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094B1 -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094B1
KR100518094B1 KR10-2002-7013817A KR20027013817A KR100518094B1 KR 100518094 B1 KR100518094 B1 KR 100518094B1 KR 20027013817 A KR20027013817 A KR 20027013817A KR 100518094 B1 KR100518094 B1 KR 100518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ipmp
content
ipmp to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3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472A (ko
Inventor
쉔쉥메이
지밍
센오다카노리
고구레다쿠요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0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9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dedicated tools, e.g. video decoder software or IPMP to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콘텐츠 스트림의 선두에 놓여진 IPMP 툴 정보와, 사전 처리 모듈로서 콘텐츠 디코더의 선두에 놓여진 IPMP 툴 관리 기능을 도입해서 IPMP 툴 정보에 근거하는 IPMP 툴을 취득함으로써, MPEG-n IPMP(지적 소유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향한 실현성이 있는 표준을 적절히 정의하는 방법을 발명하였다.
상이한 IPMP 시스템에 대하여 보안 향상 및 단말 호환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2층 구조를 제안하는 동시에 이용자 인증 출력을 정의한다. IPMP 툴의 취득에 있어서 상이한 특성을 정의함으로써, 단말의 복잡함을 극복한다.

Description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CONTENT DISTRIBUTION/ PROTEC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콘텐츠의 배신(配信)과 보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호된 콘텐츠가 상이한 IPMP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고, 또한 동일한 콘텐츠가 상이한 IPMP 시스템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나 콘텐츠를 원할 때에 원하는 장소에 보낼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콘텐츠 배신에 대한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 편리함과 유연성에 이용자는 만족하고, 오락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다. 한편, 콘텐츠의 소유자는 고객의 요구에 응하려고 하지만, 동시에 자신들의 소유물이 불법으로 사용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이 2개 측면의 균형을 취할 필요가 있다.
데이터의 암호화, 전자 워터마크(watermark), 암호 등, 콘텐츠 보호를 위한 많은 보호 기술이 있다. 이것들은 많은 콘텐츠 배신 애플리케이션에 설치되어 왔다. 콘텐츠를 보호하면서 배신하기 위해서, 상이한 시스템이 상이한 종류의 메커니즘이나 보호 기술을 채용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든 단말이나 콘텐츠 이용 장치는 동일한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밖에 재생 또는 이용할 수 없다. 즉 단말이나 장치를 교환해서 상이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다.
MPEG 표준화 그룹에서는, 준거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시스템을 표준화하기 위해 작업이 진행중이다. 모든 단말이, 사용되는 IPMP 툴(tool)의 여하에 관계없이 동일한 IPMP 표준을 따라서 암호화 및 보호된 피보호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은, 오디오나 비디오 디코더 등의 콘텐츠 디코더로서 구성되고, 또한, 콘텐츠를 복호화 및 재생 가능하게 하기 전에, 단말은 또한 보호된 콘텐츠의 보호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호 정보, 즉 IPMP 툴 정보를 알고 단말에서 이용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벤더(vendor)가 자신들의 IPMP 시스템에서 원하는 툴을 선택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IPMP 툴을 사전에 특정한 툴로 고정할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 유연성과 보안의 양쪽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떠한 표준적인 방법과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용자 인증과 IPMP 툴 취득은, 예를 들면, MPEG-2나 MPEG-4와 같이 동일한 콘텐츠 디코더를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이한 벤더마다 상당히 상이한 설치가 실행되고 있다. 그러한 경우, 상이한 콘텐츠 공급자로부터 제공된 상이한 콘텐츠를 동일한 단말로 재생시키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환언하면, 보호된 동일한 콘텐츠를 상이한 IPMP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는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콘텐츠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종래의 IPMP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콘텐츠 스트림의 선두에 놓여진 IPMP 툴 정보 패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IPMP 툴 관리 기능이 MPEG-4 IPMP 시스템과 협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IPMP 툴 관리 기능이 MPEG-2 시스템과 협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이용자 인증 모듈이 MPEG-4 IPMP 시스템 및 IPMP 툴 관리 기능 모듈과 협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이용자 인증 모듈이 MPEG-2 시스템 및 IPMP 툴 관리 기능 모듈과 협동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8개 블록으로써 구성되는 콘텐츠 ID 포맷의 구성도.
도 8은, 인증 결과의 포맷 구성도.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보호된 동일한 콘텐츠를 상이한 IPMP 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동일한 IPMP 시스템 구조를 정의한다. IPMP 시스템 설치자가, 인코더, 채널 배신, 단말을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를 견고하게 구축하기 위한 표준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그 해결 방법)
처음에, IPMP 툴 정보를 콘텐츠 ID 이외에 실제의 콘텐츠 스트림의 선두(先頭)에 놓여진, 이하의 항목을 포함하는 특정한 1개의 패킷(packet)으로서 정의한다.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서 이용한 IPMP 툴의 종류.
·IPMP 툴의 장소의 종류.
·IPMP 툴을 취득할 수 있는 장소.
IPMP 툴 정보 플래그(flag)가 헤더(header)로서 상기 패킷의 선두에 배치되어 있다. IPMP 툴 관리 기능은 콘텐츠 디코더의 선두에 놓여 있어서, 콘텐츠 스트림으로서 이송되는 IPMP 툴 정보를 구문해석(構文解析)하고, 콘텐츠 스트림의 보호를 해제하는 IPMP 툴을 취득하기 위해, 1개의 모듈로서 설계되어 있다.
보안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단말의 호환성을 위해서 임의의 상이한 이용자 인증 방법에 대하여 출력 요건을 확정하기 위해서, 2층 보안 구조를 도입한다.
IPMP 툴 ID는 소정의 테이블로서 정의되고, 그 테이블은 사전에 부호화해 놓거나, 혹은 단말에 다운로드할 수 있다. 동일 IPMP 툴용의 동일 IPMP 툴 ID를 이용하기 위해서, 콘텐츠 공급자측과 단말측의 양쪽에서 동일한 테이블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단말은, 표준 IPMP 툴이라고 생각되는 어떠한 기존의 IPMP 툴에 의해 사전 부호화가 가능하고, 또한 단말에 그 능력이 있을 경우는 콘텐츠 스트림이 반송하는 IPMP 툴 정보에 근거하여, 특허 등록되어 있는 IPMP 툴을 다운로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암호화 키(key)는 또한, 2층 보안 구조에 근거해서 더욱 암호화되어서 IPMP 데이터 필드에 삽입되어, 콘텐츠 스트림과 함께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콘텐츠 공급자측에서는, 콘텐츠가 MPEG-2나 MPEG-4 등의 기존의 부호화 기술을 이용해서 부호화되어, DES나 AES 등의 기존의 IPMP 툴을 이용해서 암호화된다. 부호화 전에 콘텐츠에 전자 워터마크를 매입(埋入)해 두어도 좋다.
