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160B1 - 합성수지팔레트 - Google Patents

합성수지팔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160B1
KR100518160B1 KR1019970058121A KR19970058121A KR100518160B1 KR 100518160 B1 KR100518160 B1 KR 100518160B1 KR 1019970058121 A KR1019970058121 A KR 1019970058121A KR 19970058121 A KR19970058121 A KR 19970058121A KR 100518160 B1 KR100518160 B1 KR 100518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block
synthetic resin
frames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090A (ko
Inventor
쓰토무 나까야마
사토시 이시도
유조 하야까와
까네노부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닛폰 프라파렛트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닛뽄 잉크 앤드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292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1296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49164A/ja
Application filed by 닛폰 프라파렛트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닛뽄 잉크 앤드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닛폰 프라파렛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4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34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69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합성수지 팔레트들에 고유한 문제점들을 제거하며 또한 포크 입구부의 출입 구역들 주변의 보강 골조들을 충격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또한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에 인접한 블록의 연부를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그에 의해 내구성이 높은 합성수지 팔레트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팔레트 P는 상판(11a), 이 상판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하판(11b), 이 두 판들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원통형 블록들(12) 및 이 블록들간에 형성되는 포크 입구들(14)을 구비한다. 이 합성수지 팔레트 P는 상판(11a)과 이 상판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블록 구성 부재들(12a, 12b)을 구비하는 1 개의 팔레트 구성 부재(10a)와 또한 팔레트의 또 다른 판(11b)과, 이 판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12b)를 구비하는 또 다른 1 개의 팔레트 구성 부재(10b)를 서로 대향시켜 블록구성 부재들(12a, 12b)을 서로 용접하여 제조한다. 보강 골조들(13)은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구성 부재(10a, 10b)의 상판들(11a, 11b)의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며 보강 골조들은 합성수지 팔레트의 표면의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13b)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 팔레트{SYNTHETIC RESIN PALLET}
본 발명은 합성수지 팔레트(pallet)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품을 운송 이동 및 저장할 때에 사용되는 포크리프트(forklift)용 팔레트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포크리프트용 팔레트로서 합성수지 팔레트가 제조된 바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합성수지 팔레트는 기본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2 팔레트 구성 부재를 형성한 다음 이들 팔레트 구성 부재를 일체화하여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 2 팔레트 구성 부재는 각각 판과, 이 판의 내측상의 적절한 위치에 구비된 블록(block)(다리)구성 부재와, 이 판의 내측상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구비되는 보강 골조로 되어있다. 합성수지 팔레트는 이들 팔레트 구성 부재를 서로 대향시켜 정합한 다음 일체로 정합부를 용접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용접된 블록 구성 부재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블록(다리)으로서 역할하며 이들 블록간의 공간은 포크 입구부로서 역할한다.
각 팔레트 구성 부재의 판 내면상에 그러한 보강 골조판을 형성하면, 판의 휨강도가 높아지므로, 포크리프트로 화물을 수송 및 이동할 때 판상의 휨 발생을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상술한 보강 골조는 상술한 바와 같은 판의 휨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큰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한편 합성수지 팔레트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그에 따라 보강 골조의 속을 비게 함으로서 전체 하중을 줄이는 한편 판의 휨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고안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합성수지 팔레트는 일본 특개평 5-162751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합성수지 팔레트는 과거 제품보다 속이 빈 보강 골조의 덕분으로 가벼우면서도 판의 휨강도가 커서 높이 평가되었다.
그러나 속이 빈 보강 골조는 휨강도가 크지만 충격에는 그렇게 강하지 못하다. 따라서 합성수지 팔레트의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에 인접한 보강 골조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내구성에 있어 문제점을 갖고 있다. 왜냐하면 포크를 삽입할 때 실수에 의해 포크에 의해 충격을 받을 경우 속이 빈 보강 골조가 파괴되기 쉬웠다.
또한 종래의 합성수지 팔레트는 상술한 문제점 이외에도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에 인접한 부분, 즉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의 양측의 블록 연부가 포크와의 충돌에 의해 손상되기 쉬우며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의 강도를 높인다 할지라도 블록연부가 손상되면 팔레트 전체의 내구성을 높일 수는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이며 휨강도가 클 뿐만 아니라 포크의 출입 구역주변의 보강 골조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이며 휨강도가 클 뿐만 아니라 포크의 출입구주변의 보강 골조와 그에 인접한 블록 연부가 포크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의 내측상에 이러한 보강 골조를 형성할 때 보강 골조 바로 위에 위치되는 판 내에 홈이 형성되지 않는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록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한편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이며 큰 휨강도를 갖는 보강 골조 내에 가스를 주입하여 속이 빈 공동 부분을 형성할 때 가스가 균형잡혀 도입될 수 있는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는 주로 하물이 탑재되는 상부판, 이 상부판에 대향 배치되는 하부판, 이들 두 판을 접속하기위한 복수의 실린더 블록 및 이 블록들간에 형성되는 포크 입구를 구비한다. 이 합성수지 팔레트는 판과 이 판의 내측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블록구성 부재를 구비하는 하나의 팔레트 구성 부재와, 다른 판과 이 판의 내측상에 일체로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를 구비하는 또 다른 하나의 팔레트 구성 부재를 서로 대향시켜 일체로 용접하여 제조한다. 보강 골조는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구성 부재의 표면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며 합성수지 팔레트의 표면 내측상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속이 빈 보강 골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기위한 중요한 요소인 보강 골조에서 포크 입구의 세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 보강 골조는 속이 비어 있으며 또한 포크 입구의 세로 방향에 평행한 표면 보강 골조는 속이 차 있다.
