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8741A - Ipmp(지적 재산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위한통합적인 권리 관리 - Google Patents

Ipmp(지적 재산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위한통합적인 권리 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8741A
KR20040028741A KR10-2003-7013792A KR20037013792A KR20040028741A KR 20040028741 A KR20040028741 A KR 20040028741A KR 20037013792 A KR20037013792 A KR 20037013792A KR 20040028741 A KR20040028741 A KR 20040028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s
description
content
terminal
enve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쉔쉥메이
지밍
후앙죵양
세노다카노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8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7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14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MPEG-4 시스템 등 어떠한 IPMP 단말 또는 디지털 소비 단말이든지 상이한 콘텐츠 배신 체인에서 권리 관리를 취급하는 상호 운용성을 실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정의되고 표준화된 통합적인 권리 기술 언어 및 스키마 아키텍처를 전세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콘텐츠 스트림에 이러한 표준화된 권리 스키마를 포함시킬 올바른 장소 또는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또한 이러한 권리 스키마, 및 권리 기술을 포함시킬 소정의 위치에 따라서 단말 내에 권리 파서 및 권리 관리 기능을 미리 구성함으로써, 콘텐츠 배신 체인에 걸쳐서, 상이한 국가에 걸쳐서, 단말을 제조하는 상이한 메이커에 걸쳐서, 또한 상이한 콘텐츠 제공자에 걸쳐서 상호 운용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운용성으로 인하여 단말의 제조 코스트가 낮아지고, 또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배신하기 위한 코스트가 낮아진다.
융통성있고 또한 확장 가능한 XML 형태의 언어를 기본으로 하므로, 융통성 및 확장성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IPMP(지적 재산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UNIFIED RIGHTS MANAGEMENT FOR IPMP SYSTEM}
광대역 네트워크가 모든 가정에 보급됨에 따라서, 콘텐츠 배신이 더욱 더 필요하게 되고 있다. 이용자는 그 편리성 때문에 즐겁고, 또한 오락을 이전에 비해서 더욱 용이하게 효율적으로 즐길 수 있다.
콘텐츠 배신 체인에는, 콘텐츠 소유자, 콘텐츠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로부터 최종 사용자까지 하나의 콘텐츠의 운용에 관련되는 많은 당사자가 존재한다.
우선, 콘텐츠 소유자가 콘텐츠를 제작하고, 포스트 프로덕션 하우스(post production house)가 MPEG-2 또는 MPEG-4 등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데에 조력한다. 각각의 콘텐츠를 식별하고, 보호하고 또한 승인하기 위하여, 콘텐츠 소유자는 각종 콘텐츠 작품에 대한 권리를 기술하는 사용 규칙을 작성한다.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배신하는 경우, 상이한 비지니스 모델 또는 전략에 따른 상이한 케이스에 대하여 상이한 사용 규칙을 적용한다. 이러한 사용 규칙 또는 권리 기술은 동일한 콘텐츠 소유자인 경우에도 하나의 콘텐츠 디스트리뷰터와 또 다른 디스트리뷰터에 대하여 매우 상이하다.
콘텐츠가 MPEG-2와 같은 동일한 포맷으로 인코딩되어 있어도, 상이한 권리 기술 또는 상이한 사용 규칙으로 인하여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실현할 수 없다.
도 1은 현재의 콘텐츠 배신 및 보호의 비지니스 모델에 대한 종래기술을 나타낸다.
도 1에서 3개의 콘텐츠 배신 및 보호 체인을 설명한다. 이러한 3개의 배신 체인에는 상이한 사용 규칙 구성 또는 권리 기술 언어(rights description language)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상이한 단말에는 자체의 권리 기술 언어에 부합시키기 위하여 상이한 권리 관리 툴(tool)이 또한 사용된다.
모듈 1.0에서, 콘텐츠 소유자 A는 권리 기술 언어 A를 사용하여 자신의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설정한다.
모듈 1.1에서, 콘텐츠 소유자 B는 권리 기술 언어 B를 사용하여 자신의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설정한다.
모듈 1.2에서, 콘텐츠 소유자 C는 권리 기술 언어 C를 사용하여 자신의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설정한다.
모듈 1.3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 A는 권리 기술 언어 A를 사용하여 기타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설정한다.
모듈 1.4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 B는 권리 기술 언어 B를 사용하여 기타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설정한다.
모듈 1.5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 C는 권리 기술 언어 C를 사용하여 기타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설정한다.
모듈 1.6에서, 단말 A는, 콘텐츠 소유자 A와 콘텐츠 디스트리뷰터 A에 의해서 교신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해서 권리 관리 툴 A를 사용한다.
모듈 1.7에서, 단말 B는, 콘텐츠 소유자 B와 콘텐츠 디스트리뷰터 B에 의해서 교신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해서 권리 관리 툴 B를 사용한다.
모듈 1.8에서, 단말 C는, 콘텐츠 소유자 C와 콘텐츠 디스트리뷰터 C에 의해서 교신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해서 권리 관리 툴 C를 사용한다.
이것은, 상이한 세트의 권리 기술을 취급하기 위하여 상이한 세트의 권리 관리 툴을 제공해야 하므로, 단말 메이커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단말의 제조 비용은, 단말에서 상이한 세트의 권리 관리 툴을 제공하기 위해서 투입하는 이중의 노력으로 인하여,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래서, 상이한 콘텐츠 배신 체인에서 상호 운용성을 가지며 또한 단말 제조 비용을 저감하기 위하여 권리를 기술하는 데에 동일한 언어를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의 기술(記述)은 여러 기구에서 논의되었다. 이것들 대부분은 매우 일반적이고, MPEG-4 IPMP(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MPEG-2 IPMP 시스템 등, MPEG 관련 콘텐츠 배신 시스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반면에, MPEG-n IPMP 시스템에서의 상이한 AV 스트림에 관련되는 상이한 권리를 주장하기 위해서 콘텐츠 소유자측 및 콘텐측 배신측 모두에서 사용되는 통합적인 툴도 없다. 동시에 상이한 IPMP 단말에서 재생되는 상이한 AV 오브젝트에 대하여 이러한 권리를 적용하기 위한 관리에 동일한 메커니즘이 사용된다. 즉,
수평적인 상호 운용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콘텐츠 배신 및 보호 시스템, 특히 MPEG-n IPMP 시스템에 사용되도록 융통성있는 형태로 통합적인 권리 기술 언어를 정의하는 것.
권리 기술의 서브세트를, MPEG-2 IPMP, MPEG-4 IPMP, 및 MPEG-7 IPMP에 적합하게 한 프로파일(profile)로서 추출하는 것.
MPEG-n IPMP 시스템의 올바른 위치에 설정되는 권리 기술 언어에 따라서 권리 파서(Rights Parser(구문해석계(構文解析系)), 및 권리 관리 모듈 또는 툴을 설계하는 것.
상기 권리 기술 언어를 표준화하고,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권리 기술 언어의 서브세트를 프로파일로서 추출하고, 또한 MPEG-n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권리 관리 툴을 설정할 올바른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MPEG을 기본으로 하는 콘텐츠 배신 및 보호를 위한, 융통성있고 상호 운용 가능한 DRM(Digital RightsManagement;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이 전세계적으로 구성될 것이다.