동시에, 콘텐츠 ID는 콘텐츠 저작권 정보, 콘텐츠 작성 정보 등에 근거해서 생성된다. IPMP 툴 정보도 또한,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서 사용된 IPMP 툴 정보에 근거해서 생성된다. IPMP 툴 정보는 IPMP 툴 ID, 장소 타입(type), 및 IPMP 툴의 장소를 포함한다. IPMP 툴 정보 플래그가 선두에 놓여지고, IPMP 툴 정보, 콘텐츠 ID, 및 콘텐츠가 이것에 연속된다.
어떤 단말에서도 이러한 콘텐츠를 취득하거나, 조회할 수 있지만, 적절한 사용 라이센스와, 거기에 대응하고 있거나 또는 올바른 IPMP 툴 없이 재생할 수는 없다. 단말측에서는, 콘텐츠 스트림이 IPMP 툴 관리 기능 모듈을 경유하여 건네 받아, 로컬(local) 또는 리모트(remote)로 IPMP 툴의 검증이 실행된 후에 IPMP 툴은 취득된다. 취득된 IPMP 툴은 이 시점에서 단말로써 이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콘텐츠 스트림은 콘텐츠 디코더를 계속해서 통과하고 있고, IPMP 데이터 디코더 모듈은 이용자 인증 모듈을 기동하여, 이용자의 단말 ID, 콘텐츠 ID, 및 IPMP 툴 ID를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공급자에 리퀘스트(request)를 보낸다. 이용자 인증이 순조롭게 완료된 후, 단말에 대하여 라이센스가 발행된다. 마지막으로, 암호화된 키는 해독되고, 암호화된 콘텐츠도 또한 해독되어, 콘텐츠는 복호화되어서, 단말로써 재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보다 유효한 효과)
콘텐츠 스트림의 선두에 IPMP 툴 정보 패킷을 두고, 또한 IPMP 툴 정보를 구문해석해서 IPMP 툴을 취득하는 IPMP 툴 관리 기능 모듈을 도입함으로써, 보호된 동일한 콘텐츠를 상이한 종류의 IPMP 시스템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한다.
2층 구조는 보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이한 이용자 인증 방법의 출력 구조를 고정하고, 단말간에 호환성을 가져온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이용자 인증은 상이한 벤더 대상에 상이한 방법으로써 설치할 수 있어서, 상호 운용성을 부여한다. IPMP 툴을 얻기 위한 단말의 복잡함과 유연성을 고려해서 상이한 특성이 정의되어 있어서, 상이한 단말이 동일한 표준을 이용하도록 넓은 범위를 커버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IPMP 시스템을 나타낸다. 유닛(10)의 콘텐츠 소유자는, 유닛(11, 15, 19)의 상이한 콘텐츠 공급자 A, B 및 C를 통해서 콘텐츠를 제공한다. 3 조(組)의 IPMP 시스템에 상이한 IPMP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IPMP 툴을 어떻게 취득, 검증할지는, 공통의 IPMP 툴 테이블로부터 선택하고, 공통 또는 상이한 이용자 인증 툴 등을 사용한다. 유닛(12, 16, 110)은, 상이한 이용자 인증 방법이나, 공통의 이용자 인증 방법이라도 좋다. IPMP 툴 취득 방법을 유닛(13, 17, 111)에 나타내고, 이들은, 공통의 IPMP 툴 테이블로부터 선택된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콘텐츠 복호화 혹은 콘텐츠 이용 단말은 또한, 유닛(14, 18, 1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하게 있어도, 공통의 테이블로부터 IPMP 툴을 취득할 수 있다. 콘텐츠 공급자 B가 배신한 보호된 콘텐츠라도, 단말 A에서는, 콘텐츠 공급자 B가 사용한 IPMP 툴을 공통의 테이블로부터 취득할 수 있어, 취득한 IPMP 툴에 의해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툴이라는 것은, 암호화된 콘텐츠의 해독 툴과, 콘텐츠에 미리 매입된 전자 워터마크 정보를 판독하는 툴을 말하지만, 인증의 판독 툴이나, 부과금 설정 툴 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콘텐츠 공급자 B가 배신한 보호된 콘텐츠는, 콘텐츠 공급자 B와 계약한 단말 B만이 재생할 수 있고, 콘텐츠 공급자 B와 계약하지 않은 단말 A, C에서는 재생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공급자 B가 배신한 보호된 콘텐츠는, 콘텐츠 공급자 B와 계약한 단말 B 뿐만 아니라, 콘텐츠 공급자 B와 계약하지 않은 단말 A, 단말 C에서도 재생 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배신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콘텐츠를 부호화해서 콘텐츠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수단.
데이터 암호화 툴을 이용해서 부호화 콘텐츠 스트림을 암호화하는 수단.
콘텐츠에 대응한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수단.
데이터 암호화 툴로써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해독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IPMP(지적 소유권 관리 보호) 툴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
IPMP 툴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IPMP 툴 정보 플래그를 생성하는 수단.
IPMP 툴 정보 플래그와 이것에 연속되는 IPMP 툴 정보, 콘텐츠 ID, 및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을 구축하는 수단.
또한,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배신을 받아 콘텐츠를 판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의 단말 장치가 필요하다.
데이터 스트림을 구문해석하는 수단.
IPMP 툴 정보 플래그, 콘텐츠 ID, 및 IPMP 툴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
검출한 IPMP 툴 정보에 근거해서 IPMP 툴을 취득하는 수단.
이하에서, 이들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도 1의 P점을 통과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구성을 나타내고, 공급자 A에 의해 준비된 것을 나타낸다. 우선 정보 데이터의 패킷 헤더(201)가 있고, 그 후, IPMP 툴 정보 패킷(202)이 연속된다. 또한 콘텐츠의 패킷 헤더(203)가 있고, 그 후, 콘텐츠 패킷(204)이 연속된다. 패킷 헤더(201) 또는 IPMP 툴 정보 패킷(202)에는, IPMP 툴 정보 플래그가 포함되어, IPMP 툴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IPMP 툴 정보 플래그는, 데이터 스트림 내의 별도의 장소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블록(203, 204)의 어딘가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IPMP 툴 정보 패킷(202)에는, 콘텐츠 ID와 콘텐츠 ID용 IPMP 툴의 정보가 쌍(雙)이 되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쌍이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2개의 쌍이 나타나 있다. 첫 번째의 쌍에는 콘텐츠 ID1(205)과 콘텐츠 IDl용 IPMP 툴 정보(206)가 포함되고, 두 번째의 쌍에는 콘텐츠 ID2(207)와 콘텐츠 ID2용 IPMP 툴 정보(208)가 포함된다. 콘텐츠 패킷(204)의 콘텐츠 1은, 첫 번째의 쌍인 콘텐츠 IDl에 대응한 내용(예를 들면, 음악 1)이 포함되고, 콘텐츠 2는, 두 번째의 쌍인 콘텐츠 ID2에 대응한 내용(예를 들면, 음악 2)이 포함된다. 콘텐츠 1과 콘텐츠 2는, 상이한 데이터 암호화 툴을 이용해도 좋다.
