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482B1 -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 Google Patents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482B1
KR100514482B1 KR10-2003-0081683A KR20030081683A KR100514482B1 KR 100514482 B1 KR100514482 B1 KR 100514482B1 KR 20030081683 A KR20030081683 A KR 20030081683A KR 100514482 B1 KR100514482 B1 KR 100514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ulley assembly
mounting
cooling fan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82A (ko
Inventor
정희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482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6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ai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측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마운팅구조로 조립되는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를 상단의 엔진측, 측단의 구조물측, 하단의 프레임측 3곳에 지지되게 하여 라디에이터 프레임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마운팅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엔진 및 차체의 진동이 라디에이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라디에이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가 모듈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쿨링모듈측으로 전달되는 팬의 구동 및 진동 성분을 차단하여 쿨링모듈 전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풀리 어셈블리의 3곳 마운팅 부위에 각각의 벨트 얼라인먼트장치를 구비하여 풀리 어셈블리 조립시 벨트정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수고나 노력을 덜어줄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Structure for mounting pully assembly of radiator cooling fan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풀리 어셈블리의 마운팅 위치를 상단 엔진측, 측단 구조물측, 하단 프레임측으로 각각 설정하여 라디에이터 프레임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마운팅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풀리 어셈블리와 라디에이터의 분리가 가능하여 엔진 및 차체의 진동이 라디에이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특히 3곳의 마운팅 부위에 각각의 벨트 얼라인먼트장치를 채용하여 풀리 어셈블리 조립시 벨트정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은 엔진측의 동력을 2개의 풀리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풀리 어셈블리를 통해 제공받아 구동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프레임(11)의 슈라우드(12)상에 4곳 브라켓(13)을 통해 직접 체결되어 마운팅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4는 라디에이터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① 팬구동에 의한 진동 및 엔진 진동이 라디에이터에 직접 전달되어 라디에이터의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특히, 알루미늄 라디에이터의 경우 내진동이나 내충격에 매우 취약하다).
특히,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가 모듈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팬의 구동 및 진동 성분이 쿨링모듈에 그대로 전해지므로, 쿨링모듈 전체의 내구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② 중량 구조물인 풀리 어셈블리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들어 올리고, 엔진측과의 벨트정렬작업을 위해서 손으로 밀고 당기는 작업을 수작업으로 해야 하므로, 미세조절이 어렵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육체적으로 피로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를 상단의 엔진측, 측단의 구조물측, 하단의 프레임측 3곳에 지지되게 하여 라디에이터 프레임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마운팅구조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풀리 어셈블리를 라디에이터측과 분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엔진 및 차체의 진동이 라디에이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라디에이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편,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가 모듈화되어 있는 경우에도 쿨링모듈측으로 전달되는 팬의 구동 및 진동 성분을 차단하여 쿨링모듈 전체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풀리 어셈블리의 3곳 마운팅 부위에 각각의 벨트 얼라인먼트장치를 구비하여 풀리 어셈블리 조립시 벨트정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수고나 노력을 덜어줄 수 있는 등 전반적으로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풀리 어셈블리는 상단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 및 하단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3곳 지지되어 라디에이터측과 독립적인 구조로 마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은 엔진측에 용접되는 엔진측 브라켓과, 풀리 어셈블리측에 체결되는 어셈블리측 브라켓과, 상기 엔진측 브라켓과 어셈블리측 브라켓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의 조합형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셈블리측 브라켓과 풀리 어셈블리 간의 체결부위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 및 스틸 커버, 그 사이에 러버 부시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은 어셈블리측 브라켓의 연결 브라켓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슬롯과, 2개의 평와셔를 통해 연결 브라켓에 끼워지면서 선단 나사부는 어셈블리측 브라켓에 체결되는 조절용 볼트를 이용하여 풀리 어셈블리의 상단 엔진측 마운팅부위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는 얼라인먼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은 상단의 사이드/리어멤버측에 용접되는 상단 구조물측 브라켓과, 상기 상단 구조물측 브라켓과 연결되면서 측단의 보디측에 