이러한 표준화된 DRM 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단말의 코스트가, 클로즈 체인(close chain) 콘텐츠 배신에 의한 기존의 비지니스 모델에 사용되는 것보다 훨씬 적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콘텐츠 배신(distribution; 配信) 체인(chain)에서의 권리 기술(記述)(rights description) 및 권리 관리(rights management), 특히, MPEG-2, MPEG-4 등 MPEG 시스템을 이용하여 콘텐츠를 교신하거나 또는 인코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이한 콘텐츠 배신 체인에서 사용되는 상이한 권리 기술 언어 및 권리 관리에 대한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MPEG-n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작 및 소비 양측에서의 권리 핸들링(rights handling)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MPEG-4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작 및 소비 양측에서의 권리 핸들링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MPEG-2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작 및 소비 양측에서의 권리 핸들링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MPEG-7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작 및 소비 양측에서의 권리 핸들링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non-MPEG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제작 및 소비 양측에서의 권리 핸들링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MPEG-n IPMP 시스템에 대한 권리 기술 언어 및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MPEG-n IPMP 시스템에 대한 권리 기술 언어 및 스키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MPEG-4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IOD(Initial Object Descriptor) 및 권리 기술 언어를 구비한 콘텐츠 스트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MPEG-4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IPMP_ES에 포함된 권리 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Elementary_PID를 이용한 상이한 기본 스트림에 대한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전용 섹션을 구비한 MPEG-2 시스템 스트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Elementary_PID를 이용한 상이한 기본 스트림에 대한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private_stream으로서 특정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를 구비한 MPEG-2 시스템 스트림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우선, 상세하고 명확한 의미 규칙(semantics)을 구비한 통합적인 권리 기술 언어를 융통성있는 방법으로 정의하고 표준화하여야 한다.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특히 MPEG-n IPMP 시스템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권리 기술 언어로부터 일군의 항목/엘리먼트를 추출한다.
권리 파서 및 권리 관리 툴은 이러한 IPMP 단말용 권리 기술 아키텍처에 따라서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권리 기술을 콘텐츠 스트림, 특히 MPEG-n IPMP 스트림에 부가하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를 지정하여야 한다.
상이한 AV 스트림 또는 오브젝트에 적용되는 각각의 권리를 처리하기 위하여 이러한 권리 파서 및 권리 관리 툴을 IPMP 단말내의 올바른 위치에 구성한다.
콘텐츠 제작측 및 콘텐츠 배신측 모두에 인증 툴(authorising tool)이 제공되어서, 배신 체인의 상이한 당사자들이 자신의 상이한 권리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것은 오프라인 또한 실시간으로 실행될 수 있다.
콘텐츠 제작측에서는, 매체 콘텐츠가 MPEG-2 또는 MPEG-4 등 기존의 코딩 기술을 이용하여 인코딩되고, 또한 DES(data encryption standard; 데이터 암호화 표준) 또는 AES(advanced encryption system; 개량 암호화 시스템) 등 기존의 IPMP 툴을 이용하여 암호화된다.
통합적인 권리 기술 언어는, 콘텐츠 배신 체인, 특히 MPEG 관련 콘텐츠 배신 분야에서 상이한 타입의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반영하도록 정의된다.
구조/스키마/아키텍처를 정의하고 표준화할 필요가 있는 것 이외에, 또한 각각의 엘리먼트의 의미 규칙, 및 상이한 엘리먼트들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콘텐츠 제작에 있어서,
1) 인코딩 전에 저작권, 콘텐츠 ID, 저자 등 워터마크(watermark) 정보를 매입(埋入)하고,
2) 콘텐츠에 대한 권리 또는 사용 규칙을 설정하고,
3) 콘텐츠 소유자의 요구에 의한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의 표기법을 구성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권리 기술 언어에 따라서 오소링 툴(authoring tool)을 작성한다.
콘텐츠 배신에 있어서,
4) 어느 것은 오프라인으로 실행되고, 어느 것은 사용자가 구독하고 요금을 지불하는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실행되는, 상이한 권리, 사용 규칙, 허가 조건 등을 상기 툴을 이용하여 설정하고,
5) 이러한 권리에 의한 XML 형태의 표기법을 구성하고,
6) 모든 이러한 XML 형태의 표기법을 콘텐츠에 대한 봉투(envelope)로서 하나의 파일내에 조합하고,
7) 이러한 파일을 2진 포맷으로 변환하고,
8) 이러한 2진 포맷의 파일을, MPEG-n IPMP 단말에 전송하기 전에, 상이한 MPEG-n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스트림내의 고정적이고 표준화된 소정의 위치에 삽입하는 데에, 동일한 오소링 툴이 사용된다.
단말측에서는,
권리를 기술하는, 소정의 구조, 스키마, 또는 아키텍처에 의한 동일한 권리 기술 언어가 MPEG-n IPMP 단말용 권리 관리 툴을 설계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러한 권리 관리 툴은 동일한 구조, 스키마, 또는 아키텍처에 따라서 구성된 권리 파서, 및 권리 기술 언어에서 정의된 의미 규칙에 따라서 구성된 권리 매니저를 포함한다. MPEG-n IPMP 단말내에 이러한 권리 관리 툴을 구비함으로써, 콘텐츠 스트림내에 저장된, XML 형태의 파일에 표기된 권리가 해석되고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되어서 자체의 규칙을 실행한다. 상세한 절차는,
9) MPEG-n IPMP 단말에서 2진 포맷으로 된 XML 형태의 파일을 구비한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고,
10) 2진 포맷으로 된 XML 형태의 파일을 XML 형태의 판독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11) 단말 내의 권리 파서로써 XML 형태의 파일의 엘리먼트의 각각을 해석하고,
12) 권리 또는 규칙의 각각을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고 적용하여 권리매니저로써 권리 관리를 실행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표준화된 권리 관리 툴을 구비한 MPEG-n IPMP 단말은, 상이한 국가에서, 또는 상이한 콘텐츠 에이전트(agent)에 의해서 제공되는 콘텐츠를 취급하기 위하여, 상이한 세트의 권리 관리 툴을 재실행하지 않고 모든 곳에서 운용 가능하다. 따라서, 많은 자원이 절약되어서 이러한 단말 장치의 코스트를 훨씬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콘텐츠 배신 체인으로부터의 디지털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단말이 상이한 권리 기술을 실행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말이, MPEG-2 또는 MPEG-4 등 표시 계층(presentation layer)에 대하여 동일한 표준에 따라서 구성되어 있는 한, 상기 단말이 상이한 국가에서, 또한 상이한 배신 체인에서 사용될 수 있는 상호 운용성을 제공한다.
상호 운용성 이외에도, 또한 본 발명은, XML 등 확장 가능하고 융통성있는 언어를 기본으로 하므로 상이한 콘텐츠 제공자에 대하여 상이한 종류의 사용 규칙 또는 권리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융통성 및 확장 가능성을 제공한다.
동시에, 표준화된 권리 기술 스키마 아키텍처에 따라서 구성된 통합적인 오소링 툴은 콘텐츠 제작자 및 디스트리뷰터에게 깔끔하고 깨끗한 권리 화면 구성 (Rights Scene Structure)을 제공한다.
표준 권리 기술 스키마에 의한 권리 파서 및 권리 관리 기능으로써 구성된 유연한 IPMP 단말은, 일단 구성되면 콘텐츠 제공자에 관계없이 모든 곳에서 사용되므로, 상호 운용 가능하고 또한 덜 비싸다.
도 2는 MPEG-n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배신측 및 콘텐츠 소비측 모두에서의 권리 핸들링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낸다.
콘텐츠 제작 및 소비측:
우선, 모듈 2.0에서의 MPEG-n IPMP 화면 구성이, 모듈 2.1 및 2.2의 오소링 툴에의 입력 파일로서 구성된다. 모듈 2.1 및 2.2의 오소링 툴은 동일한 툴이고, 표준화된 권리 기술 언어를 기본으로 작성된다. ObjectID 또는 Object Sub-ID가 상이한 디지털 콘텐츠 아이템을 식별하는 데에 사용되고, 또한 어느 오브젝트에 권리가 적용되는 가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 규칙/권리와 함께 조합된다.
모듈 2.3에서,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또한 동시에 권리 및 사용 규칙이 모듈 2.1의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로서 콘텐츠에 삽입되어 부가된다.
모듈 2.4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는 상세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결정하여 콘텐츠를 교신하고, 모듈 2.2의 상기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에 사용 규칙을 추가로 부가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가 상이한 요구를 하거나 또는 요금 지불을 하는 시점에서 봉투에 상이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듈 2.5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이 XML로 표시되고, 2진 포맷으로 변환되어 콘텐츠 스트림에 부가되어서, 단말에 전송하도록 준비된다.