도 2의 두 번째 단계에는, 콘텐츠 IDl용의 IPMP 툴 정보(206)의 상세가 나타나 있다. 여기에는, 복수의 공급자의 IPMP 툴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콘텐츠 공급자 A의 IPMP 툴 정보(211)와, 콘텐츠 공급자 B의 IPMP 툴 정보(212)가 포함되어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콘텐츠 공급자 C, 콘텐츠 공급자 D의 IPMP 툴 정보를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자 A의 IPMP 툴 정보로서, IPMP 툴 ID(213), IPMP 툴 명(名)(214), IPMP 툴 장소 식별자(215)가 포함된다. IPMP 툴 ID(213)는, 예를 들면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툴, 즉 암호 해독 툴을 특정한다. IPMP 툴 명(214)은, 해독하기 위한 툴의 명칭을 나타낸다. IPMP 툴 장소 식별자(215)는, 해독하기 위한 툴을 취득할 수 있는 장소(예를 들면, 인터넷의 홈페이지)를 나타낸다. IPMP 툴 명(214)은 생략해도 좋다. 최종 이용자의 각각의 단말에는, 나중에 설명하는 표 1이 미리 기록되어 있으므로, IPMP 툴 ID(213)를 알 수 있다면, IPMP 툴 명(214)은, 표 1로부터 취득 가능하다.
IPMP 툴 ID(213)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 비트로 구성되는 ID로서 특정되며, 이것은 모든 단말에서 공통으로 사용된다. IPMP 툴 장소 식별자(215)로서는 이어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홈페이지의 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도 2의 세 번째 단계에는, IPMP 툴 장소 식별자(215)의 상세가 나타나 있다. IPMP 툴 장소 식별자(215)에는, IPMP 툴 명(214)으로 특정되는 툴 프로그램을 얻을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며, 구체적으로는, 장소 타입(219)과 장소 상세(220)가 포함된다. 장소 타입(219)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터넷이 나타나고, 장소 상세(220)로서는, 장소의 상세 정보, 예를 들면 홈페이지의 어드레스가 나타난다.
도 3은, 단말 A의 구성을 나타낸다. 단말 A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IPMP 툴 관리 기능부(300)를 갖는다. IPMP 툴 관리 기능부(300)에는, IPMP 툴 정보 구문해석부(301), IPMP 툴 취득부(302), 결과 보존부(303)가 포함된다. 결과 보존부(303)는, 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에 접속된다. 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에는, 표 1의 데이터나, 취득한 IPMP 툴의 소프트웨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에는, 암호 키를 해독하는 모듈(322)도 포함된다. IPMP 툴 관리 기능부(300)는, 디멀티플렉서 인터페이스(304)에 접속된다. 디멀티플렉서 인터페이스(304)에는 디멀티플렉서(305)가 포함된다.
디멀티플렉서 인터페이스(304)의 뒤에, 오디오 디코더 버퍼(306), 비디오 디코더 버퍼(307), 오브젝트 디스크립터 디코더 버퍼(308), 씬용 이진 데이터(binary data for scene)(BIFS) 디코더 버퍼(309), IPMP 디코더 버퍼(310)가 포함된다. 씬용 이진 데이터는, 세그먼트화된 씬(scene)의 배치 장소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포함된다. (306, 307, 309)의 출력인,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BIFS 신호는 아직 암호화된 그대로의 상태이다.
오디오 디코더 버퍼(306)는 제어 포인트(331)를 통해서 오디오 복호화(311)에 접속되고, 비디오 디코더 버퍼(307)는 제어 포인트(332)를 통해서 비디오 복호화(312)에 접속되며, 오브젝트 디스크립터 디코더 버퍼(308)는, 그대로 오브젝트 디스크립트 복호화(313)에 접속되고, 씬용 이진 데이터(BIFS) 디코더 버퍼(309)는 제어 포인트(333)를 통해서 BISF 복호화(314)에 접속된다. 또한, IPMP 디코더 버퍼(310)는, IPMP 시스템(324)에 접속된다. 도면에 있어서, 점들을 포함하는 동그라미로 나타낸 제어 포인트(331∼339)는 IPMP 제어 포인트이며, 제어 포인트를 통과하는 데이터는, IPMP 시스템(324)에 있는 툴을 이용하여, 필요한 처리(디스크램블, 워터마크 검출, 카피가드(copyguard) 등)가 더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포인트(331, 332, 333)에서 디스크램블이 실행된다.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툴(소프트웨어)은, IPMP 시스템(324)(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를 포함한다)으로부터 취득한다.
오디오 복호화(311)는 제어 포인트(334)를 통해서 오디오 콤포지터(compositor) 버퍼(315)에 접속되고, 비디오 복호화(312)는 제어 포인트(335)를 통해서 비디오 콤포지터 버퍼(316)에 접속되며, BIFS 복호화(314)는 제어 포인트(336)를 통해서 복호화 BIFS(317)에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포인트(334, 335, 336)에서 워터마크 검출이 실행된다. 워터마크 검출에 필요한 툴(소프트웨어)은, IPMP 시스템(324)(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를 포함)으로부터 취득한다.
오디오 콤포지터 버퍼(315)는 제어 포인트(337)를 통해서 콤포지터(318)에 접속되고, 비디오 콤포지터 버퍼(316)는 제어 포인트(338)를 통해서 콤포지터(318)에 접속되며, 복호화 BIFS(317)는 제어 포인트(339)와 BIFS 트리(tree)(319)를 통해서 콤포지터(318)에 접속된다. 콤포지터(318)는 또한 출력인 렌더(render)(320)에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포인트(337, 338, 339)에서 별도의 워터마크 검출이나, 카피가드 처리가 실행된다. 워터마크 검출이나 카피가드 처리에 필요한 툴(소프트웨어)은, IPMP 시스템(324)(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를 포함)으로부터 취득한다.
도 2에서 나타낸 콘텐츠 스트림, 예를 들면 MPEG-4의 스트림은, IPMP 툴 관리 기능부(300)에 입력되고, 패킷 헤더(201)에 의해 IPMP 툴 정보 패킷(202)이 검출되어, IPMP 툴 정보 구문해석부(301)에 보내진다. 또한, 패킷 헤더(203)에서 검출되는 콘텐츠 패킷(204)은, 다음 단계의 디멀티플렉서 인터페이스(304)에 보내진다. 검출된 IPMP 툴 정보 패킷(202)은, IPMP 툴 정보 구문해석부(301)에서 해석되며, 그 스트림의 배신원(配信元)인 공급자를 특정한다.