또한 이 보강 골조는 합성수지 팔레트의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의 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를 포함한다. 이 연부 보강 골조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속이 찬 접속 골조에 의해 이 보강 골조를 따라 인접하는 속이 빈 보강 골조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에서, 복수의 블록이, 합성수지 팔레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팔레트의 내부에 폐쇄된 공간을 두고 형성된 중앙 블록과 이 중앙 블록의 주변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된 주변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 블록의 내부는 중앙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스 통로 골조로 형성되며, 팔레트 구성 부재를 성형할 때에 중앙 블록이 되는 중앙 블록 구성 부재의 내부로부터 가스를 주입하여, 가스 통로 골조를 통해 팔레트 구성 부재 내에 형성된 비교적 두꺼운 표면 보강 골조 내로 가스를 주입시켜 보강 골조 내에 속이 빈 공동 부분을 형성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에서는 블록이 포크 입구의 출입구역에 인접한 연부 내부의 블록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비교적 작은 폐쇄된 공간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에서는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팔레트 구성 부재 내에 형성된 블록 구성 부재의 내부에 보강 구성부가 형성되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보강 구성부들은 환상 지주와 이 환상 지주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방사상 보강 골조로 구성되며 또한 블록 구성 부재의 내면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에서는 상기 블록의 벽두께를 약 3∼7 mm로 하고,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의 폭을 약 8∼40 mm로 한다. 속이 찬 표면 보강 골조의 폭은 특히 무게를 감소시키고, 소정의 휨강도를 유지시키고 또한 충격에 대해 포트입구의 주변부의 강도를 증강시키도록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팔레트는 전체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2 팔레트 구성 부재를 성형후 이들 2 팔레트 구성 부재를 서로 대향시킨 다음 서로 일체로 용접하여 제조한다. 각 팔레트 구성 부재는 사출 성형시 데크판의 내면상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보강 골조의 내부가 고체화되기 전에 소정의 위치로부터 가스를 도입함으로서 보강 골조의 내부를 속이 빈 공동 상태로 만든다.
그러나 이 합성수지 팔레트 내의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을 따라서 연부에 형성되는 연부 보강 골조는 소폭의 치수를 갖도록 설계되므로 두꺼운 표면 보강 골조내에 도입되는 가스는 연부 보강 골조를 침투하지 못한다. 그 결과 연부 보강 골조는 속이 차게 된다.
따라서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는 충격에 대해 고강도를 가지므로 포크가 포크 입구속으로 삽입될 때 실수로 연부 보강 골조와 충돌하더라도 쉽게 파괴되지 않으므로 합성수지 팔레트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4 방향 팔레트 P는 주로 하물이 탑재되는 상판(11a), 이 상판(11a)의 반대쪽의 기부판(11b), 상기 두 판들을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원통형 블록(12) 및 이들 블록들(12)간에 형성되는 포크 입구들(14)을 구비한다.
합성수지 팔레트 P는 2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로 구성된다. 한 팔레트 구성 부재(10a)는 주로 화물이 탑재되는 상판(11a)과 이 상판(11a)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블록 구성 부재(12a)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팔레트 구성 부재(10b)는 기부판(11b)과 이 기부판(11b)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12b)를 구비한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블록 구성 부재들(12a, 12b) 각각은 원통형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또한 약 3∼7 mm 정도로 얇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합성수지 팔레트 P는 이들 2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을 서로 대향시켜 일체로 용접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그렇게 용접된 블록 구성 부재들(12a, 12b)은 합성수지 팔레트 P의 블록(12)을 형성하며, 또한 이들 블록들(12)간의 공간은 포크 입구(14)로서 역할한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의 판들(11a, 11b)의 내측에는 복수의 보강 골조(13)가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의 내측상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보강 골조들(13) 각각은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들(13a)과 표면 보강 골조(13b)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의 연부 보강 골조들(13a)은 판들(11a, 11b)의 내연부에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표면 보강골조들(13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형성된 속이 빈 공동 부분들(16)을 구비한다.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을 따라 연부에 형성되는 속이 찬 연부보강 골조들(13a)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접속 보강 골조들(13c)을 통하여 그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13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 보강 골조들(13c)도 속이 차 있다. 따라서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들(13a)이 복수의 접속 보강 골조들(13c)을 통하여 인접한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13b)에 접속되므로 그에 의해 연부 보강 골조들(13a)상의 충격강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폭치수 L은 속이 찬 보강 골조들의 폭보다 2 mm 이상 더 크게 약 5∼40 mm, 바람직하게는 8∼20 mm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높이 H(판들(11a, 11b)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약 10∼50 mm, 바람직하게는 15∼40 mm가 좋다.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들(13a)의 두께는 3∼7 mm로 하는 것이 좋다.
판들(11a, 11b)의 내측에 형성되는 표면 보강 골조들(13b)을 속이 비도록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mold)의 보강 골조성형부품은 상술한 치수를 갖는 보강 골조들을 성형하도록 설계하며, 또한 몰드는 복수의 주입구(gate)들이 형성되어 있다.
몰드의 주입구들로부터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을 사출 성형할 때에 보강 골조들(13)의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내부가 고형화되기 전에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적절한 가스를 용융수지주입구 또는 별도로 형성된 가스전용주입구로부터 주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성형후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 각각의 표면 보강 골조들(13b) 내의 용융수지주입구겸 가스도입구의 흔적은 참조번호 15로 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몰드 내에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성형시 몰드 내에 주입된 용융수지가 고체화되기 전에 가스를 주입하여 속이 빈 공동 부분들을 형성하는 방법은 가스 협조 사출 성형법(gas assisted injection molding)으로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강 골조들(13)의 표면 보강골조들(13b) 내에 주입되는 가스의 내압은 다이 조립체 부품의 내벽상에 균일하게 작용한다. 그러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된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벽두께 S는 실질적으로 일정하며 극히 균일하다. 따라서 공동 부분들(16)이 표면 보강 골조들(13b) 내에 형성되므로, 합성수지 팔레트 P의 중량과 성형 시간을 훨씬 줄일 수 있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의 표면 보강 골조들(13b) 내에 주입되는 가스의 양은 합성수지 팔레트 P의 필요 강도 등에 따라서 제어한다. 통상적으로 가스는 합성수지 팔레트 P 전체의 겉보기 밀도가 원료 합성수지 밀도의 0.75∼0.9배 정도가 되도록 주입하는 것이 좋다.