콘텐츠 소비측에서:
모듈 2.6에는, 유연한 MPEG-n IPMP 단말이 권리 파서 기능을 위한 모듈 2.7에서 XML에 의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명확한 의미 규칙에 따라서, 단말은 이러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단말내의 각각의 해당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모듈 2.8의 MPEG-n 시스템에서 이용되어서 모듈 2.9의 상이한 IPMP 툴을 제어한다.
도 3은 MPEG-4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배신측 및 콘텐츠 소비측 모두에서의 권리 핸들링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낸다.
콘텐츠 제작 및 배신측에서:
우선, 모듈 3.0에서의 MPEG-4 IPMP 화면 구성이, 모듈 3.1 및 3.2의 오소링 툴에의 입력 파일로서 구성된다. 모듈 3.1 및 3.2의 오소링 툴은 동일한 툴이고, 표준화된 권리 기술 언어를 기본으로 작성된다. OD_ID 및/또는 ES-ID가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데에 사용되고, 또한 어느 오브젝트에 권리가 적용되는 가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 규칙/권리와 함께 조합된다.
모듈 3.3에서,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또한 동시에 권리 및 사용 규칙이 모듈 3.1의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로서 콘텐츠에 삽입되어 부가된다.
모듈 3.4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의 상세를 결정하여 콘텐츠를 교신하고, 모듈 3.2의 상기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에 사용 규칙을 추가로 부가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가 상이한 요구를 하거나 또는 요금 지불을 하는 시점에서 봉투에 상이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듈 3.5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이 XML 형태의 언어로 표시되고, 2진 포맷으로 변환되어 콘텐츠 스트림에 부가되어서, 단말에 전송하도록 준비된다.
콘텐츠 소비측에서:
모듈 3.6에는, 유연한 MPEG-4 IPMP 단말이 권리 파서 기능을 위한 모듈 3.7에서 XML에 의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명확한 의미 규칙에 따라서, 단말은 이러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단말내의 각각의 해당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모듈 3.8의 MPEG-4 시스템에서 이용되어서 모듈 3.9의 상이한 IPMP 툴을 제어한다.
도 4는 MPEG-2 IPMP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배신측 및 콘텐츠 소비측 모두에서의 권리 핸들링에 대한 일반 구조를 나타낸다.
콘텐츠 제작 및 배신측에서:
우선, 모듈 4.0에서의 MPEG-2 IPMP 화면 구성이, 모듈 4.1 및 4.2의 오소링 툴에의 입력 파일로서 구성된다. 모듈 4.1 및 4.2의 오소링 툴은 동일한 툴이고,표준화된 권리 기술 언어를 기본으로 작성된다. MPEG-2 IPMP 시스템에 있어서 Elementary-PID가 비디오 1, 비디오 2, 오디오 1, 또는 오디오 2 등 상이한 디지털 콘텐츠 아이템을 식별하는 데에 사용되고, 또한 Elementary-PID가 어느 디지털 오브젝트/아이템에 권리가 적용되는 가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 규칙/권리와 함께 조합된다.
모듈 4.3에서,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또한 동시에 권리 및 사용 규칙이 모듈 4.1의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로서 콘텐츠에 삽입되어 부가된다.
모듈 4.4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는 상세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결정하여 콘텐츠를 교신하고, 모듈 4.2의 상기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에 사용 규칙을 추가로 부가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가 상이한 요구를 하거나 또는 요금 지불을 하는 시점에서 봉투에 상이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듈 4.5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이 XML 형태로 표시되고, 2진 포맷으로 변환되어 콘텐츠 스트림에 부가되어서, 단말에 전송하도록 준비된다.
콘텐츠 소비측에서:
모듈 4.6에는, 유연한 MPEG-2 IPMP 단말이 권리 파서 기능을 위한 모듈 4.7에서 XML에 의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명확한 의미 규칙에 따라서, 단말은 이러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단말내의 각각의 해당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모듈 4.8의 MPEG-2 시스템에서 이용되어서 모듈 4.9의 상이한 IPMP 툴을 제어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EG-7 디지털 아이템(digital item)에 대한 콘텐츠 배신에 동일한 개념 및 방법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및 배신측에서:
우선, 모듈 5.0에서의 MPEG-7 IPMP 화면 구성이, 모듈 5.1 및 5.2의 오소링 툴에의 입력 파일로서 구성된다. 모듈 5.1 및 5.2의 오소링 툴은 동일한 툴이고, 표준화된 권리 기술 언어를 기본으로 작성된다. Access_Unit_ID가 상이한 디지털 콘텐츠 아이템을 식별하는 데에 사용되고, 또한 Access_Unit_ID가 어느 디지털 오브젝트/아이템에 권리가 적용되는 가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 규칙/권리와 함께 조합된다.
모듈 5.3에서,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또한 동시에 권리 및 사용 규칙이 모듈 5.1의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로서 콘텐츠에 삽입되어 부가된다.
모듈 5.4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는 상세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결정하여 콘텐츠를 교신하고, 모듈 5.2의 상기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에 사용 규칙을 추가로 부가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가 상이한 요구를 하거나 또는 요금 지불을 하는 시점에서 봉투에 상이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듈 5.5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이 XML 형태로 표시되고, 2진 포맷으로 변환되어 콘텐츠 스트림에 부가되어서, 단말에 전송하도록 준비된다.
콘텐츠 소비측에서:
모듈 5.6에는, 유연한 MPEG-7 IPMP 단말이 권리 파서 기능을 위한 모듈 5.7에서 XML에 의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명확한 의미 규칙에 따라서, 단말은 이러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단말내의 각각의 해당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모듈 5.8의 재생 시스템에서 이용되어서 모듈 5.9의 상이한 IPMP 툴을 제어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콘텐츠 배신에 동일한 개념 및 방법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및 배신측에서:
우선, 모듈 6.0에서의 IPMP 화면 구성이, 모듈 6.1 및 6.2의 오소링 툴에의 입력 파일로서 구성된다. 모듈 6.1 및 6.2의 오소링 툴은 동일한 툴이고, 표준화된 권리 기술 언어를 기본으로 작성된다. DID(Digital Item Identifier; 디지털 아이템 식별자)가 상이한 디지털 콘텐츠 아이템을 식별하는 데에 사용되고, 또한 DID가 어느 디지털 오브젝트/아이템에 권리가 적용되는 가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 규칙/권리와 함께 조합된다.
모듈 6.3에서,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를 제작하여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또한 동시에 권리 및 사용 규칙이 모듈 6.1의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로서 콘텐츠에 삽입되어 부가된다.
모듈 6.4에서, 콘텐츠 디스트리뷰터는 상세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결정하여 콘텐츠를 교신하고, 모듈 6.2의 상기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봉투에 사용 규칙을 추가로 부가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가 상이한 요구를 하거나 또는 요금 지불을 하는 시점에서 봉투에 상이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자동적으로 부가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모듈 6.5에서, 해당 콘텐츠에 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이 XML 형태로 표시되고, 2진 포맷으로 변환되어 콘텐츠 스트림에 부가되어서, 단말에 전송하도록 준비된다.
콘텐츠 소비측에서:
모듈 6.6에는, 유연한 IPMP 단말이 권리 파서 기능을 위한 모듈 6.7에서 XML에 의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명확한 의미 규칙에 따라서, 단말은 이러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단말내의 각각의 해당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모듈 6.8의 재생 시스템에서 이용되어서 모듈 6.9의 상이한 IPMP 툴을 제어한다.
도 7 및 도 8에는, 소정의 권리 기술 언어 또는 스키마 아키텍처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서 가능한 한 많은 사용 규칙 및 권리를 포함하도록 표시되어 있다. 권리 기술 언어의 의미 규칙 부분에는 부모 노드(parent node), 자식 노드 (childeren node)의 모든 엘리먼트 또는 속성이 명확하게 지정되어 있다. 스키마에서의 Content_ID는, MPEG-2 시스템에서 디지털 아이템을 표현시에 Elementary_PID로, MPEG-4 시스템에서 디지털 아이템을 표현시에 OD-ID/ES_ID로, 또한 MPEG-7 시스템에서 디지털 아이템을 표현시에 Access_Unit_ID로 변경된다.