IPMP 툴 취득(302)에서는, 공급자가 공급자 A이면, 공급자 A가 사용하는 IPMP 툴 A의 정보(211)가 판독된다. 공급자가 공급자 B이면, 공급자 B가 사용하는 IPMP 툴 B의 정보(212)가 판독된다. 판독된 결과는, 결과 보존(303)에서 1차 보존되고, 또한 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에 저장된다.
또한, 디멀티플렉서 인터페이스(304)에 보내진 콘텐츠 패킷(204)은,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 OD 신호, BIFS 신호, IPMP 신호에 디멀티플렉스되어, 각각의 처리 회로에 보내진다. 이후는, 상술한대로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하에서, 발명을 4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상세히 설명한다.
IPMP 툴 정보와 IPMP 툴 관리 기능
이어서, IPMP 툴 정보와 IPMP 툴 관리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IPMP 툴 정보 및 IPMP 툴 관리 기능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IPMP을 개관(槪觀)하는 데에, IPMP 정보는 「소정의 IPMP 툴이, 보호된 소정의 콘텐츠를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정보」라고 정의된다. IPMP 툴은, 「IPMP 툴이라는 것은, 소정의 방법으로서 인증, 암호화, 전자 워터마크 등의 IPMP 기능을 실행하는 모듈이다. IPMP 툴은 1개 이상의 IPMP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른 IPMP 툴을 조정하는 IPMP 툴이 있어도 좋다.」라고 정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IPMP 툴 정보의 정의를 도입하는 것을 제안한다. 즉, 「IPMP 툴 정보라는 것은, IPMP 툴 관리 기능이 IPMP 툴을 식별하고, IPMP 툴을 취득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이다. 이것은 IPMP 툴의 일의(一意)의 식별자, IPMP 툴의 장소 식별자, 및 IPMP 툴과 콘텐츠 ID의 사이의 관련을 포함한다. IPMP 툴 정보는, 콘텐츠 스트림 전체의 최초의 패킷에 존재해야 한다.」
또한, IPMP 툴 관리 기능의 정의를 제안한다. 즉, 「IPMP 툴 관리 기능이라는 것은, IPMP 툴 정보를 처리하고, 콘텐츠 스트림 전체를 이용하는 데에 필요한 IPMP 툴을 취득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엔티티(entity)이다. IPMP 툴 관리 기능이 콘텐츠 디코더 앞에 놓여야 된다.」
IPMP 툴 정보
IPMP 툴 정보로 정의되는 바와 같이, 콘텐츠 스트림 전체의 최초의 패킷으로서 놓여야만 한다. 이 패킷의 상세한 구조는, 도 2에서 가장 이해하기 쉽게 나타난다. IPMP 툴 정보 패킷은, 보호된 콘텐츠를 이용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IPMP 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콘텐츠가 복수의 종류의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콘텐츠의 제1 부분이 콘텐츠 공급자 A로부터의 것이고, 제2 부분은 콘텐츠 공급자 B로부터 온 경우, 상이한 IPMP 툴에 관련된 정보는 각각의 콘텐츠 ID를 따라서 그룹화되어야 한다.
콘텐츠 ID 포럼(cIDf)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개 블록으로서 구성되는 콘텐츠 ID 포맷을 정의하고 있다. 도 7에 있어서, 예를 들면, 「콘텐츠 속성」 블록은 작성자와 콘텐츠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저작권 속성」블록은 누가, 어떻게 보유하고 있는가 등의 저작권의 배경에 관한 사항의 상세를 갖는다. 콘텐츠의 각각의 ID, 예를 들면, 콘텐츠 소유자 ID, 콘텐츠 저작권 보유자 ID, 기록 장치 ID는, 각각 지정된 속성 블록에 할당될 것이다. 직업으로서 실행되는 콘텐츠 기록의 경우, 촬영자는 이렇게 복잡한 콘텐츠 ID 코드 체계를 잘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콘텐츠 ID용의 IPMP 툴의 정보는 따라서, 각각의 IPMP 툴 정보로서 구성되어야 하며, 각각의 IPMP 툴 정보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각각의 IPMP 툴 정보는 또한 2개의 주요부, 즉 IPMP 툴 ID 및 IPMP 툴 장소 식별자로 구성되어야 한다. IPMP 툴 ID는 명확한 방법으로 툴을 식별하고, 단말에서 정의 또는 사전에 보존되거나 혹은 단말에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작성되는 테이블의 일례를 표 1에 나타내고, 이용할 수 있는 IPMP 툴 ID를 리스트로서 표시한다.
표 1 이용할 수 있는 IPMP 툴 ID
툴 기능 IPMP 툴 ID IPMP 툴명 비고
해독 툴 000 00000 DESDecrypt 5비트로서 32개의상이한 툴을 표현가능
000 00001 AESDecrypt
000 00010 SC2000Decrypt
000 00011 CamelliaDecrypt
000 00100 XXXX
000 00101 XXXX
000 00110 XXXX
000 00111 XXXX
000 0XXXX XXXX
000 0XXXX XXXX
000 10000 예약 장래 추가 예정/특허등록완료툴용으로 예약
000 10001 예약
전자 워터마크매입 툴 001 00000 공간영역 탁월한 툴을 모아서분류할 필요있음
001 00001 주파수 영역
001 00010 xxxx
001 00011 xxxx
001 00100 xxxx
001 0xxxx xxxx
장래 추가 예정/특허등록완료툴용으로 예약
또한, 선두 3 비트는 암호화나 전자 워터마크 등, IPMP 툴의 분류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IPMP 툴 명은, 취득된 IPMP 툴을 IPMP 툴 관리 기능을 보존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이름이며, 로드 완료 테이블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장소 식별자는 배신 기구를 의미하고, 1개의 IPMP 툴에 대하여 1개 이상의 장소 식별자가 있을 수 있다. IPMP 툴 관리 기능은 그 각각을 이용해서 툴을 취득하도록 한다. IPMP 툴 A의 최초의 장소 식별자로서 순조롭게 발견되면, 다음의 장소 식별자는 스킵(skip)된다. 그렇지 않으면, 계속해서 두 번째의 장소 식별자를 조사한다.
케이스 예:
1. 로컬: 단말 시스템의 내부 또는 주변
2. 외부: 지정된 단말 시스템의 외부(http:, ftp:)
IPMP 툴 식별자는, 장소 타입 및 장소 상세의 2개의 부분으로서 구성된다. 장소 타입은 이하의 어느 한쪽이다. 장소 타입과 장소 상세의 대응 관계를 이하의 표 2에 나타낸다.
