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904B1 -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과 이를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및 차량과,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과 이를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및 차량과,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904B1
KR100515904B1 KR10-1999-7004028A KR19997004028A KR100515904B1 KR 100515904 B1 KR100515904 B1 KR 100515904B1 KR 19997004028 A KR19997004028 A KR 19997004028A KR 100515904 B1 KR100515904 B1 KR 100515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arm
tip
groove
rod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104A (ko
Inventor
퍼낸드 발렌틴 티바우트
Original Assignee
페더랄-모굴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랄-모굴 에스.아. filed Critical 페더랄-모굴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0005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31Link pieces
    • B60S1/3434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60S1/3447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an arm piece and a link pie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64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with testing or indicating
    • Y10T29/49771Quantitative measuring or gau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08Joining by deforming
    • Y10T29/49915Overedge assembling of seated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9Member deformed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에 사용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부분(1)과 이에 연결되는 제2부분(2)으로 이루어지고서, 연결위치에서 상기 제1부분(1)은 막대형상인 한편, 제2부분(2)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부분(1)의 주위로 절곡되어 있으며, 이들 두 부분(1,2)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되, 평판으로 된 제2부분(2)이 제1부분(1)의 홈(12) 안으로 뻗을 수 있게 그 선단(11)에서 국부적으로 변형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홈(12)은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고서 곧은 선단부(14)를 구비하고,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의 선단(11)에 있는 변형부는 그 절곡된 선단(11)에 절단부를 구비하여서, 이 절단부로 형성된 선단이 상기 홈(12)의 곧은 선단부(14)에 대해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과 이를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및 차량과,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A windscreen wiper arm, an automobile with a windscreen wiper provided with the windscreen wiper ar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screen wiper arm}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에 사용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제1부분과 이에 연결되는 제2부분으로 이루어지고서, 연결위치에서 상기 제1부분은 막대(bar)형상인 한편, 제2부분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부분의 주위로 절곡되어 있어 제1부분이 뻗어 있게 되는 채널을 형성하며, 이들 두 부분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되,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의 선단의 일부가 제1부분의 홈 안으로 뻗을 수 있게 국부적으로 변형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은 프랑스 특허출원 FR-A-2,099,853호에 공지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막대형상이고, 한 끝에서 와이퍼 블레이드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다른 끝은 와이퍼 아암의 제2부분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있다. 제2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왕복회전운동하는 샤프트(shaft)에 장착되는 고정부에서 축선회될 수 있다. 이 샤프트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가로질러 이동하는 유리창의 평면에 대체로 직각으로 뻗어 있다. 추가로, 유리창에 대해 와이퍼를 당기는 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스프링이 한편으로는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와이퍼 아암과 연결되어 있다.상기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은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이 막대형상인 제1부분의 주위로 절곡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제2부분이 연결위치에서 채널을 형성하는데, 이 채널을 통해 제1부분이 뻗어 있게 된다.상기 제1부분이 제2부분에 의해 형성된 채널내에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술한 프랑스 특허출원 FR-A-2,099,853호에 따른 와이퍼의 막대형상인 제1부분은 2개의 원형구멍을 갖추고,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은 이들 구멍 안으로 뻗을 수 있도록 그 선단이 변형되어 있다. 그 결과, 제1부분은 제2부분으로 형성된 채널 밖으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게 되나, 금속은 변형된 후 다소 되돌아오는 경향을 나타내기 때문에, 전술한 프랑스 특허출원 FR-A-2,099,853호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경우에서와 같이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이 다른 두 위치에서 변형될 때조차 와이퍼에 대해 제1부분이 이동되지 않게 하는 연결을 성취하기가 어렵게 된다.상기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의 이동이 없는 확실한 연결은, 제1부분과 제2부분을 통하는 구멍을 뚫고서 이 구멍에 리벳을 끼워 넣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의 단점은 평판으로 된 제2부분상에 리벳머리가 존재하게 되어 미관이나 다른 이유에서 바람직하지 못함과 더불어, 이러한 리벳은 와이퍼 아암에 불필요한 추가 부분을 구성하게 된다.