보강 골조들(13)를 구성하는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13b), 속이 찬 연부보강 골조들(13a) 및 접속 보강 골조들(13c)은 모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들(13a)과 접속 보강 골조들(13c)에도 주입가스가 흘러들어가 중공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이 조립체 내로 주입되는 가스는 소정의 벽두께보다 작은 벽두께를 갖는 골조 내로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연부 보강 골조들(13a)과 접속 보강 골조들(13c)의 폭, 즉 벽두께가 약 3∼7 mm가 되도록 형성하기만 하면 속이 비지 않고 속이 차게 형성된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의 사출 성형 조건은 통상의 조건으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료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경우 용융 온도(실린더 온도) 200∼250℃, 사출 속도 2000∼5000cc/sec 정도가 좋다. 또한 팔레트를 구성하는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다른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착색제와 충전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또는 무기제를 포함하는 종래 공지의 발포제를 상기 합성수지에 혼합하여 성형체를 얻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발포율은 1.05∼1.4 배가 좋다. 이 경우 팔레트 전체의 겉보기 밀도는 원료 합성수지 밀도의 0.65∼0.9 배 정도로 함이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2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팔레트 구성 부재들(20)중 하나의 1/4 부분을 나타낸다. 이 팔레트 구성 부재들(20)은 주로 화물이 탑재되는 판(11a), 그 내측의 두 연부 및 중간부에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21) 및 판(11a)의 내측상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보강 골조들(13)을 구비한다. 이 구성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합성수지 팔레트의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과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2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팔레트 구성 부재들(20)을 성형할 때에 보강 골조들(13)의 표면 보강 골조들(13b)에 가스를 주입시켜 내부를 속이 비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이 팔레트 구성 부재들(20)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는 중앙에 위치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측벽을 따라 판(11a)상의 위치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가스 주입구들(도 4에 성형후 팔레트 구성 부재들(20)의 판(11a)상에 나타나는 가스 주입구멍의 흔적을 번호 15로 표시함)이 형성되어 있다. 다이 조립체의 가스 주입구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중앙 블록 구성부재들(21)의 측벽(21a) 즉, 판(11a)과 측벽(21a)간의 접속부는 도 4 및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표면 보강 골조들(13b)보다 높이가 낮은(높이와 폭이 약 10 mm가 좋음) 골조(22)가 측벽(21a)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측벽기부의 두께가 크게 형성된다. 그다음 상술한 가스 주입구 또는 별도로 형성된 용융수지주입구로부터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팔레트 구성 부재들(20)을 사출 성형할 때에 보강 골조들(13)의 내부가 고체화되기 전에 공기 또는 질소 등 적당한 가스를 가스 주입구를 통해 주입한다.
가스 주입구를 통해 주입되는 가스는 중앙의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측벽기부의 두꺼운 벽부분으로 흘러 각각의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내부로 들어감으로서 내부가 속이 비게 된다. 따라서 도 5에서 번호 23으로 표시되는 속이 빈 공동 부분은 중앙의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측벽기부의 두꺼운 벽 부분 내에 형성되는 가스주입통로가 된다. 이 통로(23)는 각 표면 보강 골조들(13b) 내의 공동 부분들(16)과 모두 연통되어 있다.
그다음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에 인접한 블록 구성 부재의 연부들의 구조, 다시 말해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의 양측에 위치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연부들에 대해 설명한다.
포크 입구들(14)에 인접한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연부 내부에는 블록 구성부재들(21)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3 개의 비교적 작은 폐쇄 공동 부분들(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폐쇄 공동 부분들(24)는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연부에 있는 측벽들(21a, 21b)과 연부벽(21c)과 협동하는 격벽(25)에 의해 한정 형성되어 있다.
이 격벽(25)은 포크 입구들(14)의 세로 방향으로 즉, 포크의 입구방향으로 블록 구성 부재의 측벽들(21a, 21b)에 직교하도록 측벽들(21a, 21b)간에 형성된 제1 격벽(25a)과, 제 1 격벽(25a)과 측벽들(21a, 21b)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부와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연부벽(21c)을 재분할하도록 포크인입방향과 평행한 2 개의 제 2 격벽(25b)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포크인입방향으로부터 주어진 충격에 대해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에 인접한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연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에 인접하여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연부 내에 폐쇄 공동 부분들(24)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25)은 또한 포크인입방향으로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측벽들(21a, 21b)간에 형성되는 제 1 격벽(25a)과 제 1 격벽(25a)과 블록 구성 부재(21)의 측벽들(21a, 21b) 및 연부벽(21c)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부를 재분할하도록 포크인입방향과 경사진 2 개의 제 2 격벽들(21d)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격벽(21d)의 연부벽(21c)에 대한 경사각 α가 0°일 경우 구성은 도 4에 보인 실시예에서와 같게 되므로, 경사각 α은 0°를 제외한 90°까지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그러나 90°일 경우에 제 2 격벽(21d)은 블록 구성 부재들(21)의 연부벽(21c)에 평행하므로 제외된다. 그러므로 경사각 α은 부등식으로 표현할 경우 0°< α < 90°로 한정된다.
도 4 및 6에서 26으로 나타낸 것은 본 발명 합성수지 팔레트를 사용할 경우 포크 입구들(14)에 포크가 들어갈 경우 포크와 합성수지 팔레트간에서 상대적으로 슬립되지 않도록 속이 빈 골조(13b)에 형성되는 구멍 내에 압착하는 슬립방지고무고리이다.
합성수지 팔레트 P의 코너들은 사용할 때 충격을 받기 쉬운 부분들이므로 특히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팔레트 구성 부재들(20)의 외연부의 블록 구성 부재들(21)에 형성되는 코너가 폐쇄된 공동 부분들(24)에 대하여 제 2 격벽(25b)과 측벽들(21b)간의 간격 A와 제 1 격벽(25a)과 연부벽들(21c)간의 간격 B를 약 30∼80 mm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합성수지 팔레트 P의 코너에 위치된 블록 구성 부재들(21) 내의 폐쇄 공동 부분들(24)에 대하여는 이 공동 부분들(24)의 표면들(11a, 11b) 각각의 두께는 다른 표면들의 두께보다 1∼3 mm 이상 더 두껍게 3∼5 mm로 한다. 그러나 데크판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하므로 그 두께의 증가분은 폐쇄 공동 부분들(24)의 내측으로 두껍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2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팔레트 구성 부재들(30)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의 평면도이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30)은 도 4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20)과 동일한 방식으로 판(11a)의 내면에 복수의 블록 구성 부재들(31)과 보강 골조들(13)을 구비한다. 도 8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30)에서 도 4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20)과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번호로 표시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20)과 팔레트 구성 부재들(30)의 상이한 부분은 배수를 위한 배수공(32)이 판(11)의 내면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13)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출입 구역들(14a)로부터 포크 입구들(14)로 침투하는 빗물이 보강 골조들(13)에 의해 둘러싸인 홈 내에 수집된다.