표 2 장소 타입과 그것들의 상세
장소타입 장소상세
로컬 N/A
주변 N/A
리모트 다운로드 가능 웹사이트(http, ftp...)
리모트 다운로드 불가 자바 서브렛(Java servelet)의 리모트 장소등
콘텐츠 내 스트림 이 부분에 IPMP 툴 자체가 포함된다
... ...
여기서, 예를 들면, 로컬이라는 것은, 수신 단말 중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주변이라는 것은, 수신 단말이 포함되는 홈 네트워크의 어디인가의 기기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리모트 다운로드 가능이라는 것은, 웹사이트에서 해독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리모트 다운로드 불가라는 것은, 분산 처리를 나타내고, 예를 들면, 암호화된 데이터를 특정한 웹사이트로 보내, 거기에서 해독 처리가 되어서, 해독 데이터가 반송되는 것을 나타낸다. 콘텐츠 내 스트림이라는 것은, 해독 소프트웨어가 스트림 내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IPMP 툴 관리 기능
IPMP 툴 관리 기능은 시스템 디코더보다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 그 기능은, 입력 콘텐츠 스트림의 최초의 패킷에 있는 IPMP 툴 정보를 구문해석하고, 본 섹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필요한 동작을 실행한다. 도 3에, IPMP 툴 관리 기능이 MPEG4-IPMP 시스템에 적합한 모양을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IPMP 툴 DB는 모든 IPMP 툴의 취득 결과를 보존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IPMP 툴 관리 기능은 이하의 4종의 동작을 실행한다.
·단계 1: 입력 콘텐츠 스트림 최초의 패킷에 존재하는 IPMP 툴 정보를 구문해석한다.
·단계 2: IPMP 툴 정보로 지정된 필요한 IPMP 툴을 취득한다.
·단계 3: IPMP 시스템이 나중에 참조하는 IPMP 툴 DB에 취득 결과를 보존한다.
·단계 4: 입력 데이터 패킷을 단지 Demux(디멀티플렉서) 층에 건네준다(투과적)
IPMP 툴 관리 기능은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면, 즉시 모든 콘텐츠 스트림에 일의의 헤더인 IPMP 툴 정보 패킷 플래그를 탐색함으로써, 최초로 콘텐츠 스트림을 조사한다. IPMP 툴 정보 패킷의 플래그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단계 4로 점프해서 모든 데이터를 단지 DeMux층에 건네 줄 뿐이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단계 2가 실행된다.
제2 단계에 있어서, IPMP 툴 관리 기능은 장소 식별자 타입과 장소 식별자 상세를 보고, 각각의 IPMP 툴을 취득하도록 한다. 1개의 IPMP 툴에 관련된 장소 식별자가 복수 개 있을 경우, 최초에 장소 식별자 1을 이용해서 IPMP 툴을 취득해야 하며, 그것이 실패했을 경우, 장소 식별자 2를 이용해서 취득하도록 한다. 취득이 성공할 때마다, 취득 결과를 IPMP 툴 DB에 보존할 필요가 있으며(단계 3), 모든 IPMP 툴이 순조롭게 취득될 때까지 단계 2로 되돌아온다.
장소 식별자 타입이 「로컬」의 경우, IPMP 툴 관리 기능은 지정된 IPMP 툴 명 또는 IPMP 툴 ID를 따라서 현재의 단말 내를 검색하고, 발견되면, 결과를 IPMP 툴 DB에 보존한다. 장소 식별자 타입이 「주변기기」의 경우, IPMP 툴 관리 기능은 지정된 IPMP 툴 명 또는 IPMP 툴 ID를 따라서 모든 주변기기를 검색하고, 발견되면, 결과를 IPMP 툴 DB에 보존한다. 장소 식별자 타입이 「리모트 다운로드 가능」의 경우, IPMP 툴 관리 기능은 지정된 리모트 어드레스에 접속하고, 지정된 IPMP 툴 명 또는 IPMP 툴 ID를 따라서 IPMP 툴을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가 성공하면, 결과를 IPMP 툴 DB에 보존한다.
장소 식별자 타입이 「리모트 다운로드 불가」의 경우, IPMP 툴 관리 기능은 단지 리모트 어드레스를 IPMP 툴 DB에 보존할 뿐이다. 장소 식별자 타입이 「내부 콘텐츠 스트림」의 경우, IPMP 툴 관리 기능은 이진 스트림을 보존(예를 들면, 파일에 보존)하고, 보존된 엔티티에 IPMP 툴 명을 할당한다. 단계 3에 있어서, 취득 결과는 IPMP 툴 DB에 보존된다. IPMP 툴 DB에 4개의 엔티티가 있으며, 그 예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IPMP 툴 DB의 4개의 엔티티
콘텐츠 ID IPMP 툴 ID IPMP 툴명 IPMP 툴 장소
0000000011000100 00101001 DESDecrypt.dll C:¥ipmptools¥DesDecrypt.dll
0000000011000100 00100110 HardKey LPT1
0000000011000100 00100010 JavaSERvlet1 10.2.3.1/servlet1
IPMP 시스템(군)은, 나중에 특정한 IPMP 툴의 인스턴스 생성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에 이 IPMP 툴 DB을 참조하고, 툴 ID, 툴 명, 혹은 현재의 콘텐츠 ID를 이용해서 특정한 IPMP 툴의 장소를 조사한다(필요가 있으면). IPMP 툴 관리 기능과 IPMP 툴 DB을 포함하는 본 아키텍처(architecture)는 임의의 MPEG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으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PMP 툴 관리 기능이 MPEG2-IPMP 시스템에 적합한 모양을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도 3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대응하며, 간략화되어 나타나 있다.
이용자 인증으로부터의 필요한 출력
이용자 인증 방법의 표준화는 추장(推奬)할 수 없지만, 인증된 결과의 표준화는 필요하다. 보호된 콘텐츠를 공공연히 이용하기 위해서, 인증 결과는 MPEG-n IPMP 시스템에 통과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인증 결과를 기준으로 설정해야 하는 것을 제안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필드로서 구성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정당성(validity)은 이용자(단말)가 정규의 것인가의 여부를 나타내고, 결과는 참 또는 거짓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이용 규칙은 콘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액세스권(예를 들면, 재생은 1회뿐이거나 복수 회)에 관한 상세를 포함해야 한다. 이하에서 라이센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콘텐츠는 스크램블(교란)되어 있어서, IPMP 데이터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스크램블 키가 콘텐츠 스트림 내를 전송되는(예를 들면, MPEG4-IPMP의 IPMP ES) 것은 공지되어 있다.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크램블 키를 더욱 암호화해서 2층 보안을 실현할 수 있다. 스크램블된 콘텐츠용의 스크램블 키를 해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제2층의 키를 「라이센스」라고 부른다. 「라이센스」는 보호된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최저 조건이다. 라이센스는, 비표준 이용자 인증 프로세스의 가장 안전한 채널을 경유해서 라이센스 서버로부터 취득되어야 한다.