삭제
도 1과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를 도시한 도면이다.
삭제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삭제
도 5는 도 4의 V-V선 단면도이다.
삭제
도 6은 도 4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서로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에 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삭제
본 발명의 목적은 효율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만족스러운 연결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상기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제1부분의 홈은 막대형상인 제1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고서 곧은 선단부를 구비하고,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의 선단에 있는 변형부는 그 절곡된 선단에 절단부를 구비하여서, 이 절단부로 형성된 선단이 상기 홈의 곧은 선단부에 대해 접합하게 된다. 절단부가 평판의 절곡된 선단에 만들어지면, 이 선단은 절단부의 선단이 홈의 곧은 선단부의 위치에 정확히 위치되는 정지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국부적으로 변형되어, 절단부의 선단과 홈의 선단부가 서로 접합되게 한다. 이 접합부는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이 변형된 후에 다소 되돌아올 때에도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막대형상인 제1부분에 구비된 홈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관통구멍으로 된다. 이 홈은 막대형상인 제1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고서 날카로운 선단을 갖춘 두 부분과, 상기 막대형상인 제1부분의 길이방향으로 뻗고서 둥근 선단을 갖춘 두 부분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의 선단이 홈 안으로 넣어지는데, 홈의 날카로운 선단을 갖춘 부분이 평판의 선단에 두 절단부를 형성한 후에 상기 평판이 두 절단부 사이에 있는 홈의 둥근 선단을 갖춘 부분의 주위로 절곡되어진다. 이는 아래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특징을 갖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갖춘 차량과 그 유리창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예컨대 차량에 사용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아암은 제1부분과 이에 연결되는 제2부분으로 이루어지고서, 연결위치에서 상기 제1부분은 막대형상인 한편, 제2부분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부분의 주위로 절곡되어 있어 제1부분이 뻗어 있게 되는 채널을 형성하며, 이들 두 부분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되,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의 선단의 일부가 제1부분의 홈 안으로 뻗을 수 있게 국부적으로 변형되어 있음과 더불어, 상기 홈은 막대형상인 제1부분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고서 곧은 선단부를 구비하고,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의 선단에 있는 변형부는 그 절곡된 선단에 절단부를 구비하여서, 이 절단부로 형성된 선단이 상기 홈의 곧은 선단부에 대해 접합하게 된다. 이러한 유형의 방법은 하나의 작업으로 이행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막대형상인 제1부분의 홈은 이 제1부분에다 대체로 직사각형인 구멍을 우선 만들고, 막대형상인 제1부분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의 두 부분이 천공작업에 의해 둥글게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당김스프링이 구비되어, 한편으로는 와이퍼 아암에 연결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부에 연결되는데, 이 고정부는 와이퍼 아암에 대해 축선회된다. 당김스프링용 고정부재가 와이퍼 아암의 막대형상인 제1부분의 끝에 구비되어, 당김스프링의 장력이 와이퍼 아암의 제2부분에 대한 제1부분의 알맞은 위치선정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부분은 당김스프링의 끝에 연결되며, 다른 끝은 제2부분에 대한 고정위치에 고정되고, 이어서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서로에 대해 이동되면서 당김스프링의 장력이 조정됨으로써, 당김스프링의 장력이 예정된 값으로 될 때 제1부분이 제2부분에 고정된다. 고정부는 제2부분에 연결되고,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이 서로 고정되기 전에 당김스프링이 구비되어, 일단 두 부분이 서로 고정되면 필요한 스프링 장력을 갖는 완전한 와이퍼 아암이 형성된다.
양쪽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거나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다음 도면의 설명에 기재되고 청구항에서 한정될 것이다.
