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8324B1 -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 - Google Patents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8324B1
KR100508324B1 KR10-2003-7000079A KR20037000079A KR100508324B1 KR 100508324 B1 KR100508324 B1 KR 100508324B1 KR 20037000079 A KR20037000079 A KR 20037000079A KR 100508324 B1 KR100508324 B1 KR 100508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wood
conveyor
shredding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555A (ko
Inventor
우에다가즈노리
세키가즈히데
다나카마사미치
시바요시미
이이다쓰토무
야기시타마코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1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8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8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1/00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 B27L11/06Manufacture of wood shavings, chips, powder, or the like; Tools therefor of wood powder or saw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02C21/026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self-prop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41Feed means of conveyor bel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6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defining termination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e.g. 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 B02C2023/165Screen denying egress of oversiz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주행장치(11)와,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주부에 파쇄비트(18)를 설치한 파쇄로터(20)를 구비한 파쇄장치(16)와,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 한쪽에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피파쇄목재를 파쇄장치(16)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3)와, 상기 반송 컨베이어(3)의 상방 및 파쇄장치(16)의 근방에 설치된 누름롤러(42)와, 상기 누름롤러(42)의 파쇄장치(16)와 반대측에 설치된 구동롤러(43)와, 누름롤러(42)와 구동롤러(43)에 감아 돌려진 반송체(44)를 가지고, 상하 이동하면서 피파쇄목재를 가압하여 반송 컨베이어(3)와 협동하여 파쇄장치(16)로 도입하는 가압 컨베이어(5)와,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파워 유닛(9)을 구비한다. 따라서, 근래의 요청에 대응하여 충분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 {SELF-PROPELLING WOOD CRUSHER AND WOOD CRUSHER}
본 발명은 전정(剪定)가지재·간벌재, 가지목재, 폐목재 등을 파쇄대상으로 삼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삼림에서 벌채된 목재를 가지치기할 때에 발생하는 전정가지재·간벌재나, 조성·녹지유지관리 등으로 발생하는 가지목재, 또는 목조가옥을 해체할 때에 발생하는 폐목재는 통상, 최종적으로 산업 폐기물로서 처리된다. 목재 파쇄기는 폐기물 처리과정에서의 폐기물의 감량을 꾀하거나, 분쇄한 후의 분쇄물을 발효처리하여 유기비료로서 재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들 가지재, 가지목재 등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것이다.
이 종류의 목재 파쇄기로서 예를 들면, 미국특허 U.S. P.5947395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상기 목재 파쇄기는 본체프레임(섀시)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하방으로 설치된 주행수단(휠)과, 상기 본체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외주부에 파쇄비트를 가지고 회전하여 피파쇄목재를 파쇄하는 파쇄로터를 구비한 파쇄장치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 한쪽 상부에 설치되어 파쇄장치로 피파쇄목재를 반송하는 반송수단(컨베이어)과, 상기 반송수단의 상방으로 설치되고, 상기 파쇄로터의 상방으로 설치된 지점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방향으로 회전할수록 파쇄로터로부터 멀어지도록 요동하고, 상기 반송수단과 협동하여 피파쇄목재를 가압하면서 파쇄장치로 도입하는 가압롤러(롤러)와, 한쪽이 상기 파쇄장치의 하방위치에, 다른 한쪽이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 다른 한쪽의 외측위치까지 연장되도록 본체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고, 파쇄한 목재 파쇄물을 목재 파쇄기 본체밖으로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컨베이어)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목재 파쇄기는 상기 파쇄로터의 근방 위치에 오도록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설치된 하나의 고정날[앤빌(anvil)]과, 파쇄로터와 간극을 가지고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되고, 파쇄비트 및 상기 고정날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을 밀어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한 체 부재(그레이트)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목재 파쇄기에서는, 도입된 피파쇄목재는 반송수단에 의해 파쇄장치측으로 반송되는 동시에, 가압롤러와 반송수단으로 상하로부터 끼워넣도록하여 파지되고, 상기 파쇄장치측 선단부를 파쇄로터를 향하여 캔틸레버형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되는 피파쇄목재가, 상방향으로 회전하는 파쇄로터의 파쇄비트에 충돌하여 파쇄(1차 파쇄)되고, 그 후 상기 파쇄편이 또 파쇄로터 외주측의 회전방향 하류에 설치된 고정날에 충돌하여 또 파쇄(2차 파쇄)된다. 그리고, 상기 체 부재의 복수의 개구부의 개구면적 이하로까지 미세하게 파쇄되면, 파쇄목재는 체 부재를 통과하여 반출 컨베이어에 의해서 목재 파쇄기 본체밖으로 반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목재 파쇄기에 기동성을 갖게 하기 위해, 주행수단을 추가로 설치한 자주식 목재 파쇄기가 이미 제안되어 있다. 상기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서는, 예를 들면, 본체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에 무한 궤도 크롤러(crawler) 벨트로 이루어지는 주행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무한 궤도 크롤러 벨트를 유압액츄에이터로 구동함으로써 가동 현장내에서 자동으로 이동하고, 또는 수송때에 수송용 트레일러의 하역대 상에 자력주행으로 이동하여 적재하고, 목재 파쇄기의 가동현장에의 기동성을 향상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삼림벌채지나 조성·녹지 등에서의 상기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가동현장(목재파쇄플랜트)에서는, 상기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설치 공간과 함께, 전정가지재, 간벌재, 가지목재 등의 대량의 피파쇄목재를 저장해 두는 스톡야드(stock yard)나, 이들을 파쇄함으로써 생성하는 목재파쇄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 또한 상기 피파쇄목재를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투입하기 위한 유압셔블 등의 중기설치 공간이나, 생성한 목재파쇄물 반출용 덤프트럭의 통행용 스페이스 등의 대량의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목조가옥의 파괴 현장에서 폐목재를 파쇄할 때 등에는 가동현장은 시가지근교로 되는 경우도 있고, 근래, 상기 목재파쇄플랜트의 용지(用地)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점점더 곤란하게 되는 정세에 있다. 이로 인하여, 자주식 목재 파쇄기 자체의 점유하는 공간을 될 수 있는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주식 목재 파쇄기를 가능한 한 소형화하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 자주식 목재 파쇄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레일러 등에 적재되어 가동(稼動)현장까지 수송되지만, 이때는 공도상의 수송으로 되기 때문에, 가드나 보도교 등의 주위 구조물과의 간섭방지의 관점에서 소정의 수송제한치수(높이 방향, 폭방향, 전후 방향) 내에 있을 필요가 있다. 특히, 근래의 재생자원촉진법(이른바 리사이클법)의 시행(1991년 10월)이라는 폐기물 재이용 촉진의 분위기 하에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유용성이 인식되어, 보다 소규모인 현장에도 적극적으로 자주식 목재 파쇄기를 이용하여 목재 리사이클이 도모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폭이나 높이가 충분하지 않은 산길, 농도 등이 수송경로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고, 이 의미로부터도 또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종래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서는, 목재 파쇄기 전체의 소형화·컴팩트화에 대해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고, 상기의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었다.
한편, 근래, 상기 폐기물재이용촉진의 분위기 하에서, 목재파쇄물의 고품질화가 요구되고 있고, 그 입도가, 리사이클 용도에 따른 소정의 목표입도범위 내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U.S.P 5947395호에 의한 목재 파쇄기에서는,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체 부재가 교환가능하게 되어 있고, 목재파쇄물의 입도범위를 조정할려고 하는 경우에는, 개구부의 개구면적이 다른 복수 종류의 체 부재를 미리 준비해 두고, 이들을 적절히 교환함으로써 체 부재로부터 도출되는 파쇄물의 입도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파쇄로터 및 고정날에 의한 파쇄성능 자체는 전혀 변하지 않고, 파쇄물의 출구측의 개구면적만으로 파쇄물입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소립도측으로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소정의 입도범위로 파쇄될 때까지 파쇄물이 체 부재의 내주측의 파쇄로터 주위부를 쭉쭉 회전을 계속하는 것이 되고, 파쇄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또한, 체 부재의 막힘이나 조기마모를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전면도, 및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유닛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유닛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투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1중 VI-VI 면에 따른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단면에서 도시한 도 1중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7중 VIII-VIII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그 오른쪽 반이 도 7중 IXA-IXA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 그 왼쪽 반이 도 7중 IXB-IXB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날지지체 중 가변앤빌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5중 X-X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에서의 가변앤빌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의 변형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에서의 가변앤빌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의 변형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에서의 가변앤빌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의 변형예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파쇄유닛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유닛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유닛 부근의 구조의 일부 투시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시어핀지지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16중 부분 추출 확대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시어핀지지부를 C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변앤빌수납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16중 IXX-IXX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16중 주요부 추출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16중 XXI-XXI 단면에 따른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가압판의 측면도, 정면도, 평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를 F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유압 모터 및 그 근방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가압 컨베이어지지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압구동장치의 전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제어밸브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조작밸브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제어밸브장치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컨트롤러의 제어기능 중 파쇄장치정지제어에 관계되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근래의 요청에 대응하여 충분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파쇄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없이 파쇄물의 입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는 목재 파쇄기를 제공함에 있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주행수단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주부에 파쇄비트를 설치된 파쇄로터를 구비한 회전식 파쇄장치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 한쪽에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고, 피파쇄목재를 상기 파쇄장치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상기 반송수단의 상방 및 상기 파쇄장치의 근방에 설치된 누름롤러와, 상기 누름롤러의 상기 파쇄장치와 반대측에 설치된 구동롤러와, 상기 누름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감겨진 반송체를 가지고,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피파쇄목재를 가압하여 상기 반송수단과 협동하여 상기 파쇄장치로 도입하는 가압 컨베이어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파워 유닛(power unit)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에 주행수단을 배치함과 함께 그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 중앙부 부근에 파쇄장치를 배치하고, 예를 들면 이것을 사이에 끼도록 본체프레임 한쪽 상하로 가압 컨베이어 및 반송수단을, 다른 한쪽에 반출 컨베이어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 한쪽, 다른 한쪽, 또는 중앙부에 각 요소를 집중하여 배치함으로써, 각 요소를 공간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그 결과,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래의 목재파쇄플랜트 용지의 확보곤란화, 협소화 등이나 반송경로 상의 관점에서의 소형화의 요청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2) 상기(1)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컨베이어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는, 상기 가압 컨베이어를 유지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양단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를 구비한다.
(3) 상기(2)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컨베이어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는, 또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파쇄장치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링크식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4) 상기(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컨베이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상기 구동롤러의 내부에 수납 배치한다.
(5) 상기(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송체는 상기 누름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에 감아 돌린 무단형의 링크와, 상기 링크의 외주측의 피파쇄목재 반송방향으로 배치되고, 횡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복수의 가압판을 구비한다.
(6) 상기(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 컨베이어는, 상기 본체프레임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누름롤러와, 이들 복수의 누름롤러에 대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구동롤러와, 상기 복수의 누름롤러와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를 감아 돌리는 복수의 반송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비트의 회전궤적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최소한 하나의 고정날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날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는 그에 따라 상기 고정날이 과대한 부하로부터 회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를 구비한 고정날지지체와,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에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파쇄로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정지제어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성능상 파쇄 곤란한 고경도의 피파쇄목재나 이물 등이 파쇄장치 내로 도입되었을 때는, 고정날지지체의 회전부가 회전하여 이들을 파쇄장치 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그것이 검출수단으로 검출되고, 이에 따라 정지제어수단에 의해서 파쇄로터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 결과, 상기 단단한 피파쇄목재나 이물 등에 의해 파쇄로터나 파쇄비트 또는 그 주위의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8)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재 파쇄기는, 외주부에 파쇄비트를 설치된 파쇄로터와, 상기 파쇄로터와의 간극이 변경가능하도록, 상기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진퇴조정가능 또는 교환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날과, 상기 파쇄로터와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체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파쇄목재에 대하여 파쇄로터의 파쇄비트를 충돌시켜 우선 파쇄(1차 파쇄)한 후, 그 파쇄편을 또 파쇄로터 외주측의 예를 들면, 회전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고정날에 충돌시켜 한층더 파쇄(2차 파쇄)를 행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파쇄로터 외주측에 설치된 체 부재의 복수의 개구부의 개구면적 이하로까지 미세하게 파쇄되면, 그 개구부로 외부에 도출된다.
이 때, 고정날에 의한 파쇄후의 파쇄편의 크기는, 고정날과 파쇄로터의 간극(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파쇄비트의 회전궤적과의 간극치수)에 의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따라서, 고정날이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진퇴조정가능 또는 교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파쇄로터와의 상기 간극을 변경하는 것으로, 고정날에 의한 파쇄편을 원하는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소 입도측이나 대 입도측 여하를 불문하고, 파쇄물을 원하는 입도로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입도에 대응한 개구면적의 개구부를 구비한 체 부재로 교환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날의 간극치수를 그 입도에 대응한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양호한 파쇄효율로 소망 입도범위로 조정한 파쇄물을 얻을 수 있다.
(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또한 본 발명의 목재 파쇄기는, 외주부에 파쇄비트를 설치된 파쇄로터와, 상기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설치된 제1 고정날과, 상기 파쇄로터와의 간극이 변경가능하도록, 상기 파쇄로터의 외주측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진퇴조정가능 또는 교환가능하게 설치된 제2 고정날과, 상기 파쇄로터와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체 부재를 구비한다.
(10) 상기 (9)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날은 상기 파쇄로터의 회전방향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파쇄로터와의 간극이 순차 작아지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다단계로 순차 입도를 작게 파쇄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파쇄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11) 상기 (9) 또는 (10)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고정날과 상기 파쇄로터와의 간극을 변경가능한 스페이서를, 상기 제2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지지체와의 사이에 삽입 및 빼내기 가능하게 설치한다.
(12) 상기 (11)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의 횡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이에 따라, 제2 고정날과 고정날지지체와의 사이에서 빼낸 스페이서를 둘레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재삽입하는 것으로, 스페이서의 단면 형상인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치수 차이에 의해서 제2 고정날을 고정날지지체에 대하여 2단계로 진퇴조정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고정날과 파쇄로터와의 간극치수를 2단계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 목재 파쇄기는 자주가능한 자주식 목재 파쇄기이며, 1은 파쇄기본체이며, 상기 파쇄기본체(1)는 호퍼(2), 반송 컨베이어(3), 파쇄유닛(4), 및 가압 컨베이어(pressing conveyor)(5)를 탑재하고 있다. 또, 6은 상기 파쇄기본체(1)의 하부에 설치된 주행체, 7은 반출 컨베이어, 8은 자기 분리기(magnetic separator), 9는 동력체로서의 파워 유닛(power unit)이다.