또한 포크리프트의 포크와 팔레트간에 슬립을 방지하도록 팔레트 구성 부재들(30)의 포크 입구들(14)에 끼워지는 고무고리(26)의 위치는 판(11a)의 연부로부터 200 mm 이내로 격리되어 있다. 즉, 트럭에 짐을 싣거나 내릴 때 포크 입구들(14) 속으로 얕게 삽입되는 포크리프트의 포크로서 팔레트를 밀거나 당겨서 팔레트의 위치를 자주 미세하게 조정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고리(26)가 상술한 위치에 형성될 경우 작업이 수월해진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부호33은 합성수지 팔레트를 들어올리거나 기울일 경우 사용되는 판(11a)에 형성되는 손잡이 구멍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들(40) 중 하나의 1/4을 나타낸다. 이 팔레트 구성 부재들(40)은 주로 화물을 탑재하는 판들(11a), 그의 내측에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41) 및 판들(11a)의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설치된 보강 골조들(13)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부품들은 합성수지 팔레트의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40)에서 판들(11a)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13)은 제 1 실시예에서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과 같이 연부 보강 골조들(13a), 표면 보강 골조들(13b) 및 접속 보강 골조들(13c)로 구성되어 있다. 연부 보강 골조들(13a)과 접속 보강 골조들(13c)은 속이 차 있다. 그다음 표면 보강 골조들(13b)은 속이 찬 골조와 속이 빈 골조로 형성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포크 입구들(14)의 세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 보강 골조들(13b-1)은 속이 비어있는 한편 포크 입구들(14)의 세로 방향에 평행한 표면 보강 골조들(13b-2)은 속이 차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들(50) 중 하나의 1/4을 나타낸다. 2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이들 팔레트 구성 부재들(50) 각각은 도 10에서와 같이 주로 화물이 탑재되는 판들(11a), 그의 내측에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51) 및 판들(11a)의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13)을 구비한다. 이들 부품들은 제 1 실시예에서 합성수지 팔레트의 팔레트 구성 부재들(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것들 이외의 다른 부품들은 도 9에 나타낸 제 4 실시예의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팔레트 구성 부재들(40)과 동일하다.
즉, 도 10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50)에서 보강 골조들(13)을 구성하는 표면 보강 골조들(13b)도 마찬가지로 포크 입구들(14)의 세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13b-1)과 포크 입구들(14)의 세로 방향에 평행한 속이 찬 표면 보강 골조들(13b-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50)에서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의 양측에 위치하는 블록 구성 부재들(41)의 연부들은 도 4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20)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 4 및 제 5 실시예에 의한 상술한 합성수지 팔레트에 의하면 속이 빈 표면보강 골조들(13b-1)은 포크 입구들(14)의 세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만 형성되므로 도 2, 4 및 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와 같이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은 서로 교차하지 않으므로 휨강도의 저하와 휨발생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개의 팔레트 구성 부재들(60) 중 하나의 1/4을 나타낸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60) 각각은 주로 화물이 탑재되는 판들(11a), 그 내측의 양연부와 중간부에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61) 및 판들(11a)의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13)을 구비한다. 제 6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 P는 팔레트 구성 부재들(60)을 서로 대향시켜 블록 구성 부재들(61)을 서로 정합하여 정합부를 일체로 용접하여 제조한다.
팔레트 구성 부재들(60)의 판들(11a)의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13)은 도 2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의 보강 골조들(13)과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6 실시예의 합성수지 팔레트 P에서는 몇 개의 블록 구성 부재들(61)의 내부에는 보강 구성부들(62)이 형성되며 다른 블록 구성 부재들(61) 내에는 보강 구조부들(63)이 형성되어 블록 구성 부재들(61)의 강도를 향상시킨다. 전자의 보강 구성부(62)는 도 11 및 블록 구성 부재들(61)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환상 지주(62a)와 이 환상 지주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블록 구성 부재들(61)의 내면에 접속되는 방사상보강 골조(62b)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강 구성부(62)는 팔레트 구성 부재들(60)의 블록 구성 부재들(61)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2 팔레트 구성 부재들(60)을 서로 대향시켜 블록 구성 부재들(61)을 정합하여 정합부를 서로 용접하여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조할 때에 블록 구성 부재들(61) 내부에서 대향하는 보강 구성부들(62)은 접촉시켜 일체로 용접한다.
또한 후자의 보강 구성부(63)는 도 11 및 블록 구성 부재들(61)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 1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환상 지주(64)는 주위방향으로 불연속하는 단편(64a)의 집단으로 구성되며, 방사상 보강 골조들(65)의 일 연부는 각 단편(64a)에 접속되며 다른 연부는 블록 구성 부재들(61)의 내면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 내에서 "환상지주" 는 주위방향으로 연속 또는 불연속하는 벽면에 의해 형성되는 지주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3에 나타낸 보강 구성부(63)는 방사상 보강 골조(65)가 각 단편(64a)의 중앙부에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는 보강 구성부(63)의 변형례로서 보강 구성부(66)를 나타낸다. 이 보강 구성부(66)는 방사상 골조(67)가 환상 지주(68)를 구성하는 불연속인 각 단편(68a)의 양연부들에 접속시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 P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70)중 하나의 1/4을 나타낸다. 이 팔레트 구성 부재들(70)의 기본구성은 도 11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들(60)과 동일하므로 동일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낸 팔레트구성부(70)의 판(11a)상에 일체로 형성된 블록 구성 부재(71) 내에 보강 구성부들(72)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보강 구성부들(73)은 다른 불록구성 부재들(71)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보강 구성부들(72, 73)의 구성들은 도 12 및 도 13 내에 나타낸 보강 구성부들(62, 63)과 동일하다. 보강 구성부(72)는 연속 환상 지주(72a)와 방사상 보강 골조(72b)를 구비하며, 보강 구성부(73)는 복수의 단편들(74a)로 된 불연속 환상 지주(74)와 방사상 보강 골조(75)를 구비한다.
보강 구성부들(72, 73)이 보강 구성부들(62, 63)과 다른 점은 보강 구성부들(72, 73)이, 이 블록 구성 부재(71)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2 팔레트 구성 부재들(70)을 서로 대향시켜 블록 구성 부재들(71)을 서로 정합하여 일체로 용접하여 제조할 때에 대향보강 구성부들(72, 73)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약간 격리되어 대향한다.
제 6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들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들내에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61, 71)의 보강 구성부들(62, 63, 72, 73)에 의하면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보강 골조들(62b, 65, 72b, 75)이 환상 지주(62a, 64, 72a, 74)와 블록 구성 부재들(61, 71)의 몸체들을 지지한다.