2층 보안의 본 제안은 La Baule 회의 「IPMP 시스템의 갱신 가능성에 관한 제안」에서 제기된 종전의 제안 M6473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보안 향상을 위해서 이용자 인증은 이 2층 구조의 상부에 또 1개의 레이어(layer)를 도입한다. IPMP 단말이 어떤 종류의 이용자 인증 방법을 사용할 것인가에 관계없이, 상기의 인증 결과는 이용자 인증 동안에 확정되어서 통지되어야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EG-4 IPMP 시스템과 협동하고 있는 이용자 인증 모듈은, 이용자 인증을 실행한 후에 콘텐츠 에이전트에 대하여, 이용자에게 라이센스를 발행하도록 요구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EG-n IPMP용으로 동일한 2층 보안에 의한 해결 수단이 실현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해독 소프트웨어는, 인터넷을 통하여, IPMP 툴 취득(302)에서 취득되고, 또한 결과 보존(303)에서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IPMP 툴 데이터 베이스(321)에 기록된다. 해독 소프트웨어는 그대로 실행할 수 없고, 해독 소프트웨어를 열기 위한 해독 키가 필요하다. 이 해독 소프트웨어를 열기 위한 해독 키는 암호화된 상태로서, IPMP 툴 정보 구문해석(301)에서 콘텐츠 스트림으로부터 검출된다. 암호화된 해독 키는, 디멀티플렉서(304), IPMP 디코더 버퍼(310)를 통해서 IPMP 시스템(324)에 보내진다. 한편, 라이센스 키가, 인터넷을 통하여 라이센스 서버(501)로부터 송신되어 온다. 라이센스 키는, 비표준 이용자 인증(502)에서 이용자 인증이 실행된 후, IPMP 시스템(324)에 보내진다. IPMP 시스템(324)에는 IPMP 디코드 모듈(503)이 설치되어 있다. IPMP 디코드 모듈(503)은 암호화된 해독 키를, 라이센스 키를 이용해서 해독하여 해독 키를 생성한다. 이 해독 키를 이용하여, 해독 소프트웨어를 실행 가능하게 한다.
IPMP 시스템의 실현 가능한 특성
애플리케이션, 단말, 혹은 벤더가 다르면 IPMP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상이하기 때문에, 그 모두를 하나의 표준으로 커버하는 것은 어렵다. 기본적으로 이 문제는 IPMP 툴이 로드 완료이거나, 혹은 다운로드 가능이라는 것에 발단이 되고 있다. 하드웨어 설치에 관해서는, 셋 톱 박스에서는 많은 경우 특정한 툴이 다운로드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대다수의 툴은 로드 완료이거나, 혹은 조립되고 있다. 모바일 또는 포터블 단말에 대해서는,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기 때문에, 부호화 완료된 IPMP 툴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PC 애플리케이션은 대단히 유연성이 있으며, 툴은 다운로드 가능하거나, 혹은 부호화 완료되어도 좋다.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잡도가 낮은 휴대형 단말, 복잡도가 높은 셋 톱 박스 단말, 및 유연성이 높은 PC 단말의 3종류의 대표적인 단말을 커버하는 3종의 프로파일을 지정할 수 있다면, 임의의 IPMP 시스템을 설치하는 데에 IPMP 툴이 최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표 4 상이한 단말용의 3종의 프로파일
IPMP 툴의 취득수단 휴대형 단말 셋톱 박스 단말 PC 단말
심플 프로파일 코어 프로파일 하이 프로파일
부호화 완료 Yes Yes Yes
다운로드 가능 No(대부분의 경우) Yes(일부의 경우) Yes
툴이 단말에 부호화 완료인 경우, 제조업자가 단말에 대한 설치를 실행할 수 있도록, 어떤 종류의 IPMP 툴이 표준으로서 추장/고정되어 있는가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항목을 도입하는 이점은 아래와 같다. 즉, IPMP 툴 정보의 정의는 장소 식별자 등의 IPMP 툴 관련 정보를 어디에, 어떻게 보존해야 할지를 명시한다.
IPMP 툴 관리 기능 및 IPMP 툴 정보를 도입함으로써, 콘텐츠 이용의 가장 신규의 IPMP 툴의 취득이 필요하게 되었을 경우에 예상 불가능한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금이야말로 콘텐츠 스트림 전체에서 필요로 되는 모든 IPMP 툴이 디멀티플렉스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취득되어서 바르게 보존된다. 또한, 이것을 실행함으로써, IPMP의 체계적이고 간소한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IPMP 툴 관리 기능 및 IPMP 툴 정보의 도입은 또한, IPMP의 요구를 충족하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EG-n 대상으로 기능한다.
이용자 인증에 이용된 방법은 비표준인 그대로라도, 본 발명에서 인증 결과는 명확히 정의된다. 보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IPMP용의 2층 보안 해결 수단도 또한 제안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안된 해결 수단은 MPEG-n IPMP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3종의 가능한 단말의 타입용에 3종의 특성을 정의함으로써, IPMP 단말을 명확히 분류할 수 있고, IPMP-확장 표준화를 향해서 길 고르기를 하는 것이라고 확신한다.