도 3(a)는 도 1중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전면도이고, 도 3(b)는 도 1중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후면도이다. 이들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 상기의 주행체(6)는 본체프레임(10)과, 그 폭방향[도 3(a) 및 도 3(b)중 좌우방향] 양측에 설치된 주행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10)은, 예를 들면 대략 장방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된 상기 호퍼(2), 상기 파쇄유닛(4), 및 상기 파워 유닛(9) 등을 탑재하는 파쇄기장착부(10A)와, 상기 파쇄기장착부(10A)의 하부에 설치된 트랙프레임부(10B)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주행장치(11)는 상기 트랙프레임부(10B)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구동륜(12a) 및 아이들러(idlers)(12b)와, 이들 사이에 놓인 주행수단으로서의 무한 궤도 크롤러 벨트(crawler blet)(13)와, 구동륜(12a)측에 설치된 좌·우 주행용유압 모터(14L, 14R)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쇄유닛(4)은 상기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의 전후 방향(도 1 및 도 2중 좌우방향) 대략 중앙부 상에 탑재되어 있다. 도 4는 이 파쇄유닛(4)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 1중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구조의 일부 투시 측면도이다.
이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15는 상기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이며, 16은 파쇄장치이다.
상기 베이스부(15)는 그 최하부에 설치된 바닥판(15a)과, 바닥판(15a) 상에 좌·우 양측으로 설치된 측판(15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닥판(15a)에는 볼트(17)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에 삽입한 볼트(17)를 이용하여 바닥판(15a)이 상기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파쇄장치(16)는, 회전식의 일축파쇄장치[이 예에서는 이른바 임팩트 크러셔(impact crusher)]이며, 날붙이로서의 파쇄비트(crushing bit)(18)[파쇄외경(R)을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타격판이라도 좋다) 및 이들 파쇄비트(18)를 고정하는 고정구(19)를 외주부에 장착한 로터[파쇄로터(crushing rotor)](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쇄로터(20)는 그 회전축(20a)의 양단이, 상기 좌·우의 측판(15b, 15b)에 설치된 베어링기구(21, 2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들 베어링기구(21)는 각 측판(15b)의 폭방향 외측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 바닥판(15a) 상에 설치된 지지가대(22) 상에, 중간부재(23)를 통하여 탑재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베어링기구(21)의 외주측에는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 24)를 각각 설치하고 있고(도 1 및 도 2 참조), 그 구동축(도시하지 않음)에 커플링(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상기 파쇄로터(20)의 회전축(20a)이 연결되어 있다. 또, 파쇄로터(20)의 외주측에는, 지지부재(25)에 의해 파쇄로터(20)와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지지 배치되고, 파쇄물의 입도를 설정하는 기능을 갖는 파쇄물 삽입 통과용의 다수의 개구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대략 부분 원통면형상의 체 부재(sieving member)[그레이트(grate)](26)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체 부재(26)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지지부재(25)를 적절히 분리하는(또는 회전시켜 파쇄로터(20)와 반대측에 이격시킨다) 것에 의해, 적절히 교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파쇄비트(18)는 그 날면이 상기 파쇄로터(20)의 정회전방향(도 5중 화살표 ア 방향) 회전에 대응하는 바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27은 상기 파쇄장치(16)의 외주측[상세하게는 파쇄로터(20)의 외주측]에 고정된 고정날(비회전날)로서의 앤빌(anvil)(2차 파쇄판, 반발판)이며, 이 예에서는 27a, 27b, 27c의 3개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의 반송 컨베이어(3)는 상기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의 전방측(도 1 및 도 2중 좌측)에 설치된 중간프레임(28) 상에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탑재되어 있고, 상기 호퍼(2) 내의 하부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3)는 파쇄장치(16)측[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도 1 및 도 2중 우측)] 단부에 설치된 예를 들면, 스프로킷형의 이송롤러(feed roller)(29)(도 5도 참조)와, 그 반대측(목재 파쇄기 전방측)에 설치된 종동롤러(driven roller)(30)와, 이들 이송롤러(29) 및 종동롤러(30)의 사이에 감아 돌려 설치된 반송체(컨베이어 벨트)(31)를 구비하고 있다. 또, 32는 반송 컨베이어 커버이다.
도 6은 도 1중 VI-VI 면에 따른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이 도 6 및 전술한 도 5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31)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다수의 링크부재(33)를 핀(34)을 통한 결합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관절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무단형(엔드리스) 링크(endless link)(35)와, 이들 무단형 링크(35, 35)의 사이를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고정되어 피파쇄목재의 반송방향으로 배열한 복수의 반송판(36)을 구비하고 있다. 또, 37은 상기 중간프레임(28)에 대하여 지지부재(38)를 통하여 지지되고, 상기 이송롤러(29)의 회전축(29a)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베어링기구이며, 39는 상기 이송롤러 회전축(29a)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 우측(도 6중 좌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기구(37)보다도 더 폭방향 외측으로 상기 회전축(29a)에 연결된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이다(도 2도 참조). 또 이 때, 상기 종동롤러(30)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는 베어링기구(40)(도 1참조)가 공지된 장력조정기구(41)에 의해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구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반송체(31)의 장력을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의 가압 컨베이어(5)는 반송 컨베이어(3)의 파쇄장치(16) 측단부의 상방으로 수직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이 가압 컨베이어(5)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고, 일부 단면으로 도시한 도 1중 부분 확대도[단 구조 명확화를 위해 후술하는 구동롤러(driver roller)(43), 누름롤러(pressing roller)(42), 및 슬라이더(slider)(58)의 일부를 도시생략]이며, 도 8은 도 7중 VIII-VIII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가압 컨베이어(5)는 반송 컨베이어(3)의 상방 및 파쇄장치(16)의 근방[상세하게는 파쇄장치(16)측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형의 누름롤러(42)와, 그 반대측(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 피파쇄물의 도입측)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롤러(42)보다도 직경이 큰 스프로킷형의 구동롤러(43)와, 이들 구동롤러(43) 및 누름롤러(42)의 사이에 감아 돌려 설치된 반송체(컨베이어 벨트)(4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송체(44)는 상기 반송 컨베이어(3)의 반송체(31)와 대략 동일한 구조이며,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다수의 링크부재(45)를 핀(46)을 통한 결합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관절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2개의 무단형(엔드리스)의 링크(47)와(도 5참조), 이들 무단형 링크(47, 47)의 사이를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고정되어 피파쇄목재의 반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반송판(48)을 구비하고 있다(도 5참조).
또, 49는 상기 구동롤러(43, 43)의 직경방향 내주측에 각각 수납 배치하여 설치된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이다.
이와 같이, 가압 컨베이어(5)의 구동원인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를 구동롤러(43) 측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누름롤러(42)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롤러(42)를 파쇄로터(20)(정확하게는 파쇄외경R)에 되도록 근접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도 9는 그 오른쪽 반이 도 7중 IXA-IXA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며, 그 왼쪽 반이 IXB-IXB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 도 9 및 전술한 도 8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는, 후술하는 슬라이더(58)의 삽입부(58b)에 장착한 지지부재(50)에 설치된 브래킷체(51)의 측벽(51a)에 고정되어 있고, 반송체(44)의 내주측에서 또한 대략 폭방향(구동롤러(43)에서 보면 그 축방향, 도 8중 상하 방향, 도 9중 좌우방향) 치수 이내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의 대직경의 구동력출력부(49a)는 대략 원통형부(49b) 보다도 축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스프로킷형의 구동롤러(43)는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의 구동력출력부(49a)에 고정된 대략 원환형의 장착부(43a)와, 상기 장착부(43a) 보다 축방향 외측으로 또한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 대략 원통형부(49b)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그 최외주에 상기 무단형 링크(47)와 맞물리는 톱니형부(saw-toothed portion)(43bA)를 구비하는 대략 원반형의 외주부(43b)와, 상기 장착부(43a)와 상기 외주부(43b)를 접속하도록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 대략 원통형부(49b)의 외주측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중간부(43c)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스프로킷형의 누름롤러(42)는 베어링(52, 52)에 의해서 지지되는 회전축(42a)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베어링(52, 52)은 상기 슬라이더 삽입부(58b)의 상기 지지부재(50)와 반대측에 설치된 접속부재(53)에 원환형 플레이트(54)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들 누름롤러(42)도 상기 구동롤러(43)와 같이 반송체(48)의 내주측에서 또한 대략 폭방향 치수 이내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가압 컨베이어(5)는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에 의해서 수직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도 6 및 도 9에 있어서,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는 대략 연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중간프레임(28)의 파쇄장치(16) 측단부 근방에 설치된 브래킷(56)에 일단(하단)이 접속된 좌·우 한쌍의 유압실린더(57, 57)와, 이들 유압실린더(57, 57)의 타단(상단)에 접속되는 브래킷부(58a)를 좌·우 양측단부에 구비하고, 이들 유압실린더(57, 57)를 신축시키면서 수직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58)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58)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반송체(44)의 내주측에 삽입된 대략 원통형상의 상기 삽입부(58b)와, 상기 삽입부(58b)의 좌·우 양단에 각각 고정되어 대략 연직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좌·우 한쌍의 세로빔부(58c, 58c)와, 이들 세로빔부(58c, 58c)에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상기 브래킷부(58a,58a)와, 상기 세로빔부(58, 58c)의 상단부끼리를 접속하도록 상기 삽입부(58b)의 상방으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빔부(58d)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에 의해, 슬라이더(58) 및 가압 컨베이어(5)가 일체로 되어 수직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바꿔 말하면 반송 컨베이어(3)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구성되고, 이로 인해, 상기 가압 컨베이어(5)에 의한 피파쇄물의 압입 압력이나, 반송 컨베이어(3)의 반송체(31)와 가압 컨베이어(5)의 반송체(44) 사이의 간극치수를 적절히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호퍼는 상기 중간프레임(28)에 대하여, 지지부재(59)를 통하여 대략 수평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2a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 측단부의 측벽으로, 2b, 2b는 각각 자주식 목재 파쇄기 폭방향 양측(좌·우측)의 측벽이다. 상기 폭방향 양측의 측벽(2b)은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에 위치하여 상기 반송 컨베이어(3)중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 부분의 상방측부에 위치하는 피파쇄물투입부(2bA)와, 상기 피파쇄물투입부(2bA)보다 자주식 목재 파쇄기후방측에 위치하고, 상기 반송 컨베이어(3)중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 부분의 상방측부 및 상기가압 컨베이어(5)의 측부에 위치하는 가압 컨베이어 커버부(2bB)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피파쇄물투입부(2bA)의 상부에는, 상방을 향하여 확개형상의 확개부(플레어부)(2c)가 설치되고, 피파쇄물투입시의 편의가 도모되어 있다.
상기 가압 컨베이어 커버부(2bB)는, 상기 피파쇄물투입부(2bA)로부터 자주식 목재 파쇄기후방측으로 대략 동일평면상으로 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가압 컨베이어(5)의 구동롤러(43)의 폭방향 양단부로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향하는 구동롤러수납부(60a)와, 상기 구동롤러수납부(60a)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에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 폭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의 슬라이더 세로빔부(58c)에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향하는 슬라이더수납부(60b)와, 상기 슬라이더수납부(60b)로부터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으로 설치되어 상기 가압 컨베이어(5)의 누름롤러(42)의 폭방향 양단부로 약간의 간극을 통하여 향하는 누름롤러수납부(60c)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파쇄물투입부(2bA), 상기 구동롤러수납부(60a), 상기 누름롤러수납부(60c)는 대략 일직선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좌·우 피파쇄물투입부(2bA, 2bA), 좌·우 구동롤러수납부(60a, 60a), 좌·우 누름롤러수납부(6060c) 끼리의 거리는 전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 61은 상기 슬라이더수납부(60b)의 하단과 상기 반송 컨베이어커버(32)의 상단의 접속부 부근에 경사지게 설치된 피파쇄물 가이드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주식 목재 파쇄기 폭방향 치수가 약간 커지는 슬라이더수납부(60b) 내에 있어, 피파쇄물이 반송 컨베이어(3)의 반송체(31)의 폭방향 치수보다 외측으로 튀어나와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의 반출 컨베이어(7)는 배출측(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 도 1 및 도 2중 우측) 부분이, 상기 파워 유닛(9)으로부터 돌출되어 설치된 암부재(62)(단 도 2에서는 도시생략)에, 지지부재(63, 64)를 통하여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또, 배출 반대측(전방측, 도 1 및 도 2중 좌측) 부분은 상기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10A) 보다도 하방으로 위치하고, 지지부재(65)를 통하여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에서 매달리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반출 컨베이어(7)는 본체프레임(10)의 하방으로부터 파워 유닛(9)의 하방을 통하여, 본체프레임(10)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 외측으로, 상향 경사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66은 프레임이며, 67은 상기 프레임(66)에 지지되는 구동륜, 68은 상기 구동륜(67)을 구동하는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도 2참조), 69는 상기 구동륜(67)과 종동륜(도시하지 않음)의 사이에 감아 돌려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70 및 71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69)의 양측면 및 반송면을 각각 지지하는 가이드 롤러(guide roller) 및 롤러이다. 또, 72는 종동륜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기구(도시하지 않음)를 대략 수평 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하는 공지된 장력조정기구이며, 이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69)의 장력을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자기 분리기(8)는 지지부재(73, 73)를 통하여 상기 암부재(62)로부터 매달려 지지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69)의 상방에 이것과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한 자기 분리기 벨트(74)와, 도시하지 않은 자력발생수단과, 자기 분리기용 유압 모터(7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파워 유닛(9)은 상기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 단부의 상부에, 파워 유닛 적재부재(76)를 통하여 탑재되어 있고, 그 좌전방측 부분에는 운전석(77)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반송 컨베이어(3), 파쇄장치(16), 가압 컨베이어(5), 반출 컨베이어(7), 자기 분리기(8), 주행장치(11) 및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는, 상기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구동부재를 구성하고 있고, 이들은, 상기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39),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68), 자기 분리기용 유압 모터(75), 좌·우 주행용유압 모터(14L, 14R), 및 가압 컨베이어 상하 이동용 유압실린더(57) 등의 각종 유압액츄에이터나, 상기 파워 유닛(9) 내에 탑재되는 엔진(도시하지 않음),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최소한 하나의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 및 복수의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이루어지는 유압구동장치에 의해서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 펌프 및 엔진[그 상부 커버(78)만 도 2에 도시]은, 상기 엔진의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를 구비한 열교환기장치(도시하지 않음)와 함께, 상기 파워 유닛(9) 내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 영역에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한편, 파워 유닛(9)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 영역에는, 상기 엔진의 연료탱크[그 급유구(79)만을 도 2에 도시)와, 상기 각 유압액츄에이터를 구동하는 압유(작동유)를 저장하는 작동유탱크[그 급유구(80)만을 도 2에 도시]와, 전술한 각 컨트롤 밸브를 구비한 제어밸브장치(도시하지 않음)와, 조작자가 탑승하는 구획인 상기 운전석(77)이, 이 순서로 자주식 목재 파쇄기 폭방향 우측(도 2중 상측)으로부터 좌측(도 2중 하측)으로 향하여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또, 이상의 파워 유닛(9)의 각 기기는 파워 유닛(9)의 기초 하부구조를 이루는 파워 유닛프레임(81)(도 1참조)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파워 유닛프레임(81)이 상기 파워 유닛 적재부재(76)(도 1참조)를 통하고, 상기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의 후단부의 상부에 탑재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특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 트랙프레임부(10B)의 폭방향 양측에 주행장치(11)를 배치하는 동시에,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의 전후 방향 중앙부 부근에 파쇄장치(16)를 배치하고, 이것을 사이에 끼도록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 전방측에 반송 컨베이어(3) 및 그 파쇄장치(16) 측단부 상방에 가압 컨베이어(5)를,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 후방측에 파워 유닛(9)을 배치하고, 또, 반출 컨베이어(7)를 본체프레임 파쇄기장착부(10A)의 하방의 파쇄장치(16)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본체프레임(10)의 후방측 외측 위치까지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체프레임(10)의 전방측, 후방측, 중앙부, 또는 하방측에 각 요소를 집중하여 균형있게 배치함으로써, 각 요소를 공간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또 하나의 특징은, 상기 앤빌(27a, 27b, 27c)중, 하류측에 위치하는 2개의 앤빌(27b, 27c)을 파쇄로터(20)에 대하여 진퇴조정함으로써, 파쇄로터와의 간극이 변경가능[상세하게는 파쇄로터(20)의 법선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다. 또, 파쇄로터(20) 회전방향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앤빌(27a)은 고정앤빌이다. 이하, 이들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도 5에 있어서, 89는 고정날지지체(지지부재), 89a는 그 브래킷부, 90은 고정날지지체 개폐용 유압실린더, 91은 실린더지지브래킷, 92는 파쇄유닛(4)의 고정 측 적정 부재[예를 들면, 상기 측판(15b) 등)에 장착된 상부가대이다.