결과적으로 블록 구성 부재들(61, 71)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상당한 강도를 나타낸다. 그 외에도 상술한 합성수지 팔레트에서는 블록 구성 부재를 보강하기 위한 구성부분이 비교적 많은 공동 부분들을 구비하므로 무게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따라서 제조원가의 상승도 억제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들 중 하나의 1/4을 내측에서 본 상세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내부에서 본 또 다른 팔레트 구성 부재의 전체의 개략 평면도이다. 이 합성수지 팔레트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2 팔레트 구성 부재들(80a, 80b)을 서로 대향시켜 일체로 용접하여 제조한다. 또한 이 합성수지 팔레트는 화물이 탑재되는 일측 표면만을 사용하는 뒤집을 수 없는 일면 사용형이다.
상부 팔레트 구성 부재(80a)는 화물이 탑재되는 판(81a)과 소정 간격으로 내측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9개의 블록 구성 부재들(82a, 83a)(팔레트 구성 부재의 블록 구성 부재들의 전체배열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을 구비한다. 9개의 블록 구성 부재들(82a, 83a) 중 참조번호 82a로 표시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단면이 4각형인 하나의 중앙 블록 구성 부재로서 팔레트 구성 부재들(80a)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참조번호 83a로 표시되는 것은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a)를 둘러싸도록 판(81a)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는 8개의 주변 블록 구성 부재들이다. 그들 블록 구성 부재들(82a, 83a)의 벽두께는 약 3∼7 mm정도로 얇은 것이 좋다.
그다음, 비교적 얇은 보강 골조들(84)이 상기 상부 팔레트 구성 부재(80a)의 판(81a)의 내부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한 복수의 비교적 얇은 보강 골조들(84)은 또한 주변 블록 구성 부재들(83a)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등을 저지하고 또한 판(81a)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변 블록구성 부재들(83a)의 내부에도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 골조들(85)의 단면 구조는 도 3에 나타낸 보강 골조들(13)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보강 골조들(85)도 폭 L을 5∼40 mm, 바람직하게는 8∼20 mm로하고, 판(71a)의 내면으로부터의 높이 H를 10∼50 mm, 바람직하게는 15∼40 mm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서,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a)의 모서리부에는 중앙블록 구성 부재(82a)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주변 블록 구성 부재들(83a)로부터 연장되는 2 보강 골조들(85)이 접속되어 있다(도 16 참조). 가스 통로 골조(86)는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a)의 내부의 대각선 위치에 형성되며 이들 가스 통로 골조(86)의 연부들은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a)의 벽부를 통해 보강 골조들(85)의 연부들에 접속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블록 구성 부재들(82a, 83a)간에 형성되는 모든 보강 골조들(85)이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a) 내에 십자형으로 형성되는 가스 통로 골조들에 접속되며, 공동 부분들(16)은 도 3에 나타낸 보강 골조들(13)의 경우에서와 같이 가스 통로 골조(86)에 모두 접속되는 보강 골조들(85)의 내부에 있다.
그다음 보강 골조들(85) 내에 공동 부분들(16)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중안블록 구성 부재(82a) 내에 십자형으로 배치되는 가스 통로 골조(86)의 교차점(87)은 이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a)의 중심점과 팔레트 구성 부재(80a)의 중심점이다. 가스는 십자형 가스 통로 골조(86)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들어온다.
즉, 팔레트 구성 부재(80a)를 성형하기 위한 팔레트 성형 다이 조립체는 상술한 팔레트 구성 부재(80a)의 내부 위치에 상응하는 부분 내의 가스 주입구(도시안됨)로 형성된다. 그다음 개별적으로 형성된 용융 수지 전용 주입구로부터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팔레트 구성 부재(80a)를 사출 성형할 때에 공기 또는 질소 등의 적당한 가스를 보강 골조들(85)과 가스 통로 골조(86)의 내부가 고형화되기 전에 이 가스 주입구를 통해 주입한다.
가스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가스는 가스 통로 골조(86)로부터 모든 보강 골조들(85) 내로 흐르며, 그에 의해 내부에 공동 부분들(16)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공동 부분들(16)은 보강 골조들(85) 내에 형성되는 주입 가스 통로 역할을 하며 이 통로들은 가스 통로 골조(86)의 공동 부분들(16)과 연통되어 있다.
가스 통로 골조(86)로부터 가스가 주입된 후 가스 통로 골조(86)는 가스 주입구로서 개구와 함께 형성되며 보강 골조들(85) 내의 공동 부분들(16)은 가스 주입구를 통해 대기와 연통 상태로 된다. 편의상 가스 주입구는 또한 참조번호 87로 표시한다.
가스 통로 골조(86)로부터 보강 골조들(85) 속으로 흐르는 가스의 내압은 공동 부분들 내에 균일하게 작용하므로 성형된 보강 골조들(85)의 벽두께가 극단적으로 작아지지 않는다. 공동 부분들(16)은 보강 골조들(85) 내에 그렇게 형성된다. 그에 의해 합성수지 팔레트의 경량화 성형시의 치수 불안정 및 성형 시간을 훨씬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17 및 도 18에 보인 하부 팔레트 구성 부재(80b)에 대해서 살피면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와 주변 블록 구성 부재들(83b)이 기부판(81b)의 내부에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와 주변 블록 구성 부재들(83b)은 상술한 상부 팔레트 구성 부재들(82a, 83a)과 대응하며 그들의 형성위치, 단면구성 및 사이즈 등이 완전 동일하다.
하부 팔레트 구성 부재들(80b)에서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의 중앙을 통해 지나가는 세로 방향 중심선과 세로 방향 중심선에 의해 분할되는 1/4영역을 바라볼 때 비교적 두꺼운 보강 골조(88)는 4 블록 구성 부재들(82b, 83b) 내에 내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상부 팔레트 구성 부재(80a)의 경우에서와 같이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와 팔레트 구성 부재(80b)의 코너에 형성되는 주변 블록 구성 부재(83b)로부터 제각기 연장되는 보강 골조들(88)은 팔레트 구성 부재(80b)의 주변에서 중앙부에 형성되는 주변 블록 구성 부재(83b)의 모서리부분의 외측에서 서로 접속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보강 골조들(88)은 팔레트 구성 부재(80b)의 주변연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주변 블록 구성 부재들(83b)에 의해 접속되므로 접속 보강 골조들(89)은 그의 벽내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주변 블록 구성 부재들(83b)로부터 연장되는 2 보강 골조들(88)은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의 모서리부에서 각각 접속된다.