권리 기술 언어의 의미 규칙
권리 기술 언어의 의미 규칙은 이하와 같다:
1) 콘텐츠(CONTENT): 이 엘리먼트는 어느 콘텐츠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일반적인 엔티티(entity)이다. 이것은 하나의 필수적인 엘리먼트 CONTENT_ID와 2개의 선택적인 엘리먼트 CONTENT_FORMAT과 CONTENT_DESCRIPTION을 포함한다.
상이한 IPMP 시스템의 경우에,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적용하기 위해서 상이한 CONTENT_ID를 선택할 수 있다. 즉, MPEG-2 시스템의 경우 PMT 테이블에서의 ELEMENTARY_PID, MPEG-4 시스템의 경우 ES_ID 및/또는 OD_ID, MPEG-7 시스템의 경우 ACCESS_UNIT_ID, 또한 통상의 디지털 콘텐츠의 경우 DID이다.
CONTENT_FORMAT은 MPEG-2, 4 또는 7 등 인코딩 콘텐츠 포맷을 제공하고, CONTENT_DESCRIPTION은 AudioVisual 스트림, AudioVisual 오브젝트, AudioVisual 기술(記述) 메타데이터(metadata) 등, 콘텐츠 설명을 제공한다.
이하의 엘리먼트는 권리 기술을 위한, 가능한 권리 및 사용 규칙에 대한 의미 규칙을 설명한다.
2) 재생(PLAY): 재생 권리는, 재생이 신뢰성있는 플레이어에 의한 적극적인 참여를 필요로 함에 따라서, 허용된 한정 시간 동안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COUNT"는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는 횟수를 나타낸다. 콘텐츠가 재생될 때마다, 값이 1씩 감소된다. 값이 0이 되면 콘텐츠는 더 이상 재생될 수 없다.
"PLAYER"는 재생을 위한 하드웨어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지정될 수 있다. "ID", "NAME", 및 "DESCRIPTION"은 플레이어 프로퍼티(property)의 상세를 나타낸다.
"TIME"은 콘텐츠 재생의 시간 속성을 나타낸다. "DURATION"은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START" 시각으로부터 "UNTIL" 시각까지 콘텐츠가 재생된다. "DURATION" 이전과 "DURATION" 이후에는 콘텐츠가 재생되지 않는다.
"TOTAL" 시간은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는 총 시간을 나타낸다. 콘텐츠가 재생되는 경우, "TOTAL"의 값(년, 월, 일, 시, 분, 초)은 특정 시간 간격으로 감소된다. 시간이 경과하면, 콘텐츠는 재생되지 않는다. "TOTAL" 엘리먼트가 나타내는 총 시간은 "START"와 "UNTIL"로서 표시되는 총 시간 이상이 될 수는 없지만, 그 이하로 될 수는 있다.
"WATERMARK"를 사용하는 경우, 워터마크는, 콘텐츠 제공자가 워터마크에 무슨 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는 가를 요구하는 정보 소스의 목록을 지정한다. 상기 목록의 엘리먼트는 콘텐츠가 제공될 때에 인지한 텍스트 스트링(string)(Watermark-Str)일 수도 있고, 콘텐츠가 재생될 때에 인지한 "fingerprint(지문)" 정보를 나타내는 토큰(Watermark-Token)일 수도 있으며, 또는 비트가 인코딩되는 디지털 오브젝트 (Watermark-Object)일 수도 있다. 재생되는 콘텐츠에 있어서는 상기 오브젝트가 전송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3) 복사(PLAY), 이동(MOVE), 대여(LEND): 이 3가지의 권리는 신뢰성있는 제공자의 제어하에서 콘텐츠의 지속적인 카피(copy)의 작성 및 이동을 관리하는 특정 타입의 운반(CONVEY) 권리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 3가지의 권리는 모두 복사, 이동 및 대여의 횟수를 지정하는 "COUNT", 및 콘텐츠를 교환하기 위하여 메모리(리포지토리(repository))를 지정하는 "FROM","TO"로써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콘텐츠가 복사, 이동, 또는 대여될 때마다, "COUNT"의 값이 감소된다. 횟수가 0이 되면 콘텐츠를 더 이상 복사, 이동 또는 대여할 수 없다.
복사 권리는 콘텐츠의 새로운 디지털 카피를 작성하는 권리이고, 새로운 디지털 카피를 작성할 때마다 행사한다.
이동 권리는 디지털 콘텐츠를 하나의 메모리(리포지토리)로부터 다른 메모리에 전송하는 권리이고 콘텐츠의 복사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대여 권리는 일정 기간 동안 콘텐츠의 카피를 대여하는 권리이고, 이것은 또 다른 메모리(리포지토리)상에 콘텐츠의 "lender" 카피를 또한 작성하는 것이다. 이 권리는, 콘텐츠가 대여된 시간 동안 콘텐츠의 원시 카피가 재생될 수 없으므로, "COPY" 및 "MOVE" 권리와 동일한 것이 아니다.
"LEND" 권리는, "lending" 메모리가 활성화되어 있고 원래의 "lent" 메모리가 비활성화되어 있을 때 시간 요소를 나타내기 위하여 "PLAY"에서의 "TIME"에 동일한 특수한 속성 "TIME"을 가지고 있다.
4) 편집(EDIT) 권리는 콘텐츠 또는 메타데이터 관계를 재생하는 경우 그래프를 편집하거나 또는 시간을 제어하는 권리를 승인하는 것이다. 예로서, 시간 비율(time scale)을 변경함으로써 고속 재생 및 역방향 재생, 저속 재생, 일시 중지 등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즉, MPEG-7 메타데이터 Access_Unit 관계(트리 구성)를 조정함으로써 상이한 탐색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5) 변경(MODIFY) 권리는 콘텐츠를 변경하거나, 콘텐츠를 기타의 콘텐츠로 대체하거나 또는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허가를 부여하는 것이다. MPEG IPMP에 있어서의 "MODIFY" 권리의 두 가지 예로서, MPEG-4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현재의 화면을 소정의 화면으로 대체하는 것과 MPEG-7 시스템에서 탐색 기능을 조정하기 위하여 Access_Unit의 엘리먼트 값을 변경하는 것이 있다.
상기 두 가지의 권리 개념에 있어서, "TIME" 엘리먼트는 "PLAY" 및 "LEND" 권리에서의 "TIME" 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이 두 가지 권리를 실행하는 경우 유효 시간 요소를 나타낸다.
6) UserDefinedRightsDescription: 이것은 사용자가 정의한 어떠한 권리 기술을 나타낸다.
7) ReservedRightsDescription: 이것은 장래에 사용하기 위한 권리 기술을 나타낸다.
이들 권리 기술은, 콘텐츠 제공자의 의도에 따라서 콘텐츠 소비를 제어하기 위하여, 권리 관리 툴에 의해서 관리된다.
도 2, 3, 4, 5, 및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리 파서를 구비한 권리 관리 툴은, 콘텐츠 제작측에서도 사용되는 표준화된 권리 기술 스키마 아키텍처에 따라서 단말에 미리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은 오디오 및 비디오 코덱, 인코더 및 디코더가 쌍을 이루어야 하는 것과 동일한 경우이다.
이하 부분에서는, 표준화된 권리 기술 스키마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의 예로서 XML 표기법을 설명한다.
MPEG-4 IPMP 시스템에 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의 XML 표기법의 예
이하의 XML 표기법은 MPEG-2 IPMP 정보에서의 권리 기술의 신택스(syntax)를 나타낸다. 소정의 기본 PID를 구비한 소정의 AudioVisual 스트림의 비디오부에 PLAY 및 COPY 권리가 부여되어 있다.