Claims (24)

  1.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배신(配信)하는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를 부호화해서 콘텐츠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단계,
    데이터 암호화 툴을 이용해서 상기 부호화 콘텐츠 스트림을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에 대응한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암호화 툴로써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해독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IPMP(지적 소유권 관리 보호) 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IPMP 툴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IPMP 툴 정보 플래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IPMP 툴 정보 플래그와 이것에 연속되는 상기 IPMP 툴 정보, 상기 콘텐츠 ID, 및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을 구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PMP 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콘텐츠에 이용된 암호화 툴을 특정하는 IPMP 툴 ID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 툴이 존재하는 장소를 특정하는 IPMP 툴 장소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암호화 툴은, 콘텐츠 단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암호화 툴은,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키는, 라이센스 키에 의해 추가로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 장소 식별자는, 상기 암호화 툴이 존재하는 장소를 나타내는 장소 타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전자 워터마크 정보를 매입(埋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매입된 전자 워터마크 정보를 판독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보를 IPMP 툴 정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별도의 공급자에 의해 동일한 콘텐츠를 배신할 경우, 별도의 공급자에 의해 별도의 데이터 암호화 툴로써 콘텐츠 스트림을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를 해독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별도의 IPMP 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IPMP 툴 정보와 상기 별도의 IPMP 툴 정보 양쪽을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배신을 수신하는 단말에서, 콘텐츠를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스트림을 구문해석하는 단계,
    IPMP 툴 정보 플래그, 콘텐츠 ID, 및 IPMP 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IPMP 툴 정보에 근거해서 IPMP 툴을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IPMP 툴을 취득하는 단계는,
    IPMP 툴 ID로부터 콘텐츠에 이용된 암호화 툴을 특정하는 단계, 및
    IPMP 툴 장소 식별자로부터 상기 암호화 툴이 존재하는 장소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은, 콘텐츠의 암호를 해독하는 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해독 툴은, 콘텐츠 단위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 해독 툴은,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 키를 해독하는 해독 키는, 라이센스 키에 의해 추가로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 장소 식별자로부터 상기 암호화 툴이 존재하는 장소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을 취득하는 단계는,
    복수의 IPMP 툴 ID와, 각각의 IPMP 툴에 대응하는 암호 해독 툴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공급자와 단말의 양쪽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을 취득하는 단계는,
    단말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IPMP을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을 취득하는 단계는,
    소정의 툴 공급원으로부터 온라인으로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매입된 전자 워터마크 정보를 읽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은, 전자 워터마크 정보를 해독하기 위한 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PMP 툴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단말에서 요구되는 인터페이스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단계는, 콘텐츠 스트림을 부분적으로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배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를 부호화해서 콘텐츠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수단,
    데이터 암호화 툴을 이용해서 상기 부호화 콘텐츠 스트림을 암호화하는 수단,
    상기 콘텐츠에 대응한 콘텐츠 ID를 생성하는 수단,
    상기 데이터 암호화 툴로써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을 해독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IPMP(지적 소유권 관리 보호) 툴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
    IPMP 툴 정보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IPMP 툴 정보 플래그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IPMP 툴 정보 플래그와 이것에 연속되는 상기 IPMP 툴 정보, 상기 콘텐츠 ID, 및 암호화된 콘텐츠 스트림에 의해 데이터 스트림을 구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IPMP 툴 정보를 생성하는 수단은,
    각 콘텐츠에 이용된 암호화 툴을 특정하는 IPMP 툴 ID를 할당하는 수단, 및
    상기 암호화 툴이 존재하는 장소를 특정하는 IPMP 툴 장소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공급자로부터 콘텐츠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의 배신을 수신하고, 콘텐츠를 판독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스트림을 구문해석하는 수단과,
    IPMP 툴 정보 플래그, 콘텐츠 ID, 및 IPMP 툴 정보를 검출하는 수단과,
    검출한 IPMP 툴 정보에 근거해서 IPMP 툴을 취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IPMP 툴을 취득하는 수단은,
    IPMP 툴 ID로부터 콘텐츠에 이용된 암호화 툴을 특정하는 수단, 및
    IPMP 툴 장소 식별자로부터 상기 암호화 툴이 존재하는 장소를 특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2-7013817A 2001-03-02 2002-02-26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180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58236 2001-03-02
JP2001058236 2001-03-02
JPJP-P-2001-00381406 2001-12-14
JP2001381406A JP4311899B2 (ja) 2001-03-02 2001-12-14 コンテンツの配信および保護を行なう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472A KR20020089472A (ko) 2002-11-29
KR100518094B1 true KR100518094B1 (ko) 2005-09-29

Family

ID=2661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3817A KR100518094B1 (ko) 2001-03-02 2002-02-26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89823B2 (ko)
EP (1) EP1370083A4 (ko)
JP (1) JP4311899B2 (ko)
KR (1) KR100518094B1 (ko)
CN (1) CN1287595C (ko)
WO (1) WO20020717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1899B2 (ja) 2001-03-02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配信および保護を行なう方法および装置
KR20040028741A (ko) * 2001-08-09 2004-04-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Ipmp(지적 재산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위한통합적인 권리 관리
JP2003069559A (ja) * 2001-08-23 2003-03-07 Sony Corp コンテンツ保護システム
CN1225912C (zh) 2001-09-03 2005-11-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mpeg-2内容分配和保护的灵活且共用的ipmp系统的设备
US7299362B2 (en) 2001-10-29 2007-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of a baseline DVB-CPCM
EP1499939A2 (en) * 2002-03-05 2005-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ethod of transferring information specifying a tool utilized for processing a content protected by ipmp
EP1586045A1 (en) 2002-12-27 2005-10-19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metadata
JP4471067B2 (ja) * 2003-02-17 2010-06-0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複製管理システム、複製管理装置、複製管理方法、コンテンツ複製装置及びコンテンツ複製方法
US8291505B2 (en) * 2003-04-17 2012-10-16 Mcafee, Inc. Detecting computer data containing compressed video data as banned computer data
KR100953160B1 (ko) 2003-06-26 201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상이한 저작권 관리방식을 갖는 네트워크 장치간의 컨텐츠 호환성 제공 방법
US20070143219A1 (en) * 2003-10-14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and content server which delivers content
EP1694067A4 (en) * 2003-12-01 2009-01-21 Panasonic Corp CONTINUOUS TRANSMISSION SYSTEM
US7900260B2 (en) * 2003-12-05 2011-03-0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lifetime tracking of intellectual property
JP4749680B2 (ja) * 2004-05-10 2011-08-17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ータ構造、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認証装置、認証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031478A (ja) * 2004-07-16 2006-02-02 Yamaha Corp コンテンツ再生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EP1776833A1 (fr) * 2004-08-09 2007-04-25 France Télécom Procede et appareil de lecture de donnees reçues sous forme protegee, et outil de retrait de protection correspondant
KR20070046113A (ko) * 2004-08-16 2007-05-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CN101069423A (zh) * 2004-11-29 2007-1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发送装置以及接收装置
CN1798019A (zh) 2004-12-29 2006-07-05 国际商业机器公司 用于在私有网络中共享媒体内容的方法、系统和装置