상기 고정날지지체(89)는 상기 브래킷부(89a)와, 상기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 (R)을 따르도록 굴곡하여 연장 설치된 내벽부(89b)와, 상기 내벽부(89b)의 축방향(도 5중 지면에 수직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측벽부(89c, 89c)와, 상기 내벽부(89b)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도 5중 좌측) 단부 근방에 설치된 고정앤빌장착부(89d)와, 상기 내벽부(89b)를 둘레방향으로 대략 3분할하는 위치 2개소에 각각 설치된 가변앤빌수납부(89e)와,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단부에 설치된 장착부(89f)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린더지지브래킷(91)은 파쇄유닛(4)의 고정측 적정 부재[예를 들면, 상기가대(22) 등]에 고정된 지지가대(93)에 볼트(94)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상기고정날지지체브래킷부(89a)의 하단부는 상기 실린더지지브래킷(91)의 상단부와 핀(95)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지지브래킷(91)의 하단부에는 상기 고정날지지체 개폐용 유압실린더(90)의 하단부가 핀(96)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한편 상기 고정날지지체 개폐용 유압실린더(90)의 상단부는 핀(97)을 통하여 상기 고정날지지체브래킷부(89a)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날지지체장착부(89f)에는 관통공(89f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5에 나타내는 고정날지지체(89)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89fa)에 삽입한 볼트(98)를 상기 상부가대(92)에 미리 형성한 나사구멍(92a)에 나사삽입 체결함으로써, 고정날지지체(89) 전체가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상기의 고정앤빌(27a)은 로터축방향(도 5중 지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볼트구멍(27aa)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고정앤빌장착부(89d)의 로터축방향으로 복수개 형성한 관통공(89da)에 삽입한 볼트(99)를 상기 볼트구멍(27aa)에 나사결합함으로써, 고정앤빌장착부(89d)에 고정된다.
도 10은 상기 고정날지지체(89)중 상기 가변앤빌(27b)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89e)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5중 X-X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또, 가변앤빌(27c)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89e)에 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이들 2개를 더불어 설명한다.
이 도 10 및 전술한 도 5에 있어서, 상기 가변앤빌수납부(89e)는 상기 가변앤빌(27b 또는 27c)을 수납하는 막다른 골목형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게 되어 있고, 직경방향 최외주측(막다른 골목의 막다른 곳에 상당)에 위치하는 폐쇄판부(closure plate)(89e1)와, 상기 폐쇄판부(89e1)의 파쇄로터(20) 회전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벽부(89e2) 및 하벽부(89e3)를 구비하고 있다. 가변앤빌(27b, 27c)은 이들 폐쇄판부(89e1), 상벽부(89e2), 및 하벽부(89e3) 내에 형성되는 상기 막다른 골목형의 공간에 로터(20)의 법선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100은 가변앤빌의 로터축방향(도 10중 좌우방향) 복수개소에 형성한 장공(長孔)관통공이며, 상기 상벽부(89e2) 및 하벽부(89e3)에 로터 둘레방향(도 10중 지면에 수직방향)에 각각 형성한 관통공(89e2a 및 89e3a)에 관통시키는 볼트(101)를 상기 가변앤빌 장공관통공(10O)에 삽입 통과하여, 너트(102)를 체결함으로써, 가변앤빌(27b 또는 27c)이 장공관통공(100)과 볼트(101)의 결합에 의해서 가변앤빌수납부(89e) 내에 수납 유지된다[로터(20)측으로의 탈락이 방지된다].
103은 가변앤빌 초기위치설정용 볼트이며, 상기 폐쇄판부(89e1)에 형성한 관통공(89ela)을 통하여 가변앤빌(27b 또는 27c)에 형성한 나사구멍(104)에 나사 삽입된다. 105는 그 초기위치설정용 볼트(103)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이다. 또한 106은 가변앤빌 진퇴용 볼트이며, 상기 폐쇄판부(89e1)에 형성한 관통공(89e1b)을 지나서 가변앤빌(27b 또는 27c)에 형성한 나사구멍(107)에 나사 삽입된다.
또, 이들 볼트(103), 너트(10), 및 볼트(106)를 이용하여 행하는 가변앤빌(27b, 27c)의 진퇴 및 위치 결정 동작순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상 있어서, 반송 컨베이어(3)는 청구의 범위 각 항 기재의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 한쪽에 본체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피파쇄목재를 파쇄장치에 반송하는 반송수단을 구성하고, 주행장치(1l)는 본체프레임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주행수단을 구성한다.
또, 가압 컨베이어지지기구(55)는 가압 컨베이어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를 구성하고,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는 가압 컨베이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성한다.
또, 고정앤빌(27a)은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설치된 제1 고정날을 구성하고, 가변앤빌(27b, 27c)은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진퇴조정가능 또는 교환가능하게 설치된 제2 고정날을 구성하고, 이들 고정앤빌(27a)과 가변앤빌(27b, 27c)이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진퇴조정가능 또는 교환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날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일 실시예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1- (I) 자주시(自走時)
자주식 목재 파쇄기를 자주시킬 때에는, 조작자가 상기 운전석(77)의 좌·우 조작레버(108a, 109a)를 조작함으로써, 그 조작에 따라서 좌·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전환되고, 상기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압유가 이들 좌·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14L, 14R)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무한 궤도 크롤러벨트(13)가 구동되어 주행장치(11)가 전진·후진 주행한다.
1- (Ⅱ) 파쇄작업시
파쇄작업시에는, 조작자가 예를 들면, 운전석(77)에 설치된 조작 패널(도시하지 않음)의 자기 분리기 기동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반출 컨베이어기동스위치(도시하지 않음), 파쇄장치기동스위치(도시하지 않음), 가압 컨베이어기동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및 반송 컨베이어기동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순차적으로 누름으로써, 그 조작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를 통하여 구동신호로서 출력된다. 이들 구동신호는, 자기 분리기용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 반출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 가압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 및 반송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되어 이들 컨트롤 밸브가 전환되고, 상기 유압 펌프로부터의 압유가 각 컨트롤 밸브를 통하여 대응하는 유압액츄에이터[자기 분리기용 유압모터(75),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68),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39)]에 공급되고, 이들이 구동된다.
이에 따라, 자기 분리기용 유압 모터(75)는 자기 분리기 벨트(74)를 자력발생수단(도시하지 않음) 주위로 회전구동하고,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68)는 컨베이어벨트(69)를 순환구동하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 24)는 파쇄로터(20)의 회전축(20a)을 구동하여 파쇄로터(20)를 고속회전시켜,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는 구동롤러(43)를 통하여 반송체(44)를 순환구동하고,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39)는 이송롤러(29)를 통하여 반송체(31)를 순환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자기 분리기(8), 반출 컨베이어(7), 파쇄장치(16), 가압 컨베이어(5), 및 반송 컨베이어(3)가 기동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적정의 작업구 또는 수작업(입력)에 의해 호퍼(2) 내에 피파쇄물(피파쇄목재 등)을 투입하면, 호퍼(2)에서 받아들인 피파쇄물이 반송 컨베이어(3)의 반송체(31)의 반송판(48) 상에 탑재되고, 호퍼(2)의 측벽(2b)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측으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반송된다.
이와 같이 후방으로 반송되고 있던 피파쇄물은, 가압 컨베이어(5)의 전단 부근까지 오면, 그 상부가 가압 컨베이어(5)의 반송체(44)의 하부에 들어가도록 하여 가압 컨베이어(5)에 들어가고, 가압 컨베이어(5)의 자중으로 상부를 누름에 의해 가압 파지되고, 반송체(44)의 회전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3)와 협동하여 파지된 상태대로 후방측으로 도출되고, 상기 파쇄장치(16)로 도입된다. 또 이 때, 유압실린더(57)는 기본적으로 유지보수때에만 신축시켜 슬라이더(58)를 강제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파쇄때에 승강용으로는 사용하지 않고(단 급격한 승강을 억제하기 위한 댐퍼기능의 역할은 함), 가압 컨베이어(5)는 그 자중에만 의하여 피파쇄물을 가압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피파쇄물의 파쇄장치(16)에의 도입시에는, 가압 컨베이어(5)의 파쇄장치(16) 측 단부에 있는 누름롤러(42)와 이송컨베이어(3)의 파쇄장치(16) 측단부에 있는 이송롤러(29)로 협동하여 피파쇄물을 상하로부터 끼워넣도록 하여, 상기 끼워넣기부를 파쇄시의 파쇄지점으로 하면서, 그것으로부터 파쇄장치(16)측의 피파쇄물선단부를 파쇄로터(20)를 향하여 캔틸레버형으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이 돌출된 선단부로 회전하는 파쇄로터(20)의 파쇄비트(18)를 충돌시킴으로써, 비교적 꼼꼼하지 않게 피파쇄물 선단부를 부러뜨리는 또는 파쇄한다(1차 파쇄, 예비파쇄).
부러뜨려진 피파쇄물 선단부는 파쇄로터(20)의 외주측 공간을 파쇄로터(20)의 회전방향을 따르도록 유도되고, 앤빌(27a, 27b, 27c)에 순차 충돌하여 그 충격력에 의해서 더욱 미세하게 파쇄된다(2차 파쇄, 본 파쇄). 이와 같이 하여 파쇄된 목재파쇄물은 체 부재(26)의 개구부를 통과가능한 입도로 될 때까지 파쇄로터(20)의 외주측의 공간을 돌면서, 파쇄비트(18)나 앤빌(27a, 27b, 27c)에 의해서 또 충격력을 더하고 파쇄해 간다. 체 부재(26)의 개구부를 통과가능한 입도로까지 작아지면, 개구부를 통과하여 선별되어, 체 부재(26)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된 목재파쇄물은, 슈트(chute)(83)[도 3(a)참조]를 통하여 반출 컨베이어(7)의 컨베이어벨트(69) 상에 낙하된다. 반출 컨베이어(7)는 순환구동되는 컨베이어벨트(69)에 의해서 상기 목재파쇄물을 후방측으로 운반하고, 최종적으로 목재파쇄물을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후부로 리사이클제품으로서 반출한다.
이 때, 반출 컨베이어(7)의 반송 도중의 목재파쇄물에 대하여, 자기 분리기(8)가, 회전구동되는 자기 분리기 벨트(74) 넘어로 자력발생수단으로부터의 자력을 작용시켜, 컨베이어벨트(69) 상의 자성물을 자기 분리기 벨트(74)에 흡착시킨 후, 컨베이어벨트(69)와 대략 직교하는 방향(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으로 운반하여, 상기 반출 컨베이어(7)의 프레임(66)에 설치된 슈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컨베이어벨트(69)의 옆쪽에 낙하시켜 배출한다.
1- (Ⅲ) 가변앤빌의 진퇴동작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피파쇄물에 대하여 파쇄로터(20)의 파쇄비트(18)를 충돌시켜 우선 파쇄(1차 파쇄)한 후, 그 파쇄편을 또 파쇄로터(20) 외주측 로터회전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고정날로서의 앤빌(27a, 27b, 27c)에 순차 충돌시켜 한층더 파쇄(2차 파쇄)를 행한다. 그리고, 파쇄편이 파쇄로터(20) 외주측에 설치된 체부재(26)의 복수의 개구부의 개구면적 이하로까지 미세하게 파쇄되어, 그 개구부로 외부에 도출된다.
이 때, 앤빌(27a, 27b, 27c)에 의한 파쇄후의 파쇄편의 크기는, 앤빌(27a, 27b, 27c) 날과 파쇄로터(20)와의 간극[상세하게는 앤빌(27a, 27b, 27c)과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의 간극치수]에 의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2개의 가변앤빌(27b, 27c)이 파쇄로터(20)에 대하여 진퇴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진퇴동작 및 그것에 앞서는 초기위치설정동작에 대해, 이하 순서를 따라 설명한다.