<?xml version="1.0"encoding="UTF-8"?>
<RIGHTS_DESCRIPTION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xsi="http://www.mpeg_ipmp.org/2001/MPEG-IPMP-Schema">
<CONTENT>
<CONTENT_ID>
<ELEMENTARY_PID>EPID5</ELEMENTARY_PID>
</CONTENT_ID>
<CONTENT_FORMAT>MPEG-2</CONTENT_FORMAT>
<CONTENT_DESCRIPTION> AudioVisual Stream Video5
<CONTENT_DESCRIPTION>
</CONTENT>
<PLAY>
<PLAYER>
<ID>Panasonic8910</ID>
<NAME>CF-X1</NAME>
<DESCRIPTION>Notebook Player</DESCRIPTION>
</PLAYER>
<TIME>
<DURATION>
<START>2001-07-20</START>
<UNTIL>2001-07-22</UNTIL>
</DURATION>
<TOTAL days="2"hours="5"/>
</TIME>
<WATERMARK>
<WATERMARK-STR string="Title:'Songs' Copyright 2001 Panasonic"/>
<WATERMARK-TOKENS user-id="true" render-id="true"/>
</WATERMARK>
</PLAY>
<CONVEY>
<COPY>
<COUNT>1</COUNT>
<FROM>AAA</FROM>
<TO>BBB</TO>
</COPY>
</CONVEY>
</RIGHTS_DESCRIPTION>
이하의 XML 표기법은 MPEG-4 IPMP 정보에서의 권리 기술의 신택스를 나타낸다. 소정의 ES_ID 및 OD_ID를 구비한 어떠한 소정의 AudioVisual 오브젝트에 PLAY, MOVE, EDIT, 및 MODIFY 권리가 부여되어 있다.
<?xml version="1.0"encoding="UTF-8"?>
<RIGHTS_DESCRIPTION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xsi="http://www.mpeg_ipmp.org/2001/MPEG-IPMP-Schema">
<CONTENT>
<CONTENT_ID>
<OD_ID>8</OD_ID>
<OD_ID>9</ES_ID>
<ES_ID>9</ES_ID>
</CONTENT_ID>
<CONTENT_FORMAT>MPEG-4</CONTENT_FORMAT>
<CONTENT_DESCRIPTION> AV Objects Video8 Audio9
<CONTENT_DESCRIPTION>
</CONTENT>
<PLAY>
<PLAYER>
<ID>Panasonic9910</ID>
<NAME>CF-L1</NAME>
<DESCRIPTION>MD Player</DESCRIPTION>
</PLAYER>
<TIME>
<DURATION>
<START>2001-07-20</START>
<UNTIL>2001-10-22</UNTIL>
</DURATION>
<TOTAL days="50"hours="8"/>
</TIME>
<COUNT>10</COUNT>
<WATERMARK>
<WATERMARK-STR string="Title:'MD Songs'Copyright2001Panasonic"/>
<WATERMARK-TOKENS user-id="true" render-id="false"/>
</WATERMARK>
</PLAY>
<CONVEY>
<MOVE>
<COUNT>2</COUNT>
<FROM>CCC</FROM>
<TO>DDD</TO>
</MOVE>
</CONVEY>
<EDIT>
<TIMESCALE>10000</TIMESCALE>
<TIMESCALE>10</TIMESCALE>
<TIMESCALE>0.1</TIMESCALE>
</EDIT>
<MODIFY>
<SCENE><FROM>Scene 1</FROM><TO>Scene 2</TO></SCENE>
</MODIFY>
</RIGHTS_DESCRIPTION>
이하의 XML 표기법은 MPEG-7 IPMP 정보에서의 권리 기술의 신택스를 나타낸다. 소정의 ACCESS_UNIT_ID를 구비한 소정의 AudioVisual 기술(記述) 메타데이터에 LEND, EDIT, 및 MODIFY 권리가 부여되어 있다.
<?xml version="1.0"encoding="UTF-8"?>
<RIGHTS_DESCRIPTION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mlns:xsi="http://www.mpeg_ipmp.org/2001/MPEG-IPMP-Schema">
<CONTENT>
<CONTENT_ID>
<ACCESS_UNIT_ID>9</ACCESS_UNIT_ID>
<ACCESS_UNIT_ID>10</ACCESS_UNIT_ID>
</CONTENT_ID>
<CONTENT_FORMAT>MPEG-7</CONTENT_FORMAT>
<CONTENT_DESCRIPTION>Football Game AV Description<CONTENT_DESCRIPTION>
</CONTENT>
<CONVEY>
<LEND>
<TIME>
<DURATION>
<START>2001-07-13</START>
<UNTIL>2001-09-16</UNTIL>
</DURATION>
<TOTAL months="1"days="2"></TOTAL>
</TIME>
<COUNT>3</COUNT>
<FROM>EEE</FROM>
<TO>FFF</TO>
</LEND>
</CONVEY>
<EDIT>
<ACCESS_UNIT>AUID 9 left connection parent node with AUID 10
</ACCESS_UNIT>
</EDIT>
<MODIFY>
<ACCESS_UNIT>Element 'ball'</ACCESS_UNIT>
<ACCESS_UNIT>Element 'player'</ACCESS_UNIT>
</MODIFY>
</RIGHTS_DESCRIPTION>
단말측에는, 2진 포맷으로 압축된 형태의 권리 기술 정보인 상기 XML 기술을, XML 기술을 구문 해석하는 데에 사용하는 이하에 정의된 스키마를 갖는 XML 파일로 디코딩하는 선택적인 BiM(Binary Format for MPEG-7)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수도 있다. XML 권리 파서는 소정의 스키마를 이용하여 XML 파일로부터 엘리먼트 값 및/또는 속성을 취득하고 권리 관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단말 제어부에 전송한다.
MPEG-4 IPMP 시스템에 있어서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위치 또는 장소
MPEG-4 IPMP 시스템:
콘텐츠 제작측에서는, XML 스키마에 의한 권리/사용 규칙이 MPEG-4 IPMP 화면 구성으로서 MPEG-4 콘텐츠 스트림의 IOD의 콘텐츠 스트림내에 삽입된다. 이것은 콘텐츠가 작성되어서 배신되는 시점에 오소링 툴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콘텐츠 소비측에서는, 권리 파서가 XML 파일의 모든 노트(note)를 해석하여, 그것들을 XML 파일에 표시된 OD_ID/ES_ID에 따라서 MPEG-4 단말내의 해당 부분에 전송한다.
XML에 의한 권리 표시(2진 포맷으로 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기술(記述) 스트림 또는 오브젝트 기술 스트림 등, 기본 스트림의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IOD(Initial Object Descriptor)내의, ES_Descriptor는 스트림을 기술한다.
도 9에서는, 모듈 8.0의 IOD 내에 3개의 ES_Descriptor가 포함되어 있다. 하나는 모듈 8.6에서의 오브젝트 기술자(記述子; descriptor) 스트림용으로 사용되고, 또 하나는 모듈 8.4에서의 화면 기술자 스트림용으로 사용되며, 다른 하나는 모듈 8.2에서의 IPMP 화면 스트림용으로 사용된다.
모듈 8.7, 8.8, 및 8.9에는 비디오 및 오디오에 대한 3개의 기본 스트림을 나타내고 있다. 모듈 8.5의 오브젝트 기술자는 각각의 오브젝트 및 각각의 기본 스트림을 설명한다.
모듈 8.3에는 모듈 8.5에 표시된 상이한 오브젝트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BIFS(Binary Format Scene; 2진 포맷 화면)가 도시되어 있다.
모듈 8.1의 권리 기술은 단말에서 OD_ID/ES_ID로써 표시된 상이한 오브젝트에 적용되는 상이한 사용 규칙 또는 권리를 나타낸다.
종래의 IPMP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고려하고, 또한 디코딩 초기에 설정된 모든 오브젝트에 대한 깔끔하고 명확한 권리 구성을 선호하면, 이 방법은 좋은 방법이다. 동시에, 콘텐츠 제작에 사용되어서 상이한 오브젝트에 적용되는 상이한 종류의 권리를 기술하는 종합적인 IPMP 화면 구성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PMP 기본 스트림에 있어서 별개의 사용 규칙/권리를 설정하여 권리를 적용할 목표인 오브젝트 및 기본 스트림에 부가하는 것이다.
