완충부싱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완충부싱부재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새플랫폼 모듈이 차체프레임의 후방에 장착되는 실시 예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은 다수개의 완충결합유닛(120)을 매개로 차체프레임(10)에 장착되는 서브프레임부재(100)에 조향장치부재(200), 동력구동장치부재(300), 현가장치부재(400), 제동장치부재(500)를 선 장착에 의해 모듈화하여 차량의 차체프레임(10)에 연결되게 장착함으로써 차량 조립 고정을 모듈 단위로 진행하여 작업 공정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현장 작업자의 조립편의성 및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는 다수개의 완충결합유닛(120)을 매개로 차체프레임(10)의 메인마운트(3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는 후술되는 상기 조향장치부재(200)의 선 장착을 위한 조향결합브라켓(160)과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의 선 장착을 위한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 상기 동력구동장치부재(300)의 선 장착을 위한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에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메인마운트(30)에 장착되는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이 마련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11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장착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다수개의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이 마련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13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이 마련된 보강프레임(150)과, 상기 보강프레임(150)과 장착프레임(110)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측에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 거치프레임(170)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한 쌍의 장착프레임(110)은 상기 연결프레임(13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각각의 길이방향 양측에 마련된 완충결합유닛(120)이 차체프레임(10)의 전방사이드레일(20)에 마련된 상기 메인마운트(3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은 차량의 운행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은 상기 장착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중공형 스틸결합구(121)와, 상기 스틸결합구(121)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메인마운트(30)를 관통한 결합볼트구(50)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구(122)와, 상기 스틸결합구(121)와 볼트체결구(122) 사이에 설치되는 러버(123)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차량의 운행시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를 통해 차체프레임(10)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을 통해 완화함으로써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와 더블어 차체의 진동을 감소시킴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한 쌍의 장착프레임(110)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장착프레임(110)에 일체로 결합되고, 각각의 연결프레임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의 하측이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에 볼팅결합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150)은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한 쌍의 연결프레임(130)에 일체로 결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프레임(150)은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서브프레임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는 상기 보강프레임(150)에는 후술되는 상기 조향장치부재(200)의 결합을 위한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조향장치부재(200)를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거치프레임(170)은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이 마련된 보강프레임(150)과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의 후방에 위치하는 장착프레임에 길이방향 양측이 일체로 결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후술되는 상기 동력구동장치부재(300)의 조립을 위한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 후술되는 상기 조향장치부재(200), 동력구동장치부재(300), 현가장치부재(400), 제동장치부재(500)를 선 조립하여 모듈화한 후, 차체프레임(10)에 장착하면 되므로 차량의 조립 공정 및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종래 협소한 공간에서 상기 부재(조향장치부재, 동력구동장치부재, 현가장치부재, 제동장치부재)들의 결합시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향장치부재(200)는 차량의 조향휠(미도시)로부터 연장되는 관절연장부(미도시)의 기어결합을 위한 기어박스(2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에 볼팅결합된다.