우선 상기 [1- (Ⅱ)]와 같은 파쇄작업을 개시하기 이전에, 초기위치설정용 볼트(103)를 이용하여 상기 가변앤빌(27b, 27c)의 초기위치설정을 행한다. 즉, 진퇴용 볼트(106)를 크게 느슨하게 하거나 또는 분리한 상태로써, 초기위치설정용 볼트(103)의 헤드부를 상기 폐쇄판부(89e1)에 접촉시키면서, 볼트(103)를 회전시키면서 앤빌(27b 또는 27c)을 로터(20)측으로 오게하고, 앤빌(27b 또는 27c)이 바로 상기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에 도달하면(또는 도달하기 직전이면), 그 상태에서 볼트(103)에 나사 결합되는 상기 너트(105)를 체결하여, 상기 회전궤적(R) 대략 도달상태로 될 때의 볼트(103)와 앤빌(27b 또는 27c)과의 상대위치관계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초기위치(초기가동범위, 가장 로터 근처에 이동가능한 이동한계)를 설정함으로써, 이후 파쇄작업을 개시할 때에 최소한 앤빌(27b, 27c)이 회전궤적(R)의 내측까지 침입하여 파쇄비트(18)와 강하게 접촉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초기위치설정이 종료되면, 다음에 진퇴용볼트(106)를 (분리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새로 장착하여) 적절히 시계회전 또는 반시계회전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앤빌(27b 또는 27c)을 파쇄로터(20)측에 또는 그 반대측에 진퇴시키고, 이들 앤빌(27b 및 27c)과 파쇄로터(20)의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의 간극치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1) 기기배치 위치에 따른 효과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서는, 주행장치(11), 파쇄유닛(4), 반송 컨베이어(3), 가압 컨베이어(5), 반출 컨베이어(7), 이들 피구동부재를 구동하는 유압액츄에이터[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14L, 14R),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39),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68)] 및 상기 유압액츄에이터의 구동원으로 되는 파워 유닛(9) 등의 각 요소를, 본체프레임(10)의 전방측, 후방측, 또는 하방측에 균형있게 집중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요소를 공간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근래의 목재파쇄플랜트 용지의 확보곤란화, 협소화 등이나 반송경로상의 관점에서의 소형화의 요청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방측에 반송 컨베이어(3), 후방측에 반출 컨베이어(7)를 배치하여 이른바 전입(前入) 후출(後出) 구조로 함으로써, 피파쇄목재를 호퍼(2) 및 반송 컨베이어(3)로부터 또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 또는 우측 또는 좌측의 3방향측에 적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파쇄된 목재파쇄물을 이들 피파쇄목재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로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가동현장에서의 레이아웃 자유도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1- (2) 가변앤빌의 진퇴동작에 따른 효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가변앤빌(27b, 27c)을 파쇄로터(20)에 대하여 진퇴시켜 그 간극치수를 적절히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가변앤빌(27b, 27c)에 의하여 파쇄편을 원하는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 입도측이나 대 입도측 여하를 불문하고, 파쇄물을 원하는 입도로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입도에 대응한 개구면적의 개구부를 구비한 체 부재(26)로 교환하는 동시에, 가변앤빌(27b, 27c)의 간극치수를 그 입도에 대응한 값으로 조정함으로써, 양호한 파쇄효율로 소망 입도범위로 조정한 파쇄물을 얻을 수 있다.
또, 체 부재(26)로 선정하기 전에 미리 가변앤빌(27b, 27c) 측에서 최종적으로 얻고 싶은 소망의 입도 근처로까지 미립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앤빌(고정날)을 고정하면서 체 부재의 교환만으로 입도 조정을 행하고 있었던 종래 구조와 비교하여, 체 부재의 막힘이나 조기마모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가변앤빌(27b, 27c)을 진퇴시켜, 앤빌(27a, 27b, 27c)을, 각각의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과의 간극치수가 파쇄로터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즉, 앤빌 27a 보다도 27b의 쪽이 상기 간극이 작고, 또 앤빌 27b 보다도 앤빌27c의 쪽이 상기 간극이 작아지도록) 배치함으로써, 다단계(이 예에서는 3단계)로 순차적으로 입도를 작게 파쇄해 나갈 수 있기 때문에, 파쇄효율을 더욱 향상할 수 있다.
1- (3) 기타
1-① 전체 유압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각 액츄에이터[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39),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68), 자기 분리기용 유압 모터(75),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14L, 14R), 및 가압 컨베이어 상하 이동용 유압실린더(57) 등]을 엔진을 구동원으로 한 전체 유압구동 방식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파쇄로터(20)가 클러치를 통한 엔진직동방식(直動方式)의 경우에서는 별도로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14L, 14R)용 대형 유압원(대형 유압 펌프 등)이 필요하게 되는데 대하여, 상기 전체 유압구동 방식에서는 각 유압액츄에이터 중 특히 큰 유압원이 필요한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14L, 14R)와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의 유압원(유압 펌프)을 공용할 수 있고, 구동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엔진직동방식의 경우에는 파쇄로터에 과부하가 생기면 엔진이 스톨(stall)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데 대하여, 본 실시예와 같은 전체 유압구동 방식의 경우에는, 파쇄로터(20)에 과부하가 생긴 경우에는 엔진의 회전수를 내리거나 릴리프밸브[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6의 릴리프밸브(151A, 151B) 참조]를 작동시키는 등에 의하여, 엔진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스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파쇄로터(20)에 과부하가 생긴 때는 파쇄로터(20)의 역회전 구동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지만, 상기 엔진직동방식의 경우에는 역회전 구동시키는 경우에는 기어기구가 복잡하게 되는데 대하여, 유압구동 방식에서는 컨트롤 밸브[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7의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 도 29의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 참조]의 전환에 의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엔진직동방식의 경우에는 파쇄로터는 클러치를 통하여 엔진과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엔진과 파쇄장치를 분리할 수 없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파워 유닛(9) 및 파쇄유닛(4)과 같이 엔진 주위와 파쇄장치주 위를 유닛화하여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쇄유닛(4)을 커버로 덮음으로써 파쇄장치 주위를 커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파쇄시에 발생하는 미세한 파쇄편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파워 유닛(9)을 커버로 덮음으로써 엔진 주위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커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파쇄장치로부터 발생한 미세한 파쇄편이 고열을 발생하는 엔진부에서 발화되는 것 같은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파워 유닛(9)의 내부에 엔진과 함께 각 유압 액츄에이터의 컨트롤 밸브 등을 밀폐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가동현장에서의 모래 먼지나 상기 파쇄편 등이 맛물림에 의한 컨트롤 밸브의 동작불량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내환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유닛화 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파쇄장치에 더 큰 동력이 필요하게 될 때에, 유압호스 및 장착 볼트의 착탈을 행하여 파워 유닛을 통째로 교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1-② 가압 컨베이어의 수직상하 이동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의 유압실린더(57)가 신축함으로써, 가압 컨베이어(5)는 수직상하 방향으로 가동한다. 이에 따라, 피파쇄목재의 파쇄시에 가장 큰 힘이 작용하는 가압 컨베이어(5)와 반송 컨베이어(3)에 의한 피파쇄목재의 끼워넣기부(파쇄지점)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전술한 종래 구조와 같이 가압롤러가 상방향으로 회전할수록 파쇄로터에서 멀어지도록 요동하여 파쇄지점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큰 힘이 작용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강도 설계면에서 우수하다. 또, 가압 컨베이어(5)가 수직상하 방향으로 가동함으로써, 고부하시에 파쇄로터를 역회전 구동시키면서 반송 컨베이어(3) 및 가압 컨베이어(5)도 역회전 구동시키는 경우 등에, 정회전·역회전 동작의 이행을 비교적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1-③ 누름롤러의 소직경화에 의한 효과
파쇄로터(20)의 파쇄비트(18)에 의해 일차 파쇄된 파쇄편의 크기는, 가압 컨베이어(5)의 누름롤러(42)의 상기 파쇄지점과 파쇄로터(20)의 거리에 의존한다. 이로 인하여, 파쇄지점과 파쇄로터(20)의 거리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1차 파쇄후의 파쇄편의 크기도 비교적 커지고, 상기 파쇄편은 체 부재(26)를 통과할 수 있는 입도로 될 때까지 파쇄로터(20)의 외주를 몇번이나 돌게 되어, 비효율적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컨베이어(5)의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가 구동롤러(43)측에 배치되는 구조로 함으로써, 누름롤러(42)의 소직경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전술한 종래 구조와 같이 가압롤러가 비교적 대직경인 경우와 비교하여 누름롤러(42)와 파쇄로터(20)의 거리를 작게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파쇄후의 파쇄편을 작게 할 수 있어, 파쇄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압 컨베이어(5)는 수직으로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구조와 같이 가압롤러가 상방향으로 회전할수록 파쇄로터에서 멀어지도록 요동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큰 피파쇄목재를 가압하는 경우에도 파쇄지점과 파쇄로터(20)의 거리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실하게 파쇄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 및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그와 같은 변형예를 설명한다.
[1] 장착 위치의 변경에 의한 간극조정 구조
도 11은 이 변형예에서, 상기 가변앤빌(27b)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89e)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 도 11에 있어서, 도 10과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 가변앤빌(27c)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89e)에 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다.
이 도 11에 있어서, 본 변형예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가변앤빌 초기위치설정용 볼트(103)나 가변앤빌 진퇴용 볼트(106)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변앤빌(27b, 27c)의 로터 법선방향으로 복수(이 예에서는 2개소) 형성한 관통공(100U, 10OL)에 앤빌 위치결정용 볼트(101A)를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가변앤빌(27b, 27c)의 장착 위치를 복수단(이 예에서는 2단)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벽부 관통공(89e2a) 및 하벽부 관통공(89e3a)에 삽입 통과하는 볼트(101A)를, 가변앤빌(27b 또는 27c) 중 상대적으로 로터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관통공(100U)에 삽입하여 위치 결정하여 너트(102)로 고정하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거리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로터 직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관통공(100L)에 볼트(101A)를 삽입하여 위치 결정 고정하면,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거리를 크게 취할 수 있다. 이렇게하여 가변앤빌(27b, 27c)을 로터방향으로 진퇴시켜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가변앤빌(27b, 27c)의 로터 법선방향으로 복수 형성한 둥근구멍 관통공에 볼트를 선택적으로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로터 법선방향의 하나의 장공을 가변앤빌(27b, 27c)에 형성하고, 상기 장공으로 삽입 통과되는 볼트 삽입 통과위치를 적절히 변경함에 의하여도 상기와 같이 가변앤빌(27b, 27c)에서 파쇄비트회전궤적(R)까지의 간극거리를 조정할 수 있어, 이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2] 다른 종류의 앤빌의 가능한 착탈구조
도 12 및 13은, 이 변형예에서의, 상기 가변앤빌(27b)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89e)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 10 및 상기 변형예[1]의 도 11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과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가변앤빌수납부(89e) 내에서 파쇄로터(20)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길이가 상이한 복수의(이 예에서는 2개의) 가변앤빌(27b')을 준비 해두고, 이들을 착탈함으로써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을 바꾸는 것이다.
도 12는 볼트(101B)를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100B)의 중심에서 로터측 선단부까지의 거리(L1)가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돌출 길이(L2)가 상대적으로 큰 가변앤빌(27b' -1)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이 비교적 작아지고 있다. 도 13은 관통공(100B)의 중심에서 로터측 선단부까지의 거리(L1)가 상대적으로 짧게 상기 돌출 길이(L2)가 상대적으로 작은 가변앤빌(27b' -2)을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이 비교적 커지고 있다. 또, 가변앤빌(27c)에 관해서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착탈가능한 가변앤빌(27b' -1, 27b' -2)을 적절한 교환함으로써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 다른 종류의 고정날[이른바 카운터커터(counter cutter)]을 이용하는 구조
도 14는 본 변형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서의 파쇄유닛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며,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 도 14에 있어서 도 5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이 도 14에 있어서, 110은 카운터커터이며, 파쇄로터(20) 외주측 영역중, 도 5에 나타낸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조에서의 상기 가변앤빌수납부(89e)의 배치위치에 상당하는 위치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커터(110)는 상기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에 대략 따르도록 굴곡되어 연장 설치된 파쇄비트장착부(110a)와, 상기 파쇄비트장착부(110a)의 로터축방향(도 14중 지면에 수직방향) 양단부에 설치된 측벽부(110b, 110b)와, 상기 파쇄비트장착부(110a)의 로터 정회전방향(도 14중 화살표 ア방향)측 및 그 반대 측단부에 로터직경방향으로 설치된 구획 벽부(110c, 110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쇄비트장착부(11Oa)에는, 로터 둘레방향에서의 복수의 위치(이 예에서는 2개소)에, 장착구(111)를 통하여 파쇄비트(18)와 대략 동일한 구조의 파쇄비트(112a, 11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장착구(111)의 외주측에는 나사부(1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파쇄비트장착부(110a)에 형성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내주측에서 외주측으로 상기 나사부(111a)를 돌출시킨 후, 그 돌출부분에 너트(113)를 체결함으로써, 파쇄비트(112a 또는 112b)가 파쇄비트장착부(110a)에 고정된다.
단, 이 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형상의 파쇄비트장착부(111a)의 중심위치는 파쇄로터(20)의 축 중심위치(바꿔 말하면, 회전축(20a)의 축 중심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어긋난 편심구조로 되어 있고, 그 결과,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 사이의 간극치수는, 상기의 고정앤빌(27a) 보다도 상기 파쇄비트(112a)의 쪽이 작고, 또 상기 파쇄비트(112a) 보다도 상기 파쇄비트(112b)의 쪽이 작고, 즉 이들 3개의 고정날(27a, 112a, 112b)에 관하여, 파쇄로터(20)의 회전방향 하류측일수록 상기 간극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4에서는 대표로서 2개의 파쇄비트(112a, 112b)를 도시하고 있지만, 파쇄로터 축방향(지면에 수직방향)에도 복수열의 파쇄비트(112)가 적정한 배열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14는 상기 지지부재(25)에 대하여 상기 체 부재(26)를 지지하는 중간부재이며, 둘레방향에 2분할구조로 되어 있는 체 부재(26, 26)의 각각의 외주측에서 또한 지지부재(25)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중간부재(114)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적 로터직경방향에서의 치수가 크게 구성되어 있고, 이로 인해, 둘레방향 2개의 중간부재(114, 114) 및 이것에 대응하는 체 부재(26, 26)중 한 쌍의 중간부재(114) 및 체 부재(26)의 조립체가, 상기 카운터커터(110)와 대략 동등한 크기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 카운터커터(110) 또는 조립체(114, 26)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적절히 교환가능하다.