이하, 와이퍼 아암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실시예는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아암을 부분적으로 절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이 와이퍼 아암의 평면도이다. 상기 와이퍼 아암은 제1부분(1)을 구비하는 바, 이는 대체로 막대형상이고, 와이퍼 블레이드가 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부려진 한 끝을 갖추고 있으며, 제1부분(1)의 다른 끝은 와이퍼 아암의 평판으로 된 제2부분(2)에 부착된다. 평판부가 제1부분(1)의 주위로 절곡되어서, 제1부분(1)이 뻗어 있게 되는 채널(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부분(1)이 제2부분(2)에 대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들 두 부분(1,2)은 리벳(4)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와이퍼 아암의 제2부분(2)은 선회축(5)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고정부(6)에 연결되어 있다. 이 고정부(6)는 원뿔형상의 홈(7)을 갖추는데, 여기에 축(17) 주위로 왕복회전운동하는 샤프트의 끝이 부착되어서, 왕복운동이 와이퍼 아암에 전해지도록 되어 있다.
추가로, 당김스프링(8)이 구비되는 바, 이 당김스프링(8)은 이음쇠(9)를 매개로 하여 고정부(6)에 연결되는 한편, 다른 이음쇠(10)에 의해 와이퍼 아암에도 연결되어 있는데, 이 이음쇠(10)는 전술한 리벳(4)에 의해 고정된다. 와이퍼 블레이드가 부착되어 있는 와이퍼 아암이 차량에 장착될 때, 당김스프링(8)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의 유리창에 대해 소정의 힘으로 확실히 눌려지게 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리벳머리가 와이퍼 아암의 상부면에 노출되는 리벳(4;도 2 참조)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결점을 이루고 있다.
도 3은 막대형상의 제1부분(1)을 구비하고, 이 제1부분(1)이 평판으로 된 제2부분(2)에 고정되되, 이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이 제1부분의 주위로 절곡되어서 제1부분(1)이 뻗어 있게 되는 채널(3)을 형성하고 있는 와이퍼 아암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와이퍼 아암의 저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평판으로 된 제2부분(2)이 채널(3)을 형성하도록 절곡되어서 평판의 선단(11)들이 서로 거의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1)은 직사각형의 홈(12)을 갖추고 있으며, 평판으로 된 제2부분(2)의 선단(11)들의 절단부(13)가 홈(12) 안으로 뻗도록 변형되어 있다.
도 5는 도 4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홈(12)은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고서 날카로운 2개의 선단부(14)와,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의 길이방향으로 뻗고서 둥근 2개의 선단부(15)를 갖추고 있다. 상기 선단(11)의 절단부(13)는 둥근 선단부(15)의 주위로 뻗어 있는데, 상기 날카로운 선단부(14)의 작용 때문에 이 절단부(13)가 접혀서 구부려질 때 절단부가 상기 선단(11)에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절곡된 절단부(13)가 홈(12)의 가로지르는 선단부(14)들 사이에 이동없이 정확히 맞춤고정되어서, 상기 절단부(13)가 변형된 후 다소 되돌아오더라도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1)과 제2부분(2)은 이동없이 서로 고정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의 끝은 구멍(18)을 갖추는데, 그 안에 전술한 당김스프링(8)이 미끄러져 들어가 고정될 수 있다. 제2부분(2)에 대한 상기 구멍(18)의 위치는 두 부분(1,2)의 상대위치에 따라 설정되어서, 당김스프링(8)의 장력이 이 상대위치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도 7은 도 5와 유사한 단면도인데, 절단부(13)가 아직 구부려져 있지 않다. 이 절단부(13)의 절곡은 평판부가 채널(3)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동일한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두 부분(1,2)이 하나의 작업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직사각형인 홈(12)의 위치에서 제1부분(1)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천공기구(16)가 길이방향의 선단부(15)를 둥글게 하면서 필요한 형상으로 홈(12)을 형성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해한 것으로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효율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 와이퍼 아암의 제1부분과 제2부분 사이에 만족스러운 연결을 제공함으로써, 임의의 이동이 없도록 확실히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제1부분(1)과 이에 연결되는 제2부분(2)으로 이루어지고서, 연결위치에서 상기 제1부분(1)은 막대형상인 한편, 제2부분(2)은 평판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부분(1)의 주위로 절곡되어 있어 제1부분(1)이 뻗어 있게 되는 채널을 형성하며, 이들 두 부분(1,2)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되, 평판으로 된 제2부분(2)의 선단의 일부가 제1부분(1)의 홈(12) 안으로 뻗을 수 있게 국부적으로 변형되어 있는, 예컨대 차량에 사용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에 있어서,
    상기 홈(12)은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뻗고서 곧은 선단부(14)를 구비하고, 평판으로 된 제2부분의 선단(11)에 있는 변형부는 그 절곡된 선단(11)에 절단부를 구비하여서, 이 절단부로 형성된 선단이 상기 홈(12)의 곧은 선단부(14)에 대해 접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의 홈(12)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관통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르는 방향의 선단부(14)는 날카로운 선단을 갖추며, 상기 홈(12)은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의 길이방향으로 뻗고서 둥근 선단부(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를 구비한 차량.