그다음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내에서 가스 통로 골조(90)는 대각선의 위치들에 형성되며 이들 가스 통로 골조(90)의 연부들은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의 벽부를 통해 접속되며 가스 통로 골조(90)는 단부내의 가스 주입구와 함께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또한 가스 주입구는 상부 팔레트 구성 부재(80a)의 경우에서와 같이 십자형 가스 통로 골조(90)의 교점에 형성되며 편의상 이 가스주입구의 흔적은 참조번호 91로 표시하였다.
이 결과 블록 구성 부재들(82b, 83b)간에 형성되는 모든 보강 골조들(88)은 중앙 블록 구성 부재(82b) 내에 십자형으로 형성되는 가스 통로 골조(90)에 접속되어 있다. 상부 팔레트 구성 부재(80a)의 보강 골조들(85)의 경우에서와 같이 공동부분들(16)은 가스 통로 골조(90)에 모두 접속된 보강 골조들(88) 내에 형성된다.
보강 골조들(88) 내의 공동 부분들(16)을 형성하는 방법은 2 팔레트 구성 부재(80a)의 보강 골조들(85) 내의 공동 부분들(16)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하부 팔레트 구성 부재(80b)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합성수지 팔레트의 1/4구역을 참조하면 4 블록 구성 부재들(82b, 83b) 내에 실질적으로 내접하는 위치들내에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88)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 내에 개구(92)가 형성된다. 이 개구(92)는 핸드리프트 트럭 또는 팔레트잭으로 합성수지 팔레트를 조작할 때에 휠(wheel)의 출입부로서 역할한다.
제 8 실시예에 의한 합성수지 팔레트는 상부와 하부 팔레트 구성 부재들(80a, 80b)을 서로 대향시켜 블록 구성 부재들(82a, 82b)과 블록 구성 부재들(83a, 83b)를 서로 정합시킨 다음 정합부를 일체로 용접하여 제조한다. 그 결과 속이 빈 원통형 블록들이 형성된다. 이 블록들간의 공간은 포크 입구들(14)로서 역할한다.
그렇게 성형된 합성수지 팔레트 내의 블록은 폐쇄된 속이 빈 원통형 형상을 취하므로 중앙 블록 내의 중앙위치내에 위치되는 상부와 하부 팔레트 구성 부재들(80a, 80b) 내에 형성된 가스 주입구(87, 91)는 결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합성수지 팔레트를 사용하는 동안 빗물이 가스 주입구(87, 91)를 통하여 보강 골조들(85, 88) 내의 공동 부분들(16)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 8 실시예에 의하면 합성수지 팔레트에서는 팔레트 구성 부재들(80a, 80b)의 내부에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85, 88)이 블록들을 서로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보강 골조들(85, 88)의 배치구성이 상술한 것으로 제한할 이유가 없다. 간단히 말해 공동 부분들(16)과 함께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은 모두 접속되어 결국 중앙 블록 구성 부재 내에 형성되는 가스 통로 골조들에 접속되도록 배치할 수 도 있다.
상술한 각 실시예의 합성수지 팔레트 P 내에는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 20, 30, 40, 50, 60, 70, 80a, 80b)의 내측에 형성되는 보강 골조들(13, 85, 88)은 포크 입구방향에 평행한 그리고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포크 입구들(14)의 출입 구역들(14a)을 따라 판들(11a, 11b, 81b)의 연부들에 형성되는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들(13a)을 제외하고는 다른 보강 골조들의 연장방향이 상기 방향으로 제한되는 이유가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합성수지 팔레트들을 구성하는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 20, 30, 40, 50, 60, 70, 80a, 80b) 내에는 내부에 속이 빈 표면 보강골조들(13b)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각형의 단면을 갖는다. 도 21, 22, 23 및24에 나타낸 표면 보강 골조들(13b)은 판들(11a, 11b, 81a)과의 접속부가 두꺼워지는 한편 그의 끝부분이 얇아지도록 경사측면들을 갖거나 또는 만곡된 측면들을 갖는 역이등변사각형 단면을 갖거나 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들(13b)이 상술한 단면 구성을 갖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성형시 판들(11a, 11b)과 표면 보강 골조들(13b)간의 접속부분들내에 열이 머무는 경향이 있으므로 고형화가 지연된다. 그러므로 판들(11a, 11b, 81a)이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형상에 오목한 현상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판들(11a, 11b)과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접속부분들은 최대 벽두께를 갖도록 형성하며, 가스는 성형시 내부로 흘러 표면 보강 골조들(13b)을 따라 공동 부분들(16)을 형성한다. 그렇게 형성할 경우 홈들이 판들(11a, 11b, 81a) 내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21에 니타낸 바와 같이 만곡 부분들(19)이 판들(11a, 11b, 81a)과 교차 부분들 부근내의 표면 보강 골조들(13b)의 최대 벽두께 부분들에 형성되므로 공동 부분들(16)의 사이즈는 만곡 부분들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설계해줌으로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 부분들(19)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가스의 흐름을 유도하기 쉽고 또한 실질적인 벽두께를 증가시킴으로서 가스 통로의 형성이 용이하다. 결과적으로 가스를 원하는 곳으로 흘릴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조할 시에 표면 보강 골조들(13b) 바로 위에 위치된 판들(11a, 11b, 81a)이 홈들(17)과 함께 형성되며, 이들 홈들(17) 내에는 슬립방지 테이프(18)를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또한 판들(11a, 11b, 81a)의 접속부분들이 두꺼워지는 한편 끝부분들이 얇아지도록 표면보강 골조들(13b)이 구성된다. 그렇게 형성될 경우 홈들이 표면 보강 골조들 바로위의 판들(11a, 11b, 81a) 내에 형성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홈들(17)과 판들(11a, 11b, 81a) 내에 배치되는 슬립방지 테이프 표면들간의 평행성이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슬립 방지재(18)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 20, 30, 40, 50, 60, 70, 80a, 80b)의 판들(11a, 11b, 81a)의 일부 또는 전체 표면상에 무늬 형성 공정을 행해도 좋다. 이 무늬 표면(texture surface)은 식각 또는 샌드블라스트 법에 의해 얻어지는 반대 무늬모양을 갖는 몰드 표면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무늬 표면에 의하면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의 판들(11a, 11b, 81a)의 표면이 거칠어지며, 그에 의해 제조 일련 번호 및 수신자의 주소를 쵸크 등으로 쉽게 기입할 수 있다.