즉, 상기 조향장치부재(200)에는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에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구(220)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안착구(220)를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의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팅결합하여 상기 조향장치부재(200)를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 손쉽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구동장치부재(300)는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설치되는 배터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차의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8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의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고, 길이방향 양측에 드라이브 샤프트(310)가 차체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10)에는 후술되는 제동장치부재(50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현가장치부재(400)는 일측이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버팀브라켓유닛(430)을 매개로 결한된다. 이때, 상기 현가장치부재(400)는 일측이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버팀브라켓유닛(430)에 연결되는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과, 일측이 상기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버팀브라켓유닛(430)에 연결되는 쇼크업소버(4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은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의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에 연결되는 로어암(411)과, 상기 로어암(411)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기 버팀브라켓유닛(430)에 연결되는 어퍼암(412)과, 상기 로어암(411)과 어퍼암(412)을 연결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동장치부재(500)가 결합되는 너클(4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버팀브라켓유닛(430)은 상기 쇼크업소버(440)가 결합되는 결합브라켓(431)과, 상기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의 어퍼암(412)이 연결되는 연결되는 연결장착브라켓(4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브라켓(431)에 결합되는 상기 쇼크업소버(440)에는 차량 운행시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완충부싱부재(4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완충부싱부재(450)는, 상기 쇼크업소버(440)의 길이방향 상측에 설치되는 스틸구(451)와, 상기 스틸구(451)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결합브라켓(431)을 관통한 플랜지볼트(432)가 체결되는 체결구(452)와, 상기 스틸구(451)와 체결구(452) 사이에 설치되는 러버부재(453)로 이루어져 상기 쇼크업소버(440)를 통해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장착브라켓(433)에 결합되는 상기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의 어퍼암(412)에는 차량 운행시 상기 제1완충부싱부재(450)와 더불어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완충부싱부재(42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제2완충부싱부재(420)는 어퍼암(412)의 선단에 일체로 결합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수용부(422)가 마련된 컨트롤암(421)과, 상기 컨트롤암(421)의 수용부(422)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장착브라켓(433)을 관통한 플랜지볼트구(434)가 통과되는 러버부시(423)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제1,2완충부싱부재(450,420)를 마련하여 차량 운행 중 상기 쇼크업소버(440)와 더불어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동장치부재(500)는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구동장치부재(300)와 현가장치부재(400)를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 조립한 후,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 상기 조향장치부재(200), 동력구동장치부재(300), 현가장치부재(400), 제동장치부재(500)를 조립하여 모듈화하는 과정에서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결합되는 스테빌라이져부재(600)를 추가 장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스테빌라이져부재(600)는 상기 한 쌍의 장착프레임 중 전방에 위치하는 장착프레임(110)에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결합되어 차량의 좌우 진동을 막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져부재(600)는 토션바라고도 하며 하체 서스펜션의 좌우 휠 트러블의 편차를 막기 위함으로 궁극적으로 주행 성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롤링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샤시플랫폼 모듈은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 차량의 주요부 구성을 선 조립하여 모듈화한 후 차체프레임(10)의 전방에 간단히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조립 공정의 모듈화를 통한 작업 공정 및 시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고, 차량의 운행 시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와 더불어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와 제1,2완충부싱부재(450,420)를 통해 더욱 효과적을 완화하여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샤시플랫폼 모듈을 차체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륜구동이나 사륜구동인 경우,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에 조향장치부재(200), 동력구동장치부재(300), 현가장치부재(400), 제동장치부재(500), 스테빌라이져부재(600)를 선 조립하여 모듈화한 후, 차체프레임(10)의 후방사이드레일(40)에 장착하여 작업 공정 및 시간의 단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프레임 30: 메인마운트
100: 서브프레임부재 110: 장착프레임
130: 연결프레임 150: 보강프레임
170: 거치프레임 200: 조향장치부재
300: 동력구동장치부재 400: 현가장치부재
500: 제동장치부재 600: 스테빌라이져부재

Claims (6)