또,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파쇄로터(20)가 양방향으로 회전가능, 즉 도면중 화살표 ア로 나타내는 정회전방향과, 화살표 イ로 나타내는 역회전방향의 양쪽으로 회전가능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고정앤빌은 정회전용 앤빌(27a)과 역회전용 앤빌(27a')이 설치되고, 또 파쇄로터(20)의 파쇄비트도 정회전용 파쇄비트(18a)와 역회전용 파쇄비트(18b)가 설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나 변형예[1][2]와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커터(110)는 가능하게 착탈가능한 것에서, 미리 파쇄비트장착부(110a)의 형상이 상이한 복수의 카운터커터(110)를 준비해두면, 이들을 착탈하여 교체함으로써 파쇄비트 회전궤적(R)까지의 간극을 변경하여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카운터커터(110)마다 교체함으로써 회전궤적(R) 까지의 간극치수를 조정할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도 있다. 즉, 상기 카운터 커터(110)를 예를 들면, 상단부 부근에 설치된 요동지점 주위에 공지된 요동기구에 의해서 파쇄로터(20)에 대하여 진퇴요동가능한 구조로 하면, 그 요동에 의해서 파쇄비트(112)와 상기 파쇄로터 파쇄비트 회전궤적(R) 사이의 간극치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예를 들면, 장착구(111)와 파쇄비트장착부(110a)의 사이에 스페이서부재(도시생략)을 개재시키도록 하면, 두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스페이서부재를 적절히 교체함(또는 개재시키는 경우와 개재시키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여 사용함)에 의해, 동일한 카운터커터(110)를 이용하면서도, 파쇄비트(112)와 상기 파쇄로터 파쇄비트 회전궤적(R) 사이의 간극치수를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또, 상기에서, 파쇄로터(20)의 회전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차로 배치된 카운터 커터(110), 상기 조립체(114, 26), 및 조립체(114, 26)의 3개가 각각 동등한 크기인 것은 전술한 했지만, 이들을 서로 교환·교체 등을 포함하여 그 둘레방향 3개소에 설치가능하게 하더라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측에서 순차로(도 14중 시계방향으로) 카운터커터(110), 상기 조립체(114, 26), 및 조립체(114, 26)와 같이 배치하는 이외에, 파쇄태양 또는 파쇄물의 종류, 용도 등에 따라서, 상류측에서 순차로 상기 조립체(114, 26), 카운터커터(110), 및 조립체(114, 26)와 같이 배치하거나, 카운터커터(110), 조립체(114, 26), 및 카운터커터(110)와 같이 배치하거나, 전부를 상기 조립체(114, 26)로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더라도 된다. 또 특히 로터(20)의 역회전방향 대응에 배려하는 경우에는, 상류측에서 순차로(즉, 이 경우는 도 14중 반시계방향으로) 카운터커터(110), 상기 조립체(114, 26), 및 조립체(114, 26)와 같이 배치하는 것도 고려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 15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5는, 상기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파쇄유닛(4) 부근의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구조의 일부 투시 측면도이며, 전술한 일 실시예의 도 4 및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도 4 및 도 5와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도 15 및 도 16에 있어서, 고정날지지체(89')는, 고정측부재로서 상기 베이스부(15)에 고정된 고정부(89'A)와, 상기 고정부(89'A)의 상방에서 파쇄로터(20)의 최상부(정상부)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부(15)에 대하여 대략 수평방향을 축 중심방향으로 하는 핀(120)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회전부(89'B)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고정앤빌(27a)은 상기 회전부(89'B)에, 상기 가변앤빌(27b, 27c)은 상기고정부(89'A)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89'B)의 상기 고정부(89'A)측의 상단부, 및 상기 고정부(89'A)의 상기 회전부(89'B)측의 상단부에는, 각각 시어핀지지부(shear pin supports)(121, 122)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시어핀지지부(121, 122)의 사이를 가설하여 걸치도록, 시어핀(123)이 설치되어 있다.
도 17은 이 시어핀(123)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16중 부분 추출 확대도이며, 도 18은 도 17중 C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이들 도 17, 도 18, 및 도 16에 있어서, 시어핀(123)은 이 종류의 것으로서 공지된 것이며, 예를 들면 노치부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응력집중부(123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 회전부(89'B)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핀(120)주위에 자유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시어핀(123)을 통하여 고정부(89'A)와 접속되는 것에 의하여만 정지 유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89'B)에 배치된 상기 고정앤빌(27a)에 파쇄로터(20)를 따른 방향의 과대한 힘이 작용하여 시어핀(123)의 응력집중부(123A)에서 견딜 수 있는 이상의 과대한 응력이 발생할 때, 여기에서 시어핀(123)이 파단되고, 회전부(89'B)가 핀(120)주위에 도 16중 ウ방향[바꿔 말하면, 파쇄로터(20)의 회전방향을 따른 방향)에 과대한 부하에서 벗어나도록 회전하여, 이 위치에 개구부를 창출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89'A) 측에 설치된 시어핀지지부(122)에는, 회전부(89'B)의 상기 회전의 검출수단으로서, 공지된 접촉식의 리미트 스위치(124)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 때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124)의 회전핀(124a)이 시어핀지지부(121)보다 돌출되어 설치된 걸림부재(125)에 의해서 걸려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회전부(89'B)가 핀(120) 주위로 회전하면, 이것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핀(124a)이 상기 걸림부재(125)의걸림상태로부터 개방되어 도 17중 화살표 エ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회전핀(124a)의 회전을 전기적으로 검출하여 케이블(126)을 통하여 검출 신호로서 컨트롤러(161)(후술하는 도 26참조)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6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고정날지지체 고정부(89'A)는 상기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을 따르도록 굴곡되어 연장 설치된 내벽부(89'b)와, 상기 내벽부(89'b)를 둘레방향으로 3분할하는 위치 2개소에 각각 설치된 가변앤빌수납부(89'e, 89'e)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는 상기 가변앤빌수납부(89'e, 89'e)중 상기 가변앤빌(27b)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89'e)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16중 IXX-IXX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며,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의 도 10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또, 가변앤빌(27c)을 수납하는 가변앤빌수납부(89'e)에 관해서도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 19를 참조하면서 이들 2개를 더불어 설명한다.
이 도 19 및 전술한 도 16에 있어서, 상기 가변앤빌수납부(89'e)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가변앤빌수납부(89e)와 같이 상기 가변앤빌(27b 또는 27c)을 수납하는 막다른 골목형의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직경방향 최외주측(막다른 골목의 막다른 곳에 상당)에 위치하는 폐쇄판부(89'e1)와, 상기 폐쇄판부(89'e1)의 파쇄로터(20) 회전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벽부(89'e2) 및 하벽부(89'e3)를 구비하고 있다. 가변앤빌(27b, 27c)은 이들 폐쇄판부(89'e1), 상벽부(89'e2), 및 하벽부(89'e3) 내에 형성되는 상기 막다른 골목형의 공간에 로터 법선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100'는 가변앤빌(27b 또는 27c)의 로터 축방향(도 19중 좌우방향) 복수 개소에 형성한 장공 관통공이며, 상기 상벽부(89'e2) 및 하벽부(89'e3)에 로터 둘레방향(도 19중 지면에 수직방향)에 각각 형성한 관통공(89'e2a) 및(89'e3a)에 관통되는 볼트(101')를 상기 가변앤빌 장공 관통공(100')에 삽입 통과시키고, 너트(102')를 체결함으로써, 가변앤빌(27b 또는 27c)이 장공 관통공(100')과 볼트(101')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가변앤빌수납부(89'e) 내에 수납 유지된다[로터(20)측으로의 탈락을 방지한다].
127은 가변앤빌 진퇴용 볼트이며, 상기 폐쇄판부(89'e1)에 형성한 관통공(89'e1b)를 지나서 가변앤빌(27b 또는 27c)에 형성한 나사구멍(107)'에 나사 삽입된다.
128은 스페이서부재이며, 폐쇄판부(89'e1)와 가변앤빌(27b 또는 27c)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단면이 직사각형상의 삽입부(128a)와, 손잡이부(128b)와, 이들 삽입부(128a) 및 손잡이부(128b)를 접속하는 접속부(128)로 구성되어 있다. 또, 129는 원환형의 스페이서 고정판이며, 상기 고정날지지체측벽부(89c, 89c)중 자주식 목재 파쇄기좌측(도 19중 좌측)의 측벽부(89c)의 외주면(89c1)에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 고정판(129)에는, 파쇄로터(20)의 법선방향 및 상기 법선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각각 2개소씩 합계 4개소 나사구멍(129a)이 형성되어 있다(또한 도 15 참조).
상기 스페이서부재(128)는 측벽부(89c)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부(128a)를 폐쇄판부(89'e1)와 가변앤빌(27b 또는 27c)의 사이에 삽입시키고, 2개의 스페이서 고정볼트(130)가 상기 접속부(128c)의 양단 2개소에 형성된 관통공(128c1)을 지나서 상기 스페이서 고정판(129)의 나사구멍(129a)에 체결함으로써, 고정날지지체(89)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도 15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 고정볼트(130, 130)를 상기 스페이서 고정판(129)의 로터 법선방향으로 형성한 나사구멍(129a, 129a)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폐쇄판부(89'e1)와 가변앤빌(27b 또는 27c)과의 거리는 삽입부(128a)의 직사각형 단면에서의 길이치수(L3)(도 15 및 도 19참조)로 되고, 로터 법선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한 나사구멍(129a, 129a)에 체결하는 경우에는, 폐쇄판부(89'e1)와 가변앤빌(27b 또는 27c)과의 거리는 삽입부(128a)의 직사각형 단면에서의 가로 방향 치수(L4)(도 15참조)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페이서부재(128)를 이용하여 행하는 가변앤빌(27b, 27c)의 진퇴동작순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도 16에 있어서, 파쇄외경(R)의 외주측 영역중, 그레이트(26) 및 그레이트 지지부재(25)의 상기 반송 컨베이어(3)측(도 16중 좌측)의 피파쇄목재 투입부에는, 그레이트 지지구조체(1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레이트 지지구조체(131)는 상기그레이트 지지부재(25)를 지지하는 지지가대(131a)와, 상기 파쇄외경(R)의 직경방향 외주측에 위치하는 파쇄실 벽면부(131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쇄실 벽면부(131b)의 상부에는, 대략「レ」자형상의 가이드판부재(13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판부재(132)는 연직상하 방향 보다도 약간 경사지게 배치되는 파쇄목재 튀어나옴 방지부(132a)와, 대략 수평으로 설치된 피파쇄목재 도입부(13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파쇄목재 튀어나옴 방지부(132a)는 상세하게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쇄로터(20)의 회전방향(도 16중 화살표 ア방향)을 향하여 파쇄외경(R)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바꿔 말하면, 파쇄외경(R)의 접선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도 16참조)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파쇄목재의 뛰어 나옴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피파쇄목재 도입부(132b)는 그 높이 방향 위치가 이송롤러 회전궤적(S)의 최상부(정상부) 위치보다 낮아지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그 이송롤러(29)측(도 16중 좌측) 단부(132ba)가 이송롤러(29)의 회전궤적(S)의 근방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도 16에 있어서, 가압 컨베이어(5')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가압 컨베이어(5)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3)의 파쇄장치(16) 측단부의 상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20은 이 가압 컨베이어(5')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 16중 주요부 추출 확대도이며, 도 21은 도 16중 XXI-XXI 단면에 따른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이들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가압 컨베이어(5')는 반송 컨베이어(3)의 상방 및 파쇄장치(16)의 근방[상세하게는 파쇄장치(16) 측단부]에 설치되고, 반송 컨베이어(3)의 상기 이송롤러(29)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스프로킷형의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누름롤러(42')와, 그 반대측(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방측, 피파쇄목재의 도입측)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롤러(42')와 대략 동일한 직경의 스프로킷형의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구동롤러(43')와, 이들 구동롤러(43') 및 누름롤러(42')의 사이에 각각 감아 돌려 설치된 복수열(이 예에서는 4열)의 반송체(13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반송체(133)는 폭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다수의 링크부재(134)를 핀(135)을 통한 결합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관절결합하여 이루어지는 무단형(엔드리스)의 링크(136)와, 이들 무단형 링크(136)의 외주측에서 각 링크부재(134)에 각각 장착되어 피파쇄목재의 반송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가압판(137)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4열로 나란히 선 반송체(133)는, 특히 명확한 도시를 생략하지만, 인접하는 것끼리의 가압판(137)의 배치가 1/2피치씩 어긋난 이른바 지그재그 배열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피파쇄목재의 가압·파지능력의 강화가 도모되어 있다.
도 22(a)∼(d)는 이 가압판(137)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a)는 도 20중 D부 확대도에 상당하는 가압판(137)의 측면도이며, 도 22(b)는 그 정면도이며, 도 22(c)는 그 평면도이며, 도 22(d)는 도 22(c)중 E-E 단면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 22(a)∼(d)에 있어서, 가압판(137)은 대략 삼각형의 횡단면 형상(측면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이른바 삼각슈(shoe)]. 상기 가압판(137)은 폭방향[도 22(b) 또는 도 22(c)중 좌우방향]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좌우 가압부(137A, 137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가압부(137A, 137A)에는, 반송체(133)의 내주측을 향하도록 오목부(137a, 137a)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부(137a, 137a)의 폭방향 중앙측에는 전술한 링크부재(134)에 장착하기 위한 좌우 브래킷(137b, 137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판(137)의 가장 큰 특징으로서, 상기 가압부(137A, 137A) 끼리의 사이를, 횡단면 대략 삼각형의 소단면의 접속부(137B)에서 접속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134)의 장착부[브래킷(137b)의 근방]에 대응하는 위치에, 목재편의 막힘 방지용 개구부(138)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반송체(133) 내에 들어온 목재편(파쇄목재)을, 도 22(d)중 화살표 オ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체(133)의 외측으로 배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를 다시 참조하면, 49'는 상기 구동롤러(43', 43')의 직경방향 내주측에 각각 수납 배치하여 설치한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이다.
도 23은 도 16중 F 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며, 도 24는 도 23중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및 그 근방부의 상세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상당의 도면이다.
이들 도 23 및 도 24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는 후술하는 슬라이더(58')의 접속빔부(58'b)에 장착한 4개의 누름롤러 지지프레임체(139)중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누름롤러 지지프레임체(139, 139)에 설치된 유압 모터 지지프레임(140, 140)에 각각 고정되고, 반송체(133)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49')의 대직경의 구동력출력부(49'a, 49'a)에 대하여, 상기 4개의 스프로킷형의 구동롤러(43')중 목재 파쇄기의 폭방향 양단에 위치하는 구동롤러(43', 43')가 고정되어 있다. 또, 4개의 구동롤러(43')중 상기 폭방향 양단의 2개를 제외하는 중간부의 구동롤러(43', 43')는 상기 2개의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49)'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공통의 구동축체(49'b)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4개의 스프로킷형의 누름롤러(42')의 각각은, 각 누름롤러 지지프레임체(139) 내에 수납되어 스프링(141a)을 통하여 구동롤러(43')에서의 이간방향으로 가압되는 가동베어링체(141b)에 의해서 그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을 지지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이들 누름롤러(42')는 그 회전축이 구동롤러(43')측[파쇄장치(16)와 반대측]에 변위가능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다.