체결되는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과, 풀리 어셈블리측과 체결되며 상기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의 한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하단 체결되어 연결되는 서포트 브라켓의 조합형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과 서포트 브라켓 간의 상하단 체결부위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 및 스틸 커버, 그 사이에 러버 부시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은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의 보디측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슬롯과, 2개의 평와셔를 통해 상단 구조물측 브라켓에 끼워지면서 선단 나사부는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에 체결되는 조절용 볼트를 이용하여 풀리 어셈블리의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부위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는 얼라인먼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은 서포트 브라켓의 어셈블리측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슬롯과, 2개의 평와셔를 통해 서포트 브라켓의 연장편에 끼워지면서 선단 나사부는 풀리 어셈블리의 연장편에 체결되는 조절용 볼트를 이용하여 풀리 어셈블리의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부위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얼라인먼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은 프레임측에 체결되는 날개부와, 풀리 어셈블리측에 체결되는 요입부로 구성되는 일체형의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입부와 풀리 어셈블리 간의 체결부위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 및 스틸 커버, 그 사이에 러버 부시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10)는 라디에이터측과는 독립적으로 3곳의 마운팅 부위를 통해 지지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이를 위하여, 3곳의 마운팅 부위, 즉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15)을 통한 윗쪽의 마운팅 부위와,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을 통한 옆쪽의 마운팅 부위와,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을 통한 아래쪽의 마운팅 부위가 각각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콤파트먼트측(Engine compartment part) 마운팅브라켓은 엔진룸고 뒷좌석 승객석 시트 사이를 분리해주는 일종의 칸막이로서, 차체 리어보디측에 포함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따라서, 풀리 어셈블리(10)는 각 마운팅브라켓을 이용하여 엔진측 프레임(100), 사이드/리어멤버(110), 프레임(120)에 각각 마운팅되면서 라디에이터측과는 독립적으로 조립될 수 있고, 엔진 및 차체측 진동, 팬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최대한 보호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15)에 의해 풀리 어셈블리(10)가 엔진측 프레임(100)에 마운팅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엔진측 프레임(100)상에는 엔진측 브라켓(15a)이 직접 용접으로 고정되고, 엔진측 브라켓(15a)의 전면에는 대략 2곳의 수평편을 갖도록 절곡되어 있는 연결 브라켓(15c)이 한곳의 수평편을 이용하여 체결 고정되며, 연결 브라켓(15c)의 저면으로는 ㄷ자형의 어셈블리측 브라켓(15b)이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풀리 어셈블리(10)는 어셈블리측 브라켓(15b)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볼트로 관통 체결되는 구조로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15)과 조립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어셈블리측 브라켓(15b)과 풀리 어셈블리 간의 체결부위는 볼트가 관통되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18a) 및 스틸 커버(19a), 그 사이에 러버 부시(20a)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풀리 어셈블리측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상단부를 전후로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어셈블리측 브라켓(15b)의 연결 브라켓 체결부위에는 슬롯(21a)이 형성되고, 연결 브라켓(15c)의 나머지 한곳의 수평편과 이것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에셈블리측 브라켓(15b)의 한쪽 수직편 사이에는 2개의 평와셔(22a)를 갖는 조절용 볼트(23a)가 체결된다.
즉, 조절용 볼트(23a)의 평와셔(22a)가 있는 부위는 아래쪽 절개부위를 통해 연결 브라켓(15c)에 끼워지고, 선단 나사부는 어셈블리측 브라켓(15b)에 체결된다.
따라서, 벨트정렬작업시 조절용 볼트(23a)를 조이거나 풀면, 어셈블리측 브라켓(15b)을 포함하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상단부 전체가 전후로 조절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에 의해 풀리 어셈블리(10)가 사이드/리어멤버(110)에 마운팅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의 윗쪽은 사이드/리어멤버(110)에 용접되는 상단 구조물측 브라켓(16a)에 의해 지지되고, 옆쪽은 사이드/리어멤버(11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보디(미도시)측에 체결되는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에 의해 지지되며,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에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조립을 위한 서포트 브라켓(16c)이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의 한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하단이 볼트로 관통 체결된다.
이때의 상기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과 서포트 브라켓(16c) 간의 상하단 체결부위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18c),(18d) 및 스틸 커버(19c),(19d), 그 사이에 러버 부시(20c),(20d)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곳의 러버 부시(20c),(20d)도 팬의 구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측단부를 전후로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의 보디측 체결부위에는 다수의 슬롯(21b)이 형성되고, 상단 구조물 브라켓(16a)의 수직편과 이것과 나란하게 위치되는 측단 구조물 브라켓(16b)의 날개편 사이에는 2개의 평와셔(22b)를 갖는 조절용 볼트(23b)가 체결된다.