EP1844405A4 (en) * 2005-01-17 2009-03-18 Korea Electronics Telecomm METHOD FOR REPRESENTING A DESCRIPTION LANGUAGE AND DATA STRUCTURES FOR UPDATING AN IPMP TOOL, IPMP UPDATING METHOD, AND CLIENT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295344A (ja) * 2005-04-06 2006-10-26 Toshiba Corp コンテンツ処理装置
ATE524017T1 (de) * 2005-04-08 2011-09-15 Korea Electronics Telecomm Werkzeugpaketstruktur und inhaltsausführungsvorrichtung
KR100837732B1 (ko) * 2006-03-27 2008-06-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에서의 콘텐츠 보호정보 전송 방법과, 콘텐츠보호정보 처리를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US20090328230A1 (en) * 2006-04-21 2009-12-31 Young-Bae Byu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digital contents processed with drm tools
US8296569B2 (en) * 2006-10-09 2012-10-23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protection interoperability infrastructure
JP4600418B2 (ja) * 2007-04-20 2010-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FR2923126B1 (fr) * 2007-10-30 2009-12-11 Medialive Procede et systeme de distribution securisee de donnees audiovisuelles par marquage transactionnel
US8953795B2 (en) * 2007-11-30 2015-02-10 Sony Corporation Forensic decryption tools
KR100981167B1 (ko) 2008-05-14 2010-09-10 주식회사 케이티 디지털 권한 관리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응용프로그램 제어 방법
EP2151999A1 (en) * 2008-08-06 2010-02-1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content data
US8402555B2 (en) 2010-03-21 2013-03-19 William Grecia Personalized digital media access system (PDMAS)
US20100185868A1 (en) * 2010-03-21 2010-07-22 William Grecia Personilized digital media access system
US9380356B2 (en) 2011-04-12 2016-06-2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generate a tag for media content
US9210208B2 (en) 2011-06-21 2015-12-0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onitoring streaming media content
US9209978B2 (en) 2012-05-15 2015-12-0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exposure to streaming media
AU2012272874B2 (en) * 2011-06-21 2015-09-24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exposure to streaming media
US9313544B2 (en) 2013-02-14 2016-04-1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exposure to streaming media
US9319384B2 (en) * 2014-04-30 2016-04-19 Fortinet, Inc. Filtering hidden data embedded in media files
US9762965B2 (en) 2015-05-29 2017-09-12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measure exposure to streaming media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382B2 (ja) 1990-02-21 2000-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暗号通信システム
JP3288898B2 (ja) 1995-05-31 2002-06-04 株式会社東芝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放送システム
WO1996020563A1 (en) 1994-12-27 1996-07-04 Kabushiki Kaisha Toshiba Transmitter, receiver,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integrating them, and digital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US6507953B1 (en) 1996-02-02 2003-01-14 Thomson Licensing S.A.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JP3310173B2 (ja) 1996-08-02 2002-07-29 シャープ株式会社 符号化装置及び復号化装置
JP3265192B2 (ja) 1996-08-07 2002-03-11 シャープ株式会社 復号化装置及び復号化システム
JPH10257046A (ja) 1997-03-13 1998-09-25 Toshiba Corp 情報変換装置および情報変換方法
CN100534180C (zh) 1998-03-16 2009-08-26 联信技术公司 用于连续控制和保护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JP4273535B2 (ja) * 1998-05-12 2009-06-0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伝送制御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送信装置
US6298446B1 (en) 1998-06-14 2001-10-02 Alchemedia Ltd.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transmitted over networks
US6535919B1 (en) 1998-06-29 2003-03-18 Canon Kabushiki Kaisha Verification of image data
JP4392880B2 (ja) 1998-06-29 2010-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認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6859791B1 (en) * 1998-08-13 2005-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internet users geographic region
JP2000101853A (ja) 1998-09-21 2000-04-07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暗号化方法、画像暗号化装置、画像暗号化の手順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画像暗号化の画像ファイルを記録する記録媒体
JP4120070B2 (ja) 1998-11-19 2008-07-16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回路
JP3976932B2 (ja) 1999-03-31 2007-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JP3472188B2 (ja) 1999-03-31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0293945A (ja) 1999-04-07 2000-10-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および逆スクランブル回路
EP1079627A1 (en) 1999-08-27 2001-02-28 Canon Kabushiki Kaisha Copyright protection in MPEG-4 using digital watermarking
JP3754847B2 (ja) 1999-08-31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記憶媒体
US6785704B1 (en) * 1999-12-20 2004-08-31 Fastforward Networks Content distribution system for operation over an internetwork including content peering arrangements
SG103829A1 (en) * 2000-01-28 2004-05-26 Canon Kk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system, digital contents distribution method, roaming server,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1768414A3 (en) 2000-05-26 2007-12-26 Canon Kabushiki Kaisha Contents forming method and contents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1359070A (ja) 2000-06-14 2001-12-26 Canon Inc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7308717B2 (en) * 2001-02-23 2007-12-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n enhanced Java™ 2 runtime environment
JP4311899B2 (ja) 2001-03-02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配信および保護を行なう方法および装置
EP1398902A4 (en) 2001-06-04 2007-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A FLEXIBLE AND COMMON IPMP SYSTEM FOR PROVIDING AND PROTECTING CONTENTS
US7188085B2 (en) * 2001-07-20 2007-03-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encrypted content with associated geographical-based advertisements
CN1225912C (zh) 2001-09-03 2005-11-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mpeg-2内容分配和保护的灵活且共用的ipmp系统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57600A (zh) 2003-11-19
JP4311899B2 (ja) 2009-08-12
JP2002330126A (ja) 2002-11-15
CN1287595C (zh) 2006-11-29
US20030149890A1 (en) 2003-08-07
US7689823B2 (en) 2010-03-30
WO2002071752A1 (fr) 2002-09-12
EP1370083A1 (en) 2003-12-10
KR20020089472A (ko) 2002-11-29
EP1370083A4 (en)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8094B1 (ko)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67921B1 (ko) 콘텐츠 제공 및 보호용의 유연 및 공통 ipmp 시스템의장치 및 방법
US7299362B2 (en) Apparatus of a baseline DVB-CPCM
JP4598616B2 (ja) ストリーミング方式メディアプレーヤ
EP1732005B1 (en) Access control method, access control system, meta data controller, and transmission system device
JP5417574B2 (ja) デジタルテレビ限定受信システム及び処理手順
KR100734033B1 (ko) 방송 콘텐츠 보호/관리 시스템
US20010053222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40049694A1 (en) Content distribution for multiple digital rights management
US20040054892A1 (en) Apparatus of a flexible and common ipmp system for mpeg-2 distribution and protection
US20070124252A1 (en) Reception device, transmission device, security module, and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US10162944B2 (en) Library style media DRM APIs in a hosted architecture
KR20060126958A (ko) 콘텐츠 배신 방법 및 콘텐츠 서버
KR20090090332A (ko) 스크램블된 디지털 콘텐트로의 액세스를 제어하는 방법
US20080279378A1 (en) Transmitting Apparatus and Receiving Apparatus
JP2003078519A (ja) コンテンツ提供及び保護用の柔軟及び共通ipmpシステムの装置及び方法
JP4745738B2 (ja) メディアファイルの記録方法
CN100556135C (zh) 内容的传递及保护的方法及装置
KR100462571B1 (ko) 다중 컨텐츠 보호 툴을 적용할 수 있는 컨텐츠 보호 장치및 그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보호 툴 및 그 적용 방법
EP2359301B1 (en) System renewability message transport
JP2008515071A (ja) 少なくとも2つの異なるデータ処理ユニットを備えたシステム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制御型権利マネージメント方法
US20060092048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0720005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uimカードを備える携帯型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