그 다음 만일 팔레트 구성 부재들(10a, 10b, 20, 30, 40, 50, 60, 70, 80a, 80b)의 판들(11a, 11b, 81a)의 표면들이 상술한 바와 같이 무늬 표면에 의해 거칠어질 경우와 합성수지 팔레트의 사용하는 동안 판상에 탑재된 화물의 접촉표면도 마찬가지로 동일해질 경우, 거친 표면들간의 결합 작용으로 인해 화물이 슬립되지 않게 되므로 사용할 때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팔레트에 의하면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가 포크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받기 쉬운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을 따라 연부에 형성되며, 표면 보강 골조의 적어도 일부는 속이 빈다. 이러한 구성은 포크 입구의 주변을 따라 제공되는 충격에 대해 보강 골조의 강도를 쉽게 향상시키는 한편 휨강도를 향상시키며 또한 합성수지 팔레트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그에의해 합성수지 팔레트의 내구성도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팔레트에 의하면 비교적 작게 폐쇄된 속이 빈 공동부분들은 각 블록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도록 블록들의 연부들의 내부부품들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블록의 연부의 강도와 충격에 대한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휨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합성수지 팔레트의 무게를 감소시킨다. 그에 의해 합성수지 팔레트의 내구성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수지 팔레트에 의하면 2 팔레트 구성 부재들을 일체로 용접하여 합성수지 팔레트를 제조할 때 모든 표면 보강 골조들은 합성수지 팔레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폐쇄된 구조를 갖는 중앙 블록 내의 가스 통로 골조들과 접속되어 있다. 그다음 중앙 블록의 중앙부의 일점으로부터 가스 통로 골조들속으로 가스를 주입함으로서 각각의 표면 보강 골조들에 가스를 흘려주면 표면 보강 골조들내에 속이 빈 공동 부분들이 형성되므로 그에 의해 잘 균형잡힌 형상의 공동 부분들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다른 변형 실시예들도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선 3-3을 따라 절취한 팔레트 구성 부재의 속이 빈 보강 골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2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선 5-5을 따라 절취한 팔레트 구성 부재의 보강 골조에 가스를 도입하여 형성되는 속이 빈 공동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의 블록 구성 부재의 연부 구조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 8과 동일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의 블록 구성 부재의 연부 구조의 확대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2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인 2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인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의 블록 구성 부재 내에 구비된 보강 구조부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나타낸 팔레트 구성 부재의 블록 구성 부재 내에 구비된 또다른 보강 구조부의 도 12와 동일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보강 구조부의 또 다른 변형례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인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인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상부 팔레트 구성 부재)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인 4 방향 합성수지 팔레트를 구성하는 2 팔레트 구성 부재 중 하나(하부 팔레트 구성 부재)를 내측에서 본 1/4 부분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하부 팔레트 구성 부재의 1/4 부분의 평면도.
도 19는 도 16에 나타낸 선 19-19를 따라 절취한 팔레트 구성 부재의 단면도.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선 20-20을 따라 절취한 팔레트 구성 부재의 단면도.
도 21은 도 3에 나타낸 속이 빈 보강 골조의 변형례의 단면도.
도 22는 도 3에 나타낸 속이 빈 보강 골조의 다른 변형례의 단면도.
도 23은 도 3에 나타낸 속이 빈 보강 골조의 또 다른 변형례의 단면도.
도 24는 도 3에 나타낸 속이 빈 보강 골조의 또 다른 변형례의 단면도.

Claims (22)

  1. 상판(11a)과,
    상기 상판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하판(11b)과,
    상기 두 판들(11a, 11b)을 접속시키기 위한 복수의 원통형 블록들(12, 82, 83)과,
    상기 블록들(12, 82, 83)간에 형성되는 포크 입구(14)를 구비하는 합성수지 팔레트(P)로서,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P)는 상기 판(11a) 및 상기 판(11a)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통형 블록 구성 부재들(12a)을 구비하는 하나의 팔레트 구성 부재(10a)와, 상기 판(11b) 및 상기 판(11b)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블록 구성 부재들(12b)을 구비하는 다른 팔레트 구성 부재(10b)를 서로 대향시켜 상기 블록 구성 부재들(12a, 12b)을 일체로 용접하여 제조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팔레트 구성 부재(10a, 10b)의 화물이 탑재되는 상기 판(11a, 11b)의 내측에는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보강 골조들(13; 13a, 13b, 13c, 84, 85, 88)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 골조들(13)은 상기 판(11a, 11b)의 내측에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표면 보강 골조들(13b, 85, 88)을 구비하는 합성수지 팔레트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강 골조들(13b, 85, 88)의 적어도 일부의 내부에는 속이 빈 공동 부분들(16)이 형성되며,
    상기 보강 골조들(13; 13a, 13b, 13b-1, 13b-2, 13c) 중에서 상기 포크 입구(14)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골조들의 일부(13c, 13b-2)는 속이 차 있으며,
    상기 속이 차 있는 보강 골조들(13c, 13b-2)은 상기 속이 빈 공동 부분들에 의해서 상기 표면 보강 골조들(13b, 13b-1)과 교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골조(13)는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P)의 상기 포크 입구(14)의 출입 구역의 연부(緣部, edge)를 따라 형성되는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13a)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13a)는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속이 찬 접속 골조들(13c)을 통해 상기 속이 찬 연부 보강 골조(13a)를 따라 인접하여 형성되는 상기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13b)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록들은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내부의 폐쇄 공간에 형성되는 중앙 블록(82a)과 상기 중앙 블록의 주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주변 블록들(83a)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 블록의 내부에는 중앙 부분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가스 통로 골조들(86)이 형성되며,
    상기 속이 빈 공동 부분들(16)은 상기 팔레트 구성 부재를 성형할 때, 상기 중앙 블록이 되는 상기 중앙 블록 구성 부재의 내부로부터 가스를 주입하여 상기 가스 통로 골조(86)를 통해 상기 팔레트 구성 부재 내에 형성되는 상기 두꺼운 표면 보강 골조들(88) 속으로 가스를 흘려줌으로서 상기 보강 골조들(85) 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강 골조들(88)은 상기 주변 블록들(83a)간 및 상기 중앙 블록(82a)과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주변 블록들(83a)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앙 블록(82a)에 접속되는 상기 표면 보강 골조들(88)은 상기 중앙 블록의 벽부분을 통해 상기 중앙 블록(82a) 내의 상기 가스 통로 골조들(86)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는 4 방향 팔레트이며, 상기 하나의 중앙 블록(82a)과 상기 중앙 블록(82a)의 주변을 따라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으로 배열되는 8 개의 상기 주변 블록들(83a)을 가지며,
    상기 표면 보강 골조들(88)은 상기 중앙 블록의 중앙을 통과하는 세로 방향의 중심라인과 가로 방향의 중심라인에 의해 분할되는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의 1/4구역을 볼 때 4 개의 상기 블록들 내에 내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7.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상기 표면 보강 골조들(13b)은 단면 구성이 상기 판(11a, 11b)을 향해서는 두껍게 그리고 끝부분(tip portion)을 향해서는 얇게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표면 보강 골조에서의 상기 판과의 접속 부분 근방에서의 최대 벽두께 부분의 내부에 상기 속이 빈 공동 부분(16)이 상기 표면 보강 골조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13a) 바로 위의 상기 판(11a, 11b)에 상기 표면 보강 골조를 따라 홈(17)이 형성되며,