즉, 조절용 볼트(23b)의 평와셔(22b)가 있는 부위는 아래쪽 절개부위를 통해 상단 구조물 브라켓(16a)에 끼워지고, 선단 나사부는 측단 구조물 브라켓(16b)에 체결된다.
따라서, 벨트정렬작업시 조절용 볼트(23b)를 조이거나 풀면, 측단 구조물 브라켓(16b)을 포함하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측단부 전체가 전후로 조절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측단부를 상하로 위치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서포트 브라켓(16c)의 어셈블리측 체결부위에는 위아래 2곳의 슬롯(21c)이 형성되고, 서포트 브라켓(16c)의 측면부에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연장편(24a)과 풀리 어셈블리(10)의 수평부재상에서 상기 연장편(24a)과 마주보는 상태로 형성되는 연장편(24b) 사이에는 2개의 평와셔(22c)를 갖는 조절용 볼트(23c)가 체결된다.
즉, 조절용 볼트(23c)의 평와셔(22c)는 관통홀을 통해 서포트 브라켓(16c)의 연장편(24a)측에 끼워지는 동시에 선단 나사부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연장편(24b)에 체결된다.
따라서, 벨트정렬작업시 조절용 볼트(23c)를 조이거나 풀면, 서포트 브라켓(16c)을 포함하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측단부 전체가 상하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풀리 어셈블리(10)의 상하부 마운팅 부위의 가조립 상태에서 풀리 어셈블리(10)와 서포트 브라켓(16c)을 가조립한 후, 상기 조절용 볼트(23c)를 풀거나 조이면, 풀리 어셈블리(10)가 위아래로 미세조절되므로, 팬과 슈라우드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맞출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에 의해 풀리 어셈블리(10)가 프레임(120)에 마운팅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120)측에 체결되는 날개부(17a)와, 풀리 어셈블리(10)측에 체결되는 요입부(17b)로 구성되는 일체형의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이 제공된다.
따라서, 풀리 어셈블리(10)는 프레임(120)에 체결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의 요입부(17b)에 볼트로 관통 체결되는 구조로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과 조립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의 요입부(17b)와 풀리 어셈블리(10) 간의 체결부위는 볼트가 관통되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18b) 및 스틸 커버(19b), 그 사이에 러버 부시(20b)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풀리 어셈블리측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라디에이터측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마운팅구조로 조립되는 본 발명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를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① 풀리 어셈블리를 라디에이터측과 분리할 수 있으므로, 엔진 및 차체의 진동이 라디에이터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라디에이터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② 모듈화 라디에이터와 인터쿨러의 경우 쿨링모듈측으로 전달되는 팬의 구동 및 진동 성분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쿨링모듈 전체의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③ 풀리 어셈블리의 3곳 마운팅 부위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벨트 얼라인먼트장치를 이용하여 벨트정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작업자의 수고나 노력을 덜어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립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서 상단 엔진측 마운팅부위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서 측단 차체 구조물측 마운팅부위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서 하단 차체 프레임측 마운팅부위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서 상단 엔진측 마운팅부위의 얼라인먼트장치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서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부위의 얼라인먼트장치를 보여주는 도 5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서 어셈블리측 체결부위의 얼라인먼트장치를 보여주는 도 5의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풀리 어셈블리 11 : 라디에이터 프레임
12 : 슈라우드(Shroud) 13 : 브라켓
14 : 라디에이터 15 :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
16 :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 17 :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
18a∼18d : 스틸 인서트 19a∼19d : 스틸 커버
20a∼20d : 러버 부시 21a∼21c : 슬롯
22a∼22c : 평와셔 23a∼23c : 조절용 볼트
24a,24b : 연장편

Claims (10)