MPEG-2 IPMP 시스템에 있어서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위치 또는 장소
도 11에는, MPEG-2 시스템에 있어서의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프로그램 연관 테이블) 테이블에 할당된 전용 섹션에 권리 기술이 포함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1에, TS(Transport Stream;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의해서 할당된 PID 값 = 0x0000을 갖는 PAT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PAT 테이블에 의해서 할당된 table_id=0x02인 PMT(Program Map Table; 프로그램 맵 테이블) 테이블이 여기에 나와 있다. PMT 테이블내에는, MPEG-2 시스템에서 정의된 PMT의 신택스에 대한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이한 stream_type 및 elementary_PID를 갖는 모든 프로그램이 기재되어서 각각의 기본 스트림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 -- 트랜스포트 스트림 프로그램 맵 섹션
신택스(syntax) 비트수 연상기호(聯想記號)
TS_program_map_section() {table_id 8 uimsbfsection_syntax_indicator 1 bslbf'0' 1 bslbfreserved 2 bslbfsection_length 12 uimsbfprogram_number 16 uimsbfreserved 2 bslbfversion_number 5 uimsbfcurrent_next_indicator 1 bslbfsection_number 8 uimsbflast_section_number 8 uimsbfreserved 3 bslbfPCR_PID 13 uimsbfreserved 4 bslbfprogram_info_length 12 uimsbffor (i=0; i<N;i++) {descriptor()}for (i=0; i<N1;i++) {stream_type 8 uimsbfreserved 3 bslbfelementary_PID 13 uimsnfreserved 4 bslbfES_info_length 12 uimsbffor (i=0; i<N2;i++) {descriptor()}}CRC_32 32 rpchof}
도 11에는, 상이한 stream_type 및 상이한 elementary_PID를 갖는 상이한 기본 스트림을 설명하기 위해서 6개의 PES 스트림이 도시되어 있다.
권리 기술은 private_data_byte로서 매입(埋入)되어서 PAT 테이블에서 할당된 table_id=0x40을 갖는 전용 섹션내에 포함되어 있다.
표 2 -- 전용 섹션
신택스(syntax) 비트수 연상기호(聯想記號)
private_section() {table_id 8 uimsbfsection_syntax_indicator 1 bslbfprivate_indicator 1 bslbfreserved 2 bslbfprivate_section_length 12 uimsbfif(section_syntax_indicator=='0'){for (i=0; i<N;i++) {private_data_byte 8 bslbf}}else{table_id_extension 16 uimsbfreserved 2 bslbfversion_number 5 uimsbfcurrent_next_indicator 1 bslbfsection_number 8 uimsbflast_section_number 8 uimsbffor (i=0; i<private_section_length-9;i++){private_data_byte 8 bslbf}CRC_32 32 rpchof}}
권리 기술은 콘텐츠 제작 및 배신측에서 작성되고, 이것들은 어느 오브젝트 아이템 또는 어느 기본 스트림에 무슨 권리를 적용할 것인가를 나타내는 elementary_PID 정보를 포함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MPEG-2 시스템에 있어서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또 다른 위치는, stream_id의 선택을 위한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tream_id= 1011 1101 또는 1011 1111을 갖는 전용 스트림으로서, PES 중의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다.
표 3 -- Stream_id 할당
Stream_id 주(註) 스트림 부호화
1011 11001011 11011011 11101011 1111110x xxxx1110 xxxx1111 00001111 00011111 00101111 00111111 01001111 01011111 01101111 01111111 10001111 10011111 1010 ... 1111 11101111 1111 12333526666674 program_stream_mapprivate_stream_1padding_streamprivate_stream_2ISO/IEC 13818-3 또는 ISO/IEC 11172-3오디오 스트림 번호 x xxxxITU-T Rec.H.262|ISO/IEC 13818-2 또는 ISO/IEC 11172-2 비디오 스트림 번호 xxxxECM_streamEMM_streamITU-T Rec.H.222.0|ISO/IEC 13818-1 Annex A 또는 ISO/IEC 13818-6_DSMCC_streamISO/IEC_13522_streamITU-T Rec.H.222.1 type AITU-T Rec.H.222.1 type BITU-T Rec.H.222.1 type CITU-T Rec.H.222.1 type DITU-T Rec.H.222.1 type Eanciallary_stream예약 데이터 스트림program_stream_directory
x 표시는 값 '0' 또는 '1'이 모두 허용되고 동일한 스트림에 출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트림 번호는 x의 값에 의해서 주어진다.주 1: program_stream_directory 타입의 PES 패킷은 63페이지의 2.5.4.1에 규정된 고유의 신택스를 갖는다.주 2: private_stream_1과 ISO/IEC_13522_stream 타입의 PES 패킷은 ITU-T Rec.H.222.0|ISO/IEC 13818-2 비디오 및 ISO/IEC 13818-3 오디오 스트림과 동일한 PES 패킷 신택스에 후속한다.주 3: private_stream_2, ECM_stream 및 EMM_stream 타입의 PES 패킷은, PES_packet_ length 이후에 아무런 신택스도 규정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private_stream_1과 유사하다.주 4: program_stream_directory 타입의 PES 패킷은 65페이지의 2.5.5.1에 규정된 고유의 신택스를 갖는다.주 5: DSMCC_stream 타입의 PES 패킷은, ITU-T Rec.H.222.0|ISO/IEC 13818-1 Annex A의 호환성있는 확장자인 ISO/IEC 13818-6에 규정된 고유의 신택스를 갖는다.주 6: 이 stream_id는 64페이지의 테이블 2-36의 stream_type 0x09와 연관되어 있다.주 7: 이 stream_id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서의, 프로그램 스트림 또는 ISO/IEC 11172-1 시스템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PES 패킷에서만 사용된다.
MPEG-2 시스템에 있어서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제3의 위치는, PAT 테이블에 할당된 table_id=0x01을 갖는 CA(Conditional Access; 조건부 액세스) 섹션을 사용하는 것이다.