  1. 다수개의 완충결합유닛(120)을 매개로 차체프레임(10)의 메인마운트(30)에 장착되되 다수개의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과 조향결합브라켓(160),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 서브프레임부재(100); 차량의 조향휠로부터 연장되는 관절연장부의 기어결합을 위한 기어박스(21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에 볼팅결합되는 조향장치부재(200);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80)에 볼팅결합되어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의 상측에 안착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드라이브 샤프트(310)가 설치된 동력구동장치부재(300); 일측이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에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상기 차체프레임(10)의 버팀브라켓유닛(430)을 매개로 결합되는 현가장치부재(400);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3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장착되는 제동장치부재(500);를 모듈화하여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부재(100)는,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에 차체프레임(10)의 메인마운트(30)에 장착되는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이 마련된 한 쌍의 장착프레임(11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장착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다수개의 상기 현가장치결합브라켓(140)이 마련된 한 쌍의 연결프레임(130)과,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결합되되 다수개의 상기 조향결합브라켓(160)이 마련된 보강프레임(150)과, 상기 보강프레임(150)과 장착프레임(110)을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측에 상기 구동장치브라켓(180)이 마련된 거치프레임(1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장착프레임에 장착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측이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에 결합되는 스테빌라이져부재(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결합유닛(120)은, 상기 장착프레임(110)의 길이방향 양측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중공형 스틸결합구(121)와, 상기 스틸결합구(121)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메인마운트(30)를 관통한 결합볼트구(50)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구(122)와, 상기 스틸결합구(121) 및 볼트체결구(122) 사이에 설치되는 러버(12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브라켓유닛(430)은,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의 쇼크업소버(440)가 결합되는 결합브라켓(431)과 상기 현가장치부재(400)의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의 상측이 연결되는 연결장착브라켓(4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브라켓(431)에 결합되는 상기 쇼크업소버(44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차량 운행시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는 제1완충부싱부재(4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착브라켓(433)에 결합되는 상기 더블위시본서스펜션(410)에는 차량 운행시 상기 차체프레임(10)에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하는 제2완충부싱부재(4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6. 삭제
KR1020180084353A 2018-07-19 2018-07-19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KR10208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53A KR102089486B1 (ko) 2018-07-19 2018-07-19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353A KR102089486B1 (ko) 2018-07-19 2018-07-19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85A KR20200009685A (ko) 2020-01-30
KR102089486B1 true KR102089486B1 (ko) 2020-03-16

Family

ID=69321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353A KR102089486B1 (ko) 2018-07-19 2018-07-19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4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3369A1 (en) 2020-07-20 2022-01-26 Hyundai Mobis Co., Ltd. Chassis fram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EP4046841A1 (en) 2021-02-19 2022-08-24 Hyundai Mobis Co., Ltd. Chassis fram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752A (ko) 2020-07-07 2022-0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기차용 샤시 플랫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03B1 (ko) * 2003-05-30 2005-12-12 한국기계연구원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모듈
KR20050107019A (ko) * 2004-05-07 2005-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력조향장치의 리턴튜브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43369A1 (en) 2020-07-20 2022-01-26 Hyundai Mobis Co., Ltd. Chassis fram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11654968B2 (en) 2020-07-20 2023-05-23 Hyundai Mobis Co., Ltd. Chassis fram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EP4046841A1 (en) 2021-02-19 2022-08-24 Hyundai Mobis Co., Ltd. Chassis fram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US11713079B2 (en) 2021-02-19 2023-08-01 Hyundai Mobis Co., Ltd. Chassis frame module for electric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685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1851B2 (en) Vehicle, wheel suspension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vehicle
US7360621B2 (en) Suspension cross member of automotive vehicle
US9045170B2 (en) Rear-wheel driv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modular subframe assembly and method
KR101184285B1 (ko) 차량의 엔진마운팅 구조
KR102089486B1 (ko) 전기차용 샤시플랫폼 모듈
US8864153B2 (en) Automotive rear suspension subassembly
CA2389140C (en) Suspension structure
CN203864796U (zh) 前副车架总成
JP5125769B2 (ja)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US11642953B2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powertrain of a four-wheeled vehicle
CN112829832A (zh) 一种电动乘用车前副车架总成
JP3487213B2 (ja) 車両のサブフレーム構造
CN106573649B (zh) 用于轮轴的模块化的辅助架以及辅助架的制造方法
KR102319822B1 (ko) 자동차 리어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암 마운팅 구조
CN201325558Y (zh) 正三轮摩托车的后轮悬挂结构
KR20130016509A (ko) 프런트 서브프레임 구조
CN211390844U (zh) 一种汽车后桥总成
KR101966448B1 (ko) 후륜 구동 차량용 트랜스미션 지지 장치
CN217969226U (zh) 一种电机悬置系统与具有其的车辆
KR20110063122A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JP4086098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1316445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
KR20020015128A (ko) 차량의 비구동용 서스펜션 시스템
CN114194279A (zh) 转向齿轮箱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KR100962191B1 (ko) 승용 프레임 차량에 채용된 프레임 크로스맴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