  1.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풀리 어셈블리(10)는 상단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15),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 및 하단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에 의해 3곳 지지되어 라디에이터측과 독립적인 구조로 마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15)은 엔진측에 용접되는 엔진측 브라켓(15a)과, 풀리 어셈블리측에 체결되는 어셈블리측 브라켓(15b)과, 상기 엔진측 브라켓(15a)과 어셈블리측 브라켓(15b) 사이에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15c)의 조합형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측 브라켓(15b)과 풀리 어셈블리 간의 체결부위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18a) 및 스틸 커버(19a), 그 사이에 러버 부시(20a)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엔진콤파트먼트측 마운팅브라켓(15)은 어셈블리측 브라켓(15b)의 연결 브라켓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슬롯(21a)과, 2개의 평와셔(22a)를 통해 연결 브라켓(15c)에 끼워지면서 선단 나사부는 어셈블리측 브라켓(15b)에 체결되는 조절용 볼트(23a)를 이용하여 풀리 어셈블리(10)의 상단 엔진측 마운팅부위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는 얼라인먼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은 상단의 사이드/리어멤버측에 용접되는 상단 구조물측 브라켓(16a)과, 상기 상단 구조물측 브라켓(16b)과 연결되면서 측단의 보디측에 체결되는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과, 풀리 어셈블리(10)측과 체결되며 상기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의 한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상하단 체결되어 연결되는 서포트 브라켓(16c)의 조합형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과 서포트 브라켓(16c) 간의 상하단 체결부위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18c),(18d) 및 스틸 커버(19c),(19d), 그 사이에 러버 부시(20c),(20d)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7.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은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의 보디측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슬롯(21b)과, 2개의 평와셔(22b)를 통해 상단 구조물측 브라켓(16a)에 끼워지면서 선단 나사부는 측단 구조물측 브라켓(16b)에 체결되는 조절용 볼트(23b)를 이용하여 풀리 어셈블리(10)의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부위의 위치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는 얼라인먼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8. 청구항 1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브라켓(16)은 서포트 브라켓(16c)의 어셈블리측 체결부위에 형성되는 슬롯(21c)과, 2개의 평와셔(22c)를 통해 서포트 브라켓(16c)의 연장편(24a)에 끼워지면서 선단 나사부는 풀리 어셈블리(10)의 연장편(24b)에 체결되는 조절용 볼트(23c)를 이용하여 풀리 어셈블리(10)의 측단 구조물측 마운팅부위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얼라인먼트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단 프레임측 마운팅브라켓(17)은 프레임측에 체결되는 날개부(17a)와, 풀리 어셈블리측에 체결되는 요입부(17b)로 구성되는 일체형의 구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요입부(17b)와 풀리 어셈블리 간의 체결부위는 원통형의 스틸 인서트(18b) 및 스틸 커버(19b), 그 사이에 러버 부시(20b)가 조합되어 있는 부싱결합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KR10-2003-0081683A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KR100514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83A KR100514482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83A KR100514482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82A KR20050047882A (ko) 2005-05-23
KR100514482B1 true KR100514482B1 (ko) 2005-09-14

Family

ID=37246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83A KR100514482B1 (ko) 2003-11-18 2003-11-18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4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780B1 (ko) * 2004-11-25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냉각팬 풀리 얼라인먼트 조정장치
KR101047798B1 (ko) * 2008-12-02 2011-07-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디에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82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1459C (en) Enclosure for vehicle engine compartment
JPH034756Y2 (ko)
US5597047A (en) Radiator mounting for integrated power module
KR100514482B1 (ko) 버스의 라디에이터 쿨링팬용 풀리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US7942222B2 (en) Swing-type operation machine
KR100792905B1 (ko) 차량의 쿨링모듈 장착구조
JPH0616152A (ja) 作業車のキャビン取付構造
CN211809019U (zh) 一种发动机多功能支撑架
KR101638328B1 (ko) 쿨링모듈 장착구조
CN210239850U (zh) 一种开架式发电机组
KR101600941B1 (ko) 차량용 쿨링모듈
JP2008168688A (ja) ラジエータの支持構造
CN215871047U (zh) 一种冰淇淋的电机安装结构
KR100757559B1 (ko) 버스의 냉각 모듈 장착구조
KR20040029736A (ko) 엔진의 보조기구류 장착용 브라켓
JP3342398B2 (ja) 直列多気筒エンジンの補機部品取付構造
KR100902734B1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응축기 마운팅 구조
CN212828834U (zh) 电池盒安装结构
CN1028583C (zh) 冷冻冷藏库的风机马达固定装置
KR102437469B1 (ko) 자동차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CN217131399U (zh) 一种燃气热泵空调的发动机框架结构
KR970002211Y1 (ko) 자동차 엔진의 마운트 록킹 구조
CN100471711C (zh) 公共汽车冷却风扇的驱动系统
JP3354479B2 (ja) 直列多気筒エンジンの補機部品取付構造
JPH0333434A (ja) エンジンの振動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