Claims (25)

  1.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는 단계와,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권리 봉투(envelope)를 작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배신하기 위하여, 상이한 시스템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권리 봉투를 상기 콘텐츠의 소정의 위치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IPMP 단말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parser)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2.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배신하기 위하여, 상이한 시스템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권리 봉투를 상기 콘텐츠의 소정의 위치에 부가하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구비한 IPMP 단말 기능을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파서로써 상기 권리 기술을 구문 해석하고,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3.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오소링 툴(authoring tool)을 콘텐츠 제작 및 배신에 사용하여 콘텐츠에 대한 권리를 오프라인 또는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설정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고,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상기 오소링 툴을 사용하여 워터마크 정보를 상기 콘텐츠에 매입(埋入)하고,
    상기 콘텐츠를, 암호화하거나 또는 암호화하지 않고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배신하기 위하여, 상이한 시스템 규격에 부합하도록 상기 권리 봉투를 상기 콘텐츠의 소정의 위치에 부가하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구비한 IPMP 단말 기능을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파서로써 상기 권리 기술을 구문 해석하고,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4.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지정하고 또한 정의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또한 MPEG-4 시스템의 OD_ID/ES_ID(ObjectDescriptor ID 및 Elementary Stream ID) 등, 상이한 시스템에서의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identifier)를 기술하는 단계와,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OD_ID 및 ES_ID를 식별하여 적용하는 단계와,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해당 OD_ID 및 ES_ID를 구비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배신하기 위하여, 상기 권리 봉투를 최초 기본 스트림의 하나로서, 상기 콘텐츠의 IOD(Initial Object Descriptor) 내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IPMP 단말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parser)를 구비하고,
    상기 권리 파서는 상기 단말 내에 포함되어서,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IOD)를 인식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성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보유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고,
    IOD 내에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단말내의 상기 권리 관리 기능으로써 처리하고,
    상기 권리 기술을 상기 권리 파서로써 구문 해석하여,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고,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5.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지정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또한 MPEG-4 시스템의 OD_ID/ES_ID(ObjectDescriptor ID 및 Elementary Stream ID) 등,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기술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OD_ID 및 ES_ID를 식별하여 적용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해당 OD_ID 및 ES_ID를 구비한 권리 및 사용 규칙으로써 권리 봉투를 작성하고, 또한
    상기 권리 봉투를, 상기 OD_ID 및 ES_ID에 부가된 IPMP_ES(IPMP Elementary Stream)에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구비한 IPMP 단말 기능을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파서를 상기 단말 기능 내에 포함시켜서,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IPMP_ES)를 인식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상기 단말을 구성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IPMP_ES 내에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단말내의 상기 권리 관리 기능으로써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기술을 상기 권리 파서로써 구문 해석하여,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는 단계와,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6.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지정하고 또한 정의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또한 MPEG-2 시스템의 Elementary_PID(Elementary Program ID) 등,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기술하는 단계와,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각각의 Elementary_PID를 식별하여 적용하는 단계와,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해당 Elementary_PID를 구비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봉투를 MPEG-2 시스템의 전용 섹션에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봉투를 구비한 상기 전용 섹션을 TS(Transport Stream;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IPMP 단말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구비하고,
    상기 권리 파서는 상기 단말 내에 포함되어서,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상기 전용 섹션)를 인식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성하고,
    상기 단말을 상기 권리 관리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PMT (Program Map Table)의 elementary_P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상기 전용 섹션을 처리하여 상기 권리 봉투를 검색하고,
    상기 권리 봉투 내의 상기 권리 기술을 상기 권리 파서로써 구문 해석하여,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고,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elementary_PID 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7.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지정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또한 MPEG-2 시스템의 Elementary_PID(Elementary Program ID) 등,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설명하고,
    PMT 테이블에서 각각의 Elementary_PID를 식별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적용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해당 Elementary_PID를 구비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고, 또한
    상기 권리 봉투를, MPEG-2 시스템에 의해서 정의된 소정의 stream_id를 갖는 전용 스트림으로서 상기 PES(Program Elementary Stream)에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IPMP 단말이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보유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상기 단말을 구성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PMT (Program Map Table)의 elementary_PID 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파서를 상기 단말 내에 포함시켜서,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콘텐츠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상기 PES 스트림에서의 전용 스트림으로서)를 인식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의 stream_id를 갖는 상기 PES 내의 상기 전용 스트림을 처리하여 상기 권리 봉투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봉투 내의 상기 권리 기술을 상기 권리 파서로써 구문 해석하여,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는 단계와,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Elementary_P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8.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지정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또한 MPEG-2 시스템의 Elementary_PID(Elementary Program ID) 등,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기술하고,
    PMT 테이블에서 각각의 Elementary_PID를 식별하여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적용하고,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해당 Elementary_PID를 구비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고, 또한
    상기 권리 봉투를, MPEG-2 시스템에 의해서 정의된 소정의 table_id를 갖는 CA-Section(conditional_access_section)에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방법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보유하는 IPMP 단말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관리 기능을 구비한 상기 단말을 구성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PMT (Program Map Table)의 elementary_PID 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파서를 상기 단말 내에 포함시켜서,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CA 섹션내의)를 인식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소정의 table_id를 갖는 상기 CA_Section을 처리하여 상기 권리 봉투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권리 봉투 내의 상기 권리 기술을 상기 권리 파서로써 구문 해석하여,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는 단계와,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Elementary_P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9.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지정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또한 MPEG-7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Access_Unit_ID 등,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기술하는 단계와,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Access_Unit_ID를 식별하여 적용하는 단계와,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해당 Access_Unit_ID를 구비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배신하기 위하여, 상기 권리 봉투를 상기 콘텐츠의 선두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MPEG-7 IPMP 단말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구비하고,
    상기 MPEG-7 IPMP 단말을 상기 권리 관리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Access_Unit_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고,
    상기 권리 파서는 상기 단말 내에 포함되어서,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를 인식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성하고,
    상기 단말을, Access_Unit_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상이한 권리를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에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관리 기능으로써 처리하고,
    상기 권리 기술을 상기 권리 파서로써 구문 해석하여,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고,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Access_Unit_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0.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융통성있는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를 지정하고 또한 정의하여, 디지털 콘텐츠 배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고, 또한 일반적인디지털 아이템에 대한 DID(Digital Item Declaretor) 등, 상이한 디지털 오브젝트에 대한 고유의 식별자를 기술하는 단계와,
    그것에 대응하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DID를 식별하여 적용하는 단계와,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하여 인코딩할 때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해당 DID를 구비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갖는 권리 봉투를 작성하는 단계와,
    사용자에게 배신하기 위하여, 상기 권리 봉투를 상기 콘텐츠의 선두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또한,
    IPMP 단말은 상기 권리 기술 스키마 및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를 구비하고,
    상기 단말을 상기 권리 관리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콘텐츠로부터 상기 권리 봉투를 추출하고,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해석하여, 그것들을 D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전송하고,
    상기 권리 파서는 상기 단말 내에 포함되어서,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림의 소정의 위치를 인식하는 권리 관리 기능을 구성하고,
    상기 단말은, D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해당 부분에 상이한 권리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봉투내에 상기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에 권리 기술을 포함하는 상기 콘텐츠 스트림을 상기 단말에서 상기 권리 관리 기능으로써 처리하고,
    상기 권리 기술을 상기 권리 파서로써 구문 해석하여, 상기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고,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의 동작 메시지를 DID로써 표시된, 상기 단말의 각 부분에 전송하여, 상기 권리 기술에 의해서 기술된 상기 사용 규칙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리 봉투는 기존의 암호화 알고리즘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하여 암호화되고,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을 구비한 상기 암호화된 권리 봉투가 상기 콘텐츠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리 봉투는 디지털 서명 방법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하여 디지털 서명되고,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을 구비한 상기 서명된 권리 봉투가 상기 콘텐츠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는, 사용자가 요구하고, 요금 지불을 하는 시점에서 상기 권리 봉투에 추가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이 자동적으로 부가되고,
    상기 봉투가 2진 포맷으로 변환되어서,
    2진 포맷의 상기 권리 봉투는 상기 콘텐츠의 소정의 위치에 부가되며, 또한
    상기 봉투가 상기 콘텐츠와 함께 상기 IPMP 단말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2진 포맷의 상기 권리 봉투는 XML 포맷, 또는 XML을 기본으로 하는 포맷으로 변환되고,
    상기 권리 기술 언어에 따른 권리 파서(parser)가 상기 단말내에 구성되고, 또한
    상기 권리 기술이 상기 단말내의 상기 권리 파서에 의해서 구문 해석되어서 권리 및 사용 규칙의 각각을 해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5.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의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을 기술하는 데이터 구조가 사용되고, 상기 데이터 구조는,
    디지털 콘텐츠의 디지털 아이템을 식별하는 콘텐츠 설명, 및
    상기 콘텐츠 설명에 의해서 식별된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재생 권리를 정의하는 재생 설명과,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운반(convey) 권리를 정의하는 운반 설명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정의하는 신택스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은 XML을 기본으로 하는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7.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정의하기 위하여 디지털 콘텐츠에 IPMP 메시지를 부가하고, 상기 IPMP 메시지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정의하는 신택스에 따라서 기술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의 통합적인 설명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적인 설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디지털 아이템을 식별하는 콘텐츠 설명, 및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재생 권리를 정의하는 재생 설명과,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운반 권리를 정의하는 운반 설명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적인 설명은 XML 언어, 또는 XML을 기본으로 하는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을 위한 통합적인 권리 관리 방법.