또, 4개의 누름롤러 지지프레임체(139)의 각각은, 그 하부 및 상부에 무단형 링크(136)의 순환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롤러(139a, 139b) 및 가이드판부재(139c)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압 컨베이어(5')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에 의해서 수직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25는 이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도 25 및 전술한 도 21에 있어서,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는 좌·우 한쌍의 상기 유압실린더(57, 57)와, 이들 유압실린더(57, 57)의 타단(상단)에 접속되는 브래킷부(58'a)를 좌·우 양측 단부에 구비하고, 이들 유압실린더(57, 57)를 신축시키면서 수직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58')를 가지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58')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상기 반송체(133)의 내주측에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접속빔부(58'b)와, 세로빔부(58'c, 58'c)와, 상기 브래킷부(58'a, 58'a)와, 수평빔부(58'd)를 구비하고 있다. 또, 142는 링크식의 가이드부재이며, 상기 세로빔부(58'c)에 설치된 브래킷(142a)과, 전술한 파쇄장치유닛(4)의 상부가대(92)에 설치된 브래킷(142b)과, 이들 브래킷(142a, 142b)을 연결하는 링크부재(142c, 142d)를 구비하고 있다(도 20도 참조). 상기 가이드부재(142)는 상기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 세로빔부(58'c)와 파쇄장치 상부가대(92)를 연결하고,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58') 및 가압 컨베이어(5')가 일체로 되어 상하 이동할 때에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도록 가이드하게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 세로빔부(58'c, 58'c)의 파쇄장치(16)측에 파쇄목재의 감김 방지벽(143)이 볼트(143A)에 의해 고정되고,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에 의해서 가압 컨베이어(5')와 동시에 수직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감김 방지벽(143)은, 그 하단부(143a)의 높이 방향 위치가 최소한 누름롤러(42')의 축 중심위치 X(도 16참조)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낮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고, 가압 컨베이어(5')의 파쇄장치(16)측 단부의 상반부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파쇄목재의 가압 컨베이어(5')로의 감김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함).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상세구성을 순서를 따라 설명하면서, 본 실시예의 특징의 하나인 고정날지지체회전부(89'B) 회전시의 파쇄장치(16)의 정지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전체구성
도 26은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의 전체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6에 있어서, 144는 엔진, 145A, 145B, 145C는 상기 엔진(144)에 의해서 구동되는 가변용량형의 제1 유압 펌프 및 제2 유압 펌프 및 고정용량형의 제3 유압 펌프, 146은 동일하게 엔진(144)에 의해서 구동되는 고정용량형의 파일럿펌프, 14L, 14R, 24, 39, 49', 57, 68, 75는 제1, 제2 , 제3 유압 펌프(145A, 145B, 145C)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각각 공급되는 각 유압액츄에이터(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 가압 컨베이어 상하 이동용 유압실린더,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 자기 분리기용 유압 모터), 147A, 147B, 147C는 상기 제1, 제2 , 제3 유압 펌프(145A, 145B, 145C)로부터 상기 각 유압액츄에이터(14L, 14R, 24, 39, 49', 57, 68, 75)에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방향 및 유량, 또는 유량만)을 제어하는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154L, 154R, 153, 165) 등(상세한 것은 후술)을 내장하는 제1, 제2, 제3 제어밸브장치, 108a, 109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석(77)에 설치되고, 제1 제어밸브장치(147A) 내의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후술) 및 제2 제어밸브장치(147B) 내의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후술)를 각각 전환하고 조작하기 위한 좌·우 주행용 조작레버, 148은 파쇄기본체(1)[예를 들면, 상기의 운전석(77) 내]에 설치되고, 반송 컨베이어(3), 가압 컨베이어(5'), 파쇄장치(16), 반출 컨베이어(7), 및 자기 분리기(8)의 시동·정지 등을 조작자가 지시입력하고 조작하기 위한 조작패널이다.
제1 , 제2 , 제3 유압 펌프(145A, 145B, 145C) 및 파일럿펌프(146)의 토출관로(149A, 149B, 149C 및 150)로부터 분기된 관로(149Aa, 149Ba, 149Ca 및 150a)에는, 릴리프밸브(151A, 151B, 151C 및 15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제1, 제2, 제3 유압 펌프(145A, 145B, 145C) 및 파일럿펌프(146)의 토출압의 최대치를 제한하기 위한 릴리프압의 값을, 각각 구비된 스프링(151Aa, 151Ba, 151Ca 및 152a)의 가압력으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b) 제1 제어밸브장치 및 조작밸브장치
도 27은 상기의 제1 제어밸브장치(147A)의 상세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7에 있어서,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에 접속된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 및 좌 주행용 유압 모터(14L)에 접속된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는, 모두 대응하는 유압 모터(24, 14L)로의 압유의 방향 및 유량을 제어할 수 있는 유압파일럿 방식의 3위치 전환밸브로 되어있다.
이들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 및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에는 제1 유압 펌프(145A)로부터 토출된 압유가 도입되고, 이 압유를 좌 주행용 유압 모터(14L) 및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컨트롤 밸브(154L, 153)는 제1 유압 펌프(145A)의 상기 토출관로(149A)에 접속된 센터 바이패스 라인(155A)에서, 상류측으로부터,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는 파일럿펌프(146)에서 발생되고 상기 조작레버(108a)에서 소정의 압력에 감압된 파일럿압에 의해 조작된다. 즉, 조작레버장치(108)는 상기 조작레버(108a)와 그 조작량에 따른 파일럿압을 출력하는 한 쌍의 감압밸브(108b, 108b)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레버장치(108)의 조작레버(108a)를 도 27중 화살표 カ방향(또는 그 반대방향, 이하 대응 관계 동일함)으로 조작하면, 파일럿압이 파일럿관로(156a)(또는 156b)를 통하여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의 구동부(154La)(또는 154Lb)로 유도되고, 이에 따라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가 도 27중 상측의 전환위치(154L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154LB)]로 전환되고, 제1 유압 펌프(145A)로부터의 압유가 토출관로(149A), 센터 바이패스 라인(155A), 및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의 전환위치(154L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154LB]를 통하여 좌 주행용 유압 모터(14L)로 공급되고, 좌 주행용 유압 모터(14L)가 순방향(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조작 레버(82a)를 도 27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하면,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는 스프링(154Lc, 154Ld)의 가압력으로 도 27에 나타내는 중립위치(154LC)로 복귀하고, 좌 주행용 유압 모터(14L)는 정지한다.
도 28은 조작밸브장치(157)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8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로(150)에 대하여, 주행록(travel lock)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가 서로 평행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는 조작밸브장치(157)에 내장되어 있고, 파일럿펌프(146)로부터의 파일럿압을 조작레버장치(108)로 유도하는 파일럿도입관로(160a, 160b)에 배치되고, 컨트롤러(161)(도 26참조)로부터의 구동신호(St)(후술)로 전환되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는 솔레노이드(158a)에 입력되는 구동신호(St)가 온(ON)으로 되면 도 28중 우측의 연통위치(158A)로 전환되고, 파일럿펌프(146)로부터의 파일럿압을 도입관로(160a, 160b)를 통하여 조작레버장치(108)에 유도하고, 조작레버(108a)에 의한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의 상기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구동신호가 오프(OFF)로 되면,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는 스프링(158b)의 복원력으로 도 28 중 좌측의 차단위치(158B)로 복귀하고, 도입관로(160a)와 도입관로(160b)를 차단하는 동시에 도입관로(160b)를 탱크(162)로의 탱크라인(162a)으로 연통시키고, 상기 도입관로(160b) 내의 압력을 탱크압으로 하여, 조작레버(108a)에 의한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의 상기 조작을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27을 다시 참조하면,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는, 파일럿펌프(146)에서 발생되고 상기조작밸브장치(157) 내의 상기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 및 상기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된 파일럿압에 의해 조작된다.
즉, 도 28에 나타낸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 및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에는, 컨트롤러(161)로부터의 구동신호(Scr1, Scr2)로 각각 구동되는 솔레노이드(159Fa, 159Ra)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는 그 구동신호(Scr1, Scr2)의 입력에 따라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즉, 구동신호(Scr1)가 온(ON)에서 구동신호(Scr2)가 오프(OFF)로 되면,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가 도 28중 우측의 연통위치(159FA)로 전환됨과 동시에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는 스프링(159Rb)의 복원력으로 도 28중 좌측의 차단위치(159RB)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파일럿펌프(146)로부터의 파일럿압이 도입관로(163a, 163b)를 통하여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의 구동부(153a)로 유도되고, 또한 도입관로(164b)는 탱크라인(162a)에 연통되어 탱크압으로 되고, 이에 따라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가 도 27중 상측의 전환위치(153A)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압 펌프(145A)로부터의 압유가 토출관로(149A), 센터 바이패스 라인(155A), 및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의 전환위치(153A)를 통하여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에 공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가 순방향으로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구동신호(Scr1)가 오프(OFF)에서 구동신호(Scr2)가 온(ON)으로 되면,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가 스프링(159Fb)의 복원력으로 도 28중 좌측의 차단위치(159FB)로 복귀하는 동시에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가 도 28중 우측의 연통위치(159RA)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파일럿압이 도입관로(164a, 164b)를 통하여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 구동부(153b)로 유도되고, 또한 상기 도입관로(163b)는 탱크압으로 되고,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가 도 27중 하측의 전환위치(153B)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제1 유압 펌프(145A)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53B)를 통하여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에 공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구동신호(Scrl, Scr2)가 함께 오프(OFF)로 되면,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 및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는 함께 스프링(159Fb, 159Rb)의 복원력으로 도 28중 좌측의 차단위치(159FB, 159RB)로 복귀하고,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는 스프링(153c, 153d)의 복원력으로 도 27에 나타내는 중립위치(153C)에 복귀하여 제1 유압 펌프(145A)로부터의 압유는 차단되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가 정지한다.
(c) 제2 제어밸브장치
도 29는 상기의 제2 제어밸브장치(147B)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이다. 이 도 29에 있어서, 제2 제어밸브장치(147B)는 상기 제1 제어밸브장치(147A)와 대략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165는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 154R은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이며, 각각 제2 유압 펌프(145B)로부터 토출된 압유를 우 주행용 유압 모터(14R) 및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컨트롤 밸브(154R, 165)는 제2 유압 펌프(145B)의 토출관로(149B)에 접속된 센터 바이패스 라인(155B)에서 상류측으로부터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는, 좌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와 같이 조작레버장치(109)의 파일럿압에 의해 조작되고, 조작레버(109a)를 도 29중 キ방향(또는 그 반대방향, 이하 대응 관계 동일함)으로 조작하면, 파일럿압이 파일럿관로(166a)(또는(166b)를 통하여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의 구동부(154Ra)(또는 154Rb)로 유도되고, 이에 따라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가 도 29중 상측의 전환위치(154R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154RB)]로 전환되고, 제2 유압 펌프(145B)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54R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154RB)]를 통하여 우 주행용 유압 모터(14R)에 공급되어 순방향(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조작레버(109a)를 도 29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하면,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는 스프링(154Rc, 154Rd)의 가압력으로 도 29에 나타내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우 주행용 유압 모터(14R)는 정지한다.
또, 조작레버장치(109)로의 파일럿압은, 상기 조작레버장치(108)와 같이 파일럿펌프(146)보다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를 통하여 공급된다. 따라서, 조작레버장치(108)와 마찬가지로,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의 솔레노이드(158a)에 입력되는 구동신호(St)가 온(ON)으로 되면 조작레버(109a)에 의한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의 상기 조작이 가능하게 되고, 구동신호(St)가 오프(OFF)로 되면, 조작레버(109a)에 의한 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R)의 상기 조작이 불가능하게 된다.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는, 상기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와 마찬가지로, 파일럿펌프(146)에서 발생되고 상기 조작밸브장치(157) 내의 상기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 및 상기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감압된 파일럿압에 의해 조작된다.
즉, 컨트롤러(161)로부터의 구동신호(Scr1)가 온(ON)에서 구동신호(Scr2)가 오프(OFF)로 되면, 파일럿펌프(146)로부터의 파일럿압이 도입관로(163a, 163b)를 통하여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의 구동부(165a)로 유도되고, 또한 도입관로(164b)는 탱크라인(162a)에 연통되어 탱크압으로 되고,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가 도 29중 상측의 전환위치(165A)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제2 유압 펌프(145B)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65A)를 통하여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로 공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가 순방향으로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구동신호(Scr1)가 오프(OFF)에서 구동신호(Scr2)가 온(ON)으로 되면, 파일럿압이 도입관로(164a, 164b)를 통하여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 구동부(165b)로 유도되고, 또한 도입관로(163b)는 탱크압으로 되고,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가 도 29중 하측의 전환위치(165B)로 전환되고, 제2 유압 펌프(145B)로부터의 압유가 그 전환위치(165B)를 통하여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로 공급되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구동신호(Scrl, Scr2)가 함께 오프(OFF)로 되면,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는 스프링(165c, 165d)의 복원력으로 도 29에 나타내는 중립위치(165C)로 복귀하여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가 정지한다.
이상의 설명으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와 상기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65)는,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 159R)로의 구동신호(Scrl, Scr2)에 따라서 서로 동일한 동작을 행하고, 제1 유압 펌프(145A) 및 제2 유압 펌프(145B)로부터의 압유를 일부 합류시키면서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 24)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d) 제3 제어밸브장치
상기의 제3 제어밸브장치(147C)는, 특히 상세한 도시나 설명을 행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39)에 접속된 반송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 상기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에 접속된 가압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 상기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68)에 접속된 반출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 상기 자기 분리기용 유압 모터(75)에 접속된 자기 분리기용 컨트롤 밸브, 상기 가압 컨베이어 상하용 유압실린더(57, 57)에 접속된 가압 컨베이어 상하용 컨트롤 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컨트롤 밸브는 솔레노이드 구동부를 구비한 전자전환밸브 또는 전자비례밸브이며, 컨트롤러(161)로부터의 구동신호의 입력에 따라서 전환되고, 대응하는 유압액츄에이터에 제3 유압 펌프(145C)로부터의 압유를 공급하여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e) 조작 패널 및 컨트롤러의 기본 기능
상기 조작 패널(148)은 특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파쇄로터(20)의 정회전방향 기동, 정지, 역회전방향 기동을 행하기 위한 정회전버튼, 정지버튼, 역회전버튼이나, 주행조작을 행하는 주행모드 및 파쇄작업을 행하는 파쇄모드 중 어느 한 쪽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모드선택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각종 버튼, 스위치, 다이얼 등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자가 상기 각종 버튼, 스위치, 다이얼의 조작을 행하면, 그 조작신호가 상기의 컨트롤러(161)에 입력된다. 상기 컨트롤러(161)는 조작 패널(148)로부터의 조작신호에 기초하여,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의 솔레노이드(158a, 159Fa, 159Ra)로의 상기의 구동신호(St, Scrl, Scr2 등)를 생성하고, 대응하는 솔레노이드에 이들을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일 예를 들면, 조작 패널(148)의 모드선택 스위치에서 「주행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로의 구동신호(St)를 온(ON)으로 하여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를 도 28중 우측의 연통위치(158A)로 전환하고, 조작레버(108a, 109a)에 의한 좌·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 154R)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조작 패널(148)의 모드선택스위치로 「파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주행록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8)로의 구동신호(St)를 오프(OFF)로 하여 도 28중 좌측의 차단위치(158B)로 복귀시키고, 조작레버(108a, 109a)에 의한 좌·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 154R)의 조작을 불가능하게 한다.
또, 조작 패널(148)의 파쇄로터 정전회버튼(또는 역회전버튼)이 눌러진 경우,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의 솔레노이드(159Fa)[또는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의 솔레노이드(159Ra)]로의 구동신호(Scrl)[또는 구동신호(Scr2)]를 온(ON)으로 함과 동시에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의 솔레노이드(159Ra)[또는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의 솔레노이드(159Fa)]로의 구동신호(Scr2)[또는 구동신호(Scr1)]를 오프(OFF)로 하고, 제1 및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l53, 165)를 도 27 및 도 29중 상측의 전환위치(153A, 165A)[또는 하측의 전환위치(153B, 165B)]로 전환하고, 제1 및 제2 유압 펌프(145A, 145B)로부터의 압유를 합류시켜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에 공급하여 구동하고, 파쇄장치(16)를 정회전방향(또는 역회전방향)으로 기동한다.