    상기 홈 내에 슬립 방지재(18)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골조는 상기 판과의 교차 부분의 근방에 최대 벽두께 부분의 만곡부분을 가지며,
    상기 속이 빈 공동 부분의 사이즈(size)는 상기 만곡 부분의 사이즈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0.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13a)의 폭은 5∼4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찬 표면 보강 골조의 폭은 상기 속이 빈 표면 보강 골조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속이 찬 표면 보강 골조의 폭은 3∼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3.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 내의 상기 블록은 상기 포크 입구의 출입 구역에 인접한 연부 내부의 상기 블록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비교적 작은 폐쇄된 공간부분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연부 내의 상기 폐쇄된 공간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은 상기 포크 입구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블록의 측벽들간에 형성되는 제 1 격벽 부분과, 상기 제 1 격벽 부분과 상기 블록의 연부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부분을 재분할하기 위해 상기 포크 입구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 2 격벽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연부 내에 상기 폐쇄된 공간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은 상기 포크 입구의 세로 방향으로 상기 블록의 측벽들간에 형성되는 제 1 격벽 부분과, 상기 제 1 격벽 부분과 상기 블록의 측벽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 부분을 재분할하기 위해 상기 포크 입구의 세로 방향에 대해 각 α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격벽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 α는 0°< α < 9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의 코너에 위치되는 상기 폐쇄된 공간 부분의 상기 판의 두께는 상기 판의 다른 부분들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내의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의 코너에 위치되는 상기 폐쇄된 공간부분의 세로 방향과 가로 방향 치수는 각각 30∼8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8.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벽두께는 3∼7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19.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구성 부재 내의 상기 판의 일부 또는 전체 표면상에 무늬를 형성하는 가공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20.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구성 부재의 상기 포크 입구는 상기 판의 연부로부터 200 mm 이내로 격리된 위치에 팔레트와 포크리프트간의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해 끼워지는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21.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는 2 방향 팔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22.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팔레트는 4 방향 팔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팔레트.
KR1019970058121A 1996-11-05 1997-11-05 합성수지팔레트 KR100518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92596A JPH10129668A (ja) 1996-11-05 1996-11-05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96-292925 1996-11-05
JP96-328934 1996-12-09
JP97-019490 1997-01-31
JP97-202009 1997-07-28
JP97-202010 1997-07-28
JP20201097A JPH1149164A (ja) 1997-07-28 1997-07-28 合成樹脂製パレ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90A KR19980042090A (ko) 1998-08-17
KR100518160B1 true KR100518160B1 (ko) 2006-09-18

Family

ID=6608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121A KR100518160B1 (ko) 1996-11-05 1997-11-05 합성수지팔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16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1787A (en) * 1975-05-06 1977-10-04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td. Plastic pallet
JPH0375135A (ja) * 1989-08-17 1991-03-29 Otsuka Kogyo:Kk 滑性被覆材
EP0583796A1 (en) * 1988-08-09 1994-02-23 Nucon Corporation Plastic pallet
US5401459A (en) * 1992-10-05 1995-03-28 Infiltrator Systems, Inc.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of hollow ribbed article
KR950011281A (ko) * 1993-10-26 1995-05-15 뽈-엉리 르마리에 신규 플래스틱 팔레트 및 그 제조방법
EP0839732A2 (en) * 1996-11-05 1998-05-06 Nippon Plapallet Company Synthetic resin pallet
JPH10129668A (ja) * 1996-11-05 1998-05-19 Nippon Puraparetsuto Kk 合成樹脂製パレット
US9314468B2 (en) * 2008-03-28 2016-04-19 Altiris Therapeutics, Inc. Chemokine receptor modulator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1787A (en) * 1975-05-06 1977-10-04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td. Plastic pallet
EP0583796A1 (en) * 1988-08-09 1994-02-23 Nucon Corporation Plastic pallet
JPH0375135A (ja) * 1989-08-17 1991-03-29 Otsuka Kogyo:Kk 滑性被覆材
US5401459A (en) * 1992-10-05 1995-03-28 Infiltrator Systems, Inc.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of hollow ribbed article
KR950011281A (ko) * 1993-10-26 1995-05-15 뽈-엉리 르마리에 신규 플래스틱 팔레트 및 그 제조방법
EP0839732A2 (en) * 1996-11-05 1998-05-06 Nippon Plapallet Company Synthetic resin pallet
JPH10129668A (ja) * 1996-11-05 1998-05-19 Nippon Puraparetsuto Kk 合成樹脂製パレット
US5967057A (en) * 1996-11-05 1999-10-19 Nippon Plapallet Company Synthetic resin pallet
US9314468B2 (en) * 2008-03-28 2016-04-19 Altiris Therapeutics, Inc. Chemokine receptor modul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090A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1252B2 (en) Synthetic resin pallet
US3467032A (en) Pallets formed from plastics material
US8584599B2 (en) Plastic pallet
US6805061B2 (en) Two-piece pallet
JP4017097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0727822B1 (ko) 일체형 핸드카 타입 팔레트 제조용 금형장치
JP4539215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0518160B1 (ko) 합성수지팔레트
JP3889102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908850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028918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3443319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H11310235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2922838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059436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H03289444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及びその成形方法
JP3934716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3879965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の製造方法
JP4152004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H0939966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4105891B2 (ja) 合成樹脂製のパレット
JP4187136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0311601Y1 (ko) 핸드카 타입 팔레트
JP5308850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JP3922621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