  19. 디지털 콘텐츠 및 IPMP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로서, 상기 IPMP 메시지는,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정의하는 신택스에 따라서 기술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권리 및 사용 규칙의 통합적인 설명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통합적인 설명은, 디지털 콘텐츠의 디지털 아이템을 식별하는 콘텐츠 설명, 및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재생 권리를 정의하는 재생 설명과,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운반 권리를 정의하는 운반 설명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및 IPMP 메시지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적인 설명은 XML 언어, 또는 XML을 기본으로 하는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21. IPMP 시스템에 있어서,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정의하는 신택스에 따라서 기술되어 있고, 또한 디지털 콘텐츠의 디지털 아이템을 식별하는 콘텐츠 설명, 및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재생 권리를 정의하는 재생 설명과 디지털 콘텐츠에 관한 운반 권리를 정의하는 운반 설명 중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작성하는 작성부,
    콘텐츠에 대한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을 설정하여 그것들을 하나의 파일로 변환하는 오소링(authoring)부, 및
    콘텐츠 스트림이 전송되는 IPMP 단말에 설치된 MPEG 버전에 따라서 상기 하나의 파일을 콘텐츠 스트림에 다중화한 후에 콘텐츠 스트림을 전송하는 배신부를 포함하는 IPMP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은 XML 언어, 또는 XML을 기본으로 하는 언어로 기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파일은 2진 포맷으로 포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시스템.
  24. IPMP 단말에 있어서,
    콘텐츠의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으로서, XML 언어 또는 XML을 기본으로 하는 언어로 기술되고 또한 상기 IPMP 단말에 설치된 MPEG 버전에 따라서 콘텐츠 스트림에 다중화된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콘텐츠 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에 포함된 엘리먼트의 각각을 해석하는 권리 파서, 및
    상기 권리 파서에 의해서 해석된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에 따라서 상기 IPMP 단말을 관리하는 권리 매니저를 포함하는 IPMP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적인 권리 및 사용 규칙은 2진 포맷으로 포매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MP 단말.
KR10-2003-7013792A 2001-08-09 2002-08-09 Ipmp(지적 재산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위한통합적인 권리 관리 KR200400287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42402 2001-08-09
JPJP-P-2001-00242402 2001-08-09
PCT/JP2002/008169 WO2003015416A1 (en) 2001-08-09 2002-08-09 Unified rights management for ipmp system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741A true KR20040028741A (ko) 2004-04-03

Family

ID=19072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792A KR20040028741A (ko) 2001-08-09 2002-08-09 Ipmp(지적 재산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위한통합적인 권리 관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093337A1 (ko)
EP (1) EP1417838A1 (ko)
KR (1) KR20040028741A (ko)
CN (1) CN1505899A (ko)
WO (1) WO2003015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28440A (zh) * 2002-02-05 2005-06-15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分布式ipmp设备发送消息及在mpegipmp内容中携带权限的方法
EP1499939A2 (en) * 2002-03-05 2005-01-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ethod of transferring information specifying a tool utilized for processing a content protected by ipmp
GB2399721A (en) * 2003-03-21 2004-09-22 Nokia Corp Transmission of data using a data carousel
WO2005006330A1 (en) * 2003-07-15 2005-01-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media resourc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05056039A (ja) * 2003-08-01 2005-03-03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070143219A1 (en) * 2003-10-14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delivering content and content server which delivers content
EP1694067A4 (en) * 2003-12-01 2009-01-21 Panasonic Corp CONTINUOUS TRANSMISSION SYSTEM
WO2005060259A2 (ja) 2003-12-02 2005-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vコンテンツをダウンロード型のファイル形式で配信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02654A (ko) * 2004-07-03 2006-01-09 주식회사 넷앤티비 멀티미디어 콘텐츠 보호 및 관리를 위한 언어 표현 방법및 장치
KR20070046113A (ko) * 2004-08-16 2007-05-02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
US20060271990A1 (en) * 2005-05-18 2006-11-30 Rodriguez Arturo A Higher picture rate HD encoding and transmission with legacy HD backward compatibility
JP4564464B2 (ja) * 2006-01-05 2010-10-20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96569B2 (en) * 2006-10-09 2012-10-23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protection interoperability infrastructure
KR100809432B1 (ko) * 2006-11-29 2008-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호 운용적 drm 적용을 위한 콘텐츠 실행 단말에서의drm 적용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1246527B (zh) * 2007-02-15 2011-07-20 华为技术有限公司 提供、使用版权描述的方法及系统
US8457214B2 (en) 2007-09-10 2013-06-04 Cisco Technology, Inc. Video compositing of an arbitrary number of source streams using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WO2009122250A2 (ko) * 2008-02-26 2009-10-08 엘지전자(주) 복제 관리 파일 생성방법 및 장치
US9769542B2 (en) * 2008-03-28 2017-09-19 Verint Americas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trol using video analytics
US20090293101A1 (en) * 2008-05-21 2009-11-26 Carter Stephen R Interoperable rights management
CN102096785B (zh) * 2011-02-24 2012-12-19 北京书生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权限控制方法和装置
JP6269209B2 (ja) * 2014-03-18 2018-01-31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67703B2 (en) 2017-06-05 2020-02-18 Cisco Technology, Inc. High frame rate video compatible with existing receivers and amenable to video decoder implementation
CN117436065B (zh) * 2023-12-20 2024-03-19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多种bim设计软件的统一授权管理方法、系统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443A (en) * 1994-11-23 1997-06-10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composite digital works
US5920861A (en) * 1997-02-25 1999-07-06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Techniques for defining using and manipulating rights management data structures
CN100534180C (zh) * 1998-03-16 2009-08-26 联信技术公司 用于连续控制和保护媒体内容的方法和装置
US6298446B1 (en) * 1998-06-14 2001-10-02 Alchemedia Ltd. Method and system for copyright protection of digital images transmitted over networks
KR100425365B1 (ko) * 1998-07-28 2004-03-31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US7346580B2 (en) * 1998-08-13 2008-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preventing unauthorized rerecording of multimedia content
US6611812B2 (en) * 1998-08-13 2003-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electronic content distribution on CDS and DVDs
US7228437B2 (en) * 1998-08-13 2007-06-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curing local database file of local content stored on end-user system
EP1151592A1 (en) * 1999-02-11 2001-11-07 Loudeye Technologies, Inc. Media distribution system
EP1079627A1 (en) * 1999-08-27 2001-02-28 Canon Kabushiki Kaisha Copyright protection in MPEG-4 using digital watermarking
US6996720B1 (en) * 1999-12-17 2006-02-07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protected content in a rights-management architecture
JP3728621B2 (ja) * 2000-02-10 2005-1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のコピー制御方法及び再生装置
JP4311899B2 (ja) * 2001-03-02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の配信および保護を行なう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93337A1 (en) 2004-05-13
WO2003015416A1 (en) 2003-02-20
EP1417838A1 (en) 2004-05-12
CN1505899A (zh) 200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28741A (ko) Ipmp(지적 재산권 관리 및 보호) 시스템을 위한통합적인 권리 관리
Burnett et al. The MPEG-21 book
KR100518094B1 (ko) 콘텐츠의 배신 및 보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Lugmayr et al. Digital interactive TV and metadata
CN1875630B (zh) 内容分配服务器及内容分配方法
Eskicioglu et al. Security of digital entertainment content from creation to consumption
JP4598616B2 (ja) ストリーミング方式メディアプレーヤ
Rump Can digital rights management be standardized?
TW200407857A (en) Digital video recorder and methods for digital recording
KR20030008354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묘사 정의 방법
CN1985262B (zh) 提供受保护的音频/视频内容的方法
JP4745738B2 (ja) メディアファイルの記録方法
Koenen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nd protection in mpeg standards
Baratè et al. Managing intellectual property in a music fruition environment
JP2003199063A (ja) 知的財産管理・保護システムでの統合的権利管理
CN109963196A (zh) 一种电视节目播放方法、存储介质及智能电视
CN102216939B (zh) 系统可更新性消息传输
KR20060109587A (ko) 대체 데이터 포함 디지털 콘텐츠 암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196257B1 (ko) 광고와 연계된 방송프로그램 관리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방송프로그램과 연계된 광고 재생 방법 및 장치
Pereira et al. Future MPEG developments
Lugmayr et al. Metadata Fundamentals and Concepts
KR20040016566A (ko) 엠펙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그룹메타데이터 표현방법 및그의 재생단말기
Bellini et al. Interoperable cross media content and DRM for multichannel distribution.
To et al. D3. 2.1 Metadata in the Digital Cinema Workflow and its Standards Report v1
Shih et al. A digital content protection scheme using MPEG-21 REL with applications to DVB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