  5. 삭제
  6. 제1부분(1)과 제2부분(2)의 연결위치에서, 평판으로 된 제2부분(2)이 제1부분(1)의 주위로 절곡되게 하고, 평판부의 절곡된 선단(11)에 절단부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선단(11)을 변형시켜서, 상기 절단부의 선단과 홈(12)의 선단부(14)가 함께 접합되게 하여 상기 두 부분(1,2)을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상인 제1부분의 홈(12)은 우선 이 제1부분(1)에 직사각형인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후에 막대형상인 제1부분(1)의 길이방향으로 뻗은 홈(12)의 두 선단부(15)가 천공작업에 의해 둥글게 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1)은 당김스프링(8)의 끝에 연결되고, 이 스프링의 다른 끝은 제2부분(2)에 대한 고정위치에 고정되며, 그 후에 제1부분(1)과 제2부분(2)이 서로에 대해 이동하면서 스프링 장력이 조정됨으로써, 이 스프링 장력이 예정된 값으로 될 때 상기 제1부분(1)이 제2부분(2)에 고정되는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KR10-1999-7004028A 1996-11-07 1997-11-06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과 이를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및 차량과,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KR100515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6203104.3 1996-11-07
EP96203104A EP0841228B1 (en) 1996-11-07 1996-11-07 Windscreen wiper ar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indscreen wiper a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104A KR20000053104A (ko) 2000-08-25
KR100515904B1 true KR100515904B1 (ko) 2005-09-21

Family

ID=8224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028A KR100515904B1 (ko) 1996-11-07 1997-11-06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과 이를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및 차량과,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216310B1 (ko)
EP (1) EP0841228B1 (ko)
JP (1) JP3935962B2 (ko)
KR (1) KR100515904B1 (ko)
CN (1) CN1083781C (ko)
AU (1) AU717565B2 (ko)
CA (1) CA2271148C (ko)
DE (1) DE69618963T2 (ko)
ES (1) ES2171606T3 (ko)
RU (1) RU2161571C1 (ko)
TW (1) TW417622U (ko)
WO (1) WO19980198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71606T3 (es) 1996-11-07 2002-09-16 Cooper Automotive Sa Brazo de limpiaparabrisas y metodo para fabricar el brazo de limpiaparabrisas.