그 후, 파쇄로터 정지버튼이 눌러진 경우, 상기 구동신호(Scrl, Scr2)를 함께 오프(OFF)로 하여 제1 및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 165)를 도 27 및 도 29에 나타내는 중립위치(153C, 165C)로 복귀시키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를 정지하고, 파쇄장치(16)를 정지시킨다.
(f) 컨트롤러의 파쇄장치 정지 기능
이상(a)∼(e)에 있어서 설명한 기본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유압구동장치에서는, 전술한 리미트 스위치(124)에 의해 고정날지지체 회전부(89'B)의 회전상태가 검출되었을 때에, 파쇄장치(16)를 정지시킨다.
도 30은 컨트롤러(161)의 제어기능 중 상기 파쇄장치 정지제어에 관계되는 제어내용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도 30에 있어서, 먼저, 스텝(10)에서, 전술한 리미트 스위치(124)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입력한다. 그 후, 스텝(20)에 이동하고, 스텝(10)에서 입력한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고정날지지체(89')의 회전부(89'B)가 회전하는 어떤지를 판정한다. 판정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스텝(10)으로 복귀하여 동일한 순서를 반복한다.
스텝(20)의 판정이 만족된 경우, 스텝(30)으로 이동하고, 파쇄장치 정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F)의 솔레노이드(159Fa)로의 구동신호(Scr1) 및 파쇄장치 역회전용 솔레노이드제어밸브(159R)의 솔레노이드(159Ra)로의 구동신호(Scr2)를 함께 오프(OFF)로 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 165)가 도 27 및 도 29에 나타내는 중립위치(153C, 165C)로 복귀하고,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가 정지하여, 파쇄장치(16)가 정지한다.
또,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이상 설명한 부분 이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는, 특허청구의 범위 각 항 기재의 가압 컨베이어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를 구성하고,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는 가압 컨베이어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성하고, 스페이서부재(128)는 제2 고정날과 파쇄로터의 간극을 변경가능한 스페이서를 구성한다.
또, 리미트 스위치(124)는 회전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성하고, 컨트롤러(161)[특히 컨트롤러(161)에 의해 행하여지는 도 30에 나타내는 플로우에서의 스텝(30)]가 파쇄로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정지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2- (I) 자주시(自走時)
조작자가 조작 패널(148)의 모드선택스위치에서 「주행모드」를 선택한 후, 운전석(77)의 좌·우 조작레버(108a, 109a)를 조작함으로써, 그 조작에 따라서 좌·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 154R)가 전환되고, 제1 ·제2 유압 펌프(145A, 145B)로부터의 압유가 이들 좌·우 주행용 컨트롤 밸브(154L, 154R)를 통하여 좌·우 주행용 유압 모터(14L, 14R)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무한 궤도 크롤러 벨트(13)가 구동되어 주행장치(11)가 전진·후진 주행한다.
2- (Ⅱ) 파쇄작업시
조작자가 조작 패널(148)의 모드선택 스위치에서 「파쇄모드」를 선택한 후, 파쇄로터 정전버튼을 누름에 의해, 컨트롤러(161)로부터 제l 및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 165)의 솔레노이드 구동부(153a, 165a)로의 구동신호(Scr1)가 온(ON)으로 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 구동부(153b, 165b)로의 구동신호(Scr2)가 오프(OFF)로 되고, 제1 및 제2 파쇄장치용 컨트롤 밸브(153, 165)가 전환위치(153A, 165A)로 전환된다.
또, 동일하게 각종 버튼,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반송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 가압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 반출 컨베이어용 컨트롤 밸브, 자기 분리기용 컨트롤 밸브를 전환한다.
이에 따라, 제3 유압 펌프(145C)로부터의 압유가, 자기 분리기용 유압 모터(75), 반출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68), 가압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49), 반송 컨베이어용 유압 모터(39)에 공급되고, 자기 분리기(8), 반출 컨베이어(7), 가압 컨베이어(5'), 반송 컨베이어(3)가 기동되는 한편, 제1 및 제2 유압 펌프(145A, 145B)로부터의 압유가 일부 합류하여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로 공급되어 파쇄장치(16)가 정회전방향으로 기동된다. 또, 도시를 생략하지만, 가압 컨베이어 상하용 컨트롤 밸브는, 그 중립위치에서 가압 컨베이어 상하용 유압실린더(57, 57)의 보텀측 관로와 로드측 관로를 연통되도록 되어 있고, 그 결과, 통상 상태에서는 가압 컨베이어(5')는 가압 컨베이어 지지기구(55)'에 의해서 수직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 승강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호퍼(2) 내에 피파쇄목재를 투입하면,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피파쇄목재가 반송 컨베이어(3)에 의해서 파쇄장치(16)측으로 반송되고, 가압 컨베이어(5')의 자중으로 가압 파지되면서 반송체(133)의 회전과 함께 반송 컨베이어(3)와 협동하여 파쇄장치(16)로 도입된다. 도입된 피파쇄목재는, 파쇄비트(18)에 의해 비교적 꼼꼼하지 않게 파쇄된 후, 앤빌(27a, 27b, 27c)에 차례로 충돌하여 더욱 미세하게 파쇄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쇄된 목재파쇄편이 그레이트(26)의 체의 눈을 통과할 수 있는 입도로까지 작아지면, 그 체의 눈을 통과하여 슈트(83)를 통하여 반출 컨베이어(7)의 컨베이어벨트(69) 상에 낙하한다. 낙하한 목재파쇄물은, 자기 분리기(8)에 의해 자성물을 흡착시키면서 반출 컨베이어(7)에 의해 후방측으로 운반되어, 최종적으로 자주식 목재 파쇄기 후방으로 리사이클 제품으로서 반출된다.
2- (Ⅲ) 가변앤빌의 진퇴동작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앤빌(27b, 27c)과 상기 폐쇄판부(89'e1)의 사이에 스페이서부재(128)의 삽입부(128a)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앤빌 진퇴용 볼트(127)를 조임으로써 가변앤빌(27b, 27c)은 상기 가변앤빌(27b, 27c)과 폐쇄판부(89'e1)의 거리가 상기 스페이서 삽입부(128a)의 직사각형 단면 길이 방향 치수(L3)(또는 가로 방향 치수 L4)로 유지되어 고정날지지체 고정부(89'A)에 대하여 고정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변앤빌(27b, 27c)과도 폐쇄판부(89'el)과의 거리가 스페이서 삽입부(128a)의 직사각형 단면 길이 방향 치수(L3)로 되도록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가변앤빌(27b) 쪽을 폐쇄판부(89'e1)와의 거리가 스페이서 삽입부(128a)의 직사각형 단면 가로 방향 치수(L4)로 되도록 변경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그 순서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가변앤빌(27b)을 고정하고 있는 진퇴용 볼트(127)를 스페이서부재(128)의 삽입부(128a)가 빼낼 수 있게 되는 정도까지 느슨하게 한다. 다음에, 접속부(128c)를 스페이서 고정판(129)에 고정하고 있는 2개의 장착볼트(130)를 느슨하게 하고, 손완잡이부(128b)를 이용하여 스페이서부재(128)를 고정날지지체 고정부(89'A)로부터 빼내고, 상기 스페이서부재(128)를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이라도 좋다)으로 90도 회전시켜, 다시 삽입부(128a)를 가변앤빌(27b)과 폐쇄판부(89'e1)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 후, 2개의 장착볼트(130)를 조임, 또 진퇴용 볼트(127)를 조이는 것에 의해, 가변앤빌(27b)은 폐쇄판부(89'e1)와의 거리가 스페이서 삽입부(128a)의 직사각형 단면 가로 방향 치수(L4)로 유지되어 고정날지지체 고정부(89'A)에 대하여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앤빌(27b, 27c)과 폐쇄판부(89'e1)의 사이에서 빼낸 스페이서부재(128)를 시계 회전(또는 반시계 회전이라도 됨)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다시 삽입한다고 하는 용이한 방법으로, 가변앤빌(27b, 27c)를 파쇄로터(20)에 대하여 2단계로 진퇴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1) 기기 배치위치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서의 각 기기의 배치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대략 동등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2- (2) 가변앤빌의 진퇴동작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부재(128)를 이용하여 2개의 가변앤빌(27b, 27c)을 파쇄로터(20)에 대하여 용이하게 2단계로 진퇴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일 실시예와 같이 양호한 파쇄효율로 소망 입도범위로 조정한 파쇄물을 얻을 수 있다.
2- (3) 파쇄장치의 정지제어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날지지체 회전부(89'B)가 회전하면 리 미트 스위치(124)가 컨트롤러(161)에 그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이것에 의해 컨트롤러(161)는 파쇄장치용 유압 모터(24)를 정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성능상 파쇄 곤란한 고경도의 피파쇄목재나 이물 등이 파쇄장치(16) 내로 도입되었을 때는, 고정날지지체 회전부(89'B)가 회전하여 이들을 파쇄장치(16)외부로 배출하는 동시에, 컨트롤러(161)에 의해서 파쇄로터(20)의 회전이 정지된다. 그 결과, 상기 단단한 피파쇄목재나 이물 등에 의해 파쇄로터(20)나 파쇄비트(18) 또는 그 주위의 구조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날지지체(89')의 전부를 회전시키도록 하면, 파쇄로터(20) 주위에 거대한 개구부가 창출되어 파쇄목재가 대량으로 배출되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날지지체(89')의 회전부(89'B) 만을 회전시키도록 함으로써, 필요 최소한의 개구로서 파쇄목재의 대량 배출을 피하면서, 각 부 파손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2- (4)기타
2-① 감김 방지벽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의 자주식 목재 파쇄기에 있어서, 파쇄로터(20)의 외주측 중 반 이상의 부분은, 그레이트(26), 고정날지지체(89'), 그레이트 지지구조체(131)로 이루어지는 통로획정수단에 의해서 덮히고, 파쇄로터(20)와 이들 통로획정수단에 의해 파쇄목재 유동통로(P)(도 16참조)가 형성되어 있지만, 피파쇄목재 도입측에 있는 누름롤러(42')나 이송롤러(29)측은 피파쇄목재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개구부[개방공간(Q), 도 16참조)로 되어있다. 이로 인하여, 그대로는, 상기 파쇄목재 유동통로(P)를 파쇄로터(20)의 회전을 따라 흐르고 있던 파쇄목재가, 파쇄 로터(2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개방공간(Q)으로부터 역류하여 누름롤러(42')나 이송롤러(29) 측으로 튀어나올 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상기 개방공간(Q)의 외주측 중 하측은 그 후 도입된 피파쇄목재 자체나 가압 컨베이어(5')로 막히고, 그 상측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컨베이어(5')와 함께 수직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파쇄목재의 감김 방지벽(143)으로 막힌다. 이 때 특히, 상기 감김 방지벽(143)의 하단부의 높이 방향 위치가, 최소한 누름롤러(42')의 축 중심위치(X)와 대략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파쇄로터(20)측에서 보아 상방으로 회전하는 누름롤러(42')를 향하여 상기 파쇄목재 유동통로(P)로부터 파쇄목재가 튀어나오는 경우에도, 누름롤러(42')의 축 중심위치(X)보다 높은 위치의 것은 반드시 감김 방지벽(143)으로 블록되어 하방으로 낙하한다. 또한 감김 방지벽(143)보다도 하방으로 튀어나와 가압 컨베이어(5')의 반송체(133)의 요철 형상 등에 탑재된 경우도, 이 위치에서는 요철 형상이 수평보다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중력의 작용 및 진동 등에 의해 파쇄목재는 하방으로 낙하한다.