DE10208537A1 (de) * 2002-02-27 2003-09-11 Bosch Gmbh Robert Wischarm
DE10326256A1 (de) * 2003-06-11 2005-01-05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mit einem Befestigungsteil eines Wischarms
DE10335853A1 (de) * 2003-08-06 2005-03-03 Valeo Wischersystem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scharms, insbesondere für Scheibenreinigungsanlagen in Fahrzeugen
DE102009047208A1 (de) 2009-11-27 2011-06-01 Robert Bosch Gmbh Stanzwerk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festigungsteils eines Wischarms
CN102962365B (zh) * 2012-11-29 2014-12-31 贵阳万江航空机电有限公司 冲窝连接结构汽车雨刮臂铆接收压工装
CN108514373A (zh) * 2018-03-29 2018-09-11 遂宁市长丰机械科技有限公司 玻璃窗的平行刮条雨刮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7279A (en) * 1944-02-11 1950-05-09 Productive Inventions Inc Adjustable length windshield wiper arm
US3022651A (en) * 1958-02-26 1962-02-27 Torrington Co Integral offset bearing for latch of knitting needle
DE2031848A1 (de) 1970-06-27 1972-01-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ntriebsarm für Scheibenwischer vo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BE790411A (fr) * 1971-10-23 1973-02-15 Bosch Gmbh Robert Bras d'entrainement pour essuie-glace de vehicules, notamment de vehicules automobiles
DE3006188A1 (de) * 1980-02-19 1981-08-20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arm,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FR2534206A1 (fr) * 1982-10-06 1984-04-13 Marchal Equip Auto Essuie-glace comportant une fixation simplifiee du bras par rapport a sa chape d'entrainement
DE4140959A1 (de) * 1991-05-15 1992-11-19 Swf Auto Electric Gmbh Wischarm, insbesondere fuer scheiben an kraftfahrzeugen
ES2171606T3 (es) 1996-11-07 2002-09-16 Cooper Automotive Sa Brazo de limpiaparabrisas y metodo para fabricar el brazo de limpiaparabris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781C (zh) 2002-05-01
WO1998019898A1 (en) 1998-05-14
RU2161571C1 (ru) 2001-01-10
EP0841228A1 (en) 1998-05-13
US6216310B1 (en) 2001-04-17
TW417622U (en) 2001-01-01
JP3935962B2 (ja) 2007-06-27
JP2001503704A (ja) 2001-03-21
CA2271148A1 (en) 1998-05-14
DE69618963T2 (de) 2002-09-05
CN1242746A (zh) 2000-01-26
AU717565B2 (en) 2000-03-30
KR20000053104A (ko) 2000-08-25
DE69618963D1 (de) 2002-03-14
ES2171606T3 (es) 2002-09-16
AU7001498A (en) 1998-05-29
EP0841228B1 (en) 2002-01-30
CA2271148C (en) 200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2776C (en) Windshield wiper
KR100605237B1 (ko) 자동차 윈도우용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피봇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이 연결 방법
CZ20021230A3 (cs) Upevňovací díl stěrače a způsob jeho výroby
EP1119475B1 (en) A windscreen wiper
KR100515904B1 (ko)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과 이를 갖춘 유리창용 와이퍼 및 차량과, 유리창용 와이퍼 아암을 제조하는 방법
JP2009536128A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JP2009501664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FR2524407A1 (fr) Tete d'assemblage matricee d'un element d'essuie-glace,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element d'essuie-glace la comportant
US5339510A (en) Method for press fitting a pivot pin for a wiper assembly
GB2102672A (en) Means for connecting wiper arm to wiper blade
US6178588B1 (en) Device for linking a wiper blade to a wiper arm
US6209166B1 (en) Windshield wiper
KR950006379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KR20170056456A (ko) 앞유리 와이퍼 블레이드 홀더를 구동 아암에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용 요소
US20230219530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of the flat blade type
US5564158A (en) Wiper arm for windshield wipers of automotive vehicles
US4564971A (en) Wiper equipment
EP0723898B1 (en) Windshield wiper arm for vehicles
JPS5815334B2 (ja) 風防ガラスワイパ−ア−ムの接続装置
KR960005916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피봇죠인트
US5442833A (en) Screen wiper having articulated elements
EP0785116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wiper arm assemblies
KR100381282B1 (ko) 차량용 와이퍼
KR100575383B1 (ko) 와이퍼 암
GB2139880A (en) Windscreen wiper 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