따라서, 파쇄로터(20) 측에서 튀어나온 파쇄목재의 일부가 누름롤러(4))'의 회전과 함께 누름롤러(42')를 타고 넘어 피파쇄목재 도입측으로 역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2-② 누름롤러의 탄성지지 구조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컨베이어(5')의 누름롤러(42')는 파쇄로터(20)와 반대측으로 변위가능하도록 그 회전축을 가동베어링체(141b)에 의해서 탄성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2-①과 같이 감김 방지벽(143)을 설치하고 있음에도 관계되지 않고, 만일 어떠한 원인으로 누름롤러(42')측과 감김 방지벽(143)의 사이에 파쇄목재가 사이에 끼여 말려들게 된 경우에는, 누름롤러(42')가 구동롤러(43')측[파쇄로터(20)와 반대측]으로 회피함으로써 가압 컨베이어(5')의 구동롤러(43')의 구동부하가 과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③ 가압판의 개구부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판(137)중 링크부재(136)의 장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목재편의 막힘 방지용 개구부(138)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만일 상기 2-②와 같이 하여 파쇄목재가 말려들게 된 후, 또 순환구동하는 반송체(133)의 내주측에 파쇄목재가 들어와 저장된다고 해도, 상기 개구부(138)를 통하여 반송체(133)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2-④ 가이드판부재의 파쇄목재 튀어나옴 방지부에 의한 효과
상기 2-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쇄목재 유동통로(P)의 외주측 중 피파쇄목재 도입측은 개방공간(Q)으로 되어 있고, 그대로는, 파쇄목재 유동통로(P)를 파쇄로터(20)의 회전을 따라 흐르고 있던 파쇄목재가 누름롤러(42')나 이송롤러(29)측으로 튀어나올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쇄외경(R) 외주측의 투입부에 가이드판부재(132)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파쇄목재 튀어나옴 방지부(132a)를, 파쇄로터(20)의 회전방향을 향하여 파쇄외경(R)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파쇄외경(R)의 접선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θ)를 가지고 배치한다. 이에 따라, 파쇄목재 유동통로(P)를 회전 유동하고 있던 파쇄목재는, 가이드판부재 목재 튀어나옴 방지부(132a)에 충돌하여 파쇄외경(R)에 근접하게 되는(바꿔 말하면, 상기 뛰어나옴을 저지하는) 경사 방향의 힘을 받는 경향으로 되어, 파쇄로터(20)의 피파쇄목재 도입측에 있는 가압 컨베이어(5')측으로의 튀어나옴 자체가 억제된다. 이 결과, 상기 2-①과 같이 파쇄로터(20)측에서 튀어나온 파쇄목재의 일부가 피파쇄목재 도입측으로 역유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도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2-⑤ 가이드판부재의 피파쇄목재 도입부에 의한 효과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판부재 피파쇄목재 도입부(132b)의 이송롤러(29) 측단부(132ba)가 이송롤러 회전궤적(S)의 근방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반송 컨베이어(3)로 반송되고 있던 피파쇄목재의 일부가 파쇄로터(20) 측으로 도입되지 않고 이송롤러(29) 측에 걸린 채로 하방으로 기어들고자 하는 경우에도, 피파쇄목재 도입부의 단부로 그 기어드는 것을 방지하고, 확실하게 파쇄로터(20) 측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판부재 피파쇄목재 도입부(132b)의 높이 방향 위치가 이송롤러 회전궤적(S)의 최상부 위치보다 낮게 되어 있다. 이것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대략 원형형상을 한 이송롤러(29) 측에 대하여 피파쇄목재 도입부(132b)의 단부를 대략 수평으로 근접시키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판부재(132)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으로서 단부에 곡률을 가진 오목형 형상(이른바 경사각 부분)을 가공하기 어렵기(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원형형상의 정상부 부근에서 근접시키기 보다도, 되도록이면 정상부보다 하방의 위치에서 근접시킨 쪽이 그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피파쇄목재 도입부(132b)의 높이 방향 위치를 이송롤러 회전궤적(S)의 최상부 위치보다 낮게함으로써, 피파쇄목재 도입부(132b)의 단부와 이송롤러 회전궤적(S)을 충분히 근접시킬 수 있고, 상술한 기어들기를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쇄장치로서 파쇄로터(20)의 외주부에 날붙이[파쇄비트(18)]를 장착한 이른바 임팩트 크러셔를 구비한 목재 파쇄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파쇄장치, 예를 들면, 평행하게 배치된 축에 커터를 구비하고, 서로 역회전시킴으로써 피파쇄물을 전단하는 파쇄장치[이른바 슈레더(shredder)를 포함하는 2축 전단기 등]나, 롤형의 회전체(로터)에 파쇄용 날붙이를 장착한 것을 한 쌍으로서 이들 한 쌍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들 회전체의 사이에 피파쇄물을 끼워넣어 파쇄를 행하는 회전식의 파쇄장치(이른바 롤 크러셔를 포함하는 6축 파쇄기 등)나, 피파쇄물을 칩(chip)형으로하는 이른바 목재칩퍼(wood chiper)를 구비한 목재 파쇄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들 경우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
제1항 기재의 발명에 따르면, 주행수단과, 파쇄장치와, 반송수단과, 가압 컨베이어와, 반출 컨베이어와, 이들 주행수단, 파쇄장치, 반송수단, 가압 컨베이어, 반출 컨베이어를 각각 구동하는 복수의 유압액츄에이터를 본체프레임에 집중 배치한다. 이에 따라, 각 요소를 공간의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자주식 목재 파쇄기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8항 기재의 발명에 따르면, 고정날을, 상기 고정날과 파쇄로터의 간극이 변경가능하도록, 파쇄로터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에 진퇴조정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에 따라, 양호한 파쇄효율로 파쇄물의 입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2)

  1. 본체프레임(10)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된 주행수단(l1)과,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고, 외주부에 파쇄비트(crushing bit)(18)를 설치한 파쇄로터(crushing rotor)(20)를 구비한 회전식 파쇄장치(16)와,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 한쪽에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피파쇄목재를 상기 파쇄장치(16)에 반송하는 반송수단(3)과,
    상기 반송수단(3)의 상방 및 상기 파쇄장치(16)의 근방에 설치된 누름롤러(pressing roller)(42; 42')와, 상기 누름롤러(42; 42')의 상기 파쇄장치(16)와 반대측에 설치된 구동롤러(driver roller)(43, 43')와, 상기 누름롤러(42; 42')와 상기 구동롤러(43, 43')에 감아 돌려진 반송체(44; 133)를 구비하여, 상하 이동하면서 상기 피파쇄목재를 가압하여 상기 반송수단(3)과 협동하여 상기 파쇄장치(16)에 도입하는 가압 컨베이어(pressing conveyor)(5; 5')와,
    상기 본체 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의 다른 한쪽에 설치된 파워 유닛(power unit)(9)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컨베이어(5; 5')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55; 55')는 상기 가압 컨베이어(5; 5')를 유지하는 슬라이더(slider)(58; 58')와, 상기 슬라이더(58; 58')의 양단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컨베이어(5; 5')를 상하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55; 55')는 상기 슬라이더(58; 58')와 상기 파쇄장치(16)의 프레임(92)을 연결하는 링크식 가이드 부재(14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컨베이어(5; 5')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49; 49')을 상기 구동롤러(43, 43')의 내부에 수납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체(133)는 상기 누름롤러(42')와 상기 구동롤러(43)')에 감아 돌려진 무단형 링크(endless link)(136)와, 상기 링크(136) 외주측의 상기 피파쇄목재 반송방향으로 배치되고, 횡단면 형상이 대략 삼각형인 복수의 가압판(13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컨베이어(5')는 상기 본체프레임(1O)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누름롤러(42')와, 이들 복수의 누름롤러(42')에 대향하도록 상기 본체프레임(10)의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의 구동롤러(43')와, 상기 복수의 누름롤러(42')와 상기 복수의 구동롤러(43')를 감아 돌리는 복수의 반송체(1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비트(18)의 회전궤적(R)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최소한 하나의 고정날(27a)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고정날(27a)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졌을 때에는 그에 따라 상기 고정날(27a)이 과대한 부하로부터 회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부(89'B)를 구비한 고정날지지체(89')와, 상기 회전부(89'B)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수단(124)과, 상기 검출수단(124)에서 상기 회전부(89'B)가 회전한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파쇄로터(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정지제어수단(16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식 목재 파쇄기.
  8. 외주부에 파쇄비트(18)를 설치한 파쇄로터(20)와,
    상기 파쇄로터(20)와의 간극이 변경가능하도록, 상기 파쇄로터(20)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89; 89')에 진퇴조정가능 또는 교환가능하게 설치된 고정날(27a, 27b, 27c)과,
    상기 파쇄로터(20)와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체 부재(sieving member)(26)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9. 외주부에 파쇄 비트(18)를 설치된 파쇄로터(20)와,
    상기 파쇄로터(20)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89; 89')에 설치된 제1 고정날(27a)과,
    상기 파쇄로터(20)와의 간극이 변경가능하도록, 상기 파쇄로터(20)의 외주측에 설치된 고정날지지체(89; 89')에 진퇴조정가능 또는 교환가능하게 설치된 제2 고정날(27b, 27c)과,
    상기 파쇄로터(20)와 간극을 가지고 설치된 체 부재(26)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날(27b, 27c)은 상기 파쇄로터(2O)의 회전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파쇄로터(20)와의 간극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치된 복수의 고정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날(27b, 27c)과 상기 파쇄로터(20)의 간극을 변경할 수 있는 스페이서(spacer)(128)를 상기 제2 고정날(27b, 27c)과 상기 고정날지지체(89')와의 사이에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횡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파쇄기.
KR10-2003-7000079A 2001-05-22 2002-05-07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 KR100508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52504A JP2002346415A (ja) 2001-05-22 2001-05-22 木材破砕機
JPJP-P-2001-00152504 2001-05-22
PCT/JP2002/004424 WO2002094444A1 (en) 2001-05-22 2002-05-07 Self-propelling wood crusher and wood crus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555A KR20030031555A (ko) 2003-04-21
KR100508324B1 true KR100508324B1 (ko) 2005-08-17

Family

ID=1899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0079A KR100508324B1 (ko) 2001-05-22 2002-05-07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141394A1 (ko)
EP (1) EP1426111A1 (ko)
JP (1) JP2002346415A (ko)
KR (1) KR100508324B1 (ko)
WO (1) WO20020944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724B1 (ko) 2007-07-27 2009-03-23 (주)한서정공 목재 파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2076A (ja) * 2003-04-09 2004-11-18 Komatsu Ltd せん断破砕機の破砕制御装置
JP2004322075A (ja) * 2003-04-09 2004-11-18 Komatsu Ltd 破砕機の負荷表示装置
US7461802B2 (en) * 2004-02-20 2008-12-09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removable anvil
GB0408594D0 (en) * 2004-04-16 2004-05-19 Extec Screens & Crushers Ltd Crusher apparatus
US7681816B2 (en) * 2004-10-21 2010-03-23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od crusher
JP4681888B2 (ja) * 2005-01-14 2011-05-11 日立建機株式会社 木材破砕機
JP2006272101A (ja) * 2005-03-28 2006-10-12 Hitachi Furukawa Kenki Kk 樹枝粉砕機
JP2007313441A (ja) * 2006-05-26 2007-12-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破砕機
JP4800842B2 (ja) * 2006-05-29 2011-10-26 日立建機株式会社 破砕機
JP4849963B2 (ja) * 2006-06-07 2012-01-11 日立建機株式会社 破砕機
US7780102B2 (en) * 2007-03-28 2010-08-24 Crary Industries, Inc. Feed roller drive for wood chipper
US7971818B2 (en) * 2008-03-26 2011-07-05 Vermeer Manufactu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removable anvil
US8789784B2 (en) * 2010-05-14 2014-07-29 Ange Construction Co. Mobile self-contained loading and crushing apparatus
US8561929B2 (en) * 2010-11-08 2013-10-22 Flsmidth A/S Mobile sizing station
EP2734348B1 (en) * 2011-07-21 2020-09-02 Bandit Industries, Inc. Safety device, backflow reduction device, conformable wood processing device, and methods thereof for a waste processing
FI128934B (fi) * 2012-06-08 2021-03-31 Metso Minerals Inc Menetelmä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ksen ohjaamiseksi ja mineraalimateriaalin prosessointilaitos
CN103171012B (zh) * 2013-03-15 2015-05-06 牧羊有限公司 一种原木破碎机
WO2017040069A1 (en) * 2015-09-02 2017-03-09 Astec Industries, Inc. Chip size control system for log chipping machine
CN105170291A (zh) * 2015-09-08 2015-12-23 肥乡县佳鑫机械制造有限公司 多功能流动式粉碎机
US10773260B2 (en) 2016-03-17 2020-09-15 Bandit Industries, Inc. Waste processing machine safety device
CN106000609B (zh) * 2016-07-08 2018-09-11 浙江浙矿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履带式移动破碎站
CN106179588A (zh) * 2016-08-07 2016-12-07 方义飞 破碎设备、给料破碎机及其具有降噪功能的破碎护罩
CN106040349A (zh) * 2016-08-07 2016-10-26 方义飞 散装物料输送系统、破碎设备及具有降噪功能的破碎护罩
CN106238139A (zh) * 2016-08-07 2016-12-21 长沙贤正益祥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石油化工产品生产系统中的低噪音破碎处理设备
CN106179591A (zh) * 2016-08-07 2016-12-07 方义飞 一种石化产品破碎处理设备及其具有降噪功能的破碎护罩
CN106040348A (zh) * 2016-08-07 2016-10-26 方义飞 给料破碎机及其降噪方法、具有降噪功能的破碎护罩
WO2019168487A2 (en) * 2018-02-28 2019-09-06 Akdeniz Universitesi A self-propelled pruning residue shredding machine
EP3787797A4 (en) * 2018-05-01 2022-02-16 Tigercat Industries Inc. PORTABLE GRINDING/SHREDDER/CHIPPER SYSTEM WITH MANIPULABLE TRACK DRIVE AND OTHER IMPROVEMENTS
CL2020000917A1 (es) * 2020-04-03 2020-07-03 Agroinov Incorporacao De Imoveis Ltda Perfeccionamiento introducido en equipo agrícola.
US20220048036A1 (en) * 2020-08-11 2022-02-17 Scott Equipment Company Mobile method for processing organics and system
CN112777887B (zh) * 2021-03-16 2022-08-02 江苏农牧科技职业学院 一种畜牧养殖用粪便处理装置
CN113769875B (zh) * 2021-08-11 2022-12-13 河南远大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建筑拆迁用便携式垃圾破碎装置
CN114011562B (zh) * 2021-10-14 2023-09-29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防伤人转运破碎机
CN114832932A (zh) * 2022-05-10 2022-08-02 黄河科技学院 一种园林修剪用机械粉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07761A (en) * 1919-06-24 shemon
US2216612A (en) * 1938-05-28 1940-10-01 Robinson Mfg Co Comminuting mill
US3545692A (en) * 1968-01-22 1970-12-08 Coachella Valley Organic Ferti Feed and guidance control apparatus for a tree hogger unit
DE1934545C3 (de) * 1969-07-08 1981-01-29 Hazemag Dr. E. Andreas Gmbh & Co, 4400 Muenster Mahlbahn für Prallmühlen
DE2516014C3 (de) * 1975-04-12 1986-05-28 Hazemag Dr. E. Andreas GmbH & Co, 4400 Münster Zerkleinerungsmaschine für Abfälle
JPS60194503U (ja) * 1984-06-04 1985-12-25 有限会社 日宏製作 木材の切粉製造装置
JPH0131320Y2 (ko) * 1986-03-11 1989-09-26
JPH027222U (ko) * 1988-06-27 1990-01-18
JP2936240B2 (ja) * 1991-09-27 1999-08-23 タキロン株式会社 合成樹脂被覆鋼棒の破砕処理方法
DE9305854U1 (ko) * 1993-04-20 1993-06-17 Doppstadt, Werner, 5620 Velbert, De
JP3328161B2 (ja) * 1996-05-16 2002-09-24 小松ゼノア株式会社 粉砕機の供給装置
DE29701622U1 (de) * 1997-01-31 1998-06-04 Krupp Foerdertechnik Gmbh Prallwerk
JPH10331185A (ja) * 1997-04-04 1998-12-15 Jiyakutei Eng Kk ドラムクラッシャ
US5947395A (en) * 1997-09-22 1999-09-07 Peterson Pacific Corp. Materials reducing machine
JPH11347440A (ja) * 1998-06-08 1999-12-21 Komatsu Zenoah Co 粉砕機用供給装置
JP3065694U (ja) * 1999-07-08 2000-02-08 山菱テクニカ株式会社 プレス曲げ金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724B1 (ko) 2007-07-27 2009-03-23 (주)한서정공 목재 파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41394A1 (en) 2003-07-31
EP1426111A1 (en) 2004-06-09
WO2002094444A1 (en) 2002-11-28
JP2002346415A (ja) 2002-12-03
KR20030031555A (ko) 200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8324B1 (ko) 자주식 목재 파쇄기 및 목재 파쇄기
US5713525A (en) Horizontal comminuting machine particularly for recyclable heavy wood randomly carrying non-shatterable foreign pieces
US20210354148A1 (en) Portable grinding/shredding/chipping system having manipulable track drive and other improvements
JP4681888B2 (ja) 木材破砕機
US7721983B2 (en) Crusher
US7258293B2 (en) Wood crusher and wood treating method
JP4809238B2 (ja) 木材破砕機
US20180161779A1 (en) Discharge System for a Waste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Thereof
JP2007260546A (ja) 木材破砕機
JP4391410B2 (ja) 木材破砕機
JP4689054B2 (ja) 自走式木材破砕機
JP5197268B2 (ja) 木材破砕機
JP4549882B2 (ja) 木材破砕機
JP2005319348A (ja) 木材破砕機
JP2002346412A (ja) 木材破砕機
CA1298823C (en) Apparatus for comminuting soil-contaminated tree stumps and the like
JP2006175351A (ja) 木材破砕機
JP2003290677A (ja) 木材破砕機
JP2005319349A (ja) 木材破砕機
JP5731442B2 (ja) 破砕機
JP4850688B2 (ja) 破砕機
JP2005238039A (ja) 木材破砕機
JP2005305362A (ja) 木材破砕機
JP2005238038A (ja) 木材破砕機及び木材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